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559B1 -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 Google Patents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559B1
KR102282559B1 KR1020200133201A KR20200133201A KR102282559B1 KR 102282559 B1 KR102282559 B1 KR 102282559B1 KR 1020200133201 A KR1020200133201 A KR 1020200133201A KR 20200133201 A KR20200133201 A KR 20200133201A KR 102282559 B1 KR102282559 B1 KR 10228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building
monitoring system
building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태
Original Assignee
박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태 filed Critical 박기태
Priority to KR102020013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559B1/en
Priority to US17/613,076 priority patent/US20230154303A1/en
Priority to PCT/KR2021/006494 priority patent/WO202203073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ical idea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which includes: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a penetration portion penetrating a compartment wall inside a building and filling the penetration portion with fire-resistance sealing by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in the building; a fire sens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mpartment area; and a control server dividing the inside of the building into predetermined conceptualized compartments to manage the same as conceptualized compartment areas, detecting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sensing unit for each compartmental area, and calculating fire vector information.

Description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본 발명은 방화 구획별로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건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방화 구획을 경계 짓는 내화벽의 관통부에 충전되는 부재의 인근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방화 구획 내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건물 전체의 방화 구획별 화재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ensor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member charged in a penetration part of a fire wall delimiting the fire compartment, fire in the fire compartment. It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system that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accordingly, detects in real time whether or not a fire exists in each fire section of the entire building.

특수건물 화재통계 및 안전점검 결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전국 특수건물 4만5,693건에서 발생한 화재건수는 2,444건이고 화재발생률은 5.35%로 전년 5.63%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ire statistics and safety inspection results for special buildings, as of the end of last year, the number of fires in 45,693 special buildings nationwide was 2,444, and the fire rate was 5.35%, a slight decrease from 5.63% in the previous year.

특수건물이란 연면적 3000㎡ 이상인 의료, 호텔 등 숙박시설, 2000㎡ 이상의 학원 및 다중이용시설,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11층 이상의 건물 등 여러 사람이 출입 또는 거주하는 중대형 건물로 화재 시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돼 화재보험법에 따라 매년 협회의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고 화재보험에도 반드시 가입해야 한다.A special building is a medium-to-large building in which multiple people enter or reside, such as medical care and hotel accommodations with a total floor area of 3000m2 or more, private institutes and multi-use facilities of 2000m2 or more, apartment houses with 16 stories or more, and buildings with 11 stories or more. In accordance with the Fire Insurance Act, safety inspections are required every year, and fire insurance must also be purchased.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는 140건으로 17명이 사망하고 311명이 부상당했다. 전년 447명, 사망 68명·부상 379명 등 사상자 수에 대비할 때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There were 140 fires that resulted in casualties, 17 killed and 311 injured. This is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number of casualties, including 447 people in the previous year, 68 deaths and 379 injuries.

재산피해는 2,029억원으로 지난 2018년 약 737억원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Property damage was 202.9 billion won, a sharp increase from about 73.7 billion won in 2018.

건물의 화재 예방 혹은 화재 확산의 방지를 위하여 건물의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에 대한 기술적인 시도는 일부 존재한다.There are some technical attempts for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in buildings to prevent fire in buildings or to prevent fire spread.

예컨대,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등록번호 제10-1204008 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이 존재한다.For example, "Automated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for Buildings (Registration No. 10-1204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exists.

특허문헌1의 경우, 건물에서 층별 및 호수별로 각각 구분되어 설치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건물의 층별 및 호수별로 구비되며, 제어부에서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소화매체가 분사되는 노즐부와; 노즐부와 연통되며 소화매체가 일정 압력하에 충전되는 하우징, 하우징과 노즐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밸브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를 가지는 소화매체 방출부와; 건물의 관리자 각각에게 지급되며, 위치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와; 관리자 단말기와 상호 위치정보 및 관리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화재 감지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화재 발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엑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소화매체가 분출되도록 하여 자동 소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화재 발생장소로부터 최단거리에 위치한 관리자의 단말기를 위치정보 획득부를 통해 추적하여 송/수신부를 통해 화재 발생경보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자동 화재감시 및 진압시스템이 개시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 fire detection unit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floor and lake in a building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a nozzle unit provided for each floor and lake of the building, and for spraying a fire extinguishing medium w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a fire extinguishing medium discharge unit having a hous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unit and filled with a fire extinguishing medium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a valve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using and the nozzle unit, and an actuator for driving the valve;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which is paid to each manager of the building and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a manager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receiving mu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with the manager terminal; It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fire, the actuator is driven to eject the extinguishing medium to control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and the manager locate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ire site Disclosed is an automatic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for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tracking a terminal through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and transmitting a fire alarm signal through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또한, "유/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등록번호 제10-0704018호, 특허문헌2)"도 존재한다.In addition, "wired / wireless disaster automatic monitoring system (Registration No. 10-0704018, Patent Document 2)" also exists.

특허문헌2에 따른 발명의 경우, 무선 재난 자동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력 무선 재난 감지 센서와 유/무선이 혼합된 중계장치는 재난 감시 주장치와 통신하여 재난 발생 정보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화재 등 재난발생시 재난 감시 주장치와 외부로 정보를 전송하는 유선선로의 유실로 인하여, 화재 등이 진행 중인 집합 건물 내의 화재의 진로를 예측할 수 없을 때, 비상 무선 재난 감시 장치를 두어, 빌딩 내에 설치된 중계장치와 직접 무선통신하여, 유실되지 않은 무선재난감지센서의 정보를 파악하여 화재 등의 재난 진행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재난 진압 및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it relates to a wireless disaster automatic monitoring system, and in particular, a low-power wireless disaster detection sensor and a wired/wireless repeater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aster monitoring main device to monitor disaster inform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when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course of a fire in a building where a fire is in progress due to the loss of the main disaster monitoring device and the wired lin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 emergency wireless disaster 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Through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disaster detection sensor that has not been lost can be grasped and the route of disasters such as fire can be identified so that effective and scientific disaster suppression and rescue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또한, "OLED 터치스크린형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를 통한 빌딩내 멀티감시제어장치(등록번호 제10-1252795호, 특허문헌3)"In addition, "Multi-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in a building through an OLED touch screen type programmable switch (Registration No. 10-1252795,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에 따른 발명의 경우, 종래 프로그래머블 스위치(programmable switch)가 로직 블록(logic block)과 배선(interconnect wire)의 연결을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두 개의 배선의 연결을 제어할 때, 유선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회로가 복잡해서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빌딩내 사무실의 특정 기기(일예, 조명기기)만을 온/오프시키는 단순 스위치역할만 하고 있어서, 사무실 공간의 환경 데이터(습도, 온도, 산소, 밝기)를 센싱하기가 어렵고, 원격지의 중앙통제서버와도 통신이 안되어, 원격제어시, 별도의 통신모듈을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스마트형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모듈, 적외선센서모듈, 화재감지센서모듈, 빌딩중앙통제서버로 구성됨으로서, CAN 유선 통신 모듈과 천장에 설치된 릴레이모듈을 통해, 회로와 배선을 기존에 비해 70% 단축시킬 수 있고, 조명기구의 수에 따른 다수의 조명스위치 조작부가 필요없이, 프로그램상에서 업데이트시켜 조명스위치의 개수 및 제어방식을 변경시킬 수 있어 조명스위치 개발과 생산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고 하며, 빌딩내 사무실 공간의 산소, 습도, 온도에 관한 환경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사무실 공간의 조명사용상태를 빌딩중앙통제서버로 실시간 전송시킬 수 있으며, 자체 스케쥴 기능을 탑재하여 전력 소모량을 최소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하며, 비상 사태(화재) 발생시 설치 공간의 피난 경로를 위하여 도어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고, 방범기능을 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OLED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평상시에는 액자형 조명 그래픽 및 애니메이션 동영상경관 그래픽을 표출시키다가, 터치되면 스위치형 그래픽으로 표출시키도록 가변시킬 수 있어, 사무실공간의 디자인 및 벽지와 호환되어 사무실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만들 수 있는 OLED 터치스크린형 프로그래머블 스위치를 통한 빌딩내 멀티감시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when a conventional programmable switch controls the connection of a logic block and an interconnect wire or controls the connection of two different wires, it is connected by wire Therefore, the circuit is complicat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and it only serves as a simple switch that turns on/off only certain devices (eg, lighting devices) in the office in the building, so the environmental data (humidity, temperature, oxygen) of the office space , brightness) is difficult to sense, and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central control server is not possible, so to improve the problem that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must be installed during remote control, a smart programmable switch module, infrared sensor module, fire detection sensor As it is composed of a module and a building central control server, the circuit and wiring can be shortened by 70%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through the CAN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lay module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a number of light switch operation unit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lighting fixtures. It is said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number and control method of light switches by updating the program without the need to,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light switch development and production, and providing environmental data on oxygen,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office space in the building. It is said that the lighting usage status of the office space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building central control server, an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set to a minimum by mounting a self-scheduling function. For an evacuation route of the installation space in case of an emergency (fire) It can inform the position of the door, it can perform a crime prevention function, and above all, through the OLED touch screen part, it is possible to display frame-type lighting graphics and animation video landscape graphics in normal times, but when touched, it can be changed so that it is displayed as switch-type graphics. It is said tha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monitoring control device in a building through an OLED touch screen type programmable switch that is compatible with the design and wallpaper of the office space and can make the office space more comfortable.

또한,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등록번호 제10-1113418호, 특허문헌4)"도 존재한다.In addition, "a control method of a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buildings having a fire monitoring function (Registration No. 10-1113418, Patent Document 4)" also exists.

특허문헌4에 따른 발명의 경우, 화재가 우려되는 건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불꽃을 감지하고 송신하는 불꽃감지센서(SYCFDT)와, 불꽃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된 불꽃을 유선으로 수신받아 화재 발생을 알리는 원격 제어반(SYD-1000)과, 원격 제어반(SYD-1000)에서 송신된 불꽃 발생 신호를 유선으로 통신으로 전달받아 담당자 및 관계자가 화재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감시반(SYCBAS-6000)을 포함하여 구성된 화재 감시구조를 기존 건물용 자동제어 시스템에 포함시킨 형태로, 화재감시가 이루어질 때는 중앙감시반 모니터에서 화재 발생 지점을 알려주고, 중앙 감시반 스피커에서 화재발생시 지속적으로 경보음이 발생하며, 또한 불꽃 감지 센서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해서 실시간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한편, 화재 진압시 자동으로 카메라가 동작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4, a flame detection sensor (SYCFDT)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of a building where fire is a concern and detecting and transmitting a flame, and a flame detected by the flame detection sensor are received by wire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fire Includes a remote control panel (SYD-1000) and a central monitoring panel (SYCBAS-6000) that receives the flame gen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panel (SYD-100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person in charge can recognize the fire signal. The fire monitoring structure is included in the existing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buildings. When fire is monitored,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monitor notifies the fire location, and when a fire occurs from the central monitoring panel speaker, an alarm sound is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 flame is detected. While real-time information can be checked by the camera attached to the sensor,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camera does not automatically operate when a fire is extinguished.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경우, 건물 내 화재의 감시 감지 모니터링 등에 대한 기술적인 시도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화재의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센서 위치를 할당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s mentioned above, technic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monitor, detect, and monitor fire in a building,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ensor location for monitoring the fire needs to be allocated.

아울러, 종래의 기술들의 경우, 목적하는 구역별로 개념적으로 구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구획된 영역 상호간의 화재의 전파 경로와 이에 따른 화재 발원지에 대한 즉각적인 모니터링이 힘든 문제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conceptually partitioned for each desired zon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monitor the propagation path of the fire between the partitioned zones and the fire source accordingly.

게다가, 종래 기술은 한 공간의 특정 위치 예컨대, 천정에 부착된 하나의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게 되는바, 화재의 전파 경로의 파악이 이루어질 수 없고, 하나의 공간 내에 화재가 어느정도 진행된 후에나 이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는 공간 상에서 신속한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없는 근본적인 문제점도 아울러 있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etects a fire through a specific location in a space, for example, a single sensor attached to the ceiling, so the propagation path of the fire cannot be grasped, and it is detected only after the fire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in one space. Because it can, there is also a fundamental problem that rapid fire suppression cannot be achieved in the space where the fire is detected.

등록번호 제10-1204008호Registration No. 10-1204008 등록번호 제10-0704018호Registration No. 10-0704018 등록번호 제10-1252795호Registration No. 10-1252795 등록번호 제10-1113418호Registration No. 10-1113418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zone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presents the following problems.

(1) 건물 내 화재를 실시간 감지하고자 한다.(1) Real-time detection of fires in buildings.

(2) 방화 구획 별로 화재의 발생 여부를 실시간 감지하고자 한다.(2) Real-time detection of the occurrence of fire by fire protection division.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zone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 solving means for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건물의 내부의 구획벽을 관통하는 관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건물의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관통부를 내화 실링 충전하는 내화 실링 유닛; 상기 내화 실링 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구획 영역 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싱 유닛; 및 상기 건물 내부를 소정의 개념화된 구획으로 구획하여 개념화된 구획 영역으로 관리하며, 상기 구획 영역별로 상기 화재 센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화재 벡터 정보를 산출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sposed adjacent to a penetration part penetrating the internal partition wall of the building,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for fire-sealing and filling the through-portion with heat; a fire sens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and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mpartment area; and a control server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building into predetermined conceptualized compartments, manages them as conceptualized compartmental areas, detect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sensing unit for each compartmental area, and calculates fire vector information. can be done with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내화 실링 유닛은, 상기 구획벽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며, 화재시 발생된 화재열에 의하여 용융된 관통 파이프의 내부를 충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pipe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mpartment wall. Provid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filling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through-pipe molten by fire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내화 실링 유닛은, 상기 관통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 링부; 및 상기 아우터 링부의 내주면과 상기 관통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 열에 의하여 내향 팽창되어 상기 용융된 관통 파이프의 내부를 내화 실링하는 내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is an outer r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pipe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and a fire resistant fill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pipe, the fire-resistant filling part being expanded inwardly by fire heat to fire-seal the inside of the molten through-pipe.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아우터 링부는, 상기 내화 충전부의 외향 팽창력에 저항하여, 상기 내화 충전부가 내향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ring unit resists the outward expansion force of the fire resistant charging unit so that the fire resistant charging unit expands inwardly can be characterized as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화재 센싱 유닛은, 상기 화재 센싱 유닛의 외형 보디를 형성하며, 상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광(light)을 발산시키는 발광 플레이트부; 및 상기 발광 플레이트부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발광 플레이트부가 발산하는 광을 수광하는 광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zone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sensing unit forms the outer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and is provided in the outer body. a housing unit for introducing fire gas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the gas penetrating unit; a light emitting plate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and emitting light through the applied electric power; and a photoelectric plate unit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and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광전 플레이트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electric plate part may have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part. It may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change in current.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화재 센싱 유닛은, 상기 화재 센싱 유닛의 외형 보디를 형성하며, 상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징부; 및 상기 이오나이징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오나이징부로부터 발생되는 이온을 수용하여 상기 이오나이징부로부터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전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zone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sensing unit forms the outer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and is provided in the outer body. a housing unit for introducing fire gas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the gas penetrating unit; an ioniz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and generating ions through applied electric power; and a conductive part disposed apart from the ionizing part to receive ions generated from the ionizing part to generate a flow of current from the ioniz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전도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on unit generates a current throug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change in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구획 영역별로 배치된 상기 화재 센싱 유닛으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일 구획 영역으로 타 구획 영역까지 확산되는 화재의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화재 벡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detect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sensing unit arranged for each compartment area. ,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vector is calculated by detecting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fire spreading from one compartment to another.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상기 관제 서버는, 화재 발생 정보와 상기 화재 벡터 정보를 상기 구획 영역 별로 감지하고,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detec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and the fire vector information for each compartment area,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zone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1) 방화 구획을 구획짓는 내화벽의 충전재의 인접한 센서가 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1) The adjacent sensor of the filling material of the fire wall dividing the fire compartment detects the fire in real time.

(2) 방화 구획별 화재 감지에 따라, 건물 중 화재가 확산되는 속도와 이동 경로를 실시간 파악한다.(2) According to the fire detection by fire protection division, the speed and movement route of the fire spread in the building are grasped in real time.

(3) 화재의 확산의 방향과 그 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3) The direction and amount of the spread of fire can be monitored.

(4) 화재의 발원지와 그에 따른 확산의 속도 및 확산의 정도에 따른 대처가 가능한 정보를 제공한다.(4)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respond according to the source of the fire, the rate of its spread and the degree of its sprea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을 통해 구획 영역에 대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고 관제되는 것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건물 내부가 개념적으로 구획된 구획 영역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구획벽에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구획 영역별로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건물 내부의 구획 영역별로 화재 벡터를 적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내화 실링 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구획벽에 내화 실링 유닛과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화재 센싱 유닛의 일 분해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화재 센싱 유닛의 제2 분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fire detection and control in a compartment area through a building to which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is applied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area conceptually partitioned inside a building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zone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e sensing unit mounted on a partition wall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zone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ire sensing unit is mounted for each compartment area by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ire detection by applying a fire vector to each compartment area inside a building through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is mounted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and a fire sensing unit mounted on a partition wall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8 and 9 are exploded views of a fire sensing unit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ndividual real-time fires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econd exploded views of a fire sensing unit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ndividual real-time fires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sensor for charging the penet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I want to explain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을 통해 구획 영역에 대한 화재 감지가 이루어지고 관제되는 것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건물 내부가 개념적으로 구획된 구획 영역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구획벽에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여 구획 영역별로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건물 내부의 구획 영역별로 화재 벡터를 적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내화 실링 유닛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구획벽에 내화 실링 유닛과 화재 센싱 유닛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화재 센싱 유닛의 일 분해도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중 화재 센싱 유닛의 제2 분해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fire detection and control in a compartment area through a building to which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is applied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artition area conceptually partitioned inside a building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zone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e sensing unit mounted on a partition wall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zone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fire sensing unit is mounted for each compartment area by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fire detection by applying a fire vector to each compartment area inside a building through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is mounted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and a fire sensing unit mounted on a partition wall among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8 and 9 are exploded views of a fire sensing unit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ndividual real-time fires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econd exploded views of a fire sensing unit i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individual real-time fires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a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도 1에 되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에서 발생되는 화재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이러한 정보 수집에 기반하여, 건물 내 화재 발원지는 물론, 실시간으로 구획 영역별로 퍼져 나가는 화재의 크기와 확산 속도를 모니터링 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whether a fire occurred in the building and the Based on this information collection, the fire source within the building, as well as the size and rate of spread of the fire spreading by division area are monitored in real time.

종래의 화재 감지 센서들의 경우, 건물(1) 내 거실 혹은 방, 사무실 기타 공간의 천정에 설치되어,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특정 공간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데 그쳤다. 종래의 이와 같은 기술들에서 나아간 기수들은 화재 발생 사실이 중앙 관제 센터 등에 전송되어, 자동으로 혹은 반 자동으로 화재 발생에 대한 정보를 필요한 외부 기관 예컨대, 소방서 등에 전송되는 진일보된 형태를 가지고는 있으나, 건물(1) 내 설치되는 공간 상의 한계의 문제가 있으며, 하나의 공간 내에서도 화재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ire 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iving room, room, office or other space in the building 1, detect gas generated from the fire, and only detect a fire in a specific space. In the prior art, the riders advanced from these technologies have an advanced form in which the fact of a fire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control center, etc., and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fire occurrence to an external organization, such as a fire department, etc. There is a problem in the space installed in the building 1,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flow of fire even in one space.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건물(1) 내를 소정의 개념화된 영역으로 구획하고 이를 구획 영역(Zn)으로 구획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protection section using the penetrating sensor fo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building 1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conceptualized area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partitioned into a partition region (Zn).

이러한 구획 영역(Zn)의 경우, 단순히 건물(1) 내의 호실이나 호실 내 벽체의 개념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of such a partition area (Zn), it is not the same as the concept of simply a room in the building 1 or a wall in the room.

구획 영역(Z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호실을 묶어서 개념화된 하나의 구획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호실 내에서도 개념화된 영역으로 구획하여, 이를 구획 영역으로 정할 수 있따.As shown in FIG. 2 , the compartmental area Zn may be set as a conceptualized compartmental area by bundling a plurality of rooms, and may be divided into a conceptualized area even within one room, and this may be defined as a compartmentalized area.

구획 영역(Zn)은 후술하게 되는 구획벽(10)을 통하여 구획될 수 있는데, 구획벽(10)은 반드시 내력벽이어야 할 필요는 없되, 화재 발생시 구획벽(10)은 방화벽의 기능을 수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The partition area Zn may be partitioned through a partition wall 10 to be described later. The partition wall 1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load-bearing wall, but in case of a fire, the partition wall 10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 firewall. is of cours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경우, 내화 실링 유닛(100), 화재 센싱 유닛(200) 및 관제 서버(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case of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the fire sensing unit 200, and the control server 2 are installed. may inclu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실링 유닛(100)의 경우, 건물(1)의 내부에 존재하는 구획벽(10)을 관통하는 관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성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구획벽(10)의 관통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파이프(11)가 관통하여 배치되는데, 내화 실링 유닛(100)은 구획벽(10)의 일면과 타면 각각에 인접하도록 제공되되,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As shown in FIG. 3 , in the case of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djacent to a penetrating portion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10 existing inside the building 1 . In more detail, a through pipe 11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0 as shown in FIG. 6 , and the fire-resistant sealing unit 100 is adjacent to each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0 . It is provided so as to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pipe 11 .

관통 파이프(11)는 내화의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것으로서,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하여 용융되어 소실되어도 무방하다. The through pipe 11 is not provided with a fireproof function, and may be melted and lost due to high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관통 파이프(11)가 화재 열로 인하여 용융되면, 관통 파이프(11)의 내부는 노출되엉 구획벽(10)의 관통부를 그대로 노출하게 된다.When the through pipe 11 is melted due to the heat of fire, the inside of the through pipe 11 is exposed, but the through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0 is exposed as it is.

내화 실링 유닛(100)의 경우, 이러한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어,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하여 팽창되어 용융된 관통 파이프(11)의 내부 혹은 관통부를 실링하여 충전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fire-resistant sealing unit 100,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pipe 11, and is filled by sealing the inside or the through-portion of the through-pipe 11 that has expanded and melted due to the high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

내화 실링 유닛(100)은 화재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팽창되되,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버티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을 향햐여 팽창하여 구획벽의 관통부를 실링하기 때문에, 구획벽(10)을 기준으로 구획벽(10)의 어느 일면으로 부터 발생한 화재 가스는 구획벽(10)의 타면으로 확산 전파 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fire-resistant sealing unit 100 expands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and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that withstands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and expand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seal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s a result, the fire gas generated from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0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diffusion and propagation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0 .

내화 실링 유닛(100)은 현재의 국토교통부고시 2016-416호에서 요구되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e resistant sealing unit 100 preferably meets certain criteria required by the curren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Notification No. 2016-416.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화재 센싱 유닛(20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실링 유닛(10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구획 영역(Zn) 내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하여 감지하는 구성이다. In the case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of 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adjacent to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 It is arranged to detect whether or not a fire has occurred in the partition area (Zn).

화재 센싱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10)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이러한 배치의 위치는 내화 실링 유닛(100)에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하여, 내화 실링 유닛(100)의 화재 열로 인한 실링 작업과 동시 혹은 그 이전에 구획 영역(Zn)에서 화재의 발생을 가장 먼저 센싱하도록 한다. The fire sensing unit 200 is arranged as a pair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0, as shown in FIG. 3, and the position of this arrangement is such that it is arranged most adjacent to the fire resistance sealing unit 100, so that the fire resistance At the same time or prior to the sealing operation due to the fire heat of the sealing unit 100, the occurrence of a fire in the partition area Zn is sensed first.

예컨대, 도 4에서 Z1에서 발생된 화재의 경우, 그 화재의 연기는 인접한 구획 영역인 Z2로 전파될 수 있는데, 이는 Z1과 Z2를 구획하는 구획벽(10)의 관통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화재 가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Z1에서 발생된 화재는 화재 센싱 유닛(200)이 Z1에서 감지한 후, Z2 구획 영역 중에서 Z1에 인접하게 배치된 부분부터 센싱하게 된다. 이렇게 구획 영역(Zn) 별로 구획벽(10)의 관통부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화재 센싱 유닛(200)은 어느 구획 영역으로부터 어느 구획 영역으로 전파되고 있는지를 감지하게 되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 실링 유닛(100)의 동작에 따른 화재의 전파 속도와 전달 경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ire generated in Z1 in FIG. 4, smoke of the fire may be propagated to Z2, which is an adjacent partitioned area, which causes the fire gas delivered through the penetration of the partition wall 10 that partitions Z1 and Z2. done through Accordingly, the fire generated in Z1 is sensed by the fire sensing unit 200 in Z1, and then sensed from a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Z1 in the Z2 partition area. In this way, the fire sensing unit 200 dispose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0 for each partition area Zn detects which partition area is propagating from which partition area to which partition area, which is shown in FIG. 5 .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opagation speed and transmission path of the fi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

따라서, 관제 서버(2)의 경우, 건물(1)의 외부 혹은 건물(1)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이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ntrol server 2 ,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utside the building 1 or inside the building 1 .

관제 서버(2)는 건물(1) 내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개념화된 영역으로 구획하게 되는데, 이를 위에서 언급한 구획 영역(Zn)에 해당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erver 2 divides the inside of the building 1 into a predetermined conceptualized area, which corresponds to the above-mentioned division area Zn.

관제 서버(2)의 경우, 구획 영역(Zn) 별로 배치된 화재 센싱 유닛(200) 들의 화재 발생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감지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 영역(Zn)을 구획하는 구획벽(10)의 관통부의 내화 실링 유닛(100)의 기작에 따라 그 화재가 얼마나 전파되었는지 여부가 확실히 감지된다. 즉, 예컨대, 가스의 일부만이 일 구획 영역으로부터 발생되어 타 구획 영역으로 전파된 후, 내화 실링 유닛(100)의 기작으로 인해, 그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면, 타 구획 영역에서의 화재 감지 즉, 가스 감지는 멈추게 되는바, 가스의 일정 전파 정도로만 인식하게 되고 실제 화재까지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control server 2,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fire sensing units 200 arranged for each division area Zn is continuously detected in real time, but as shown in FIG. 5, a division dividing the division area Zn According to the mechanism of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of the penetration part of the wall 10, how far the fire has spread is clearly detected. That is, for example, after only a portion of the gas is generated from one compartment and propagated to another compartment, if the supply of the gas is cut off due to the mechanism of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fire detection in the other compartment, that is, Since gas detection is stopped, only a certain degree of propagation of the gas is recogniz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propagation has not occurred until the actual fire.

관제 서버(2)는 화재 센싱 유닛(200)의 화재 발생 정보를 지속적은 화재 가스 검출을 통하여 산출하여, 특정 구획 영역에서 화재 가스만 일부 전파된 후, 내화 실링 유닛(100)의 화재 가스 차단을 통해 화재의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는지, 혹은 화재 가스가 전파된 후, 내화 실링 유닛(100)의 기작이 부족하거나 내화 실링 유닛(100)의 기작 만으로는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에 역부족이어서 특정 구역까지 화재가 확산되었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server 2 calculates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through continuous fire gas detection, and after only some of the fire gas is propagated in a specific compartment area, the fire resistance sealing unit 100 blocks the fire gas. Whether the propagation of the fire has not been achieved through or after the fire gas has propagated, the mechanism of the fire-resistance sealing unit 100 is insufficient, or the mechanism of the fire-resistance sealing unit 100 alone is insufficient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관제 서버(2)는 화재 벡터 정보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화재 벡터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 구획 영역(Z1)에서 타 구획 영역(Z2)으로 화재가 확산된 방향과 속도 그리고 화재가 실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control server 2 calculates fire vector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e vector information includes the direction and speed at which the fire spread from one division area Z1 to the other division area Z2, and whether the fire actually occurred. It is a concept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본 발명에 따른 관통부 충전용 센서를 이용한, 방화 구획별 개별 실시간 화재 감지가 가능한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의 내화 실링 유닛(100)의 경우,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링부(110) 및 내화 충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of 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for each fire compartment using the penetrating part charging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outer ring unit 110 and the fire resistance 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120 .

아우터 링부(11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outer ring part 110 , as shown in FIG. 7 , it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pipe 11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아우터 링부(11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띠 혹은 체인 혹은 여러 힌지 연결 구조의 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주면에는 후술하게 되는 내화 충전부(120)를 구비하게 된다.The outer ring part 110 may be made of a circular band or chain made of a metallic material or an assembly of various hinge-connected structures, and a fire-resisting charging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내화 충전부(120)의 경우, 아우터 링부(110)의 내주면과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 열에 의하여 내향 팽창되어 용융된 관통 파이프(11)의 내부 즉, 관통부의 일면 혹은 타면을 내화 실링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ire resistant filling part 120,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pipe 11, and the inside of the through pipe 11 that is inwardly expanded and melted by the heat of fire, that is,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will be fire-sealed.

내화 충전부(120)를 내주면에 구비한 아우터 링부(110)의 경우, 내화 충전부(120)의 외향 팽창력에 저항하여, 내화 충전부(120)가 내향 팽창되도록 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outer ring part 110 having the fire resistant charging part 12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t resists the outward expansion force of the fire resistant charging part 120 so that the fire resistant charging part 120 expands inwardly.

화재 센싱 유닛(200)의 경우, 하우징(201), 발광 플레이트부(210) 및 광전 플레이트부(220)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 The fire sensing unit 200 may include a housing 201 , a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 and a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

하우징부(201)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센싱 유닛(200)의 외형 보디(body)를 형성하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201h)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the housing part 201, as shown in FIG. 8, it forms the external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and fires generated in case of fire through the gas penetration part 201h provided in the external body. gas will be introduced.

발광 플레이트부(210)의 경우, 하우징부(201)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광(light)을 발산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light emitting plate part 210, 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201 an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through applied power.

발광 플레이트부(210)는 발산한 광의 에너지를 후술하게 되는 광전 플레이트부(220)로 전달한다.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transfers the energy of the emitted light to the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후, 광전 플레이트부(220)는 발광 플레이트부(210)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발광 플레이트부(210)가 발산하는 광을 수광하는 구성이다.Thereafter, the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is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and receiv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플레이트부(220)는 하우징부(201)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화재의 가스 감지가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 사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As shown in FIG. 9 , the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generates a change in current throug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unit 201 , and through this, gas detection of fire is performed. As a result,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a fire is recognized.

발광 플레이트부(210)는 발산하는 광의 선(lane)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수광하여 발전하는 광전 플레이트부(220)의 발전 위치에 따라 각기 수광의 정도를 달리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화재 센싱 유닛(200) 내에서도 화재 가스의 농도와 전파의 속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sequentially generates lines of emitted light, and through this, the light reception level can be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wer generation position of the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that receives and generates ligh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nse the concentration of the fire gas and the speed of propagation even within one fire sensing unit 200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센싱 유닛(2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화재 센싱 유닛(200)은 하우징부(201), 이오나이징부(230), 전도부(240)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 ,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 the fire sensing unit 200 may include a housing unit 201 , an ionizing unit 230 , and a conductive unit 240 . do.

하우징부(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재 센싱 유닛(200)의 외형 보디(body)를 형성하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201h)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unit 201 forms the outer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and introduces fire gas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the gas penetrating portion 201h provided in the outer body. .

이오나이징부(230)의 경우, 하우징부(201)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이온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In the case of the ionizing unit 230 , 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201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ions through applied power.

이오나이징부(230)에 의하여 발생된 이온은 전도부(240)로 유입되고, 이를 통하여 전도부(240)에 도달한 이온을 통해 전류의 흐름이 이루어진다. Ions generated by the ionizing unit 230 flow into the conducting unit 240 ,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ions reaching the conducting unit 240 .

즉, 전도부(240)는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발생되는 이온을 수용하여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onductive part 24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onizing part 230 to receive ions generated from the ionizing part 230 to generate a current flow from the ionizing part 230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부(240)는 하우징부(201)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며 이를 통해 화재의 발생 정보를 감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1 , the conduction unit 240 generates a change in current throug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unit 201 , thereby sensing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fir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서버(2)는 화재 발생 정보와 화재 벡터 정보를 상기 구획 영역 별로 감지하고, 외부 서버(4) 예컨대, 소방서 등으로 전송하고 이를 통해 화재 발생에 대한 전산적인 대처를 이루어지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ontrol server 2 detec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and fire vector information for each division area, and transmits it to an external server 4 , for example, a fire station, and through this, a computational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to make it happen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selective limitation, but are used for clear components, and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also interpreted as essential components. should be

H: 관통홀 L: 도선
V1~Vn: 화재 벡터 Z1~Zn: 구획 영역
1: 건물 2: 관제 서버
3: 콘트롤 서버 4: 외부 서버
10: 구획벽 11: 관통 파이프
100: 내화 실링 유닛 110: 아우터 링부
120: 내화 충전부 200: 화재 센싱 유닛
201: 하우징부 201h: 가스 관통부
210: 발광 플레이트부 220: 광전 플레이트부
230: 이오나이징부 240: 전도부
H: through hole L: lead wire
V1-Vn: fire vector Z1-Zn: compartment area
1: Building 2: Control Server
3: Control Server 4: External Server
10: partition wall 11: through pipe
100: fire-resistant sealing unit 110: outer ring portion
120: fire-resistant charging unit 200: fire sensing unit
201: housing part 201h: gas penetration part
210: light emitting plate part 220: photoelectric plate part
230: ionizing unit 240: conduction unit

Claims (10)

건물(1)의 내부의 구획벽(10)을 관통하는 관통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건물(1)의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상기 관통부를 내화 실링 충전하는 내화 실링 유닛(100);
상기 내화 실링 유닛(10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구획 영역 내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센싱 유닛(200); 및
상기 건물(1) 내부를 소정의 개념화된 영역으로 구획하여 개념화된 구획 영역으로 관리하며, 상기 구획 영역별로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으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화재 벡터 정보를 산출하는 관제 서버(2)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은,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의 외형 보디를 형성하며, 상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201h)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는 하우징부(201);
상기 하우징부(201)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광(light)을 발산시키는 발광 플레이트부(210); 및
상기 발광 플레이트부(210)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발광 플레이트부(210)가 발산하는 광을 수광하는 광전 플레이트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 플레이트부(220)는,
상기 하우징부(201)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며,
상기 발광 플레이트부(210)는 발산하는 광의 선(lane)을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되, 상기 광전 플레이트부(220)는 발전 위치에 따라 수광의 정도를 달리 인식하여, 화재 가스의 농도와 전파의 속도를 센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 fire-resisting sealing unit (100) disposed adjacent to a penetration portion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 (10) inside the building (1) and filling the penetration portion with fire-resistance sealing by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in the building (1);
a fire sensing unit 20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e-resistance sealing unit 100 and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compartment area; and
A control server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building 1 into a predetermined conceptualized area and manages it as a conceptualized divided area, detects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sensing unit 200 for each division area and calculates fire vector information ( 2) including,
The fire sensing unit 200,
a housing part 201 that forms an external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and introduces fire gas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a gas penetration part 201h provided in the external body;
a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201 and emitting light through an applied power; and
and a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disposed to face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and receiving the light emitted by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The photoelectric plate part 220,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part 201, a change in current is generated throug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The light emitting plate unit 210 sequentially generates a line of emitted light, and the photoelectric plate unit 220 recognizes the degree of light recep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wer generation position, there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fire gas and the speed of propagation.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n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실링 유닛(100)은,
상기 구획벽(1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되며, 화재시 발생된 화재열에 의하여 용융된 관통 파이프(11)의 내부를 충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resistant sealing unit 100,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pipe 11 penetrati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0, characterized in that it fills and seals the inside of the through pipe 11 melted by fire heat generated during a fire. , building monitoring system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 실링 유닛(100)은,
상기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아우터 링부(110); 및
상기 아우터 링부(110)의 내주면과 상기 관통 파이프(11)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화재 열에 의하여 내향 팽창되어 상기 용융된 관통 파이프(11)의 내부를 내화 실링하는 내화 충전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e-resistant sealing unit 100,
an outer ring portion 110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pipe 11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ring part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pipe 11, and is expanded inwardly by fire heat and fire-resistant filling part 120 for fire-sealing the inside of the molten through-pipe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ding monitor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링부(110)는,
상기 내화 충전부(120)의 외향 팽창력에 저항하여, 상기 내화 충전부(120)가 내향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outer ring part 110,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resisting the outward expansion force of the fire resistant filling part (120), the fire resistant filling part (120) is expanded inward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은,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의 외형 보디를 형성하며, 상기 외형 보디에 구비된 가스 관통부(201h)를 통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화재 가스를 유입시키는 하우징부(201);
상기 하우징부(201) 내에 제공되며, 인가되는 전력을 통하여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오나이징부(230); 및
상기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발생되는 이온을 수용하여 상기 이오나이징부(230)로부터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전도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sensing unit 200,
a housing part 201 that forms an external body of the fire sensing unit 200 and introduces fire gas generated during a fire through a gas penetration part 201h provided in the external body;
an ionizing unit 230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201 and generating ions through applied electric power; and
I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ionizing unit 230 and receives ions generated from the ionizing unit 230 and includes a conductive unit 240 for generating a current flow from the ionizing unit 230. which is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240)는,
상기 하우징부(201) 내로 유입되는 화재 가스로 인하여,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를 통해 전류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ducting unit 240,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ue to the fire gas flowing into the housing unit (201), a change in current is generated throug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2)는,
상기 구획 영역별로 배치된 상기 화재 센싱 유닛(200)으로부터 상기 화재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일 구획 영역으로 타 구획 영역까지 확산되는 화재의 방향과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화재 벡터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erver (2),
The fire vector information is calculated by detecting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from the fire sensing unit 200 arranged for each division area, and detecting the direction and speed of a fire spreading from one division area to another area. which is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 서버(2)는,
화재 발생 정보와 상기 화재 벡터 정보를 상기 구획 영역 별로 감지하고, 외부 서버(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server (2),
A building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and the fire vector information are sensed for each division area and transmitted to an external server (4).
KR1020200133201A 2020-08-07 2020-10-15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KR102282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01A KR102282559B1 (en) 2020-10-15 2020-10-15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US17/613,076 US20230154303A1 (en) 2020-08-07 2021-05-25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PCT/KR2021/006494 WO2022030735A1 (en) 2020-08-07 2021-05-25 Building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individual real-time fire detection of each fire-prevention compartment using sensor for filling perforation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01A KR102282559B1 (en) 2020-10-15 2020-10-15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559B1 true KR102282559B1 (en) 2021-07-27

Family

ID=7712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01A KR102282559B1 (en) 2020-08-07 2020-10-15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55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854B1 (en) *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A Fire Detection System for Anti-Firing Filling Structure Adopting Self Generation by Fire Hea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641A (en) * 2002-03-22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mbedded smoke sensor with alarm buzzer
KR100704018B1 (en)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Wireless fire alarm system
KR101113418B1 (en) 2011-11-30 2012-02-15 주식회사 신영정보기술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fire-watch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204008B1 (en) 2010-02-10 2012-11-23 허선회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building
KR101252795B1 (en) 2012-09-24 2013-04-09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The apparatus of control monitorning with programmable switch
KR101478691B1 (en)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System and method for delaying spread of fire in intelligent building
KR20190096568A (en) * 2018-02-09 2019-08-20 김정운 Fireproof structure to prevent fire spread through building part
JP2020021300A (en)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シー・イー・デー・システム Fire monitoring device, fire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for fire monitoring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1641A (en) * 2002-03-22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mbedded smoke sensor with alarm buzzer
KR100704018B1 (en) 2006-06-20 2007-04-04 (주)위니텍 Wireless fire alarm system
KR101204008B1 (en) 2010-02-10 2012-11-23 허선회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 of building
KR101113418B1 (en) 2011-11-30 2012-02-15 주식회사 신영정보기술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fire-watch building management system
KR101252795B1 (en) 2012-09-24 2013-04-09 제이씨에이몬트롤 주식회사 The apparatus of control monitorning with programmable switch
KR101478691B1 (en) * 2014-05-28 2015-01-05 (주)금성보안 System and method for delaying spread of fire in intelligent building
KR20190096568A (en) * 2018-02-09 2019-08-20 김정운 Fireproof structure to prevent fire spread through building part
JP2020021300A (en) * 2018-08-01 2020-02-06 株式会社シー・イー・デー・システム Fire monitoring device, fire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for fire monito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854B1 (en) * 2022-10-27 2023-11-08 주식회사 광운기술 A Fire Detection System for Anti-Firing Filling Structure Adopting Self Generation by Fire H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7315B1 (en) Social safety network system having portable light for both wireless disaster fire detection and crime prevention
RU2544737C2 (en) Evacuation apparatus and evacuation route indicator therefor
US7626507B2 (en) Intelligent directional fire alarm system
JP6351224B2 (en) On-site support system for fire
AU764012B2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CN100470597C (en) Safety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KR101728521B1 (en) Real-time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1703190B1 (en) Management method of Fire
KR101439860B1 (e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in realtime
US20190368758A1 (en) 4d system for configur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nditions in a structure
KR101720748B1 (en) Smart fire preven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by electric equipment
KR101018583B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fires
AU2022326845A1 (en) An intelligent fire & occupant safety system and method
KR102282559B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KR20140017300A (en) Fires prevention system of smart type
KR101678022B1 (en) Fire management system
KR20190128321A (en) Smart emergency light system with guidance function using laser
JP2016140414A (en) Automatic fire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230154303A1 (en) Building monitoring system for sensing fire on every fire compartment in real time by using sensor attached to edge of hole of fire wall
KR20130040372A (en) Guide light system linked with fire sensor and method of linking guide light with fire sensor
JP2023068011A (en) Fire-fighting equipment
KR101900203B1 (en) Fire detector and intelligent automatic fire dect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034077B1 (en) Valve- integrated sprinkler and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using the same
CN108678608B (en) Emergency escape door with fire alarm function
JPH06205851A (en)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