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84B1 -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84B1
KR102282284B1 KR1020200000261A KR20200000261A KR102282284B1 KR 102282284 B1 KR102282284 B1 KR 102282284B1 KR 1020200000261 A KR1020200000261 A KR 1020200000261A KR 20200000261 A KR20200000261 A KR 20200000261A KR 102282284 B1 KR102282284 B1 KR 102282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objects
visual represent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4637A (ko
Inventor
슈페이 쿠이
예 장
청유안 자오
잉 주
이린 장
잉지에 샤오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9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7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 G06F16/285Clustering or classification
    • G06F16/287Visualization;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4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당해 방법은,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당해 방법은 오브젝트 집합의 각 오브젝트 사이의 상호 관계를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는바,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VISUAL REPRESENTATION OF SET OF OBJECTS}
본 개시의 실시예는 주로 컴퓨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의 발전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오브젝트 정보가 그래프라는 형식으로 취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식 그래프의 가시화는 더욱 직관적인 이미지 형식으로 사용자한테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식 정보를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식 그래프의 시각적 표현은 오브젝트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낼 수 있고, 오브젝트 관련 속성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바, 단일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정보를 풍부히 한다. 따라서, 지식 그래프 정보 등과 같은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으로써 더욱 고효율적으로 사용자한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현재 주목의 초점으로 되어 있다.
본 개시의 예시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기술안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으로,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당해 방법은, 드로잉(drawing)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으로,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당해 장치는,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위치 결정 모듈;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오브젝트 결정 모듈; 및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으로, 기기가 제공되는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장치; 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는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바,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개시의 제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발명 내용 부분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핵심 특징 또는 중요 특징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기타 특징은 이하의 설명을 통하여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을 결부하고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술한 특징과 기타의 특징, 이점 및 측면은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도1은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드로잉 영역을 설정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각적 표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8은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예를 실시 가능한 컴퓨팅 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비록 첨부 도면에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가 표시되었지만, 본 개시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구현 가능한 것으로, 여기서 서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은 본 개시를 더욱 투철하게 그리고 완전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첨부 도면 및 실시예는 예시적 작용을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전문 용어 '포함' 및 그 유사 용어는 개방적 포괄, 즉,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에 따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하나의 실시예' 또는 '당해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하여야 한다. 전문 용어 '제1', '제2' 등은 부동한 대상 또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는 또한, 기타의 명확한 및 묵시적인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토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은 사용자가 오브젝트 집합의 각 오브젝트의 관계를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획득하도록 도울 수 있고 사용자가 각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정보를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획득하게끔 할 수 있다. 힘 방향 그래프(force-directed graph)로 지식 그래프 등과 같은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기술안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힘 방향 그래프에 따른 시각적 표현은, 종종 그 시각적 표현 중의 각 노드의 분포가 제어되지 않아 시각적 표현이 많이 흐트러져 있게 되고, 이는 이동 기기 등과 같이 사이즈가 보다 작은 스크린 기기에서는 유효한 관계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바,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적 표현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워진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기술안이 제공된다. 당해 기술안에서, 우선, 드로잉 영역 내의 제1 위치를 결정하는바, 당해 제1 위치는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한다. 다음,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또,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결정되는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안은 오브젝트 집합의 각 오브젝트 사이의 상호 관계를 더욱 선명하게 나타낼 수 있는바,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개시의 복수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 환경(1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당해 예시 환경(100)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110)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은 오브젝트 정보와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당해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명칭, 역할, 오브젝트의 식별자 및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resource addres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오브젝트 관계 정보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의 방식으로 컴퓨팅 기기(120)에 송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컴퓨팅 기기(120)와 커플링되는 입력 기기를 통해 오브젝트 집합(110)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기기(120)는 수신된 오브젝트 집합(110)에 따라 오브젝트 집합(110)에 대응되는 시각적 표현(13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의 예시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정보 및 각 오브젝트 사이 관계의 시각적 표현(130)을 생성할 수 있다. 도시한 시각적 표현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문제 응답 과정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과정(2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과정(200)은 도1의 컴퓨팅 기기(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토론의 편의를 위해, 도1, 도3 내지 도6을 결부하여 과정(200)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202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은 오브젝트 집합(110)의 하나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바, 당해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명칭, 역할, 오브젝트의 식별자 및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오브젝트 정보는 이하의 형식으로 취합될 수 있다.
{
Src: 'static/image/1.jpeg',
Id: '1',
Role: '1',
Name: '장싼'
}
{
Src: 'static/image/2.jpeg',
Id: '2',
Role: '0',
Name: '리쓰'
}
여기서, Src 필드는, 예를 들면, 당해 오브젝트의 이미지(picture)의 어드레스를 저장할 수 있고, Id 필드는 당해 오브젝트의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고, Role 필드는 당해 오브젝트의 역할(예를 들면, 주연인지 여부)을 저장할 수 있고, Name 필드는 당해 오브젝트의 명칭을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또한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 사이 관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관계 정보는 오브젝트 집합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또한 저장 기기로부터 대응되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관계 정보는 이하의 형식으로 취합될 수 있다.
{
Source: '1',
Target: '2',
Relation: '친구'
}
여기서, Source는 소스 오브젝트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Target은 목표 오브젝트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Relation은 소스 오브젝트와 목표 오브젝트 사이의 관계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당해 오브젝트 관계 정보는 식별자가 '1'인 오브젝트와 식별자가 '2'인 오브젝트가 친구 관계임을 표시한다. 위에서 주어진 오브젝트 정보 및 오브젝트 관계 정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오브젝트 정보 및/또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취합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팅 기기(120)는 소정의 드로잉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로잉 영역은 오브젝트 집합(110)의 시각적 표현을 나타내는 소정 크기의 캔버스일 수 있다. 도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 드로잉 영역을 설정하는 개략도(300)를 도시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기기(120)는 소정의 드로잉 영역(310)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기기(120)는 또한 드로잉 영역(310)에서 복수의 소정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바, 이러한 소정의 위치는 가능한 오브젝트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소정의 위치는 행 또는 열에 따라 드로잉 영역(310)에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이러한 소정의 위치의 바람직한 분포에 대하여 배치한다. 각 오브젝트의 시각적 표현이 제공될 수 있는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시각적 표현(130)이 규칙적이고 질서 있도록 보장할 수 있는바,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적 표현(130)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러한 취합 방식은 작은 스크린 기기에서의 표시에 더욱 적합하다.
예를 들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소정의 위치가 균일하게 분포되는바, 예를 들어 위치(312)에 인접하는 6개의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위치는 위치(312) 주변에 정육각형으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소정의 위치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바, 위치(312)에 인접하는 4개의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위치는 위치(312) 주변에 정사각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구체적인 분포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임의의 적합한 소정 위치 분포가 적용될 수 있는바, 본 개시의 범위는 이러한 측면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드로잉 영역(310)에 아직 어떠한 오브젝트의 표시 정보도 제공되지 않은 경우,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110)의 메인 오브젝트를 획득하여 제1 오브젝트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오브젝트는 사용자한테 나타낼 오브젝트 집합(110)에서 미리 설정되는 핵심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인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결정되는 사용자가 당시 흥미를 가지는 오브젝트일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조회(예를 들면, 장싼)를 수신하여 메인 오브젝트를 '장싼'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110)에서 Role 필드의 값이'1'인(즉, 역할이 '주역'인) 오브젝트를 획득하여 이를 제1 오브젝트로 할 수 있다.
오브젝트 집합(110)의 메인 오브젝트(예를 들면, 역할이 '주역'인 오브젝트)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20)는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자동으로 가운데의 위치를 선택하여, 메인 오브젝트를 제공하는 표시 정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3의 예시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위치(312)를 오브젝트 집합(110)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의 명칭, 역할 및 ID 등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위치(312)에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static/image/1.jpeg'와 같고, 컴퓨팅 기기(120)는 당해 어드레스를 액세스하여,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제1 위치(312)에서 표시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를 참조하면, 단계204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드로잉 영역(310)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한다. 계속하여, 도3의 예시에 있어서, 제1 위치(312)에서의 오브젝트의 표시가 완료된 후, 컴퓨팅 기기(120)는 제1 위치(312)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 도4를 결부하여 단계204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4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402에서, 컴퓨팅 기기(120)가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제2 위치를 획득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기기(120)에 의하여 제1 위치(312)에서의 제1 표시 정보의 제공이 완료된 후, 컴퓨팅 기기(120)는 제1 위치(312)에 인접하는 제2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각 소정의 위치에 상응한 식별자를 할당하고, 각 식별자가 인접한지에 관한 인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인접 정보에 따라, 컴퓨팅 기기(120)는 제1 위치(312)에 인접하는 제2 위치(512)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컴퓨팅 기기(120)가 과거 드로잉 정보에 따라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바, 과거 드로잉 정보는 복수의 소정 위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복수의 소정 위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과거 드로잉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에 의하여 제1 위치(312)에서 제1 표시 정보가 제공된 후, 컴퓨팅 기기(120)는 과거 드로잉 정보에서 제1 위치(312)를 '사용됨'으로 표기할 수 있다.
단계406에서,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기기(120)는 제2 위치를 사용 가능 위치로 결정한다. 도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개략도(500)를 도시한다. 도5의 예시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과거 드로잉 정보에 따라 제2 위치(512)를 사용 가능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를 참조하면, 단계206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제1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집합중의 기타 오브젝트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은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 사이 관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에 따라, 제1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집합중의 기타 오브젝트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관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 컴퓨팅 기기(120)는 관계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관계 정보 중의 'Source' 필드 및 'Target' 필드에 따라,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식별자가 '2'인 오브젝트가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것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집합(110)의 각 오브젝트는 가중 정보가 미리 설정될 수 있는바,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복수의 개체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팅 기기(120)는 가중치 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가중치가 더 큰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표시할 제2 오브젝트로 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컴퓨팅 기기(120)는 가중치가 더 큰 오브젝트가 우선으로 나타나도록 보장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를 참조하면, 단계208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제2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라벨, 이미지, 형상 및 색상 등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제2 오브젝트의 명칭, 역할 및 ID 등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제2 표시 정보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에 따라, 제2 표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오브젝트 정보에 따라,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를 획득할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static/image/2.jpeg'와 같다. 컴퓨팅 기기(120)는 당해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를 제2 표시 정보로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 가능 위치(512)에서 획득되는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 가능 위치(512)에서 제2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아래의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명칭(李四),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이미지,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형상 및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색상 중의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동한 형상 및/또는 부동한 색상은 제2 오브젝트의 특정된 역할에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드로잉 영역(310)에서 제1 표시 정보와 제2 표시 정보를 연결하여,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부동한 라인(line)에 의하여 부동한 관계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빨간색 라인으로 부부 관계를 나타낼 수 있고, 검은색 라인으로 친구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라인에 제1 오브젝트와 제2 오브젝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가 제공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기기(120)는 과거 드로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 가능 위치(512)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는바, 따라서 다음번에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할 때, 위치(512)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중복되게 어느 한 위치에서 부동한 오브젝트의 표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5의 예시에 있어서,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 가능 위치(512, 514, 516, 518, 520 및 522)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오브젝트를 순차적으로 결정하고, 대응되는 사용 가능 위치에서 상응한 오브젝트의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팅 기기(120)는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표시 정보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iteratively) 단계202 내지 단계208를 수행할 수 있다.
도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시각적 표현의 개략도(600)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집합(110)의 최종적인 시각적 표현은 시각적 표현(610)의 도시와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10)는 드로잉 영역(310)과 상이한 표시 영역(620)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 정보는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이미지 및/또는 영상 정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 정보는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문자 정보(62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제1 오브젝트에 대한 더욱 상세한 소개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표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컴퓨팅 기기(120)는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오브젝트의 상세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규칙적이고 질서 있는,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소정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컴퓨팅 기기(120)는 제공되는 시각적 표현이 규칙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도록 보장할 수 있는바, 따라서 종래의 힘 방향 그래프에 따른 경우에 있어서 난잡하고 무질서한 결함을 극복함으로써, 오브젝트 집합의 정보가 더욱 선명하고 직관적이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획득하는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러한 취합 방식은 이동 단말 기기와 같은 작은 스크린 기기의 표시에 더욱 적합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또한 데이터 라벨(610)의 임의의 표시 정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개체(예를 들면,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표시 정보에 대한 선택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기기(120)는 당해 선택에 따라 제2 오브젝트를 메인 오브젝트로 하는 새로운 시각적 표현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제2 표시 정보(612)가 선택된 것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당해 선택에 따라 제2 표시 정보의 외관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기기(120)는 선택에 응답하여 제2 표시 정보를 강조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제2 표시 정보를 확대하는 것, 제2 표시 정보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 등이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흥미를 가지는 기타 오브젝트로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고 당해 오브젝트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7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700)는 도1의 컴퓨팅 기기(1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컴퓨팅 기기(120)로 구현될 수도 있다 .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700)는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위치 결정 모듈(710)을 포함한다. 장치(700)는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720)을 더 포함한다. 장치(700)는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오브젝트 결정 모듈(7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장치(700)는 사용 가능 위치에서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모듈(740)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소정의 위치는 행 또는 열에 따라 드로잉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720)은,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제2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위치 획득 모듈; 과거 드로잉 정보에 따라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가능 상태 결정 모듈 - 과거 드로잉 정보는 복수의 소정 위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냄 - ; 및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 것에 응답하여, 제2 위치를 사용 가능 위치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700)는, 과거 드로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 가능 위치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오브젝트 결정 모듈(730)은, 제1 오브젝트와 오브젝트 집합중의 기타 오브젝트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관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관계 정보 획득 모듈; 및 관계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 집합에서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오브젝트 선택 모듈;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 모듈(740)은,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에 따라, 제2 표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정보 획득 모듈; 및 사용 가능 위치에서, 획득되는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모듈; 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정보는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라벨, 이미지, 형상 및 색상 등 항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700)는, 제2 표시 정보가 선택되었음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추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도8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예시 기기(800)의 개략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기기(800)는 도1의 컴퓨팅 기기(120)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800)는 중앙 프로세서 유닛(CPU)(801)을 포함하는바, 이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802)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저장 유닛(808)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803)로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따라 여러 가지 적당한 동작과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RAM(803)에는 기기(800) 조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CPU(801), ROM(802) 및 RAM(803)는 버스(80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05)도 버스(804)에 연결된다.
기기(800) 중의 복수의 부품은 I/O 인터페이스(805)에 연결되는바, 입력 유닛(806),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등; 출력 유닛(807),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유형의 표시, 스피커 등; 저장 유닛(808),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 및 통신 유닛(809),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모뎀, 무선 통신 송수신기 등이 포함된다. 통신 유닛(809)은 기기(800)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및/또는 여러 가지 전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기타 기기와 정보/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허용한다.
프로세서 유닛(801)은 전술에서 설명된 각각의 방법과 처리를 실행하는바, 예를 들어 과정(200 및/또는 400)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과정(200 및/또는 400)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예를 들어 저장 유닛(808)에 유형적으로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가 ROM(802) 및/또는 통신 유닛(809)을 통하여 기기(800)에 로딩 및/또는 설정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803)에 로딩되어 CPU(801)에 의하여 실행될 시, 전술에서 설명된 과정(200 및/또는 400)의 하나 또는 복수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타 실시예에서, CPU(801)는 기타 임의의 적당한 방식을 통해(예를 들어, 펌웨어의 도움으로) 과정(200 및/또는 400)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논리 부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한 시범 유형의 하드웨어 논리 부품은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주문형 반도체(ASIC), 특정 용도 표준 제품(ASSP), 시스템 온 칩(SOC),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CPLD), 등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을 적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제공되어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에 의해 실행될 시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에 규정한 기능/조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기계에서 전부 실행되거나, 기계에서 일부 실행되거나,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일부는 기계에서 실행되고, 일부는 원격 기계에서 실행되거나, 혹은 원격 기계 또는 서버에서 전부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반 서술에서,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유형의 매체일 수 있는바, 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또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와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또는 저장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기계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의, 자성의, 광학의, 전자기의, 적외선의 또는 반도체의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에 따른 전기 연결, 휴대형 컴퓨터 디스크,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기기, 자기 저장 기기, 또는 상술한 내용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한다.
이 외에, 비록 각 조작을 묘사함에 있어서 특정 순서를 적용하였지만, 이러한 조작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한 조작이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로써 기대하는 결과를 취득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정한 환경에서는, 다중 태스크 및 병렬 처리가 유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록 위의 서술에는 약간의 구체 구현 디테일이 포함되지만, 이러한 것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독의 실시예의 전반 서술에서 설명되는 어떤 특징 또한, 조합 가능하게 하나의 구현에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하나의 구현의 전반 서술에서 설명되는 여러 가지 특징도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서브조합의 방식으로 복수의 실시예에 구현될 수 있다.
비록 이미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에 특정된 언어를 적용하여 본 주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한정하는 주제는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또는 동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위에서 설명한 특정 특징 및 동작은 단지 특허청구범위의 예시 형식을 구현하는 것일 뿐이다.

Claims (18)

  1.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 집합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가능 위치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제2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과거 드로잉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과거 드로잉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냄 - ; 및
    상기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상기 사용 가능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정의 위치는 행 또는 열에 따라 상기 드로잉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드로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사용 가능 위치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 집합중의 기타 오브젝트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관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 집합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가능 위치에서, 획득된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기 위한 라벨, 이미지,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가 선택된 것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9.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드로잉 영역 내에서 오브젝트 집합중의 제1 오브젝트의 제1 표시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위치 결정 모듈;
    상기 드로잉 영역 내의 복수의 소정 위치 중에서 상기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사용 가능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
    상기 오브젝트 집합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제2 오브젝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오브젝트 결정 모듈; 및
    상기 사용 가능 위치에서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제2 표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공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위치에 연관되는 제2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위치 획득 모듈;
    과거 드로잉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사용 가능 상태 결정 모듈 - 상기 과거 드로잉 정보는 상기 복수의 소정 위치의 사용 상황을 나타냄 - ; 및
    상기 제2 위치가 사용 가능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위치를 상기 사용 가능 위치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사용 가능 위치 결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정의 위치는 행 또는 열에 따라 상기 드로잉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거나 규칙적으로 분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거 드로잉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사용 가능 위치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업데이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브젝트 결정 모듈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오브젝트 집합중의 기타 오브젝트 사이에 관계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관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관계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관계 정보에 따라, 상기 오브젝트 집합에서 상기 제1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제2 오브젝트 선택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모듈은,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리소스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사용 가능 위치에서, 획득된 상기 제2 표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1 표시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오브젝트를 나타내기 위한 라벨, 이미지, 형상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정보가 선택된 것이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오브젝트에 연관되는 추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제2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장치.
  17. 전자 기기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전자 기기가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이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000261A 2019-01-29 2020-01-02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282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87406.0A CN109815299A (zh) 2019-01-29 2019-01-29 提供对象集的视觉表示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201910087406.0 2019-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637A KR20200094637A (ko) 2020-08-07
KR102282284B1 true KR102282284B1 (ko) 2021-07-27

Family

ID=6660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61A KR102282284B1 (ko) 2019-01-29 2020-01-02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10333B2 (ko)
EP (1) EP3690675A1 (ko)
JP (1) JP6872047B2 (ko)
KR (1) KR102282284B1 (ko)
CN (1) CN1098152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3574B (zh) * 2020-07-12 2023-04-07 西北工业大学 乳腺癌超声影像高置信实体关系的知识图谱构建方法
CN115630698B (zh) * 2022-12-08 2023-04-11 国家电网有限公司客户服务中心 基于力引导图的知识图谱可视化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8213A1 (en) * 2008-08-28 2010-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JP2010176204A (ja) * 2009-01-27 2010-08-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9704A (en) * 1993-07-21 1998-03-17 Xerox Corporation User-directed method for operating on an object-based model data structure through a second contextual image
JP2007149061A (ja) * 2005-10-31 2007-06-14 Seiko Epson Corp レイアウトシステムおよびレイアウトプログラム、並びにレイアウト方法
WO2007121557A1 (en) * 2006-04-21 2007-11-01 Anand Agarawala System for organizing and visualizing display objects
US20090210820A1 (en) * 2006-05-11 2009-08-20 Takao Adachi Display object layout changing device
JP4891740B2 (ja) * 2006-11-22 2012-03-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コンテンツ検索方法
US20090128507A1 (en) * 2007-09-27 2009-05-21 Takeshi Hoshino Display method of information display device
CN102568025B (zh) * 2010-12-20 2013-09-04 福建星网视易信息系统有限公司 在显示器中使3d对象运动而不重叠的方法和显示系统
US9552376B2 (en) * 2011-06-09 2017-01-24 MemoryWeb,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files
CN103732132A (zh) * 2011-06-13 2014-04-16 安吉奥梅特里克斯公司 用于分析解剖学参数和功能参数的多功能导丝组件和系统
US20130268373A1 (en) * 2012-04-04 2013-10-10 Linkedln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personalized advertisements
US10042959B2 (en) * 2014-03-05 2018-08-07 Ayasd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e of relationships within information
CN103647754B (zh) * 2013-11-19 2017-03-29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云计算中拓扑图的绘制方法与装置
US9934424B2 (en) * 2015-10-05 2018-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relationship categorizer and visualizer
CN107622792B (zh) * 2017-08-30 2021-12-31 东软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医学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CN107992522B (zh) * 2017-11-06 2021-09-2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8170397A (zh) * 2018-01-19 2018-06-1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数据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086315B (zh) * 2018-06-27 2021-07-2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er图的布局方法和装置
CN109271525A (zh) * 2018-08-08 2019-01-2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生成知识图谱的方法、装置、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183980A1 (en) * 2018-12-10 2020-06-11 James R. Barkow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family graph in digital for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8213A1 (en) * 2008-08-28 2010-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JP2010176204A (ja) * 2009-01-27 2010-08-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15299A (zh) 2019-05-28
EP3690675A1 (en) 2020-08-05
JP6872047B2 (ja) 2021-05-19
US11410333B2 (en) 2022-08-09
US20200242803A1 (en) 2020-07-30
JP2020123323A (ja) 2020-08-13
KR20200094637A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674B1 (ko) 지식 그래프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TWI531953B (zh) 所選資料的暫時格式化及製圖
KR101811464B1 (ko) 옵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스핀 컨트롤 사용자 인터페이스
EP4120199A1 (en) Image rende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846708B2 (en) Searching of images based upon visual similarity
US9128595B2 (en) Managing data content on a computing device
AU2019205973B2 (en) Responsive resize
US9141746B1 (en) System and method to drag instance master physical shell
CN105528418B (zh) 一种设计文档生成方法及装置
US20140380178A1 (en) Displaying interactive charts on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US11281742B2 (en) Interactive and selective coloring of digital vector glyphs
US10169493B2 (en) Method for manipulating a computer aided design (CAD) mode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erver therefore
KR102282284B1 (ko) 오브젝트 집합의 시각적 표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N108536467B (zh) 代码的定位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0109094B2 (en) Interface to index and display geospatial data
CN112100795A (zh) 一种计算机辅助设计图纸的对比方法及装置
CN115081414A (zh) 基于数据模型的电子表格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0846061B2 (en) Development environment for real-time application development
US20170357412A1 (en) Data creating device, data creating method, and data creating program
WO2016207991A1 (ja) 三次元cadシステム装置、並びに三次元cadに用いられる知識管理方法
JP2011107890A (ja) 設計支援プログラム及び設計支援装置
WO2021082652A1 (zh) 显示信息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612599A (zh) 倾斜摄影实景三维模型的批量单体化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US11250058B2 (en) Providing an easily navigable visual representation of a graph
CN112084252A (zh) 多数据联动交互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