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813B1 -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 Google Patents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813B1
KR102284813B1 KR1020170094718A KR20170094718A KR102284813B1 KR 102284813 B1 KR102284813 B1 KR 102284813B1 KR 1020170094718 A KR1020170094718 A KR 1020170094718A KR 20170094718 A KR20170094718 A KR 20170094718A KR 102284813 B1 KR102284813 B1 KR 10228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user
distraction
support
occi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0389A (en
Inventor
김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405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80277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아이, 김희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7009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13B1/en
Publication of KR2017009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ervical vertebra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 pressure hypotenuse in contact with the user's occipital part is formed,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s forme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occipital part of the user; And it includes a side support to form an inclined shoulder pressing surface facing the front lower side so as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Description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본 발명은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경추는 척주 중 두개골과 등뼈(흉추) 사이의 부분으로 목 부분을 형성하는 뼈 구조물이다. 사람은 7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다. 경추는 뇌로 가는 수많은 신경들이 잘 지나갈 수 있도록 해주며 무거운 두개골을 지탱해 준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안정적인 구조는 C자형 커브인데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경추가 일자형태가 되면 고혈압, 만성두통, 경추디스크, 척추통증 등의 문제를 야기 한다. 왜냐하면, 경추구조가 일자형태이면 경추에 머리의 무게가 집중되고 디스크 간격이 점점 좁아지면서 쉽게 신경을 압박하게 된다. The cervical spine is a part of the spinal column between the skull and the backbone (thoracic vertebrae) and is a bone structure that forms the neck. Humans are made up of 7 vertebrae. The cervical spine allows the passage of numerous nerves to the brain and supports the heavy skull. The most stable structure for performing this role is a C-shaped curve. If the cervical spine becomes straight due to improper posture, problem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chronic headache, cervical disc, and spinal pain occur. Because, if the cervical vertebrae structure is straight, the weight of the head is concentrated on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disc space becomes narrower and the nerves are easily compressed.

그러나 현대인들은 PC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쉽게 경추의 변형이 올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주기적으로 경추 교정과 경추 주변의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However, modern people can easily deform the cervical spine due to excessive use of PCs and mobile devic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odern people to periodically correct the cervical spine and release the tense muscles around the cervical spine.

한편, 인체는 ‘뇌척수액이 생성되며 두개골이 팽창하는 굴곡주기’와 ‘뇌척수액의 생성이 멈추며 수축하는 신전주기’를 갖는데, 이때 신전주기 또는 굴곡주기의 움직임을 저지하여 뇌척수액 순환을 초기화(이하 “스틸포인트”라 함)함으로써 두개골과 천골 사이를 순환하는 뇌척수액의 흐름을 정상화 하는 것을 두개천골요법이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uman body has a 'flexion cycle in which cerebrospinal fluid is generated and the skull expands' and a 'extension cycle in which the production of cerebrospinal fluid stops and contracts'. Point”) to normalize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ng between the skull and the sacrum is called two sacral therapy.

그러나 경추의 교정과 두개천골요법의 시술은 전문 물리치료사의 시술이 필요한 영역이므로, 일반인의 자가치료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rrection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two sacral therapy are areas that require the treatment of a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not self-medicat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스로 경추 교정 및 스틸포인트 상태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First, it is to be guided to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and still point state by itself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둘째, 경추교정과 스틸포인트 유도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하여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시술받도록 하는 것이다. Second, it is to provide a pillow with cervical spine correction and steel point induction function so that it can be treated naturally during sleep.

셋째, 1회 구입으로 반복 치료가 가능한 반 영구적인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Third, it is to provide a semi-permanent functional pillow that can be treated repeatedly with one purchase.

넷째, 어깨와 경추와 머리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신연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Fourth, it is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can obtain a distraction effect by applying forces in different directions to the shoulder, cervical spine, and hea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 pressure hypotenuse in contact with the user's occipital part is formed,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s forme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occipital part of the user; And it includes a side support to form an inclined shoulder pressing surface facing the front lower side so as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이 형성된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두부수용부 내에는,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전방 하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다.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 of the hea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Cervical vertebra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formed to be inclined; and a side support part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rvical support part an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to support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on their side, and to have a shoulder pressing surface inclined to press the user's shoulder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Including, in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to form a compression hypotenuse in contact with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ridge, and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user's lower cervical vertebrae to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Increase, the pressure hypotenuse is inclined to face the upper rear side,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inclined to face the lower front, and the cervical support part is inclined to face the upper front s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상기 경추지지부와 상기 후두부수용부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the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clin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 pressure hypotenuse in contact with the user's occipital part is formed,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s forme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occipital part of the user; And it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an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respectively,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cluding a side support to form an inclined shoulder pressing surface facing the front lower side, the cervical vertebrae The support portion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user's lower cervical vertebra to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the pressure hypotenuse is inclined to face the rear upper side, and the lowest point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located behi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do.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스로 경추 교정 및 스틸포인트 상태로 유도될 수 있다. First, it can be induced to correct cervical spine and still point state by itself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둘째, 경추교정과 스틸포인트 유도기능을 갖는 베개를 제공하여 수면 중 자연스럽게 시술받을 수 있다. Second, by providing a pillow with cervical spine correction and steel point induction function, you can receive treatment naturally during sleep.

셋째, 1회 구입으로 반복 치료가 가능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Third,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because repeated treatment is possible with one purchase.

넷째, 어깨와 경추와 머리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신연효과를 얻을 수 있다.Fourth, a distraction effec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forces in different directions to the shoulders, cervical vertebrae, and hea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배면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능선들과 가상의 수평선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제4뇌실 확장돌기의 자극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8a의 A-A 단면도이다.
도13은 도8a의 K-K 단면도이다.
도14는 도8a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도8a의 G-G 단면도이다.
도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6b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을 때, 측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17a는 도16a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A-A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도17b는 도16b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P-P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다.
도18a 내지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신연효과를 표현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와 동일한 신연효과를 얻기 위한 물리치료사의 시술 모습이다.
도20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는 후두부 및 그 무게중심과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측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두부 및 그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
1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gure 2a shows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flexion cycle, and Figure 2b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extension cycle.
Figure 3a shows the relaxation of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flexion cycle, and Figure 3b shows the contraction of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extension cycle.
Figure 4a is a represent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method (CV4), Figure 4b is an express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method (EV4).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plan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representation of ridges and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in FIG. 8A.
9a to 9c show in detail the shape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representation of the stimulation point of the fourth ventricle dilatation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A;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KK of Fig. 8A.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EE of Fig. 8A.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GG of Fig. 8A.
Figure 16a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when the user is lying down while looking at the front, Figure 16b is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the position of the temporal part is displayed did it
Fig. 17a shows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in Fig. 16a on the AA cross-sectional view in Fig. 8a, and Fig. 17b shows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in Fig. 16b on the PP sectional view in Fig. 8a.
18a to 18b are representations of the distraction effect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of a physical therapist's operation to obtain the same distraction effect as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ression of changes in the occipital part and its center of gravity supported by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when the user is lying while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temporal part supported by the lateral support part and its center of gravity when the user is lying while looking at the sid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뇌척수액의 순환을 간략히 표현한 것이다. 도2a는 굴곡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고, 도2b는 신전주기일때 뇌척수액의 흐름 및 두개골과 요추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3a는 굴곡주기일때 후두부의 이완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고, 도3b는 신전주기일때 후두부의 수축 및 뇌척수액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4a는 제 4뇌실 압박법(C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고, 도4b는 제 4뇌실 확장법(EV4)의 시술방법을 표현한 것이다.1 i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Figure 2a shows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flexion cycle, and Figure 2b shows the flow of the cerebrospinal fluid and the movement of the skull and lumbar spine during the extension cycle. Figure 3a shows the relaxation of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flexion cycle, and Figure 3b shows the contraction of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flow of cerebrospinal fluid during the extension cycle. Figure 4a is a represent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method (CV4), Figure 4b is an express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method (EV4).

도1내지 도4를 참조하면, 두정골(51)(parietal bone)은 뇌가 들어있는 뇌두개의 뒤쪽 위를 덮고 있는, 사각형의 편평한 뼈이다. 두정골(51)은 모두 2개이며 바깥쪽으로 각각 튀어나와 있다. 2개의 두정골(51)은 시상봉합(56)으로 접해있다. 두정골(51)은 인자봉합(55)으로 후두골(53)에 연결된다. 측두골(52)은 측두부에 배치된다. 두개골(45)은 굴곡주기일 때에 수축하고, 신전주기일 때에 팽창하는 유연성을 갖는 조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두개골(45)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할 수 있다.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은 스트레스나 면역력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두개천골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8-12회 주기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 1 to 4, the parietal bone 51 (parietal bone) is a rectangular flat bone that covers the back of the cranium containing the brain. Both parietal bones (51) are two and protrude outward, respectively. The two parietal bones (51) are in contact with the sagittal suture (56). The parietal bone 51 is connected to the occipital bone 53 with a factor suture 55 . The temporal bone 52 is disposed in the temporal region. The skull 45 is a flexible tissue that contracts during the flexion cycle and expands during the extension cycle. Wit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kull 45 can repeat contraction and relaxation. Two sacral rhythm (Craniosacral rhythm) contains information about stress or immunity. The movement of the two sacrum of a healthy person is very stable with 8-12 cycles of flexion and extension.

굴곡(flexion, expansion)은 확장 혹은 팽창에 해당한다. 두개천골 리듬은 손으로 감지할 수 있다. 손에 전달되는 굴곡의 느낌은 '부풀어 오르는 느낌' 또는 '몸전체가 바깥으로 회전하며 넓어진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외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Flexion, expansion corresponds to expansion or expansion. The two sacral rhythms can be detected by hand. The feeling of flexion transmitted to the hand can be understood as a 'swelling feeling' or 'a feeling that the whole body rotates outward and widens', and is also called 'external rotation'.

신전(extension, compression)은 굴곡과 반대의 개념 혹은 반대의 느낌이다. 신전은 수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깊숙이 빨려들어 가는 느낌'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신전은 몸 전체가 안쪽으로 회전하며 좁아지는 느낌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신전은 '내회전' 이라고도 불린다. Extension (compression) is the opposite concept or opposite feeling to flexion. Extension can be understood as contraction. A temple can be understood as a 'feeling of being sucked deep'. The temple is sometimes described as a feeling of narrowing as the whole body rotates inward. The temple is also called 'inner rotation'.

두개천골 움직임의 주기는 '굴곡'과 '신전' 또는 '확장' 과 '수축' 의 두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굴곡과 신전 사이는 '중립지점' 이라 할 수 있다. 인체는 중립지점에서 정지되는 느낌과 더불어 긴장이 풀리게 되는 '이완' 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는 일정하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과 신전의 주기가 다르거나 불일치하면 신체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The two sacrum movement cycle consists of two processes: 'flexion' and 'extension' or 'extension' and 'contraction'. The 'neutral point' between flexion and extension. The human body is placed in a state of 'relaxation' in which tension is released with the feeling of being stopped at the neutral point. The period of flexion and extension is constant and preferably the same. If the cycles of flexion and extension are different or inconsistent, abnormal phenomena may occur in the body.

굴곡주기와 신전주기는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의 순환으로 비롯된다. 뇌척수액은 뇌실(ventricular)에서 만들어진다. 뇌실은 인간의 뇌 내부에 있는 공간을 말하며 뇌실막에 싸여있다. 뇌실은 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60)의 세 가지가 있다. 측뇌실은 좌우 2개가 있으며, 제3뇌실과 제4뇌실(60)은 각각 하나씩 있어 모두 4개의 뇌실이 뇌실계를 구성한다. The flexion cycle and extension cycle ar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Cerebrospinal fluid is produced in the ventricle (ventricular). The ventricle refers to the space inside the human brain and is surrounded by the ventricle membrane. The ventricle has three of the lateral ventricle, the third ventricle, the fourth ventricle (60). The lateral ventricle has two left and right, and the third ventricle and the fourth ventricle 60 are each one by one, so that all four ventricles constitute the ventricular system.

두개천골요법 중 피시술자의 후두부에 테크닉을 적용함으로써 스틸포인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CV4 및 EV4테크닉이라 한다. CV4 and EV4 techniques are called CV4 and EV4 techniques to generate steel points by applying the technique to the occipital region of the two sacrum therapy.

제4뇌실압박법 즉, CV4테크닉(4th Ventricular Compression Variation, CV-4 Technique)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 양 옆을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CV4는 스틸포인트 촉진을 위한 한 방법으로, 뇌실의 압박 또는 좁힘을 말한다. The fourth ventricular compression method, that is, the CV4 technique (4th Ventricular Compression Variation, CV-4 Technique) is a method of compressing both sides of the lateral occipital protuberance (54) of the occipital region. CV4 refers to compression or narrowing of the ventricles as a method for stillpoint palpation.

CV4테크닉은 굴곡주기에서 리듬을 저항하여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척수의 압력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후두린의 능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두개골(45)내 척추의 압력은 증가되며 뇌척수액은 모든 다른 가능한 경로로 방향을 돌린다. 이로인해 CV4테크닉은 뇌척수액의 움직임을 촉진하며 교환한다. The CV4 technique reduces the ability of the larynx to affect pressure changes in the spinal cord by inducing a still point by resisting the rhythm in the flexion cycle. Thus, the pressure of the spine within the skull 45 is increased and the cerebrospinal fluid is diverted to all other possible pathways. Because of this, the CV4 technique promotes and exchanges the movement of cerebrospinal fluid.

제4뇌실확장법 즉, EV4테크닉(Expansion of 4th Ventricle)은 신전주기에서 스틸포인트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제4뇌실확장법은 후두부의 외후두 융기(54)를 압박해주는 방법이다. 외후두 융기(54)(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는 후두골(53)의 뒤쪽을 차지하는 커다란 후두린(squama)의 한가운데서 가장 돌출한 부위이다. EV4는 신전주기에 해당하며, 내회전을 통해 손가락으로 외후두 융기(54)가 돌출되는 것을 압박을 통해 저항하여 두개골(45) 내의 제4뇌실(60)을 확장시킨다.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method, that is, the EV4 technique (Expansion of 4th Ventricle) is a method of inducing a still point in the extension cycle. The fourth ventricle dilatation method is a method of pressing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54 of the occipital region.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54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is the most protruding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large occipital ridge (squama) occupying the back of the occipital bone (53). EV4 corresponds to the extension cycle and expands the fourth ventricle 60 in the skull 45 by resisting the protrusion of the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54 with a finger through internal rotation through compression.

제4뇌실압박법 및/또는 제4뇌실확장법을 통해 전체적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은 없어져 완전히 정지된 상태가 된다. 이것을 스틸포인트(still-point)라고 한다. 스틸포인트는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반강제적으로 이루어진다.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method and / or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method through the movement of the entire two sacral system is lost and is in a completely stopped state. This is called a still-point. Steel point is made semi-forced by compression and / or expansion of the fourth ventricle (60).

두개천골계는 경련이나 박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는데, 제4뇌실(60)의 압박 및/또는 확장에 의해 저항을 시도하면 두개천골계의 활동은 결국 순간적으로 중지한다. 이때 스틸포인트가 발생한 것이다.Two sacral system may indicate a convulsive or pulsating or shaking movement, and if resistance is attempted by compression and / or expansion of the fourth ventricle (60), the activity of the two sacral system is eventually temporarily stopped. At this point, a still point occurred.

스틸포인트 과정 중에는 인체는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앞에서 발생한 통증은 서서히 사라진다. 그리고 허리와 골반부위의 천장골 체성 기능장애는 자연스럽게 교정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피시술자의 호흡도 안정되고 긴장된 근육들은 이완되기 시작한다. 이 스틸포인트는 짧으면 몇 초에서 길면 몇 분까지 유지된다. 스틸포인트 현상이 끝나면 두개천골계의 움직임이 다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면 대칭적으로 그리고 증가된 움직임의 진폭이 감지된다. 스틸포인트가 끝나고 두개천골계의 활동이 호전되고 움직임이 대칭적으로 복원된다. 스틸포인트는 두개천골계 활동을 원활히 조절하는데 효과적이다. During the still point process, the body begins to relax. From then on, the pain in the front gradually disappears. And the sacroiliac somatic dysfunction in the lower back and pelvis begins to be corrected naturally. Subsequently, the recipient's breathing is also stabilized and the tense muscles begin to relax. These stillpoints are as short as a few seconds to as long as several minutes. When the still point phenomenon is over, the movement of the two sacral system begins again. In general observation, a symmetrical and increased amplitude of movement is detected. After the steel point is finished, the activity of the two sacral systems is improved and the movement is symmetrically restored. Steel Point is effective in smoothly regulating the activity of the two sacral systems.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정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배면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5 to 7, the cervical spine orthodontic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occipital part;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it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an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respectively, and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30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후두부수용부(10)는 움푹 파인 형상이다. 후두부수용부(1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한다.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추가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경추지지부(20)는 적절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한다.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has a concave shape.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accommodates the user's occipital region.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allows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inclination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측면지지부(30)는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사용자는 수면 중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다. 경추지지부(20)와 후두부수용부(10)는 사용자가 정 자세로 수면 중일 때 경추와 후두부를 지지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운 자세일 때 사용자의 두정골(51)과 측두골(52)(이하, '측두부' 라 한다)을 지지한다.The side support part 30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20 and the occipital part receiving part 10, respectively. The user can change the posture at any time during sleep.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an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occipital region when the user is sleeping in a normal posture. The side support part 30 supports the user's parietal bone 51 and the temporal bone 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mporal part') when the user is in a side-lying position.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전방으로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이 형성된다.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has a shape inclined backward to increase in height from the user's lower cervical vertebrae to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and the side support 30 is a shoulder pressing surface inclined forward at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 31) is formed.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상부경추가 하부경추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어깨누름면(31)이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가 지면을 향해 힘을 받도록 한다.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s inclined so that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of the user ar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cervical vertebrae when the user lies down. The side support part 30 is formed with a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 The side support part 30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ser's shoulder receives a force toward the ground.

도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평면도이다. 도8b는 도8a에 능선들과 가상의 수평선(H)을 표현한 것이다.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Figure 8a is a plan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representation of ridges and an imaginary horizontal line H in FIG. 8A. 9a to 9c show in detail the shape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내지 도9를 참조하면, 어깨누름면(31)은, 경추지지부(20)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추지지부(20)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점점 감소한다. 어깨누름면(31)의 기울기(Θ3, Θ4, Θ5)는 90도에서 75도 사이일 수 있다. 8 to 9,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s formed to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ncreases,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gradually decreases. The inclination (Θ3, Θ4, Θ5)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may be between 90 degrees and 75 degrees.

어깨누름면(31)은 사용자의 경추로부터 멀어질 수록 경사도가 감소한다. 일 예로, 사용자의 목과 근접한 어깨누름면(31)은 기울기(Θ5)가 89도 내지 90도이고, 사용자의 어깨 끝쪽으로 가면 기울기(Θ3)가 75도 정도로 감소할 수 있다.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decreases in inclination as it moves away from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For example, the inclination Θ5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close to the user's neck is 89 degrees to 90 degrees, and when it goes toward the end of the user's shoulder, the inclination Θ3 may decrease to about 75 degrees.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H1)과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과 접하는 제2수평선(H2) 사이의 폭(d1)은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일 수 있다.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ervical spine support 20, and among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The width (d1)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that meet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horizontal line (H2)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line (S1)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may be between 80 mm and 120 mm. .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은 경사의 방향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변경되는 지점일 수 있다.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은 지면과 경계를 부분일 수 있다. The upper end line S1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may be a point at which the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is chang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lower end line (S2)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may be a part of the boundary with the ground.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의 거리가 너무 좁으면 측면지지부(30)의 주요 기능인 측두부 지지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의 거리가 너무 넓으면 어깨가 너무 전방에 있게되어 상부경추가 후두기저능선b에 위치하지 못한다. 또한 제4뇌실 확장돌기(11)도 외후두융기(54)를 충분히 자극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어깨는 목 부분에서 어깨 끝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제1수평선(H1)과 제2수평선(H2) 사이에는 어느정도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H2 is too narrow, the temporal support function,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side support part 30 , is deteriorated. In additio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H2) is too wide, the shoulder is too forward and the upper cervical spine cannot be located on the laryngeal ridge b. In addition,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may not be able to sufficiently stimulate the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54 . However, since the shoulder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neck to the end of the shoulder, an error may exist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H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urth ventricular extension (11) will be described later.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어느 하나와 어깨누름면(31) 사이의 각도(Θ1,Θ2)는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에서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and any on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H)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and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The angles (Θ1, Θ2) between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gradually increase from the lower end line S2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to the upper end line S1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어깨를 전방 및 지면을 향해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어깨를 고정하게 되어 경추 신연으로 인한 교정효과가 발생한다. Due to the above shape, the user's shoulder can be pressed forward and toward the ground. Therefore, the shoulder is fixed, and the corrective effect occurs due to the distra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어깨누름면(31)의 하단선(S2)과 수평선(H) 사이의 각도는 1도 내지 7도 이고,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과 제1수평선(H1) 사이의 각도는 8도 내지 15도 일 수 있다. The angle between the lower end line (S2) and the horizontal line (H)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s 1 to 7 degrees, and the angle between the upper end line (S1)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and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may be 8 degrees to 15 degrees.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의 턱 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수면 중 자세를 변경할 때에서 어깨와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자세 변경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수면방해가 줄어든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어깨 고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Due to such a shape, interference with the user's chin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user changes his or her posture during sleep, interference with the shoulder can be avoided. Therefo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natural posture change, and sleep disturbance is reduced. In addition, such a shape can perform the shoulder fix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t the same time.

경추지지부(20)는 사용자의 경추를 수용하는 경추수용홈(23)을 형성하고, 경추수용홈(23)과 측면지지부(30)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아래턱 지지능선(j)이 형성된다.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forms a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23 for accommodating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nd a lower jaw support line j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23 and the side support 30 is formed.

경추수용홈(23)은 완만한 계곡의 형태로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한다. 경추수용홈(23)의 상측 단부는 후두기저능선b이 형성되고, 후두기저능선b을 넘으면 후두부수용부(10)가 위치한다. 후두기저능선b을 경계로 전방에는 경추수용홈(23)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4뇌실 확장돌기(11)가 형성된다. The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23 supports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in the form of a gentle valley. The upper end of the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with an occipital base ridge line b, and when it crosses the larynx base ridge line b,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is located. A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23 is formed in front of the larynx base ridge line b as a boundary, and a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in the rear.

아래턱 지지능선(j)은 측면지지부(30)에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귀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귀 수용홈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능선이다. 아래턱 지지능선(j)은 제1수평선(H1)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 The lower jaw support line (j) is formed in the side support (30). The side support part 30 is a relatively protruding ridge line due to the recessed ear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the user's ear. The lower jaw support line (j) is form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line (H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경추지지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후두부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되며, 경추지지부(20)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포함하고,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H)들 중 어느 하나와 아래턱 지지능선(j) 사이의 각도(Θ6)는 40도 내지 65도 일 수 있다.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ervical spine support unit 2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ccipital region receiving unit 10, and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unit 20. Including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the angle (Θ6) betwe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H) and the lower jaw support line (j)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t may be 40 degrees to 65 degrees.

이러한 각도로 인해 사용자가 정 자세로 취침 중 옆으로 눕더라도 베개의 형상으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즉 어깨와 어깨누름면(31)의 간섭 방지, 전방으로 돌출된 턱의 안정적 지지, 귀 수용홈의 형상으로 인한 귀의 지나친 압박 방지, 자세 변경 중 목과 측면지지부(30)의 간섭 방지 효과가 존재한다. Due to this angle, even if the user lies on his side while sleeping in an upright posture, he does not receive interference due to the shape of the pillow. 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terference of the shoulder and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stably supporting the chin protruding forward, preventing excessive pressure on the ear due to the shape of the ear receiving groove, and preventing interference of the neck and side support unit 30 during posture change. .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제4뇌실 압박돌기(13)의 자극 지점을 표현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측면도이다. 도12는 도8a의 A-A 단면도이다. 도13은 도8a의 K-K 단면도이다. 도14는 도8a의 E-E 단면도이다. 도15는 도8a의 G-G 단면도이다. Figure 10 is a representation of the stimulation point of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projection 13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A.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K of Fig. 8A.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8A.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G-G of Fig. 8A.

도10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수용부(10)에 돌출 형성되고, 경추지지부(20)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11)를 포함한다. 10 to 15,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and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part 20 4 includes a ventricle extension projection (11).

후두부수용부(10)는 내측에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산 중 일부는 제4뇌실 확장돌기(11)이고, 다른 일부는 제4뇌실 압박돌기(13)이다.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untains and valleys on the inside. Some of the plurality of acids is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11), and the other part is the fourth ventricle pressing process (13).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부수용부(10)에 형성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후두골의 좌우를 자극하여 굴곡주기를 저지한다. 제4뇌실 압박돌기(13)는 제4뇌실압박법을 구현한다. The fourth ventricle pressing protrusion 13 is formed in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projection (13) blocks the flexion cycle by stimulating the left and right of the occipital bone.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projection (13) implements the fourth ventricle compression method.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후두부수용부(10)에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자극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와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된다.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in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stimulates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s form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신전주기를 저지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제4뇌실확장법을 구현한다.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blocks the extension cycle.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mplements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method.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경사는 경추지지부(20)로 부터 멀어질수록 낮게 형성된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경추지지부(20)의 경사로 인해 사용자의 상부경추가 가장 높게 위치하고 사용자의 하부경추와 사용자의 후두부는 상부경추보다 낮게 위치한다.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s inclined, and the inclination is formed to be lower as it goes away from the cervical support 20.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and the cervical vertebrae 20, the user's upper cervical vertebrae are the highest, and the user's lower cervical vertebrae and the user's occipital vertebrae are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경추지지부(20)의 끝단에는 후두부수용부(10)와 경계를 이루는 후두기저능선b이 형성된다. 후두기저능선b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후두부 타측에는 경추가 위치한다. 하부경추는 몸통의 무게로 인해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부경추는 후두부의 무게로 인해 후두부 쪽으로 당겨진다. 즉 사용자의 경추는 상부경추와 하부경추 양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경추에 장력이 작용한다. 이를 물리치료용어로 신연(Distraction)이라 한다. At the end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20, the laryngeal base ridge line b forming a boundary with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is formed. The cervical vertebrae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larynx and the other side of the larynx basal line b as the center. The lower cervical vertebrae are pulled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torso, and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are pulled toward the occipital region due to the weight of the occipital region. That is, since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re pull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vertebrae, tension acts on the cervical vertebrae. In physical therapy terminology, this is called Distraction.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54)와 접하는 압박빗변(11s)을 형성하고, 압박빗변(11s)의 수평성분길이(d2)는 85미리미터에서 115미리미터 사이일 수 있다.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protrusion 11, the compression hypotenuse (11s) in contact with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54,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length (d2) of the compression hypotenuse (11s) is between 85 mm and 115 mm can be

압박빗변(11s)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압박빗변(11s)은 외후두융기(54)를 지지한다. 85미리미터에서 115미리미터는 외후두융기(54)에 대응하는 크기로 신전주기를 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각도(Θ7)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5도에서 36도 사이일 수 있다. The pressure hypotenuse 11s forms an inclined surface. The pressure hypotenuse (11s) supports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54). 85 mm to 115 mm i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occipital prominence 54, and is sufficient to block the extension cycle. The angle (Θ7)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may be between 25 and 36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압박빗변(11s)의 각도(Θ7)는 25도에서 36도 사이일 수 있다. 압박빗변(11s)의 각도(Θ7) 및 수평성분길이(d2)는 외후두융기(54)의 길이 및 후두골의 형상에 기초하여 정해진 것으로 압박빗변(11s)의 길이가 과도하게 길거나 짧은 경우, 또한 압박빗변(11s)의 각도가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경우 신전주기 저지가 곤란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한다.The angle Θ7 of the pressure hypotenuse 11s may be between 25 degrees and 36 degrees. The angle Θ7 and the horizontal component length d2 of the compression hypotenuse 11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length of the external occipital protuberance 54 and the shape of the occipital bone. If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hypotenuse 11s is excessively long or short, also If the angle of the pressure hypotenuse (11s) is excessively high or low, it may be difficult to block the extension cycle. The side support part 30 forms a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nclined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occipital part;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it forms a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nclined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and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30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sideways.

어깨누름면(31)은 어깨를 지면 및 전방을 향해 누르므로 하부경추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후두부의 무게로 인해 상부경추가 후두부수용부(10) 쪽으로 당겨지더라도 어깨 고정으로 인해 하부경추는 고정된다. 따라서 경추에 장력이 가해지고, 경추는 신연된다. 측면지지부(30)는,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어깨누름면(31)의 각도(Θ3, Θ4, Θ5)와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각도(Θ7)의 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1.3 내지 1:5.5 사이일 수 있다. Since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presses the shoulder toward the ground and the front, the position of the lower cervical vertebrae is fixed. That is, even if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are pulled toward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due to the weight of the occipital part, the lower cervical vertebrae are fixed due to shoulder fixation. Therefore, tension is applied to the cervical vertebrae, and the cervical vertebrae are distracted. The side support part 30 forms a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nclined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and the angles (Θ3, Θ4, Θ5)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and The ratio of the angle (Θ7)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may be between 1:1.3 and 1:5.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어깨누름면(31)의 각도 비가 너무 크거나 작을 경우, 어깨 고정력이 떨어지거나 사용자의 어깨가 불편하거나 신전주기 저지가 곤란할 수 있다. If the angle ratio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and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s too large or small, the shoulder fixing force may be reduced, the user's shoulder may be uncomfortable, or it may be difficult to block the extension cycle.

도1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고, 도16b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있을 때, 측두부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도17a는 도16a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A-A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고, 도17b는 도16b에서 후두부의 위치를 도8a에서의 P-P 단면도 상에 표시한 것이다. Figure 16a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when the user is lying down while looking at the front, Figure 16b is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side, the position of the temporal part is displayed did it Fig. 17A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in Fig. 16A on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8A, and Fig. 17B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occipital part in Fig. 16B on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P-P in Fig. 8A.

도16a내지 도17b을 참조하면, 측면지지부(30)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G2)은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 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측면지지부(30)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G2)은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가장 낮은 부분(E1) 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16A to 17B , the lowest portion G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art 30 is formed in front of the central part G1 of the occipital region receiving part 10 . The lowest portion (G2)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30) is formed in front of the lowest portion (E1)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11).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 위치는 대략 제4뇌실 확장돌기(11)의 후방 단부이고,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 위치는 측면지지부(30)의 상면에서 가장 낮은 부분이다. 후두부 수용부의 중심 부분(G1)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웠을 때 후두부의 무게중심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는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웠을 때 측두부의 무게중심과 마주하는 부분일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G1) position of the occipital receptacle 10 is approximately the rear end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and the central portion (G2) position of the side support portion 30 is the most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30. the lower part. The central portion G1 of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a portion fac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ccipital region when the user lies down while looking at the front. The central part G2 of the side support part 30 may be a part fac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emporal part when the user lays down while looking at th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는 후두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후두부수용부(10);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20);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경사진 어깨누름면(31)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측면지지부(30)를 포함한다.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the occipital part;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2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support the cervical vertebrae; And it forms a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nclined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and includes a side support part 30 for supporting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sideways.

도18a 내지 도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신연효과를 표현한 것이다. 도18a는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웠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바닥면에 투영하여 표현한 것이고, 도18b는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웠을 때 인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측면에 투영하여 표현한 것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와 동일한 신연효과를 얻기 위한 물리치료사의 시술 모습이다.18a to 18b are representations of the distraction effect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a is a projection of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human body when the user lies down facing the front on the floor surface, Figure 18b is a projection of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human body when the user lies down facing the front to the side it will be expressed 19 is a view of a physical therapist's operation to obtain the same distraction effect as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8a와 도18b 및 도1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s 18a, 18b and 19, the effect of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경추교정베개는 대략 총 3방향의 힘을 인체에 가하게 된다. 이 중 F1은 전방 하측으로 어깨를 누르는 힘이다. F2는 경추를 전방 상측으로 밀어내는 힘이다. F3은 후방 상측으로 후두부를 밀어내는 힘이다. 어깨누름면(31)은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어깨는 어깨누름면(31)에 밀착되고, 어깨누름면(31)은 사용자의 어깨에 탄성력을 가한다. 어깨누름면(31)의 탄성력과 사용자의 후두부의 자중과 경추의 자중으로 인해 F1, F2 및 F3이 발생한다.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applies a total of three directions of force to the human body. Among them, F1 is the force that presses the shoulder downward. F2 is the force that pushes the cervical vertebrae forward upwards. F3 is the force that pushes the back of the head upward.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user's should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and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applies an elastic force to the user's shoulder. F1, F2, and F3 are generat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and the weight of the user's occipital region and the weight of the cervical vertebrae.

F1 과 F2의 힘의 방향 차이는 상하방향으로 경추를 당겨 경추를 신연한다. 또한, F1, F2 와 F3의 힘의 방향 차이는 전후 방향으로 경추를 당겨 경추를 신연한다. 또한 F1은 신체를 지면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올바를 자세로 수면을 취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종래 물리치료사로부터 수기치료를 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force between F1 and F2 pulls the cervical vertebra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distracts the cervical vertebra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force between F1, F2 and F3 pulls the cervical vertebra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distract the cervical vertebrae. Also, F1 pushes the body toward the ground, so it induces you to sleep with the correct pos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receiving manual therapy from a conventional physical therapist.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어께선이 Θ8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고, 어깨누름면(31)의 상단선(S1)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어께를 균일하게 누를 수 있다. 즉 어께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게 작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옆으로 눕더라도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user's shoulder line is inclined by an angle of Θ8, and since the upper end line S1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is also inclined, the user's shoulder can be uniformly pressed. That is, the force applied to the shoulder acts uniformly.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is lying on his side, interference can be minimized.

도20은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후두부 수용부에 의해 지지되는 후두부 및 그 무게중심과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누워있을 때 측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측두부 및 그 무게중심의 변화를 표현한 것이다.20 is an expression of changes in the occipital part and its center of gravity supported by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when the user is lying while looking at the front, and the temporal part supported by the lateral support part and its center of gravity when the user is lying while looking at the side.

도20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누워 잠이 들면 사용자의 후두부는 후두부수용부(10)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4뇌실 확장돌기(11)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자극하여 스틸포인트를 유도한다. 한편 경추지지부(20)와 제4뇌실 확장돌기(11)와 어깨누름면(3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신연에 의한 경추교정효과를 발생시킨다. Referring to FIG. 20 , when the user lies down facing the front and falls asleep, the user's occipital part is located in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10 . Therefore,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11 induces a steel point by stimulating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protrusion. On the other hand, the cervical spine support 20 and the fourth ventricle expansion protrusion 11 and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31 generate a cervical spine correction effect by distraction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사용자는 옆으로 누워 잘 수 있다. 사용자는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를 선호하여 처음부터 옆으로 누워 잘 수도 있으나, 수면 중 무의식 중에 옆으로 누워 잘 수도 있다. Next, the user can sleep on their side. The user prefers to sleep on the side, and may sleep on the side from the beginning, but may unconsciously sleep on the side during sleep.

이 경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베개와 닿는 부분은 후두부에서 측두부로 변경된다.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과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은 도면과 같이 이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에 의하면, 후두부를 수용하도록 함몰된 후두부수용부(10)의 중심 부분(G1)과 측두부를 지지 하도록 함몰된 측면지지부(30)의 중심 부분(G2)의 위치가 동일선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측두부수용부(33)는 후두부수용부(10)보다 전방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게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면 중 자세를 변경하더라도 사용자를 계속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illow based on the user's head is changed from the back of the head to the temporal area. The central part (G1) of the occipital receiving part 10 and the central part (G2) of the side support part 30 move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according to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ortion (G1) of the occipital receiving portion 10 depressed to accommodate the occipital region and the central portion (G2) of the side support portion 30 depressed to support the temporal region positions do not exist on the same line. That is, the temporal part accommodating part 33 is formed in front of the occipital part accommodating part 1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changes his or her posture while sleeping, it can continue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

또한 사용자의 턱이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형성되더라도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하여 아래턱 지지능선(j)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자세 변환 중 턱과 베개 간 간섭이 최소화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s chin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an angle, the lower jaw support line j is formed to be inclined in response to the user's jaw lin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chin and the pillow during the user's posture change is minimiz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사용자의 체구나 체형에 따라 적절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연령, 사용자의 성별, 사용자의 인종 등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appropriate modifications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ize or body typ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user, the gender of the user, the race of the user,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Needless to say,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후두부수용부
11: 제4뇌실 확장돌기
11s: 압박빗변
13: 제4뇌실 압박돌기
20: 경추지지부
23: 경추수용홈
30: 측면지지부
31: 어깨누름면
33: 측두부수용부
S1: 어깨누름면의 상단선
S2: 어깨누름면의 하단선
H: 수평선
H1: 제1수평선
H2: 제2수평선
b: 후두기저능선
j: 아래턱 지지능선
G1: 후두부수용부의 중심 부분
G2: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
10: occipital receptor
11: 4th ventricle dilatation
11s: pressure hypotenuse
13: 4th ventricle compression process
20: cervical spine support
23: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30: side support
31: shoulder pressing surface
33: temporal receptacle
S1: Upper line of shoulder pressing surface
S2: Bottom line of shoulder pressing surface
H: horizontal
H1: first horizon
H2: 2nd horizon
b: laryngeal basal line
j: lower jaw support line
G1: central part of the occipital receptacle
G2: The lowest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Claims (15)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
사용자의 후두부와 접하는 압박빗변이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의 경사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제4뇌실 확장돌기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후두부를 수용하는 후두부수용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마주하는 곳에 사용자의 어깨를 하측으로 누르도록 전방하측과 마주하는 경사진 어깨누름면을 형성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경추를 수용하는 경추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경추수용홈과 상기 측면지지부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는 아래턱 지지능선이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Cervical vertebrae support for supporting the cervical vertebrae formed to be inclined;
A pressure hypotenuse in contact with the user's occipital part is formed,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part is formed, the occipital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occipital part of the user; and
It includes a side support that forms an inclined shoulder pressing surface facing the front lower side so as to press the user's shoulder downward in a place facing the user's shoulder,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Forming a cervical vertebr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A cervical spine orthodontic pillow using a distraction in which a lower jaw support line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cervical spine receiving groove and the side support par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사용자의 하부경추에서 상부경추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고,
상기 압박빗변은 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cervical support portion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user's lower cervical vertebrae toward the upper cervical vertebrae,
The compression hypotenuse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a distraction inclined to face the rear upper s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지지부는 전방 상측과 마주하도록 경사진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ervical spine support portion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a distraction inclined to face the upper fro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상면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면의 가장 낮은 부분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가장 낮은 부분 보다 전방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de support part has a wide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The lowes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pport portion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a distraction formed in front than the lowest por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와 접하는 면에 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jection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a distraction form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external larynx.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가장 낮은 지점이 상기 경추지지부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that the lowest point is located behind the lowest point of the cervical spine suppo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은,
좌우방향길이는 사용자의 외후두융기의 크기를 넘지 않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외후두융기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형성된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essure hypotenuse is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oes not exceed the size of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ridge, and the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the distraction formed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to the user's external occipital ridge to the r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은,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수평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점점 감소하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기울기는 89도에서 75도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It is formed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from the cervical support part,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cervical support part is increased, the inclination is gradually decreas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inclination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between 89 degrees and 75 degrees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빗변의 수평성분길이는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25도에서 36도 사이이며,
상기 어깨누름면의 각도와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각도의 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1:1.3 내지 1:5.5 사이이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과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접하는 제2수평선 사이의 폭은 80미리미터에서 120미리미터 사이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component length of the pressure hypotenuse is between 80 mm and 120 mm,
The angle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cess is between 25 and 36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ratio of the angle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and the angle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cess is between 1:1.3 and 1:5.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the width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that meets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80 mm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between meters and 120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는 상기 경추지지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어깨누름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에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trus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ervical vertebrae support,
The angle between any on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ular extension and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a distrac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lower end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to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Cervical correction pillow use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누름면의 하단선과 상기 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1도 내지 7도 이고, 상기 어깨누름면의 상단선과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고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시작지점과 만나는
제1수평선 사이의 각도는 8도 내지 1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angle between the lower end line and the horizontal line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is 1 to 7 degre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ine of the shoulder pressing surface and the fourth ventricular extension process and meet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process
The angl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is a cervical spine correction pillow using a distraction of 8 to 15 degrees.
삭제delet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뇌실 확장돌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복수의 수평선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아래턱 지지능선 사이의 각도는 40도 내지 65도인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gle between any on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urth ventricle extension and the lower jaw support line is 40 degrees to 65 degrees Cervical correction pillow using distra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94718A 2015-10-06 2017-07-2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22848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en) 2015-10-06 2017-07-2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32A KR101780277B1 (en) 2015-10-06 2015-10-0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en) 2015-10-06 2017-07-2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32A Division KR101780277B1 (en) 2015-10-06 2015-10-0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89A KR20170090389A (en) 2017-08-07
KR102284813B1 true KR102284813B1 (en) 2021-08-02

Family

ID=596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18A KR102284813B1 (en) 2015-10-06 2017-07-26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8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57A (en) 2021-09-02 2023-03-09 이육훈 Functional pillow
KR20240034369A (en) 2022-09-07 202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ervical alignment pil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398B1 (en) 2018-11-14 2021-08-25 박성하 Pillow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38019A (en) * 2019-09-03 2019-12-06 明丽健康产业(浙江)有限公司 Cervical vertebra traction pillow
KR102617858B1 (en) *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spine of pet
KR102617855B1 (en) *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Functional cushion for protecting joint of pet
KR102617859B1 (en) * 2021-04-21 2023-12-27 주식회사 어썸랩 Multipurpose cushion for pet
KR102589231B1 (en) 2021-04-30 2023-10-12 김문희 Cervical vertebrae correcting device
KR102426061B1 (en) * 2021-08-18 2022-07-29 백영진 Functional pillow
KR102475466B1 (en) * 2022-06-22 2022-12-06 이건희 Corrective pillow for cervical sp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20B1 (en) *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2073B (en) * 2013-12-23 2016-02-21 si-wen Hong Can help the head to relax the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20B1 (en) * 2013-08-16 2014-12-19 주식회사 티앤아이 Circulation of cerebrospinal fluid (CSF) to induce functional pillow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57A (en) 2021-09-02 2023-03-09 이육훈 Functional pillow
KR20240034369A (en) 2022-09-07 202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ervical alignment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389A (en)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813B1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US10561561B2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KR200460780Y1 (en) Orthopedic pillow for deepsleep
KR101780277B1 (en) Pillow for cervical vertebrae adjustment using distraction technic
KR101077885B1 (en) A myofascal relaxer for physical therapy
KR102079421B1 (en)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Inducing Pillow
KR101630386B1 (en)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neck pillow for seat
KR102169030B1 (en) Ventilation pillow for sleep to induce cerebrospinal fluid(CSF) circulation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KR101649416B1 (en) Head relaxing pillow
KR100718661B1 (en) Head rester for phisical therapy
KR101378163B1 (en) Multi position rest
KR101616087B1 (en)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neck pillow for seat
RU172207U1 (en) PILLOW ORTHOPEDIC FUNCTIONAL
KR100996489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spinal correction with a equipment made to measure
KR101664462B1 (en)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pelvis pillow for seating
TWI583364B (en) Cranio-sacral therapy and chiropractic applied myofascial relaxer for physical therapy
CN207653947U (en) It is rested the head on using the cervical vertebra correcting of stretching
CN110584409A (en) Neck and shoulder massage pillow
KR102540819B1 (en) Pillow for strengthening cerebrospinal fluid circulation induction effect
CN110584411A (en) Cervical vertebra nursing pillow
CN110584408A (en) Pillow suitable for different height requirements
KR102380480B1 (en) Cranio-Sacral therapy applied pillow for cervical traction
KR102540821B1 (en) Core-shell structrual pillow applied with cranio-sacral therapy
CN109259536A (en) Functional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