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567B1 -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 Google Patents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567B1
KR102286567B1 KR1020200038830A KR20200038830A KR102286567B1 KR 102286567 B1 KR102286567 B1 KR 102286567B1 KR 1020200038830 A KR1020200038830 A KR 1020200038830A KR 20200038830 A KR20200038830 A KR 20200038830A KR 102286567 B1 KR102286567 B1 KR 10228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injection
body part
eco
fixing
ope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20003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29C2045/14524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는,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1몸체부; 및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과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은 외부와 밀폐된 중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조에 따르면, 일반적인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방법을 활용하므로 추가적인 설비와 기술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고, 단일 원재료를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이 용이하며, 국부적으로 강도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보강리브설치, 면두께 보완 등의 구조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융착작업이 배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융착이 어려운 원재료뿐 아니라 재생원료로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친환경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ECO-FRIENDLY BUOY HAVING STUCTURE OF DOUBLE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술로는 제조가 어려운 중공 밀폐구조를 지닌 속이 빈 쉘 형태의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수산물 양식업 분야에서 세계7위의 규모(연간 50만톤)를 지닌 강국이며, 수산물 양식업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양식은 주로 부표를 근해에 띄워놓고(부류식), 수심 10m 이내에서 패류 및 해조류 기르는데 일회용 플라스틱의 환경문제 이슈와 더불어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불거진 것이 바로 수산물 양식에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EPS 부표이다.
EPS 부표는 부력은 우수하지만 내구성이 약해서 충격을 받으면 큰 입자의 형태로 부스러지며 햇볕에 장기간 노출되면 가루와 같은 미세한 입자로 분해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 및 환경단체의 노력으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집하고 있지만 미세한 가루와 같은 형태로 분해된 플라스틱들은 수집자체가 불가능하여 결국 먹이 사슬을 통해 양식생물→섭취→체내 누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더렵혀진 양식장 인근에 살지 않더라도 해양생물을 섭취하는 모든 사람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범 국가적인 차원에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인류의 해결과제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친환경 부표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EPS를 부스러지지 않게 코팅하는 피복형, shell type의 사출품 반판을 열융착하는 사출융착형 및 일체형으로 생산이 가능한 블로우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 '부표 및 부표의 블로우 성형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4669호에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피복형의 경우 주로 EPS와 폴리우레아가 섞여있으므로 자원재활용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고, 사출융착형은 열융착부가 벌어지거나 융착불량이 발생했을 경우 물이 스며들어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블로우형은 블로우 공법의 한계로 인해 얇은 부분이 발생할 밖에 없으며 이부분의 내구성 저하 및 물이 스며들어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방법을 활용하므로 추가적인 설비와 기술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고, 단일 원재료를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이 용이하며, 국부적으로 강도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보강리브설치, 면두께 보완 등의 구조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융착작업이 배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융착이 어려운 원재료뿐 아니라 재생원료로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친환경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는,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1몸체부; 및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과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은 외부와 밀폐된 중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1리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2리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제1리브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상기 제2리브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2리브에는,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할 때 상기 제1리브와 서로 맞닿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접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몸체부가 상기 이중사출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이중사출면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몸체부가 상기 이중사출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은,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을 가지는 제1몸체부와,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가지는 제2몸체부를 각각 1차 사출한 다음,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둘레의 외측면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되도록 2차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1차측 형틀에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1차 사출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1차 사출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2차측 형틀에 삽입한 후, 1차측 형틀에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1차 사출함과 동시에, 2차측 형틀에서 상기 이중사출부를 2차 사출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2차 사출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취출한 다음, 상기 2단계에서 1차 사출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2차측 형틀에 삽입한 후, 1차측 형틀에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를 1차 사출함과 동시에, 2차측 형틀에서 상기 이중사출부를 2차 사출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에 이중사출부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술로는 제조가 어려운 중공 밀폐구조를 지닌 속이 빈 쉘(shell) 형태의 친환경적인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방법을 활용하므로 추가적인 설비와 기술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고, 단일 원재료를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이 용이하며, 국부적으로 강도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보강리브설치, 면두께 보완 등의 구조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융착작업이 배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융착이 어려운 원재료뿐 아니라 재생원료로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친환경효과가 더욱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이중사출면(130)에는 제1리브(135, 135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제2이중사출면(230)에는 제2리브(235, 235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성형재료가 제1,2이중사출면(130, 230)에 접합되는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135a)에는 제1리브(135a)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137)이 형성되어 있고, 최외측에 배치된 제2리브(235a)에는 제2리브(235a)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237)이 형성되어 있어,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용융수지가 제1관통홀(137)과 제2관통홀(237)을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서로 엮어있는 형태로 이중사출부(300)가 형성되므로 접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넷째, 제1이중사출면(130)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가 형성됨에 따라,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제1몸체부(100)를 금형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1몸체부(100)가 이중사출부(300)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제1몸체부(100) 성형, 제2몸체부(200) 성형, 제1몸체부(100) 및 제2몸체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이중사출부(300) 성형을 패밀리 금형(family mold)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1차 사출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삽입시 다관절 로봇 취출기와 같은 취출설비를 적용하면, 인력에 의한 인서트(insert) 작업을 배제하고, 일괄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며, 1차 부품을 미리 생산/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관리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A-A단면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B-B단면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C부분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1000)는, 도 1과 같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와 이중사출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는 최종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부표(1000) 형상에서 높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자른 형상의 어느 한 부분이고, 나머지 부분은 제2몸체부(200)가 된다. 따라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결합시키면 최종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부표(1000) 형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부표(1000) 형상이 도 1과 같이 대략적으로 원통쉘(shell) 형상이다. 즉, 최종적으로 성형된 부표(1000)는 서로 평행한 두 밑면(1100)과, 이 두 밑면(1100)을 서로 이어주는 옆면(13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두 밑면(1100)이 정확하게 원형은 아니다. 이렇게 원통쉘 형상의 부표(1000)를 높이방향을 따라 반으로 자른 각각의 부분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되므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는 외관이 서로 대칭을 이루되, 필요에 따라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형성되는 세부적인 형상은 다를 수 있다.
제1몸체부(100)는 도 3과 같이 대략 반원 형상의 평행한 두 밑면(101)과, 두 밑면(101)을 서로 이어주는 옆면(103)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110)을 가진다. 옆면(103)에는 폭방향을 따라 제1홈부(104)가 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홈부(104)의 양끝단은 제1이중사출면(130)과 각각 맞닿는다. 이러한 제1홈부(104)는 옆면(103)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1홈부(104)는 옆면(103)에 두 개가 형성되는데, 두 밑면(101)과 가까운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홈부(104) 내에는 제1홈부(104)를 따라 제1이중사출유로(105)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이중사출유로(105)는 제1홈부(104)에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홈부(104)의 양끝단은 제1이중사출면(130)과 각각 맞닿아 있으므로 제1이중사출유로(105)의 양끝단도 제1이중사출면(130)과 각각 맞닿아 있다.
이러한 제1몸체부(100)에는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13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31)과 측벽부(132)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이 제1이중사출면(130)이 된다.
바닥면(131)은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면(131)에 의해 제1몸체부(100)의 바닥면(131)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는, 제1몸체부(100)의 바닥면(1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형성된다.
측벽부(132)는 바닥면(131)의 양끝단 중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바닥면(131)과 측벽부(132)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이 제1이중사출면(130)이 된다.
이러한 제1이중사출면(130)에는 바닥면(131)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제1리브(135, 135a)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리브(135, 135a)가 바닥면(13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측벽부(132)가 바닥면(13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측벽부(132)의 끝단에서 바닥면(131)과 평행하도록 가상의 선을 그을 때 이 가상의 선에 제1리브(135, 135a)의 끝단이 닿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리브(135, 135a)는 바닥면(131)을 따라 제1몸체부(100)의 둘레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플랜지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13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의 제1리브(135, 1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 개의 제1리브(135, 135a)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135a)는, 도 7과 같이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과 제2몸체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할 때 제2리브(235a)와 서로 맞닿도록 마련된다.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135a)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리브(135a)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1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관통홀(137)은 제1리브(135a)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이중사출면(130)의 주변에는 도 3과 같이 일측으로 개방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가지 실시예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부(100)의 밑면(101)에 형성된 제1이중사출면(130)에 도 4와 같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이 형성되고, 제1몸체부(100)의 옆면(103)에 형성된 제1이중사출면(130a)에 도 5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a)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겠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두 가지 실시예의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측벽부(132)의 바닥면(131)을 향하는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수직부(15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제1몸체부(100)의 밑면(101)과 바닥면(131)의 일면과 수직부(151)로 이루어진 공간이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수직부(1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몸체부(100)의 밑면(101)이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함몰부(10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함몰부(101a)는 수직부(1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면에서부터 밑면(101)의 가장자리까지 죽 이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가 제1몸체부(100)의 밑면(101)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
제2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즉, 제1몸체부(100)의 옆면(103)으로부터 돌출된 바닥면(131)의 양측면 중 제1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면에 홈 형태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a)는 도 3과 같이 바닥면(131)의 내측에서부터 제1몸체부(100)의 옆면(103) 어느 정도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실시예의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a)가 제1몸체부(100)의 서로 마주도록 배치된 옆면(103)에 각각 다섯 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1이중사출면(130)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가 형성됨에 따라,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150a)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제1몸체부(100)를 금형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1몸체부(100)가 이중사출부(300)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는 폭이 넓도록 형성되어 있어, 이동을 위한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와 외관이 서로 대칭을 이루므로 제2몸체부(200)의 제1몸체부(1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기 제1몸체부(100)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몸체부(200)는 도 3과 같이 대략 반원 형상의 평행한 두 밑면(201)과, 두 밑면을 서로 이어주는 옆면(203)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210)을 가진다. 옆면(203)에는 폭방향을 따라 제2홈부(204)가 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홈부(204) 내에는 제2홈부(204)를 따라 제2이중사출유로(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몸체부(200)에는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이중사출면(23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231)과 측벽부(232)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이 제2이중사출면(230)이 된다.
이러한 제2이중사출면(230)에는 바닥면(231)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된 제2리브(235, 235a)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131)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세 개의 제2리브(235, 2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 개의 제2리브(235, 235a)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2리브(235a)는, 도 7과 같이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과 제2몸체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할 때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135a)와 서로 맞닿도록 마련된다.
최외측에 배치된 제2리브(235a)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리브(235a)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2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2관통홀(237)은 최외측의 제2리브(235a)와 최외측의 제1리브(135a)가 서로 맞닿을 때 제1관통홀(13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이중사출면(230)의 주변에는 도 3과 같이 일측으로 개방된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25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이중사출면(130)의 주변에 일측으로 개방된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250, 250a)가 형성됨에 따라,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250, 250a)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제2몸체부(200)를 금형에 고정함과 동시에 제2몸체부(200)가 이중사출부(300)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사출부(3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과 제2몸체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제1이중사출면(130)과 제2이중사출면(230)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과 제2몸체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금형에 삽입된 다음, 게이트를 통하여 제1몸체부(100)의 제1이중사출유로(105) 또는 제2몸체부(200)의 제2이중사출유로(205)로 용융수지와 같은 유동화된 성형재료를 주입하면, 용융수지는 제1이중사출유로(105) 또는 제2이중사출유로(205)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130) 및 제2이중사출면(230)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7과 같이 제1이중사출면(130)에는 제1리브(135, 135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제2이중사출면(230)에는 제2리브(235, 235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성형재료가 제1,2이중사출면(130, 230)에 접합되는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도 7과 같이 이중사출부(300) 형성시 용융수지가 제1관통홀(137)과 제2관통홀(237)을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서로 엮어있는 형태로 이중사출부(300)가 형성되므로 접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이중사출유로(105), 제2이중사출유로(205), 제1이중사출면(130), 제2이중사출면(230)에 용융수지가 채워짐으로써, 도 1과 같은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접하는 부분을 따라 이중사출부(300)가 형성됨으로써,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결합되고, 제1내부공간(110)과 제2내부공간(210)은 외부와 밀폐된 하나의 중공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속이 비어 있는 쉘(shell) 형태의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110)을 가지는 제1몸체부(100)와,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210)을 가지는 제2몸체부(200)를 각각 1차 사출한다.
다음으로, 제1몸체부(100)의 개방된 일면과 제2몸체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서로 접하는 둘레의 외측면에 이중사출부(300)가 형성되도록 2차 사출한다.
이를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실시할 수 있다.
1단계로서, 도 8의 ①과 같이 1차측 형틀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1차 사출한다.
2단계로서, 도 8의 ②와 같이 형개후 1단계에서 1차 사출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삽입한 후, 도 8의 ③과 같이 1차측 형틀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1차 사출함과 동시에, 2차측 형틀에서 이중사출부(300)를 2차 사출한다.
이 단계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삽입할 때 제1몸체부(100)의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150)와 제2몸체부(200)의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250)에 금형의 일부분이 삽입됨으로써,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금형에 거는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금형 내에 걸어 놓은 다음 형폐하여 사출을 진행한다.
3단계로서, 도 8의 ④와 같이 형개후 2단계에서 2차 사출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취출한 다음, 2단계에서 1차 사출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삽입한 후, 도 8의 ③과 같이 1차측 형틀에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1차 사출함과 동시에, 2차측 형틀에서 이중사출부(300)를 2차 사출한다.
3단계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이, 제1몸체부(100) 성형, 제2몸체부(200) 성형, 제1몸체부(100) 및 제2몸체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이중사출부(300) 성형을 패밀리 금형(family mold)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예서는 1형 3종 1취의 금형을 제시하였지만, 1형 2종 1취의 금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종합해보면 1차측 형틀의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집어넣어 사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2차측 사출시 1차측의 제1,2몸체부(100, 200)가 버틸 수 없는 과도한 사출압에 노출될 경우 1차측의 제1,2몸체부(100, 200)는 2차측이 성형되는 반대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여 2차측 이중사출부(300)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지거나 1차측과 2차측의 경계선으로 2차측 용융수지가 넘쳐서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다. 2차측의 게이트가 설치되는 반대면은 이러한 사출압력을 버티기위해 대응되는 수직방향부에 강도보완용 구조(리브)를 설치할 수 있으나 측면의 경우 강도보완용 구조적용에 제한이 생길 수 밖에 었다. 설치할 수는 있다 하더라도 금형이 매우복잡해지고 생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 때문이다. 이에 따라, 2차측 금형에 1차측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고, 1차측이 2차측 형성부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는 현상 방지를 위해 제1,2고정 및 밀림방지부(150, 25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사출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2차측 형틀에 삽입시 다관절 로봇 취출기와 같은 취출설비를 적용함으로써, 인력에 의한 인서트(insert) 작업을 배제하고, 일괄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며, 1차 부품을 미리 생산/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관리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이중사출부(300)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술로는 제조가 어려운 중공 밀폐구조를 지닌 속이 빈 쉘(shell) 형태의 친환경적인 부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방법을 활용하므로 추가적인 설비와 기술의 도입이 불필요하여 경제적이고, 단일 원재료를 사용하므로 자원재활용이 용이하며, 국부적으로 강도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보강리브설치, 면두께 보완 등의 구조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융착작업이 배제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융착이 어려운 원재료뿐 아니라 재생원료로도 생산이 가능하므로 친환경효과가 더욱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 부표
100 : 제1몸체부 110 : 제1내부공간(110)
130 : 제1이중사출면 135, 135a : 제1리브
137 : 제1관통홀 150 :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
200 : 제2몸체부 210 : 제2내부공간
230 : 제2이중사출면 235, 235a : 제2리브
237 : 제2관통홀 250 :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
300 : 이중사출부

Claims (6)

  1.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1몸체부; 및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을 가지며, 개방된 일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2이중사출면이 마련되어 있는 제2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과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 이중사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과 상기 제2내부공간은 외부와 밀폐된 중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이중사출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1리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이중사출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제2리브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상기 제1리브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1리브에는 상기 제1리브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 다수개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상기 제2리브 중 최외측에 배치된 제2리브에는, 상기 제1몸체부의 개방된 일면과 상기 제2몸체부의 개방된 일면이 서로 접할 때 상기 제1리브와 서로 맞닿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2리브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을 동시에 통과함으로써, 서로 엮어 있는 형태로 상기 이중사출부가 형성되므로 접합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중사출면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1고정 및 밀림방지부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몸체부가 상기 이중사출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이중사출면의 주변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중사출부 형성시 상기 제2고정 및 밀림방지부에 금형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몸체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2몸체부가 상기 이중사출부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38830A 2020-03-31 2020-03-31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KR10228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30A KR102286567B1 (ko) 2020-03-31 2020-03-31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830A KR102286567B1 (ko) 2020-03-31 2020-03-31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567B1 true KR102286567B1 (ko) 2021-08-06

Family

ID=7731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830A KR102286567B1 (ko) 2020-03-31 2020-03-31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905A (ko) * 2022-02-03 2023-08-10 엔피씨(주) 태양광 발전용 부표
KR20230117906A (ko) * 2022-02-03 2023-08-10 엔피씨(주) 스마트 부표 및 이의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0613A (ja) * 1991-01-09 1992-09-28 Japan Steel Works Ltd:The 合成樹脂中空体の接合構造
JP2003062911A (ja) * 2001-08-24 2003-03-05 Canon Inc 合成樹脂製中空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構造、トナー補給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100027906A (ko) * 2008-09-03 2010-03-11 (주)모야 중공사출물, 그 중공사출물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방법
KR101740918B1 (ko) * 2016-12-28 2017-05-29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0613A (ja) * 1991-01-09 1992-09-28 Japan Steel Works Ltd:The 合成樹脂中空体の接合構造
JP2003062911A (ja) * 2001-08-24 2003-03-05 Canon Inc 合成樹脂製中空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構造、トナー補給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100027906A (ko) * 2008-09-03 2010-03-11 (주)모야 중공사출물, 그 중공사출물을 접합하기 위한 접합방법
KR101740918B1 (ko) * 2016-12-28 2017-05-29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905A (ko) * 2022-02-03 2023-08-10 엔피씨(주) 태양광 발전용 부표
KR20230117906A (ko) * 2022-02-03 2023-08-10 엔피씨(주) 스마트 부표 및 이의 관리 방법
KR102639705B1 (ko) * 2022-02-03 2024-02-23 엔피씨(주) 태양광 발전용 부표
KR102639706B1 (ko) * 2022-02-03 2024-02-23 엔피씨(주) 스마트 부표 및 이의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567B1 (ko) 이중사출구조를 적용한 친환경부표
CN101537684A (zh) 聚氨酯发泡成型模具及模腔制造方法
CN107279084A (zh) 真空荧光浮子
CN106671350B (zh) 一种双材料盖体的二次注塑模具
US3458077A (en) Composite bottle cap with liner
CN107914366A (zh) 一种机械式自动化抽芯机构设计
CN110466465A (zh) 汽车保险杠及其制造方法
CN206186244U (zh) 一种注塑模具和注塑系统
WO2023060814A1 (zh) 一种纸浆模塑杯盖
CN210590131U (zh) 一种密封圈模具
CN209738182U (zh) 一种防溢胶结构的注塑模具
CN211743214U (zh) 一种复合型电池槽
CN212288476U (zh) 具有群腔注塑浇口自动分离机构的塑料餐具注塑模具
EP0293485B1 (en) Injection stretching blow molding of polypropylene or the like
KR20180122207A (ko) 중공 형태의 부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1763231U (zh) 热塑性弹性体注塑制品中斜顶针镶拼线处结构
CN213038429U (zh) 水表检查井
CN214448140U (zh) 一种瓶胚模具
CN213055620U (zh) 基于模压成型工艺的smc复合材料房车舱门板模具
CN216302220U (zh) 一种医疗垃圾运转箱
CN217318939U (zh) 一种浮漂模具
CN215791383U (zh) 一种用于模内注塑的对称式铁片
CN217047294U (zh) 一种具有气顶结构的注塑模具
FR2148571A1 (en) Plastics articles prodn machine - for multi-layer items by sequential injection moulding
CN218314941U (zh) 一种新型分体式注塑模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