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120B1 - 광 수신 소자 - Google Patents

광 수신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120B1
KR102285120B1 KR1020150009304A KR20150009304A KR102285120B1 KR 102285120 B1 KR102285120 B1 KR 102285120B1 KR 1020150009304 A KR1020150009304 A KR 1020150009304A KR 20150009304 A KR20150009304 A KR 20150009304A KR 102285120 B1 KR102285120 B1 KR 10228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ped region
substrate
conductivity type
layer
d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927A (ko
Inventor
주지호
김경옥
곽명준
김상훈
김선애
김인규
박재규
오진혁
장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9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120B1/ko
Priority to US14/812,981 priority patent/US9728657B2/en
Publication of KR2016008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16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comprising r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27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devices working in avalanche m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7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3529Shape of th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01L31/102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 H01L31/107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 working in avalanche mode, e.g. avalanche photodiodes
    • H01L31/1075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 working in avalanche mode, e.g. avalanche photodiodes in which the active layers, e.g. absorption or multiplication layers, form an heterostructure, e.g. SAM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1/180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including only 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수신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의 제1 도핑 영역,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의 측면과 옆으로 이격된 링 구조의 제2 도핑 영역, 상기 제1 도핑 영역 상의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컨택층, 상기 컨택층 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핑 영역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수신 소자{Photodetector}
본 발명은 광수신 소자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아발란치 효과를 이용하는 광수신 소자에 관한 것이다.
게르마늄-온-실리콘(Germanium-On-Silicon) 광수신 소자는 작은 광신호를 높은 효율로 증폭하기 위하여 개발된 광소자로써, 일반적으로 실리콘 기판 위에 증폭층, 전하층, 게르마늄 광흡수층, 및 컨택층을 에피탁시 성장시켜 제작한다. 이와 같이 여러 층을 에피탁시 성장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며, 에피탁시 성장 층의 품질이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서 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성능이 향상된 광수신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광수신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의 제1 도핑 영역,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의 측면과 옆으로 이격된 링 구조의 제2 도핑 영역, 상기 제1 도핑 영역 상의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컨택층, 상기 컨택층 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핑 영역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도핑 영역과 상기 제2 도핑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진성 실리콘 기판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3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는 상기 제1 도핑 영역 아래의 제4 도핑 영역, 및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2 도핑 영역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3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기판은 제2 도전형 실리콘 기판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 및 상기 제4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이며, 상기 제4 도핑 영역은 상기 기판보다 도핑 농도가 더 높은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평면적으로 보아, 복수의 링들을 갖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링들의 하부면들의 깊이가 서로 다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링들은 서로 다른 도핑 농도를 갖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게르마늄, 갈륨비소, 인화인듐, 및 인듐갈륨비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상에 돌출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에치드 가드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에치드 가드링은 진성 실리콘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돌출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광 도파로, 상기 광 도파로의 상부의 제1 도핑 영역, 상기 광 도파로와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제2 도핑 영역들, 상기 제1 도핑 영역 상의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컨택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매몰 산화층을 포함하는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및 상기 도파로들은 진성 실리콘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들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아래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 및 제3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이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도파로들은 제2 도전형 실리콘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광 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MOS 공정과 호환성이 유지되는 광수신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에 대한 도 1의 Ⅰ-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의 일 예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다른 예들에 대한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또 다른 예에 대한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 20의 Ⅰ-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다른 요소에'연결된다' 또는 '커플된다'는 표현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 또는 커플되거나, 개재되는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또는 층)이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한다'는 표현이 사용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다른 단계, 다른 동작, 및/또는 다른 장치가 존재 또는 추가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막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막들(또는 층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막(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막(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의 제 1 막(또는 제 1 층)으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막(또는 제 2 층)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크기 및 두께 등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원형으로 도시된 흡수층 및 컨택 영역은 소자의 성능 향상이나 제조과정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보호층(160)은 도시되지 않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에 대한 도 1의 Ⅰ-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는 기판(100) 내에 제1 도핑 영역(110), 제2 도핑 영역(120), 선택적인 제3 도핑 영역(130), 광흡수 패턴(140), 컨택 패턴 (150), 및 제2 도핑 영역(120)과 컨택 패턴(150) 상의 전극들(170)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기판(100), 컨택 패턴(150), 및 광흡수 패턴(140)을 모두 덮는 보호층(16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0)은 진성(intrinsic)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진성 실리콘 기판(100)은 신호 증폭 효과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100)은 진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n형 또는 p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의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0)은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제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일 수 있다. 도핑되는 물질은 p형 도핑의 경우, B, Al, Ga, In 등의 3족 원소일 수 있다. n형 도핑의 경우, N, P, As, Sb 등 5족 원소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도핑 영역(110)은 전하 영역(charge region)일 수 있다. 전하 영역(110)은 전계(electric field)를 제공할 수 있다. 전계는 광자에 의해 생성된 전자 및 홀을 가속 시킬 수 있다. 전계의 크기가 충분한 경우, 아발란치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전하 영역(110)은 하부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하 영역(110)의 깊이는 10 나노미터 ~ 500 나노미터일 수 있다.
전하 영역(110) 아래에 증폭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증폭 영역(미도시)에서 광수신에 의한 신호가 증폭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0)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제2 도핑 영역(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기판(100) 내에 제공되고, 제1 도핑 영역(110)의 측면과 옆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제1 도전형일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컨택 영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컨택 영역(120)은 전극(170)과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0)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은 제1 도핑 영역(110)과 제2 도핑 영역(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도핑 영역(120)과 제3 도핑 영역(130)의 이격 거리는 약 10 나노미터 ~ 1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은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일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은 가드링(Guard ring)일 수 있다. 이격한 링구조의 가드링에 의해 쉽게 접합 항복(breakdown)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0) 상에 광흡수 패턴(140)이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광자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 흡수 패턴(140)의 두께는 약 100 나노미터 ~ 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의 지름 또는 폭은 약 1 마이크로미터 내지 30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게르마늄, 갈륨비소, 인화인듐, 또는 인듐갈륨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에피탁시(Epitaxy)층일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 상에 컨택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제1 도전형의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전극(170)과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0),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을 모두 덮는 보호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SiOx) 또는 실리콘 질화막(SiNx)이 보호층(160)에 포함될 수 있다. 보호층(160)은 보호층(160) 아래의 구성 요소들을 물리적 손상 및 전기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며, 각 영역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극들(170)이 보호층(160)을 관통하여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에 각각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70)은 도전물들일 수 있다. 도전물들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l, Cu, Ti, TiN, Pt, T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일 수 있다.
종래의 광수신 소자는 각 구성층들을 에피탁시 성장시켜 제조될 수 있다. 에피탁시 성장하는 과정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에피탁시 성장 층의 품질이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조 과정에서 수율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수신 소자에 따르면, 에피탁시 성장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MOS 공정과 호환성이 유지되는 광수신 소자가 얻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의 일 예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 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기판(100)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10), 제2 도핑 영역(120), 및 제3 도핑 영역(130)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핑 영역들(110, 120, 및 130)은 포토레지스터(미도시)를 마스크로 이용한 이온 주입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온 주입 공정 후 포토 레지스터(미도시)는 제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기판(100) 상에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과 컨택 패턴(150)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CVD 공정은 감압 화학 기상 증착 공정(RPCVD) 및 초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UHCV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층(미도시)이 에피탁시 성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광흡수층(미도시)은 게르마늄 에피탁시 성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eH4 가스가 기판(100)에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0)에 약 1~300 Torr의 압력 및 약 300~500 ℃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GeH4 가스는 게르마늄과 H2 가스로 분해되고, 분해된 게르마늄은 기판(100) 상에 비정질 상태로 성장할 수 있다. 기판(100)의 온도는 약 600~700 ℃로 높아질 수 있다. 비정질 게르마늄층이 결정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화된 게르마늄층 상에 게르마늄 에피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컨택층(미도시)이 광흡수층(미도시)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컨택층(미도시)은 도핑된 실리콘 에피탁시 또는 폴리 실리콘 성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실리콘 에피탁시 또는 폴리 실리콘 층은 SiH4 가스와 도핑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예를 들어, p형일 경우 BH3, n형일 경우 PH3 가스)를 동시에 열분해하여 광흡수층(미도시)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컨택층(미도시)의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은 광흡수층(미도시)의 패터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터닝 공정은 건식 식각(dry etching) 또는 습식 식각(wet etching)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층(미도시)만이 선택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식 식각에서 게르마늄과 실리콘의 식각 속도가 다른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습식 식각에서 게르마늄만을 식각하는 식각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은 선택적 에피탁시 성장(Selective Epitaxial Growth : SEG)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원하는 위치에 패터닝없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컨택층(미도시)의 패터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컨택 패턴(150)은 선택적 에피탁시 성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원하는 위치에 패터닝없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보호층(160)이 기판(100), 컨택 패턴(150), 및 광흡수 패턴(140)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60)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60)이 식각되어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전극들(170)이 노출된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70)은 실리사이드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들(170)과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 사이 각각의 접촉 저항들이 감소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다른 예들에 대한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하 영역(110)의 하부면은 아래로 볼록한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하 영역(110)의 하부면은 위로 오목한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하 영역(110)의 하부면은 기둥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전하 영역(110)의 하부면은 링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여, 전하 영역(110)의 하부면은 복수의 링 구조일 수 있다.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복수의 링 구조를 갖는 전하 영역(112)은 각각의 링들이 서로 다른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깥쪽의 링들이 안쪽의 링들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안쪽의 링이 바깥쪽의 링보다 더 깊을 수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복수의 링 구조를 갖는 전하 영역(114)은 각 링이 다른 도핑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깥쪽의 링들이 안쪽의 링들보다 도핑 농도가 높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안쪽의 링들이 바깥쪽의 링들보다 도핑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전하 영역(110)의 구조 또는 농도의 변화는 전하 영역(110)의 전계의 크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요구되는 전계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또 다른 예에 대한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여, 에치드 가드링(132)은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에치드 가드링(132)은 제1 도핑 영역(110)의 측면에 접하고, 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에치드 가드링(132)은 기판(100)의 상부면보다 높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에치드 가드링(132)의 상부면은 전하 영역(11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에치드 가드링(132)은 진성 실리콘일 수 있다. 다만, 에치드 가드링(132)은 진성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n형 또는 p형 실리콘일 수 있다. 에치드 가드링(132)은 광수신 소자 내의 전기장이 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성능이 개선된 광수신 소자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여, 광 수신 소자는 기판(102) 내에 제1 도핑 영역(182), 제2 도핑 영역(120), 선택적인 제3 도핑 영역(130), 제4 도핑 영역(184), 광흡수 패턴(140), 컨택 패턴(150), 및 제2 도핑 영역(120)과 컨택 패턴(150) 상의 전극들(170)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기판(102), 컨택 패턴(150), 및 광흡수 패턴(140)을 모두 덮는 보호층(160)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102)은 제2 도전형의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제2 도전형은 n형 또는 p형일 수 있다. 다만, 기판(102)은 제2 도전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진성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2)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8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82)은 제2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1 도전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도핑 영역(182)의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핑 영역(182)은 하부면이 평평한 구조일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82)의 깊이는 10 나노미터 ~ 500 나노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판(102) 내에 제공되고, 제1 도핑 영역(182)의 아래에 배치된 제4 도핑 영역(18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1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상부면은 제1 도핑 영역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측면은 제3 도핑 영역(130)의 안쪽 측면과 접할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하부면이 평평한 구조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제2 도전형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기판(102)보다 제2 도전형으로 더 도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발란치 효과가 제 4 도핑 영역(184)과 제1 도핑 영역(182)의 계면에서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4 도핑 영역(184)의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핑 영역(182) 및 제4 도핑 영역(184)을 둘러싸고, 링 구조의 제2 도핑 영역(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기판(102) 내에 제공되고, 제1 도핑 영역(182)의 측면과 옆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120)은 컨택 영역일 수 있다. 컨택 영역(120)은 전극(1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82) 및 제4 도핑 영역(184)을 둘러싸고,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은 제1 및 제4 도핑 영역(182 및 184)과 제2 도핑 영역(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2 도핑 영역(120)과 제3 도핑 영역(130) 간의 이격 거리는 10 나노미터 ~ 1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은 제1 도전형의 가드링일 수 있다. 가드링은 쉽게 접합 항복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이 제1 도핑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의 두께는 100 나노미터 ~ 5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흡수 패턴(140)은 게르마늄, 갈륨비소, 인화인듐, 또는 인듐갈륨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에피탁시층일 수 있다. 광흡수층(미도시) 상부에 컨택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층(미도시)은 도핑된 실리콘 에피탁시 또는 폴리 실리콘 성장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실리콘 에피탁시 또는 폴리 실리콘 층은 SiH4 가스와 도핑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예를 들어 p형일 경우 BH3, n형일 경우 PH3 가스)를 동시에 열분해하여 광흡수층(미도시)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컨택층(미도시)의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흡수 패턴(140) 상에 컨택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전극(170)과 연결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에피탁시층일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제1 도전형의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2),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을 모두 덮는 보호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 질화막(SiNx)이 보호층(160)에 포함될 수 있다.
보호층(160)을 관통하여 전극들(170)이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70)은 도전물들일 수 있다. 도전물들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l, Cu, Ti, TiN, Pt, Ta 또는 이들의 화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수신 성능이 향상되고, CMOS 공정과 호환성이 유지되는 광수신 소자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광수신 소자의 구성요소 중 제2 도핑 영역(120), 제3 도핑 영역(130), 광흡수 패턴(140), 컨택 패턴(150), 보호층(160), 및 전극들(170)의 형성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그 외의 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2 도전형의 기판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130)이 형성된 기판(102)의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82)과 제4 도핑 영역(184)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제1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82)은 제1 깊이보다 얕은 제2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4 도핑 영역들(182 및 184)은 이온 주입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4를 다시 참조하여, 보호층(160) 및 전극들(1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의 Ⅰ-Ⅱ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은 아래로 볼록한 구조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상부면은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에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은 위로 오목한 구조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상부면은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에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 및 도 19를 참조하여,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은 링 구조일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82)은 제3 도핑 영역(130)의 안쪽 측면과 옆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 4 도핑 영역(184)은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는 속 빈 기둥 모양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안쪽 면은 제1 도핑 영역(182)의 하부면에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의 상부면은 기판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4 도핑 영역(184)은 제3 도핑 영역(130)의 안쪽 측면과 옆으로 이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4 도핑 영역(182 및 184)의 농도(미도시)가 제1 및 제4 도핑 영역(182 및 184) 내에서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제1 및 제4 도핑 영역(182 및 184)의 구조 또는 농도의 변화는 광수신 소자 내의 전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4 도핑 영역(182 및 184)의 구조 또는 농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전계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설명을 위해 보호층(160)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수신 소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 20의 Ⅰ-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기판(104)이 제공된다. 매몰 산화층(Burried Oxide Layer)(200)이 기판(104)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4) 내에 제1 도핑 영역(116), 제2 도핑 영역(122), 및 선택적인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 상에 광흡수층(140), 컨택층(150), 보호층(160), 및 전극들(172)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4)은 제1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기판(104)는 진성 실리콘층일 수 있다. 그러나 진성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고, n형 또는 p형 실리콘일 수 있다.
기판 하부에 매몰 산화층(200)이 형성될 수 있다. 매몰 산화층(200)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기판 상에 광도파로(190)가 돌출될 수 있다. 광도파로(190)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광도파로(190)의 상부면은 기판(104)의 상부면보다 높을 수 있다. 광 도파로(190)는 진성 실리콘일 수 있다. 그러나, 광도파로(190)는 진성 실리콘으로 한정되지 않고, n형 또는 p형 실리콘일 수 있다. 광 도파로(190)는 광수신 소자와 이격된 영역의 광자를 광수신 소자로 이동시킬 수 있다.
광도파로(190)의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은 광도파로(19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의 상부면은 광도파로(190)의 상부면과 동일한 레벨일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의 측면들은 광도파로(190)의 측면들과 이격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은 육면체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도핑 영역(116)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제2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과 직교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은 약 10 나노미터 ~ 500 나노미터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은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된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다. 제1 도전형은 p형 또는 n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도핑 영역(116)은 전하 영역일 수 있다. 전하 영역(116)의 하부면과 인접한 광도파로(190) 및/또는 기판(104) 부분은 수신된 광자에 의한 신호가 증폭되는 영역될 수 있다.
기판(104) 상부에 제2 도핑 영역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은 광도파로(190)와 제2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의 상부면은 기판(104)의 상부면과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은 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은 제1 도전형으로 도핑된 영역들일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은 컨택들일 수 있다. 컨택들(122)은 전극들(172)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 상에 광흡수 패턴(140)이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육면체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흡수 패턴(140)의 제1 방향의 길이는 제2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은 약 100 나노미터 ~ 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게르마늄, 갈륨비소, 인화인듐, 또는 인듐갈륨비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은 에피탁시층일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 상에 컨택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제1 도전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컨택 패턴(150)은 전극(172)과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4),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을 모두 덮는 보호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60)은 제1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보호층(160)은 실리콘 질화막(SiNx)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들(172)이 보호층(160)을 관통하여 컨택 영역들(122) 및 컨택 패턴(15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컨택 패턴(150) 상의 전극들(172)는 두 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전극(172)이 컨택 패턴(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72)은 도전물들일 수 있다. 도전물들은 금속들 또는 금속 화합물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l, Cu, Ti, TiN, Pt, Ta 또는 이들의 화합물들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도핑 영역(116) 아래에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은 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의 측면들은 제1 도핑 영역(116)의 측면들과 공면일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은 제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2 도전형일 수 있다.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은 실리콘층보다 더 도핑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의 도핑 농도는 1014 ~ 1021 cm-3 일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과 제3 도핑 영역(미도시)의 접합면에 인접한 부분에서 아발란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수신 성능이 향상되고, CMOS 공정과 호환성이 유지되는 광수신 소자가 얻어질 수 있다.
도 21을 다시 참조하여, 매몰 산화층(200)을 포함하는 기판(104) 상에 광도파로(190)가 형성될 수 있다. 광도파로(190)는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학 기상 증착 공정은 감압 화학 기상 증착 공정, 초진공 화학 기상 증착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도파로(190)는 에피탁시 성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도파로(190) 상부에 제1 도핑 영역(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핑 영역(116)은 이온 주입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4) 상부에 제2 도핑 영역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핑 영역들(122)은 이온 주입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4) 상에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이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은 화학 기상 증착 공정(CV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은 광흡수층(미도시) 및 컨택층(미도시)의 패터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흡수층(미도시)은 게르마늄 에피탁시 성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택층(미도시)은 도핑된 실리콘 에피탁시 또는 폴리 실리콘 성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광흡수 패턴(140) 및 컨택 패턴(150)은 선택적 에피탁시 성장(SEG)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60)이 기판(104), 컨택 패턴(150), 및 광흡수 패턴(140)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은 화학 기상 증착(CVD)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60)이 식각되어 컨택 영역(122) 및 컨택 패턴(150)의 상부가 노출될 수 있다.
전극들(172)이 노출된 컨택 영역(122) 및 컨택 패턴(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들(172)은 실리사이드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들(172)과 컨택 영역(120) 및 컨택 패턴(150) 사이 각각의 접촉 저항들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의 제1 도핑 영역;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의 측면과 옆으로 이격된 링 구조의 제2 도핑 영역;
    상기 제1 도핑 영역 상의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컨택층;
    상기 컨택층 상의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도핑 영역 상의 제2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상기 광 흡수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광 흡수층은 광자를 흡수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기적 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 도핑 영역의 아래에서 증폭되도록 구성되는 광 수신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도핑 영역과 상기 제2 도핑 영역의 사이에 형성된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진성 실리콘 기판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3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는 상기 제1 도핑 영역 아래의 제4 도핑 영역; 및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2 도핑 영역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및 상기 제3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기판은 제2 도전형 실리콘 기판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 및 상기 제4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이며, 상기 제4 도핑 영역은 상기 기판보다 도핑 농도가 더 높은 광 수신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광 수신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평면적으로 보아, 중심이 같은(concentric) 복수의 링들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광 수신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들의 하부면들의 깊이가 서로 다른 광 수신 소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들은 서로 다른 도핑 농도를 갖는 광 수신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게르마늄, 갈륨비소, 인화인듐, 및 인듐갈륨비소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광 수신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돌출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을 둘러싸는 링 구조의 에치드 가드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에치드 가드링은 진성 실리콘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돌출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광 도파로;
    상기 광 도파로의 상부의 제1 도핑 영역;
    상기 광 도파로 양측의 상기 기판의 상부에 제공되며, 각각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광 도파로와 이격되는 제2 도핑 영역들;
    상기 제1 도핑 영역 상의 광 흡수층; 및
    상기 광 흡수층 상의 컨택층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하부의 매몰 산화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상기 광 흡수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광 흡수층은 광자를 흡수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기적 신호의 크기는 상기 제1 도핑 영역의 아래에서 증폭되도록 구성되는 광 수신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도파로들은 진성 실리콘이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들은 제2 도전형인 광 수신 소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핑 영역 아래의 제3 도핑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핑 영역은 제1 도전형이며, 상기 제2 도핑 영역 및 제3 도핑 영역은 제2 도전형이며, 상기 기판 및 상기 도파로들은 제2 도전형 실리콘인 광 수신 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2 도전형은 n형인 광 수신 소자.
KR1020150009304A 2015-01-20 2015-01-20 광 수신 소자 KR10228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04A KR102285120B1 (ko) 2015-01-20 2015-01-20 광 수신 소자
US14/812,981 US9728657B2 (en) 2015-01-20 2015-07-29 Photo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04A KR102285120B1 (ko) 2015-01-20 2015-01-20 광 수신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27A KR20160089927A (ko) 2016-07-29
KR102285120B1 true KR102285120B1 (ko) 2021-08-05

Family

ID=5640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04A KR102285120B1 (ko) 2015-01-20 2015-01-20 광 수신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8657B2 (ko)
KR (1) KR102285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5096B2 (en) * 2014-03-10 2017-09-05 Elenion Technologies, Llc Lateral Ge/Si avalanche photodetector
US10886309B2 (en) 2015-11-06 2021-01-05 Artilux, Inc. High-speed light sensing apparatus II
US10254389B2 (en) 2015-11-06 2019-04-09 Artilux Corporation High-speed light sensing apparatus
US10418407B2 (en) 2015-11-06 2019-09-17 Artilux, Inc. High-speed light sensing apparatus III
US9939586B2 (en) * 2016-01-28 2018-04-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aveguide-coupled resonant photon detection
EP3331034B1 (en) * 2016-12-05 2022-02-02 ams International AG Radiation-hard high-speed photodiode device
JP6790004B2 (ja) 2018-02-20 2020-11-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受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599514B1 (ko) * 2018-04-12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검출기 구조체
FR3094572B1 (fr) * 2019-03-29 2021-02-1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uce photonique comportant une photodiode SACM-APD couplée optiquement a un guide d’onde intégré
WO2021041742A1 (en) 2019-08-28 2021-03-04 Artilux, Inc. Photo-detecting apparatus with low dark current
US20210391370A1 (en) * 2019-08-28 2021-12-16 Artilux, Inc. Photo-detecting apparatus with low dark current
KR102443215B1 (ko) * 2020-01-02 2022-09-14 주식회사 피앤엘세미 포토 다이오드 및 이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 부품 패키지
CN112038441A (zh) * 2020-09-11 2020-12-04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一种波导耦合的硅基光电探测器及其制备方法
CN116759471B (zh) * 2023-06-25 2024-05-24 无锡芯光互连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光电探测器、光电探测器芯片以及硅基光子芯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4631B2 (en) 2002-06-07 2004-09-21 Corning Lasertron, Inc. Three-terminal avalanche photodiode
WO2013180690A1 (en) * 2012-05-29 2013-1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s including independently controllable absorption region and multiplication region electric fields
US20140203386A1 (en) 2013-01-24 2014-07-24 Osi Optoelectronics, Inc. Shallow Junction Photodiode for Detecting Short Wavelength Ligh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051B2 (en) 2005-06-28 2007-06-19 Intel Corporation Germanium/silicon avalanche photodetector with separate absorption and multiplication regions
US7683397B2 (en) 2006-07-20 2010-03-23 Intel Corporation Semi-planar avalanche photodiode
US8080413B2 (en) * 2008-06-18 2011-12-2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oybean transcription terminators and use in expression of transgenic genes in plants
KR101711087B1 (ko) 2010-12-07 2017-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리콘 포토멀티플라이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5700B1 (ko) 2010-12-20 2017-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아발란치 포토다이오드의 제조방법
US8786043B2 (en) * 2012-05-05 2014-07-22 SiFotonics Technologies Co, Ltd. High performance GeSi avalanche photodiode operating beyond Ge bandgap limi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4631B2 (en) 2002-06-07 2004-09-21 Corning Lasertron, Inc. Three-terminal avalanche photodiode
WO2013180690A1 (en) * 2012-05-29 2013-1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s including independently controllable absorption region and multiplication region electric fields
US20140203386A1 (en) 2013-01-24 2014-07-24 Osi Optoelectronics, Inc. Shallow Junction Photodiode for Detecting Short Wavelength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8657B2 (en) 2017-08-08
KR20160089927A (ko) 2016-07-29
US20160211402A1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120B1 (ko) 광 수신 소자
JP5401203B2 (ja) 半導体受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742147B2 (en) Monolithic integrated photonics with lateral bipolar and BiCMOS
CN103199012B (zh) Io esd器件及其形成方法
US966647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9425341B2 (en) P-I-N photodiode with dopant diffusion barrier layer
US8859319B2 (en) Methods of forming photo detectors
US9209094B2 (en) Fin field effect transistor with dielectric isolation and anchored stressor elements
KR20140000424A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810989B2 (en) Fin-based photodetector structure
KR20150028626A (ko) Cmos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022494B2 (en) Photodet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99520B2 (en) Reduced junction area barrier-based photodetector
US20160035928A1 (en) Photodiode
CN105405913A (zh) 一种低暗电流铟镓砷探测器及其制备方法
KR101923730B1 (ko) 반도체 레이저 및 그 제조방법
JP6811544B2 (ja) SiGeフォトダイオード
US11309447B2 (en) Separate absorption charge and multiplication avalanche photodiod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e
US11374143B2 (en) Fin-based photodetector structure
US8742523B2 (en) Wavelength sensitive photodiode employing shorted junction
KR102357012B1 (ko) 광 검출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05725B1 (ko) 저전압 고이득 고속 광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10202764A1 (en) Separate absorption charge and multiplication avalanche photodiod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tructure
JP2019135744A (ja) 赤外線受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