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391B1 -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391B1
KR102286391B1 KR1020200068275A KR20200068275A KR102286391B1 KR 102286391 B1 KR102286391 B1 KR 102286391B1 KR 1020200068275 A KR1020200068275 A KR 1020200068275A KR 20200068275 A KR20200068275 A KR 20200068275A KR 102286391 B1 KR102286391 B1 KR 102286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ayer
inner layer
outer lay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631A (ko
Inventor
정현기
정석재
이상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55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064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3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double walls, e.g. double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42Details of metal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저장 용기에는, 용기 본체 및 용기 커버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층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내부층은 티타늄(Titanium)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은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냉장고에는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에는, 상기 저장실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용기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용기는 김치와 같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용기를 갖는 냉장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선행문헌 1이 출원된 바 있다.
<선행문헌 1>
1. 공개번호 : 제10-2016-0024231호(공개일자 : 2016년 03월 04일)
2. 발명의 명칭 :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상기 선행문헌 1에는, 내부공간에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용기커버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는 스테인레스(stainless)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 1의 저장 용기는 너무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 및 그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이용하는 사용자층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티타늄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한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티타늄과 알루미늄을 결합하여 용기 본체를 형성함에 따라,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비용을 절감한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저장 용기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용기 커버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층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내부층은 티타늄(Titanium)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은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층은 상기 내부층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외부층 또는 상기 내부층을 덮도록 형성된 코팅층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세라믹(Ceram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티타늄 및 알루미늄으로 용기 본체를 형성하여 무게를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층을 티타늄으로 형성함에 따라, 우수한 내부식 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티타늄은 인체 친화형 재료로서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층을 알루미늄으로 형성함에 따라, 다양하게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을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강도를 보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배치된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저장실(2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20)은 다양한 형상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상하로 구획된 복수의 저장실(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3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냉장고 도어(30)는 상기 저장실(20)을 개폐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저장실(20)에 배치되는 드로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저장실(20)로 삽입되거나 상기 저장실(20)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1)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 용기(5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용기(50)는 상기 저장실(2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5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저장실(20)에 배치되는 저장 용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배치된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 용기(50)는 상기 드로워(40)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0)에는, 상기 저장실(20)에 인출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로워 본체(400) 및 상기 드로워 본체(400)의 전방에 결합되는 드로워 결합부(410)가 포함된다.
상기 드로워 본체(400)는 내측에 상기 저장 용기(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4개의 저장 용기(50)가 수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드로워 본체(400)의 외측에는 상기 저장실(20)에서 인출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레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결합부(410)는 상기 드로워 본체(400)가 상기 저장실(20)에 수용되는 경우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결합부(410)는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결합부(4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420)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420)를 파지하여 외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드로워(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40)에 수용된 상기 저장 용기(50)를 인출하거나 상기 저장 용기(50)에 수용된 음식물을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 용기(50)의 배치 및 상기 드로워(4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여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50)는 상기 저장실(20)에 수용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 용기(50)는 상기 냉장고(10)와 무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저장 용기(50)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 용기(50)에는, 용기 본체(100) 및 그에 결합되는 용기 커버(60)가 포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100)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커버(6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 용기(50)는 음식물이 저장공간 내에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용기(50)에는 김치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저장 용기(50)는 김치통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50)가 배치되는 냉장고(1)는 김치 냉장고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커버(6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테두리부에 상기 용기커버(6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커버(60)에는, 커버본체(62), 실링부(64), 조작부(66) 및 고정 프레임(68)이 포함된다.
상기 커버 본체(62)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면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커버 본체(6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62)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커버(620)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커버(620)는 상기 커버 본체(62)의 모서리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커버(620)는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본체(62)의 모서리부는 안정성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장커버(620)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4개의 모서리부를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접하는 연장커버(620) 사이에는 상기 커버 본체(62)의 일 면에 해당되는 이격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프레임(68)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고정 프레임(68)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68)은 상기 용기 본체(100)와 상기 커버 본체(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6)는 상기 커버 본체(62)와 상기 고정 프레임(68)을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이해된다. 상기 조작부(66)는 상기 고정 프레임(68)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68)에는 상기 조작부(66)가 결합되는 회동홈(680)이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66)에는 상기 회동홈(680)에 삽입되는 회동부(6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66)는 상기 커버 본체(6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65)에는 상기 회동부(680)와 대향되는 측에 형성되는 후크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 본체(62)에 끼워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조작부(66)는 상기 커버 본체(6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66)에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66)는 연장된 상기 커버 본체(62)의 모서리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66)는 4개로 각각 구비되어 4면에 대응되어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조작부(68)는 상기 연장커버(6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조작부(68)의 양 단은 상기 연장커버(620)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68)의 두께는 상기 연장커버(620)가 연장된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조작부(66)가 상기 커버 본체(62)에 결합되면, 도 3과 같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64)는 상기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커버(6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밀폐시키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부(64)는 고무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40)의 외부로 음식물의 냄새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100) 및 용기커버(60)의 형상 및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용기 본체(100)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충분하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5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는 복수의 층(lay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복수의 층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용기 본체(100)에는,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층(110) 및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층(120)이 포함된다. 즉, 상기 내부층(110)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를 형성하는 층으로,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층(120)은 상기 저장공간의 외부를 형성하는 층으로, 상기 내부층(1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층(110)은 티타늄(Titanium)으로 형성된다. 상기 티타늄은 인공뼈나 치아 등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인체 친화형 재료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 티타늄의 내부식성이 매우 좋은 재질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티타늄은 인공심장, 다리뼈, 관절류 등과 같은 의치재료로도 사용된다.
특히, 상기 티타늄의 표면에는 산화티타늄 피막이 형성되고, 이는 매우 견고하다. 그에 따라, 내부로의 부식억제효과가 크고, 이와 같은 피막이 파괴되어도 즉시 재생된다. 또한, 염소이온에 대한 내식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티타늄은 음식물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김치와 같은 염소가 많이 포함된 음식물에도 부식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안심하고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층(120)은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된다. 상기 알루미늄은 밀도가 낮아 매우 가벼우며 가격경쟁력이 좋은 재질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은 연신력이 좋아 가공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저장 용기(50)는 내부를 티타늄으로 형성하고, 외부를 알루미늄으로 형성한다. 그에 따라, 음식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가볍고 저렴한 저장 용기(5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은 서로 일 면이 밀착되어 결합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층(120)은 상기 내부층(11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외부층(120)의 두께(b)는 상기 내부층(110)의 두께(a)의 3배 내지 4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층(110)의 두께(a)는 0.2mm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120)의 두께는 0.6mm(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부층(110)의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강성을 보완한 두께에 해당된다. 상기 내부층(110)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은 비용 및 무게의 절감과 함께 성형성을 좋게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내부층(110)과 상기 외부층(120)이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결합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내부층(110)과 상기 외부층(120)의 결합면이 외부로 노출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 면이 결합된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의 측면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용기 커버(6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용기 본체(100)가 형성하는 저장공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결합부(15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일면을 형성하는 모서리부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50)에는 상기 내부층(110)과 상기 외부층(120)의 결합부분이 노출된다. 서로 다른 재료가 결합되는 경우, 그 결합부분에서 부식가능성이 가장 높다. 또한, 결합부분이 노출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결합이 약해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0)에는, 상기 외부층(120) 또는 상기 내부층(110)을 덮도록 형성된 코팅층(13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코팅층(130)은 상기 결합부(150)를 덮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내부층(110)과 상기 외부층(120)의 결합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130)은 상기 외부층(120)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기 내부층(110), 상기 외부층(120) 및 상기 코팅층(130)이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팅층(130)은 상기 저장 용기(5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130)은 세라믹(Ceramic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은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측에 전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조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용기 본체(100)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를 형성하는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가 마련된다.(S10) 이때, 재료는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을 형성하는 티타늄 및 알루미늄 플레이트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티타늄 시트롤과 알루미늄 시트롤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티타늄 플레이트의 두께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얇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상기 티타늄 플레이트는 가능한 한도 내에서 가장 얇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는 가공 또는 강성을 위한 설계한도 내에서 가장 얇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상기 티타늄 프레이트를 결합한다.(S20) 자세하게는, 두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고온으로 압연하여 결합시키는 합판공정(클래딩, cladding)을 수행한다. 그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와 상기 티타늄 프레이트의 일 면은 압착되어 원자합산에 의해 접합된다.
그리고, 접합된 알루미늅 플레이트와 티타늄 플레이트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S30),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한다.(S40) 즉,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때, 상기 티타늄 플레이트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알루미늄 플레이트가 외부에 위치된다. 즉, 티타늄 내부층(110) 및 알루미늄 외부층(1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의 표면을 처리한다.(S50) 자세하게는, 상기 내부층(110) 및 상기 외부층(12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피막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층(110)에는 티타늄 산화피막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120)에는 알루미늄 산화피막이 형성된다.
그리고, 코팅층(130)을 형성한다(S60). 자세하게는, 상기 외부층(120) 및 상기 결합부(150)에 세라믹을 스프레이 코팅한다. 이와 같은 세라믹 코팅은 외부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내스크레치 특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는 별도로 제작된 용기 커버(60)와 결합되어 저장 용기(50)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별개의 제품 또는 상기 냉장고(1)에 수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V-V'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팅층(140)은 상기 결합부(150)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140)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양 측에 형성된 상기 내부층(110)과 상기 외부층(120)의 결합부(150)를 덮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코팅층(150)은 상기 내부층(110) 및 외부층(120)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140)은 앞서 설명한 코팅층(140)과 같은 외관을 형성하는 기능은 생략되고, 상기 결합부(150)의 부식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140)을 최소화하여 상기 용기 본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14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가공성이 좋고, 내부식성이 강한 재료에 해당된다. 그에 따라, 상기 결합부(150)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0)에서 발생되는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층(120)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코팅층(130, 140)이 형성될 수 있다.
1 : 냉장고 20 : 저장실
50 : 저장 용기 60 : 용기 커버
100 : 용기 본체 110 : 내부층
120 : 외부층 130 : (세라믹) 코팅층
140 : (플라스틱) 코팅층 150 : 결합부

Claims (15)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용기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어 상기 저장공간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층;이 포함되어,
    상기 내부층 및 상기 외부층은 상호 대향하는 면이 서로 원자확산에 의해 밀착되어 접합되고,
    상기 내부층은 티타늄(Titanium)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은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단부와 상기 외부층의 단부를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저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은 상기 내부층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의 두께는 상기 내부층의 두께의 3배 내지 4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두께는 0.2mm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의 두께는 0.6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세라믹(Ceramics)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 상기 외부층 및 상기 코팅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코팅층은 상기 외부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용기 본체의 양 측에 형성된 상기 내부층과 상기 외부층의 결합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포함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결합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내부층 및 외부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12.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저장실; 및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가 포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 용기에는,
    상기 음식물과 접촉되는 내부층 및 상기 내부층과 결합되는 외부층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용기 커버가 포함되고,
    상기 내부층 및 상기 외부층은 상호 대향하는 면이 서로 원자확산에 의해 밀착되어 접합되고,
    상기 내부층은 티타늄(Titanium)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층은 알루미늄(Aluminu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단부와 상기 외부층의 단부를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세라믹(Ceramic) 코팅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 및 상기 외부층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층의 두께는 상기 외부층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공간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 커버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포함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결합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68275A 2018-11-22 2020-06-05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286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75A KR102286391B1 (ko) 2018-11-22 2020-06-05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554A KR102270640B1 (ko) 2018-11-22 2018-11-22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0200068275A KR102286391B1 (ko) 2018-11-22 2020-06-05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554A Division KR102270640B1 (ko) 2018-11-22 2018-11-22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631A KR20200068631A (ko) 2020-06-15
KR102286391B1 true KR102286391B1 (ko) 2021-08-05

Family

ID=71081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275A KR102286391B1 (ko) 2018-11-22 2020-06-05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3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33A (ja) * 1999-12-07 2001-06-19 Myodo Metal Co Ltd 厨房・飲食物用容器およびその表面処理方法
KR100999937B1 (ko) 2010-08-27 2010-12-10 김화식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US20160273821A1 (en) 2012-11-19 2016-09-22 Joakim Schöllin A mobile device for storing and cooling food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728B2 (ja) * 1991-02-19 1999-10-06 北海製罐株式会社 缶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920060B2 (ja) * 1994-02-03 1999-07-19 日本酸素株式会社 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20100078484A (ko) * 2008-12-30 2010-07-0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저장용기
FI20106098A0 (fi) * 2010-10-25 2010-10-25 Jarmo Aurekoski Lentokoneen tarjoiluvaunun jäähdytysratkaisu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33A (ja) * 1999-12-07 2001-06-19 Myodo Metal Co Ltd 厨房・飲食物用容器およびその表面処理方法
KR100999937B1 (ko) 2010-08-27 2010-12-10 김화식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US20160273821A1 (en) 2012-11-19 2016-09-22 Joakim Schöllin A mobile device for storing and cooling food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631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8360B2 (ja) 冷蔵庫
US10907885B2 (en) Refrigerator
CN106275704B (zh) 一种多功能真空储存箱
WO2011147900A2 (en) Sealing system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the sealing system
CN108351154A (zh) 包括门框架和凹入式把手元件的门及包括这种门的家用制冷器具
KR102286391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270640B1 (ko) 저장 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72691A (ko) 김치용기
JP2008133014A (ja) 断熱容器
CN108534425A (zh) 冰箱
EP2422649A1 (en) Split-bodied insulated cavity for a file cabinet
JP2018040542A (ja) 冷蔵庫
KR200494918Y1 (ko) 보냉 가방
JP6887540B2 (ja) 冷蔵庫
KR200428111Y1 (ko) 조미료 용기
KR200295505Y1 (ko) 식품용기의 뚜껑결합구조
KR0117050Y1 (ko) 일회용 사물보관함(disposable storage box for personal thing property)
JPH02254282A (ja) 扉枠
KR200171134Y1 (ko) 김치냉장고
JPS6241180Y2 (ko)
CN114532683A (zh) 一种快速分餐的餐盒
KR20130107650A (ko) 냉장고
JP2002175563A (ja) 自動販売機の断熱仕切板
KR20130110261A (ko) 냉장고
KR2013011026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