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67B1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67B1
KR102287267B1 KR1020200139679A KR20200139679A KR102287267B1 KR 102287267 B1 KR102287267 B1 KR 102287267B1 KR 1020200139679 A KR1020200139679 A KR 1020200139679A KR 20200139679 A KR20200139679 A KR 20200139679A KR 102287267 B1 KR102287267 B1 KR 10228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rain hose
terminal
grind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한만승
Original Assignee
김종훈
한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한만승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0013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음식물 처리기가 소개된다.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1차 분쇄기와, 1차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2차 분쇄기와, 1차 분쇄기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연결관과, 연결관 및 2차 분쇄기 사이를 연결하되,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관과, 2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드레인 호스관에 구비되는 전원 튜브와,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에도 전원 튜브와 1차 분쇄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커넥터 유닛은 연결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고정 단자와, 전원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드레인 호스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단자와,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 회전 단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가도록 고정 단자에 조립되는 클램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한 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토양 매립이나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정부 및 각 자치단체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쓰레기 종량제 실시를 비롯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만들거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설비는 그 처리량이 적어도 몇 십톤 이상이 되어야만 설비 유지의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재정이 열약한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에는 대형의 음식물 처리 설비를 건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가정이나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면서 가정이나 식당에서 자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의 하부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직접 설치하여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싱크대의 하부에 부착하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Disposer)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미생물 처리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드레인 호스관이 고정 설치된 종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의 경우,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되면, 드레인 호스관에 뒤틀림(꼬임)이 야기될 수 있고, 반복적인 뒤틀림은 드레인 호스관의 내구성이 저하시키고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38717호 (2008.06.10.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드레인 호스관의 회전시, 드레인 호스관의 뒤틀림(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1차 분쇄기; 상기 1차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2차 분쇄기; 상기 1차 분쇄기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2차 분쇄기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관; 상기 2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드레인 호스관에 구비되는 전원 튜브; 및 상기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에도 상기 전원 튜브와 상기 1차 분쇄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연결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전원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드레인 호스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단자와, 상기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 단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가도록 상기 고정 단자에 조립되는 클램프 단자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 단자는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링; 및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링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커넥터 링과 제3 커넥터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바와, 상기 제1 커넥터 바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커넥터 바 및 제3 커넥터 바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단자는 상기 제1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1 커넥터 클램프와, 상기 제2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2 커넥터 클램프와, 상기 제3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3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3 커넥터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링, 상기 제2 커넥터 링 및 상기 제3 커넥터 링은,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링부와, 상기 전원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링부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내경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 바, 제2 커넥터 바 및 제3 커넥터 바는,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단자부와, 상기 커넥터 단자부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넥터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튜브는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내부 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2차 분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은 상기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관; 상기 회전관과 상기 2차 분쇄기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관; 및 상기 호스관 및 상기 전원 튜브를 감싸는 커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레인 호스관이 연결관에 고정된 상태일 때는 물론, 드레인 호스관이 연결관에서 회전 중인 상태에서도, 1차 분쇄기 및 2차 분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1차 분쇄기 및 2차 분쇄기 간에 안정적인 전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1차 분쇄기 및 2차 분쇄기 사이를 전원 연결하는 전원 튜브가 드레인 호스관의 내부를 관통하므로, 전원 튜브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1차 분쇄기와 2차 분쇄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1차 분쇄기의 분쇄물을 임의로 하수구로 바로 배출시키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연결관과 드레인 호스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연결관과 드레인 호스관이 분해된 상태를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커넥터 유닛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연결관과 드레인 호스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연결관과 드레인 호스관이 분해된 상태를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커넥터 유닛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는, 1차 분쇄기(100), 2차 분쇄기(200), 연결관(300), 드레인 호스관(400), 전원 튜브(500) 및 커넥터 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차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1차 분쇄기(100)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분쇄물)는, 연결관(300) 및 드레인 호스관(400)을 통해 2차 분쇄기(200)로 이동될 수 있다.
1차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분쇄 하우징(110)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그라인더 유닛(미도시)과, 그라인더 유닛에 의해 분쇄된 분쇄물이 배출되도록 분쇄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배출구(121)와, 그라인더 유닛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1차 분쇄기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인더 유닛은 그라인더의 고속 회전을 통해 음식물을 거칠게 분쇄하는 통상의 그라인더 어셈블리로 이해될 수 있다.
2차 분쇄기(200)는 1차 분쇄기(100)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예컨대, 2차 분쇄기(200)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미생물과 그라인더를 통해 분쇄물을 분해할 수 있다. 2차 분쇄기(200)는 1차 분쇄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전원 튜브(500) 및 커넥터 유닛(600)을 통해 1차 분쇄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2차 분쇄기(200)는 미생물이 수용 가능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바디(210)와, 전원 튜브(500)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2차 분쇄기 커넥터와, 외부 전원을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AC-DC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C-DC 변환기의 전원은 2차 분쇄기 커넥터, 전원 튜브(500) 및 커넥터 유닛(600)을 거쳐 1차 분쇄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관(300)은 1차 분쇄기(100)와 드레인 호스관(400) 사이에 설치되어, 1차 분쇄기(100)에서 분쇄된 1차 분쇄물을 드레인 호스관(40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관(300)의 일단부는 1차 분쇄기(100)의 배출구(211)에 장착될 수 있고, 연결관(300)의 타단부에는 드레인 호스관(4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300)의 내부에는 1차 분쇄기(100)의 분쇄물을 드레인 호스관(400)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300)의 유로는 드레인 호스관(400)의 유로, 보다 자세하게는, 호스관(420)의 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관(300)은 "T"자 형의 엘보관(Elbow pipe) 형태로 제공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연결관(300)은 1차 분쇄기(100)와 드레인 호스관(4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드레인 호스관(400)은 회전관(410), 호스관(420) 및 커버관(43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관(410)은 연결관(30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호스관(420)은 회전관(410)과 2차 분쇄기(20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호스관(420)은 형상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관(430)은 호스관(420) 및 전원 튜브(500)를 감쌀 수 있다. 커버관(430)은 형상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튜브(500)는 1차 분쇄기(100) 및 2차 분쇄기(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튜브(500)는 양극선, 음극선 및 접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튜브(500)는 드레인 호스관(400)의 내부, 보다 자세하게, 드레인 호스관(400)의 커버관(43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드레인 호스관(40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튜브(500)는 커버관(430)의 내부를 관통하여 커넥터 유닛(600)과 2차 분쇄기(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 유닛(600)은 전원 튜브(500)와 1차 분쇄기(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커넥터 유닛(600)은 1차 분쇄기(100)의 1차 분쇄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커넥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넥터 유닛(600)은 1차 분쇄기 커넥터와 핀 투 핀(Pin To Pin)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커넥터 유닛(600)은 연결관(3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610)과, 고정 브라켓(610)에 장착되는 고정 단자(620)와, 드레인 호스관(400)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단자(630)와, 고정 단자(620)에 조립되는 클램프 단자(6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10)은 연결관(300)에 장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편(611)과, 고정 단자(620)를 보호하도록 고정편(611)을 덮는 커버편(6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편(611)의 내측 공간에는 고정 단자(62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유닛(600)의 고정 단자(620)는 1차 분쇄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단자(620)는 제1 커넥터 바(621), 제2 커넥터 바(622) 및 제3 커넥터 바(6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커넥터 바(621), 제2 커넥터 바(622) 및 제3 커넥터 바(623)는 1차 분쇄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10)에 서로 나란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커넥터 바(621), 제2 커넥터 바(622) 및 제3 커넥터 바(623)는, 1차 분쇄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단자부(625)와, 커넥터 단자부(625)에서 드레인 호스관(40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넥터 접속부(62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접속부(626)에는 클램프 단자(640)가 조립될 수 있다.
회전 단자(630)는 전원 튜브(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 단자(630)는 드레인 호스관(400)이 회전될 때에도, 클램프 단자(6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단자(630)는 제1 커넥터 링(631), 제2 커넥터 링(632) 및 제3 커넥터 링(6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커넥터 링(631), 제2 커넥터 링(632) 및 제3 커넥터 링(633)은, 드레인 호스관(400)의 단부 외주면에서, 드레인 호스관(4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커넥터 링(631), 제2 커넥터 링(632) 및 제3 커넥터 링(633)은, 드레인 호스관(400)의 단부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링부(635)와, 전원 튜브(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링부(635)에서 드레인 호스관(400)의 내경방향으로 절곡되어 드레인 호스관(4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부(63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커넥터 링(631), 제2 커넥터 링(632) 및 제3 커넥터 링(633)은, 클램프 단자(640)를 통해 제1 커넥터 바(621), 제2 커넥터 바(622) 및 제3 커넥터 바(62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클램프 단자(640)는 제1 커넥터 링(631), 제2 커넥터 링(632) 및 제3 커넥터 링(633)과, 제1 커넥터 바(621), 제2 커넥터 바(622) 및 제3 커넥터 바(623) 사이를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램프 단자(640)는 제1 커넥터 클램프(641), 제2 커넥터 클램프(642) 및 제3 커넥터 클램프(6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 클램프(641)는 제1 커넥터 링(631)에 접촉되도록 제1 커넥터 바(621)에 조립될 수 있다. 제2 커넥터 클램프(642)는 제2 커넥터 링(632)에 접촉되도록 제2 커넥터 바(622)에 조립될 수 있다. 제3 커넥터 클램프(643)는 제3 커넥터 링(633)에 접촉되도록 제3 커넥터 바(623)에 조립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커넥터 클램프(641), 제2 커넥터 클램프(642) 및 제3 커넥터 클램프(643)는, 중심부가 고정 단자(620)에 조립되고 양단부가 회전 단자(630)에 접촉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커넥터 클램프(641), 제2 커넥터 클램프(642) 및 제3 커넥터 클램프(643)의 양단부는 회전 단자(630)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 고정된 상태일 때는 물론,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서 회전 중인 상태에서도, 고정 단자(620)는 클램프 단자(640)를 통해 회전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서 회전 중인 상태인 경우, 회전 단자(630) 또한, 드레인 호스관(400)과 함께 회전되지만, 회전 단자(630)가 회전될 때, 클램프 단자(640)가 회전 단자(630)의 외면을 따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 단자(630)와 고정 단자(620)는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차 분쇄기(10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되고, 1차 분쇄기(100)와 2차 분쇄기(200)는 연결관(300) 및 드레인 호스관(40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1차 분쇄기(100)와 2차 분쇄기(200)는, 전원 튜브(500) 및 커넥터 유닛(6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이 2차 분쇄기(200)에 공급되면, 외부 전원은 2차 분쇄기(200)의 AC-DC변환기에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 후, 전원 튜브(500), 커넥터 유닛(600)을 거쳐 1차 분쇄기(100)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서 회전되는 경우에도, 드레인 호스관(400)의 회전 단자(630)는 클램프 단자(640)를 통해 커넥터 유닛(600)의 고정 단자(620)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1차 분쇄기(100)와 2차 분쇄기(200)는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 고정된 상태일 때는 물론, 드레인 호스관(400)이 연결관(300)에서 회전 중인 상태에서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레인 호스관이 연결관에 고정된 상태일 때는 물론, 드레인 호스관이 연결관에서 회전 중인 상태에서도, 1차 분쇄기 및 2차 분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1차 분쇄기 및 2차 분쇄기 간에 안정적인 전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음식물 처리기 100 :1차 분쇄기
110 :분쇄 하우징 121 :배출구
200 :2차 분쇄기 210 :분쇄 바디
300 :연결관 310 :연결 드레인
320 :체결구 400 :드레인 호스관
410 :접속관 420 :커버관
500 :전원 튜브 600 :커넥터 유닛
610 :고정 브라켓 611 :고정편
612 :고정편 620 :고정 단자
621 :제1 커넥터 바 622 :제2 커넥터 바
623 :제3 커넥터 바닛 630 :회전 단자
631 :제1 커넥터 링 632 :제1 커넥터 링
633 :제3 커넥터 링 640 :클램프 단자
641 :제1 커넥터 클램프 642 :제2 커넥터 클램프
643 :제3 커넥터 클램프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를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1차 분쇄기;
    상기 1차 분쇄기에 분쇄된 분쇄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2차 분쇄기;
    상기 1차 분쇄기의 배출구에 장착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 및 상기 2차 분쇄기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관;
    상기 2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드레인 호스관에 구비되는 전원 튜브; 및
    상기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에도 상기 전원 튜브와 상기 1차 분쇄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기 연결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장착되는 고정 단자와, 상기 전원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드레인 호스관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단자와, 상기 드레인 호스관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 단자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가도록 상기 고정 단자에 조립되는 클램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단자는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 링과,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 커넥터 링과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 커넥터 링과 제3 커넥터 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바와, 상기 제1 커넥터 바와 나란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커넥터 바 및 제3 커넥터 바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단자는
    상기 제1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1 커넥터 클램프와, 상기 제2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2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2 커넥터 클램프와, 상기 제3 커넥터 링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3 커넥터 바에 조립되는 제3 커넥터 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넥터 클램프, 상기 제2 커넥터 클램프 및 상기 제3 커넥터 클램프의 양단부는, 상기 회전 단자에 텐션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링, 상기 제2 커넥터 링 및 상기 제3 커넥터 링은,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단부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 형상의 링부와, 상기 전원 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링부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내경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연결관에 장착되도록 절곡된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 단자를 보호하도록 상기 고정편을 덮는 커버편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클램프, 상기 제2 커넥터 클램프 및 상기 제3 커넥터 클램프는,
    중심부가 상기 고정 단자에 조립되고 양단부가 상기 회전 단자에 접촉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드레인 호스관이 상기 연결관에 고정된 상태와 상기 연결관에서 회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단자를 통해 회전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바, 제2 커넥터 바 및 제3 커넥터 바는,
    상기 1차 분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단자부; 및
    상기 커넥터 단자부에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커넥터 접속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튜브는 상기 드레인 호스관의 내부 유로를 관통하여 상기 2차 분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관은
    상기 연결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관;
    상기 회전관과 상기 2차 분쇄기 사이에 연결되는 호스관; 및
    상기 호스관 및 상기 전원 튜브를 감싸는 커버관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00139679A 2020-10-26 2020-10-26 음식물 처리기 KR10228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79A KR102287267B1 (ko) 2020-10-26 2020-10-26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79A KR102287267B1 (ko) 2020-10-26 2020-10-26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67B1 true KR102287267B1 (ko) 2021-08-09

Family

ID=7731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79A KR102287267B1 (ko) 2020-10-26 2020-10-26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596B1 (ko) * 2022-10-19 2023-10-16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00A (ja) * 1999-03-23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40050473A (ko) * 2002-12-10 2004-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어댑터
KR100838717B1 (ko) 2007-03-13 2008-06-19 서경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20170045818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79056B1 (ko)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92520B1 (ko) * 2020-01-29 2020-03-23 한상명 음식물 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00A (ja) * 1999-03-23 1999-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40050473A (ko) * 2002-12-10 2004-06-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청소기의 어댑터
KR100838717B1 (ko) 2007-03-13 2008-06-19 서경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20170045818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79056B1 (ko)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92520B1 (ko) * 2020-01-29 2020-03-23 한상명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596B1 (ko) * 2022-10-19 2023-10-16 (주)휴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267B1 (ko) 음식물 처리기
CN204017947U (zh) 厨余垃圾处理器
US20210308687A1 (en) Rotating cutter disc
CN106284555B (zh) 家用垃圾处理器
CN202555355U (zh) 一种食品垃圾处理器上的新型粉碎装置
US20130048768A1 (en) Battery powered food waste disposer
KR101394260B1 (ko)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KR200456873Y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KR102224674B1 (ko) 음식물 처리기
MXPA04001195A (es) Acoplamiento de maquina giratoria y flecha doble.
KR102268015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50206B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160126832A (ko) 상이한 방향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20100036824A (ko) 회전스크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652706B1 (ko) 조립식 커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N214636982U (zh) 一种管道破碎机
CN109056926A (zh) 一种厨房垃圾处理器的进料装置及厨房垃圾处理器
KR20150021712A (ko) 디스포저
CN112482515B (zh) 垃圾处理器
KR101676645B1 (ko) 복수의 파쇄 블레이드 및 파쇄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앤빌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EP4100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waste disposer with permanent magnet motor to be coupled to alternative electric power sources
KR10258959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26833A (ko) 오수 배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 처리기
CN111822136A (zh) 碎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