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375B1 -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 Google Patents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375B1
KR102287375B1 KR1020200172998A KR20200172998A KR102287375B1 KR 102287375 B1 KR102287375 B1 KR 102287375B1 KR 1020200172998 A KR1020200172998 A KR 1020200172998A KR 20200172998 A KR20200172998 A KR 20200172998A KR 102287375 B1 KR102287375 B1 KR 10228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disposed
supply
cyclon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젠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젠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젠트
Priority to KR102020017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3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vortex mixers, e.g. the vortex chamber being positioned in another mix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B01F3/04248
    • B01F5/0065
    • B01F7/002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폐수가 공급되어 방사상에 위치한 교반안내날개를 통과하면서 교반류가 발생하고, 통과 위치에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에어, 산화제, 및 흡착처리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필요에 따라 교반하여 발생시키는 공급교반부; 상기 공급교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상기 공급교반부에서 공급된 교반수가 통과하면서 유체를 혼합하고,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여과하여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몸체부; 상기 여과몸체부에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교반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수가 선회류 상태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충돌에 의해 유체가 혼합되면서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 시에는 기포가 미세화되는 유체혼합부; 및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방사상의 위치로 분배되어 각각의 분배된 위치에서 회전에 의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여 일측으로 정화수를 배출하고, 타측으로 불순물을 배출하는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Filtering Device used a Fine Air Bubble Genertator}
본 발명은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를 여과하는 여과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교반하고, 유체상태에서 혼합한 상태에서 싸이클론을 발생시켜 내부 불순물을 제거함에 따라 불순물의 제거 효율이 향상되고, 선택적으로 에어를 공급하면 유체 혼합에 의해 미세기포 또는 다양한 처리수를 발생하는 장치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다양성을 확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하수처리 또는 정수(淨水)과정에서 생긴 침전물로 오니(汚泥)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슬러지로는 생슬러지, 혼합슬러지, 부상슬러지, 소화슬러지, 잉여슬러지, 축산폐수 및 분뇨, 각종 산업시설 에서 배출되는 슬러지 등이 있다.
이런, 슬러지는 90%이상이 수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수에 의한 농축으로 그 부피를 줄이는 것이 최대 관건이다.
통상적인 슬러지 탈수기는 폐기물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오·폐 수)을 슬러지와 분리하기 위해서 원심 분리기 및 농축기 등을 사용하여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분 은 정화하여 배출하고 슬러지는 적정 과정을 거쳐 폐기하거나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친 후 재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분이 일정 이하로 제거되지 않은 슬러지를 통상적인 처리 방법인 토양에 매립하여 폐기할 경우 악취나 침출수로 인한 심각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며, 그밖에 소각 처리하는 경우 수분의 함량이 크면 소각시에 투입되는 연료의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기물 슬러지는 음식물 지꺼기, 하수 슬러지, 분뇨, 공장에서 발생되는 산업 폐기물 등 다양하게 발생되고, 유기성 폐기물의 경우에는 액상물을 방류하여도 슬러지의 내부 함수율이 약 70% 이상의 수분과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포함된 습기와 불순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여과기로 여과를 실시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여과기는 회전축의 회전날개(패들, 디스크, 스크류 등)들 사이의 이송 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여과와 농축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여과기는 슬러지의 점착성이 높은 경우에 회전축 및 회전날개에 슬러지가 들러붙어 잘 떨어지지 않아 슬러지의 이송 흐름이 원할하지 않아 기기의 마모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회전날개의 수명이 짧아지며, 또한 건조장치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슬러지를 여과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운전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여과기는 폐수를 여과하는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발생시키는 개별적인 장치들이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워 각각의 장치들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각각 연결하여 운영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의 흐름을 교반, 선회, 충돌, 및 싸이클론 현상을 위한 회전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면서 공정에서 원하는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면서 내부에 불순물을 제거함에 따라 사용 다양성을 확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는 폐수가 공급되어 방사상에 위치한 교반안내날개를 통과하면서 교반류가 발생하고, 통과 위치에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에어, 산화제, 및 흡착처리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필요에 따라 교반하여 발생시키는 공급교반부; 상기 공급교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상기 공급교반부에서 공급된 교반수가 통과하면서 유체를 혼합하고,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여과하여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몸체부; 상기 여과몸체부에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교반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수가 선회류 상태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충돌에 의해 유체가 혼합되면서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 시에는 기포가 미세화되는 유체혼합부; 및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방사상의 위치로 분배되어 각각의 분배된 위치에서 회전에 의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여 일측으로 정화수를 배출하고, 타측으로 불순물을 배출하는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교반부는, 폐수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폐수가 통과되는 공급공간을 가지고, 상기 교반안내날개의 일측으로 교반류 발생으로 인해 압력이 저하되어 흡입되는 흡입공간을 가지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일측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이 일측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안쪽면으로 향해지도록 굴곡지도록 바 형태로 지지하여 일차로 공급된 폐수가 통과하고, 판 형태를 이차로 폐수가 통과하여 상호 합류되면서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교반안내날개;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기포로 발생되도록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산화수가 발생되도록 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흡착산화수가 발생되도록 흡착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흡착산화제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안내날개는,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일측으로 안쪽면에 단면적이 축소되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휘어지는 굴곡을 가지는 바형으로 구비된 돌출안내브라켓; 및 상기 돌출안내브라켓에 굴곡을 가지도록 지지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선형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 형태로 구비된 교반안내익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안내브라켓을 통과하면서 일차로 교반류가 발생되고, 상기 교반안내익을 통과하면서 이차로 교반류가 발생되어 일차와 이차의 교반류가 통합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몸체부는, 상기 공급교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으로 타측에 상기 유체혼합부가 설치되는 여과혼합공간과 일측에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가 설치되는 여과싸이클론공간으로 나뉘어지면서 각각 지지하는 격벽 형태의 여과지지격벽을 가지고, 일측으로 상기 여과싸이클공간을 통해서 상기 여과혼합공간에 배출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통공 형태로 구비된 여과배출공을 가지는 여과몸체; 상기 여과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지지격벽의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가 지지된 바깥 둘레에 타측 방향으로 상기 여과공간의 안쪽 면을 향해서 경사진 격벽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에서 여과된 불순물을 상기 여과배출공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배출안내격벽; 상기 여과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몸체 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 불순물배출관; 상기 불순물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배출공을 통해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설정된 시간 별로 작동되는 배출작동체; 및 상기 여과몸체의 일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간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 형태의 정화수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체혼합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상기 공급교반부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돔형사이클론여과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류가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혼합공간을 가지는 혼합몸체;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공간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교반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공급선회류발생날개;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선회류발생날개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 충돌안내브라켓; 상기 충돌안내브라켓의 상기 혼합공간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상기 공급선회류발생날개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충돌체; 상기 충돌안내브라켓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돌체에서 충돌한 후에 상기 혼합공간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충돌안내날개; 및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공간의 일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배출선회류발생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타측으로 상기 유체혼합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혼합선회류가 방사상으로 분배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싸이클론에 의해 여과시키는 여과공간을 가지는 싸이클론여과몸체;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간 내부 중앙에 상기 유체혼합부와 연결되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혼합선회류를 공급하는 관형태의 여과공급관; 상기 여과공급관의 일측끝에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각각 바깥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혼합선회류를 방사상의 복수의 위치로 분배하는 싸이클론분기관;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싸이클론분기관에 각각의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로 중앙에 일부를 차단하는 여액분리격벽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혼합선회류가 상기 여액분리격벽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회전되어 타측 방향으로 싸이클론이 발생되는 돔형회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여액분리격벽의 내부에는 타측과 일측이 개방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화수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돔형태로 구비된 돔형회전몸체; 상기 돔형회전몸체의 타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돔형회전몸체를 통해서 회전되는 처리수에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이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축소된 단면적에 의해 압축되는 싸이클론발생공간을 가지는 싸이클론발생몸체; 상기 싸이클론발생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싸이클론발생몸체를 통해서 압축된 불순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농축배출공간을 가지고, 타측 끝으로 상기 농축배출공간에 저장된 불순물이 타측에 위치한 상기 여과몸체부로 배출하는 통공 형태의 배출공을 가지는 농축배출몸체; 및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정화수배출공간의 안쪽 둘레에서 바깥 방향 일측으로 경사져 배출되는 정화수가 안내되도록 구비된 경사안내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 바깥 위치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정화수의 잔류염소와 ph를 측정하는 정화수상태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 바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몸체부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순환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탱크 형태의 측정순환탱크;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와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정화수가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로 유입되는 정화수유입관;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측정기;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 및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와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측정을 마친 정화수를 상기 여과몸체부로 순환되도록 회수하는 정화수회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여과된 정화수를 이차로 혼합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제2 유체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체혼합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여과몸체부의 정화수 배출 부분과 연결되어 공급된 정화수를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제2 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 혼합몸체; 상기 제2 혼합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혼합공간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정화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 상기 제2 혼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 제2 충돌안내브라켓; 상기 제2 충돌안내브라켓의 상기 제2 혼합공간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상기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제2 충돌체; 및 상기 제2 충돌안내브라켓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돌체에서 충돌한 후에 상기 제2 혼합공간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제2 충돌안내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폐수의 흐름을 교반, 선회, 충돌, 및 싸이클론 현상을 위한 회전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면서 공정에서 원하는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면서 내부에 불순물을 제거함에 따라 사용 다양성을 확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공급교반부, 여과몸체부의 일부와 유체혼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여과몸체부의 일부와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공급교반부, 여과몸체부의 일부와 유체혼합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여과몸체부의 일부와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주요 구성인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는 폐수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면서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폐수를 정화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처리수를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런,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는 공급교반부(110), 여과몸체부(120), 유체혼합부(130), 및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를 포함한다.
공급교반부(110)는 폐수가 공급되어 방사상에 위치한 교반안내날개(112)를 통과하면서 교반류가 발생하고, 통과 위치에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에어, 산화제, 및 흡착처리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필요에 따라 교반하여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공급교반부(110)는 공급관(111), 교반안내날개(112), 에어공급관(113), 산화제공급관(114), 및 흡착산화제공급관(115)을 포함한다.
공급관(111)은 폐수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폐수가 통과되는 공급공간(111a)을 가지고, 교반안내날개(112)의 일측으로 교반류 발생으로 인해 압력이 저하되어 흡입되는 흡입공간(111b)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교반안내날개(112)는 공급관(1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일측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이 일측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안쪽면으로 향해지도록 굴곡지도록 바 형태로 지지하여 일차로 공급된 폐수가 통과하고, 판 형태를 이차로 폐수가 통과하여 상호 합류되면서 교반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교반안내날개(112)는 돌출안내브라켓(112a), 및 교반안내익(112b)을 포함한다.
돌출안내브라켓(112a)은 공급관(111)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일측으로 안쪽면에 단면적이 축소되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휘어지는 굴곡을 가지는 바형으로 구비된다.
교반안내익(112b)은 돌출안내브라켓(112a)에 굴곡을 가지도록 지지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선형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폐수가 돌출안내브라켓(112a)을 통과하면서 일차로 교반류가 발생되고, 교반안내익(112b)을 통과하면서 이차로 교반류가 발생되어 일차와 이차의 교반류가 통합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한다.
에어공급관(113)은 공급관(111)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공간(111b)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기포로 발생되도록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산화제공급관(114)은 공급관(111)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공간(111b)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산화수가 발생되도록 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산화제는 이산화염소, 치아염소산소다 등의 유기물질을 산화 분해시틸 수 있는 산화물질이 포함되어 정화에 사용할 수 있다.
흡착산화제공급관(115)은 공급관(111)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흡입공간(111b)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흡착산화수가 발생되도록 흡착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흡착산화제는 폴리황산제이철, 철촉매 등의 폐수에 공급되어 불순물의 흡착산화를 촉진하여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과몸체부(120)는 공급교반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공급교반부(110)에서 공급된 교반수가 통과하면서 유체를 혼합하고,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여과하여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여과몸체부(120)는 여과몸체(121), 배출안내격벽(122), 불순물배출관(123), 배출작동체(124), 및 정화수배출관(125)을 포함한다.
여과몸체(121)는 공급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으로 타측에 유체혼합부(130)가 설치되는 여과혼합공간(121b)과 일측에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가 설치되는 여과싸이클론공간()으로 나뉘어지면서 각각 지지하는 격벽 형태의 여과지지격벽(121a)을 가지고, 일측으로 여과싸이클공간(121c)을 통해서 여과혼합공간(121b)에 배출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통공 형태로 구비된 여과배출공(121d)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배출안내격벽(122)은 여과몸체(12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지지격벽(121a)의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가 지지된 바깥 둘레에 타측 방향으로 여과공간(141a)의 안쪽 면을 향해서 경사진 격벽 형태로 구비되어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에서 여과된 불순물을 여과배출공(121d)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불순물배출관(123)은 여과몸체(12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배출공(121d)에 연결되어 여과몸체(121) 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다.
배출작동체(124)는 불순물배출관(123)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여과배출공(121d)을 통해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설정된 시간 별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정화수배출관(125)은 여과몸체(121)의 일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공간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유체혼합부(130)는 여과몸체부(120)에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공급교반부(110)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수가 선회류 상태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충돌에 의해 유체가 혼합되면서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 시에는 기포가 미세화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유체혼합부(130)는 혼합몸체(131), 공급선회류발생날개(132), 충돌안내브라켓(133), 충돌체(134), 충돌안내날개(135), 및 배출선회류발생날개(136)를 포함한다.
혼합몸체(131)는 여과몸체(12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공급관과 연결되고 일측이 돔형사이클론여과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류가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혼합공간(131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공급선회류발생날개(132)는 혼합몸체(131)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혼합공간(131a)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교반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구비된다.
충돌안내브라켓(133)은 혼합몸체(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선회류발생날개(132)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다.
충돌체(134)는 충돌안내브라켓(133)의 혼합공간(131a)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공급선회류발생날개(132)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도록 구비된다.
충돌안내날개(135)는 충돌안내브라켓(13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충돌체(134)에서 충돌한 후에 혼합공간(131a)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배출선회류발생날개(136)는 혼합몸체(131)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혼합공간(131a)의 일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구비된다.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는 여과몸체부(120)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유체혼합부(130)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방사상의 위치로 분배되어 각각의 분배된 위치에서 회전에 의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여 일측으로 정화수를 배출하고, 타측으로 불순물을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는 싸이클론여과몸체(141), 여과공급관(142), 싸이클론분기관(143), 돔형회전몸체(144), 싸이클론발생몸체(145), 농축배출몸체(146), 및 경사안내날개(147)를 포함한다.
싸이클론여과몸체(141)는 여과몸체(121)의 내부 일측에 여과지지격벽(121a)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타측으로 혼합몸체와 연결되어 공급된 혼합선회류가 방사상으로 분배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싸이클론에 의해 여과시키는 여과공간(141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여과공급관(142)은 싸이클론여과몸체(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공간(141a) 내부 중앙에 혼합몸체(131)와 연결되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혼합선회류를 공급하는 관형태로 구비된다.
싸이클론분기관(143)은 여과공급관(142)의 일측끝에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각각 바깥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혼합선회류를 방사상의 복수의 위치로 분배하도록 구비된다.
돔형회전몸체(144)는 싸이클론여과몸체(141)의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싸이클론분기관(143)에 각각의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로 중앙에 일부를 차단하는 여액분리격벽(144a)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혼합선회류가 여액분리격벽(144a)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회전되어 타측 방향으로 싸이클론이 발생되는 돔형회전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여액분리격벽(144a)의 내부에는 타측과 일측이 개방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화수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공간(144c)을 가지며, 일측이 돔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일측이 돔형으로 구비된 돔형회전몸체(144)는 일측의 돔 형상을 회전되면서 부압이 발생되어 분리 후 정화수가 정화수배출공간(144c)으로 배출되는 압력을 제공한다.
싸이클론발생몸체(145)는 돔형회전몸체의 타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돔형회전몸체(144)를 통해서 회전되는 처리수에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이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축소된 단면적에 의해 압축되는 싸이클론발생공간(145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농축배출몸체(146)는 싸이클론발생몸체(145)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싸이클론발생몸체(145)를 통해서 압축된 불순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농축배출공간(146a)을 가지고, 타측 끝으로 농축배출공간(146a)에 저장된 불순물이 타측에 위치한 배출안내격벽(122)을 통해서 불순물배출관(123) 측으로 이동한 후 배출작동체(124)의 작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통공 형태의 배출공(146b)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경사안내날개(147)는 싸이클론여과몸체(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정화수배출공간(144c)의 안쪽 둘레에서 바깥 방향 일측으로 경사져 배출되는 정화수가 안내되도록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는 공급교반부(110), 여과몸체부(120), 유체혼합부(130),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 및 정화수상태측정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교반부(110), 여과몸체부(120), 유체혼합부(130), 및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에 구성에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정화수상태측정부(150)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화수상태측정부(150)는 여과몸체부(120)의 일측 바깥 위치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정화수의 잔류염소와 ph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정화수상태측정부(150)는 측정순환탱크(151), 정화수유입관(152), 잔류염소측정기(153), ph측정기(154), 및 정화수회수관(155)을 포함한다.
측정순환탱크(151)는 여과몸체(121)의 일측 바깥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공간(141a)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순환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탱크 형태로 구비된다.
정화수유입관(152)은 측정순환탱크(15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정순환탱크(151)와 여과몸체(1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정화수가 측정순환탱크(151) 내로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잔류염소측정기(153)는 측정순환탱크(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정순환탱크(151)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잔류염소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ph측정기(154)는 측정순환탱크(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정순환탱크(151)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ph를 측정하도록 구비된다.
잔류염소측정기(153)에서 측정된 잔류염소측정치에 따라 산화제를 산화제공급관(114)에서 투입하고, Ph측정기(154)에서 측정된 Ph 측정값에 따라 흡착산화제를 흡착산화제공급관(115)을 통해서 투입하도록 구비된다.
정화수회수관(155)은 측정순환탱크(15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측정순환탱크(151)와 여과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측정을 마친 정화수를 여과몸체(121)로 내로 회수하여 순환하도록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는 공급교반부(110), 여과몸체부(120), 유체혼합부(130),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 및 제2 유체혼합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급교반부(110), 여과몸체부(120), 유체혼합부(130), 및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100)에 구성에 동일함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제2 유체혼합부(160)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유체혼합부(160)는 여과몸체부(12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여과된 정화수를 이차로 혼합한 정화수를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2 유체혼합부(160)는 제2 혼합몸체(161),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162), 제2 충돌안내브라켓(163), 제2 충돌체(164), 및 제2 충돌안내날개(165)를 포함한다.
제2 혼합몸체(161)는 여과몸체부(12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돔형싸이클론여과부(14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정화수배출관(125)과 연결되어 정화수를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제2 혼합공간(161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162)는 제2 혼합몸체(161)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혼합공간(161a)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정화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도록 구비된다.
제2 충돌안내브라켓(163)은 제2 혼합몸체(16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162)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다.
제2 충돌체(164)는 제2 충돌안내브라켓(163)의 제2 혼합공간(161a)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162)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도록 구비된다.
제2 충돌안내날개(165)는 제2 충돌안내브라켓(163)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충돌체(164)에서 충돌한 후에 제2 혼합공간(161a)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여과기 110 : 공급교반부
111 : 공급관 111a : 공급공간
111b : 흡입공간 12 : 교반안내날개
112a : 돌출안내브라켓 112b : 교반안내익
113 : 에어공급관 114 : 산화제공급관
115 : 흡착산화제공급관 120 : 여과몸체부
121 : 여과몸체 121a : 여과지지격벽
121b : 여과혼합공간 121c : 여과사이클론공간
121d : 여과배출공 122 : 배출안내격벽
123 : 불순물배출관 124 : 배출작동체
125 : 정화수배출관 130 : 유체혼합부
131 : 혼합몸체 131a : 혼합공간
132 : 공급선회류발생날개 133 : 충돌안내브라켓
134 : 충돌체 135 : 충돌안내날개
136 : 배출선회류발생날개 140 : 돔형싸이클론여과부
141 : 싸이클론여과몸체 141a : 여과공간
142 : 여과공급관 143 : 싸이클론분기관
144 : 돔형회전몸체 144a : 여액분리격벽
144b : 돔형회전공간 144c : 정화수배출공간
145 : 싸이클론발생몸체 145a : 싸이클론발생공간
146 : 농축배출몸체 146a : 농축배출공간
146b : 배출공 147 : 경사안내날개
150 : 정화수상태측정부 151 : 측정순환탱크
152 : 정화수유입관 153 : 잔류염소측정기
154 : ph측정기 155 : 정화수회수관
160 : 제2 유체혼합부 161 : 제2 혼합몸체
161a : 제2 혼합공간 162 :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
163 : 제2 충돌안내브라켓 164 : 제2 충돌체
165 : 제2 충돌안내날개

Claims (10)

  1. 폐수가 공급되어 방사상에 위치한 교반안내날개를 통과하면서 교반류가 발생하고, 통과 위치에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에어, 산화제, 및 흡착처리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미세기포수, 산화수, 및 흡착산화수를 필요에 따라 교반하여 발생시키는 공급교반부;
    상기 공급교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서 상기 공급교반부에서 공급된 교반수가 통과하면서 유체를 혼합하고,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여과하여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몸체부;
    상기 여과몸체부에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교반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수가 선회류 상태로 유입되어 내부에서 충돌에 의해 유체가 혼합되면서 기포가 발생됨에 따라 미세기포수 공급 시에는 기포가 미세화되는 유체혼합부; 및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혼합부에서 혼합된 혼합수가 방사상의 위치로 분배되어 각각의 분배된 위치에서 회전에 의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여과하여 일측으로 정화수를 배출하고, 타측으로 불순물을 배출하는 돔형싸이클론여과부;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교반부는,
    폐수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에 폐수가 통과되는 공급공간을 가지고, 상기 교반안내날개의 일측으로 교반류 발생으로 인해 압력이 저하되어 흡입되는 흡입공간을 가지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일측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이 일측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고 일측이 안쪽면으로 향해지도록 굴곡지도록 바 형태로 지지하여 일차로 공급된 폐수가 통과하고, 판 형태를 이차로 폐수가 통과하여 상호 합류되면서 교반류를 발생시키는 교반안내날개;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에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에어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산화수가 발생되도록 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산화제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 하나의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흡착산화수가 발생되도록 흡착산화제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흡착산화제공급관;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안내날개는,
    상기 공급관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었다가 일측으로 안쪽면에 단면적이 축소되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휘어지는 굴곡을 가지는 바형으로 구비된 돌출안내브라켓; 및
    상기 돌출안내브라켓에 굴곡을 가지도록 지지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유선형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판 형태로 구비된 교반안내익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안내브라켓을 통과하면서 일차로 교반류가 발생되고, 상기 교반안내익을 통과하면서 이차로 교반류가 발생되어 일차와 이차의 교반류가 통합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몸체부는,
    상기 공급교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으로 타측에 상기 유체혼합부가 설치되는 여과혼합공간과 일측에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가 설치되는 여과싸이클론공간으로 나뉘어지면서 각각 지지하는 격벽 형태의 여과지지격벽을 가지고, 일측으로 상기 여과싸이클공간을 통해서 상기 여과혼합공간에 배출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통공 형태로 구비된 여과배출공을 가지는 여과몸체;
    상기 여과몸체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지지격벽의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가 지지된 바깥 둘레에 타측 방향으로 상기 여과공간의 안쪽 면을 향해서 경사진 격벽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에서 여과된 불순물을 상기 여과배출공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된 배출안내격벽;
    상기 여과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배출공에 연결되어 상기 여과몸체 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관형태로 구비된 불순물배출관;
    상기 불순물배출관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배출공을 통해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설정된 시간 별로 작동되는 배출작동체; 및
    상기 여과몸체의 일측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간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 형태의 정화수배출관;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혼합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상기 공급교반부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돔형사이클론여과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교반류가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혼합공간을 가지는 혼합몸체;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공간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교반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공급선회류발생날개;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선회류발생날개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 충돌안내브라켓;
    상기 충돌안내브라켓의 상기 혼합공간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상기 공급선회류발생날개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충돌체;
    상기 충돌안내브라켓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돌체에서 충돌한 후에 상기 혼합공간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충돌안내날개; 및
    상기 혼합몸체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공간의 일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배출선회류발생날개;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지지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에 타측으로 상기 유체혼합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혼합선회류가 방사상으로 분배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싸이클론에 의해 여과시키는 여과공간을 가지는 싸이클론여과몸체;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간 내부 중앙에 상기 유체혼합부와 연결되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혼합선회류를 공급하는 관형태의 여과공급관;
    상기 여과공급관의 일측끝에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각각 바깥 방향으로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혼합선회류를 방사상의 복수의 위치로 분배하는 싸이클론분기관;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싸이클론분기관에 각각의 연결되는 일측에 위치하여 내부로 중앙에 일부를 차단하는 여액분리격벽을 구비하여 공급되는 혼합선회류가 상기 여액분리격벽의 바깥둘레를 따라서 회전되어 타측 방향으로 싸이클론이 발생되는 돔형회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여액분리격벽의 내부에는 타측과 일측이 개방되어 불순물이 제거된 정화수가 일측으로 배출되는 정화수배출공간을 가지며, 일측이 돔형태로 구비된 돔형회전몸체;
    상기 돔형회전몸체의 타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돔형회전몸체를 통해서 회전되는 처리수에서 싸이클론 현상에 의해 불순물이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축소된 단면적에 의해 압축되는 싸이클론발생공간을 가지는 싸이클론발생몸체;
    상기 싸이클론발생몸체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싸이클론발생몸체를 통해서 압축된 불순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농축배출공간을 가지고, 타측 끝으로 상기 농축배출공간에 저장된 불순물이 타측에 위치한 상기 여과몸체부로 배출하는 통공 형태의 배출공을 가지는 농축배출몸체; 및
    상기 싸이클론여과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정화수배출공간의 안쪽 둘레에서 바깥 방향 일측으로 경사져 배출되는 정화수가 안내되도록 구비된 경사안내날개;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 바깥 위치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정화수의 잔류염소와 ph를 측정하는 정화수상태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 바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몸체부에서 여과된 정화수를 순환하면서 상태를 측정하도록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탱크 형태의 측정순환탱크;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와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정화수가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로 유입되는 정화수유입관;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잔류염소측정기;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 내에 삽입되어 유입된 정화수의 ph를 측정하는 ph측정기; 및
    상기 측정순환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순환탱크와 상기 여과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측정을 마친 정화수를 상기 여과몸체부로 순환되도록 회수하는 정화수회수관;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여과된 정화수를 이차로 혼합한 정화수를 배출하는 제2 유체혼합부;를 더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혼합부는,
    상기 여과몸체부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타측이 상기 돔형싸이클론여과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여과몸체부의 정화수 배출 부분과 연결되어 공급된 정화수를 충돌에 의해 혼합하도록 제2 혼합공간을 가지는 제2 혼합몸체;
    상기 제2 혼합몸체의 내부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혼합공간의 타측으로 중앙에서 서로 엇갈린 날개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되는 정화수가 선회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경하는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
    상기 제2 혼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의 타측으로 방사상의 복수 위치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복수열로 돌출 구비된 제2 충돌안내브라켓;
    상기 제2 충돌안내브라켓의 상기 제2 혼합공간 중심 방향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상기 제2 공급선회류발생날개를 통과한 선회류와 돌출된 위치에서 충돌하면서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된 기포를 미세화하는 제2 충돌체; 및
    상기 제2 충돌안내브라켓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돌체에서 충돌한 후에 상기 제2 혼합공간의 안쪽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안내하고, 충돌과 회전에 의해 중앙에 구심력을 유도하여 부압의 발생으로 인해 혼합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혼합류를 발생시키는 제2 충돌안내날개;를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KR1020200172998A 2020-12-11 2020-12-11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KR102287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998A KR102287375B1 (ko) 2020-12-11 2020-12-11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998A KR102287375B1 (ko) 2020-12-11 2020-12-11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375B1 true KR102287375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998A KR102287375B1 (ko) 2020-12-11 2020-12-11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0482A (zh) * 2022-01-27 2022-03-01 东营市宝泽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油田用基于高压过滤的交联剂生产装置
US20220401968A1 (en) * 2021-06-22 2022-12-22 Foremost Equipment LP Multicyclone sepa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276B2 (ja) * 2002-05-20 2008-07-02 大阪瓦斯株式会社 泥水中の微細土粒子の洗浄回収方法
KR20140130956A (ko) * 2013-05-02 2014-11-12 김영준 수처리 시스템
KR101621453B1 (ko) * 2014-12-17 2016-05-17 뉴엔텍(주) CSOs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276B2 (ja) * 2002-05-20 2008-07-02 大阪瓦斯株式会社 泥水中の微細土粒子の洗浄回収方法
KR20140130956A (ko) * 2013-05-02 2014-11-12 김영준 수처리 시스템
KR101621453B1 (ko) * 2014-12-17 2016-05-17 뉴엔텍(주) CSOs 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01968A1 (en) * 2021-06-22 2022-12-22 Foremost Equipment LP Multicyclone separator
CN114100482A (zh) * 2022-01-27 2022-03-01 东营市宝泽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油田用基于高压过滤的交联剂生产装置
CN114100482B (zh) * 2022-01-27 2022-04-15 东营市宝泽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油田用基于高压过滤的交联剂生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375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여과기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JP4778459B2 (ja) 有機性廃棄物処理施設の構築方法
JP6396676B2 (ja) メタン発酵装置及び含水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
WO2018225890A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1097197B1 (ko) 액이송 폭기,교반 장치
CN106892542A (zh) 一种环保污水处理设备及处理方法
KR20010056230A (ko) 일체식 타워형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4409532B2 (ja) 畜産廃水及び糞尿等のような高濃度の窒素を含む汚廃水の処理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KR100437971B1 (ko) 유체 혼합기 및 이 혼합기가 구비된 수처리용 전해처리시스템
KR20150019682A (ko)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KR101604709B1 (ko) 오존 반응조
KR101957444B1 (ko) 마이크로버블과 oh라디칼을 이용한 oh라디칼 부상분리식 수질정화시스템
KR101352339B1 (ko) 수중 펌프를 이용한 하 폐수 내 질소·인 고도처리장치
KR102033963B1 (ko) 부상분리를 포함하는 순환형 돈분뇨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141406A (ko) 산소공급기능을 갖는 수중 폭기기
CN107473440B (zh) 一种提高多级臭氧气浮工艺中臭氧利用率的装置
JP3468414B2 (ja) オゾンによる有機性、難分解性排水の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359989B1 (ko) 오폐수 처리시스템
CN108793514A (zh) 一种一体化含油废水处理装置
KR0159367B1 (ko) 가스압.중력 혼합 소화방식의 혐기성 소화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방법
CN110255848B (zh) 污泥脱水系统
CN209468262U (zh) 一种高浓度污水的有机物降解处理装置
CN113891861A (zh) 废水净化装置及用于净化废水的工艺
KR200324139Y1 (ko) 약품 혼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