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969B1 -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969B1
KR102282969B1 KR1020200158325A KR20200158325A KR102282969B1 KR 102282969 B1 KR102282969 B1 KR 102282969B1 KR 1020200158325 A KR1020200158325 A KR 1020200158325A KR 20200158325 A KR20200158325 A KR 20200158325A KR 102282969 B1 KR102282969 B1 KR 10228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fluid
guide
propelle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20015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64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magnetically attached to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형강을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하여 절단하되 직선은 물론 곡선으로 절단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절단할 수 있고 나아가 H형강을 제조하는 제조라인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주행용 캐스터를 포함한 주행모듈;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를 분배하는 유체분배기; 상기 유체분배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배된 유체를 전달 받는 토치부; 상기 바디를 절단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탈착모듈; 상기 바디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모듈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가 인입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함과, 상기 고정함과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함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Self-propelled H-beam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형강을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하여 절단하되 직선은 물론 곡선으로 절단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절단할 수 있고 나아가 H형강을 제조하는 제조라인은 물론 작업 현장에서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형강을 절단하는 방법 중에 하나로써 작업자가 토치를 들고 수작업으로 직접 절단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작업 능률이 낮고 절단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나아가 정확한 절단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 CNC를 이용한 절단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10627호에서는 자동 가스 절단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토치가 제1이송블럭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송되고 제2이송블럭은 제1이송블럭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금속판재를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토치가 전후로 이동할 때 이동 거리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즉 토치가 제1이송블럭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1이송블럭의 길이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것이다. 따라서 절단 위치가 제1이송블럭의 길이를 벗어나는 경우 절단기 전체를 이동시킨 후 다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낮아지고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3707호에서 제안된 종래기술은 H빔용 비선형 플라즈마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H빔을 비선형으로도 절단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H빔을 제조하는 제조라인에 배치되어 제조된 H빔을 절단하기 때문에 H빔을 사용하는 공사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대, 스토퍼, 레일, 수직몸체, 용접몸체, 연장몸체 및 플라즈마 토치부를 포함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을 조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고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플라즈마 토치부가 이동하는 과정 및 절단하는 작업 중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서 경로가 변경됨으로써 정확한 절단 위치를 절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1062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37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H형강을 플라즈마 토치 방법을 이용하여 절단하되, 절단하는 형태를 직선은 물론 곡선 형태로도 절단할 수 있는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절단할 수 있어 활용도가 넓고 나아가 부피를 줄여 운반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주행용 캐스터를 포함한 주행모듈;
상기 바디에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를 분배하는 유체분배기;
상기 유체분배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배된 유체를 전달 받는 토치부;
상기 바디를 절단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탈착모듈;
상기 바디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모듈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는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가 인입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함과,
상기 고정함과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함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방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위방지수단은, 상기 고정함의 저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과,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입홈에 삽입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모듈은, 상기 바디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바디와 상기 가이드판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수단과,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이 일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레일과, 상기 가이드판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경로안내수단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장공과, 상기 결합장공에 회전축을 통해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캐스터와, 상기 이동캐스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탄성가압구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에 간격조절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간격조절판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을 연결하되 일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외면이 상기 이동캐스터에 맞닿는 탄성면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삽입되는 탄성조절나사와,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삽입된 탄성조절나사와 맞물리는 고정너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H형강을 플라즈마 토치를 이용하여 절단하되, H형강의 표면에 바디가 배치된 상태에서 절단하고자 하는 경로를 따라 배치된 가이드판을 따라 바디가 이동하면서 H형강을 절단함으로써 절단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직선은 물론 곡선의 절단도 가능하고, H형강이 배치된 각도에 상관 없이 원하는 형태로 절단할 수 있어 활용도가 넓고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부피를 소형화하여 작업 현장에서 직접 H형강을 절단할 수 있어 활용도가 넓고 작업 능률의 향상은 종래 절단 작업에 필요한 H형강의 이동이 불필요하여 절단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줄여 경제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디 및 탈착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체분배기 및 토치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가이드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경로안내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가압구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1)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바디(10)와, 상기 바디(10)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주행용 캐스터(21)를 포함한 주행모듈(20)과,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를 분배하는 유체분배기(30)와, 상기 유체분배기(30)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배된 유체를 전달 받는 토치부(40)와, 상기 바디(10)를 절단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탈착모듈(50) 및 상기 바디(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모듈(60)을 포함한 것으로, 상기 유체분배기로 인입된 유체를 유체분배기(30)가 분배하여 주행모듈(20)과 토치부(40)로 공급하여 바디의 이동을 제어하고 H형강을 절단하는 플라즈마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모듈(60)을 바디의 이동 경로에 배치하여 바디가 가이드모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절단은 물론 직선 및 곡선 형태의 절단도 가능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 예로 상기 수용공간(11)이 형성된 바텀바디와 상기 수용공간(11)을 개폐하는 탑커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공간(1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형태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는 후술하는 탈착모듈(50)을 통해 H형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탈착모듈(50)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만 자력(磁力)을 형성하는 자성체로 구성될 때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탈착모듈(50)의 자력이 H형강에 전달될 수 있도록 자성체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모듈(20)은 상기 바디(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에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되 적어도 한 쌍이 상기 바디(10)의 양측에서 대칭되게 배치된 주행용 캐스터(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주행용 캐스터(21)는 금속재인 H형강의 표면에서 이동 중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동시에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고온에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이들을 조합한 휠에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의 타이어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주행모듈(20)에는 유체분배기(30)에서 전달된 유체에 의해 동작하면서 상기 주행용 캐스터(21)를 구동시키는 유체모터(22)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체모터(22)는 휘발유나, 디제 오일, 공기, 가스 등과 같은 유체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모터이다.
이러한 유체모터는 구조상 크게 왕복형과 회전형으로 분류되는데, 왕복형은 실린더 내에서 유체와 상호작용에 의해 피스톤이 직선 이동하면서 회전축과 연동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회전형은 미끄러져 움직이는 깃을 가진 베인형과 맞물리는 2개의 기어를 가진 기어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베인형은 출몰이 가능한 베인을 구비한 편심된 로터를 회전시켜 동력을 형성하고, 기어형은 맞물려 회전하는 2개의 기어를 회전시켜 동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회전형인 베인형과 기어형은 왕복형에 비해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며 유체의 압력이 저압 또는 중압일 때 많이 사용되고 왕복형은 회전형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나 유체의 압력이 고압일 때 사용할 수 있어 고회전, 고출력이 요구되는 모터에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모터는 유체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저압 또는 중압으로 공급되어 베인형의 유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베인형의 유체모터의 구조는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유체분배기(30)는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를 분배하여 상기 주행모듈(20)로 전달하거나 후술하는 토치부(40)로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외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배기(30)는 내부에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이 구비된 분배용 바디(31)와,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일측에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유체가 각각 인입되는 다수 개의 유체인입구(32)와,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후술하는 토치부(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배출구(33)와,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각각 조절하는 다수 개의 이동량 조절밸브(34)와,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35)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용 바디(3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이 상호 구획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분배용 바디(31)는 고온에서 변형이 없고 내부에 형성된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압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일측에는 하방이 개구되어 후술하는 유체투입부(332)가 배치되는 결합슬릿(312)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인입구(32)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서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에 독립적으로 결합되도록 다수 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인입구(32)는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를 종류별로 독립된 상태로 인입시키기 위한 것인데, 즉 인입된 유체는 토치부(40)로 전달되어 불꽃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산소, 오일, 가스 중 어느 하나이며 이러한 유체는 불꽃의 크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한 혼합비율로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체인입구(32)는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에 각각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된 산소, 오일, 가스 중 어느 하나가 인입된다.
여기서 유체인입구(32)가 인입된 유체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과 동일한 직선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송된 유체를 토치부(40)로 전달한다.
이러한 배출구(33)는 토치부(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시에 상기 토치부(40)의 선단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구(33)는 상기 분배용 바디(31)에 결합하는 결합부(331)와, 상기 결합부(331)의 하방에 형성되되 다수 개의 격벽(333)을 통해 복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독립된 공간이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과 개별적으로 연통되는 투입공(332a)이 형성된 유체투입부(332)와, 상기 유체투입부(332)에 각각 연결된 다수 개의 이동관체(335)와, 상기 이동관체(335)의 일단이 결합되며 후술하는 토치부(40)가 결합되어 상기 이동관체(335)를 통해 전달된 유체가 혼합되어 토치부(40)로 전달되는 토치결합구(33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31)는 상기 분배용 바디(31)와 토치부(40)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일측단에 관통 삽입되는 돌부(331a)와 상기 돌부(331a)에 형성된 고정핀결합공(331b)과 상기 고정핀결합공(331b)에 관통 삽입되는 고정핀(331c)을 포함한다.
상기 돌부(331a)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돌부(331a)에 형성된 고정핀결합공(331b)이 분배용 바디(31)의 외측으로 노출되면 고정핀(331c)을 고정핀결합공(331b)에 관통 삽입하여 돌부(331a)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배출구(33)와 분배용 바디(31)를 결합한다.
상기 유체투입부(332)는 상기 결합부(331)의 하방에 형성되되 다수 개의 격벽(333)을 통해 서로 독립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독립된 공간에는 유체인입구(32)를 통해 인입되어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전달된 유체가 개별적으로 전달되는 투입공(332a)이 형성되며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슬릿(312)에 배치된다.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슬릿(312)은 상단에서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유체투입부(332)도 상단에서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다수 개의 격벽(333)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한 쌍의 격벽 사이에 기밀 유지용 패킹(333a)이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유체투입부(332)는 다수 개의 격벽(333)을 통해 구획된 공간에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송된 유체가 인입된 후 상기 투입공(332a)을 통해 이동관체(335)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동관체(335)는 일단은 상기 유체투입부(332)에 형성된 다수 개의 투입공(332a)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통되고, 타단은 토치결합구(336)에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관체(33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투입공(332a)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배치된다.
상기 토치결합구(336)는 일측이 개구되어 토치부(4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동관체(335)의 타단이 결합되어 이동관체(335)를 통해 유체를 전달받아 토치부(40)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출구(33)는 상기 분배용 바디(31)의 결합슬릿(3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때 결합슬릿(3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여 작업시 필요한 위치로 토치부(40)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절밸브(34)는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에 각각 배치되어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체크밸브(35)는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배출구(33)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유체 인입구(32)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밸브(34)와 체크밸브(35)의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 개의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각각 조절하는 다수 개의 이동량 조절밸브(34)와, 상기 유체 이동라인(311)을 통해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35)를 포함한다.
상기 토치부(40)는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달된 유체를 통해 플라즈마 불꽃을 형성하여 H형강을 절단하는 것으로, 이러한 토치부(40)는 전달된 유체에 불꽃을 형성하기 위한 점화수단을 포함하며 이러한 토치부(40)의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토치부는 상술한 유체분배기를 통해 제공된 유체를 원료로 하여 고온의 플라즈마 불꽃을 형성하는 실시예 이외에도, 고온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온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유체분배기를 갈음하여 레이저를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탈착모듈(50)은 상기 바디(10)를 절단 대상물 즉 H형강의 표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는 자성체(51)와, 상기 자성체(51)가 인입되며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고정함(52)과, 상기 고정함(52)과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함(5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방지수단(53)을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51)는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磁力)을 가지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H형강을 절단하는 절단 작업 중에는 H형강의 표면에 결합되며, 이동 시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H형강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자성체(51)의 구조 및 상기 자성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수단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함(52)은 상단이 개구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자성체(51)가 인입되고,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함(52)은 상기 자성체(51)가 바디의 이동 과정 및 H형강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서 위치가 변위되어 바디(10)가 H형강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함(52)은 상기 수용공간(11)에 변위방지수단(53)을 통해 위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변위방지수단(53)은, 상기 고정함(52)의 저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531)과,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입홈(531)에 삽입되는 돌출돌기(532)를 포함한다.
상기 요입홈(531)은 상기 고정함(52)의 저면에서 음각(陰刻)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돌기(532)는 상기 바디(1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입홈(531)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돌기(532)와 상기 요입홈(531)에는 상호 접하는 면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모듈(60)은 상기 바디(10)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판(61)과, 상기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수단(62)과, 상기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이 일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레일(63)과, 상기 가이드판(6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64)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판(6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H형강에 맞닿는 절곡부(611)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611)에는 H형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자석(6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판(61)은 H형강을 절단하고자 하는 형태 및 길이에 상응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상호 연결체(61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체(613)는 가이드판(61)의 길이 방향 일측에 형성된 돌출구(614)와, 가이드판(61)의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 인입홈(615)과, 상기 돌출구(614)와 인입홈(615)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기준축(616)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구(614)는 상기 인입홈(6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축(616)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판(6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통해 다수 개의 가이드판(61)을 상호 연결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H형강을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에 상응하여 배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613)를 통해 인접한 가이드판(61)을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판(61)을 곡선으로 배치할 수 있고, 후술하는 경로안내수단(62)을 통해 바디(10)를 곡선으로 배치된 가이드판(61)을 따라 이동하면서 H형강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은 상기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10)를 가이드판(61)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621)와, 상기 베이스(621)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장공(622)과, 상기 결합장공(622)에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장공(6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캐스터(623)와, 상기 이동캐스터(62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구(62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621)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바디(10)와 가이드판(61)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에 다수 개의 결합장공(6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621) 사이에는 이동캐스터(623)가 배치되되 상기 이동캐스터(623)는 상기 결합장공(622)에 회전축을 통해 구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동캐스터(623)는 상기 베이스(621)의 양측에 다수 개가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일측은 상기 바디(10)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판(61)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가압구(624)는 상기 이동캐스터(623)를 상기 바디(10)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가압구(624)는 바디(10)가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캐스터(623)가 바디(1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이동캐스터(623)를 바디(10)측으로 가압하여 바디(10)가 경로안내수단(62)을 통해 안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탄성가압구(624)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에 간격조절공(626)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6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간격조절판(625)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을 연결하되 일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외면이 상기 이동캐스터에 맞닿는 탄성면(627)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삽입되는 탄성조절나사(628)와,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삽입된 탄성조절나사(628)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29)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에 형성된 간격조절공(626)은 상호 간에 직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면(627)은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을 연결하되 일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돌출된 부위의 외면이 이동캐스터(623)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면(627)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되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압착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탄성조절나사(628)는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에 형성된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너트(629)는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다른 하나 측에 배치되어 삽입된 탄성조절나사(628)와 맞물려 탄성조절나사(628)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너트(629)를 회전시켜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의 간격을 좁히면 상대적으로 탄성면(627)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더 증가하게 되고 동시에 탄성면(627)의 탄성력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고정너트(629)를 회전시켜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의 간격을 넓히면 상대적으로 탄성면(627)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줄어들고 동시에 탄성면(627)의 탄성력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성가압구(624)는 베이스에 배치된 이동캐스터 중 바디측에 배치되는 이동캐스터(623)를 바디와 맞닿도록 가압하는 탄성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바디가 경로안내수단을 통해 가이드판이 배치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토치부에 의해 H형강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바디가 경로안내수단에서 이탈하여 가이드판에 의해 설정된 경로를 이탈하는 경우 이동캐스터(623)를 바디측으로 가압하여 경로안내수단이 바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바디레일(63)은 상기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캐스터(623)가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64)은 상기 가이드판(61)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캐스터(623)가 구름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64)에 삽입된 이동캐스터(623)가 바디(10)의 이동에 연동하여 가이드레일(64)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디(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면(627)에는 맞닿은 이동캐스터(623)와의 마찰에 의해 탄성면 또는 이동캐스터가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고무,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연질 소재의 패드(627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10 : 바디
20 : 주행모듈
30 : 유체분배기
40 : 토치부
50 : 탈착모듈
60 : 가이드모듈
61 : 가이드판 62 : 경로안내수단
63 : 바디레일 64 : 가이드레일

Claims (5)

  1. 수용공간(11)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바디(10);
    상기 바디(10)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주행용 캐스터(21)를 포함한 주행모듈(20);
    상기 바디(10)에 배치되어 인입된 유체를 분배하는 유체분배기(30);
    상기 유체분배기(30)의 일측에 배치되어 분배된 유체를 전달 받는 토치부(40);
    상기 바디(10)를 절단 대상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탈착모듈(50);
    상기 바디(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모듈(60);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모듈(50)은,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는 자성체(51)와,
    상기 자성체(51)가 인입되며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는 고정함(52)과,
    상기 고정함(52)과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함(52)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변위방지수단(53)을 포함하되,
    상기 변위방지수단(53)은,
    상기 고정함(52)의 저면에 요입 형성된 요입홈(531)과,
    상기 바디(10)의 수용공간(11)을 형성하는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입홈(531)에 삽입되는 돌출돌기(5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모듈(60)은,
    상기 바디(10)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판(61)과,
    상기 바디(10)와 상기 가이드판(61)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수단(62)과,
    상기 바디(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이 일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디레일(63)과,
    상기 가이드판(6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의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6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수단(62)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베이스(621)와,
    상기 베이스(621)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장공(622)과,
    상기 결합장공(622)에 회전축에 결합된 상태로 구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장공(6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이동캐스터(623)와,
    상기 이동캐스터(623)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가압구(62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구(624)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에 간격조절공(626)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6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간격조절판(625)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판(625)을 연결하되 일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외면이 상기 이동캐스터에 맞닿는 탄성면(627)과,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삽입되는 탄성조절나사(628)와,
    상기 한 쌍의 간격조절공(626)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삽입된 탄성조절나사(628)와 맞물리는 고정너트(629)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KR1020200158325A 2020-11-24 2020-11-24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KR10228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25A KR102282969B1 (ko) 2020-11-24 2020-11-24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325A KR102282969B1 (ko) 2020-11-24 2020-11-24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969B1 true KR102282969B1 (ko) 2021-07-27

Family

ID=77125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325A KR102282969B1 (ko) 2020-11-24 2020-11-24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9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27B1 (ko) 2004-04-26 2006-08-09 학교법인 인제학원 자동 가스 절단기
KR20140043403A (ko) * 2011-06-27 2014-04-09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토치 조정 장치
KR101853707B1 (ko) 2016-05-17 2018-05-02 (주)제이케이중공업 H빔용 비선형 플라즈마 절단 장치
KR20190073983A (ko) * 2017-12-19 2019-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플라즈마 절단장비의 정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627B1 (ko) 2004-04-26 2006-08-09 학교법인 인제학원 자동 가스 절단기
KR20140043403A (ko) * 2011-06-27 2014-04-09 고이께 산소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토치 조정 장치
KR101853707B1 (ko) 2016-05-17 2018-05-02 (주)제이케이중공업 H빔용 비선형 플라즈마 절단 장치
KR20190073983A (ko) * 2017-12-19 2019-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플라즈마 절단장비의 정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9630B (zh) 发动机气缸表面激光微加工装置及加工方法
US2679177A (en) Precision vise of the double-acting type
US6105483A (en) Cutting apparatus equipped with tool variably pressed against work depending upon working distance
KR102282969B1 (ko) 자주식 h형강 절단장치
KR102104041B1 (ko) 관체 절단장치
WO2008111552A1 (ja) 缶製造装置及び缶製造方法
JP5723159B2 (ja) ロータリ機械の制御機構
KR102335671B1 (ko) 반도체 배관용 커팅장치
CN112041130A (zh) 臂型助力装置
US10532481B2 (en) Punch tool system
KR102141112B1 (ko) 파이프 및 철판 겸용 자동가스절단기
CN106808387B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自动定位压紧装置
JPH11320225A (ja) ドリル装置
CN103551786A (zh) 精密焊接头尾式变位机
CN1964821A (zh) 动力冲击工具的控制装置
KR20020086457A (ko) H 형강 및 철판 절단 장치
CN208513677U (zh) 一种使用方便的镗孔机床
KR101023390B1 (ko) 터빈로터용 스틸링 가공물 고정장치
CN109909776A (zh) 一种用于汽车零部件的自动定位压紧装置
TWI429836B (zh) 具有至少一個驅動單元的工作裝置
US20140075765A1 (en) Machine Tool System
ITTO940162A1 (it) Torretta rotante portautensili.
KR102142683B1 (ko) 가스관 절단용 지그
KR101978623B1 (ko) 수전금구용 연결관 가열장치
KR101193402B1 (ko) 공압식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