KR102044977B1 - 공기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977B1
KR102044977B1 KR1020190093960A KR20190093960A KR102044977B1 KR 102044977 B1 KR102044977 B1 KR 102044977B1 KR 1020190093960 A KR1020190093960 A KR 1020190093960A KR 20190093960 A KR20190093960 A KR 20190093960A KR 102044977 B1 KR102044977 B1 KR 10204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air inlet
vertical pipe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점서
Original Assignee
구점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점서 filed Critical 구점서
Priority to KR102019009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 수직관(130)과; 상기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조(120)의 물이 유입되는 물이동관(140)과;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상기 수직관(130) 내부로 이동된 후 상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물이동관(140)의 외측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130)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물배출관(143)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배출관(143)을 통해 배출된 물을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 외측으로 범람하게 수용하는 물범람조(135)가 구비되며,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유입될 때, 상기 물범람조(135)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며 오염물질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세정장치{AIR WASHER}
본 발명은 공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오염된 공기를 물로 세정하여 정화하는 공기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는 미세한 먼지입자 등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의 오염도는 산업이 발전하고 대기환경이 오염되면서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오염공기, 유해공기 등을 인체에 해롭지 않은 깨끗하고 쾌적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의 수요는 점점 많아지고 있다.
종래 다양한 형태의 공기정화장치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들은 내부에 필터를 설치하여 필터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걸러주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들은 정화효율이 좋지 못해 공기오염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하기가 곤란하였으며, 또한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여러개를 설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장치가 대형화되면서 제작이 어렵고 설치장소에도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공기정화장치들은 사용 중 필터를 주기적으로 자주 교체해주어야만 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그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폐기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9580호 "물세척식 공기정화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의 사용없이 물을 이용해 공기를 세정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세정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세정장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 수직관(130)과; 상기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조(120)의 물이 유입되는 물이동관(140)과;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상기 수직관(130) 내부로 이동된 후 상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물이동관(140)의 외측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130)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물배출관(143)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배출관(143)을 통해 배출된 물을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 외측으로 범람하게 수용하는 물범람조(135)가 구비되며,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유입될 때, 상기 물범람조(135)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며 오염물질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관(130)의 하단은 바닥판(131)과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131)은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이동관(140)과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이 함께 결합되며, 상기 수직관(130)의 상단은 상부커버(133)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133)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33)의 외주연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물범람조(135)로부터 범람되는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측면안내벽(133b)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물공급펌프(121)가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공급펌프(121)를 연결하는 펌프물공급관(123)과, 상기 물공급펌프(121)를 통해 물을 상기 물이동관(140)으로 공급하는 펌프물배출관(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팬조립체(160)는, 상기 상부커버(13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정화공기배출공(167)이 형성된 팬하우징(165)과; 상기 팬하우징(165) 내부에 구비되는 팬구동모터(163)와; 상기 팬구동모터(16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송풍팬(16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관(130)과 상기 물이동관(14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측의 전선을 상기 팬구동모터(163) 측으로 안내하는 전선이동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 수직관(130)과; 상기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조(120)의 물이 유입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이동관(140)과;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상기 수직관(130) 내부로 이동된 후 상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물이동관(140)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내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물배출관(143)과, 상기 물배출관(143)의 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 사이 공간으로 분사하는 물배출노즐(145)이 구비되며,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유입된 후 상기 물배출노즐(145)로부터 낙하되는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며 이물질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 상에 물을 낙하시켜 물과 외부공기가 접촉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세정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세정장치는 물을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어 필터 교체와 같은 번거로운 관리가 요구되지 않고 유지관리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정 주기별로 오염된 물을 버리고 세로운 물을 채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의 공기세정과정을 도시한 측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의 공기세정과정을 도시한 평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세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의 외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공기세정장치(100)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물저장조(120)와,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관(130)과,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물저장조(120)의 물이 이동되는 물이동관(140)과,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수직관(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음압을 형성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는 물저장조(120)의 물을 물이동관(140)을 통해 상부로 이동시키고,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부를 향해 물을 수직 낙하시킨다. 팬조립체(160)에 의해 발생된 음압에 의해 외부공기(A)는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유입되면서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부로 떨어지는 물(W)과 접촉되면서 오염물질이 세정되게 된다.
세정에 사용된 물(W)은 물저장조(120)로 낙하되어 수집되고, 다시 물이동관(140)을 통해 이동된 후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부로 낙하되는 순환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공기(A)는 순환되는 물(W)과 접촉하며 연속적인 세정이 진행되게 되고, 별도의 필터 없이 외부공기(A)의 정화가 진행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일정면적을 갖는 평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면에 물공급펌프(121)를 지지한다.
물저장조(120)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물저장조(120)와 베이스프레임(11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물공급펌프(121)과 제어반(미도시), 전원공급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과 물저장조(120) 사이에는 복수개의 하부지지축(111)이 구비되어 물저장조(120)가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물저장조(120)에는 외부공기(A) 세정에 사용되는 물(W)이 수용된다. 물저장조(1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수도관(미도시)이 결합되어 깨끗한 물을 수시로 공급받을 수 있다.
물공급펌프(121)는 물저장조(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저장조(120)의 물을 물이동관(140) 내부로 공급한다. 물공급펌프(121)에는 물저장조(120)와 연결되어 물저장조(120)의 물을 물공급펌프(121)로 공급하는 펌프물공급관(123)과, 펌프물공급관(123)을 통해 물공급펌프(121)로 유입된 물(W)을 물이동관(140)으로 공급하는 펌프물배출관(125)이 각각 결합된다.
펌프물배출관(125)은 수직관(130)의 바닥판(131)을 통해 물이동관(140)의 내부와 연결된다.
물저장조(120)의 하부에는 반복된 공기 세정과정으로 물이 오염될 경우,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29)이 연결된다.
수직관(130)은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순환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수직관(130)은 물이동관(140)과 외부공기유입관(150) 사이에 배치되어 물(W)이 외부공기유입관(15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지지하고,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된 정화공기(A')가 송풍팬(16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수직관(13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다. 내부공기유입공(130a)은 외부공기유입관(150)을 통해 유입된 정화공기(A')를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시킨다.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된 정화공기(A')는 송풍팬(161)에 의해 발생된 음압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내부공기유입공(130a)은 수직관(130)의 하부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수직관(130)의 전영역에 형성될 경우, 상대적으로 수직관(130)의 상부 측에 위치된 정화공기(A')가 송풍팬(161)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직관(130)의 하부에는 바닥판(131)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부커버(133)가 결합된다. 바닥판(131)은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지지축(127)에 의해 물저장조(12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된다.
바닥판(131)에는 수직관(130)과, 물이동관(140) 및 외부공기유입관(150)이 함께 결합된다.
상부커버(133)는 수직관(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수직관(130)을 통해 이동된 정화공기(A')를 송풍팬(161) 측으로 안내하고, 물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부커버(133)는 외부공기유입관(150)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부커버(133)의 내부에는 수직관(130)과 연통되게 형성된 공기이동공(133a)이 구비되고, 상부커버(133)의 외주연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면적 연장형성된 측면안내벽(133b)이 구비된다.
공기이동공(133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된 정화공기(A')를 송풍팬(161)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측면안내벽(133b)은 물범람조(135)로부터 범람되는 물이 외부공기유입관(150) 외측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범람되는 물(W)은 측면안내벽(133b)과 물범람조(135)의 외벽 사이의 이격공간 만큼의 두께로 낙하되며 외부공기(A)와 접촉하게 된다.
측면안내벽(133b)과 물범람조(135)의 외벽 사이의 이격공간이 넓을수록 물(W)과 외부공기(A)의 접촉시간이 증가되어 외부공기(A)의 정화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수직관(130)의 상부에는 물범람조(135)가 형성된다. 물범람조(135)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수직관(130)의 상부 외측에 구비된다. 물범람조(135)는 물이동관(140)과 물배출관(143)에 의해 연결되고, 물배출관(143)으로부터 물(W)을 공급받는다.
물범람조(135)로 공급된 물은 만수위까지 채워진 후 오버플로우 되어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측으로 낙하된다. 이렇게 낙하된 물(W)이 외부공기(A)와 접촉되며 외부공기(A)를 세정하게 된다.
물이동관(140)은 수직관(130) 내부에 구비되어 물저장조(12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W)을 물범람조(135)로 공급한다. 물이동관(140)은 수직관(130) 보다 일정 높이 작게 형성되며, 물범람조(135)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물이동관(14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물배출공(141)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물배출공(141)에는 물배출관(143)이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물배출관(143)은 수직관(130)의 벽면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물(W)을 물범람조(135)로 배출한다.
외부공기유입관(150)은 물범람조(135)와 바닥판(131)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공기(A)를 내부로 유입시킨다. 외부공기유입관(150)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관통형성된다.
팬조립체(160)는 상부커버(133)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외부공기(A)가 흡입될 수 있게 음압을 형성한다. 팬조립체(160)는 송풍팬(161)과, 송풍팬(161)을 구동하는 팬구동모터(163)와, 송풍팬(161)과 팬구동모터(163)를 수용하는 팬하우징(165)을 포함한다.
팬구동모터(163)는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되며 송풍팬(161)이 회전되게 구동력을 제공한다. 송풍팬(161)은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A)를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시키고,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된 정화공기(A')가 팬하우징(165)을 통해 상부로 배출되게 음압(마이너스압력)을 형성한다.
팬하우징(165)은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복수개의 정화공기배출공(167)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조(120)와 수직관(130)을 관통하여 전선이동관(170)이 배치된다. 전선이동관(170)은 내부에 전선(171)을 수용하여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팬구동모터(163)로 전달되게 한다.
전선이동관(170)은 물이 채워진 물저장조(120)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전선(171)이 물과 접촉되지 않게 보호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는 물저장조(120)의 상수도연결관(미도시)을 조작하여 물저장조(120)에 물이 채워지게 한다. 그리고 전원을 on하면, 물공급펌프(121)와 팬구동모터(163)로 전원이 공급된다.
전원이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펌프(121)가 구동되면서 물저장조(120)의 물이 물공급펌프(121)과 펌프물배출관(125)을 통해 물이동관(140)으로 공급된다. 물이동관(140) 내부에 물이 채워져 물이동관(140) 전체 높이만큼 물이 채워지면 물(W)이 물배출관(143)을 통해 물범람조(135)로 이동된다.
물범람조(135)에 물이 채워지면, 물이 범람하게 되고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팬구동모터(163)가 구동되면 송풍팬(161)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향, 즉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수직관(13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고, 외부공기유입관(150) 표면의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흡입압력이 형성되어 외부공기(A)가 유입된다.
이 때, 외부공기(A)의 유입경로 상에 물(W)이 낙하되므로, 외부공기(A)는 외부공기(A)와 접촉되면서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이 씻겨지게 된다. 유해물질이 씻겨진 정화공기(A')는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외부공기유입관(150) 내부로 유입되고, 수직관(130)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은 물이동관(140)을 통해 수직관(130)을 거쳐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외부공기(A)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수직관(130)을 통해 유입된다.
그리고, 정화공기(A')는 상방향으로 이동된 후 공기이동공(133a)을 통해 송풍팬(161)으로 이동되고, 팬하우징(165)의 정화공기배출공(16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a)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공기세정장치(100)는 물이 물배출관(143)을 통해 물범람조(135)로 이동되고, 물범람조(135)에서 범람되어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외측으로 자유낙하하며 외부공기(A)와 접촉되며 외부공기(A)를 세정한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세정장치(100a)는 물배출관(143)이 수직관(130)과 외부공기유입관(150) 사이까지 연장형성되고, 물배출관(143)의 단부에 물배출노즐(145)이 구비된다.
물배출노즐(145)이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수직관(130) 사이 공간으로 직접 물(W)을 분사한다. 송풍팬(161)의 흡입압력에 의해 외부공기유입관(150)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A)는 물배출노즐(145)로부터 분사되는 물(W)과 접촉되며 오염물질이 세정되게 된다.
오염물질이 세정된 정화공기(A')는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수직관(130) 내부로 유입되고, 상부로 이동된 후 송풍팬(1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세정장치는 외부공기의 유입경로 상에 물을 낙하시켜 물과 외부공기가 접촉되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이 세정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기세정장치는 물을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필터가 필요 없어 필터 교체와 같은 번거로운 관리가 요구되지 않고 유지관리비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정 주기별로 오염된 물을 버리고 세로운 물을 채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공기세정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공기세정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하부지지축 120 : 물저장조
121 : 물공급펌프 123 : 펌프물공급관
125 : 펌프물배출관 127 : 중간지지축
129 : 드레인관 130 : 수직관
130a : 내부공기유입공 131 : 바닥판
133 : 상부커버 133a : 공기이동공
133b : 측면안내벽 135 : 물범람조
140 : 물이동관 141 : 물배출공
143 : 물배출관 145 : 물배출노즐
150 : 외부공기유입관 151 : 외부공기유입공
160 : 팬조립체 161 : 송풍팬
163 : 팬구동모터 165 : 팬하우징
167 : 정화공기배출공 170 : 전선이동관
171 : 전선
A : 외부공기
A' : 정화공기
W : 물

Claims (6)

  1.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 수직관(130)과;
    상기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조(120)의 물이 유입되는 물이동관(140)과;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상기 수직관(130) 내부로 이동된 후 상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물이동관(140)의 외측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관(130)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물배출관(143)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배출관(143)을 통해 배출된 물을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 외측으로 범람하게 수용하는 물범람조(135)가 구비되며,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유입될 때, 상기 물범람조(135)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며 오염물질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30)의 하단은 바닥판(131)과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131)은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이동관(140)과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이 함께 결합되며,
    상기 수직관(130)의 상단은 상부커버(133)와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133)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133)의 외주연에는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물범람조(135)로부터 범람되는 물을 하부로 안내하는 측면안내벽(13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물공급펌프(121)가 구비되고,
    상기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공급펌프(121)를 연결하는 펌프물공급관(123)과, 상기 물공급펌프(121)를 통해 물을 상기 물이동관(140)으로 공급하는 펌프물배출관(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조립체(160)는,
    상기 상부커버(13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정화공기배출공(167)이 형성된 팬하우징(165)과;
    상기 팬하우징(165) 내부에 구비되는 팬구동모터(163)와;
    상기 팬구동모터(16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송풍팬(1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30)과 상기 물이동관(14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측의 전선을 상기 팬구동모터(163) 측으로 안내하는 전선이동관(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6.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조(120)와;
    상기 물저장조(120)의 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하부 외주면에 복수개의 내부공기유입공(130a)이 형성된 수직관(130)과;
    상기 수직관(130)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물저장조(120)의 물이 유입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이동관(140)과;
    상기 수직관(130)의 외부에 동심원상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개의 외부공기유입공(151)이 형성되는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을 통해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으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공기유입공(130a)을 통해 상기 수직관(130) 내부로 이동된 후 상방향으로 배출되게 하는 팬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물이동관(140)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의 내부까지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물배출관(143)과, 상기 물배출관(143)의 단부에 구비되어 물을 상기 외부공기유입관(150)과 상기 수직관(130) 사이 공간으로 분사하는 물배출노즐(145)이 구비되며,
    외부공기는 상기 외부공기유입공(151)으로 유입된 후 상기 물배출노즐(145)로부터 낙하되는 낙하되는 물과 접촉되며 이물질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세정장치.
KR1020190093960A 2019-08-01 2019-08-01 공기세정장치 KR10204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960A KR102044977B1 (ko) 2019-08-01 2019-08-01 공기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960A KR102044977B1 (ko) 2019-08-01 2019-08-01 공기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977B1 true KR102044977B1 (ko) 2019-11-14

Family

ID=6857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960A KR102044977B1 (ko) 2019-08-01 2019-08-01 공기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9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7824A1 (zh) * 2022-01-20 2023-07-27 水爱电器科技(海南)有限公司 空气清洗装置及空气清洗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1758984B1 (ko) * 2015-07-15 2017-07-31 주식회사 스타리온 가습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170129580A (ko) 2016-05-17 2017-11-27 김형태 물세척식 공기정화기
KR20180119089A (ko) * 2017-04-24 2018-11-01 오문섭 습식형 공기정화장치
KR20190008452A (ko) * 2017-07-07 2019-01-24 조병규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1758984B1 (ko) * 2015-07-15 2017-07-31 주식회사 스타리온 가습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170129580A (ko) 2016-05-17 2017-11-27 김형태 물세척식 공기정화기
KR20180119089A (ko) * 2017-04-24 2018-11-01 오문섭 습식형 공기정화장치
KR20190008452A (ko) * 2017-07-07 2019-01-24 조병규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7824A1 (zh) * 2022-01-20 2023-07-27 水爱电器科技(海南)有限公司 空气清洗装置及空气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605735B1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습식 공기 청정기
KR101628076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0980303B1 (ko) 공기정화장치
CN105627451A (zh) 一种自清洁空气净化装置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2157572B1 (ko) 집진 탈취기용 스컴 및 침전물 제거장치
KR100602869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KR20170006088A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2044977B1 (ko) 공기세정장치
KR20120051887A (ko) 공기청정기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KR101946303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장치
CN212283324U (zh) 一种水幕除尘风机的水路循环系统
CN112930460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148218B1 (ko) 관내 설치형 전처리 세정장치와 와류형 수분 제거장치를 구비한 집진 탈취기
KR102239749B1 (ko) 공기 정화에 이용되는 물 분산장치
CN113387476A (zh) 一种工业生产废水处理装置
KR100717716B1 (ko) 공기정화시스템
KR20190073858A (ko) 다중 에어필터 자동세척 장치
KR102122663B1 (ko) 자동 세척 스크러버
KR200166875Y1 (ko) 활어 수조용 정수장치
CN216704688U (zh) 一种具有喷淋功能的化工化肥生产用湿式电除尘器
KR20040049768A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