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13B1 -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13B1
KR102283313B1 KR1020200149025A KR20200149025A KR102283313B1 KR 102283313 B1 KR102283313 B1 KR 102283313B1 KR 1020200149025 A KR1020200149025 A KR 1020200149025A KR 20200149025 A KR20200149025 A KR 20200149025A KR 102283313 B1 KR102283313 B1 KR 10228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absorber
leak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장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석 filed Critical 장현석
Priority to KR102020014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313B1/ko
Priority to KR1020210078679A priority patent/KR102313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1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in domestic pipe systems, e.g. devices for automatic shut-of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상태로 지지하면서 수도관을 바닥, 벽 등의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고 지진의 발생에도 수도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누수의 발생까지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A System for Installing Water Pipe}
본 발명은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상태로 지지하면서 수도관을 바닥, 벽 등의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고 지진의 발생에도 수도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누수의 발생까지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는 생활용수 등의 공급 또는 하수의 배출을 위한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배관을 연결하여 설치되며, 건물, 토지 등의 벽, 바닥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하수도에 손상 또는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최근에는 지진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배관에 대한 내진설계의 기준도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지진의 발생시에도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그 설치가 복잡하고 진동의 흡수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누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2098825호(2020.04.02. 등록)"내진용 횡방향 및 종방향 버팀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상태로 지지하면서 수도관을 바닥, 벽 등의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고 지진의 발생에도 수도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누수의 발생까지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본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면서 연결본체 내측에 밀착부재를 삽입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본체의 강한 고정과 함께 밀착부재를 통한 누수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결본체와 수도관 사이에 물의 흡수에 따라 팽창하는 흡수체를 삽입하고, 흡수체의 팽창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흡수체의 팽창에 따라 누수의 발생과 누수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흡수체의 팽창 정도에 따라 누수 위험 시점의 예측과 긴급 상황의 알림이 가능하도록 하여 누수 상태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차지지부 및 2차지지부에 의해 이중으로 수도관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의 누름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수도관을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와 손쉬운 설치로도 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누름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1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단 사이에 삽입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크기에 따라 누름판의 굽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끼움체가 2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탄성부재가 끼움체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여 탄성부재가 2차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1차지지부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지진 개시의 감지, 지진 강도의 측정, 위험 상황의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진에 대한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벽, 바닥 등의 기초구조물에 고정되는 기초고정부의 진동도 끼움탄성체에 의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은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시키는 수도관연결장치와, 수도관을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시키는 탄성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장치는 수도관이 양측에서 삽입되어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수도관을 감싸도록 회전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 내에 형성되어 수도관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폐탄성체와, 상기 연결본체를 눌러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통한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개방된 지점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조임볼트와, 상기 조임볼트에 체결되어 결합단을 조이는 고정너트와,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도관에 탄성밀착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연결장치는 상기 누수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누수상태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도관에 밀착되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흡수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가 삽입되는 흡수체수용홈과; 상기 흡수체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수체팽창홈과; 상기 흡수체팽창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흡수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수도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누수상태판단부는 상기 흡수체가 팽창되어 접촉센서에 접촉되는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수상태로 확정하여 알리는 누수확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확정부는 상기 흡수체가 접촉되는 초기 접촉센서의 위치를 수신하는 초기위치수신모듈과, 초기위치의 수신 후 일정시간 내에 흡수체가 접촉되는 접촉센서를 검출하는 감지위치검출모듈과, 검출된 정보에 따라 흡수체의 팽창 길이를 산출하는 팽창길이산출모듈과, 팽창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수상태로 확정하여 알리는 누수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누수상태판단부는 상기 흡수체의 팽창길이가 누수로 확정되는 설정값 이하의 위험범위에서 계속되는 경우 그 누적정도에 따라 누수 위험 시점을 예측하는 누수예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예측부는 상기 흡수체의 팽창길이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험범위감지모듈과, 팽창길이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팽창길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누적저장모듈과, 누적되는 팽창길이를 합산하는 누수지수를 산출하는 누수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누수지수에 따라 누수 위험 시점을 예측하는 누수시점예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누수상태판단부는 상기 흡수체의 팽창길이가 누수로 확정되거나 위험 범위에 이르지는 못하더라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신속하게 알리는 긴급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알림부는 흡수체 팽창길이의 변화율을 산출하는 길이변화율산출모듈과, 산출된 변화율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임계값비교모듈과, 변화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연속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연속계측모듈과, 연속되는 시간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긴급지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수도관의 일 지점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수도관지지부와, 상기 수도관지지부를 기초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기초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도관지지부는 수도관을 둘러싸면서 직접 지지하는 1차지지부와, 상기 1차지지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1차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2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차지지부는 수도관을 둘러싸는 1차지지프레임과, 상기 1차지지프레임 내측에 끼워져 수도관을 탄성지지하는 지지모듈과, 상기 1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일정 너비의 탄성을 가진 판으로 형성되어 굽혀진 상태로 1차지지프레임과 수도관 사이에 끼워지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외측으로 굽혀진 누름판 사이에 삽입되어 누름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볼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단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1차지지부는 상기 1차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어 누름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수단은 1차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출단 사이에 끼워진 누름판을 탄성지지하는 차단탄성체와, 1차지지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누름판의 삽입후 누름판을 눌러 지지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2차지지부는 상기 1차지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2차지지프레임과, 상기 2차지지프레임 내측에 삽입되어 1차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2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끼움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끼움체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체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홈 및 끼움돌기는 내외측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1차지지부 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체는 상기 끼움돌기 상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초고정부는 상기 수도관지지부와 연결되며, 기초구조물에 끼워지는 삽입플랜지와; 상기 삽입플랜지와 기초구조물 사이에 삽입되는 끼움탄성체와; 상기 끼움탄성체 및 삽입플랜지를 관통하여 기초구조물에 고정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1차지지부와 접촉되는 끝단에 형성되어 접촉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진감지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지진의 개시를 감지하여 알리는 지진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진알림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정보수신모듈과, 지진으로 감지되는 기준압력을 설정하는 기준압력설정모듈과, 수신된 압력정보를 기준압력과 비교하는 압력비교모듈과, 수신된 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횟수를 산출하는 초과횟수산출모듈과, 일정시간 동안 압력의 초과횟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진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지진개시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진감지부는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여 알리는 강도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강도측정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압력초과정보수신모듈과, 압력이 초과되는 시점의 시간정보를 감지하는 압력초과시간감지모듈과, 압력이 초과되는 빈도를 계산하는 초과빈도연산모듈과, 압력값과 초과빈도에 따라 지진의 강도에 관한 지진지수를 산출하는 지진지수산출모듈과, 산출된 지진지수에 따른 지진 강도를 산정하여 전송하는 강도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진감지부는 지진의 강도가 산출되기 전이라도 진동의 급격한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 위험상태를 알리는 경고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전송부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시간 간격을 산출하는 압력초과간격산출모듈과, 압력의 초과 시간 간격을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설정값비교모듈과, 초과 시간 간격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그 연속횟수를 산출하는 연속횟수산출모듈과, 연속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상황으로 인지하여 위험정보를 전송하는 위험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상태로 지지하면서 수도관을 바닥, 벽 등의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지진의 진동을 흡수하고 지진의 발생에도 수도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누수의 발생까지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본체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면서 연결본체 내측에 밀착부재를 삽입하여 탄성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본체의 강한 고정과 함께 밀착부재를 통한 누수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본체와 수도관 사이에 물의 흡수에 따라 팽창하는 흡수체를 삽입하고, 흡수체의 팽창에 의해 누수를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흡수체의 팽창에 따라 누수의 발생과 누수 발생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흡수체의 팽창 정도에 따라 누수 위험 시점의 예측과 긴급 상황의 알림이 가능하도록 하여 누수 상태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차지지부 및 2차지지부에 의해 이중으로 수도관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안정적인 지지와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의 누름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수도관을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와 손쉬운 설치로도 수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누름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삽입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1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출단 사이에 삽입돌기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수도관의 크기에 따라 누름판의 굽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끼움체가 2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탄성부재가 끼움체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여 탄성부재가 2차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1차지지부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압력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지진 개시의 감지, 지진 강도의 측정, 위험 상황의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진에 대한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벽, 바닥 등의 기초구조물에 고정되는 기초고정부의 진동도 끼움탄성체에 의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수도관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수도관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압고정부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누수감지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누수상태판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1의 탄성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지지모듈 및 탄성부재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7의 지지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지지모듈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3 내지 도 14는 탄성부재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5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도 7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7은 지진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은 수도관(P)의 연결 부위를 밀폐시키는 수도관연결장치(1)와, 수도관(P)을 기초구조물(B)에 탄성지지시키는 탄성지지장치(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은 지진의 발생에도 효과적인 진동의 흡수를 통해 수도관(P)이 벽, 바닥, 지중 등의 기초구조물(B)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수도관(P)의 연결 부위를 완전히 밀폐시켜 지진의 발생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도관연결장치(1)는 수도관(P)의 연결부위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연결부위를 탄성 지지하면서 완전 밀폐시켜 안정적인 고정과 누수의 방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도관연결장치(1)는 수도관(P)에 압착되어 견고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수도관(P)의 연결부위를 통한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누수의 정도까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도관연결장치(1)는 연결본체(11), 밀폐탄성체(113), 가압고정부(13), 누수감지부(14), 누수상태판단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본체(11)는 양측으로 한 쌍의 수도관(P)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수도관(P)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도관(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P1)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P21), 너트(P22)로 형성되는 결합수단(P2)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본체(11)는 이러한 수도관(P)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으로 분할되어 힌지모듈(11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수도관(P)이 결합된 연결부위를 연결본체(11)가 둘러싸 감을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압고정부(13)에 의해 눌려 고정되게 된다.
상기 밀폐탄성체(113)는 상기 연결본체(11)의 내측에 삽입되는 탄성을 가진 부재로, 수도관(P)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탄성체(113)는 연결부위를 외부와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며, 플랜지(P1)의 외측으로도 연장되어 수도관(P)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탄성체(113)는 연결부위를 통해 유출되는 물이 수도관(P)을 타고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고정부(13)는 연결본체(11)를 눌러 수도관(P)이 밀착·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밀폐탄성체(113)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어 연결본체(11)를 누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고정부(13)는 결합단(131), 조임볼트(132), 고정너트(133), 밀착부재(134)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단(131)은 연결본체(11)의 개방된 지점의 양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조임볼트(132)가 관통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단(131) 상에는 관통공(131a)이 형성되어 조임볼트(132)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밀착부재(134)가 연결본체(11)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볼트(132)에 의해 조여지므로 밀착부재(134)를 수도관(P)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단(131)은 밀폐탄성체(113)가 삽입되는 수도관(P)의 연결부위 측에도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조임볼트(132)에 의해 조여져 밀폐탄성체(113)가 더욱 강하게 연결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볼트(132)는 한 쌍의 결합단(131)을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연결본체(11)를 조이는 구성으로, 밀착부재(134)가 수도관(P)에 압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임볼트(132)는 상기 결합단(131)의 관통공(131a)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고정너트(133)가 삽입되어 결합단(131)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너트(133)는 상기 조임볼트(132)와 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임볼트(132)가 결합단(131)에 체결되어 연결본체(11)를 조인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너트(133)는 결합단(131)에 밀착된 상태로 조임볼트(132)와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재(134)는 상기 연결본체(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도관(P)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단(131)이 형성되는 지점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밀착부재(134)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조임볼트(132)에 의한 조임에 따라 수도관(P)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이를 통해 가압고정부(13)에 의한 연결본체(11)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도관(P)을 타고 흐르는 누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감지부(14)는 수도관(P)의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수도관(P)을 타고 흐르는 누수를 감지하여 누수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감지부(14)는 연결본체(11)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밀폐탄성체(113), 밀착부재(134)의 차단에도 연결부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감지부(14)는 물의 흡수에 의해 팽창하는 소재를 이용하여 소재가 팽창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공된 경로의 끝에 소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형성하여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수감지부(14)는 흡수체(141), 흡수체수용홈(142), 흡수체팽창홈(143), 접촉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체(141)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구성으로, 수지,섬유 등의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141)는 수도관(P)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흡수체수용홈(142)에 삽입되며, 물의 흡수에 의해 흡수체팽창홈(143)으로 팽창되고 상기 접촉센서(144)에 접촉되어 누수가 감지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14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P)의 둘레 전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누수의 위치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수용홈(142)은 상기 흡수체(141)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본체(11)의 내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수도관(P)의 둘레 전체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수체수용홈(142)은 상기 흡수체팽창홈(143)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흡수체(141)가 흡수체팽창홈(143)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팽창홈(143)은 상기 흡수체수용홈(14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수도관(P)의 연결부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흡수체팽창홈(143)은 흡수체수용홈(142)보다 낮은 깊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흡수체(141)가 흡수체수용홈(14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경우에만 흡수체팽창홈(143)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촉센서(144)는 상기 흡수체(141)의 팽창에 따른 접촉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수체팽창홈(143)에서 연결부위로부터 가장 먼 끝단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센서(144)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141)가 팽창하여 접촉되는 상태를 통해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촉센서(144)는 수도관(P)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도관(P) 둘레 전체에 대한 누수를 감지하도록 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위치와 누수의 발생정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상태판단부(15)는 상기 접촉센서(144)에 의한 접촉정보에 따라 누수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누수가 발생한 위치와 누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누수상태판단부(15)는 흡수체(141)가 팽창되어 접촉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누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흡수체(141)가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개수가 많은 경우, 즉 흡수체(141)가 팽창되는 길이에 따라 누수 정도를 판단하고, 누수 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수 위험 상태로 확정하여 이를 알리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누수상태판단부(15)는 누수 위험으로 확정되지 않더라도 누수 정도가 설정값 이하의 위험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에는 그 누적정도에 따라 누수 위험 발생 시점을 예측할 수 있도로 하고, 이에 더하여 누수 정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긴급 상황의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수상태판단부(15)는 누수확정부(151), 누수예측부(152), 긴급알림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확정부(151)는 위험을 초래할 정도의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누수 상태로 확정하여 이를 알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흡수체(141)의 접촉이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와 개수에 따라 누수 위치와 누수 정도를 판단하여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수확정부(151)는 초기위치검출모듈(151a), 감지위치수신모듈(151b), 팽창길이산출모듈(151c), 누수알림모듈(15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검출모듈(151a)은 처음 흡수체(141)가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누수의 위치를 파악하고 흡수체(141)가 팽창되는 길이를 감지하여 누수 정도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위치수신모듈(151b)은 흡수체(141)가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초기위치의 검출후 일정시간 내에 흡수체(141)가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한다.
사기 팽창길이산출모듈(151c)은 물의 흡수에 따라 팽창되는 흡수체(141)의 길이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수도관(P)의 둘레를 따라 팽창이 이루어지는 흡수체(141)의 길이를 산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팽창길이산출모듈(151c)은 흡수체(141)가 감지되는 접촉센서(144)의 초기 위치와 상기 감지위치수신모듈(151b)에 의해 수신되는 접촉센서(144)의 위치에 따라 흡수체(141)가 팽창되는 길이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누수알림모듈(151d)은 누수의 위치와 정도를 관리자 등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초기위치검출모듈(151a)에 의해 검출되는 초기 위치와 상기 팽창길이산출모듈(151c)에 의해 산출되는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를 이용하여 누수 위치와 누수 정도를 산정하고 이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누수알림모듈(151d)으느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누수에 의한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하고,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누수 정도를 산정하도록 하고, 누수 단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누수예측부(152)는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위험 범위에서 지속되는 경우에는 그 지속정도에 따라 위험 발생 시점을 예측하는 구성으로, 작은 누수가 지속되는 경우 위험 발생 시점을 미리 예측하여 이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누수예측부(152)는 위험범위감지모듈(152a), 누적저장모듈(152b), 누수지수산출모듈(152c), 누수시점예측모듈(15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험범위감지모듈(152a)은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가 위험범위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위험범위란 상기 누수확정부(151)에 의해 위험 상태로 판단되는 설정값 이하의 일정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위험범위감지모듈(152a)은 위험 상태까지는 아니지만, 위험 직전에서 미세한 누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누수 정도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적저장모듈(152b)은 흡수체(141)의 팽창 길이가 위험범위에 도달할 때마다 그 팽창길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누적 정도에 따라 위험 발생 가능성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지수산출모듈(152c)은 상기 누적저장모듈(152b)에 의해 누적저장되는 흡수체(141)의 팽창길이에 따른 누수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누적저장되는 값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로 누수지수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수시점예측모듈(152d)은 누수지수에 따라 위험 발생 시점을 예측하는 구성으로, 누수지수에 따른 위험 발생 예상시점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예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누수지수산출모듈(152c)은 누수지수가 1~10으로 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누수시점예측모듈(152d)은 각 누수지수에 따라 누수지수가 10인경우 1일내, 9인경우 3일 내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을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누수지수에 따른 위험 시점은 과거 데이터 또는 실험에 의해 미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수시점예측모듈(152d)은 누수에 따른 위험 상황 발생 전에 미리 위험시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미리 누수에 대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긴급알림부(153)는 상기 누수확정부(151), 누수예측부(152)에 의해 위험 상황으로 확정되거나 위험 시점이 예측되지 않더라도 누수에 따른 흡수체(141)의 팽창길이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를 신속하게 알려 긴급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긴급알림부(153)는 길이변화율산출모듈(153a), 임계값비교모듈(153b), 연속계측모듈(153c), 긴급지시모듈(15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변화율산출모듈(153a)은 흡수체(141)의 팽창길이에 대한 변화율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시간에 따른 변화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임계값비교모듈(153b)은 길이변화율산출모듈(153a)에 의해 산출된 변화율을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변화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속계측모듈(153c)은 변화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그 지속시간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긴급지시모듈(153d)은 연속계측모듈(153c)에 의해 측정되는 지속시간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긴급 상황 발생에 따른 지시를 관리자 등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누수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지지장치(2)는 수도관(P)의 일 지점을 벽, 바닥 등의 기초구조물(B)에 탄성지지시키는 구성으로, 지진에 의한 진동에도 수도관(P)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탄성지지장치(2)는 이중으로 수도관(P)을 지지하도록 하면서 복잡한 스프링 등의 설치작없 없이 간단한 끼움 작업만으로 설치작업이 완료되도록 하여 설치시간 및 비용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장치(2)는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 상태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지지장치(2)는 수도관지지부(21), 기초지지부(22), 지진감지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수도관지지부(21)는 수도관(P)의 일 지점을 둘러싸는 상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탄성 지지를 통해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도관지지부(21)는 수도관(P)을 직접 지지하는 1차지지부(211)와, 1차지지부(211)의 주위에서 1차지지부(211)를 지지하는 2차지지부(212)를 포함하여 지진에 의한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수도관(P)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차지지부(211)는 수도관(P)의 주위를 둘러싸 직접 지지하는 구성으로, 수도관(P)을 둘러싸는 1차지지프레임(211a),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 내측에 끼워져 수도관(P)을 탄성지지하는 지지모듈(211b), 1차지지프레임(211a)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모듈(211b)이 끼워지는 돌출단(211c), 지지모듈(211b)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측면지지수단(21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은 수도관(P)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지지모듈(211b)을 통한 수도관(P)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은 그 내측면을 따라 상기 돌출단(211c)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각 돌출단(211c)의 사이에 지지모듈(211b)의 후술할 삽입돌기(211b-11)가 끼워져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의 외측으로는 2차지지부(212)의 후술할 탄성부재(212b)가 밀착되어 1차지지프레임(211a)을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모듈(211b)은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도관(P)을 밀착지지하는 구성으로, 1차지지프레임(211a) 내측에 끼워지는 누름판(211b-1)과, 누름판(211b-1)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볼(211b-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판(211b-1)은 탄성을 가진 일정 너비를 가진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굽혀진 상태로 1차지지프레임(211a)과 수도관(P) 사이에 삽입되어 수도관(P)을 탄성지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누름판(211b-1)은 외측을 향해 삽입돌기(211b-11)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삽입돌기(211b-11)가 1차지지프레임(211a)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단(211c)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211b-1)은 삽입돌기(211b-11)가 돌출단(211c) 사이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여 굽힘 정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도관(P)의 크기에 맞추어 누름판(211b-1)이 수도관(P)을 누르는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211b-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P)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삽입돌기(211b-11)가 끼워지는 간격을 좁혀 누름판(211b-1)이 수도관(P)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관(P)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삽입돌기(211b-11)가 끼워지는 간격을 넓혀 누름판(211b-1)이 수도관(P) 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판(211b-1)은 수도관(P)의 크기에 따라 굽혀지는 정도를 조절하여 수도관(P)을 탄성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돌출단(211c)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볼(211b-2)은 굽혀진 누름판(211b-1)의 사이에 삽입되어 누름판(211b-1)을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볼(211b-2)은 굽혀진 누름판(211b-1)을 수도관(P) 측으로 밀어 수도관(P)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서, 지진의 발생시에는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단(211c)은 1차지지프레임(211a)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돌출단(211c) 사이에 누름판(211b-1)의 삽입돌기(211b-11)가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측면지지수단(211d)은 상기 누름판(211b-1)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돌출단(211c)에 끼워져 수도관(P)에 밀착되는 누름판(211b-1)을 지지하여 돌출단(211c)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지지수단(211d)은 1차지지프레임(211a)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차단탄성체(211d-1)가 형성되어 누름판(211b-1)을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개폐부재(211d-2)가 형성되어 돌출단(211c) 사이로 누름판(211b-1)을 끼울 수 있도록 하면서 누름판(211b-1)을 끼운 후에는 누름판(211b-1)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탄성체(211d-1)는 1차지지프레임(211a)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돌출단(211c) 사이 공간을 밀폐하도록 1차지지프레임(211a)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돌출단(211c) 사이에 끼워지는 누름판(211b-1)을 탄성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재(211d-2)는 차단탄성체(211d-1)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돌출단(211c)의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누름판(211b-1)을 삽입할 때에는 돌출단(211c) 사이 공간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누름판(211b-1)이 돌출단(211c) 사이에 삽입된 후에는 돌출단(211c) 사이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211d-2)는 회전힌지(211d-2)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힌지(211d-2)에는 돌출단(211c) 사이 공간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등이 형성되도록 하여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11d-2)는 타측에서도 누름판(211b-1)이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지지부(212)는 상기 1차지지부(2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더욱 효과적인 진동의 흡수와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2차지지부(212)는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을 둘러싸는 2차지지프레임(212a),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의 내측에 형성되어 1차지지프레임(211a)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12b),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12b)가 끼워지는 끼움체(2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의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1차지지프레임(211a)과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의 내측면을 따라서는 상기 끼움체(212c)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각 끼움체(212c)에 탄성부재(212b)가 끼워져 1차지지프레임(211a)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재(212b)는 상기 1차지지프레임(211a)을 눌러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탄성을 가진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1차지지프레임(211a)의 안정적인 지지와 함께 지진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2b)는 2차지지프레임(212a)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 1차지지프레임(211a)의 둘레를 균형있게 누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끼움체(212c)에 끼워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212b)는 상기 끼움체(212c)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1차지지프레임(211a) 측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1차지지프레임(211a)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압력으로 1차지지프레임(211a)을 탄성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12b)는 끼움체(212c)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212b-2)를 포함하도록 하며, 그 끝단에는 1차지지프레임(211a)과 접촉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212b-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12b-1)은 탄성부재(212b)의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탄성부재(212b)의 내측 중심에서 양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212b-1)에는 상기 끼움체(212c)가 삽입되며, 끼움체(212c)의 후술할 삽입돌기(211b-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212b-2)는 상기 탄성부재(212b)를 끼움체(212c)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12b-1)이 형성되는 측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돌기(212b-2)는 탄성부재(212b)가 끼움체(212c)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돌기(212b-2)가 끼움체(212c)의 후술할 걸림홈(212c-2)에 삽입되도록 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센서(212b-3)는 탄성부재(212b)의 1차지지프레임(211a) 측 끝단에 형성되어 압력ㅇ르 측정하는 구성으로, 1차지지프레임(211a)과의 밀착에 따른 압력을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센서(212b-3)는 1차지지프레임(211a)과의 사이에서 압력을 측정하여 그 변화에 따라 지진을 감지하도록 하고, 진동의 크기, 빈도 응을 통해 지진의 강도와 위험상태를 인지하여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끼움체(212c)는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탄성부재(212b)가 끼워지는 구성으로, 다층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12b)가 1차지지프레임(211a) 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체(212c)는 탄성부재(212b)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돌기(212b-2)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체(212c)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돌기(212c-1)와 고정돌기(212b-2)가 삽입되는 걸림홈(212c-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돌기(212c-1)는 상기 탄성부재(212b)의 끼움홈(212b-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12b)가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212c-1)는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212c-1)가 탄성부재(212b)의 끼움홈(212b-1)에 끼워지는 위치를 조절하여 1차지지프레임(211a)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차지지프레임(211a)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압력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2c-2)은 상기 끼움돌기(212c-1) 상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돌기(212b-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홈(212c-2)은 끼움돌기(212c-1)마다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2차지지프레임(212a) 상에도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12b)가 끼워지는 위치에 상관없이 끼움체(212c)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초지지부(22)는 상기 수도관지지부(21)를 벽, 바닥 등의 기초구조물(B)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1차지지부(211) 및 2차지지부(212)를 함께 기초구조물(B)에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지지부(211) 및 2차지지부(212)의 1차지지프레임(211a) 및 2차지지프레임(212a)은 일측에서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초구조물(B)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초지지부(22)는 기초구조물(B)에 대한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기초구조물(B)이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하고, 기초지지부(22)가 기초구조물(B)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초지지부(22)의 경우에도 별도로 지진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초지지부(22)는 삽입플랜지(221), 끼움탄성체(222), 체결부재(223)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플랜지(221)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기초구조물(B)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기초구조물(B)의 표면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고정홈(B1)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끼움탄성체(222)는 고정홈(B1) 내에 삽입되어 삽입플랜지(221)를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 자체 탄성에 의해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끼움탄성체(222)는 삽입플랜지(221)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홈(B1) 내에 수용되며, 상기 체결부재(223)가 관통되어 삽입플랜지(221)와 함께 기초구조물(B)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23)는 삽입플랜지(221)를 기초구조물(B)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삽입플랜지(221)와 함께 끼움탄성체(222)를 관통하여 기초구조물(B)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지진감지부(23)는 상기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지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지진이 개시되는 것을 감지하여 알리는 지진알림부(231),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는 강도측정부(232), 위험 상황을 인지하여 알리는 경고전송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진알림부(231)는 지진의 개시를 감지하여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을 초과하여 반복되는 경우 지진의 개시로 감지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수직방향,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이 혼합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흔들리는 진동을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지진알림부(231)는 탄성부재(212b)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기준 압력을 넘어 반복되는 경우 지진의 개시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진알림부(231)는 압력정보수신모듈(231a), 기준압력설정모듈(231b), 압력비교모듈(231c), 초과횟수산출모듈(231d), 지진개시알림모듈(23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정보수신모듈(231a)은 상기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압력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압력설정모듈(231b)은 지진으로 감지할 수 있는 기준압력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너무 낮은 압력이 설정될 경우 일반적인 진동에도 지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너무 높은 압력이 설정될 경우 지진을 감지하는 감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지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압력을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압력비교모듈(231c)은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과 설정된 기준압력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초과횟수산출모듈(231d)은 측정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횟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동안 초과횟수가 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 지진이 개시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진알림부(231)는 일정 압력의 진동에 의해 곧바로 지진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이상 압력의 반복이 계속되는 경우 지진의 개시로 감지하도록 하여 지진 감지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진개시알림모듈(231e)은 지진의 개시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 등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별도의 서버, 사용자단말기 등으로 지진 개시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도측정부(232)는 지진의 개시가 감지된 경우 지진의 강도를 측정하여 알리는 구성으로, 탄성지지장치(2) 자체에서 지진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진에 의한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효율적인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도측정부(232)는 상기 지진알림부(231)에서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일정시간 동안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횟수가 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 지진의 개시로 감지하도록 하면서, 압력을 초과하는 빈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빈도와 압력의 세기에 따라 지진의 정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강도측정부(232)는 압력초과정보수신모듈(232a), 압력초과시간감지모듈(232b), 초과빈도연산모듈(232c), 지진지수산출모듈(232d), 강도전송모듈(232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초과정보수신모듈(232a)은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설정모듈(231b)에 의해 설정된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그 압력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시간 정보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초과시간감지모듈(232b)은 상기 압력초과정보수신모듈(232a)에 의해 수신되는 압력초과 시간정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압력이 초과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그 빈도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초과빈도연산모듈(232c)은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빈도가 연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정시간 동안 압력이 초과되는 빈도를 계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초과빈도연산모듈(232c)은 1분동안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횟수에 따라 1~10까지 빈도지수를 산출하고, 초과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빈도지수가 높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진지수산출모듈(232d)은 초과빈도와 압력세기에 따라 지진 강도에 관한 지진지수를 산출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압력값에 빈도지수를 곱하여 지진지수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진지수산출모듈(232d)에 의해 산출되는 지진지수는 그 값이 높을수록 진동의 세기가 크고 짧은 주기로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강도전송모듈(232e)은 지진의 강도 정보를 사용자 등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지진지수산출모듈(232d)에 의해 산출되는 지진지수에 따라 지진 강도를 산정하여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강도전송모듈(232e)은 지진지수를 일정구간으로 나누어 지진지수가 높아질수록 높은 지진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진지수에 따라 1~10단계의 지진 강도를 설정하여, 이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전송부(233)는 상기 강도측정부(232)에 의해 지진의 강도가 산출되기 전이라도 진동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즉각적으로 알려 위험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진감지부(23)는 지진알림부(231)에 의해 지진의 개시를 감지하면서, 상기 강도측정부(232)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진동의 빈도와 강도를 측정하여 지진의 강도를 산출하여 알리도록 하는데, 상기 경고전송부(233)는 진동이 급격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진의 강도가 산출되기 전이라도 위험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경고전송부(233)는 압력초과간격산출모듈(233a), 설정값비교모듈(233b), 연속횟수산출모듈(233c), 위험전송모듈(233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초과간격산출모듈(233a)은 상기 압력센서(212b-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시점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시간 간격을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설정값비교모듈(233b)은 상기 압력초과간격산출모듈(233a)에 의해 산출되는 시간 간격을 설정값과 비교하는 구성으로,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연속횟수산출모듈(233c)은 기준압력을 초과하는 시간 간격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그 연속횟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위험전송모듈(233d)은 상기 연속횟수산출모듈(233c)에 의해 산출되는 연속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위험 상황으로 인지하여 이를 사용자 등에게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강도측정부(232)에 의해 지진 강도가 측정되어 알려지기 전이라도 진동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리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수도관연결장치
11: 연결본체 111: 힌지모듈 12: 밀폐탄성체
13: 가압고정부 131: 결합단 131a: 관통공
132: 조임볼트 133: 고정너트 134: 밀착부재
14: 누수감지부 141: 흡수체 142: 흡수체수용홈
143: 흡수체팽창홈 144: 접촉센서 15: 누수상태판단부
151: 누수확정부 152: 누수예측부 153: 긴급알림부
2: 탄성지지장치
21: 수도관지지부 211: 1차지지부 211a: 1차지지프레임
211b: 지지모듈 211b-1: 누름판 211b-11: 삽입돌기
211b-2: 탄성볼 211c: 돌출단 211d: 측면지지수단
211d-1: 차단탄성체 211d-2: 개폐부재 211d-21: 회전힌지
212: 2차지지부 212a: 2차지지프레임 212b: 탄성부재
212b-1: 끼움홈 212b-2: 고정돌기 212b-3: 압력센서
211c: 끼움체 211c-1: 끼움돌기 211c-2: 걸림홈
22: 기초지지부 221: 삽입플랜지 222: 끼움탄성체
223: 체결부재 23: 지진감지부 231: 지진알림부
232: 강도측정부 233: 경고전송부

Claims (5)

  1.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밀폐시키는 수도관연결장치와, 수도관을 기초구조물에 탄성지지시키는 탄성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도관연결장치는,
    수도관이 양측에서 삽입되어 지지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수도관을 감싸도록 회전하는 연결본체와, 상기 연결본체 내에 형성되어 수도관의 연결부위에 밀착되는 밀폐탄성체와, 상기 연결본체를 눌러 고정시키는 가압고정부와, 수도관의 연결 부위를 통한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와, 상기 누수감지부에 의한 감지신호에 따라 누수상태를 판단하는 누수상태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수도관에 밀착되며,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흡수체와; 상기 연결본체의 내측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체가 삽입되는 흡수체수용홈과; 상기 흡수체수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수도관의 연결부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흡수체팽창홈과; 상기 흡수체팽창홈의 끝단에 형성되어 흡수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는 수도관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누수상태판단부는 상기 흡수체가 팽창되어 접촉센서에 접촉되는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수상태로 확정하여 알리는 누수확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확정부는,
    상기 흡수체가 접촉되는 초기 접촉센서의 위치를 수신하는 초기위치수신모듈과, 초기위치의 수신 후 일정시간 내에 흡수체가 접촉되는 접촉센서를 검출하는 감지위치검출모듈과, 검출된 정보에 따라 흡수체의 팽창 길이를 산출하는 팽창길이산출모듈과, 팽창 길이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누수상태로 확정하여 알리는 누수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장치는
    수도관의 일 지점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수도관지지부와, 상기 수도관지지부를 기초구조물에 고정시키는 기초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도관지지부는 수도관을 둘러싸면서 직접 지지하는 1차지지부와, 상기 1차지지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1차지지부를 탄성지지하는 2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지지부는
    수도관을 둘러싸는 1차지지프레임과, 상기 1차지지프레임 내측에 끼워져 수도관을 탄성지지하는 지지모듈과, 상기 1차지지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은,
    일정 너비의 탄성을 가진 판으로 형성되어 굽혀진 상태로 1차지지프레임과 수도관 사이에 끼워지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외측으로 굽혀진 누름판 사이에 삽입되어 누름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볼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돌출단 사이에 끼워지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지지부는
    상기 1차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어 누름판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수단은,
    1차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돌출단 사이에 끼워진 누름판을 탄성지지하는 차단탄성체와, 1차지지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어 개폐되며, 누름판의 삽입후 누름판을 눌러 지지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20200149025A 2020-11-10 2020-11-10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228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25A KR102283313B1 (ko) 2020-11-10 2020-11-10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20210078679A KR102313208B1 (ko) 2020-11-10 2021-06-17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9025A KR102283313B1 (ko) 2020-11-10 2020-11-10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679A Division KR102313208B1 (ko) 2020-11-10 2021-06-17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313B1 true KR102283313B1 (ko) 2021-07-28

Family

ID=771261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9025A KR102283313B1 (ko) 2020-11-10 2020-11-10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20210078679A KR102313208B1 (ko) 2020-11-10 2021-06-17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679A KR102313208B1 (ko) 2020-11-10 2021-06-17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3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864B1 (ko) * 2023-05-02 2023-08-23 삼영기술주식회사 내진 밸브실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768B1 (ko) * 2023-06-14 2024-04-09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내진기능이 향상된 매설 상하수도관 보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030B1 (ko) * 2018-01-29 2018-12-24 (주)세종이십일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JP2020045960A (ja) * 2018-09-19 2020-03-26 株式会社Ihi 配管保護装置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685B1 (ko) * 2017-09-29 2018-01-05 주식회사 우인이엔지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KR101948596B1 (ko) * 2018-05-31 2019-02-15 임건태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030B1 (ko) * 2018-01-29 2018-12-24 (주)세종이십일 가스 배관의 내진 고정장치
JP2020045960A (ja) * 2018-09-19 2020-03-26 株式会社Ihi 配管保護装置
KR102136066B1 (ko) * 2020-02-10 2020-07-21 김정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864B1 (ko) * 2023-05-02 2023-08-23 삼영기술주식회사 내진 밸브실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208B1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208B1 (ko) 탄성지지장치를 구비한 상하수도 설치 시스템
KR101794968B1 (ko) 소화전을 이용한 상수도의 누수감지장치
US20050194979A1 (en) Online fiber optic sensor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and similar events in large utility station transformers and the like
KR102136066B1 (ko)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80065581A (ko) 누수감지가 가능한 초음파 수도미터기, 이를 구비한 누수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누수위치 감지방법
KR102358530B1 (ko) 누수 검출 디바이스
KR101495784B1 (ko)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KR101791953B1 (ko) 특정 주파수를 갖는 음향 주입을 통한 누수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누수검출방법
KR20150056168A (ko) 배관 모니터링 단말기
GB2536019A (en) Stopper safety system
KR102312553B1 (ko) 파이프 내진 고정장치
JP3223337B2 (ja) 漏洩音検出装置
KR101855162B1 (ko) 외압을 이용하여 실시간 수밀성 점검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누수감지 점검방법
KR20170119257A (ko) 이중지수 강관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강관파이프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KR101895441B1 (ko) 이중지수 주철관 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주철관파이프
CN211175608U (zh) 漏水保护器
KR101449950B1 (ko) 벽체 관통 설치 배관용 클램프
KR10114348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1702520B1 (ko) 누설 감지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관 설비
KR101883877B1 (ko) 유수검지장치가 구비된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KR101214763B1 (ko) 충격감지기능을 갖는 원격단말장치
KR20160038128A (ko) 지진 감지를 통한 밸브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94572A (ko) 누수음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위치 감지 방법
KR102635234B1 (ko) 드레인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