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670B1 -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670B1
KR102282670B1 KR1020200180485A KR20200180485A KR102282670B1 KR 102282670 B1 KR102282670 B1 KR 102282670B1 KR 1020200180485 A KR1020200180485 A KR 1020200180485A KR 20200180485 A KR20200180485 A KR 20200180485A KR 102282670 B1 KR102282670 B1 KR 10228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rter
container
information
export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신대은
민병수
김석칠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신대은
민병수
김석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신대은, 민병수, 김석칠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20018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670B1/ko
Priority to PCT/KR2021/019533 priority patent/WO20221394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물 수출시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수출 및 컨테이너 공간 정보를 플랫폼에 실시간 찾고 구매하고 간편하게 수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수출을 필요로 하는 많은 중소기업 및 개인에게 수출을 쉽게 그리고 저렴한 가격에 보낼 수 있고, 끝까지 자동으로 진행 과정을 알려주어 신뢰할 수 있는 소화물 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출하는 모든 사람들이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수출하고자 하는 나라의 가장 빠른 컨테이너 정보와 가격 그리고 필요한 공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수출 업무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A MATCHING METHOD THAT FINDS EMPTY SPACE IN LCL CONTAINERS IN REAL TIME DURING CONTAINER IMPORT AND EXPOR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출시 포워딩사가 컨테이너의 일부 남은 공간을 플랫폼에 등록하면 수출자(화주)가 플랫폼에서 수출 국가와 필요한 컨테이너의 공간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컨테이너의 빈 공간을 구매하고 수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제는 수출 의존하는 비중이 상당히 큰 국가이다. 년간 20fit 컨테이너 기준 3,000만개의 컨테이너가 수출과 수입으로 움직이고 있다. 대기업의 경우 제품을 FCL(full container load) 나가는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중소기업과 많은 기업들은 LCL (less than container load)로 컨테이너의 일부분에 팔렛트 개념으로 수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LCL 즉 팔렛트 개념의 소화물은 포워딩사에서 영업도 힘들고 관리도 힘들뿐더러 수익이 많이 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많은 제조사나 소화물을 보내는 중소기업 및 개인 기업들은 소화물을 보낼 때 마다 비용도 높을 뿐만 아니라 수출 일정에 맞는 포워딩을 찾아 항상 고민을 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수출 중간 연결 시스템은 대부분 포워딩사를 찾아서 스케줄을 연결하고 견적을 받아 산출하고 선별된 포워딩사와 인보이스와 팩킹 리스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출에 필요한 통관 절차 그리고 세부적인 픽업 및 창고 입고와 선적 및 도착까지 많은 과정을 수출자가 관여하여 수고해야 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22935호(물류비의 절감을 위한 인터넷을 통한 화물의 집하방법)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각각의 구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항공화물과 해상화물의 운송시 다수의 수출업자나 수입업자가 각각 컨테이너(Container) 전체를 이용을 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일부 남는 빈 공간을 활용을 위하여 공급자의 입장에서 운송 계획 및 남는 공간을 인터넷(Internet)상에 공지를 하는 한편, 이 공지된 남는 공간을 이용하려는 다수의 수출업자나 수입업자(주로 남는 공간을 이용하려는 입장이므로 소량의 화물일 경우가 많음)는 수요자의 입장에서 역시 인터넷상에 운송을 할 화물의 운송계획 및 화물의 성격을 공지를 하면, 다수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인터넷상에 공지를 한 운송 계획과 그리고 기타 화물의 성격에 따라 이를 공급자와 수요자를 인터넷상에서 연결시켜 컨테이너의 일부 남는 공간에 대한 공 회전율을 최소화시켜 물류비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결국 수출ㆍ수입의 대외 경쟁력을 개선시키며 이를 통하여 고객 관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개특허 제2002-0022935호는 수출ㆍ수입의 대외 경쟁력을 개선시키며 특히 현재 수출ㆍ수입 업체가 여러 가지의 이유로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물류회사를 그대로 사용을 하면서 단지 남는 공간을 판매를 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포워딩사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는 하나의 수출업자를 연결하여 수출을 진행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포워딩사 컨테이너에 일부 공간이 또 남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컨테이너의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포워딩사의 수출 일자, 수출 항구와 수출업자의 수출 일자, 수출 항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컨테이너를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정보가 일치하는 포워딩사와 수출업자를 매칭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2-00229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화물 수출시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수출 및 컨테이너 공간 정보를 플랫폼에 실시간 찾고 구매하고 간편하게 수출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수출을 필요로 하는 많은 중소기업 및 개인에게 수출을 쉽게 그리고 저렴한 가격에 보낼 수 있고, 끝까지 자동으로 진행 과정을 알려주어 신뢰할 수 있는 소화물 수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워딩사의 수출 항구 및 수출 일자가 수출자의 수출 항구 및 수출 일자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시스템에서 수출자가 이용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포워딩사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매칭시켜 줄 수 있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워딩사의 컨테이너 빈 공간에 하나의 수출자만을 매칭하는 것 뿐만 아니라 둘 이상 수출자의 화물이 하나의 컨테이너 빈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면 각 수출자의 당초 구매 예약정보를 수정하여 알려줄 수 있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워딩사(Forwarder)는 수출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화물의 종류 및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수출자는 자기가 필요한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단계; 포워딩사에서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에서 수출자가 검색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한 후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보여주는 단계; 수출자는 검색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하는 단계; 및 수출자는 구매한 컨테이너의 포워딩사와 수출 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는 포워딩사가 수출 시 컨테이너의 일부 남은 공간에 대한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와 중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여주는 단계에서 상기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하는 기준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화물의 종류, 수출자가 필요로 하는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수출 일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검색하며,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수출 항구가 있는지 검색하고,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일자보다 빠르지만 상기의 운송시간을 더하면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은 수출 항구에서 화물 하역, 통관 절차, 화물 픽업, 화물 이동까지의 단계별 모든 시간을 고려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여주는 단계 이후, 수출자는 나열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 예약하는 단계; 수출자들이 구매 예약한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로 수집하여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각 컨테이너의 공간 정보를 합친 공간에 대한 정보,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와 매칭되는 또 다른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보다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격이 가장 낮은 컨테이너를 선택하여 제1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정보를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에게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줄 때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 = 각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상기 제일 가격이 낮은 컨테이너의 가격 ----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 의해 각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을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각의 변경된 가격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상호 간에 일정 수준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중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에 비해 가격이 더 큰 수출자의 가격 할인율을 더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출하는 모든 사람들이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수출하고자 하는 나라의 가장 빠른 컨테이너 정보와 가격 그리고 필요한 공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한 수출 업무를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포워딩사의 수출 항구 및 수출 일정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수출자가 이용할 수 있는 가장 근접한 포워딩사의 컨테이너 정보를 자동으로 매칭시킴으로써, 포워딩사와 수출자의 매칭률을 높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포워딩사의 컨테이너 빈 공간에 하나의 수출자만을 매칭하는게 아니라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그리고 가격을 더 저렴하게 할 수 있다면 복수의 수출자 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워딩사와 수출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다.
결국, 기존에 급하게 또는 빠르게 보내야 하는 이유로 비싸게 지불하던 비용도 실시간 견적 가격을 볼 수 있으므로 저렴하게 보낼 수 있다.
기존의 수출 업무는 포워딩사와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업무가 자동으로 전개되고 알려주는 알람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하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기존의 수출 관련 업무 시간을 80% 줄여 주는 동시에 기존의 LCL 소화물의 수출 신뢰성을 확보하여 중소기업의 수출 시 화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각 수출자들이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로 수집한 후 또 다른 포워딩사의 컨테이너에 복수의 수출자를 매칭할 수 있는지 검색하여 구매 예약 정보를 변경하여 알려주는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빈 공간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시스템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의 기능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워딩사에서 컨테이너의 일부를 채우고 남는 컨테이너 공간을 플랫폼에 등록하고, 이 남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수출자가 검색을 통해 필요한 컨테이너 공간을 찾으면 검색을 통해 조건에 맞는 컨테이너 공간을 찾아주는 실시간 소화물 수출 컨테이너 검색 플랫폼이다.
본 발명은 수출시 포워딩사가 컨테이너의 수출 시 일부 남은 공간을 플랫폼에 가로 X 세로 X 높이와 중량을 등록하고 출발일과 수출 나라, 수출 항구와 제품(화물)의 산업물류에 따른 분류를 등록하며, 이 등록시 컨테이너의 견적 비용도 함께 등록한다.
화주(수출자)가 플랫폼에 들어와서 수출할 나라와 필요한 제품의 공간을 검색할 경우 상기에 등록한 포워딩사의 정보와 동일하게 매칭되거나 공간상 가능한 컨테이너를 매칭하여 찾아주는 서비스 시스템으로 플랫폼에서 즉시 검색, 계약 및 구매가 가능하다.
포워딩사(Forwarder)(200)는 PC 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수출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화물의 종류 및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 매칭 플랫폼(100)의 포워딩사 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한다(S110). 포워딩사(또는 콘솔사)가 수출할 때 수출하는 회사로부터 컨테이너 일부분이 차고 나머지 공간이 남게 되면 포워딩사(200)는 플랫폼(100)에 회원가입을 한 후 그 남은 컨테이너 공간 정보를 가로, 세로, 높이 및 중량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그리고 수출 항구와 수출 일자(배가 출발 하는 일자) 그리고 제품(화물)의 분류 (냉동, 냉장, 일반, 및 기타 상품분류, 픽업 정보, 가격 정보)를 플랫폼에 등록한다.
수출자(300)는 PC 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자기가 필요한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를 입력하여 실시간 매칭 플랫폼(100)의 수출자 정보 검색부(120)를 통해 검색한다(S120). 수출자는 자기가 필요한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정보를 입력하는데 이때도 역시 필요한 공간정보를 가로, 세로, 높이와 중량으로 기록하고, 수출 일자, 수출 나라, 수출 항구 및 수출 상품의 형태(냉동, 냉장, 일반 및 기타 상품)를 기록하여 검색을 한다.
실시간 매칭 플랫폼(100)의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130)는 포워딩사(200)에서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에서 수출자(300)가 검색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한 후 포워딩사(200)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보여준다(S130). 검색을 하면 포워딩사에서 등록한 컨테이너 정보와 수출자가 찾은 컨테이너 공간 및 기타 정보가(가로, 세로, 높이, 중량과 제품의 형태) 같은 정보를 찾아서 보여주게 되며 픽업의 정보도 보여주게 된다.
수출자(300)는 검색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컨테이너 선택 구매부(140)를 통해 구매한다(S140). 수출자(300)는 그 중에 매칭되는 컨테이너를 구매하게 될 경우 픽업형식을 함께 구매하게 된다.
수출자(300)는 구매한 컨테이너의 포워딩사와 수출절차를 수출절차 진행부(150)를 통해 진행한다(S150). 구체적으로, 구매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기존에 등록된 인보이스와 팩킹 리스트가 포워딩사(200)로 수출자(300)의 동의를 통해 발송된다.
동시에 픽업 정보가 수출자(300)에게 인도되고, 픽업이동에 대한 알람과 해당 화물의 픽업이 이루어져 수출자(300)의 창고에서 픽업을 통해 수출 창고로 입고된다. 입고되는 동시에 입고된 사항을 포워딩사(200)에서 플랫폼(100)으로 등록하면 그 내용은 자동으로 해당 수출자(300)에게 알람으로 알려진다.
동시에 수출허가 및 인보이스와 팩킹리스트가 완료되면 포워딩사(200)는 진행된 내용을 플랫폼(100)에 등록하게 되고 동시에 등록되는 입고된 사항이 해당 수출자(300)에게 발송된다.
또한 다음 단계인 배에 화물이 실리고 출발하면 포워딩사(200)에서 플랫폼(100)에 화물이 실리고 출발한 화물의 출발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화물의 출발 정보가 자동으로 수출자(300)에게 발송된다.
수출자의 화물이 항구에 도착하면 포워딩사(200)은 화물의 도착 정보를 플랫폼(100)에 등록하고 그 도착 정보도 자동으로 수출자(300)에게 알려진다.
모든 것이 확인이 완료되면 수출자(300)를 통해 결제된 금액의 일부 사용 수수료를 제한 나머지 금액을 포워딩사(200)로 결제하게 된다.
도 2 및 5를 참고하면,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130)가 동작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130)는 우선순위 기준 검색부(131)와 인접 수출 항구 검색 매칭부(132)를 포함한다.
우선순위 기준 검색부(131)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하는 기준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화물의 종류, 수출자가 필요로 하는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수출 일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검색한다(S131). 수출 나라가 다르면 같은 컨테이너에 화물을 실을 수가 없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다. 컨테이너의 공간은 남은 공간과 필요로 하는 공간이 정확히 일치하거나 필요로 하는 공간보다 남은 공간이 여유가 있는 경우도 가능하며, 수출 일자도 같으면 좋겠지만 며칠 정도는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가 있다.
인접 수출 항구 검색 매칭부(132)는 수출자(300)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S132) 수출자(300)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수출 항구가 있는지 검색하고(S133),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300)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 정보를 계산하고(S134),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일자보다 빠르지만 상기의 운송시간을 더하면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한다(S135).
예를 들어, 수출자가(300)가 미국의 A 수출 항구를 입력해서 검색했으나 A 수출 항구와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미국의 A 수출 항구에서 100~500km 근처에 있는 또 다른 수출 항구가 있는지 검색한다. 다시 말해서 인접한 또 다른 수출 항구는 포워딩사(200)가 등록한 정보 중에서 A 수출 항구에 인접한 거리에 있는 B 수출 항구로 수출하는 포워딩사(200)가 있는지 검색하는 것이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수출 항구는 B 수출 항구, C 수출 항구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으며, 이 중에서 A 수출 항구에서 가장 가까운 B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를 고려한 차량의 화물 운송시간을 계산한다. 이 때에는 차량의 평균 이동속도와 거리를 이용하여 운송시간을 계산한다.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일자는 15일인데, 15일보다 2일 빠른 13일이 수출 일자이지만(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보다 2일 빠르게 수출해야 하지만) 계산된 운송시간을 더하면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이므로, 이를 매칭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300)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은 수출 항구에서 화물 하역, 통관 절차, 화물 픽업, 화물 이동까지의 단계별 모든 시간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상기에서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보다 2일 빠른 13일에 수출하더라도 B 수출 항구에서 하역, 통관, 화물 픽업, 화물 이동까지의 모든 시간을 고려하여 운송시간을 계산하고, 이와 같이 계산된 운송시간을 더하여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한 컨테이너의 정보를 검색, 매칭하는 것이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포워딩사(200)의 등록 정보를 검색하여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출력한 다음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단계를 더 포함하게 된다.
수출자(300)는 나열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고 컨테이너 구매 예약부(160)를 통해 구매 예약한다(S160). 즉, 바로 구매 후 수출절차를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구매 예약을 먼저 하는 것이다.
복수의 수출자 컨테이너 정보 검색부(170)는 수출자(300)들이 구매 예약한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로 수집하여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각 컨테이너의 공간 정보를 합친 공간에 대한 정보,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와 매칭되는 또 다른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S170). 여기서 일정 기간 단위는 플랫폼(100)의 운영자가 설정이 가능하며, 복수의 수출자는 반드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두 개 수출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수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공간 정보를 합친 공간,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와 매칭되는 또 다른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를 검색하여 두 개의 수출자(그 이상의 수출자도 가능)의 화물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포워딩사의 컨테이너를 다시 검색하는 것이다.
구매 예약정보 수정부(180)는 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보다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격이 가장 낮은 컨테이너를 선택하여 제1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정보를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에게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준다(S180).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보다 두 개 수출자의 화물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포워딩사의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가 비용을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면, 이러한 정보를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장 저렴한 컨테이너를 선택하여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에게 사전에 구매 예약한 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준다.
구체적으로,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줄 때,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 = 각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상기 제일 가격이 낮은 컨테이너의 가격 ----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 의해 각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을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각의 변경된 가격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제1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1000만원이고, 제2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500만원이라고 하고, 두 개 수출자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가격이 제일 낮은 컨테이너의 가격이 1200만원이라고 하자.
- 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1000/(1000+500) × 1200 = 800만원
-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500/(1000+500) × 1200 = 400만원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 의해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을 변경한 후 위와 같이 더 저렴해진 가격을 각 수출자에게 알려준다.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상호 간에 일정 수준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중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에 비해 가격이 더 큰 수출자의 가격 할인율을 더 높게 한다. 여기서 일정 수준이상이란 플랫폼에서 운영자가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제1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1000만원이고, 제2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800만원이라면 큰 차이가 아니라고 할 수 있으나, 상기의 예와 같이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컨테이너 예약 가격이 두 배 정도 되는 경우는 일정 수준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더 적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제2 수출자에 비해 제1 수출자의 컨테이너 가격 할인율을 더 높인다. 물론, 가격을 변경하더라도 제2 수출자의 사전 구매 예약 가격보다는 낮아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차이가 나는 정도에 따라 2배 차이일 때는 가중치를 1.2, 3배 차이일 때는 가중치를 1.3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위의 예에 이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제1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1000만원이고, 제2 수출자가 사전에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이 500만원이라고 하고, 두 개 수출자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가격이 제일 낮은 컨테이너의 가격이 1200만원이라고 하자.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가격이 두 배 차이가 나므로, 가중치를 1.2로 한다.
- 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1000/(1000 + 500 × 1.2) × 1200 = 750만원
-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500 × 1.2)/(1000 + 500 × 1.2) × 1200
= 450만원
위와 같이 가중치를 적용하면 화물량이 많은 제1 수출자는 더 큰 혜택을 볼 수가 있다. 물론, 제2 수출자도 사전에 구매 예약한 가격에 비해서는 낮아진 가격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각각의 구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항공화물과 해상화물의 운송시 다수의 수출업자나 수입업자가 각각 컨테이너(Container) 전체를 이용을 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일부 남는 빈 공간을 활용을 위하여 공급자의 입장에서 운송 계획 및 남는 공간을 인터넷(Internet)상에 공지를 하고, 공급자와 수요자를 인터넷상에서 연결을 시켜 컨테이너의 일부 남는 공간에 대한 공 회전율을 최소화시켜 물류비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고 결국 수출ㆍ수입의 대외 경쟁력을 개선시키며 이를 통하여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컨테이너 빈 공간 실시간 매칭 플랫폼
110...포워딩사 정보 등록부
120...수출자 정보 검색부
130...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
131...우선순위 기준 검색부
132...인접 수출 항구 검색 매칭부
140...컨테이너 선택 구매부
150...수출절차 진행부
160...컨테이너 구매 예약부
170...복수의 수출자 컨테이너 정보 검색부
180...구매 예약정보 수정부
200...포워딩사
300...수출자

Claims (7)

  1. 포워딩사(Forwarder)는 수출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화물의 종류, 화물의 분류 정보 및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포워딩사 정보 등록부를 통해 등록하는 단계;
    수출자는 자기가 필요한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화물의 종류 및 화물 분류 정보를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수출자 정보 검색부에 입력하여 검색하는 단계;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는 포워딩사에서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에서 수출자가 검색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한 후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보여주는 단계;
    수출자는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컨테이너 선택 구매부를 통해 검색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하는 단계; 및
    수출자는 구매한 컨테이너의 포워딩사와 수출 절차를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수출절차 진행부를 통해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를 통해 수출자에게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에서
    상기 매칭되는 정보를 검색하는 기준은 수출 나라, 수출 항구, 화물의 종류, 수출자가 필요로 하는 수출 컨테이너의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수출 일자 순으로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검색하며,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 일치하는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한 수출 항구가 있는지 검색하고,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 정보를 계산하고,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일자보다 빠르지만 상기의 운송시간을 더하면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일자에 가장 근접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와 매칭하며,
    상기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컨테이너 정보 검색 매칭부를 통해 수출자에게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단계 이후,
    수출자는 나열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 예약하는 단계;
    수출자들이 구매 예약한 정보를 일정 기간 단위로 수집하여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각 컨테이너의 공간 정보를 합친 공간에 대한 정보, 수출 나라, 수출 항구, 수출 일자 및 화물의 종류와 매칭되는 또 다른 포워딩사가 등록한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와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정보를 합한 가격보다 가격이 낮은 순서대로 나열하고, 그 중에서 가격이 가장 낮은 컨테이너를 선택하여 제1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정보를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에게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에서
    수출 컨테이너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는 포워딩사가 수출 시 컨테이너의 일부 남은 공간에 대한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높이와 중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고,
    수출 컨테이너의 화물의 분류 정보는 냉장 상품, 냉동 상품, 일반 상품, 픽업 정보 및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실시간 매칭 플랫폼의 컨테이너 선택 구매부를 통해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여 구매 시
    등록된 인보이스와 패킹 리스트가 포워딩사로 수출자의 동의를 통해 발송되는 단계;
    픽업 정보가 포워딩사로부터 수출자에게 인도되는 단계;
    수출자의 창고에서 픽업을 통해 수출 창고로 입고되는 단계;
    입고된 사항을 포워딩사에서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입고된 사항이 해당 수출자에게 알람으로 알려지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수출허가와 인보이스 및 팩킹 리스트의 완료 시
    포워딩사로부터 진행된 내용이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된 진행된 내용이 수출자에게 발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수출자의 화물이 실리고 출발 시
    포워딩사로부터 화물의 출발 정보가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되는 단계; 및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된 화물의 출발 정보가 수출자에게 발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수출자의 화물 도착 시
    포워딩사로부터 화물의 도착 정보가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되는 단계;
    상기 실시간 매칭 플랫폼에 등록된 화물의 도착 정보가 수출자에게 발송되는 단계; 및
    수출자가 나머지 금액을 포워딩사로 결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인접한 수출 항구에서 수출자가 입력한 수출 항구까지의 거리에 따른 운송시간은 수출 항구에서 화물 하역, 통관 절차, 화물 픽업, 화물 이동까지의 단계별 모든 시간을 고려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예약정보가 수정되었음을 알려줄 때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 = 각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제1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제2 수출자가 구매 예약한 컨테이너의 가격) × 상기 제일 가격이 낮은 컨테이너의 가격 ----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 의해 각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을 변경한 후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각각의 변경된 가격을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상호 간에 일정 수준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 중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 가격에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에 비해 가격이 더 큰 수출자의 가격 할인율을 더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2배 차이가 나는 경우, 가중치를 1.2로 설정하고, 상기의 컨테이너 가격 수정 계산식에서 제1 수출자와 제2 수출자의 구매 예약 컨테이너의 가격이 3배 차이가 나는 경우, 가중치를 1.3으로 설정하여 컨테이너 구매 예약 가격이 더 적은 수출자에 비해 컨테이너 구매 예약 가격이 큰 수출자에게 더 높은 가격 할인율이 반영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KR1020200180485A 2020-12-22 2020-12-22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KR10228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85A KR102282670B1 (ko) 2020-12-22 2020-12-22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PCT/KR2021/019533 WO2022139422A1 (ko) 2020-12-22 2021-12-21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85A KR102282670B1 (ko) 2020-12-22 2020-12-22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670B1 true KR102282670B1 (ko) 2021-07-28

Family

ID=7712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485A KR102282670B1 (ko) 2020-12-22 2020-12-22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2670B1 (ko)
WO (1) WO20221394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22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글로드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KR102464952B1 (ko) 2022-07-26 2022-11-09 주식회사 글로벡스 수출입 항공 물류 처리를 위한 자동 견적 생성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35A (ko) 2000-09-21 2002-03-28 조병승 물류비의 절감을 위한 인터넷을 통한 화물의 집하방법
KR20100084057A (ko) * 2009-01-15 2010-07-23 조성옥 물류 배송을 위한 배차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317A (ko) * 2000-12-02 2002-06-10 구자홍 물류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40075201A (ko) * 2003-02-20 2004-08-27 (주)토탈소프트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적재공간 및 공 컨테이너 중개 서비스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2282670B1 (ko) * 2020-12-22 2021-07-28 이영우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935A (ko) 2000-09-21 2002-03-28 조병승 물류비의 절감을 위한 인터넷을 통한 화물의 집하방법
KR20100084057A (ko) * 2009-01-15 2010-07-23 조성옥 물류 배송을 위한 배차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140033722A (ko) * 2012-09-10 2014-03-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운송 운임 결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422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글로드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KR102464952B1 (ko) 2022-07-26 2022-11-09 주식회사 글로벡스 수출입 항공 물류 처리를 위한 자동 견적 생성 및 주문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422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8888B1 (en) Cost-based fulfillment tie-breaking
McFarlane et al. The impact of automatic identification on supply chain operations
US8219503B2 (en) 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systems and methods
KR102282670B1 (ko) 컨테이너 수출입시 lcl 컨테이너의 빈공간을 실시간으로 찾아주는 매칭 방법
Chen et al. The examination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warehouse operation systems based on detailed case studies
Kant et al. Coca-Cola Enterprises optimizes vehicle routes for efficient product delivery
Buxey Reconstructing inventory management theory
CA2830425A1 (en) Last mile logistics
Bolten Managing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warehouse: With ready-to-use forms, checklist & documentation
JP2021096841A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
US20220335368A1 (en) Method for Evaluating a Freight Order by Means of a Freight Order Evaluation System, and Freight Order Evaluation System
JP2020187620A (ja) 物流管理システム、物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ternburg et al. Just-in-time logistics support for the automobile industry
WO2002003221A2 (en) Transportation of goods
Soesilo Supply Chain Performance Improvement Strategy in the Packaging Industry
Stock et al. Physical distribution management in international marketing
Patlins Efficient transportation in cities and perishable goods secondary packaging
JP3331471B2 (ja) 卸売市場における荷捌施設の課金方法及び課金システム
AU2019200581A1 (en) Last mile logistics
Annouch et al. Gas-filling stations procurement problem with time windows using a heterogeneous fleet of full tankers
JP2001344452A (ja) 荷物運送仲介システム
KR20010102869A (ko) 물품 배송의 핸드폰을 이용한 배송 과정 정보 서비스 시스템
Schubert Integrated order picking and vehicle routing operations–Literature review and further research opportunities
da Vinci Logistics œ Basic Concepts & Characteristics
Malikov Business logistics: new specific approach to concep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