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23B1 -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23B1
KR102283323B1 KR1020200046802A KR20200046802A KR102283323B1 KR 102283323 B1 KR102283323 B1 KR 102283323B1 KR 1020200046802 A KR1020200046802 A KR 1020200046802A KR 20200046802 A KR20200046802 A KR 20200046802A KR 102283323 B1 KR102283323 B1 KR 10228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polling
transmission
user terminal
p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진
Original Assignee
이니그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니그마(주) filed Critical 이니그마(주)
Priority to KR102020004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323B1/ko
Priority to PCT/KR2020/007972 priority patent/WO202121072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 재개를 요청하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servicing application with polling blocking release function}
본 발명은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을 재개시킬 수 있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개인의 단말 사용 패턴은 음성통화에서 데이터 통신위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데이터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 개인이 하루에 사용하는 모바일 데이터량은 15MB수준이었으나, 10~15년간 약 26배의 모바일 트래픽이 증가되어 2020년에 1GB에 이르렀다.
이러한, 모바일 트래픽 증가는 이동통신사의 수익성 및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서비스 사업자인 이동통신사의 장비증설을 수반하며, 이에 따른 수익악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며,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 또한 데이터 통신 속도 지연에 따른 서비스 불만족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사들은 투자부담 감소와 서비스 품질보장을 위해 네트워크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과제에 봉착했으며 현재의 솔루션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예측가능성과 실시간 통제가 보장되는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바일 네트워크 혼잡의 주요 요인으로는 크게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불필요한 네트워크 이용에 따른 혼잡과, 경기장, 지하철 등 한정된 지역에 수 많은 무선단말장치가 몰리는 경우에 따른 혼잡과,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른 혼잡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 혼잡에 따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막대한 비용소모와 무선단말정치 사용자들의 서비스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네트워크 이용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 도래한 것이나, 이에 대한 해결책이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무선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중 주기적으로(예를들면, 1분 간격으로) 데이터 폴링(Polling)을 시도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데이터 갱신이 필요치 않은 상황에서도 데이터 폴링 대상 서버로의 불필요한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어, 네트워크 부하를 가중시키는 커다란 문제점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데이터 폴링으로 인핸 무선단말장치의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의 소비를 가속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무선단말장치는 데이터 폴링을 수행할수록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의 소비가 가속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데이터 폴링을 차단하여 배터리 소비를 감소시킴과 함께 네트워크 부하의 가중을 감소시킨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7567호, 2011.06.01 공개
본 발명은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었는지 판단하고,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푸쉬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을 재개시키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 재개를 요청하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 요청되면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상기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 요청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갱신 주기 마다 상기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확인되면,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서 상기 송신이 확인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은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 재개를 요청하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된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사용자 단말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푸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여 데이터 폴링을 재개시킴으로써,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서비스 중단없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통신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 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통신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의 구성요소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와 다른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푸쉬 서비스 서버(300) 각각과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과 소켓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 통신은 서버(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와 클라이언트(사용자 단말(200))가 특정 포트를 통해 연결을 성립하여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러한, 소켓 통신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양방향으로 요청을 송신할 수 있으며,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지향형 통신이므로 실시간 통신이 요구되는 통신환경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간 스트리밍 중계, 실시간 채팅, 빈번한 푸쉬 메세지 송신과 같이 즉각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및 모바일 통신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빈번한 데이터 폴링으로 인해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되고, 배터리 소비가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 폴링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면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 간의 통신이 차단되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정보, 신호 및 데이터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푸쉬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푸쉬 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이벤트를 실행함에 따라 서버에서 실행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단말 식별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푸쉬 메세지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요청 신호를 푸쉬 서비스 서버(300)로 송신하고, 푸쉬 서비스 서버(300)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로 푸쉬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푸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상태에서 푸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폴링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푸쉬 요청 신호를 대신하여 데이터 폴링을 재개시키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푸시 서비스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푸시 서비스 서버(300)는 푸쉬 요청 신호로써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로 푸쉬 신호로써 데이터 폴링 재개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상태에서 푸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폴링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푸쉬 신호를 수신한 이후,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통신부(120) 및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외부 또는 자체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받을 수 있다(S11). 이때, 프로세서(110)는 송신 데이터의 송신을 요청받으면, 송신 대기 목록에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 요청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미리 설정된 갱신 주기 마다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된 상기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를 소켓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2).
이때,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된 송신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에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면 통신부(120)가 송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하더라도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반대로,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폴링이 차단되지 않으면, 통신부(120)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의 응답으로 수신 응답 신호를 통신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로 송신 데이터 송신의 응답으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확인된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 대기 목록에서 수신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10)는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였으나, 수신 응답 신호가 통신부(120)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송신 대기 목록에서 해당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리 설정된 갱신 주기 마다 갱신된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경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 정보가 클수록 기준 경과 시간이 길도록 기준 경과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한 송신 데이터의 초과 개수를 산출하고, 초과 개수가 기준 초과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합산하고, 합산된 데이터 크기가 기준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를 합산하고, 합산된 데이터 크기가 기준 데이터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4).
이를 통해, 푸시 서비스 서버(300)는 푸쉬 요청 신호로써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0)로 푸쉬 신호로써 데이터 폴링 재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5).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상태에서 푸쉬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푸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 폴링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폴링이 재개된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S16).
여기서, 송신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 송신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20) 및 저장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푸쉬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200) 및 푸쉬 서비스 서버(300)와 범용 통신을 수행하여 송신 데이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 및 푸쉬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범용 통신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다양한 범용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RAM 및 ROM을 구비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프로세서(110)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1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21 단계에서, 프로세서가 사용자 단말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후, S22 단계에서,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S23 단계에서, 프로세서가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 재개를 요청하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반대로, S22 단계에서,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미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S21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S23 단계 이후, S24 단계에서, 프로세서가 데이터 폴링이 재개된 사용자 단말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된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푸쉬 서비스 서버

Claims (8)

  1. 데이터 폴링이 차단된 상태에서 푸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신호가 수신되면 데이터 폴링의 차단을 해제하는 사용자 단말로 푸시 서비스 서버가 상기 푸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및 상기 푸시 메시지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요청 신호를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송신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가 추가 후 삭제 또는 유지되는 송신 대기 목록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폴링 차단 여부의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 폴링 차단을 해제하여 데이터 폴링 재개를 요청하는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 요청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나타내는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와 매핑시켜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가 기준 경과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푸시 요청 신호로써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푸시 요청 신호로써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를 수신한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가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된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푸시 신호로써 데이터 폴링 재개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고, 상기 푸시 신호로써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의 차단을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 데이터가 송신 요청되면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상기 송신 요청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갱신 주기 마다 상기 송신 요청 경과 시간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 폴링 차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식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 폴링 재개 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푸시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송신이 확인되면, 상기 송신 대기 목록에서 상기 송신이 확인된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7. 삭제
  8. 삭제
KR1020200046802A 2020-04-17 2020-04-17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KR10228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02A KR102283323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PCT/KR2020/007972 WO2021210726A1 (ko) 2020-04-17 2020-06-19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802A KR102283323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323B1 true KR102283323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802A KR102283323B1 (ko) 2020-04-17 2020-04-17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3323B1 (ko)
WO (1) WO20212107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67A (ko) 2009-11-24 2011-06-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랜에서 직교 신호를 이용한 폴링 리스트 파악 방법 및 그 기억 매체
KR20130094368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적 네트워크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07867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폴링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1965213B1 (ko) * 2018-07-31 2019-04-03 주식회사 업루트 화이트리스트 전사 관리를 통한 프로그램 실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5749B2 (ja) * 2010-11-18 2014-07-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US20170195275A1 (en) * 2015-12-30 2017-07-06 Dell Products L.P. Delivery of email to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567A (ko) 2009-11-24 2011-06-0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랜에서 직교 신호를 이용한 폴링 리스트 파악 방법 및 그 기억 매체
KR20130094368A (ko) * 2012-02-13 2013-08-26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동적 네트워크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30107867A (ko) * 2012-03-23 2013-10-02 주식회사 아이디어웨어 데이터 폴링 분석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1965213B1 (ko) * 2018-07-31 2019-04-03 주식회사 업루트 화이트리스트 전사 관리를 통한 프로그램 실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726A1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381B1 (ko) 제한된메모리컴퓨터시스템에서의클라이언트관리흐름제어를위한방법과장치
KR101823539B1 (ko) 개인용 전자 디바이스와 외부 서비스들 간의 헤비 트래픽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16794B1 (ko) 에이전트 시스템
US86011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distribution and synchronization rules in a client/server environment based on operation environment data
KR20120076381A (ko)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운영체제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80109412A (ko) 예측 기반 동적 쓰레드 풀 조정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에이전트 플랫폼
KR201101148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085061A1 (en) Remote control system, rel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inal device, and relay method
GB2437103A (en) A mobile wireless device with priority resolution for communication sessions with management and application servers
US20210136665A1 (en) Method For Obtaining System Inform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System Information And Relevant Equipment
EP4231711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server switching,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916028A (zh) 业务服务器的切换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1666167A (zh) 一种对输入事件读取处理优化方法、非易失性存储器及终端设备
US20070050447A1 (en) Method and device arrangement for managing a client/server environment
KR102283323B1 (ko) 데이터 폴링 차단 해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 및 방법
EP2907359B1 (en)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ignalling traffic on mobile devices
US20200128608A1 (en) Context release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60018030A (ko) 전자장치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60378536A1 (en)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3110605A (ja) ポリシー制御システム、ポリシー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CN116980410A (zh) 服务框架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966702B2 (ja) 無線通信方法、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90136507A (ko) 메시지 전송 지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59076A (ko) 무선 통신 기기내 자동 다운로드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R101862563B1 (ko) 서비스 접속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