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873Y1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873Y1 KR200456873Y1 KR2020100004080U KR20100004080U KR200456873Y1 KR 200456873 Y1 KR200456873 Y1 KR 200456873Y1 KR 2020100004080 U KR2020100004080 U KR 2020100004080U KR 20100004080 U KR20100004080 U KR 20100004080U KR 200456873 Y1 KR200456873 Y1 KR 20045687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food waste
- discharged
- crushing
- drain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에 수집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하여 싱크대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싱크대에 구비되는 음식찌꺼기 수거통을 개선하여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 드럼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분쇄 드럼에 모터의 회전으로 동작하는 분쇄 날을 결합한 싱크대의 수거통에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배출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를 제공하여,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를 1차 수집하는 싱크대에서 분쇄하고 배출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분쇄기 및 건조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므로, 사용자가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편리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싱크대와 배수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하여 배수관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환경보존에 많은 노력을 하고 현대사회에서는, 공공시설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감소하는데 많은 인력과 경비를 지출하고 있으며, 일반 가정에서도 배출되는 쓰레기 량을 감소하는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에서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음식쓰레기를 감소하는 방법으로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것과, 음식쓰레기를 분쇄하여 부피를 축소하여 배출하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음식쓰레기를 건조하거나 분쇄하는 별도기를 설비를 구비해야 하는데, 사용되는 설비가 대부분 고가여서 사용자가 경제적 부담으로 설비를 기피하므로, 음식쓰레기의 감소가 이루어지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에서 직접 분쇄하는 방법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에 의해서 배수관이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량을 감소시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싱크대에 수집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하여 싱크대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싱크대에 구비되는 음식찌꺼기 수거통을 개선하여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 드럼으로 구성하고, 상기의 분쇄 드럼에 모터의 회전으로 동작하는 분쇄 날을 결합한 싱크대의 수거통에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배출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한 음식물쓰레기를 1차 수집하는 싱크대에서 분쇄하고 배출하므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분쇄기 및 건조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므로, 사용자가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편리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일부 절취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 단면도
본 고안은 싱크대(100)의 배수구(101)에 결합하는 단턱(11)이 형성되고, 배수관(102)과 연결하는 나사부(12)를 형성한 외통(10)과, 상기의 외통(10)과 일체로 되어 여러 개 배출공(21)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분쇄날(22)을 결합하는 결합부(23)와 나사부(24)를 형성한 내통(20)으로 구성된 분쇄 드럼(30)과, 상기의 내통(20)에 형성된 나사부(24)와 결합하는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전선 배출공(42)과 내부에 구동 모터(43)를 삽입한 모터 케이스(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쇄 드럼(30)과 모터 케이스(40)로 구성되어 싱크대(100)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50)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분쇄드럼(30)을 구성하는 내통(10)과 외통(20)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것이며, 내통(20)에는 물과 작은 크기의 음식물찌꺼기를 배출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배출공(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내통(20)에 형성된 나사부(24)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43)를 내입한 모터 케이스(40)의 나사부(41)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4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51)은 전선 배출공(42)을 통하여 배출하여, 외부의 전원장치(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원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구동 모터(43)에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52)를 싱크대(100)에 구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구동 모터(43)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 구동 모터(43)와 분쇄날(22)의 결합을 살펴보면, 내통(20)에 형성된 결합부(23)를 통하여 분쇄날(22)을 구동 모터(43)의 날 고정구(43-1)에 결합하고, 결합부(23)에는 분쇄날(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53)과 방수를 위한 고무 패킹(54)을 형성하여 모터 케이스(40)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싱크대(100)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외통(10)에 형성된 단턱(11)을 이용하여 싱크대(100)의 배수구(101)에 결합하고, 외통(10)의 나사부(12)에 배수관(102)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사용을 살펴보면, 싱크대(100)에 유입되는 물과 부피가 아주 작은 음식물찌꺼기는 내통(20)의 배출공(21)을 통하여 배출되어 배수관(102)으로 유입되고, 부피가 큰 음식물쓰레기는 배출공(21)으로 배출되지 않고 분쇄 드럼(30)의 내통(20)에 누적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싱크대(100)의 결합한 분쇄드럼(30)에 음식물쓰레기가 누적되면, 배수구 덮개(103)를 덮은 상태에서 구동 모터(43)를 동작하면, 분쇄날(22)이 회전하면서 덩어리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내통(20)에 형성된 배출공(21)으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공(21)으로 배출되는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관(102)을 통해 싱크대(100) 외부로 배출되어 하수구로 유입되는 것이다.
10. 외통 11. 단턱
12. 나사부
20. 내통 21. 배출공
22. 분쇄날 23. 결합부
24. 나사부
30. 분쇄드럼
40. 모터 케이스 41. 나사부
42. 전선 배출공 43. 구동 모터
43-1. 날 고정구
50. 분쇄 배출장치
51. 전선 52. 스위치
53. 베어링 54. 패킹
100. 싱크대 101. 배수구
102. 배수관 104. 배수구 덮개
12. 나사부
20. 내통 21. 배출공
22. 분쇄날 23. 결합부
24. 나사부
30. 분쇄드럼
40. 모터 케이스 41. 나사부
42. 전선 배출공 43. 구동 모터
43-1. 날 고정구
50. 분쇄 배출장치
51. 전선 52. 스위치
53. 베어링 54. 패킹
100. 싱크대 101. 배수구
102. 배수관 104. 배수구 덮개
Claims (1)
- 싱크대(100)의 배수구(101)에 결합하는 단턱(11)이 형성되고, 배수관(102)과 연결하는 나사부(12)를 형성한 외통(10)과,
상기의 외통(00)과 일체로 되어 여러 개 배출공(21)이 형성되고, 중앙으로 분쇄날(22)을 결합하는 결합부(23)와 나사부(24)를 형성한 내통(20)으로 구성된 분쇄 드럼(30)과,
상기의 내통(20)에 형성된 나사부(24)와 결합하는 나사부(41)가 형성되고, 전선 배출공(42)과 내부에 구동 모터(43)를 삽입한 모터 케이스(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080U KR200456873Y1 (ko) | 2010-04-19 | 2010-04-19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080U KR200456873Y1 (ko) | 2010-04-19 | 2010-04-19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072U KR20110010072U (ko) | 2011-10-26 |
KR200456873Y1 true KR200456873Y1 (ko) | 2011-11-23 |
Family
ID=4556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080U KR200456873Y1 (ko) | 2010-04-19 | 2010-04-19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873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158B1 (ko) | 2017-12-11 | 2019-06-05 | 조영선 | 싱크대 배수구 연결 부품 지지 장치 |
KR20190068774A (ko) | 2017-12-11 | 2019-06-19 | 조영선 | 싱크대 배수구 연결 장치 |
KR20190068773A (ko) | 2017-12-11 | 2019-06-19 | 조영선 | 음식 분쇄물 여과기 |
KR102530475B1 (ko) | 2022-08-18 | 2023-05-10 | 주식회사 하연네트웍스 |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52459A (zh) * | 2020-11-03 | 2021-03-09 | 谢洁萍 | 一种湿垃圾处理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647Y1 (ko) | 2001-02-08 | 2001-09-28 | 최정아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
KR200305374Y1 (ko) | 2002-12-04 | 2003-02-25 | 설위자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배수구 |
KR200385855Y1 (ko) | 2005-02-03 | 2005-06-02 | 김영균 |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
-
2010
- 2010-04-19 KR KR2020100004080U patent/KR20045687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647Y1 (ko) | 2001-02-08 | 2001-09-28 | 최정아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
KR200305374Y1 (ko) | 2002-12-04 | 2003-02-25 | 설위자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배수구 |
KR200385855Y1 (ko) | 2005-02-03 | 2005-06-02 | 김영균 |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가 가능한 배수트랩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6158B1 (ko) | 2017-12-11 | 2019-06-05 | 조영선 | 싱크대 배수구 연결 부품 지지 장치 |
KR20190068774A (ko) | 2017-12-11 | 2019-06-19 | 조영선 | 싱크대 배수구 연결 장치 |
KR20190068773A (ko) | 2017-12-11 | 2019-06-19 | 조영선 | 음식 분쇄물 여과기 |
KR102530475B1 (ko) | 2022-08-18 | 2023-05-10 | 주식회사 하연네트웍스 |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072U (ko) | 2011-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6873Y1 (ko)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 |
CN202933754U (zh) | 食物垃圾处理器 | |
CN102872951A (zh) | 食物垃圾处理器 | |
AU2011100575A4 (en) | Battery powered food waste disposer | |
US20140339345A1 (en) | Counter Top Food Waste Disposer | |
KR100792024B1 (ko)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362968B1 (ko)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103882922A (zh) | 具有自动洗衣功能的洗脸池 | |
KR101187326B1 (ko) | 씽크대 개수구에 설치되는 음식물찌거기 탈수장치 | |
KR101291524B1 (ko) |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CN103084246A (zh) | 一种具有控制电路的不锈钢家用垃圾处理器 | |
CN210897164U (zh) | 一种带电源线的空气控制开关 | |
CN207348155U (zh) | 一种家用水循环厨房处理垃圾器 | |
CN203140113U (zh) | 一种具有清洗剂添加装置的家用垃圾处理器 | |
CN103041899A (zh) | 一种不锈钢家用垃圾处理器 | |
CN203196704U (zh) | 一种不锈钢家用垃圾处理器 | |
KR20110002603U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CN103084250A (zh) | 一种具有清洗剂添加装置的厨用垃圾处理器 | |
CN204051787U (zh) | 一种食物垃圾处理器 | |
KR102033658B1 (ko) | 공동주택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 | |
KR20090011670U (ko)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 |
CN202527243U (zh) |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 |
CN204699762U (zh) | 智能自动关机食物垃圾处理机 | |
CN202544046U (zh) | 食物垃圾处理器 | |
CN204023729U (zh) | 一种食物垃圾处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