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70B1 -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70B1
KR102288670B1 KR1020190156740A KR20190156740A KR102288670B1 KR 102288670 B1 KR102288670 B1 KR 102288670B1 KR 1020190156740 A KR1020190156740 A KR 1020190156740A KR 20190156740 A KR20190156740 A KR 20190156740A KR 102288670 B1 KR102288670 B1 KR 10228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ftware information
present
processing uni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289A (ko
KR102288670B9 (ko
Inventor
엘도르 프리모프
김영준
김태운
공성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19015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70B1/ko
Publication of KR10228867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7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정보를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처리하기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를 처리하여 하나의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함으로써,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각각을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복수개의 디바이스부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SYSTEM FOR PROCESSING INTEGRATED INTERFA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정보를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처리하기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라인에서의 자동 광학 외관 검사(Automated Optical Inspection, 이하 'AOI'라 함) 장비는, 최종적으로 저항, 콘덴서, IC와 같은 부품이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불량 검사 장비의 하나이다.
이러한 AOI 장비는 조립이 완료된 PCB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처리하여, 부품의 위치 이탈 등의 오장착 여부, 과납, 미납, 단락과 같은 납땜 상태의 불량 여부 등을 검사하게 된다.
한편, AOI 장비는 광학적으로 물체의 외관 상황을 파악하고, 소프트웨어 PC 또는 서버를 활용하여 화상처리에 의해 저항, 콘덴서, IC와 같은 부품의 양불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AOI 장비와 소프트웨어 PC 등의 인터페이스가 서로 상이한 경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각각 제어해야 할 뿐 아니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충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AOI 장비와 소프트웨어 PC 등의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1089호(등록일 : 2015. 04. 06)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를 처리하여 하나의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함으로써, 복수개의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프로그램의 구동 및 설계를 위한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가 구비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부(10,20)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인가받아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하는 호환처리부(30); 및 상기 호환처리부(30)로부터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호환처리부(30)는,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통합하여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정보(i1 or i2)로 처리하거나, 상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모두 포함시켜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정보(i1,i2)는,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framework), 아키텍처(architectu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를 처리하여 하나의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함으로써,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각각을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복수개의 디바이스부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수의 디바이스부의 소프트웨어정보가 인터페이스 출력부를 통해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복수의 디바이스부의 소프트웨어정보가 인터페이스 출력부를 통해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1)은, 프로그램의 구동 및 설계를 위한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가 구비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디바이스부(10,20)로부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인가받아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하는 호환처리부(30); 및 호환처리부(30)로부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여기서, 소프트웨어정보(i1,i2)는, 프로그래밍(programming) 언어, 프레임워크(framework), 아키텍처(architectur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먼저, 프로그래밍 언어란, 컴퓨터에서 일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 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저급 언어(low level language)와 고급 언어(high level language)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저급 언어는 하드웨어 지향의 기계 중심언어로 기계어와 어셈블리어가 있으며, 고급 언어는 사람이 이해하고 작성하기 쉬운 사람 중심 언어로 FORTRAN, COBOL, C, C++, JAVA 등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워크(framework)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이나 솔루션의 개발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구체적 기능들에 해당하는 부분의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협업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말한다.
또한, 아키텍처(architecture)는 컴퓨터의 주요한 논리적인 구성 요소의 종류, 구성 및 상호 접속 등을 기술하기 위한 용어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아키텍처(architecture) 처리단위인 어장(語長), 기억방법인 어드레스(번지)방식, 데이터의 형식 등 기본적 요소의 조합으로 컴퓨터의 용도, 처리속도 등이 크게 달라진다.
이러한 아키텍처를 쉽게 변경하면 과거의 소프트웨어 자산을 쓸 수 없게 될 수도 있으므로 호환성을 가지게 하면서 변경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1)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는 적어도 둘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출력한다.
일예로,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인에서 저항, 콘덴서, IC와 같은 부품이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AOI 장비(자동 광학 외관 검사 장비)와, AOI 장비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상처리에 의해 저항, 콘덴서, IC와 같은 부품의 양불을 판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는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제작된 복수개의 AOI 장비일 수도 있다.
계속해서, 호환처리부(30)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호환처리부(3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환처리부(30)는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통합하여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정보(i1 or i2)로 처리하거나,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모두 포함시켜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한다.
즉, 호환처리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인가받아, 복수의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 중 제어가 용이한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정보(i2)로 통일하여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한다.
이때,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는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정보(i2)와 동일하게, 프로그래밍 언어가 'C++', 프레임워크가 'Tensor flow', 아키텍처가 'CNN2'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호환처리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인가받아,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에 포함된 정보를 모두 포함시켜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한다.
이때,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에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C, C#, C++, Java, Python'을 포함하며, 프레임워크가 'Tensorflow, pytorch, CNTK, MXNet, Caffe'를 포함하되, 아키텍처가 'CNN1, CNN2...'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인터페이스 출력부(40)는 호환처리부(3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호환처리부(30)로부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인가받아 출력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출력부(40)는 출력부(41)가 구비되며, 출력부(41)를 통해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를 처리하여 하나의 통합 인터페이스정보로 출력함으로써,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각각을 제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복수개의 디바이스부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10 : 디바이스부
20 : 디바이스부
30 : 호환처리부
40 : 인터페이스 출력부
41 : 출력부
i1 : 소프트웨어정보
i2 : 소프트웨어정보
i3 : 통합 인터페이스정보

Claims (3)

  1. 프로그램의 구동 및 설계를 위한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가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부(10,20)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를 인가받아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하는 호환처리부(30); 및
    상기 호환처리부(30)로부터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는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각각 제작된 자동 광학 외관 검사 장비(AOI 장비, 부품이 인쇄회로기판에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불량 검사 장비)이고,
    상기 소프트웨어정보(i1,i2)는, 프로그래밍 언어, 프레임워크(framework) 그리고 아키텍처(architecture)를 포함하며,
    상기 호환처리부(30)는, 상기 복수개의 디바이스부(10,20)가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상기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정보(i1,i2) 중 제어가 용이한 어느 하나의 소프트웨어정보로 통일하여 상기 통합 인터페이스정보(i3)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56740A 2019-11-29 2019-11-29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KR10228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40A KR102288670B1 (ko) 2019-11-29 2019-11-29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40A KR102288670B1 (ko) 2019-11-29 2019-11-29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289A KR20210067289A (ko) 2021-06-08
KR102288670B1 true KR102288670B1 (ko) 2021-08-11
KR102288670B9 KR102288670B9 (ko) 2022-04-15

Family

ID=7639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740A KR102288670B1 (ko) 2019-11-29 2019-11-29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0770A (ja) 2017-04-07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バイス、ホスト装置、および統合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729A (ja) * 1992-06-30 1994-04-08 Yuasa Shoji Kk 工作機制御システム
KR101511089B1 (ko) 2013-07-22 2015-04-10 (주)펨트론 Aoi 장비의 티칭 데이터 자동 생성 방법
KR20150066962A (ko) * 2013-12-09 2015-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설비이상 사전감지 시스템에서 툴제어장치를 통해 공정 라인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및 툴제어장치
CN105338083B (zh) * 2015-10-30 2018-09-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界面显示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0770A (ja) 2017-04-07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デバイス、ホスト装置、および統合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289A (ko) 2021-06-08
KR102288670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3437A1 (en) Containerized communications gateway
CN111459816B (zh) 故障注入测试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7832059B (zh) 一种基于Makefile的代码静态分析方法和装置
CN109918081B (zh) 一种编译方法及编译器
EP2148259A1 (en) Field de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field device management system
US67608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a graphical display and an n-dimensional data structure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984476A (zh) 测试方法和装置
JP6354178B2 (ja) 画像処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KR102288670B1 (ko) 통합 인터페이스 처리 시스템
CN102982217A (zh) 丝印的处理方法和装置
US20200327042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integration tests from unit tests
EP3043629A1 (en) Data processing device to be used by substrate working machine, and substrate working system having same
US20100269080A1 (en) Computer-aided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pcb specifications
JP2008165752A (ja) 嵌合チェック支援装置および嵌合チェック支援プログラム
US8661376B2 (en) Editing system
CN103744757B (zh) 一种基于arinc661的df文件验证方法
CN114356430B (zh) 一种基于airflow调度系统的DAG依赖配置工具
CN114245883B (zh) 程序开发装置、工程制作方法以及存储介质
CN111399827B (zh) 一种传感器数据处理的描述性对象代码自动生成方法
JP2007010606A (ja) Lsi検査モジュール、lsi検査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lsi検査モジュールとlsi検査装置との通信方法、およびlsi検査方法
US7146594B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hematic generation
CN111340976A (zh) 调试车辆模块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222772B2 (en) Method and configuration system for configuring hardware modules in an automation system
CN112035300A (zh) 服务器bmc自动化测试系统、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
EP2808765A1 (en) Screen definition device for operat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