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682A -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682A
KR20150019682A KR20130096805A KR20130096805A KR20150019682A KR 20150019682 A KR20150019682 A KR 20150019682A KR 20130096805 A KR20130096805 A KR 20130096805A KR 20130096805 A KR20130096805 A KR 20130096805A KR 20150019682 A KR20150019682 A KR 2015001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stewater
injector
pip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959B1 (ko
Inventor
한준희
Original Assignee
한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준희 filed Critical 한준희
Priority to KR102013009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9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다양한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이 유입되는 인젝터를 복수개로 형성하고 폐수와 오존이 접촉되는 와류실 또한 복수개로 구비하여 폐수와 오존의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어 폐수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Ozone contact water pur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및 다양한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이 유입되는 인젝터를 복수개로 형성하고 폐수와 오존이 접촉되는 와류실 또한 복수개로 구비하여 폐수와 오존의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어 폐수의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 문명이 발달하고 강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도시가 형성됨으로 인해 오,폐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 물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존재이기 때문에 수질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질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공기와 함께 이송된 유체(오,폐수)속에 미세 기포를 분산시켜 오존이 유체속의 오염물질과 골고루 접촉되도록 하여 유체 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장치가 폐수의 처리효율이 높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존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는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는 좋으나 처리할 수 있는 폐수의 양이 한정적이며 그 장치가 매우 고가이므로 제작 및 설치비용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오존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는 오존을 인젝터를 이용하여 일정한 수조 속에 기포를 주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 시 배 오존 발생이 많을 뿐 아니라, 유체와 오존의 접촉효율이 낮아 유체속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 정화하지 못하였고, 폐수와 오존의 접촉효율이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의 오존을 주입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자동화의 운전시스템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여 유지비용이 상단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252673호 '오존 나노버블 및 와류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등록일 2013.04.01)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476호 '오·폐수 처리장치' (등록일 2003.05.02) 3.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0937호 '오존접촉식 폐수처리장치' (등록일 2002.09.11) 4.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93955호 '오·폐수 처리장치' (공개일 2003.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입되는 오존량을 줄여도 폐수와 접촉하는 접촉효율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폐수의 처리효율이 높아져 적은 비용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수와 오존이 접촉된 후 배출되는 배오존가스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배오존가스가 유입되는 혼합실을 복수개 구비하고 인젝터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와류실을 구비하여 폐수와 배오존가스의 접촉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색도제거 및 난분해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및 폐수의 질소(TN), 인(TP) 등을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는 내부에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110)과 저장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120)을 포함하는 폐수조(100); 상기 폐수배출관(120)과 연결되어 상기 폐수조(100) 내부의 폐수를 이동시키는 펌프(200); 내부가 중공 되며 상기 펌프(200)로부터 전달되는 폐수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펌프(200)와 연결되는 이송관(300);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며 일측에 오존유입관(410)이 형성되고 내부로 폐수가 통과하는 인젝터(400); 오존가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오존유입관(410)과 연결되어 발생된 상기 오존가스를 상기 인젝터(400)로 주입하는 오존발생기(500); 상기 인젝터(400)와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400)를 통과하여 상기 1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2차로 혼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통공(611)이 형성된 스크류(610)가 구비되는 혼합배관(600); 일측이 상기 혼합배관(600)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되, 상기 혼합배관(600)을 통과하여 상기 2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3차로 혼합하는 라인믹서(700); 상기 라인믹서(700)와 연결된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라인믹서(700)를 통과하여 3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가 상기 이송관(300)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와 오존을 분리하여 배오존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폐수를 혼합하는 혼합날개(810)와 상기 혼합날개(8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820)를 포함하는 오존접촉수조(800); 상기 라인믹서(700)와 상기 오존접촉수조(800) 사이의 상기 이송관(300)에 형성되되, 상기 라인믹서(700)를 통과한 폐수에 배오존가스가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주입하는 혼합실(900);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를 전달받아 여과하며 여과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기(1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900)은 일측이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며, 상기 라인믹서(7000)를 통과한 폐수에 와류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30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와류실(910); 상기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와류실(910)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배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제1 배오존유입구(921)를 포함하는 제1 혼합실인젝터(920); 상기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와류실(910)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배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제2 배오존유입구(931)를 포함하는 제2 혼합실인젝터(930); 일측이 상기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상기 제2 혼합실인젝터(930)와 연결되며 타측이 이송관(300)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상기 제2 혼합실인젝터(930)를 통과한 폐수에 와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30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와류실(9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에는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실(900)을 통해 배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폐수와 배오존가스를 혼합 하거나 용해하는 노즐(8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에는 배오존가스와 폐수를 분리하여 배오존가스는 상기 혼합실(900)로 공급하고 분리된 폐수는 상기 오존접촉수조(800) 내부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8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오존이 주입된 폐수에 오존접촉수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오존가스를 주입하여 폐수와 배오존가스가 상호 접촉할 수 있도록 배오존가스를 주입하는 혼합실을 형성하고, 배오존가스와 폐수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와류실 및 제2 와류실을 형성하여 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가의 비용으로 생산되는 오존을 재활용하여 폐수의 수질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오존을 투입하여도 폐수의 처리효율이 높아져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는 각종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여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경우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수영장, 대규모 위락단지, 빌딩 등의 오·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어 그 활용가치는 상당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인젝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혼합배관의 내부의 스크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혼합실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혼합실 내부로 이동하는 폐수의 유속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의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인젝터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혼합배관의 내부의 스크류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혼합실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혼합실 내부로 이동하는 폐수의 유속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는 내부에 폐수를 저장할 수 있는 폐수조(100)가 형성된다. 폐수조(100)는 내부에 폐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폐수조(100)의 상측에는 외부에서 오염된 폐수가 유입될 수 있는 폐수유입관(110)이 형성된다. 또한 폐수조(100)의 하측에는 폐수조(100) 내부에 저장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폐수배출관(120)이 형성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폐수배출관(120)과 연결되는 펌프(200)가 구비된다. 펌프(200)는 폐수배출관(120)으로부터 이동된 폐수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펌프(200)는 급수펌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급수펌프 중 왕복식 펌프, 원심식 펌프 및 증기 분사식 펌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일측이 펌프(200)와 연결되는 이송관(300)이 형성된다. 이송관(300)은 펌프(200)로 부터 이동된 폐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이송관(300)과 연결되어 내부로 폐수가 유입되는 인젝터(400)가 형성된다. 인젝터(400)는 일측에는 오존유입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오존유입관(410)은 인젝터(400) 내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인젝터(400) 내부에는 이송관(300)으로부터 전달받은 폐수의 이동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인젝터칸막이(42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오존유입관(410)과 연결되는 오존발생기(500)가 구비된다. 오존발생기(500)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가진 2중 유리관인 방전관(放電管)을 포함하며 방전관내에 건조 공기 도는 산소를 주입하고 유리 간극에 방전을 일으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용액의 전기분해 등으로 인해 인공적으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발생된 오존가스는 오존유입관(410)으로 주입되며 주입된 오존가스와 폐수가 인젝터 내부에서 혼합되면서 폐수를 1차적으로 정화시킨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면 인젝터(400)와 연결되어 내부로 인젝터(400)를 통과한 폐수가 유입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혼합배관(600)이 구비된다. 혼합배관(600)을 통해 인젝터(400)로부터 1차적으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2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이때 혼합배관(600)의 내부에는 오존가스와 폐수가 혼합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혼합배관(600)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크류(610)가 형성된다. 스크류(610)에는 다수개의 통공(611)이 형성되어 오존가스와 폐수의 접촉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1 을 참조하면 혼합배관(600)과 연결되는 라인믹서(700)가 구비된다. 라인믹서(700)는 일측이 혼합배관(6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이송관(300)과 연결되며, 혼합배관(600)으로부터 오존가스와 2차로 혼합된 폐수를 전달받아 3차로 오존가스와 폐수를 혼합한다. 라인믹서(700)는 오존가스와 폐수의 접촉효율을 높여 폐수가 정수되는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라인믹서(700)와 연결된 이송관(300)의 타측에 연결되는 오존접촉수조(800)가 구비된다. 오존접촉수조(800)에는 라인믹서(700)를 통과하고 이송관(300)을 지나 오존과 3차로 혼합된 폐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오존접촉수조(800)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폐수에서 오존가스를 분리하여 배오존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폐수를 오존접촉수조(800)에서 회전시키는 혼합날개(810) 및 혼합날개(8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820)를 포함한다. (배오존가스는 폐수와 접촉된 후 폐수에서 분리된 오존가스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라인믹서(700)와 오존접촉조(800) 사이의 이송관(300)에는 혼합실(900)이 형성된다. 혼합실(900)은 오존접촉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후 혼합실(900)은 라인믹서(700)를 통과한 폐수에 배오존가스를 주입한다. 이는 배오존가스를 지속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배오존가스를 통해 폐수의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오존발생기에서 주입하는 오존 투입량을 30% 줄일 수 있다. 또한 배오존을 지속적으로 재활용하여 주변으로 오존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배오존을 처리하기 위한 배오존 파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여과기(1000)가 구비된다.
오존접촉수조(800)와 여과기(1000)는 일측이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여과기(1000)와 연결되는 분리수이송관(1200)을 통해 상호 연결되며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가 분리수이송관(1200)을 통해 여과기(1000)로 이동된다. 여과기(1000)는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를 전달받은 후 여과하여 정수된 폐수를 하측에 형성된 배출관(110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과기(1000)는 활성탄 여과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다양한 여과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오존접촉수조(800)에는 기액분리기(840)가 구비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840)는 혼합실(800)과 연결되는 제1 관(841)과 오존가스를 포함한 폐수가 유입되는 제2 관(842) 및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를 오존접촉수조(800) 내부 또는 여과기(1000)로 이동시키는 제3 관(843)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액분리기(840)를 통하여 폐수에서 분리된 배오존가스는 제1 관(841)을 통해 혼합실(900)로 공급되고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는 제3 관(843)을 통해 오존접촉수조(800) 내부 또는 여과기(100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오존접촉수조(800)에는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이송관(30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며 오존접촉수조(8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노즐(830)이 형성된다. 노즐(830)은 오존접촉수조(8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혼합실(900)을 통해 배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오존접촉수조(800) 내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때 노즐(830)은 폐수와 배오존가스의 접촉율을 높여 정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폐수와 배오존가스를 혼합하거나 용해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혼합실(900)은 제1 와류실(910), 제1 혼합실인젝터(920), 제2 혼합실인젝터(930) 및 제2 와류실(940)을 포함한다.
제1 와류실(910)은 일측이 이송관(300)과 연결된다. 이때 제1 와류실(910)은 이송관(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와류실(910) 내부로 이동하는 폐수의 이동면적이 이송관(300) 내부로 이동하는 폐수의 이동면적이 크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제1 와류실(910)로 이동한 폐수의 이동속도가 감소하면서 제1 와류실(910) 내부에서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폐수와 오존가스의 접촉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혼합실인젝터(920)는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측면에 제1 혼합실인젝터(9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배오존유입구(921)가 형성된다. 제1 배오존유입구(921)는 상기 제1 관(841)과 연결되어 기액분리기(84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공급받은 후 제1 혼합실인젝터(920) 내부로 배오존가스를 주입한다. 이때 제1 혼합실인젝터(920) 내부의 폐수와 배오존가스가 상호 혼합된다.
제2 혼합실인젝터(930)는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제1 혼합실인젝터(920)와 일정간격 이격된다. 제2 혼합실인젝터(930)의 외측면에는 제2 배오존유입구(931)가 형성되며 제2 배오존유입구(931)는 제2 혼합실인젝터(930)의 내부와 연통된다. 제2 배오존유입구(931)는 상기 제1 관(841)과 연결되어 기액분리기(84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공급받는다. 이때 제1 관(841)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기액분리기(84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오존유입구(931)로 배오존가스가 주입되면 제2 혼합실인젝터(930) 내부의 폐수와 배오존가스는 상호 혼합될 수 있다.
제2 와류실(940)은 일측이 제1 혼합실인젝터(920)와 제2 혼합실인젝터(930)가 연결되고 타측이 이송관(300)과 연결된다. 제2 와류실(940)은 제1 혼합실인젝터(920)와 제2 혼합실인젝터(930)의 직경과 이송관(3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혼합실인젝터(920)와 제2 혼합실인젝터(930)로부터 배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에 와류현상을 발생시켜 폐수와 배오존가스의 접촉율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혼합실(900)의 내부로 이동하는 폐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이송관(300)의 직경(V1)보다 제1 와류실(910)의 직경(V2)이 크기 때문에 폐수가 제1 와류실(910)로 이동하면 폐수의 이동속도가 이송관(300)에서 이동하는 폐수의 이동속도 보다 느려지고 동시에 제1 와류실(910)에는 폐수의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이후 폐수는 제1 와류실(910)의 직경(V2)보다 작은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제2 혼합실인젝터(930)의 직경(V3)을 통과하므로 폐수는 빠르게 이동한다. 이후 폐수가 제2 와류실(940)로 이동하면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제2 혼합실인젝터(930)에서 빠른속도로 이동하던 폐수의 이동속도는 느려지며 동시에 제2 와류실(940)에는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제2 와류실(940)의 직경(V4)이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제2 혼합실인젝터(930)의 직경(V3)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는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출되는 배오존가스를 재활용하여 폐수의 수질정화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오존을 투입하여도 폐수의 처리효율이 높아져 단시간에 많은 양의 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실(900)에 제1 와류실(910) 및 제2 와류실(940)을 형성하여 폐수와 배오존가스의 접촉율을 향상시켜 폐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100 : 폐수조 110 : 폐수유입관
120 : 폐수배출관 200 : 펌프
300 : 이송관 400 : 인젝터
410 : 오존유입관 420 : 인젝터 칸막이
500 : 오존발생기 600 : 혼합배관
610 : 스크류 611 : 통공
700 : 라인믹서 800 : 오존접촉수조
810 : 혼합날개 820 : 회전모터
830 : 노즐 840 : 기액분리기
841 : 제1 관 842 : 제2 관
843 : 제 3 관 900 : 혼합실
910 : 제1 와류실 920 : 제1 혼합실인젝터
921 : 제1 배오존유입구 930 : 제2 혼합실인젝터
931 : 제2 배오존유입구 940 : 제2 와류실
1000 : 여과기

Claims (4)

  1. 내부에 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110)과 저장된 폐수를 배출하는 폐수배출관(120)을 포함하는 폐수조(100);
    상기 폐수배출관(120)과 연결되어 상기 폐수조(100) 내부의 폐수를 이동시키는 펌프(200);
    내부가 중공되며 상기 펌프(200)로부터 전달되는 폐수가 이동하도록 일측이 상기 펌프(200)와 연결되는 이송관(300);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며 일측에 오존유입관(410)이 형성되고 내부로 폐수가 통과하는 인젝터(400);
    오존가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오존유입관(410)과 연결되어 발생된 상기 오존가스를 상기 인젝터(400)로 주입하는 오존발생기(500);
    상기 인젝터(400)와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400)를 통과하여 상기 1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2차로 혼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개의 통공(611)이 형성된 스크류(610)가 구비되는 혼합배관(600);
    일측이 상기 혼합배관(600)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되, 상기 혼합배관(600)을 통과하여 상기 2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를 3차로 혼합하는 라인믹서(700);
    상기 라인믹서(700)와 연결된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라인믹서(700)를 통과하여 3차로 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가 상기 이송관(300)을 지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폐수와 오존을 분리하여 배오존가스를 발생시키도록 폐수를 혼합하는 혼합날개(810)와 상기 혼합날개(8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820)를 포함하는 오존접촉수조(800);
    상기 라인믹서(700)와 상기 오존접촉수조(800) 사이의 상기 이송관(300)에 형성되되, 상기 라인믹서(700)를 통과한 폐수에 배오존가스가 혼합될 수 있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주입하는 혼합실(900);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오존가스가 분리된 폐수를 전달받아 여과하며 여과된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기(10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실(900)은
    일측이 상기 이송관(300)과 연결되며, 상기 라인믹서(7000)를 통과한 폐수에 와류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30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와류실(910);
    상기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와류실(910)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배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제1 배오존유입구(921)를 포함하는 제1 혼합실인젝터(920);
    상기 제1 와류실(9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오존접촉수조(800)로부터 배오존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제1 와류실(910)로부터 이송된 폐수에 배오존가스를 공급하도록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와 연결되는 제2 배오존유입구(931)를 포함하는 제2 혼합실인젝터(930);
    일측이 상기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상기 제2 혼합실인젝터(930)와 연결되며 타측이 이송관(300)과 연결되되, 상기 제1 혼합실인젝터(920) 및 상기 제2 혼합실인젝터(930)를 통과한 폐수에 와류현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30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와류실(9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에는 상기 이송관(30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혼합실(900)을 통해 배오존가스와 혼합된 폐수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폐수와 배오존가스를 혼합 하거나 용해하는 노즐(8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에 있어서,
    상기 오존접촉수조(800)에는 배오존가스와 폐수를 분리하여 배오존가스는 상기 혼합실(900)로 공급하고 분리된 폐수는 상기 오존접촉수조(800) 내부로 배출하는 기액분리기(8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KR1020130096805A 2013-08-14 2013-08-14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KR10154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05A KR101541959B1 (ko) 2013-08-14 2013-08-14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805A KR101541959B1 (ko) 2013-08-14 2013-08-14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682A true KR20150019682A (ko) 2015-02-25
KR101541959B1 KR101541959B1 (ko) 2015-08-12

Family

ID=5257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805A KR101541959B1 (ko) 2013-08-14 2013-08-14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9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95B1 (ko) * 2016-01-26 2017-03-07 이면규 오존수 공급장치
CN112678998A (zh) * 2021-03-22 2021-04-20 东营大莱新材料有限公司 提升污水处理效率的污水处理方法
KR102636411B1 (ko) * 2023-03-22 2024-02-13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교반 기능이 구비된 라인믹서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839B1 (ko) * 2018-12-31 2021-11-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존가스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6763B2 (ja) * 1998-12-08 2005-08-24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水質浄化装置及び方法
KR100463401B1 (ko) * 2002-08-12 2004-12-23 신화균 오존접촉식 폐수처리장치
KR100509813B1 (ko) * 2002-11-05 2005-08-24 조통래 오존을 물에 고효율로 용해시키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491865B1 (ko) * 2002-12-06 2005-05-27 조통래 정화조 등의 고도의 수처리방법
KR100642986B1 (ko) * 2005-03-30 2006-11-10 이평범 오존 용해 산화 장치를 이용한 고도 수 처리장치
JP2013087720A (ja) * 2011-10-20 2013-05-13 Isuzu Motors Ltd Egr用ベンチュリ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995B1 (ko) * 2016-01-26 2017-03-07 이면규 오존수 공급장치
CN112678998A (zh) * 2021-03-22 2021-04-20 东营大莱新材料有限公司 提升污水处理效率的污水处理方法
KR102636411B1 (ko) * 2023-03-22 2024-02-13 주식회사 그린기술 난류형성 및 교반 기능이 구비된 라인믹서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와 수질정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959B1 (ko)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959B1 (ko) 오존접촉식 수질정화장치
KR101834909B1 (ko)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CN102774921B (zh) Nm气浮系统装置
KR100908866B1 (ko) 재순환식 오존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순환식 오존수처리방법
CN108658373B (zh) 一种羟基自由基去除制药废水中抗生素的组合系统
KR101750449B1 (ko) 고정형 속도가변식 표면포기장치와 부유식 배출장치를 이용한 sbr공법의 소규모 하 폐수 처리장치 및 공정
CN107473365B (zh) 一种高能氧发生装置及水处理系统
KR100463401B1 (ko) 오존접촉식 폐수처리장치
JP2002045667A (ja) 循環流発生装置
CN204727664U (zh) 一种利用厨余垃圾提高污水脱氮效果的mbr反应器
CN105948302A (zh) 一种城市污水净化处理系统
KR101024323B1 (ko) 가스 용해반응장치
CN205603384U (zh) 一种压裂返排液、洗井液、三次采油含聚废液的处理装置
CN103058457B (zh) 一种用于mbr膜污染控制及补充曝气的装置及其控制方法
CN212151997U (zh) 一种含油废水处理回用装置
CN207581517U (zh) 一种工业废水沉淀装置
CN202519135U (zh) 污水处理及污泥浓缩一体化系统
CN106115896A (zh) 一种模块化硝化反硝化膜生物反应器
ITMI961291A1 (it) Reattore per depurare acque residue inquinate
CN207002502U (zh) 一种煤化工废水处理装置
KR102098338B1 (ko) 활성탄흡착지 오존가스 제거를 위한 환기시스템
JP2011177693A (ja) 気液混合装置
CN205803118U (zh) 一种模块化硝化反硝化膜生物反应器
KR102527202B1 (ko) 오존 미세기포 노즐이 개량된 오존 반응조
JP2008149270A (ja) オゾン反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