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476B1 -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476B1
KR102285476B1 KR1020210040263A KR20210040263A KR102285476B1 KR 102285476 B1 KR102285476 B1 KR 102285476B1 KR 1020210040263 A KR1020210040263 A KR 1020210040263A KR 20210040263 A KR20210040263 A KR 20210040263A KR 102285476 B1 KR102285476 B1 KR 10228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indicator
indicator
hand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578A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
Priority to KR1020210040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4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84Handles or knobs with displays, signs, labels pictur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고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잠금 표시부, 잠금 표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잠금 표시부재 및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하고, 잠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Handle assembly and locking device for window}
본 발명은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창호 등에 장착되고 창호의 개폐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잠금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창호에는 외부 침입을 방지하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장치의 예시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27845호에 개시된 잠금장치가 있다.
종래의 잠금장치는 창호를 닫으면 자동으로 잠금 설정이 이루어지고, 창호를 열기 위해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잠금 설정이 해제되면서 개방된다. 다만, 종래의 잠금장치는 손잡이를 회전시킨 상태로 손잡이가 설치된 창호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키지 않으면 창호의 잠금 설정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작동 방식의 잠금장치는 사용자가 잠금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잠금 상태임에도 잠금이 해제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임에도 잠금 설정이 해제된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 사용자는 잠금 상태에서 창호를 여는 방향으로 손잡이에 힘을 가할 수 있어 손잡이 및 잠금장치의 내구성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노약자 등의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다. 반대로 잠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 동작을 완료한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 보안 및 냉난방비의 추가 발생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잠금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내구성을 지니며,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잠금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창호에 설치되고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체에 있어서, 손잡이와 결합되는 조립체 케이스, 상기 조립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잠금 표시부, 상기 잠금 표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잠금 표시부재 및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감지부재가 상기 창호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와 상기 잠금 해제 상태가 구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이동 방향과 상기 잠금 감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기 잠금 표시부재의 이동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타측에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잠금 표시부재가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손잡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잠금 표시부재가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부가 상기 관통공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수용 홈 및 제2 돌출부를 가압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틀 감지부재를 포함하는 창호용 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조립체는,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는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작동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는 중앙부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중앙 홈, 상기 중앙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고정 돌출부, 창호틀을 포함하는 외부와 직접 접촉하여 창호틀 감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 조립체 및/또는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잠금 상태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 및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불필요한 외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및 잠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잠금 상태를 오인하여 조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대형 창호의 경우에는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하고, 비교적 느린 움직임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창호가 완전한 잠금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안상의 문제 또는 냉난방비의 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전원 등 별도의 동력원 없이 반영구적으로 잠금 상태 표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부품의 내구성은 향상되고 제조 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가 명확히 구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간명하게 잠금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잡이의 조작과 연동하여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전환되므로 손잡이 조립체의 고장을 발견하기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쉬워질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와 창호용 잠금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를 든 것이고, 이를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문서에 기재된 각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대체물 및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조합된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권리 범위는 이하에 제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은, 문맥상 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 한, 복수의 동종 대상들을 지칭함에 있어 한 대상을 다른 대상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대상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잠금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으나, 이는 해당 구성요소가 그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잠금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와 창호용 잠금장치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0)는, 복수의 부품들이 내부에서 상호 작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또는 홈이 형성된 케이스(101), 케이스(101)와 결합할 수 있는 케이스 커버(102),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는 작동기어(110), 작동기어(110)와 연동하는 푸시 아암(130)과 제1 슬라이드부재(150) 및 제2 슬라이드부재(160), 제1 및 제2 슬라이드부재(150, 160)와 각각 연동하여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901, 902)와 직접 상호 작용하는 제1 및 제2 잠금부재(170, 180), 창호틀 감지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어(110)는 회전부(112), 회전부(112)에 형성된 회전축공(111), 회전부(112)의 일 측에 형성되는 제1 기어 돌출부(316),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기어 돌출부(117), 제1 기어 돌출부(116)와 인접한 제1 구동기어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12)에는 손잡이 조립체(200)의 작동 바(251)와 연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회전축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01)를 회전시키면 회전부(112)를 포함하는 작동기어(110) 전체가 회전하게 되고 제1 및 제2 기어 돌출부(116, 117) 및 제1 구동기어부(119)가 연동하는 부품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회전부(112)는 회전축공(111)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 아암(130)은 케이스(101)에 푸시 아암(130)을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아암 고정부(131), 작동기어(110)의 제1 구동기어부(119)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구동기어부(133), 스트라이커 또는 창호틀과 접하여 이격시킬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는 롤러(139), 롤러고정핀(138) 및 롤러(139)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롤러고정부(137)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창호틀을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재(150)는 작동기어(110)의 제1 기어 돌출부(116)와 상호작용하여 제1 슬라이드부재(150)가 소정의 방향 및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슬라이드부(151), 제1 슬라이드 탄성부재(159) 및 제1 잠금부재(170)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잠금 돌출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부(151)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기어 돌출부(116)와 연속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슬라이드 탄성부재(159)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1 슬라이드부재(150)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단일 부품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70)는 케이스(101)에 제1 잠금부재(170)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잠금부재 고정부(171), 제1 후크 지지부(173), 제1 잠금부재(170)의 회전 운동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잠금 탄성부재(175), 제1 슬라이드부재(150)의 제1 잠금 돌출부(157)와 상호작용하여 제1 잠금부재(17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잠금홈(177), 및 제1 스트라이커(901)에 형성된 제1 대응부(903)와 상호작용함으로써 창호의 잠금 또는 잠금의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제1 후크부(17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 지지부(173)는 제1 스트라이커(901)의 외부면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제1 잠금부재(170)의 회전축인 제1 잠금부재 고정부(171)를 기준으로 제1 후크부(179)보다 더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잠금 탄성부재(175)는 제1 잠금부재 고정부(171)를 중심으로 설치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며, 제1 잠금부재(170)를 소정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라이드부재(160) 및 제2 잠금부재(180)도 제1 슬라이드부재(150) 및 제1 잠금부재(170)와 각각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창호틀 감지부재(190)는 중앙부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중앙 홈(191), 중앙 홈(191)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192),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미리 정해진 직선 운동만 가능하도록 케이스(101)의 대응 가이드 홈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고정 돌출부(193), 잠금 감지부재(237)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작동 돌출부(195), 창호틀 또는 스트라이커 등과 직접 접촉하여 창호틀 감지부재(190)를 이동 시키는 접촉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아암 고정부(13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부(103), 손잡이 조립체 고정부(271)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105), 제1 잠금부재 고정부(17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부(106), 제2 잠금부재 고정부(18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수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손잡이 조립체(200)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 홈(123), 고정 돌출부(193)를 수용하는 가이드 홈(124), 손잡이 조립체(200)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돌기(125),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19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 수용 홈(127)을 포함 할 수 있다.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192)는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 수용 홈(127)과 창호틀 감지부재(190)의 중앙 홈(191)에 각각 일부가 고정되어 작동할 수 있다.
케이스 커버(102)는 제1 내지 제4 결합부(103, 105, 106, 108)에 대응되는 위치 및 원형 홈(1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102)는 돌출 형성된 회전부(112)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원형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잠금장치(100)의 잠금 상태에서는 창호틀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스트라이커(901, 902)에 제1 및 제2 잠금부재(170, 180)가 각각 해제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창호의 잠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잠금부재(17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잠금홈(177)은 제1 잠금 돌출부(157)와 정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해제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1 잠금홈(177)과 제1 잠금 돌출부(157)가 서로 정합하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제1 후크부(179)와 제1 스트라이커(901) 가 해제되지 않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200)는, 손잡이(201), 제1 및 제2 조립체 케이스(211, 215), 잠금 상태를 표시하도록 복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210),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237), 작동 바(251) 및 손잡이 조립체 고정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01)는 작동 바(251)와 연동될 수 있으며, 손잡이(201)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 바(251)가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바(251)는 잠금장치(100)의 회전축공(111)과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잡이(201)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기어(11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조립체 케이스(211)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잠금 표시부(2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조립체 케이스(215)와 결합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213)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관통된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자물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 표시부(213)가 포함됨으로써 제1 조립체 케이스(211)의 후면에 배치되는 잠금 표시부재(210)의 일부가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213)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형상 등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질감, 점자 등의 촉각적인 표현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2 조립체 케이스(215)는 잠금 표시부재(210)가 왕복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가이드 홈(219) 및 잠금 표시 탄성부재(218)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조립체 케이스(216)도 제2 조립체 케이스(215)와 결합될 수 있고, 잠금 감지부재 고정부(231)와 결합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237)는 잠금 감지부재 고정부(231)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잠금 감지부재(237)의 위치에 따라 잠금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237)는 일단에 잠금장치(100)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경사면(235)을 포함할 수 있고, 타단에 잠금 표시부재(210)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제2 경사면(23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감지부재(237)는 잠금 감지부재(237)가 하나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233) 및 잠금 감지 탄성부재(233)가 고정될 수 있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 수용 홈(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210)는 잠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212), 잠금 표시부재(210)가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218), 잠금 표시 탄성부재(218)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 고정부(217) 및 잠금 감지부재(237)의 제1 경사면(235)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214)는 제1 경사면(235)과 연속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면(212)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갖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상, 형상, 질감 등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210)는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210)의 이동에 따른 위치에 의하여 잠금 표시부재(210)의 특정 영역이 잠금 표시부(213)를 통해 사용자의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0)와 손잡이 조립체(200)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잡이 조립체(200)의 잠금 감지부재(237)는 복수의 가이드 돌기(125) 사이로 삽입되어 작동 돌출부(195)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손잡이 조립체(200)의 작동 바(251)는 잠금장치(100)의 회전축공(111)과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작동 바(251)는 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회전축공(111)은 다양한 각도에서 작동 바(251)와 결합될 수 있도록 8개의 꼭지점을 갖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손잡이 조립체(200)의 손잡이 조립체 고정부(271)는 케이스(101)에 형성된 제3 결합부(105)와 결합되어 잠금장치(100)와 손잡이 조립체(2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0)와 손잡이 조립체(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도면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손잡이 조립체(200)의 외관(좌측)과 그 단면도(우측)를 포함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손잡이 조립체(200)의 잠금 표시부(213)는 제1 영역으로 표시되며, 잠금 상태가 표시된다. 잠금 상태에서는, 손잡이 조립체(200)의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창호틀 또는 스트라이커와 상호작용하는 접촉부(197)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가압된 상태에서는 작동 돌출부(195)가 내측으로 완전히 수용되게 되므로 작동 돌출부(195)와 상호작용하는 잠금 감지부재(237)가 작동 돌출부(195)에 의하여 밀려 이동하게 된다. 작동 돌출부(195)는 잠금 감지부재(237)의 제2 경사면(238)과 맞닿은 상태로 상호작용하므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된 작동 돌출부 경사면(1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237)가 밀려 이동하게 되면 잠금 감지부재(237)의 제1 경사면(235)과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214)가 상호작용하면서 잠금 표시부재(210)가 일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잠금 표시부재(210)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218)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작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210)와 잠금 표시부(213)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서 잠금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면(212)의 제1 영역이 잠금 표시부(21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도 8의 (b) 및 (c)를 참조하여 잠금 해제 상태가 표시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손잡이 조립체(200)의 잠금 표시부(213)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선을 포함하여 표시되며,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의 중간 상태가 표시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손잡이 조립체(200)의 잠금 표시부(213)는 제2 영역으로 표시되며, 잠금 해제 상태가 표시된다.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창호틀 또는 스트라이커와 상호작용하는 접촉부(197)가 더 이상 가압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 조립체(200)의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192)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장치(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작동 돌출부(195)와 상호작용하는 잠금 감지부재(237)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2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 감지 탄성부재(2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도 8의 (b) 및 (c)의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237)가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잠금 감지부재(237)의 제1 경사면(235)과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214)가 상호작용하면서 잠금 표시부재(210)가 잠금 표시 탄성부재(218)가 제공하는 탄성력의 작용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표시부재(210)와 잠금 표시부(213)의 상대적 위치가 새롭게 결정됨에 따라서 잠금 해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면(212)의 영역이 잠금 표시부(21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 조립체 및/또는 잠금장치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잠금 상태를 먼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 및 잠금장치에 가해지는 불필요한 외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 및 잠금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잠금 상태를 오인하여 조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대형 창호의 경우에는 조작에 큰 힘이 필요하고, 비교적 느린 움직임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창호가 완전한 잠금 상태에 도달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안상의 문제 또는 냉난방비의 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전원 등 별도의 동력원 없이 반영구적으로 잠금 상태 표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부품의 내구성은 향상되고 제조 비용은 저감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잠금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상이한 구조의 손잡이 조립체(30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잠금장치(100)와 관련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3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조립체(300)는, 제1 및 제2 손잡이 부품(301, 302), 제1 및 제2 조립체 케이스(311, 315), 잠금 상태를 표시하도록 복수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350),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237), 잠금 감지부재 고정부(331), 손잡이 탄성부재(381), 손잡이 고정부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손잡이 부품(301, 302)는 서로 결합하여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고, 손잡이 고정부재(370)와 고정된다. 손잡이 고정부재(370)는 작동 바(379)와 연동될 수 있으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 바(379)가 회전될 수 있다. 작동 바(379)는 잠금장치(100)의 회전축공(111)과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작동기어(11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조립체 케이스(311)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잠금 표시부(3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조립체 케이스(315)와 결합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313)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관통된 부분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자물쇠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잠금 표시부(313)가 포함됨으로써 제1 조립체 케이스(311)의 후면에 배치되는 잠금 표시부재(350)의 일부가 사용자의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313)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색상, 형상 등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질감, 점자 등의 촉각적인 표현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2 조립체 케이스(315)는 잠금 표시부재(350)가 왕복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가이드 홈(31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고정부재(37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손잡이 회전 가이드 홈(3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재(370)는 손잡이와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손잡이 체결부(371), 손잡이 회전 가이드 홈(317)에 수용될 수 있고, 손잡이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손잡이 회전 돌출부(374), 손잡이 탄성부재(381)가 수용되는 손잡이 탄성부재 홈(372), 잠금 표시부재(350)의 제2 돌출부(359)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수용 홈(375) 및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337)는 잠금 감지부재 고정부(331)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잠금 감지부재(337)와 잠금 표시부재(350)의 상호작용의 결과에 따라 잠금 상태를 구별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337)는 일단에 잠금장치(100)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경사면(338)을 포함할 수 있고, 타단에 잠금 표시부재(350)의 제1 돌출부(351)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관통공(33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잠금 감지부재(337)는 잠금 감지부재(337)가 하나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333) 및 잠금 감지 탄성부재(333)가 고정될 수 있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 수용 홈(3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는 잠금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면(357), 잠금 표시부재(350)가 왕복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355), 잠금 감지부재(337)의 관통공(339)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 돌출부(351) 및 제1 돌출부(351)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353), 손잡이 고정부재(370)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2 돌출부(3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51)는 잠금 감지부재(337)의 관통공(339)에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표시면(357)은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을 갖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상, 형상, 질감 등을 갖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는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의 이동에 따른 위치에 의하여 잠금 표시부재(350)의 특정 영역이 잠금 표시부(313)를 통해 사용자의 육안 또는 촉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의 (a) 내지 (c)의 상부에 도시된 도면은 손잡이 조립체(300)의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하부에 도시된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잠금 감지부재(337)가 위치한 부분의 단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잠금 상태에서 손잡이 조립체(300)의 잠금 표시부(313)는 잠금 상태를 의미하는 영역으로 표시된다. 손잡이를 회전시켜 손잡이 고정부재(37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 고정부재(370)의 잠금 표시부재 수용 홈(375) 및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373)도 함께 회전된다. 잠금 표시부재 수용 홈(375)에 수용되는 잠금 표시부재(350)의 제2 돌출부(359)는 손잡이 고정부재(370)의 회전으로 인하여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373)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59)의 가압으로 인하여 잠금 표시부재(350)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355)가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의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353)가 관통공(339) 내부로 진입할 때, 마찰을 줄여 보다 매끄러운 이동이 될 수 있도록 잠금 감지부재(337)의 관통공(339) 일측에는 관통공 경사면(335)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353)의 일측에는 관통공 경사면(335)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된 후크부 경사면(353a)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제1 돌출부(3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단차부(353b)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의 제1 돌출부(351)가 관통공(339)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353)가 관통공(339)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잠금 감지 탄성부재(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잠금 감지부재(337)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3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잠금 표시부재(350)와 잠금 감지부재(337)가 서로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의 잠금 표시부재(350)의 위치와 잠금 표시부(313)의 상대적 위치가 새롭게 결정되며 잠금 해제 상태를 의미하는 표시면(357)의 영역이 잠금 표시부(313)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확인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와 잠금 감지부재(337)가 서로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손잡이의 회전과 무관하게 잠금 해제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시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잠금장치(100)의 창호틀 감지부재(190)가 가압되고, 잠금 감지부재(337)가 창호틀 감지부재(190)와 상호작용 할 수 있다. 잠금 감지부재(337)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333)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도 10의 (a) 내지 (c)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353)에 의한 잠금 표시부재(350)와 잠금 감지부재(337)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잠금 표시부재(350)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35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다시 손잡이 조립체(300)의 잠금 표시부(313)는 잠금 상태를 의미하는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가 명확히 구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간명하게 잠금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잡이의 조작과 연동하여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전환되므로 손잡이 조립체의 고장을 발견하기 용이하여 유지 보수가 쉬워질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로 나타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이고, 그 등가개념에서 파생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한 형태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잠금장치 110: 작동기어
130: 푸시 아암 150: 슬라이드부재
170: 잠금부재 901: 스트라이커
200: 손잡이 조립체

Claims (9)

  1. 창호에 설치되고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체에 있어서,
    손잡이와 결합되는 조립체 케이스;
    상기 조립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잠금 표시부;
    상기 잠금 표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잠금 표시부재; 및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잠금 표시부재가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일단에 형성된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는, 일측에 상기 관통공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되는 후크부 경사면과, 타측에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가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후크부 경사면은 상기 관통공 경사면을 일측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잠금 감지부재를 상기 창호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손잡이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상기 잠금 감지부재가 하나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감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 후크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상기 잠금 감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단차부에 의해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상기 잠금 표시부의 상기 잠금 상태는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손잡이 조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결합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손잡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수용 홈 및 상기 제2 돌출부를 가압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잠금 표시부재 가압부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잠금 표시부의 상기 잠금 상태가 상기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손잡이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상기 조립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이동 방향과 상기 잠금 감지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은 서로 상이한 손잡이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기 잠금 표시부재의 이동 방향은 서로 수직인 손잡이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별되는 손잡이 조립체.
  7. 제1항의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틀을 포함하는 외부에 직접 접촉하는 창호틀 감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감지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는,
    상기 잠금 감지부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작동 돌출부와,
    중앙부에 탄성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중앙 홈과,
    상기 중앙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창호틀 감지 탄성부재와,
    상기 창호틀 감지부재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고정 돌출부와,
    상기 창호틀을 포함하는 외부와 직접 접촉하여 창호틀 감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창호용 잠금장치.
  9. 창호에 설치되고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손잡이 조립체에 있어서,
    손잡이와 결합되는 조립체 케이스;
    상기 조립체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잠금 표시부;
    상기 잠금 표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잠금 표시부재; 및
    상기 잠금 표시부재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창호의 잠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잠금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감지부재가 상기 창호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잠금 상태와 상기 잠금 해제 상태가 구별되며,
    상기 잠금 감지부재는, 일측에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타측에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 표시부재는, 상기 잠금 표시부재가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표시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경사면과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잠금 표시부재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조립체.
KR1020210040263A 2019-12-30 2021-03-29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KR10228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263A KR102285476B1 (ko) 2019-12-30 2021-03-29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139A KR102235458B1 (ko) 2019-12-30 2019-12-30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210040263A KR102285476B1 (ko) 2019-12-30 2021-03-29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139A Division KR102235458B1 (ko) 2019-12-30 2019-12-30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578A KR20210086578A (ko) 2021-07-08
KR102285476B1 true KR102285476B1 (ko) 2021-08-04

Family

ID=754663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139A KR102235458B1 (ko) 2019-12-30 2019-12-30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KR1020210040263A KR102285476B1 (ko) 2019-12-30 2021-03-29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139A KR102235458B1 (ko) 2019-12-30 2019-12-30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35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560B1 (ko) * 2022-02-14 2024-03-08 주식회사 대동윈테크 푸시열림기능을 가진 도어 잠금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35B1 (ko) 2012-05-22 2012-07-25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518B1 (ko) * 2018-08-23 2022-11-29 (주)엘엑스하우시스 잠금 여부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창호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835B1 (ko) 2012-05-22 2012-07-25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458B1 (ko) 2021-04-02
KR20210086578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6643C (en) Pick resistant sash lock
US20110289987A1 (en)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KR102285476B1 (ko)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US20030033839A1 (en) Mortise latch apparatus
KR101196135B1 (ko) 도어록 장치
KR102183385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US11346128B2 (en) Magnetic door-operating assembly with status indicator
KR102612560B1 (ko) 잠금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핸들
CN108005489B (zh) 一种智能锁
KR101895216B1 (ko) 도어록용 모티스
KR102452891B1 (ko) 창호용 잠금장치
CN112888830B (zh) 具有第一锁定机构和第二锁定机构的摆动手柄布置
KR102237080B1 (ko) 손잡이 조립체 및 창호용 잠금장치
KR101878461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의 핸들 샤프트 연결 구조
KR20160016112A (ko) 로테이터블 래치볼트를 갖는 도어락
EP2171187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comprising a selector
KR20090002342A (ko) 드럼세탁기
JP4220540B2 (ja) 錠装置および建具
KR101057529B1 (ko) 투 포인트 타입 도어 로킹 장치
KR102136225B1 (ko) 인디케이터형 도어락
KR101900151B1 (ko) 매립형 도어락 유닛
KR102183383B1 (ko) 잠금확인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4769751B2 (ja) 引戸錠装置
KR101383622B1 (ko) 푸쉬-풀 도어락의 안전 잠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