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045B1 -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 Google Patents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045B1
KR102283045B1 KR1020190177236A KR20190177236A KR102283045B1 KR 102283045 B1 KR102283045 B1 KR 102283045B1 KR 1020190177236 A KR1020190177236 A KR 1020190177236A KR 20190177236 A KR20190177236 A KR 20190177236A KR 102283045 B1 KR102283045 B1 KR 10228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ite
robot
pollution level
air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4816A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045B1/en
Publication of KR20210084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은,
고정센서부에서 대기오염도와 상주 인원규모를 동시에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서버에 보고하면, 서버는 대기오염도가 높고 인원이 많은 지역에 우선하여 이동형 로봇을 출동시켜 현장에서 대기오염도를 직접 점검토록 하며, 현장 측정결과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로봇에 의해 즉시 공기정화를 시행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은, 이동형 로봇; 다수 현장의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로봇에게 현장 출동 명령을 내리고, 로봇에게 현장 공기정화 명령을 내리며,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출동 및 정화 우선순위를 차등 적용하여 제어하는 서버; 및 건물 내 다수의 현장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측정하여 서버에 전달하는 고정센서부;를 포함하되,
로봇은, 각 현장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대기센서부; 공기 청소로 대기 오염을 개선시키는 정화부; 서버 및 고정센서부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이동수단이 구비된 이동부;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고정센서부는,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고정대기센서부; 및 현장의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인원규모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고정센서부가 각 현장의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서버에 송신하면, 서버는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가 모두 기준치를 초과한 현장에 로봇을 출동시켜 현장의 다수 지점에서 측정케 하고, 로봇이 측정하여 송신한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로봇으로 하여금 공기정화를 실시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When the fixed sensor unit simultaneous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resident personnel and reports it to the server periodically, the server prioritizes the area with high air pollution level and large numbers of people, and dispatches a mobile robot to directly inspect the air pollution level at the sit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f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purpose of the robot is to immediately perform air purification.
Accordingly,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robot; Receives and manages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t multiple sites, gives an order to the robot to dispatch to the site, gives an order to purify the on-site air to the robot, and differentially applies dispatch and purification prior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to control server; and a fixed sensor unit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sites in the building, respective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The robot, a mobile air sensor unit that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t each site; a purification unit that improves air pollution by air cleaning; a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 fixed sensor unit;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a storag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fixed sensor unit, a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for measuring air pollution; and a personnel siz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persons on the site; further comprising,
When the fixed sensor unit periodical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t each site and send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dispatches the robot to the site where both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exceed the standard values, and the robot is measured at multiple points on the site It is characterized by instructing the robot to perform air purification when the measured and transmitted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exceeds the standard value.

Description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오염도가 높고 인원이 많은 지역에 공기정화 기능이 있는 로봇이 출동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이동형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aptive mobile air purifying system, and to a mobile purifying system in which a robot having an air purifying function is dispatched to an area with high air pollution and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urify the air.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은, 공항, 건물 등 다중이용시설 및 가정집 등에 있어서 각각의 사무실 및 각각의 방 등 다수의 현장마다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센서가 고정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측정하여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고정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오염이 기준치를 초과하고 해당 현장에 인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형 로봇을 출동시켜 현장에서 직접 대기오염도를 측정하게 하며, 현장 실측 결과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고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로봇이 해당 현장에서 직접 공기정화 활동을 하도록 하여 사람이 머물고 있는 현장을 중점적으로 대기오염도를 관리하고 정화하는 이동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다수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되 상호 유사한 수준인 경우에는 인원규모가 많은 지역에 로봇을 우선 출동시켜 공기정화를 시행케 하고, 대기오염도가 현장별로 오차범위를 벗어나 격차가 크게 차이나면 가장 오염도가 높은 현장에 로봇을 우선 출동시켜 효율적으로 공기 정화가 이뤄질 수 있게 하며, 예상 공기정화 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로봇을 추가 투입할 수 있는 적응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that measures air pollution levels for multiple sites such as each office and each room in a multi-use facility such as an airport, a building, and a home, and measures the number of people. A fixed sensor is installed and periodical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sends it to the server. If the air pollution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there are personnel at the site, the mobile robot is dispatched to the site directly. The air pollution level is measured,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there are personnel as a result of the on-site measurement, the robot directly conducts air purification activities at the site to manage the air pollution level focusing on the site where people are staying. As a mobile system for purification, if the air pollution level of multiple sites exceeds the standard but is at a similar level to each other, the robot is first dispatched to an area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to perform air purification, and the air pollution level is within the error range for each site If there is a large gap outside the standard, the robot is dispatched to the site with the highest level of pollution to ensure efficient air purification. An adaptive system that allows additional robots to be added when the expected air purification time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time is about

또한 고정설치 된 대기오염 측정 센서와 로봇에 구비된 대기오염 측정 센서 간에 측정 오염치의 차이가 오류임계값을 초과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점검 및 사전 정비가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시스템에 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로봇의 공기정화 기능을 건물 내 공조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함으로써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하고, 고정 센서가 미설치된 구간은 로봇의 출동 중에 수시로 측정하여 인접한 고정 센서의 대기오염도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여 고장 센서 미설치 현장에 대해서도 적절하고 선제적인 공기정화 기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f the difference in the measured pollution value between the fixedly installed air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and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robot exceeds the error threshold, at least one sensor is considered to have an error and inspection and pre-maintenance can be performed. reli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robot is linked wit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e building to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It relates to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calculates a correlation with the pollution level measurement value so that an appropriate and preemptive ai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achieved even for a site where a faulty sensor is not installed.

일반적 공기정화기는 고정형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하고 기준치를 초과하여 오염도가 높아지면 정화 장치를 가동시켜 대기 오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A general air purifier is a fixed type, and it measures the level of air pollution at a specific location and operates the purification device to remove air pollution when the level of pollution exceeds the standard value.

그런데 건물과 같이 다수의 사무실이 밀집해 있는 상황에서 모든 장소에 공기정화기를 갖추기에는 경제적으로 무리이고 비효율적인데다 공간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a situation where a large number of offices are concentrated, such as a building, it is economically unreasonable and inefficient to have air purifiers in all places, and space utilization is limited.

게다가 사무실 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있는 공기정화기는 해당 위치에 집중되어 기능을 하게 되어 사무실 전체에 걸친 대기오염도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fix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office is concentrated in that location and functions, so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air pollution throughout the office.

또한 실내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대기질 개선이 필요하기는 하나, 해당 장소에 머물고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에는 공기 정화를 위해 투입되는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고, 인원규모가 많은 타 사무실에 투입되는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적용되는 선택적 공기정화가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indoor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air quality improvement is required, if no one is staying in the area, energy input for air purification occurs, and the amount of energy used for air purification occurs in other offices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Since energy can be relatively scarce, selective air purification with priority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eople can be said to be effective.

한편 고정형 대기오염 측정 센서가 고장 등의 사유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고 사전에 선제적으로 점검 및 정비 조치가 이뤄질 수 있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미비하여 고장과 오류가 있는데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정작 공기 정화가 시급한 순간에는 사용에 제한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대기오염 측정 센서가 설치되지 않는 지역은 오염도 측정이나 공기 정화의 사각지역으로써 방치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경제적 여건 및 공간의 제약, 전기시설 등 관련 인프라의 부족 등으로 모든 지점에 만족할 만한 모든 시설을 갖추는 게 어려운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due to a malfunction of the fixed air pollution sensor, the automated system that recognizes it and preemptively checks and repairs it is insufficient, so even though there are failures and errors, it is not recognized. In some cases, use is restricted when air purification is urgent, and areas where air pollution measurement sensors are not installed can be left unattended as blind areas for pollution level measurement or air purification, but economic conditions, space restrictions, electrical facilities, etc. Due to the lack of related infrastructure, it is difficult to have all the facilities satisfactory to all branches.

게다가 최근 점차 대기 오염의 질은 악화되어가고 있고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건강의 위협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내 대기오염도 측정 및 공기 정화를 위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며 신뢰도가 높은 시스템의 구비가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quality of air pollution is gradually worsening recently and economic loss and health threats due to fine dust are seriously emerging, it is important to have an efficient, economical and reliable system for measuring indoor air pollution and purifying the air. it is necessar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4905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905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건물 내 각 사무실 및 다수의 현장에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고정센서부를 구비하고 고정센서부에서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서버에 송신하면 서버에서 해당 측정값을 토대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고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현장에 공기정화 기능의 이동형 로봇을 출동시켜 해당 현장에서 재차 대기오염도를 측정케 하여 로봇이 현장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 측정값 또한 기준치를 초과하면 현장에서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케 하고, 고정센서부에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와 로봇에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의 차이가 소정의 오류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둘 중 하나 이상은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장 점검 및 정비조치가 선제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대기오염도 측정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로봇의 공기 정화 기능을 건물 내 공조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함으로써 공기정화 효과를 극대화하며, 고정 센서가 미설치된 구간은 로봇의 출동 중에 수시로 측정하여 인접한 고정 센서의 대기오염도 측정값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여 고장 센서 미설치 현장에 대해서도 적절하고 선제적인 공기정화 기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nd each office and multiple sites in the building are provided with a fixed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the fixed sensor unit periodically measures the atmosphere. When the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re sent to the server, the server sends a mobile robot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to the sit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there are peopl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and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gain at the site. Therefore, if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robot on site also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performed at the sit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robot is a predetermined error threshold. If it exceeds one or more of the two,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has occurred, so that on-site inspection and maintenance can be carried out preemptively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and also link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robot wit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e building to maximiz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and the section where the fixed sensor is not installed is frequently measured while the robot is on the move,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of the adjacent fixed sensor is calculated to provide an appropriate and preemptive air quality even for the site where the malfunctioning sensor is not install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that enables the purification function to be achiev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은,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형 로봇; 다수 현장의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로봇에게 현장 출동 명령을 내리고, 로봇에게 현장 공기정화 명령을 내리며,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출동 및 정화 우선순위를 차등 적용하여 제어하는 서버; 및 건물 내 다수의 현장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측정하여 서버에 전달하는 고정센서부;를 포함하되,mobile robot; Receives and manages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t multiple sites, gives an order to the robot to dispatch to the site, gives an order to purify the on-site air to the robot, and differentially applies dispatch and purification prior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to control server; and a fixed sensor unit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sites in the building,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delivers it to the server

로봇은, 각 현장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대기센서부; 공기 청소로 대기 오염을 개선시키는 정화부; 서버 및 고정센서부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이동수단이 구비된 이동부;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The robot, a mobile air sensor unit that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t each site; a purification unit that improves air pollution by air cleaning; a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 fixed sensor unit;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a storag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고정센서부는,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고정대기센서부; 및 현장의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인원규모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The fixed sensor unit, the fixed air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nd a personnel siz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persons on site; further comprising,

고정센서부가 각 현장의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서버에 송신하면, 서버는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가 모두 기준치를 초과한 현장에 로봇을 출동시켜 현장의 다수 지점에서 측정케 하고, 로봇이 측정하여 송신한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로봇으로 하여금 공기정화를 실시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xed sensor unit periodical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t each site and send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dispatches the robot to the site where both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exceed the standard values, so that the robot is measured at multiple points on the site. It is characterized by instructing the robot to perform air purification when the measured and transmitted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exceeds the standard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장이 다수 존재하되 현장 간 오염도가 오차범위 내로 파악되면 인원규모가 많은 현장에 우선적으로 로봇을 출동시키고, 기준치 초과 현장 간 오염도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오염도가 가장 높은 현장부터 순서대로 로봇을 출동시킴으로써,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로봇 출동 우선순위에 차등을 두어 공기정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현장이 다수 존재하여 예상 공기정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봇을 추가로 출동시켜 공기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rver preferentially dispatches the robot to a site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if there are a number of sites with air pollution levels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but the pollution level between sites is within an error range, and the pollution level between sites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is error When it goes out of range, the robot is dispatched in order from the site with the highest pollution level, and the priority of robot dispatch is differenti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rsonnel to control the air purification so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rsonnel are differ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cted air purification time exceeds the reference time due to the presence of a number of sites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the method further includes capable of performing air purification by additionally dispatching at least one or more robo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원규모측정부는, 사람 및 동물을 수를 감지하는 데 있어 적외선 탐지, 카메라 촬영, 와이파이 접속도, 휴대폰 통화 발생수, 및 소음을 이용한 측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소음은, 사람의 재채기, 대화 소리, 동물 짖는 소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erson size measuring unit uses at least one method of measuring the number of people and animals using infrared detection, camera photography, Wi-Fi connection, the number of cell phone calls, and noise in detecting the number of people. and measuring the nois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uman sneeze, a conversation sound, and an animal barking sou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고정대기센서부와 이동대기센서부에서 각각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 설정한 오류임계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고정대기센서부와 이동대기센서부를 모두 점검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rver consider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sensor uni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levels measured by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and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error threshold It further includes enabling both the sensor unit and the moving standby sensor unit to check and take a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는, 고정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인 현장대기질; 및 고정센서부가 미설치된 지역을 로봇이 이동 중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인 미설치대기질;을 데이터로써 저장하고, 현장대기질과 미설치대기질의 상관관계인 표준대기질을 산출하며, 로봇이 현장에 출동하여 공기정화를 실시할 때 표준대기질에 의거 기준치를 초과했을 것이라 판단되는 고정센서부 미설치 지역이 이동 루트에 인접해 있으면 함께 공기정화를 실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er includes: on-site air quality, which is an air pollution degree periodically measured by a fixed sensor unit; and uninstalled air quality, which is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while the robot is moving in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is not installed, as data, calculates standard air quality, which is a correlation between on-site air quality and non-installed air quality, and the robot is dispatched to the field to receive air When an area without a fixed sensor unit judged to have exceeded the standard value based on standard air quality when performing purification is adjacent to the moving route, it further includes performing air purification togeth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건물 내 각 지점에 고정 설치된 센서에서는 주기적으로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측정하고 이를 서버에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기능만 수행하면서도 이동형 로봇에 의해 공기정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지점에 공기정화 장치를 갖추지 않고도 대기오염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경제적 효용성과 공간 활용도에 이점이 있다.First, the sensors installed at each point in the building periodically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transmit them to the server in real time, while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a mobile robot. There is an advantage in economic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that can keep air pollution level low without equipping it.

둘째, 고정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도가 높은 지점에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형 로봇이 출동하여 현장에서 재차 대기오염도를 측정한 후 로봇이 측정한 대기오염도 또한 기준치를 초과하면 즉시 공기정화를 실시하고 오염도가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면 공기정화를 실시하지 않음으로써, 고정 센서에서 대기오염도 측정 시 특정 이벤트에 의해 측정값이 왜곡되는 경우에 불필요한 공기 정화 기능이 가동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Second, if it is determined that personnel exist at a point where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mobile robot is dispatched to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gain at the site,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robot also exceeds the standard value When the air pollution level is measured by a fixed sensor, when the measurement value is distorted by a specific event, the unnecessary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and energy is wasted. This prevents it from happening and allows for efficient operation.

셋째, 고정 센서의 대기오염 측정값과 로봇이 현장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 간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 양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점검 및 정비 조치가 이뤄질 수 있게 함으로써 선제적 예방 정비를 통해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Third,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fixed sensor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on the spot by the robot, it is determined that at least one of the two sensors has an error, so that inspection and maintenance measures can be taken to prevent preemptive Maintenance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넷째, 로봇이 현장에 출동한 후 현장 내 다수의 지점을 이동하여 공기정화를 실시하되 현장 내 특정 위치에 머물러 편중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고른 정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현장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청정한 대기질을 생성할 수 있다. Fourth, after the robot is dispatched to the site, it moves to a number of points in the site to purify the air, but it does not stay in a specific location within the site and moves continuously and performs an even purification function to create uniformly clean air quality throughout the site. can do.

다섯째, 고정 센서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은 로봇이 출동하면서 수시로 대기오염도를 측정하고 이를 인접한 고정 센서 설치 지역의 동 시간대 대기오염도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산출한 후 관리함으로써, 고정 센서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출동 후 정화 조치가 이뤄질 때 인접한 센서 미설치 지역에 대해서도 오염도를 예측하고 함께 공기 정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지역에 고정 센서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균일한 공기 정화가 이뤄지는 시스템이 갖춰질 수 있어 센서 설치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Fifth,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from time to time while the robot is dispatched to the area where the fixed sensor is not installed, and the correlation is calculated and managed by comparing it with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adjacent fixed sensor installation area at the same time. When purifying measures are taken after dispatching beyond the standard value, the pollution level is predicted even in areas where no sensors are installed and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together, so that a system that achieves uniform air purification even if fixed sensors are not provided in all areas. Therefore, the number of sensor installations can be minimized.

여섯째, 건물 공조시스템과 로봇의 공기정화 기능을 연계하여 실시함으로써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극대화하고 최상의 대기질을 유지할 수 있다.Sixth,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t use of energy resources and maintain the best air quality by linking the air conditioning system of the building and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other control flowchart of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또 다른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other control flowchart of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은 로봇(100), 서버(200), 고정센서부(300)를 포함한다.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100 , a server 200 , and a fixed sensor unit 300 .

로봇(100)은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장치로써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스스로 자유로이 운행할 수 있는 이동형 로봇(100)의 형태를 지닐 수 있다.The robot 100 is a mechanic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its form, but may have the form of a mobile robot 100 that can freely operate by itself.

로봇(100)은 서버(200)의 명령을 받아 정화 대상 지역에 출동하여 직접 대기질을 체크한 후 기준값을 초과하여 오염도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되면 현장에서 바로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Afte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server 200, the robot 100 goes to the purification target area, directly checks the air qualit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llution leve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mmediately performs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on the spot.

서버(200)는 소정의 위치에 메인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통제시스템으로써 구비될 수 있으며 건물 내 각 지점에서 측정되는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면서 정화 대상 지역을 선정한 후 로봇(100)에게 출동을 명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be provided as a control system based on a main computer at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after selecting an area to be purified while periodically receiving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data measured at each point in the building, the robot 100 can be ordered to leave.

고정센서부(300)는 건물 내 각 지점에 고정 설치된 다수의 센서 장치로써 대기의 오염도 상태와 해당 지역 내 존재하는 인원규모를 측정하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주기적으로 그리고 수시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fixed sensor unit 300 is a plurality of sensor devices that are fixedly installed at each point in the building, and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area, and periodically and frequently transmitting this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do.

정리하자면 고정센서부(300)에서 각 지역의 대기질과 인원규모 현황을 수시로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는 상기 대기질 및 인원규모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에 기준치를 초과하는 오염지역이 발생하고 해당 지역에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이 되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현장으로 출동하게 하며, 로봇(100)은 현장의 다수 위치에서 대기질을 측정 후 기준치를 초과했으면 즉시 공기정화 기능을 가동시킬 수 있다.To summarize, the fixed sensor unit 300 frequently transmits the air quality and the number of people in each area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is a polluted area that exceeds the standard while managing the air quality and the number of people data. When this occurs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people in the area,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site, and the robot 100 measures the air quality at multiple locations on the site and, if the standard value is exceeded, immediately performs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can be activated

즉, 고정센서부(300)는 로봇(100)이 출동하기 위한 시그널의 기능을 하며, 공기 정화 여부는 현장에서 로봇(100)이 직접 측정한 대기오염도에 따라 결정되고 즉시 정화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ed sensor unit 300 functions as a signal for the robot 100 to dispatch, and whether or not to purify the ai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ir pollution directly measured by the robot 100 in the field, and the purification procedure can be carried out immediately.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로봇(100), 서버(200) 및 고정센서부(300)의 세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o this e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robot 100, the server 200, and the fixed sensor unit 30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우선 고정센서부(300)는 건물 내 다수의 현장에 각각 고정 설치된 센서장치를 의미한다. First, the fixed sensor unit 300 means a sensor device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sites in a building, respectively.

고정센서부(300)는 가령 건물 내 다수의 사무실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무실별로 1개 정도 설치될 수 있고, 사무실이 매우 넓은 경우에는 두서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offices are provided in a building, about one fixed sensor unit 300 may be installed for each office, and two or more may be installed when the office is very large.

다만, 고정센서부(300)의 개수는 현장의 모든 구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기는 경제적으로나 효율성 측면에서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벽체로 구획되어진 개별 공간에 1개 정도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number of fixed sensor units 300 is difficult to be economically and realistically difficult to be configured to cover all areas of the site, in general, it can be said that about one is provided in an individual space partitioned by a wall.

본 발명의 고정센서부(300)는 대기오염도, 대기질을 측정하면서 동시에 현장 내 머무르고 있는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ed sensor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easures the number of people staying in the field while measuring the air pollution degree and air quality.

고정센서부(300)는 이를 위해 대기질을 측정하는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인원규모측정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or this, the fixed sensor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air sensor unit 310 for measuring air quality and a person size measurement unit 320 for measuring the number of people.

고정대기센서부(310)는 일반적인 대기오염도 측정 센서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주기에 맞춰 현장의 대기질을 측정한 후 해당 값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The fixed air sensor unit 310 may be configured as a general air pollution measurement sensor, and after measuring the air quality of the field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it may function to transmit the value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인원규모측정부(320)는 현장 내 위치하는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구성될 수 있는데 그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erson size measurement unit 320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number of persons located in the field, and the method may be variously applied.

가령 적외선 탐지 센서, 동영상 카메라 촬영, 단위 시간 당 와이파이 등 인터넷 접속도 측정, 단위 시간 당 휴대폰 통화 발생 수 등을 이용하여 인원규모를 측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람의 재채기, 대화 소리 등으로 나타나는 소음에 의해서도 인원규모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해서 인원규모 측정이 이뤄질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number of people using infrared detection sensor, video camera shooting, Internet access such as Wi-Fi per unit time, number of cell phone calls per unit time, etc. The number of people may also be measured by the method, and the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people may be performed by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 methods.

또한 사람 뿐 아니라 반려동물의 숫자를 함께 측정하여 공기 정화의 판단 근거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방법 중 적외선 탐지, 카메라 촬영 및 동물의 짖는 소리 등이 소음 판단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companion animals as well as people is measured to be the basis for the determination of air purification, among the above methods, infrared detection, camera shooting, and animal barking may be included in the noise determination.

인원규모측정부(320)에서 측정된 소음에 의해 인원규모가 파악이 되면 해당 측정값을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people is determined by the noise measured by the person size measuring unit 320 , the measured value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와 같은 기능 수행을 위해서 인원규모측정부(320)와 고정대기센서부(310)는 센서 장치 뿐 아니라 통신 유닛, 제어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주기를 설정하고 대기질과 인원규모를 파악하며 측정값을 서버(200)와 통신하여 송수신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the personnel scale measuring unit 320 and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include not only a sensor device but also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o set a cycle, determine air quality and number of people, and measure the measured values.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o transmit/receive.

서버(200)는 고정센서부(300)에서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송신하는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 현황을 시간별, 장소별로 데이터화 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server 200 may manag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periodically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into data for each time and place.

서버(200)는 대기질을 관리하기 위해 대기오염도 기준치 및 인원규모 기준치를 사전에 설정하고 상기 기준치를 상회하면 공기 정화를 위한 조치가 시행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고정센서부(300)에서 보내오는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저장한다. The server 200 sets the air pollution standard value and the number of people in advance to manage the air quality, and when i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measures for air purification can be implemented, and for this purpose, the It analyzes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data in real time and stores it.

특정 현장에 위치한 고정센서부(300)에서 보내온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해서 정화가 필요한 수준이 되면 서버(200)는 해당 현장에 인원규모가 파악이 되었는지 우선 체크할 수 있다.When the air pollution level sent from the fixed sensor unit 300 located at a specific site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reaches a level requiring purification, the server 200 may first check whether the number of people at the site has been identified.

대기오염도가 높아서 정화가 필요한 수준이라고 해도 해당 현장에 사람이 머무르지 않으며 비어있는 시간이 오래되었다고 하면 당장 공기 정화를 시행할 필요가 낮아지며 우선순위가 후순위로 보류될 수도 있다. Even if the level of air pollution is high and purification is required, if there are no people staying at the site and the empty time is long, the need to perform air purification right away will be lowered, and the priority may be put on hold.

이는 인원이 많이 존재하는 장소에 선제적으로 대기질 관리를 하기 위함이며,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안정적 운용과 로봇(100)의 한정된 수량 등에 기인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emptively manage air quality in a place where there are many people, and to operate the system most efficiently due to the efficient distribution and stable operation of energy resources and the limited number of robots 100 .

만일 현재 시간 기준으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했는데 해당 장소에 인원규모가 파악이 되지 않는다면, 서버(200)는 해당 장소에 대해 현재 시간 이전에 수신된 인원규모 현황 데이터를 점검하게 된다. If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corresponding place is not identified, the server 200 checks the current status data of the number of people received for the corresponding place before the current time.

이전 시간을 순서대로 점검한 결과 지속적으로 인원이 기준치 이상 존재하였다면 현 시간 인원의 부재는 임시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현장에 대한 공기정화 즉각 시행을 결정할 수 있다. If,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revious times in order, the number of personnel is consistently higher than the standard, the absence of personnel at the current time is judged to be temporary, and the immediate implementation of air purification can be decided.

반면 이전 시간을 거슬러 인원규모 데이터를 점검했으나 인원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장소였다고 하면 서버(200)는 해당 현장의 공기 정화를 일단 보류하고 정화 대상에서 후순위로 분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people data is checked against the previous time, but it is a place where there are few people, the server 200 may temporarily suspend the air purification of the site and classify it as a sub-priority in the purification targe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에서의 서버(200)는 각 현장마다 설치된 고정센서부(300)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벗어났다고 해서 무조건 공기 정화를 실시하는 게 아니라 해당 장소에 인원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일시적 부재인지 통상적 부재인지를 과거 데이터를 통해 유추한 뒤 일시적 부재라고 판단이 되고 그 평균 인원규모가 기준치를 상회하게 되면 비로소 해당 현장에 대한 공기정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동형 로봇(100)의 출동을 결정하게 된다. As such, the server 200 in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nconditionally purify the air just because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installed at each site deviates from the standard value. If there are no personnel at the site or not, it is judged as temporary absence after inferring from the past data whether it is a temporary absence or a normal absence, and when the average number of people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is only judged whether the air at the site should be cleaned. It determines the dispatch of the mobile robot 100 for this purpose.

서버(200)는 대기오염도 기준치를 상회한 현장에 대해 공기정화 현장 점검을 결정하면 이동형 로봇(100)을 해당 현장에 출동하도록 명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order the mobile robot 100 to go to the site when the air purification site inspection is determined for the site exceeding the air pollution level standard value.

이때 서버(200)의 출동명령은 해당 현장에 대한 공기정화를 로봇(100)에게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으로 이동한 뒤 우선 현장의 대기오염도를 직접 점검할 것을 지시함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dispatch command of the server 200 means not to instruct the robot 100 to purify the air for the relevant site, but to directly inspect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after moving to the site.

로봇(100)은 서버(200)가 지시한 현장에 도달하여 현장의 다양한 지점을 이동하며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The robot 100 can measure air quality by reaching the site indicated by the server 200 and moving various points of the site.

가령 현장이 4면으로 둘러싸인 사무실이고 고정센서부(300)는 사무실 입구에 1개가 구비되었다고 가정하면, 로봇(100)은 사무실내에 들어가 입구부터 반대편 끝까지 구석구석 다니면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ite is an office surrounded by four sides and one fixed sensor unit 300 is provided at the entrance to the office, the robot 100 can enter the office and measure air pollution by going from the entrance to the other end.

고정센서부(300)에서는 상기 사무실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벗어난 것으로 측정하였으나 고정센서부(300)는 사무실 입구에서만 측정했기 때문에, 로봇(100)이 사무실의 구석구석 측정한 대기오염도와 그 평균값은 고정센서부(300)의 측정값과 달리 기준치보다 낮을 수도 있고 또는 고정센서부(300)에서 측정한 값과 유사할 수도 있다. The fixed sensor unit 300 measured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office as deviating from the standard value, but the fixed sensor unit 300 measured only the office entrance, so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average value measured by the robot 100 in every corner of the office are Unlike the measured value of the fixed sensor unit 300 , it may be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or may be similar to the value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

로봇(100)이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의 다수 지점에 대해 현장 측정을 하는 이유는 대기 오염에 대해 면밀하게 측정한 뒤 공기정화를 실시하기 위한 목적이다. The reason that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field and performs field measurements for multiple points in the field is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air purification after closely measuring air pollution.

고정센서부(300)는 현장의 일 지점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현장 전체의 대기질이 저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고정센서부(300)가 위치한 해당 위치에서의 특별한 이벤트에 의해 대기오염도 수치가 급상승하여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Because the fixed sensor unit 300 exists only at one point of the site, even though the air quality of the entire site has not deteriorated, the air pollution level rises sharply due to a special event at the location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located. is likely to be distorted.

가령 상기 사무실과 같이 입구에 고정센서부(300)가 설치되었는데, 물품을 나르기 위해 출입문을 한참동안 개방해서 외부 탁한 공기가 유입되었다든지, 또는 한꺼번에 대다수의 인원이 드나들었는데 마침 그 순간에 고정대기센서부(310)가 대기질을 측정했다든지 하는 다양한 경우에 의해 이벤트 성으로 순간적인 측정값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xed sensor unit 300 was installed at the entrance as in the office, and the door was opened for a long time to carry the goods, so that the outside turbid air was introduced, or a large number of people came in and out at the same time. In various cases such as the unit 310 measuring air quality, instantaneous measurement value distortion may occur due to an event.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서버(200)에서는 로봇(100)에 바로 현장에 출동하여 공기정화를 실시할 것을 명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의 대기질을 면밀하게 2차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Due to these factors, the server 200 does not instruct the robot 100 to immediately go to the site to purify the air, but to once go to the site and closely inspect the air quality of the site.

즉 고정센서부(300)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 현황은 공기정화를 실시하기 위한 결정 지표가 아니라, 현장에 로봇(100)을 출동시켜 현장 점검을 할 수 있게 하는 용도의 판단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number of people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are not a decision index for air purification, but are used as a determination index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robot 100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for on-site inspection. can be

로봇(100)은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 내 다양한 지점에 대해서 이동하며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다. The robot 100 may be dispatched to the site, move to various points within the site, and measure air quality.

로봇(100)은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대기센서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동대기센서부(110)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는 현장 내 각 위치 정보와 함게 서버(200)로 송신될 수 있다.The robot 100 is provided with a moving air sensor unit 110 that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moving air sensor unit 11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together with each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ield. can be

서버(200)는 로봇(100)이 현장에서 보내온 다수 지점의 대기질 정보의 평균값 및 편차를 고려하여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나빠진 것으로 게 판단이 되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현장에서 즉시 공기정화를 실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When the server 200 determines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has deteriorated more than the standar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value and deviation of the air quality information of multiple points sent by the robot 100 from the field, the robot 100 prompts the robot 100 from the field to air immediately. You can order a cleanup to be carried out.

즉 현장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의 평균값이 기준치 이상이고 편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여 특정 지점에 편중된 왜곡 현상이라고 판단되지 않으며, 서버(200)는 기 설정된 상기 기준치에 근거하여 로봇(100)으로 하여금 공기정화 명령을 송신하게 된다.That is, the average value of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in the field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deviation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it is not determined as a distortion phenomenon biased to a specific point, and the server 200 is a robot 100 based on the preset reference value. It sends an air purification command.

또는 로봇(100)이 출동하여 현장에서 다수 지점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값이 기준치에 미달하거나 혹은 평균값은 기준치를 초과하되 특정 지점에 편중되어 편차가 소정 범위를 크게 벗어나 신뢰도가 낮게 추론이 되면 서버(200)는 로봇(100)으로 하여금 공기정화 기능을 보류하도록 명할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한 후에 다시 다수의 지점을 이동하면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한 후 서버(200)에 송신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Alternatively, as a result of the robot 100 dispatching and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t multiple points in the field, the average valu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or the average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but is biased to a specific point, so that the deviation greatly exceeds the predetermined range and the reliability is low. The server 200 may command the robot 100 to suspend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will move to a plurality of points again and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n send the command to the server 200. can

이후 재측정 결과 대기오염도 평균값이 기준치를 초과하고 편차가 신뢰도 범위 내로 포함되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현장의 공기 정화를 실행하도록 명령을 하고, 재측정 시에도 대기오염도 평균값 및 편차가 신뢰도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 되면 공기 정화를 시행하지 않고 로봇(100)을 복귀시킬 수 있으며 해당 현장에서는 고정센서부(300)를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After re-measurement, if the averag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the deviation is within the reliability range, the robot 100 is commanded to purify the on-site air, and even when re-measured, the air pollution level average value and deviation are out of the reliability range If confirmed, the robot 100 can be returned without performing air purification, and data can be continuously collected through the fixed sensor unit 300 at the site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한편 로봇(100)은 서버(200)로부터 공기정화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현장 내 다수 지점을 지속적으로 이동하며 공기정화를 실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bot 100 receives an air purification command from the server 200, it continuously moves to multiple points in the field to purify the air.

서버(200)는 공기정화를 실시하면서 소정 간격의 시간마다 지속적으로 대기오염도를 측정하여 대기질이 개선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The server 200 may determine whether air quality is being improved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performing air purification.

로봇(100)이 공기정화를 실시하면서 동시에 측정한 대기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서버(200)에 송신하면, 서버(200)는 로봇(100)이 공기정화 중에 보내오는 각 기점의 대기오염도 평균값과 편차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오염도 평균값이 기준치 미만으로 하락하고 각 지점별로 편차가 작게 형성되어 현장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대기질이 좋아졌다고 판단되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공기정화를 중지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When the robot 100 transmits the measured air pollution level to the server 200 in real time while performing air purification, the server 20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and deviation of the air pollution level from each starting point sent by the robot 100 during air pur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verage pollution level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by continuous calculation and the air quality is uniformly improved throughout the site due to a small deviation for each point, the robot 100 can be commanded to stop air purification.

로봇(100)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대기센서부(110) 외에 공기를 정화시켜 대기 오염을 개선시키는 정화부(120), 서버(200) 및 고정센서부(300)와 무선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부(130), 바퀴 및 엔진, 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이동부(140), 서버(200) 및 고정센서부(300)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저장부(150) 및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통제하고 운용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obot 100 purifies the air in addition to the moving air sensor unit 110 that can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and the purification unit 120, server 200, and fixed sensor that purifies air to improve air pollution. A communication unit 130 tha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nit 3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 moving unit 140 comprising a moving means including wheels, an engine, and a motor, a server 200, and a fixed sensor unit 300 ) and a storage unit 150 that stores and manages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a control unit 160 that controls and operates each of the components.

한편 서버(200)는 로봇(100)을 현장에 출동시켜 현장 점검 및 공기정화를 실시하도록 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두어 운영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er 200 may operate the robot 100 with priority in dispatching the robot 100 to the field to perform on-site inspection and air purification.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대기센서부(310)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더라도 인원규모측정부(320)의 측정 결과 해당 공간에 상주하는 인원이 없다면 로봇(100)의 출동과 대기질 측정 및 공기정화를 보류시킬 수 있다. The server 200,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f there are no personnel resident in the spac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by the person size measurement unit 320, the robot 100 is dispatched. and air quality measurement and air purification can be withheld.

또한 서버(200)는 유사한 시간대에 다수의 고정센서부(300)에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인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송신해오면 각 현장 간 대기오염도의 차이와 인원규모를 동시에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한 후 그에 따라 로봇(100)을 순서대로 출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er 200 transmits data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from a plurality of fixed sensor units 300 in a similar time period and there are personnel, the server 200 considers the difference in air pollution level between each site and the number of personnel at the same time. After determining the ranking, the robot 100 may be dispatched in order according to the ranking.

가령 A, B, C 현장의 고정센서부(300)에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했음을 알려왔는데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순서대로 수신이 되었을 경우, 서버(200)는 시간의 순서대로 A 현장부터 로봇(100)을 출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조건들을 우선 검토한 뒤 출동 순위를 결정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fixed sensor unit 300 at the sites A, B, and C notifies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has exceeded the standard value, but the reception is received in order with a slight time difference, the server 200 sends the robot ( 100), rather than first reviewing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dispatch order is determined.

우선 A, B, C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상호 근사한 차이, 즉 사전에 설정한 현장 간 오차범위 내에 분포되어있는 경우에는 서버(200)는 A, B, C 각 현장의 인원규모를 체크하여 가장 많은 인원이 모여있는 공간에 우선적으로 로봇(100)을 출동시켜 점검을 시킬 수 있다. First, if the air pollution levels of sites A, B, and C are distributed within the approximate difference, that is, within the preset error range between sites, the server 200 checks the number of people at each site A, B, and C, The robot 100 may preferentially be dispatched to the space where the personnel are gathered to perform the inspection.

이는 대기오염도가 상호 유사한 수준인 경우 많은 인원이 모여 있는 곳에 대기 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더 클 수 있으므로 이의 방지 및 개선을 위해 우선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This is to be implemented first to prevent and improve the damage caused by air pollution in plac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gathered when air pollution levels are at a similar level to each other.

다른 경우로써 A, B, C 각 현장의 대기오염도를 비교한 결과 가장 늦게 수신된 C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A, B 현장 대비 오차범위를 넘어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고 C 현장에 인원이 상주하는 것으로 측정이 되었다면 서버(200)에서는 C 현장에 가장 먼저 로봇(100)을 출동시켜 선제적으로 점검 및 정화활동을 하도록 명할 수 있다.As another cas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ir pollution levels of each site A, B, and C, the latest air pollution level at site C was measured to be the highest, exceeding the error range compared to sites A and B, and it was measured as having personnel resident at site C. If this is the case, the server 200 may order the robot 100 to be dispatched to the site C first to perform preemptive inspection and purification activities.

또 다른 경우로써 A, B, C 각 현장 중 B 현장의 오염도가 두 번째로 높게 측정되었지만 C 현장보다 오염도 수치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C 현장에 거주하는 인원이 존재하지 않고 최근 시간대를 거슬러 체크해 봐도 상주 인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반면 B 현장에는 지속적으로 인원이 존재한 것으로 판단이 되었다면, B 현장에 로봇(100)을 먼저 파견하여 B 현장의 공기 정화를 우선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In another case, even if site B had the second highest level of pollution among sites A, B, and C, but the difference in pollution level was wider than that of site C, there were no personnel living at site C and the latest time zo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no resident personnel, whil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are continuous personnel at site B, the robot 100 may be dispatched to site B first to purify the air at site B with priority.

이와 같이 서버(200)는 다수의 현장에서 측정되는 다수의 대기오염도를 분석하고 이를 정화하는 조치를 시행함에 있어서, 시간의 순서 또는 대기오염도의 순서에 따라 일률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오염도의 현장 간 편차, 각 현장에 거주하는 인원규모 및 그 추이 등에 따라 가장 효율적이고 신속한 정화가 이뤄질 수 있는 방안으로 선택되어 시행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rver 200 analyzes a number of air pollution levels measured at a plurality of sites and implements measures to purify them, not uniformly proceeding according to the order of time or air pollution level, but between sites of air pollution level. Depending on the deviation, the number of people living in each site, and its trend, it can be selected and implemented as the most efficient and rapid purification method.

한편 이동형 로봇(100)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 경우에는, 대기오염도가 높은 지역에 빠른 공기정화를 위해서 복수의 로봇(100)이 함께 출동하여 공기정화를 시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mobile robots 100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robots 100 may be dispatched together to purify air in an area with a high air pollution degree for quick air purification.

또는 하나의 로봇(100)이 우선 출동한 후 현장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매우 높은 수치가 측정되고 거주 인원이 매우 많으며 정화 대상 현장이 상당히 넓은 공간인 상황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해당되는 경우에는 정화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하여 로봇(100)을 추가로 출동시켜 공기정화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ernatively, at least two of the situations in which a very high value is measur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t the site after one robot 100 is dispatched first, the number of residents is very large, and the site to be purified is a fairly large space. In order to shorten the purification time as much as possible, the robot 100 may be additionally dispatched to support air purification.

또한 서버(200)에서는 현장에 출동한 로봇(100)으로 하여금 현장에서 직접 공기정화를 명하는 것과 동시에 단일의 로봇(100)으로는 기준시간 내 공기정화에 역부족이라고 판단되면 건물에 구축된 공조시스템이 병행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200 commands the robot 100 dispatched to the site to purify the air directly at the site, and at the same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ngle robot 100 is insufficient to purify the air within the reference time, the air conditioning system built in the building You can control them to run in parallel.

한편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은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이동대기센서부(110)에서 각각 측정한 대기오염도를 비교하여 센서 장치의 고장 유무를 사전에 파악하고 조치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air pollution levels measured by the fixed air sensor unit 310 and the mobile air sensor unit 110, respectively,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device is faulty in advance and take action. include what can be

고정대기센서부(310)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보고가 되면 서버(200)는 로봇(100)을 현장에 출동시켜 현장 측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대기센서부(310)에서 측정하여 송신한 대기오염도와 로봇(100)의 이동대기센서부(110)가 현장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도의 차이가 센서 간 측정치 차이 허용범위인 오류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는 경우에는 각 센서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오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게 된다. When it is reported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server 200 dispatches the robot 100 to the site to perform on-site measurement. At this time,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and transmitted by the robot 100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on-site by the mobile air sensor unit 110 of the robot 100 exceeds the error threshold value, which is the allowable rang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ors, each sensor At least one of the devices can be considered as likely to have failed.

오류임계값은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이동대기센서부(110)가 각각 측정했을 때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인정되어지는 대기오염도 측정값의 최대 격차 범위로써, 측정시간이 다르고 측정위치도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고 용인될 수 있는 측정치 차이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The error threshold is the maximum difference range of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ment value that is recognized that a difference may occur when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and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110 measure each, and the measurement time is different and the measurement location is different. It means the maximum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ements that can occur and that can be tolerated.

그런데 고정대기센서부(310)에서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보고하여 로봇(100)이 출동했는데 현장에서 측정한 결과가 고정대기센서부(310)의 측정치보다 오류임계값 이상 높거나 낮은 것으로 측정이 된다면 로봇(100)은 현장 내 다수의 지점을 대상으로 수차례 반복적으로 추가 측정해 볼 수 있으며 그 결과 또한 마찬가지로 고정대기센서부(310)의 측정치 대비 오류임계값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이 된다면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이동대기센서부(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장이거나 오작동 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However,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reported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ed the standard value, and the robot 100 was dispatched, but the result measured at the site was measured as higher or lower than the error threshold tha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xed atmospheric sensor unit 310 If this is the case, the robot 100 can repeatedly measure additionally several times for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field, and if the result is also measured as exceeding the error threshold range compared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At least one of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and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110 may be considered to be malfunctioning or malfunctioning.

이 경우에는 서버(200)에서 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 장비에 대해서 점검을 실시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 출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우선 여분의 로봇(100)이 추가 구비가 되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로봇(100)을 현장에 출동시켜 대기오염도를 측정케 하고 이 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명되면 공기정화를 바로 시행하도록 명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rver 200 may contact the manager to check each of the sensor devices, and since it may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until the manager is dispatched, an extra robot 100 is additionally provided first. If there is,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if it is found that this value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can be ordered to immediately perform air purification.

한편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은 고정센서부(300)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도 대기오염도를 예측하여 공기정화를 시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ir purification by predicting the air pollution level even in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건물 내 모든 현장에 고정센서부(300)를 설치하는 것은 비용도 많이 들고 효율성 측면에서도 떨어지는 면이 있어 고정센서부(300)는 주로 사람들이 모여 일하는 사무실 내부 위주로 설치될 수 있다. Installing the fixed sensor unit 300 at all sites in the building is costly and has a low aspect in terms of efficiency, so the fixed sensor unit 300 may be mainly installed inside an office where people mainly work.

따라서 복도, 로비 등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오염도 측정 센서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ing sensor may not be provided in corridors, lobbies, etc. even though there is a lot of people coming and going.

이에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에서는 로봇(100)이 현장에 출동하고 복귀하는 이동 과정 중에 고정센서부(300)가 설치되지 않은 현장을 지날 때마다 해당 현장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상기 측정값을 서버(200)에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ever the robot 100 passes a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during the moving process of dispatching and returning to the site,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is measured. and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the server 200 .

서버(200)는 로봇(100)으로부터 수시로 임의의 시간에 수신하는 미설치 현장의 대기오염도를 데이터로써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로봇(100)이 측정했던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현장에 인접한 고정센서부(300) 설치 현장에서 동시간대에 측정된 대기오염도를 함께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The server 200 stores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non-installed site received from the robot 100 at any time from time to time as data, and at this time, the fixed sensor unit 300 measured by the robot 100 is the fixed sensor unit adjacent to the non-installed site. (300) It is possible to correlate and store air pollution levels measured at the same time at the installation site.

이에 고정센서부(300)가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를 현장대기질로 명명하고,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현장에서 측정되는 대기오염도를 미설치대기질로 정의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periodically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amed field air quality,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at the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is defined as the non-installed air quality.

고정센서부(300)가 설치된 현장과 미설치된 현장이 상호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 고정센서부(300) 설치 현장의 대기오염도인 현장대기질과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현장의 대기오염도인 미설치대기질을 동시간대를 기준으로 데이터로써 저장하고 충분한 표본을 가지고 비교하여 각각의 평균치 및 편차를 구하게 되면 상기 각 현장에서의 현장대기질과 미설치대기질 간에는 특정한 상관관계가 산출될 수 있다. When the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and the site where it is not installed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on-site air quality, which is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fixed sensor unit 300 installation site, and the non-installed atmosphere, which is the air pollution degree of the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If the quality is stored as data based on the same time period and compared with sufficient samples to obtain the average and deviation of each, a specific correlation can be calculated between the on-site air quality and the non-installed air quality at each site.

이 상관관계는 표준대기질로 정의될 수 있다.This correlation can be defined as standard air quality.

이제 로봇(100)이 이동 중에 수시로 미설치대기질을 측정하여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에서는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장대기질, 미설치대기질 및 표준대기질을 모두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Now, the robot 100 measures the air quality not installed at any time during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calculates and manages all of the field air quality, the installed air quality and the standard air quality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can

상기 관리가 이뤄지게 되면 어느 특정 시점에 특정 현장의 고정센서부(300)로부터 현장대기질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오염이 심한 것으로 보고가 되었을 때, 서버(200)는 상기 현장에 인접한 미설치대기질은 현장대기질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표준대기질의 수치를 형성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추론을 근거로 하여 미설치대기질 또한 공기정화가 필요한 수준인지, 아니면 아직까지는 적정한 수준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anagement is performed, when it is reported that the on-site air quality exceeds the standard value and the pollution is severe from the fixed sensor unit 300 of a specific site at a certain point in time, the server 200 is not installed adjacent to the sit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andard air quality value will be form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with the air quality. Therefore, based on the infere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stalled air quality is also at a level that requires air purification or is still at an appropriate level. .

이에 표준대기질에 의해 미설치대기질 또한 공기정화가 필요한 수준이라고 판단되면 서버(200)는 로봇(100)을 고정센서부(300)가 위치한 현장에 출동시켜 공기정화를 명령함과 동시에, 고정센서부(300) 위치 현장의 공기정화가 완료되면 로봇(100)을 인접한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지역으로 보내서 미설치대기질을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공기정화를 할 수 있도록 명령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standard air quality determines that the uninstalled air quality is also at a level that requires air purification, the server 200 dispatches the robot 100 to the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located to command air purifi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xed sensor When the air purification at the location of the unit 300 is completed, the robot 100 is sent to the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to measure the air quality that is not installed, and if the measured value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e robot 100 is ordered to purify the air. can

하지만 표준대기질의 상관관계에 비추었을 때 현장대기질은 공기정화가 필요한 수준이지만 인접한 미설치대기질은 아직 양호한 수준이라고 판단이 되면 로봇(100)은 고정센서부(300) 설치 지역의 정화만 실시한 채 인접한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지역은 공기정화는 실시하지 않고 현장대기질만 측정하여 복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However, in ligh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andard air qualit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n-site air quality is at a level that requires air purification, but the adjacent uninstalled air quality is still at a good level, the robot 100 performs only the purification of the fixed sensor unit 300 installation area. The area where the adjacent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may be controlled to return by measuring only on-site air quality without performing air purification.

이상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은 고정센서부(300)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 대해서도 대기오염도를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지역에 고정센서부(300)를 설치하지 못하더라도 건물 내 전체 지역에 걸쳐 균일하고 청정한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 및 장점이 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sonably predict the air pollution level even for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and thus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in all areas. Even if not, it can be a characteristic and advantage to maintain a uniform and clean air condition throughout the entire area within the building.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 example of use of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가령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이용시설에 제1사무실 내지 제4사무실이 구성된 경우에 있어 이동대기센서부(110)가 포함된 로봇(100)은 각 사무실 사이의 임의의 공간에 위치한 채 대기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first to fourth offices are configured in a multi-use facility, the robot 100 including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110 waits while being located in an arbitrary space between each office. can do.

고정센서부(300)는 건물 내 각 현장(가령 도 4의 제1사무실 내지 제4사무실)에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인원규모측정부(320)로써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대기센서부(310)는 대기오염도, 현장대기질을 측정하고 인원규모측정부(320)는 현장의 인원규모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서버(200)에 송신한다.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installed as a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and a person size measurement unit 320 at each site in the building (eg, the first office to the fourth office in FIG. 4 ), respectively, and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 310)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on-site air quality, and the personnel scale measurement unit 320 measures the number of people on the site and periodically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

서버(200)는 고정센서부(300)에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 즉 현장대기질이 공기정화 조치가 필요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해당 현장에 인원규모가 측정이 되었다면 우선 공기정화 이동형 로봇(100)을 현장에 출동시킬 수 있다.If the server 200 determines that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that is, the on-site air quality exceeds the standard value that requires air purification measures, and the number of people at the site is measured, first, the air purification mobile robot 100 ) can be dispatched to the site.

현장에 도착한 로봇(100)은 현장 내 다수의 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대기질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서버(200)에 송신한다. The robot 100 arriving at the site measures the on-site air quality by targeting a plurality of points in the site and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server 200 .

가령 도 4의 예시에 있어 제1사무실에 출동지시를 받은 로봇(100)은 대기 위치에서 제1사무실로 이동한 후 제1사무실 내에서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인원규모측정부(320)가 구비된 지점을 포함하여 고정대기센서부(310)와 인원규모측정부(320)가 구비되지 않은 나머지 지점까지 제1사무실 전체에 대해 구석구석 현장대기질을 다수 측정하고, 각 지점별 측정값을 서버(200)에 송신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4 , the robot 100 that received a dispatch instruction to the first office move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first office, and then in the first office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and the number of people measure unit 320 . Measures a number of on-site air quality for the entire first office up to the remaining points where the fixed air sensor unit 310 and the number of people size measurement unit 320 are not provided, including the point where is provided, and measured values for each poin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

서버(200)에서는 현장 측정된 대기오염도가 고정센서부(300)에서 측정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준치를 초과했으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즉시 현장에서 공기정화 기능을 가동하도록 명령하고, 로봇(100)은 현장 내에서 각 지점을 이동하며 구석구석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server 200, if the field-measured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as measur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the server 200 commands the robot 100 to immediately operat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t the field, and the robot 100 operates the field It moves to each point in the interior and performs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n every nook and cranny.

로봇(100)은 공기정화 기능 중에 지속적으로 현장대기질을 측정하여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에서는 현장대기질이 기준치 미만으로 하락하면 로봇(100)으로 하여금 공기정화 기능을 중지하고 복귀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The robot 100 continuously measures the on-site air quality dur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causes the robot 100 to stop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when the on-site air quality falls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may be instructed to return.

복귀 지시를 받은 로봇(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무실 간 임의의 위치로 복귀하여 다시 출동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robot 100 that has received the return instruction may return to an arbitrary location between each office and maintain the dispatch standby state again.

한편 현장에 출동하여 측정한 현장대기질이 고정센서부(300)에서 보내온 측정값과 달리 기준치에 못 미쳐 양호한 수준으로 파악이 되면 서버(200)는 로봇(100)으로 하여금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지점에서 소정 횟수 추가하여 측정을 하도록 명할 수 있으며, 추가 측정 결과 기준치를 초과하면 공기정화를, 기준치에 미달하면 정화 조치 없이 복귀를 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n-site air quality measured by dispatching to the site is found to be at a good level because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unlike the measured value sent from the fixed sensor unit 300, the server 200 causes the robot 100 to se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can be ordered to measure additionall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t multiple points, and if the additional measurement result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can be ordered to purify the air, and if it does not meet the standard value, it can be ordered to return without purification.

만약 다수의 현장에서 모두 기준치가 초과되었다고 보고가 이뤄지면, 서버(200)는 현장대기질이 상호 오차범위 내인 경우에는 인원규모가 가장 많은 지역에 로봇(100)을 우선 출동시키고, 또는 현장대기질이 오차범위를 벗어나 가장 높은 오염도를 나타내는 현장이 있으면 해당 현장에 로봇(100)을 우선 출동시키는 등 우선순위를 차등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If a report is made that the standard value is exceeded in all of a number of sites, the server 200 first dispatches the robot 100 to the area with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if the on-site air quality is within the mutual error range, or the on-site air quality If there is a site showing the highest degree of pollution out of this error range, it is possible to operate by applying different priorities, such as first dispatching the robot 100 to the site.

가령 도 4의 예시에 있어 각 사무실에 설치된 고정대기센서부(310)의 측정 결과 제1사무실과 제3사무실이 모두 기준치가 초과된 것으로 파악이 되었는데 제1사무실의 현장대기질이 오차범위 내에서 제3사무실의 현장대기질보다 나쁜 상태인 반면, 인원규모측정부(320)의 인원규모 측정 결과 제1사무실의 인원은 소수인 반면 제3사무실의 인원규모는 다수인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면 서버(200)는 대기 중인 로봇(100)을 제3사무실에 먼저 출동시켜 현당대기질 측정과 정화를 우선 진행할 수 있으며, 제3사무실에 대한 조치가 완료된 이후에 제1사무실에 연이어 출동시켜 측정과 정화를 진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 4 , as a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fixed air sensor unit 310 installed in each office, it was determined that both the first office and the third office exceeded the standard value, but the on-site air quality of the first office was within the error range. On the other hand, if the air quality is worse than the on-site air quality of the third off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irst office is smal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third office is a large number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of the number of people by the person size measurement unit 320, ) can first dispatch the waiting robot 100 to the third office to measure and purify the current air quality first, and after the measures for the third office are completed,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first office successively to carry out measurement and purification. can

그러나 제1사무실의 현장대기질이 제3사무실보다 오차범위를 초과하여 나쁜 상태라면 인원규모에 관계없이 로봇(100)은 제1사무실로 먼저 출동하고, 조치가 완료된 이후에 제3사무실로 연이어 출동할 수 있다.However, if the on-site air quality of the first office exceeds the error range of the third office and is in a worse state,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first office first, and then to the third office successively after the measures are complet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eople. can do.

또한 단일 로봇(100)으로는 공기 정화가 상당히 지연되고 정화 효과 또한 미미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여분의 로봇(100)을 보유하고 있다면 추가적으로 여분의 로봇(100)을 해당 현장에 추가 투입하여 공기정화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ir purification is significantly delayed with a single robot 100 and the purification effect is also insignificant, if you have an extra robot 100, additionally add an extra robot 100 to the site to speed up the air purification measures can be taken to increase

또한 건물 내 공조시스템과 연계하여 이동형 로봇(100)과 고정형 공조시스템이 함께 공기정화에 투입되게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fixed air conditioning system to be put together for air purification.

한편 고정센서부(300)가 미설치된 지역에 대해서는 로봇(100)이 이동 중에 수시로 미설치대기질을 측정하여 서버(200)에 송신하고, 서버(200)는 이를 인접한 현장의 현장대기질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지역의 표준대기질을 산출하여 관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the robot 100 measures the air quality not installed from time to time while moving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and the server 200 compares it with the on-site air quality of the adjacent site. By deriving a correl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manage the standard air quality in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이에 현장대기질이 나빠져 로봇(100)이 출동하여 공기정화를 하게 되었을 때 인접한 현장의 미설치대기질 또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오염되었을 것이라 표준대기질에 의해 추론되는 경우, 현장에 출동하여 공기정화가 완료된 로봇(100)은 고정센서부(300) 미설치 현장으로 이동하여 공기정화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on-site air quality deteriorates and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purify the air, if it is inferred by the standard air quality that the uninstalled air quality in the adjacent site will also be contaminated to a level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the robot 100 is dispatched to the site to purify the air The completed robot 100 may move to a site where the fixed sensor unit 300 is not installed to further perform air purification.

한편 현장대기질이 나쁜 것으로 보고되어 현장에 로봇(100)이 출동했는데 현장 측정된 대기오염도와 고정센서부(300)에서 기 측정하여 보고한 대기오염도가 상호 오류임계값을 초과한 수준으로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서버(200)에서는 고정대기센서부(310) 또는 이동대기센서부(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고장 또는 오작동이라고 간주하여 담당 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해 사전정비를 받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10)에 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eld air quality was reported to be bad, and the robot 100 was dispatched to the sit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at the site and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and reported by the fixed sensor unit 300 exceeded the mutual error threshold. When this occurs, the server 200 considers that at least one of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310 or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110 is a failure or malfunction, and contacts the manager in charge to receive preliminary maintenanc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
100 : 로봇
110 : 이동대기센서부
120 : 정화부
130 : 통신부
140 : 이동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서버
300 : 고정센서부
310 : 고정대기센서부
320 : 인원규모측정부
10: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100: robot
110: moving standby sensor unit
120: purification unit
130: communication department
140: moving unit
150: storage
160: control unit
200 : server
300: fixed sensor unit
310: fixed standby sensor unit
320: personnel size measurement unit

Claims (5)

이동형 로봇;
다수 현장의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수신하여 관리하고, 로봇에게 현장 출동 명령을 내리고, 로봇에게 현장 공기정화 명령을 내림에 있어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출동 및 정화 우선순위를 차등 적용하여 제어하는 서버; 및
건물 내 다수의 현장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측정하여 서버에 전달하는 고정센서부;를 포함하되,
로봇은,
각 현장에서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대기센서부; 공기 청소로 대기 오염을 개선시키는 정화부; 서버 및 고정센서부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 이동수단이 구비된 이동부; 송수신 데이터의 저장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고정센서부는,
대기오염도를 측정하는 고정대기센서부; 및 현장의 인원규모를 측정하는 인원규모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고정센서부가 각 현장의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서버에 송신하면, 서버는 대기오염도 및 인원규모가 모두 기준치를 초과한 현장에 로봇을 출동시켜 현장의 다수 지점에서 측정케 하고, 로봇이 측정하여 송신한 현장의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로봇으로 하여금 공기정화를 실시하도록 지시하며,
서버는, 대기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현장이 다수 존재하되 현장 간 오염도가 오차범위 내로 파악되면 인원규모가 많은 현장에 우선적으로 로봇을 출동시키고,
기준치 초과 현장 간 오염도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오염도가 가장 높은 현장부터 순서대로 로봇을 출동시킴으로써,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를 고려하여 로봇 출동 우선순위에 차등을 두어 공기정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대기오염도와 인원규모가 기준치를 상회하는 현장이 다수 존재하여 예상 공기정화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봇을 추가로 출동시켜 공기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
mobile robot;
Receives and manages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t multiple sites, issues an order to dispatch the robot to the site, and gives the robot an order to purify the on-site air, conside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differentially applying dispatch and purification priorities to control server to; and
A fixed sensor unit that is fixed to each of a number of sites in the building to measure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and deliver it to the server;
the robot,
a mobile air sensor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t each site; a purification unit that improves air pollution by air cleaning; a communication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 fixed sensor unit; a moving unit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a storag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Fixed sensor unit,
A fixed air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air pollution level; and a personnel size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number of persons on the site; further comprising,
When the fixed sensor unit periodically measures the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at each sit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the server dispatches the robot to the site where both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exceed the standard value, and the robot is measured at multiple points on the site. If the air pollution level of the site measured and transmitted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instructs the robot to perform air purification.
In the server, there are many sites where the air pollution level exceeds the standard value, but if the pollution level between sites is identified within the error range, the robot is first dispatched to the site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If the pollution level between sites exceeds the standard value is out of the error range, the robots are dispatched in order from the site with the highest level of pollution, and the priority of robot dispatch is differentiated in consideration of the air pollution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so that air purification can be performed. ,
Adaptive type, characterized in tha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xpected air purification time will exceed the standard time due to the presence of many sites with air pollution level and number of people exceeding the standard, at least one additional robot can be dispatched to perform air purification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인원규모측정부는, 사람 및 동물을 수를 감지하는 데 있어 적외선 탐지, 카메라 촬영, 와이파이 접속도, 휴대폰 통화 발생수, 및 소음을 이용한 측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소음은, 사람의 재채기, 대화 소리, 동물 짖는 소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erson size measuring unit includes measuring the number of people and animals by using at least one of infrared detection, camera shooting, Wi-Fi connection, the number of mobile phone calls, and measuring methods using noise, ,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includes a human sneeze, a conversation sound, and an animal barking sound.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고정대기센서부와 이동대기센서부에서 각각 측정한 대기오염도가 기 설정한 오류임계값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고정대기센서부와 이동대기센서부를 모두 점검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considers that an error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sensor unit when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by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and the mobile standby sensor unit has a difference by more than a preset error threshold, and the fixed standby sensor unit and the moving standby sensor An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enabling all departments to check and take action.
제1항에 있어서,
서버는, 고정센서부가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인 현장대기질; 및 고정센서부가 미설치된 지역을 로봇이 이동 중 측정하는 대기오염도인 미설치대기질;을 데이터로써 저장하고, 현장대기질과 미설치대기질의 상관관계인 표준대기질을 산출하며, 로봇이 현장에 출동하여 공기정화를 실시할 때 표준대기질에 의거 기준치를 초과했을 것이라 판단되는 고정센서부 미설치 지역이 이동 루트에 인접해 있으면 함께 공기정화를 실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적응형 이동 공기정화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rver may include: field air quality, which is an air pollution degree periodically measured by a fixed sensor unit; and uninstalled air quality, which is the air pollution level measured while the robot is moving in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is not installed, as data, calculates standard air quality, which is a correlation between on-site air quality and non-installed air quality, and the robot is dispatched to the field to receive air The adaptive mobile air purif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ir purification together when an area where the fixed sensor unit is not installed, which is judged to have exceeded the standard value based on standard air quality when performing purification, is adjacent to the moving route.
KR1020190177236A 2019-12-30 2019-12-30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KR102283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36A KR102283045B1 (en) 2019-12-30 2019-12-30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36A KR102283045B1 (en) 2019-12-30 2019-12-30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16A KR20210084816A (en) 2021-07-08
KR102283045B1 true KR102283045B1 (en) 2021-07-27

Family

ID=7689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236A KR102283045B1 (en) 2019-12-30 2019-12-30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0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3686A1 (en) * 2022-04-20 2023-10-26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ler and ventilation system
KR102586725B1 (en) * 2022-11-04 2023-10-10 케이웨더(주) System for monitoring fine dust of roadsi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078B1 (en) * 2004-09-2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nhancing air quality
JP2007205625A (en) * 2006-02-01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ntil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024A (en) * 2006-03-30 2007-10-05 한국델파이주식회사 Movable air-cleaner of using a distant sensor
KR102563496B1 (en) 2017-11-01 2023-08-10 코웨이 주식회사 Air purifier having human sensing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078B1 (en) * 2004-09-2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nhancing air quality
JP2007205625A (en) * 2006-02-01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entil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16A (en)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045B1 (en) Adaptive Moving Air Cleaning System
US20150367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data and for utilizing robotic and/or human resources
US20170112345A1 (en) Control Of Cleaning Robots
CN109264522B (en) System for reporting life cycle, maintenance and measurement audit condition of building equipment
CN111153298B (en) Robot elevator taking method
US11959777B2 (en) Methods an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s for safety management of smart gas underground gas pipeline networks
KR20220085125A (en)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unmanned detector
KR101815960B1 (en) Intelligent system for managing facilities on based Internet of Things
JP7294988B2 (en) elevator remote control system
KR101872464B1 (en) Lonworks-based building monitoring and alarm integrated control system with heterogeneous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JP2016502308A (en) Device control node, interface node, and hybrid control node
KR1024109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
JP2014114145A (en) Building safety management system
JP2007112614A (en) Elevator monitoring device
KR100921931B1 (en) Intelligent senso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CN112530132A (en) Intelligent fire control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based on cloud computing service
CN106647437B (en) Pipe gallery signal acquisition node execution controller based on Internet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200083663A (en) A mobile control unit,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a mobile unit control system, a facility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unit control method
KR20120058945A (en) Wireless network based robot cleaner system and method of thereof
JP2019064832A (en) Controller for emergency operation of elevator and control method for emergency operation of a plurality of elevators
CN113741258B (en) Rail transit station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optimization method thereof
JP2008239291A (en) Remote facilit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in disaster
KR10189089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of elevator
JP5612346B2 (en)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JP6838684B1 (en) Elevator inspection systems, elevator inspection equipment, and autonomous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