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92B1 -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92B1
KR102286492B1 KR1020210023272A KR20210023272A KR102286492B1 KR 102286492 B1 KR102286492 B1 KR 102286492B1 KR 1020210023272 A KR1020210023272 A KR 1020210023272A KR 20210023272 A KR20210023272 A KR 20210023272A KR 102286492 B1 KR102286492 B1 KR 102286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ion set
tube
branch pipe
pipe
in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선
Original Assignee
이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선 filed Critical 이용선
Priority to KR102021002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1Drip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을 연결하기 위한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세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Y-타입 분기관이 포함된 수액세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튜브 연장이나 주사기 사용에 따른 분기관의 마개 오염으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아 의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ALL-IN-ONE INFUSION SET INCLUDING Y-TYPE BRANCH TU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pack)을 연결하기 위해 Y 형상을 갖는 분기관과 이를 포함하는 수액세트에 관한 것이다.
수액은 사용자의 입을 통하지 않고, 정맥 또는 피하로 주사하여 치료에 사용되는 인공 용액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은 용도에 따라 수분 및 전해질 보급용과 영양 보급용으로 구분되되, 사용자의 증상에 따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분 및 전해질 보급용 수액은 사용자에게 수분과 전해질의 혼합물로 구성된 생리식염수가 포함된다.
또, 영양 보급용 수액은 사용자에게 탄수화물, 단백질 등의 필수 영양소를 보급하기 위한 수액으로, 아미노산액, 포도당액, 과당액 등이 포함된다.
앞서 설명된 수액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주사하기 위해서는 수액을 수납하는 수액 용기, 수액을 정맥 또는 피하에 주입하기 위한 주사 바늘, 수액 용기와 주사 바늘을 연결하는 튜브와, 복수의 수액을 사용자에게 보급하기 위해 수액 용기와 튜브 사이에 위치하는 분기관이 포함된 수액 세트가 필요하다.
다음은 수액 세트에 관한 배경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092호(이하,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897132호(이하, 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260호(이하, 문헌 3)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619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문헌 1 발명은 수액세트의 튜브에 연결하여 환자에게 수액 외에 추가 수액이나 약액을 주입할 수 있는 튜브로, Y-포트의 분기관 중 한쪽의 수액분기관은 수액세트의 튜브와 일자로 연결하여 수액이 통과하고, 다른 쪽 분기관은 추가 수액이나 약액을 투여할 수 있는 Y자형 익스텐션 튜브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발명 Y-포트는 다른 쪽 분기관 단부에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세이프 포트가 형성되어 약액이 연결된 다른 카데터의 끝에 형성된 잠금 캡과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 방식이나, 수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 반창고를 감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문헌 1 발명 Y-포트는 잠금 캡이 세이프 포트에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잠금 캡이 오염되면, 병원성 미생물로 인해 사용자가 감염될 수 있다.
문헌 2 발명은 폴리염화비닐(PVC)과 유사한 수준의 물성과 내킹크(Kink)성을 갖추고, 회복력이 양호한 튜브와 점적통을 Non-PVC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Non-PVC계 의료용 수액 세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2 발명 수액 세트 중 약액주입부는 y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한쪽의 분기관에 튜브가 연결되고, 다른 쪽 분기관은 별도의 튜브를 꽂아 사용하거나, 주사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주입함에 따라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문헌 3 발명은 수액 팩에 저장된 수액이나 외부의 약액을 수액과 함께 혼수하여 환자에게 투입하기 위한 수액 세트에 관한 것이다.
문헌 3 발명 수액 세트는 y자 형상의 분기관 일단에 수액 팩이 연결된 튜브가 연결되고, 분기관 타단에 튜브가 연결되지 않고 주사기의 바늘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주사기에 의한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문헌 4 발명은 실리콘과 같은 탄성, 유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블록 형상이 T자 형상을 갖는 분기관 내부에 배치되어 주사기 또는 튜브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수액 세트용 분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문헌 4 발명 분기 어댑터는 절개라인을 갖는 블록이 분기관 내부에 포함되어 있으나, 절개라인에 삽입되는 주사기나 튜브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수액이나 약액이 누설될 수 있어 연결 부위에 반창고를 감아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일, 분기관에 연결된 주사기나 튜브 사이에 형성된 틈에 반창고를 감지 않을 경우 분기관에서 주사기나 튜브가 빠짐에 따라 감염이 발생될 수 있다.
<배경기술문헌>
(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092호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897132호
(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260호
(문헌 4)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619호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을 연결하기 위한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과, 수액세트에 사용되는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과 각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튜브 연장에 따라 발생되는 감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세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시키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은 내부에 수액 또는 약물이 흐르되, 길이 방향을 갖는 제1관(11); 길이 방향을 갖되, 제1관(11) 일단에 2개 이상이 갈라져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수액 또는 약물이 흐르는 제2관(12); 및 튜브(T)가 결합되기 위해 제1관(11) 또는 제2관(12) 단부에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3관(13);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관(12)은 2개 이상이 갈라져 형성됨에 따라 제2관들(12) 사이의 각도가 180°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는 복수개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을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수액세트용 분기관(10); 일단에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고, 타단에 튜브(T)로 수액세트용 분기관(10) 일단과 복수개가 연결되는 점적부(20);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포함되어 수액 또는 약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30); 및 일단에 튜브(T)로 수액세트용 분기관(10)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주사바늘이 연결되는 연결부(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적부(20)는 수액 또는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내부에 점적필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는 수액 또는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필터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는 수액 또는 약물이 정해진 속도로 조절되기 위해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정량조절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는 연결부(40)에 연결되어 튜브(T)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 제조방법은 수액세트용 분기관(10),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또는 연결부(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부품이 각각 제조되는 단계(S110); 상기 부품들이 조합되는 단계(S120); 및 상기 부품들이 결합되는 단계(S13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과,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을 포함하는 수액세트는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어 사용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과 각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튜브 연장이나 주사기 사용에 따른 분기관에 형성된 마개 오염으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의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튜브 연결 또는 연장 사용에 따라 연결 부위에서 수액이 누설되지 않고, 수액이나 약물이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액세트가 일체형으로 제조됨에 따라 원가를 줄여 환자가 부담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관과 튜브가 결합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점적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점적부가 포함된 수액세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필터부가 결합된 수액세트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필터부가 결합된 수액세트 또 다른 일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량조절부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분기관, 11: 제1관, 12: 제2관,
13: 제3관,
20: 점적부, 21: 점적통, 22: 수액인출부,
23: 점적관, 24: 도입침, 25: 공기흡입장치,
26: 제1보호부, 27: 점적필터
30: 유량조절부, 31: 유량조절 프레임,
32: 유량조절 회전부
40: 연결부, 41: 제1-1연결관, 42: 제1-2연결관,
43: 제2보호부
50: 필터부, 51: 필터부 프레임, 52: 유입관,
53: 배출관, 54: 필터
60: 정량조절부, 61: 고정부, 62: 회전부,
63: 돌출부, 64: 제2-1연결관, 65: 제2-2연결관
T: 튜브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액 팩이라는 용어는 환자의 체액량의 유지, 결핍되거나 부족한 전해질이나 수분의 보충 또는 매일 필요한 생리적 요구량의 수분 및 전해질을 공급하기 위한 비경구적인 인공용액인 수액제제가 포함된 팩을 의미하며, 실제 상황에 따라서 기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의미는 가장 넓은 범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액제제는 구성 성분이나 역할에 따라 기초 수액, 영양 수액, 특수 수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초 수액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필수적인 수분, 전해질, 당 등을 공급하는 것으로 생리식염 용액, 포도당 용액 또는 포도당 생리식염 용액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초 수액은 정맥주사용 약제를 희석하여 투여하는 희석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영양 수액은 장기간 먹지 못하는 환자에게 아미노산, 지질,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한 고농도의 당 수액, 다양한 농도의 아미노산 수액 또는 지질 수액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특수 수액은 기초 또는 영양 수액으로 분류되지 않는 형태의 수액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물 팩이라는 용어는 진통제, 항생제, 승압제 또는 처방받은 약물제제 등이 포함된 팩을 의미하며, 실제 상황에 따라서 기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의미는 가장 넓은 범위를 말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용 분기관(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11), 제2관(12) 및 제3관(1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관(11)은 길이 방향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액 또는 약물이 흐를 수 있다.
상기 제2관(12)은 길이 방향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11) 일단에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수액 또는 약물이 흐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관(12)은 제1관(11) 상단에 2개 이상의 관 형상이 갈라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관(12)은 수액 팩과 약물 팩을 각각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제1관(11) 상단에 2개의 관 형상이 갈라져 연장 형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분기관(10)이 Y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관(12)이 2개가 형성될 경우에 제1관(11)을 중심으로 왼쪽에 위치되는 제2관을 제2-1관(12L)으로 표시하고, 오른쪽에 위치되는 제2관을 제2-2관(12R)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2개로 갈라져 형성된 제2관들(12L, 12R)은 후단에 설명할 튜브(T)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관들(12L, 12R) 사이의 각도(α)가 180°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관들(12L, 12R) 사이의 각도(α)가 30~65°로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 40~50°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관들(12L, 12R) 사이의 각도(α)가 30°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2관들(12L, 12R)에 각각 연결되는 수액 팩과 약물 팩 사이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제2관들(12L, 12R)에 각각 연결된 튜브들(T)이 인접하게 위치되어 꼬임에 따라 수액이나 약물이 일정하게 투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컨대, 제2관들(12L, 12R) 사이의 각도(α)가 65° 초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제2관들(12L, 12R)에 각각 연결되는 수액 팩과 약물 팩 사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제2관들(12L, 12R)에 각각 연결된 튜브들(T)이 늘어지게 되어 튜브(T)가 꼬이거나, 꺾임에 따라 수액이나 약물이 일정하게 투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3관(13)은 튜브(T)가 끼움 결합되기 위해, 관 형상이 제1관(11) 또는 제2관(12) 단부에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관(13)은 제1관(11) 하단과 제2관(12) 상단에 각각 관 형상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관(13)은 도 2에서와 같이 제2-1관(12L) 상단에 돌출 형성될 경우에 제3-1관(13L)으로 표시하고, 제2-2관(12R) 상단에 돌출 형성될 경우에 제3-2관(13R)으로 표시하며, 제1관(11) 하단에 돌출 형성될 경우에 제3-3관(13C)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분기관(10)은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수지로 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분기관(10)이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는 수지로 형성될 경우에는 유해물질이 수액이나 약물에 용출되어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예컨대, 분기관(10)이 연질 수지로 형성될 경우에는 가소제가 혼입되어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하거나,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쉽게 꼬이거나, 꺾임에 따라 수액이나 약물이 일정하게 투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분기관(10)은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경질 수지로 사출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질 수지는 분기관(10) 내부에 흐르는 수액 또는 약물에 오염물이 포함될 경우 사용자가 육안으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 투명성을 갖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설명된 분기관(10)은 Y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Y-타입 분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튜브(T)의 길이는 사용자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튜브(T)는 제3관(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튜브(T)는 상기 제3관(13)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튜브(T)의 내부 지름이 제3관(13)의 외부 지름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튜브(T)는 도 3에서와 같이 제3-1관(13L)에 끼움 결합될 경우에 제1튜브(TL)로 표시하고, 제3-2관(13R)에 끼움 결합될 경우에 제2튜브(TR)로 표시하며, 제3-3관(13C)에 끼움 결합될 경우에 제3튜브(TC)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튜브(T)는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튜브(T)가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는 수지로 형성될 경우에는 유해물질이 수액이나 약물에 용출되어 내분비계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튜브(T)는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연질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튜브(T)가 경질 수지로 제조될 경우 유연성이 없어 환자가 일상생활하기 불편하거나, 튜브(T)가 꺾임에 따라 수액이나 약물이 일정하게 투여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튜브(T) 내부에 흐르는 수액 또는 약물에 오염물 포함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투명성을 갖는 연질 수지로 튜브(T)가 제조되는 것이 좋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튜브(T)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10)과 튜브(T)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여기서, 분기관(10)과 튜브(T)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들(TL, TR, TC)에 제3관들(13L, 13R, 13C)이 각각 끼움 결합되되, 압착 방식으로 분기관(10)과 튜브(T)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 방식은 열 압착 또는 초음파 압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열 압착 방식은 열 압착기를 이용하여 튜브들(TL, TR, TC)에 끼움 결합된 제3관들(13L, 13R, 13C)에 위치되는 튜브들(TL, TR, TC)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착되는 방식으로 분기관(10)과 튜브(T)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 압착 방식은 초음파 용착기를 이용하여 튜브들(TL, TR, TC)에 끼움 결합된 제3관들(13L, 13R, 13C)에 위치되는 튜브들(TL, TR, TC)에 초음파의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가열되어 접착되는 방식으로 분기관(10)과 튜브(T)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압착 방식은 접착제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별도의 세척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전처리 및 후처리가 없어 생산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됨에 따라 튜브(T)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1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수액세트용 분기관(10)을 포함하는 수액세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액세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10),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및 연결부(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10)은 복수개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을 연결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같이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점적부(20)는 일단에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고, 타단에 튜브(T)로 분기관(10) 일단에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점적부(20)는 수액 또는 약물이 한 방울씩 서서히 사용자에게 투여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통(21), 수액인출부(22), 점적관(23), 도입침(24), 공기흡입장치(25) 및 제1보호부(2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적통(21)은 점적관(23)을 통해 흘러나오는 수액 또는 약물을 수납할 수 있는 관 형상이되,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점적통(21)은 수액 또는 약물이 수납됨에 따라 사용이나 운반 중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내구성을 갖되, 수액 또는 약물이 흡착되지 않는 경질 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점적통(21)은 수액 또는 약물이 수납되기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오염물 혼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명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점적통(21) 타단에 튜브(T)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점적통(21) 하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관에 제1튜브(TL) 일단이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액인출부(22)는 점적관(23), 도입침(24) 및 공기흡입장치(25)가 포함되되, 점적통(21) 일단에 결합되어 점적통(21) 내로 먼지, 이물질 등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액인출부(22)는 점적통(21) 상부에 끼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액인출부(22) 하단에 점적관(23)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고, 수액인출부(22) 상단에 도입침(24)이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되, 수액인출부(22)와 도입침(24) 사이에 공기흡입장치(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적관(23)은 도입침(24)을 통해 유입되는 수액 또는 약물이 점적통(21) 내로 흘러나올 수 있다.
상기 도입침(24)은 수액세트와,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기 위해 상단이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입침(24) 상단에 수액 또는 약물이 점적통(21)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구멍과 공기흡입장치(25)와 연결되어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입침(24)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제1보호부(26)가 도입침(2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호부(26)는 도입침(24)을 수납하기 위한 뚜껑으로,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장치(25)는 수액 또는 약물 팩 안의 압력에 의해 수액 또는 약물이 잘 빠져나오지 못하거나, 피가 역류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수액인출부(22) 측면에 형성되되, 점적관(23)과 도입침(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장치(25)는 앞서 설명된 도입침(24) 상단에 형성된 공기가 들어가는 구멍과 연결되어 수액 또는 약물 팩 안으로 공기를 흡입시켜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30)는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포함되어 수액 또는 약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량조절부(30)는 유량조절 프레임(31) 및 유량조절 회전부(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 프레임(31)은 내부에 튜브(T)가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되, 튜브(T)가 통과되기 위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 프레임(31)은 측면에 유량조절 회전부(32)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유량조절 프레임(31) 측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 회전부(32)는 유량조절 프레임(31) 측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튜브(T)의 열림과 닫힘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유량조절 회전부(32)가 유량조절 프레임(31) 측면에 형성된 홈 상부에 위치되면, 튜브(T)가 열려 수액 또는 약물이 사용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유량조절 회전부(32)가 유량조절 프레임(31) 측면에 형성된 홈 하부에 위치되면, 튜브(T)가 닫혀 수액 또는 약물이 사용자에게 투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는 일단에 튜브(T)로 상기 분기관(10)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주사바늘이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40)는 제1-1연결관(41) 및 제1-2연결관(4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1연결관(41)은 일단에 제1-2연결관(42)이 결합되되, 타단에 주사바늘이 연결되기 위해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연결관(41)은 타단에 주사바늘이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하기 위해 경질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4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제2보호부(43)가 제1-1연결관(4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보호부(43)는 제1-1연결관(41)을 수납하기 위한 뚜껑으로, 일단이 폐쇄되고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연결관(42)은 일단에 튜브(T)가 결합되되, 타단에 제1-1연결관(41)이 연결되기 위해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2연결관(42) 주사바늘이 인체 내에 삽입된 사용자가 움직임에 따라 이물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연질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분기관(10)이 Y 형상으로 형성된 Y-타입 분기관이 포함된 수액세트는 도 4와 같이 부품들이 배치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분기관(10)을 중심으로 수액세트는 하나 이상의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연결부(40)와 튜브(T)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분기관(10)의 제3-1관(13L)에 제1튜브(TL) 타단이 결합되고, 분기관(10)의 제3-2관(13R)에 제2튜브(TR) 타단이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TL)와 제2튜브(TR) 일단에는 앞서 설명된 점적부(20)가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튜브(TL)와 결합된 점적부(20)를 제1점적부(20L)라 하고, 제2튜브(TR)와 결합된 점적부(20)를 제2점적부(20R)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또한,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유량조절부(30)가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1관(13L)과 제1점적부(20L) 사이에 형성된 제1튜브(TL)에 위치되는 유량조절부(30)를 제1유량조절부(30L)라 하고, 제3-2관(13R)과 제2점적부(20R) 사이에 형성된 제2튜브(TR)에 위치되는 유량조절부(30)를 제2유량조절부(30R)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분기관(10)의 제3-3관(13C)에 제3튜브(TC) 일단이 결합되고, 제3튜브(TC) 타단에 연결부(40)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액세트는 각 부품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튜브 연장이나 주사기 사용에 따른 분기관에 형성된 마개 탈착으로 인한 오염 발생에 의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아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항생제나 처방받은 약물제제 등의 약물의 경우에 누설로 인해 적정량 투여되지 못할 경우에 미생물의 내성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수액이나 약물이 누설되지 않아 내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함에 따라 수액이나 약물이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분기관(10)이 Y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사용가능함에 따라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제1점적부(20L)와 제2점적부(20R)에 각각 다른 종류의 수액 팩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제1점적부(20L)와 제2점적부(20R)에 각각 다른 종류의 약물 팩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수액세트는 제1점적부(20L)와 제2점적부(20R)에 각각 수액 팩과 약물 팩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액이나 약물이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 Y 형상의 분기관(10)이 사용되어 원가를 줄여 환자가 부담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의 수액세트에 포함된 점적부(20)에 점적필터(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액세트는 점적필터(27)를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점적필터(2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또는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점적부(2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점적필터(27)는 점적부(20) 내부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는 도 6에서와 같이 20a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점적부(20a)는 점적필터(27)에 의해 수액 또는 약물 팩의 밀봉 캡에 도입침(24)이 인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수액 또는 약물 팩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리 앰플에 포함된 약물을 희석함에 따라 발생되는 유리가루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점적필터(27)는 위에서 설명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1~10㎛ 크기를 갖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1㎛ 미만 크기를 갖는 필터가 점적필터(27)에 사용될 경우에는 수액 또는 약물이 필터 통과가 지연되어 점적관(23) 내에 장기간 체류됨에 따라 직사광선 등에 노출되어 수액이나 약물이 변질될 수 있다.
예컨대, 10㎛ 초과 크기를 갖는 필터가 점적필터(27)에 사용될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이물질이 점적필터(27)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유입되어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는 제1튜브(TL) 또는 제2튜브(TR) 일단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가 도 7에서와 같이 제1튜브(TL) 및 제2튜브(TR) 일단에 각각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가 2개 사용됨에 따라 수액 팩의 밀봉 캡에 도입침(24)이 인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예컨대,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가 제1튜브(TL) 일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점적필터(27)가 포함되지 않은 점적부(20)가 제2튜브(TR) 일단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에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리 앰플의 약물이 희석된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고, 점적필터(27)가 포함되지 않은 점적부(20)에는 유리 앰플의 약물이 희석되지 않은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되어, 유리 앰플 사용에 따른 유리가루 등의 이물질이 점적필터(27)에서 걸러질 수 있다.
즉, 점적필터(27)가 더 포함된 수액세트는 이물질 혼입에 따른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수액세트에 필터부(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액세트는 필터부(50)를 제외하고,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필터부(50)는 수액 또는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수액 또는 약물 팩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리 앰플에 포함된 약물을 희석함에 따라 발생되는 유리가루 등의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터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 프레임(51), 유입관(52), 배출관(53) 및 필터(5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 프레임(51)은 내부에 수액 또는 약물이 흐르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되, 일단에 수액 또는 약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관(52)이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수액 또는 약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5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관(52)과 배출관(53)에 튜브(T)가 각각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 프레임(51) 내부 공간에 이물질 또는 유리가루 등을 거르기 위해 필터(5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54)는 유리가루나, 이물질 등을 거르기 위해 1~10㎛ 크기를 갖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1㎛ 미만 크기를 갖는 필터(54)가 사용될 경우에는 수액 또는 약물이 필터 통과가 지연되거나, 필터(54)가 막힘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피가 역류될 수 있다.
예컨대, 10㎛ 초과 크기를 갖는 필터(54)가 사용될 경우에는 10㎛ 이하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필터(54)에서 걸러지지 못하고 사용자에게 유입되어 의료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50)는 수액 또는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필터부(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와 같이 필터부(50)가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3과 같이 별도의 필터가 없는 점적부(20)가 사용으로 인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와 같이 필터부(50)가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필터가 없는 점적부(20)가 사용으로 인한 하나의 필터부(50)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4와 같이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 사용 시에도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필터부(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에서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지고, 다시 필터부(50)에서 2차로 이물질이 걸러짐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의 수액세트에 정량조절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액세트는 정량조절부(60)를 제외하고,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 중 어느 하나의 수액세트와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정량조절부(60)는 수액 또는 약물이 정해진 속도로 조절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량조절부(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1), 회전부(62), 돌출부(63), 제2-1연결관(64) 및 제2-2연결관(6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1)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면에 주입 속도(0~300㎖/h)가 구분되어 표시되며, 일단에 회전부(62)가 결합되고, 타단에 수액 또는 약물이 배출되기 위한 제2-2연결관(6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62)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수액 또는 약물이 유입되기 위한 제2-1연결관(64)이 돌출 형성되고, 타단에 고정부(61)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62)는 측면 하부에 화살표가 그려져 있어 회전부(62)가 회전됨에 따라 고정부(61) 측면에 구분되어 표시된 주입 속도에 화살표가 위치되어 설정된 주입 속도로 수액 또는 약물 주입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63)는 회전부(62) 회전 시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부(62) 측면 상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연결관(64)과 제2-2연결관(65)은 정량조절부(60) 내에 연결되고, 각각 튜브(T)가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량조절부(60)는 0~300㎖/h까지 수액 또는 약물 주입 속도가 설정값으로 자동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정량조절부(60)는 수액 또는 약물이 정해진 속도로 조절되기 위해서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정량조절부(60)가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각각 포함되면, 점적부(20)에 각각 연결된 수액과 약물 주입 속도를 각각 조절하여 사용되는 수액이나 약물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입 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정량조절부(60)가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포함되면, 하나의 정량조절부(60)를 사용함에 따라 환자가 부담해야하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수액세트에 연장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액세트는 연장관을 제외하고,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 중 어느 하나의 수액세트와 동일하게 형성되기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연장관은 튜브(T)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해 연결부(4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장관은 일자형, Y자형, T자형 또는 십(十)자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자형 연장관은 일(一)자 형상을 갖는 관으로, 일단에 연결부(40)의 제1-1연결관(41)이 끼움 결합되고, 타단에 튜브(T)가 끼움 결합되어 튜브(T)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Y자형 연장관은 앞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분기관(10)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Y자형 연장관은 튜브(T) 길이 연장과, 수액이나 약물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T자형 연장관은 T 형상을 갖는 관으로, 튜브(T) 길이 연장과, 수액이나 약물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십(十)자형 연장관은 十 형상을 갖는 관으로, 튜브(T) 길이 연장과, 수액이나 약물을 추가로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분기관(10)을 포함하는 수액세트 제조방법은 도 5를 참고하면, 부품이 각각 제조되는 단계(S110), 상기 부품들이 조합되는 단계(S120) 및 상기 부품들이 결합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부품이 각각 제조되는 단계(S110)는 각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품이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부품으로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분기관(10), 튜브(T),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연결부(40), 필터부(50), 정량조절부(60) 또는 연장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10),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연결부(40), 필터부(50), 정량조절부(60) 또는 연장관은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튜브(T)는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압출 또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들이 조합되는 단계(S120)는 상기 부품들이 각 실시예에서 조합된 것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부품들이 조합되어 배치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각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3의 수액세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점적부(20L), 제2점적부(20R), 제1유량조절부(30L), 제2유량조절부(30R), 분기관(10), 연결부(40), 제1튜브(TL), 제2튜브(TR) 및 제3튜브(TC)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4의 수액세트는 점적부(20) 또는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 1개 이상의 유량조절부(30), 분기관(10), 연결부(40), 제1튜브(TL), 제2튜브(TR) 및 제3튜브(TC)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5의 수액세트는 점적부(20) 또는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 1개 이상의 유량조절부(30), 1개 이상의 필터부(50), 분기관(10), 연결부(40), 제1튜브(TL), 제2튜브(TR) 및 제3튜브(TC)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6의 수액세트는 점적부(20) 또는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 1개 이상의 유량조절부(30), 1개 이상의 정량조절부(60), 분기관(10), 연결부(40), 제1튜브(TL), 제2튜브(TR) 및 제3튜브(TC)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50)는 1개 이상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 7의 수액세트는 점적부(20) 또는 점적필터(27)가 포함된 점적부(20a), 1개 이상의 유량조절부(30), 분기관(10), 연결부(40), 1개 이상의 연장관, 제1튜브(TL), 제2튜브(TR) 및 제3튜브(TC)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50)와 정량조절부(60)는 1개 이상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들이 결합되는 단계(S130)는 상기 S120 단계에서 조합된 부품들이 결합되어 일체형 수액세트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부품들은 열 압착 또는 초음파 압착 중 어느 하나의 압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튜브들(TL, TR, TC)에 각 부품들이 끼움 결합된 후 튜브들(TL, TR, TC) 일단과 타단에 열 또는 초음파 압착 방식으로 튜브들(TL, TR, TC)에 각 부품들이 결합되어 일체형 수액세트가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열 압착 방식은 열 압착기를 이용하여 각 부품들이 끼움 결합된 후 튜브들(TL, TR, TC) 일단과 타단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접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초음파 압착 방식은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각 부품들이 끼움 결합된 후 튜브들(TL, TR, TC) 일단과 타단에 초음파의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가열되어 접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초음파 압착 방식은 접착제나 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별도의 세척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전처리 및 후처리가 없어 생산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S130 단계를 통해 제조된 일체형 수액세트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멸균 처리 후에 포장 단계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수액세트는 포장이 용이하여 포장용지의 면적을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일체형으로 제조된 수액세트는 튜브 연장이나 주사기 사용에 따른 분기관에 형성된 마개 오염으로 인한 감염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의료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액세트용 Y-타입 분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수액세트로, 복수의 수액 또는 약물 팩이 연결 가능하며, 수액세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오염을 방지하여 감염이 발생되지 않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1. 경질 수지로 사출 제조되되, Y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
    일단에 수액 및 약물 팩이 연결되고, 타단에 튜브(T)로 수액세트용 분기관(10) 일단과 복수개가 연결되어 제1점적부(20L) 및 제2점적부(20R)가 포함되는 점적부(20);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에 포함되어 수액 및 약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30); 및
    일단에 튜브(T)로 수액세트용 분기관(10)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에 주사바늘이 연결되는 연결부(40);가 포함되며,
    수액세트용 분기관(10)은
    내부에 수액 및 약물이 흐르되, 길이 방향을 갖는 제1관(11);
    길이 방향을 갖되, 제1관(11) 일단에 2개로 갈라져 연장 형성되되, 제2-1관(12L)과 제2-2관(12R) 사이의 각도가 30 내지 65°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액 및 약물이 흐르는 제2관(12); 및
    제1관(11) 및 제2관(12) 단부에 연장 돌출 형성되어 제3-1관(13L), 제3-2관(13R) 및 제3-3관(13C)이 포함되는 제3관(13);이 포함되고,
    튜브(T)는 타단에 제3-1관(13L)이 결합되고, 일단에 제1점적부(20L)가 결합되는 제1튜브(TL);
    타단에 제3-2관(13R)이 결합되고, 일단에 제2점적부(20R)가 결합되는 제2튜브(TR); 및
    타단에 연결부(40)가 결합되고, 일단에 제3-3관(13C)이 결합되는 제3튜브(TC);가 포함되되, 압착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점적부(20)는,
    수액 및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내부에 점적 필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는,
    수액 및 약물 팩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필터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는,
    수액 및 약물이 정해진 속도로 조절되기 위해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점적부(20) 사이, 또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과 연결부(40) 사이에 위치된 튜브(T)에 정량조절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는,
    연결부(40)에 연결되어 튜브(T)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연장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8. 청구항 1의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Y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 튜브(T), 점적부(20), 유량조절부(30) 및 연결부(40)의 부품이 각각 제조되는 단계(S110);
    상기 부품들이 조합되는 단계(S120); 및
    상기 부품들이 압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Y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액세트용 분기관(10)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가 제조되는 단계(S13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제조방법.
  9. 청구항 8의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KR1020210023272A 2021-02-22 2021-02-22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72A KR102286492B1 (ko) 2021-02-22 2021-02-22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272A KR102286492B1 (ko) 2021-02-22 2021-02-22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92B1 true KR102286492B1 (ko) 2021-08-04

Family

ID=7731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272A KR102286492B1 (ko) 2021-02-22 2021-02-22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33A1 (ko) * 2021-12-27 2023-07-06 신현순 연골분리용 필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4B1 (ko) * 2013-07-22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세트용 분기관
KR102044467B1 (ko) *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934B1 (ko) * 2013-07-22 2014-08-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액 세트용 분기관
KR102044467B1 (ko) * 2018-07-27 2019-11-14 김은석 수액 세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way Y Connector, PROMEPLA 사이트(인터넷주소 : https://catalog.promepla.com/promepla-component/agc07210) (2014.03.28).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33A1 (ko) * 2021-12-27 2023-07-06 신현순 연골분리용 필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88Y1 (ko) 주입 액체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액체 전달 장치
TWI586349B (zh) 用於注射液體的插入物及藥瓶、用於注射液體的藥瓶插入物總成以及用於從藥瓶將液體轉移至另一容器的方法
TWI577406B (zh) 具有用於藥瓶之連接的改良型閘門之導管組
EP0299042B1 (en) Needle-pierceable cartridge for drug delivery
CA2267581C (en) Self-priming needle-free &#34;y&#34;-adapter
US4935009A (en) Emergency drug injection system
US8267912B2 (en) Infusion bag with needleless access port
US4474574A (en) Formulation dispenser for use with a parenteral delivery system
US4936829A (en) Drug delivery apparatus including beneficial agent chamber with chimney for a directed flow path
JP2000503096A (ja) ルアーまたは圧力作動バルブを有する医療用の静脈注射用の投与ラインコネクタ
JP2009513294A (ja) ニードルレス添加剤制御バルブ
US4433974A (en) Mixing system for parenteral liquids
US11819653B2 (en) Adapter cap for drug transfer assembly
KR860000277B1 (ko)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JP2002526179A (ja) 拭浄可能であり無針式の低環流型注射ポート・システム
CN102844061B (zh) 药物输送系统
KR200475695Y1 (ko) 주입저항감을 저하시킨 필터가 내장된 스톱코크방식의 정맥주사용 멀티웨이 커넥터 장치
KR20200037355A (ko) 적절한 볼러스로 약물을 투약하기 위한 재구성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2539892A (ja) 接続手段を備えた投薬装置用乳首状ノズル
KR102286492B1 (ko) Y 형상으로 형성된 수액세트용 분기관을 포함하는 일체형 수액세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8045986A2 (en) Turbulence minimizing device for multi-lumen fluid infusing systems and method for minimizing turbulence in such systems
KR200481906Y1 (ko) 수액 주입용 연결 커넥터
CN113301882A (zh) 利用集成的通气导管经由高真空小瓶给药药物的重构系统
CN203436562U (zh) 一种过滤式输液袋
CN103393542B (zh) 一种过滤式输液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