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462B1 -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462B1
KR102284462B1 KR1020200042123A KR20200042123A KR102284462B1 KR 102284462 B1 KR102284462 B1 KR 102284462B1 KR 1020200042123 A KR1020200042123 A KR 1020200042123A KR 20200042123 A KR20200042123 A KR 20200042123A KR 102284462 B1 KR102284462 B1 KR 10228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shaped
mobile device
key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섭
Original Assignee
한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섭 filed Critical 한민섭
Priority to KR102020004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462B1/ko
Priority to PCT/KR2021/003820 priority patent/WO202120633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462B1/ko
Priority to US18/045,016 priority patent/US202300682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게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8방향 조향(상/하/좌/우/상좌/상우/하좌/하우)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방향 및 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공하는 한편, 우수한 터치감과 조작감을 제공하여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A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S}
본 발명은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게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8방향 조향(상/하/좌/우/상좌/상우/하좌/하우)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방향 및 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공하는 한편, 우수한 터치감과 조작감을 제공하여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게임은 컴퓨터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처리하고, 그 과정이나 결과를 출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게임으로서, 디스플레이 상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을 포함한다.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은 보통 게임 컨트롤러로 실현된다. 게임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제어할 수 있고, 이는 시각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예컨대,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등) 상에 랜더링 되도록 할 수 있다.
비디오 게임의 개발 초기에는 한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조이스틱이 사용되었으나 점차 인쇄회로기판에 십자키와 러버키패드를 사용하여 8방향 입력이 가능하게 한 디지털 게임패드가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이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복수의 아날로그 및 이산(discrete) 입력들을 갖는 컨트롤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 개발된 비디오 게임 콘솔에서 이용되는 게임 컨트롤러는 보통 아날로그 썸스틱(thumbstick)(들), 아날로그 트리거(들), 이산 버튼(들), 및/또는 방향 패드(directional pad)(들)를 포함한다.
이처럼 콘솔에서 실행 가능한 게임들은 최신 컨트롤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입력들을 이용하도록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IT 기술 발달에 힘입어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의 보급과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특히 조작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 패드 등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콘솔 기반 게임들의 버전들을 더욱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컴팩트한 디자인의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게임 버전과 인터랙션할 때의 사용자 경험과, 비디오 게임의 콘솔 상에서 실행되는 게임 버전과 인터랙션할 때의 사용자 경험은 질적인 측면에서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어 왔다.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들은 통상적으로 비디오 게임의 콘솔용 컨트롤러들과 유사한 촉각 피드백(tactile feedback)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흥미와 재미를 심각하게 훼손하였다.
이에,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게임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게임의 흥미와 재미를 개선하기 위한 게임 컨트롤러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648호(등록일: 2013.07.1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38호(등록일: 2015.10.30.),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543호(공개일: 2014.03.1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44호(등록일: 2015.10.30.) 등에서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86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3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543호에서 제안된 게임 제어방식은 모바일 기기 상에 흡착 방식으로 부착되어 흡착판의 탄성으로 전도성 몸체를 일측으로 기울여서 터치 스크린의 일지점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엄지에 힘을 주어 사용할 경우 흡착판이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점이 원하지 않는 인접한 다른 방향의 가상패드 부분을 동시에 터치하여 입력 오류가 높은 단점으로 인해 일정한 구간에 정확하게 터치해야 하는 8방향 가상패드의 입력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44호에서는 슬라이드 방식의 게임 제어방식을 제안한다. 탄성 재질을 이용하여 전도성 몸체를 원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상'에서 '하', 또는 '좌'에서 '우' 등 반대편 방향으로 조향할 때 중간 지점의 터치 스크린 공간만큼 입력 공백이 발생하기 때문에 엄지로 신속한 방향 입력 전환이 어려워 신속성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그리고, 앞선 흡착방식의 선행문헌들과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접촉점이 원하지 않는 인접한 다른 방향의 가상패드 부분을 동시에 터치하여 입력 오류가 높은 단점으로 인해 일정한 구간에 정확하게 터치해야 하는 8방향 가상패드의 입력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6438호와 같은 케이스 일체형 게임 컨트롤러는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한 다른 기종의 스마트폰에는 사용할 수 없고, 또한 그 형상이 고정되어 주로 세로방향으로만 사용하고, 작은 게임 화면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외에,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게임 컨트롤러는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고, 충전을 해야 함에 따라 사용이 번거롭고, 해당 블루투스 컨트롤러에 호환이 가능한 특정 게임에만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는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여 3D 게임에 적합한 360° 전방향 입력 방식의 게임에는 적합할 수는 있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게임패드에 사용되어 전세계적으로 익숙한 조작감을 갖는 8방향 입력방식을 요하는 고전 방식의 게임에는 적합하지 않고, 입력시 신속성과 정확성이 낮아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288648 B1(2013. 07. 16.) KR 10-1566438 B1(2015. 10. 30.) KR 20-2014-0001543 U(2014. 03. 13.) KR 10-1566444 B1(2015. 10. 3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8방향 조향(상/하/좌/우/상좌/상우/하좌/하우)이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방향 및 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970년대 후반부터 가정용 비디오 게임의 게임패드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게임패드들에도 사용되어 매우 익숙한 조작감을 갖는 인쇄회로기판에 십자형 방향키와 러버키패드를 사용한 디지털 게임패드와 흡사한 그립감과 조작감을 제공하여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실행되는 게임을 십자형 방향키로 제어하는 게임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되는 착탈부재; 상기 십자형 방향키를 수용하고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된 커버; 상기 커버 상면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는 십자형 방향키; 및 상기 십자형 방향키 및 상기 커버 하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십자형 방향키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는 러버키패드;로 이루어진 십자형 게임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압되는 십자형 조작부; 상기 커버 상면부의 결합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정전기를 하부의 러버키패드에 전달하는 키 부재; 및 상기 십자형 조작부 하부로 돌출된 축부;로 구성되고, 상기 러버키패드는 상기 커버 하면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키 부재와 상하로 대향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하게(tapered) 연장되어 상기 키부재를 가압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사용자의 정전기를 전달하는 4개의 터치부; 및 상기 축부에 대응하는 홀(hole);을 포함하는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조작부 및 상기 키 부재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십자형 조작부 상단의 중앙부가 X자로 분할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노출되는 원형의 조작부 상단에 십자 형상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러버키패드의 베이스 및 4개의 터치부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터치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하게 원형으로 연장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접속부; 상기 다리부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상기 제2 접속부 및 상기 연결부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8방향 조향(상/하/좌/우/상좌/상우/하좌/하우)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십자형 게임패드 및/또는 버튼형 게임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모바일 게임패드들에 비해 8방향 가상패드의 방향 및 입력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제공하는 한편, 우수한 터치감과 조작감을 제공하여 게임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게임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십자형 게임패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십자형 게임패드의 일부를 상하로 절개하여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a) 및 (b)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러버키패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게임패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의 다양한 구현 방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에 적용할 수 있는 십자형 방향키의 다양한 형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착탈부재의 고정방식에 따른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a) 및 (b)는 집게형 또는 클립형 착탈부재이고, (c)는 압착형, (d)는 점착형 착탈부재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해 모바일 기기(예컨대, 스마트폰)에 설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임 컨트롤러(10)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실행되는 각종 게임, 예컨대 8방향 입력방식을 요하는 고전 게임을 8방향으로 제어(조향)하는 십자형 게임패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1)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이외에,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는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게임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십자형 게임패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십자형 게임패드의 일부를 상하로 절개한 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게임패드(10)는 게임패드(10)를 모바일 기기(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부재(11)와, 착탈부재(11)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하로 결합하는 상면부(122) 및 하면부(121)로 구성된 커버(12), 상기 커버 상면부(122)에 형성된 십자형상의 결합공(122a)에 십자형 조작부(131)가 관통 결합되는 십자형 방향키(13), 상기 커버 하면부(121)의 관통공(121a)을 통해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과 대면하도록 십자형 방향키(13)와 커버 하면부(121)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십자형 방향키(13)를 통해 하부로 손가락의 가압력이 전달되면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하여 십자형 방향키(13)를 누르는 손가락의 정전기를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는 러버키패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재(11)는 상기 게임패드(10)를 모바일 기기(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방식이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부재(11)는 한 쌍의 집게발을 통해 모바일 기기(1)에 부착되는 집게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클립형, 압착형, 점착형일 수 있다.
상기 집게형은 말단이 두 가닥으로 갈라져 소정의 위치를 집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립형은 탄성 등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착형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압력에 의한 형태의 변형에 의해 평평한 모바일 기기(1)의 터치스크린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점착형은 끈끈한 달라붙는 소재를 통해 모바일 기기(1)의 터치스크린에 반복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착탈부재(11)는 고정 방식에 따라 그 구조 및 결합 형태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집게형 또는 클립형 착탈부재는 커버 하면부(121)와 상면부(122)의 결합 형태에 따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압착형은 도 10(c), 점착형은 도 10(d)에 도시된 단면 구조를 이룰 수 있고, 고정 방식에 따라 상기 착탈부재(11) 및 상기 커버 하면부(121)의 결합 형태나, 상기 착탈부재(11)의 하단면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는 도 2와 같이 원통형으로 상면부(122) 및 하면부(121)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고, 십자형 방향키(13)와 러버키패드(14)를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방향키(13)는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실행되는 각종 게임에서 방향을 조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커버 상면부의 결합공(122a)을 관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십자형 조작부(131), 상부는 십자형 조작부(131) 외측(상부)으로 노출되고 하부는 러버키패드(14)와 맞닿아 사용자의 정전기를 러버키패드(14)로 전달하는 키 부재(132), 상기 십자형 조작부(131)의 하부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 축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133)는 상기 키 부재(132)의 일방향으로 가압력이 전달되면 상기 축부(133)를 기준으로 가압력에 따라 십자형 조작부(131)를 회동시키고 인접한 다른 터치부의 의도치 않은 입력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축부(133)는 키 부재(132)의 동작시 인접 영역의 간섭을 차단하여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축부(133)의 말단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십자형 방향키의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나, 형태나 크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십자형 방향키(13)는 상기 커버 상면부(122)의 결합공(122a)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면이 원형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십자형 방향키(13)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공(122a)을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면 형태나 크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 부재(132)는 손가락의 정전기를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 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십자형 조작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상하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 부재(132)는 손가락의 정전기를 전달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 예컨대 전도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키 부재(132)의 상부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손가락과 접촉할 수 있고, 하부는 러버키패드(14)의 터치부와 상하로 맞닿아 적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 부재(132)의 하단부(러버키패드(14)의 터치부(142)의 상부와 접촉되는 부위) 높이는 십자형 조작부(131)의 하단면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키 부재(132)는 사용자의 정전기를 러버키패드(14)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할 수 있으면 족하고, 구조나, 형태, 면적, 부피, 소재 등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러버키패드(14)는 베이스(141) 및 터치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부(142)는 베이스(141) 상에 십자형(4개)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키 부재(132)와 상하로 대향하도록 베이스(141)로부터 테이퍼하게(tapered) 연장되어 사용자 손가락이 키 부재(132)를 가압할 때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과 접촉되어 키 부재(132)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 손가락의 정전기를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42)의 중앙 내측에는 손가락이 십자형 방향키(13)를 가압시 축부(133)가 커버 하면부(121)에 관통 지지되도록 홀(hole, 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43)은 십자형 조작부(131)의 하부 중앙에 하측에 돌출된 축부(133)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십자형 방향키를 동작시에 축부(133)가 탄성이 있는 러버키패드(14)의 베이스(141)의 상부가 아닌 커버 하면부(121)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원활한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홀(143)은 구형 뿐만 아니라 상기 축부(133)가 커버 하면부(121)에 관통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면,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도 4의 러버키패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러버키패드(14)는 베이스(141)와, 키 부재(132)와 상하로 대향하도록 베이스(141)에 형성되어 손가락 가압시 키 부재(132)와 접촉되어 키 부재(132)를 통해 전달된 정전기를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터치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41)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타원형이나 다각형(사각형, 마름모꼴형 등)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41)는 통상의 디지털 게임패드에 사용된 러버키패드와 같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부(142)는 각 키 부재(132)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42)는 키 부재(132)와 각각 대향하도록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부(142)는 (x)축 및 (y)축의 수직 교차점을 기준으로 정십자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42)가 상기 수직 교차점으로부터 등간격이 아니라면 대각선 방향의 조작(예컨대, 상좌)이 정확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부(142)는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베이스(141)로부터 상부로 테이퍼하게 신장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부(142a)와, 다리부(142a)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접속부(142b)와, 다리부(142a)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제2 접속부(142c)와, 제1 및 제2 접속부(142b, 142c)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42a)는 베이스(141)와 일체로 동일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42b, 142c)는 손가락 가압시 키 부재(1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키 부재(132)를 통해 전달된 정전기를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기 위해 금속이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성력을 통해 우수한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해 카본 블랙 등과 같은 전도성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42d)는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142b, 142c)를 상하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재질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등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부(142)의 상기 제1 접속부(142b), 제2 접속부(142c), 및 연결부(142d)는 도 5와 같이 서로 분리된 구조가 아닌 일체형, 즉 카본 블랙 또는 전도성 고무 등과 같은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러버키패드(14)는 베이스(141)와 터치부(142)가 탄성을 가진 전도성 고무 등과 같이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게임패드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십자형 게임패드(10)는 착탈부재(11)를 매개로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1a)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십자형 방향키(13)가 터치 스크린(1a)을 통해 실행되는 게임의 방향 조향용 접촉점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후, 게임 중 방향 조향을 위해 손가락(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십자형 방향키(13)의 키 부재(132)를 일 측으로 가압하면, 키 부재(132)는 축부(133)를 축으로 가압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하측에 정렬된 러버키패드(14)의 터치부(142)가 키 부재(132)에 의해 가압되어 터치부(142)의 제1 접속부(142b)는 키 부재(1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제2 접속부(142c)는 모바일 기기(1)의 터치 스크린(1a)에 접촉될 수 있다.
결국, 상기 키 부재(132)와 터치 스크린(1a)은 해당 터치부(142)를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키 부재(132)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손가락에서 발생된 정전기가 키 부재(132)와 터치부(142)를 통해 터치 스크린(1a)로 전달되어 방향 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식으로 상기 십자형 게임패드(10)의 키 부재(132), 즉 상하좌우측 4개의 키 부재(132)를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하여 상하좌우 방향을 조향하고, 나머지 상좌/상우/하좌/하우 방향은 2개의 키 부재(132)를 동시에 조작(가압)하여 조향할 수 있다.
예컨대, '상좌'는 상측 키 부재와 좌측 키 부재를 동시에 조작하여 조향하고, '상우'는 상측 키 부재와 우측 키 부재를 동시에 조작하여 조향하고, '하좌'는 하측 키 부재와 좌측 키 부재를 동시에 조작하여 조향하고, '하우'는 하측 키 부재와 우측 키 부재를 동시에 조작하여 조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A-A' 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13’)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조작부, 및 키 부재가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십자형 방향키(13’)는 도 4에 도시된 일례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13)와 달리 십자형 조작부 및 키 부재가 금속이나 전도성 플라스틱 등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십자형 방향키(13’)는 커버 상면부의 결합공을 통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면이 원형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십자형 방향키(13')의 외측면은 상기 결합공을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면 형태나 크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안된 십자형 방향키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키부재 및 축부를 포함하되, 상기 십자형 조작부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십자형 방향키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들이 도 9에 도시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십자형 방향키에 적용할 수 있는 십자형 방향키의 다양한 형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플레이스테이션에 적용된 십자형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세가 새턴에 적용된 십자형 방향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십자형 방향키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및 러버키패드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구조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각종 게임 컨트롤러, 예컨대, 닌텐도,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등의 게임 컨트롤러에 적용된 십자형 방향키의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커버 상면부의 결합공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십자형 조작부 상단의 중앙부가 X자로 분할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와 같이,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원형의 조작부 상부에 십자 형태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공지된 게임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다양한 형상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바일 기기
1a : 터치 스크린
10 : 십자형 게임패드
11 : 착탈부재
12 : 커버
121 : 커버 하면부
121a : 관통공
122 : 커버 상면부
122a : 결합공
13, 13' : 십자형 방향키
131 : 십자형 조작부
132 : 키 부재
133 : 축부
14 : 러버키패드
141 : 베이스
142 : 터치부
142a : 다리부
142b : 제1 접속부
142c : 제2 접속부
142d : 연결부
143 : 홀(hole)
20 : 버튼형 게임패드

Claims (6)

  1.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실행되는 게임을 십자형 방향키로 제어하는 게임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에 고정되는 착탈부재;
    상기 십자형 방향키를 수용하고,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된 커버;
    상기 커버 상면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는 십자형 방향키; 및
    상기 십자형 방향키 및 상기 커버 하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십자형 방향키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정전기를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전달하는 러버키패드;로 이루어진 십자형 게임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압되는 십자형 조작부; 상기 커버 상면부의 결합공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정전기를 하부의 러버키패드에 전달하는 키 부재; 및 상기 십자형 조작부 하부로 돌출된 축부;로 구성되고,
    상기 러버키패드는 상기 커버 하면부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키 부재와 상하로 대향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하게(tapered) 연장되어 상기 키부재를 가압할 때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사용자의 정전기를 전달하고,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4개의 터치부; 및 상기 축부에 대응하는 홀(hole);을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 하면부에서 지지되는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조작부 및 상기 키 부재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임 컨트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 방향키는 십자형 조작부 상단의 중앙부가 X자로 분할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노출되는 원형의 조작부 상단에 십자 형태가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게임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키패드의 베이스 및 4개의 터치부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임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터치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하게 원형으로 연장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접속부; 상기 다리부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게임 컨트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상기 제2 접속부 및 상기 연결부는 단일의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게임 컨트롤러.
KR1020200042123A 2020-04-07 2020-04-07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KR10228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123A KR102284462B1 (ko) 2020-04-07 2020-04-07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PCT/KR2021/003820 WO2021206337A1 (ko) 2020-04-07 2021-03-29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US18/045,016 US20230068209A1 (en) 2020-04-07 2022-10-07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123A KR102284462B1 (ko) 2020-04-07 2020-04-07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462B1 true KR102284462B1 (ko) 2021-07-30

Family

ID=7714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123A KR102284462B1 (ko) 2020-04-07 2020-04-07 터치 가능한 모바일 기기 상의 게임 컨트롤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8209A1 (ko)
KR (1) KR102284462B1 (ko)
WO (1) WO2021206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29943S1 (en) * 2022-03-30 2024-06-04 Min Seob HAN Game controller for mobile devices
DE102022126004A1 (de) * 2022-10-07 2024-04-18 Wacker Neuson Produktion GmbH & Co. KG Bedienadapter für ein mobiles Endgerät zur Fernbedienung von Baumaschinen und Verfahren zur Fernbedienu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585A (ja) * 2000-02-18 2003-08-05 バダルネー、ジアド 操作装置
KR101015337B1 (ko) * 2010-07-05 2011-02-16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조향 어답터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3-07-22 이재혁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KR20140001543U (ko) 2012-09-05 2014-03-13 한성원 스마트폰용 조이스틱
KR101566438B1 (ko) 2014-06-17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KR101566442B1 (ko) * 2014-06-17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KR101566444B1 (ko) 2014-07-30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061A (ko) * 2011-03-12 2012-09-20 성기남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585A (ja) * 2000-02-18 2003-08-05 バダルネー、ジアド 操作装置
KR101015337B1 (ko) * 2010-07-05 2011-02-16 정영훈 터치스크린용 조향 어답터
KR101288648B1 (ko) 2012-03-06 2013-07-22 이재혁 스마트폰 장착용 조이스틱 장치
KR20140001543U (ko) 2012-09-05 2014-03-13 한성원 스마트폰용 조이스틱
KR101566438B1 (ko) 2014-06-17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KR101566442B1 (ko) * 2014-06-17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KR101566444B1 (ko) 2014-07-30 2015-11-06 이은미 스마트폰용 게임 콘트롤러 겸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337A1 (ko) 2021-10-14
US20230068209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317A (en) Two-handed controller for video games and simulations
US20230068209A1 (e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
KR970005724Y1 (ko) 게임기용 조작장치
EP2900344B1 (en) A game controller
US8608565B2 (en) Oper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US6624806B2 (en) Joystick capable of controlling direction rudder and accelerator synchronously
US6010406A (en) Operation device for game machine
CN105933473B (zh) 智能手机用游戏控制器兼用手机壳
TWI733359B (zh) 遊戲控制器
WO2005107906A1 (en) An electronic device and a game controller
US10475606B2 (en) Adjustable force tactile switch
JP2003236246A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EP2902082A1 (en) Video games input device
US20170113132A1 (en) Enhanced function interaction device
WO2017216978A1 (ja) ゲーム専用機用コントローラ、ゲーム専用機用の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CN205549518U (zh) 一种按键结构及一种游戏手柄
JP6730918B2 (ja) コントローラ、カバー部材
WO2015129984A1 (ko) 게임 조정장치
US20050231475A1 (en) Combined joy pad and joystick controller
WO2002001589A1 (en) A user input device for a game simulation apparatus
CN218129912U (zh) 一种游戏控制手柄
JP4521298B2 (ja)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3453263B2 (ja) ゲーム機用操作装置
JPH0975544A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KR200429744Y1 (ko) 조이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