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34B1 -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234B1
KR102285234B1 KR1020210019749A KR20210019749A KR102285234B1 KR 102285234 B1 KR102285234 B1 KR 102285234B1 KR 1020210019749 A KR1020210019749 A KR 1020210019749A KR 20210019749 A KR20210019749 A KR 20210019749A KR 102285234 B1 KR102285234 B1 KR 10228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livestock manure
work table
pressing
compress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신
구재일
구슬기
구재성
Original Assignee
구경신
구재일
구슬기
구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신, 구재일, 구슬기, 구재성 filed Critical 구경신
Priority to KR102021001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 작업이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의 환경을 개선하며 가축분뇨의 대형화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는 가축분뇨 투입부(12)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가축뇨 배출부(13)와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형분 배출부(14)로된 작업부(11)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100)가 형성된 원판형의 작업테이블(10); 각 작업부(10)에서 내부에 가축분뇨가 투입되는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에서 작업테이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된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시켜 가축뇨를 배출시키는 제1누름판(32)과 상기 고형분 배출부로 이동된 압축용기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가압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누름판(3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각 압축용(22)에 가축분뇨를 공급하는 공급관(42)이 복수개 설치된 가축분뇨 공급호퍼(4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 설치된 배출가이드판(140)을 통해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Solidification automatic device for livestock manure}
본 발명은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 작업이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져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작업의 환경을 개선하며 가축분뇨의 대형화 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1일 평균 축산분뇨 발생량은 193,000톤으로 총 오폐수 발생량 기준의 1%, BOD기준 오염부하량은 15%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축산분뇨는 발생량 대부분이 정화방법으로 처리되어 하천이나 강 등의 수계로 배출되거나 퇴비화, 액비화 등으로 일부가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퇴비화의 경우에는 퇴비화시 수분 조절재인 톱밥의 가격이 비싸고 시설운영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축산농가의 시설관리 기술 부족 등의 이유로 가동 중인 시설이 극히 제한되고 있으며 일부농가에서는 축산퇴비에 비해 값싸고 사용이 편리한 화학비료를 선호하는 한편 퇴비생산업자는 생산비가 높아 적자를 보고 있는 현실이다.
한편, 최근에는 퇴비를 액비화하려는 시도는 있지만 아직까지 기술이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작업이 어려우며 저장시설 설치 및 운반 차량, 살포작업의 불편으로 이용농가의 관심이 저조한 상태이다.
특히 미숙액비 사용시에는 악취발생 등으로 인근주민의 민원을 야기할 수 잇으며 액비의 속성부숙을 위하여 발효촉진제를 사용하는 농가의 경우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과비시에는 토양의 염류집적, 지하수의 오염 및 암모니아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축분뇨를 자원화하기 위한 방법은 가축분뇨를 고형화시켜 퇴비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종래의 가축분뇨를 고형화시키기 위한 장치들은 설치를 위한 소유 부지면적이 넓어야 하며 복잡한 구조의 설치와 사용이 용이하지 않고 고형분의 함수율이 높아 양질의 고형분을 얻어내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0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308호
(특허문헌 02)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8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장소의 부지면적에 제약이 없이 소형화 또는 대형화가 가능하며 가축분뇨의 공급, 액상의 가축뇨 분리, 고형화된 가축분뇨의 배출 작업들이 모두 자동화로 이루어져 낮은 함수율과 크기가 일정한 고품질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제조할 수 있고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작업의 효율을 높이며 작업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는 가축분뇨 투입부(12)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가축뇨 배출부(13)와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형분 배출부(14)로된 작업부(11)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100)가 형성된 원판형의 작업테이블(10);
각 작업부(10)에서 내부에 가축분뇨가 투입되는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에서 작업테이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된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시켜 가축뇨를 배출시키는 제1누름판(32)과 상기 고형분 배출부로 이동된 압축용기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가압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누름판(3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각 압축용(22)에 가축분뇨를 공급하는 공급관(42)이 복수개 설치된 가축분뇨 공급호퍼(4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 설치된 배출가이드판(140)을 통해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부지의 면적에 따라 소형화, 대형화 모두 용이하고, 가축분뇨를 고형화시키는 과정에서 가축분뇨의 공급, 액상의 가축뇨 분리, 가축분뇨 고형물 배출 등의 작업이 자동화 공정으로 수행되어 함수율이 낮고 크기가 일정한 고품질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얻을 수 있게 하며, 가축분뇨의 고형화 처리작업이 효율성있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작업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축분뇨의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고 가축분뇨를 퇴비 또는 열료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환경오염을 막고 가축분뇨의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작업테이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작업테이블 하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회전체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가압체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의 누름판 상세도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는 가축분뇨 투입부(12)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가축뇨 배출부(13)와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형분 배출부(14)로된 작업부(11)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100)가 형성된 원판형의 작업테이블(10);
각 작업부(10)에서 내부에 가축분뇨가 투입되는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에서 작업테이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된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시켜 가축뇨를 배출시키는 제1누름판(32)과 상기 고형분 배출부로 이동된 압축용기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가압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누름판(3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고 각 압축용(22)에 가축분뇨를 공급하는 공급관(42)이 복수개 설치된 가축분뇨 공급호퍼(4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 설치된 배출가이드판(140)을 통해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분뇨의 공급과 가축분뇨(소똥, 돼지똥)로부터 액상의 가축뇨를 분리하고 가축분뇨를 고형화시켜 배출시키며 가축분뇨 고형분을 여러개씩 동시에 만들어내는 작업들이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작업테이블(10), 회전체(20), 가압체(30), 가축분뇨 공급호퍼(40), 이송컨베이어(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테이블(10)은 원형이며 상부가 평평한 면을 갖는 원판형의 형상이며 하부에 복수의 지지대(100)가 설치되고, 가장자리측 둘레를 따라 가축분뇨를 고형화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부(11)가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각 상기 작업부(11)는 가축분뇨 투입부(12)와, 가축분뇨 배출부(13)와, 고형분 배출부(14)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는 작업테이블(10) 상에 각 압축용기(22)가 안착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각 압축용기(22)의 하부를 막아줄 수 있게 작업테이블(10) 상의 임의의 공간인 것으로 가축분뇨 투입부(12)에는 각 압축용기(22)가 안착되고 압축용기(22)의 하부를 가축분뇨 투입부(12)가 막아주는 상태이므로 각 압축용기(22) 내로 가축분뇨가 투입된 후, 셋팅된 시간동안 가축분뇨가 공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는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의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가축분뇨가 내부에 공급된 압축용기(22)에서 액상의 가축뇨가 작업테이블(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는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의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상기 작업테이블(10)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는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이 배출될 수 있게 상기 압축용기(22)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배출가이드판(140)이 설치되며, 각 상기 배출가이드판(140)은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부에서 소정높이로 연장된 수직판(140p)과 수직판(140p의 하단에서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50)의 상부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140s)으로 이루어져 각 배출가이드판(140)을 통해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은 이송컨베이어(50) 상부로 낙하된 후 이송컨베이어(50)를 타고 이송이 이루어진다.
각 상기 작업부(11)는 가축분뇨 투입부(12)와, 가축분뇨 배출부(13)와, 고형분 배출부(14)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작업부(11)는 작업테이블(10)에서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분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들은 작업테이블(10)에서 전체적으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각 작업부(10)에서 상기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봉(21), 복수의 압축용기(22), 복수의 고정바(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봉(21)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통상의 동력수단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봉(21)은 미리 셋팅된 시간에 맞혀 회전 작동되어 각 압축용기(22)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용기(22)는 가축분뇨의 투입과 가축분뇨 고형분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이며 각 작업부(11)에 하나씩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회전봉(21)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압축용기(22)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바(23)에 의해 상기 회전봉(21)과 연결되어 각 작업부(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21)의 회전 작동에 의해 각 작업부(11)의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로 순차 이동되는 구성이다.
상기 압축용기(22)는 상단부가 내부공간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에 가축분뇨의 투입이 용이할 수 있게 하며, 둘레부의 내측으로는 하부가 개방된 배수공간부(220)가 형성되고, 내측면 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으며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배수홈(221)이 배수공간부(220)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가축분뇨로부터 분리되는 가축뇨가 각 배수홈(221)을 통해 상기 배수공간부(220)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각 배수홈(211)은 상기 배수공간부(220)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가축뇨의 배출시 고형상태의 가축분의 배출은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용기(22)는 상기 배수공간(220)으로 유입된 액상의 가축뇨가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에서 원활하게 모두 배출될 수 있게 외경은 상기 가축뇨 배출부(13)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형성되고, 내경은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상기 고형분 배출부(14) 보다 작은 직경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바(23)는 복수개가 상기 회전봉(21)과 상기 압축용기(22)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압축용기(22)를 지지하고 상기 회전봉(21)의 회전 작동에 의해 압축용기(22)를 각 작업부(11)의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되게 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체(30)는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와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로 상기 압축용기(22)가 이동되어 지면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시켜 가축뇨의 배출과 가축분뇨 고형분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승하강지지대(31), 제1누름판(32), 제1가압바(33), 제2누름판(34), 제2가압바(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지지대(31)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관통되어 수직하게 설치되며 통상의 실린더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테이블(10)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상기 승하강지지대(31)는 미리 셋팅된 시간에 맞혀 상승 또는 하강하여 각 제1누름판(32)과 제2누름판(34)이 각 압축용기(22) 내부를 가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누름판(32)은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의 일정높이 상측으로 위치되며 일단은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누름판(32)에 고정되는 제1가압바(33)에 의해 상기 승하강지지대(31)와 연결되어 승하강지지대(31)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제1누름판(32)이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되어진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하여 액상의 가축뇨가 상기 압축용기(22) 내부에서 분리된 후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를 통해 작업테이블(10)의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압축용기(22) 내부의 가축분뇨는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에서 액상의 가축뇨가 분리되어 배출되면서 함수율이 낮아져 고형화가 된다.
상기 제1누름판(32)은 상기 압축용기(22)의 내부로 원활하게 인출입되고, 압축용기(22) 내부의 가축분뇨를 용이하게 가압시킬 수 있게 압축용기(22)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형의 직경을 갖으며 하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가압효율을 높이기 위해 십자형의 돌출부(3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부에는 각 제1누름판(32)의 가압으로 압축용기(22)에서 분리되어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의 가축뇨가 수집되게 각 가축뇨 배출부(13)의 하측에 가축뇨수집통(60)이 설치된다.
상기 제2누름판(34)은 상기 제1누름판(32)과 동일 형상이며,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일정높이 상측으로 위치되되, 상기 제1누름판(32) 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상측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2누름판(34)에 고정되는 제2가압바(35)에 의해 상기 승하강지지대(31)와 연결되어 승하강지지대(31)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제2누름판(34)이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를 거쳐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로 이동되어진 상기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를 통해 가축분뇨 고형분이 작업테이블(10)의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1누름판(32)의 하부면에는 가축분뇨의 함수율이나 가축분의 모양 형성을 위한 압축상황에 따라 단면 반원형 형태의 누름편(32a) 또는 단면 삼각형 형태의 누름편(32b) 또는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봉의 형태인 누름편(32c) 복수개가 누름판(20)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누름판(32)의 하부면에 상기 누름편(32a) 또는 누름편(32b) 또는 누름편(32c)을 탈착시키는 방법은 각 누름편의 상부면과 제1누름판(32)의 하부면에 상호간에 대응되는 요입홈 및 돌출부를 형성시켜 각 요입홈과 돌출부를 결합시키는 통상적인 결합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6 참조)
각 상기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는 상기 승하강지지대(31)와 각 제1누름판(32) 및 제2누름판(34)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끝단부가 하부를 향해 절곡되고 끝단부에 각 상기 제1누름판(32)과 제2누름판(34)이 고정됨으로써 각 제1누름판(32)과 제2누름판(34)을 지지하고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승하강 작동에 의해 각 제1누름판(32)과 제2누름판(34)이 상기 가축뇨 배출부(13) 또는 고형분 배출부(14)로 이동되어진 압축용기(22) 내의 내용물을 가압하게 하여 액상의 가축뇨의 분리 또는 가축분뇨 고형물의 배출이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각 제1누름판(32)과 제2누름판(34)으로 가압시 각 상기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에는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외주연에서 각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의 내측 단부까지 연장된 판형상의 보강판(36)이 설치된다.
상기 가축분뇨 공급호퍼(4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각 압축용기(22)에 가축분뇨를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가축분뇨와 함께 혼합되는 흙, 톱밥, 볏집 등의 투입물을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는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흙, 톱밥, 볏집 등이 혼합된 가축분뇨를 각 압축용기(22)에 일정량씩 동시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41)이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5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 하부측이며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 설치되는 배출가이드판(140)의 단부방향 하부측으로 설치되어 각 배출가이드판(140)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을 정해진 수거장소나 수거함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체(20), 가압체(30), 가축분뇨 공급호퍼(40)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미리 셋팅된 시간에 맞혀 가축분뇨의 공급 동작, 압축용기(22)의 이동 동작, 각 제1,2누름판(32,34)의 승하강 동작들이 순차적으로 자동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를 이용하여 가축분뇨의 고형분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가축분뇨 공급호퍼(40)에서는 각 작업부(11)의 가축분뇨 투입부(12) 상에 안착되어 있는 각 압축용기(22)에 일정량씩 가축분뇨를 동시에 공급하고 각 상기 압축용기(22)에 가축분뇨가 공급되면, 상기 회전체(20)가 회전 작동하여 회전체(20)와 연결된 각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에서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시킨다. 각 압축용기(22)가 각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되면 상기 가압체(30)가 하강 작동하면서 가압체(30)와 연결된 각 제1누름판(32)이 함께 하강하여 각 압축용기(22) 내부에 공급된 가축분뇨를 가압하고, 가축분뇨는 제1누름판(32)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축분뇨에서 액상의 가축뇨가 압축용기(22)에서 분리된 후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를 통해 작업테이블(10)의 하부에 마련된 가축뇨 수집통(60)으로 수집되며 압축용기(22)내의 가축분뇨는 액상의 가축뇨가 분리 되면서 함수율이 낮아져 고형화되게 된다.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상에서 가축분뇨의 가압으로 가축분뇨의 고형화 작업후에는 상기 가압체(30)가 상승 작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회전체(20)는 다시 회전 작동하여 각 압축용기(22)를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로 이동시킨다.
그후, 상기 고형분 배출부(14)로 각 압축용기(22)가 이동되면 상기 가압체(30)가 다시 하강 작동하면서 각 제2누름판(34)이 함께 하강하여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하부로 밀어내 각 고형분 배출부(14)를 통해 가축분뇨 고형분이 작업테이블(10)의 하부로 배출된 후 이송컨베이어(50)를 타고 미리 마련된 수거장소나 수거함으로 수거되게 된다.
상기 고형분 배출부(14) 상에서 가축분뇨 고형분의 배출이 이루어진 후에는 회전체(20)의 회전 작동으로 각 상기 압축용기(22)가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로 이동되어 가축분뇨의 고형분 제조작업이 반복적으로 자동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게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작업테이블
11-작업부 12-가축분뇨 투입부
13-가축뇨 배출부 14-고형분 배출부
100-지지대
20-회전체
21-회전봉 22-압축용기
23-고정바 220-배수공간부
221-배수홈
30-가압체
31-승하강지지대 32-제1누름판
33-제1가압바 34-제2누름판
35-제2가압바 36-보강판

Claims (5)

  1. 가축분뇨 투입부(12)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가축뇨 배출부(13)와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된 고형분 배출부(14)로된 작업부(11)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되고 하부에 다수의 지지대(100)가 형성된 원판형의 작업테이블(10);
    각 작업부(10)에서 내부에 가축분뇨가 투입되는 압축용기(22)를 상기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에서 작업테이블(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게 설치되는 회전체(20);
    상기 가축뇨 배출부(13)로 이동된 압축용기(22) 내의 가축분뇨를 가압시켜 가축뇨를 배출시키는 제1누름판(32)과 상기 고형분 배출부로 이동된 압축용기 내의 가축분뇨 고형분을 가압시켜 하부로 배출시키는 제2누름판(34)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각 압축용기(22)에 가축분뇨를 공급하는 공급관(41)이 복수개 설치된 가축분뇨 공급호퍼(40);
    상기 작업테이블(10)의 하측에 설치되어 각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하단에 설치된 배출가이드판(140)을 통해 배출되는 가축분뇨 고형분을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수직설치되어 작업테이블(10)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봉(21)과,
    내부에 가축분뇨가 투입되게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이며 각 상기 작업부(11)에 안착되어 각 작업부(11)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압축용기(22)와,
    일단은 상기 회전봉(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용기(22)에 고정되어 압축용기(22)를 상기 작업부(11)의 가축분뇨 투입부(12), 가축뇨 배출부(13), 고형분 배출부(14) 순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고정바(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체(30)는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중앙부에 수직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지지대(31)과,
    일단은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의 상측으로 위치하는 제1누름판(32)의 상부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가압바(33)와,
    일단은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고형분 배출부(14)의 상측이며 상기 제1누름판(32) 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제2누름판(34)의 상부면에 타단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2가압바(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판(32)의 하부면에는 단면 반원형 형태의 누름편(32a) 또는 단면 삼각형 형태의 누름편(32b) 또는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봉의 형태인 누름편(32c) 복수개가 누름판(20)의 하부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는 제1,2누름판(32,34)이 설치되는 단부가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누름판(32,34)으로 가압시 각 상기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각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에는 상기 승하강지지대(31)의 외주연에서 각 제1가압바(33)와 제2가압바(35)의 내측 단부까지 연장된 보강판(36)이 설치되며,
    상기 가축뇨 배출부(13)의 하측에는 배출되는 가축뇨가 수거되는 가축뇨수집통(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용기(22)는 내경이 상기 고형분 배출부(14)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압축용기(22)에는 둘레부의 내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배수공간부(220)가 형성되며, 내측면 둘레부를 따라 소정의 폭을 갖으며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의 배수홈(221)이 배수공간부(220)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KR1020210019749A 2021-02-15 2021-02-15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KR10228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749A KR102285234B1 (ko) 2021-02-15 2021-02-15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749A KR102285234B1 (ko) 2021-02-15 2021-02-15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234B1 true KR102285234B1 (ko) 2021-08-03

Family

ID=7731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749A KR102285234B1 (ko) 2021-02-15 2021-02-15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3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791A (ja) * 2000-10-27 2002-05-08 Ntn Corp 研削スラッジの固形化物製造装置
KR200361842Y1 (ko) 2004-06-14 2004-09-13 오수록 가축분뇨 처리장치
KR200393308Y1 (ko) 2005-05-20 2005-08-22 오수록 가축분뇨 처리장치
WO2009116170A1 (ja) * 2008-03-21 2009-09-24 株式会社M&W 有機汚泥の資源化装置
KR101001987B1 (ko) * 2010-04-19 2010-12-16 주식회사 티엠큐브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이를 포함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
CN110257122A (zh) * 2019-06-24 2019-09-20 吴碧四 一种生物质秸秆成型燃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791A (ja) * 2000-10-27 2002-05-08 Ntn Corp 研削スラッジの固形化物製造装置
KR200361842Y1 (ko) 2004-06-14 2004-09-13 오수록 가축분뇨 처리장치
KR200393308Y1 (ko) 2005-05-20 2005-08-22 오수록 가축분뇨 처리장치
WO2009116170A1 (ja) * 2008-03-21 2009-09-24 株式会社M&W 有機汚泥の資源化装置
KR101001987B1 (ko) * 2010-04-19 2010-12-16 주식회사 티엠큐브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관 및 이를 포함한 폐기물 고형연료 성형장치
CN110257122A (zh) * 2019-06-24 2019-09-20 吴碧四 一种生物质秸秆成型燃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005A1 (en) Device and process for composting and wet fermentation of biological waste
KR101686182B1 (ko) 유기성 폐기물 호기 발효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건조시스템
CN102874996B (zh) 畜禽养殖场粪尿回收再利用工艺
CN203007164U (zh) 一种动态高温堆肥发酵系统
CN107363073A (zh) 生活垃圾发酵装置及减量资源一体化设备和方法
CN112521199A (zh) 一种有机固废零添加辅料好氧发酵集成系统
CN112997968A (zh) 一种利用黑水虻养殖处理餐厨垃圾的集约化生产系统
CN212035354U (zh) 一种绿色环保的种植养殖综合循环系统
KR102285234B1 (ko) 가축분뇨 고형화 자동화장치
JP6714194B1 (ja) 家畜と家禽糞便に対するエネルギー化学工学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による有機肥料の生産設備
CN111170585A (zh) 一种畜禽粪污资源化处理工程发酵系统及发酵方法
CN116602187A (zh) 一种河底淤泥清淤与秸秆回收统一处理方法
CN207169192U (zh) 一种家禽粪污分离设备
CN216367825U (zh) 一种以木薯渣为原料的有机无机复混肥料生产用装置
CN214571604U (zh) 一种卧式有机垃圾好氧堆肥装置
KR102333309B1 (ko) 가축분뇨 고형화장치
CN202187001U (zh) 畜禽养殖场粪尿室外循环发酵基处理系统
CN1837155A (zh) 固液分离-专性生物菌好氧堆肥无害化资源化生态化综合利用畜禽废弃物
CN209193774U (zh) 一种污泥处理的装置
KR102105909B1 (ko)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복합 비료제조장치
CN110813982B (zh) 一种农产品加工回收利用装置
CN101224939B (zh) 污泥固化/稳定化处理机
CN205962236U (zh) 一种养殖场粪便处理设备
CN208022924U (zh) 一种畜禽粪污收集处理设备
CN207086544U (zh) 一种生活垃圾发酵容器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