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03B1 -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 Google Patents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03B1
KR102282203B1 KR1020210037354A KR20210037354A KR102282203B1 KR 102282203 B1 KR102282203 B1 KR 102282203B1 KR 1020210037354 A KR1020210037354 A KR 1020210037354A KR 20210037354 A KR20210037354 A KR 20210037354A KR 102282203 B1 KR102282203 B1 KR 10228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oller
driving
parking vehicle
driv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섭
Original Assignee
이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섭 filed Critical 이호섭
Priority to KR102021003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ver for a parked vehicle, comprising: a moving unit including a pair of side plates which are arranged at an interval in a widthwise direction, an idle type front roller which touches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an idle type rear roller which touches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rear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and a driving roller which touches the tires of a parked vehicle while interconnecting the middle upper ends of the side plates; a handle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nd a driving unit transmitting rotating power to the driving roller of the moving unit. A freely rotating lower end roller and the driving roller are arranged appropriately to improve a structure,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reduced to facilitate carrying and movement, and the handle can be used for control to enable the real-time cor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by the handle dur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material damages an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such as jamming accidents.

Description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본 발명은 주차된 차량을 직접 밀지 않고 무빙유닛을 이용해 쉽게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무빙유닛과 청소유닛 간의 교체 장착 사용이 가능하여 차량 이동을 위한 무빙 기능과 차량 내부 청소를 위한 클린 기능을 겸한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ush and move a parked vehicle by using a moving unit without directly pushing it, and it is possible to use a replacement installation between a moving unit and a cleaning unit, so a parking function that combines a moving function for moving the vehicle and a clean function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electric mover for a vehicle.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자동차의 보급이 증가되고, 주거형태도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등의 집단거주형태로 변화됨은 물론 그 비율도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거형태는 대개 일가구당 한대의 주차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나, 2세대 이상이 함께 거주 또는 맞벌이의 경우에는 각자 차량을 소유하고 있어 마련된 주차시설에 모두 주차하기 힘든 실정이다.As life becomes more prosperous, the supply of automobiles increases, and the housing type is also changed to a group residence such as apartments, mixed-use buildings, and officetels, and the ratio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type of housing, one parking facility is usually expanded per household, but in the case of two or more households living together or dual-income earners, each owns a vehicle, so it is difficult to park all of them in the provided parking facilities.

그러므로 주차라인을 따라 주차된 차량의 일측에 근접한 부분에 자동차의 통행로와 동일한 방향으로 임시주차를 하고, 주차라인에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어를 중립상태로 하고 있다.Therefore, temporary parking is per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assageway of the vehicle in a por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parked vehicle along the parking line, and the gear is in a neutral state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line.

결국 다른 차량에 의해 진행이 방해받는 차량을 움직이고자 할 때에는 가로막고 있는 차량을 밀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후에 진로를 확보해야 하나, 트럭이나 SUV(sport utility vehicle) 차량과 같이 비교적 큰 차량의 경우에는 성인남자도 쉽게 밀기 힘들뿐만 아니라 특히 여성 운전자나 노약자는 차량을 밀어서 움직이기가 힘든 실정이다.In the end, when you want to move a vehicle that is obstructed by other vehicles, you have to push the blocking vehicle and move 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secure a course. However, in the case of a relatively large vehicle such as a truck or SUV (sport utility vehicle), Not only is it difficult for adult men to push easily, but it is especially difficult for female drivers or the elderly to push and move the vehic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좀 더 쉽게 차량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로는,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that made it easier to push the vehicle and move it,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63827호 (2006.03.1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자동차 푸시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63827 (Registered on March 17, 20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Automobile Push Device』 is presented,

문헌 1은 자동차의 외부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고 자동차를 외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외력을 가할 수 있는 푸시(push)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가로 주차된 자동차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려고 할 때에 자동차의 범퍼가 성인의 키에 비하여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푸시 레버에 하중을 가하여 자동차의 후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아래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정후방으로 향하게 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손쉽게 주차된 자동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차 푸시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1 includes a case fixed to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 push lever that is inserted into the case and protrudes upwards of the case to apply an external force when the vehicle is mov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vehicle is parked horizontally. When the vehicle is push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load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by applying a load to the push lever is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even though the bumper of the vehicle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compared to the height of an adul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car push device that can easily move a parked car with less force because it faces.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2325호 (2008.03.0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주차된 자동차용 접이식 밀대』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iqu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2325 (registered on March 4, 2008,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folding push rod for parked cars』 is proposed,

문헌 2는 바 형태의 밀대를 이용하여 차량의 범퍼를 밀어 주차된 차량을 일정거리 이동시키도록 하되 밀대의 하단에는 바퀴를 장착하여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하고, 중단에 접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접이식 밀대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uses a bar-shaped pusher to push the bumper of the vehicle to move the parked vehicle a certain distance, but a wheel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pusher to facilitate sliding, and fold at the middle to facilitate storag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folding push rod.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3886호 (2011.06.1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주차 차량용 밀대』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ology,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43886 (registered on June 16,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3') 『Parking car pusher』 is proposed,

문헌 3은 주차된 차량을 소정의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밀대에 있어서, 판형상의 본체와, 이 본체의 저면 후단부 측에 돌출 형성되어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된 받침부와, 상기 본체의 후단부 측에 구비되어 후방 상부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차량의 전측방 또는 후측방에서 바닥면에 접촉된 바퀴의 곡률부 측에 그 상면의 선단부 측이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선단부 측에 전달되어 차량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 이외의 부분에는 전혀 접촉이 되지 않아 타인의 차량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주차 차량용 밀대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3 discloses, in a pusher provided to move a parked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ate-shaped body, a support part protrudingly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provided to contact the floor, and It is provided on the rear end side and is made to include a handle extending to be inclined to the rear upper portion,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front end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curvature side of the wheel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from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vehicle. When the handle is inserted and pressed in this state,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by the support to move the vehicle.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push bar for a parking vehicle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damaging it.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83762호 (2013.07.23.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4'라고 함) 『주차 차량의 위치 이동 및 정지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As another technolog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3762 (published on July 23,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4') 『A device for moving and stopping a location of a parked vehicle』 is proposed,

문헌 4는 주차된 차량의 바퀴와 바퀴주변의 지면에 동시에 접하여 지렛대 원리의 작용점 역할을 하며,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 역할을 하는 롤러에 구조물의 일부가 내접하고, 지렛대 원리의 힘점 역할을 하는 조정용 구조물과는 연결용 구조물을 통하여 결합하는 사각 테 형태의 동력전달부,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 역할을 하며 원형 롤러의 형태로 원형 롤러의 양쪽 끝이 동력전달부의 일부 구조가 내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원형 롤러, 지렛대 원리의 힘점 역할을 조정용 구조물, 조정용 구조물과 동력전달부를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연결용 구조물로 구성함으로써, 이동시키고자 하는 주차된 차량 바퀴에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지렛대 원리를 응용하여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적 물리력의 사용을 최소화하고도 주차된 차량의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주차된 차량의 위치 이동 및 정지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4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of a parked vehicle and the ground around the wheels at the same time to serve as an action point of the lever principle, a part of the structure is inscribed with a roller that serves as a fulcrum of the lever principle, and an adjustment structure that serves as a force point of the lever principle; is a square frame-shaped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is combined through a connecting structure, and serves as a fulcrum for the lever principle. It is a circular roller in the form of a circular roller, and both ends of the circular roller are designed so that some structures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re inscribed. By composing the role of the force point of the adjustment structure,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adjustment structure and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device i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lever principle so that the force can act on the wheels of the parked vehicle to be moved.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device for moving and stopping a parked vehicle that enables the position of a parked vehicle to be moved while minimizing the use of physical force.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63827호 (2006.03.17.등록)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63827 (Registered on March 17, 2006)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2325호 (2008.03.04.등록)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2325 (Registered on March 4, 2008)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3886호 (2011.06.16.등록)Document 3.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3886 (Registered on June 16, 2011) 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83762호 (2013.07.23.공개)Document 4.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3762 (published on July 23, 2013)

본 발명은 주차 차량의 후륜 타이어 후방 측 지면과 접하는 전후 두 개의 자유 회전식 롤러와 이의 상단에 구비되어 타이어와 접하는 드라이빙롤러 및 이의 구동유닛, 그리고 구동유닛 제어 및 조종을 위한 핸들을 마련함으로써, 핸들을 통한 조작이 쉽고 드라이빙롤러 회전 시 핸들을 잡고 사람이 밀면서 진행시킬 수 있기에 타이어와 드라이빙롤러 간의 슬립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진행 방향을 바로 보정할 수 있고, 용량이 작은 소형 배터리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wheel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a driving roller, a driving unit thereof, and a driving roller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in contact with the tire, and a steering wheel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the driving unit. It is easy to operate and when the driving roller rotates, a person holds the handle and pushes it, so that the slip phenomenon between the tire and the driving roller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can be corrected immediately, and power is supplied using a small battery with a small capac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that can be used by

나아가 본 발명은 별도의 청소유닛을 마련하여 무빙유닛 제거 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차 차량 이동을 위한 무빙 기능과 차량 내부 청소를 위한 클린 기능을 겸한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that has a moving function for moving a parked vehicle and a clean function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providing a separate cleaning unit to replace the moving unit after removal.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의 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프론트롤러,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의 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리어롤러, 그리고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의 중앙 상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주차 차량의 타이어와 접촉하게 되는 드라이빙롤러를 갖는 무빙유닛;A pair of side plate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 idle-type front roll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and the rear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are interconnected to make contact with the ground a moving unit having an idle type rear roller, and a driving roll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tire of a parked vehicle while interconnecting the upper center of each of the side plates;

상기 무빙유닛을 조종하기 위한 핸들; 및a handle 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and

상기 무빙유닛의 드라이빙롤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a driving unit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driving roller of the moving unit;

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가 주차 차량의 타이어 후방 측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드라이빙롤러가 주차 차량의 타이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롤러 회전 시 주차 차량의 타이어를 강제로 회전시켜 주차 차량을 밀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state where the front and rear roller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tire of the parked vehicle and the driving roller is in contact with the tire of the parked vehicle,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driving roller forcibly rotating the tire of the parked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ushes and moves the parked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는,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유 회전식 하단 롤러와 구동식 드라이빙 롤러를 적절히 배치 구현하여 구조를 개선하고 제품 중량을 줄여 경량화시킴에 따라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무빙유닛과 핸들 간의 분리가 가능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핸들을 이용해 조종할 수 있어 차량 이동 시 핸들을 통해 무빙유닛의 이동 방향에 대한 실시간 보정이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By properly disposing the free-rotating lower roller and the driven driving roller to improve the structure and reduce the weight of the product, it is easy to carry and move, and it is easy to store because the moving unit and the handle can be separated. It can be steered, so it has the greatest effect that real-time cor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is possible through the steering wheel when the vehicle is moving.

또 별도의 청소유닛을 마련하여 차량 내부는 물론 실내 청소 기능을 겸할 수 있는 전동식 무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eparate cleaning uni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 electric mover capable of clean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interior.

또 타이어와 접하는 하나의 드라이빙 롤러와,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널링부나 리세스 등의 요철 형상을 통해 타이어와의 슬립 현상을 최소화시켜 빙판길, 비(非)포장길 등의 노명 상태에 대한 제약 없이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one driving roller in contact with the tire and the uneven shape such as knurling or reces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minimizes the slip phenomenon with the tire, so there is no restriction on aging conditions such as icy roads and unpaved roads. has the effect of moving

또 눈 또는 비 등을 막기 위해 우산을 쓰고 있을 때에도 다른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when using an umbrella to prevent snow or rain,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ove the vehicle by holding it with the other hand.

또 차량을 직접 밀 경우 앞이나 뒤 차량 간의 간격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밀어야 하기에 시간도 많이 소용됨은 물론, 앞뒤 차량을 확인하면서 여러 번 나누어 반복적으로 밀게 됨에 따라 체력 소모가 크고 이로 인해 피로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무버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간단히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pushing a vehicle directly, it takes a lot of time to push while check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one by one. However, when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solve this problem.

또 본 발명의 무버를 이용해 주차 차량 이동 시 핸들을 잡고 주차 차량의 이동 방향을 주시하면서 이동 방향의 앞 상황에 대해 확인할 수 있기에 이동 주차를 위한 대상 차량과 이와 인접한 앞 또는 뒤 차량 사이에 어린 아이가 끼이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oving a parked vehicle using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ituation ahead of the moving direction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and wa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rked vehicle.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safety 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무빙유닛 및 핸들 일부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4는 무빙유닛에서 리세스 및 널링부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구성도,
도 5는 스틱의 하우징 및 이에 착탈되는 배터리 결합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측면 구성도,
도 6은 다른 예의 무빙유닛을 나타낸 일부 측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동식 무버 사용 상태 구성도,
도 8은 청소유닛의 흡입노즐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측면 구성도,
도 9는 청소유닛의 헤드구조체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 측면 구성도.
1 is a side configuration view showing 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view of Figure 1;
3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moving unit and the handle;
4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 recess and a knurling part in the moving unit;
5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the housing of the stick and the battery coupling structure detachable therefrom;
6 is a partial side view of a moving unit of another exampl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mov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the suction nozzle of the cleaning unit;
9 is an exploded side view showing the head structure of the clean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을 기준으로 무빙유닛 측을 하부 또는 하방, 핸들 측을 상부 또는 상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프론트롤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리어롤러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1, the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is specified as lower or lower, and the handle side is referred to as upper or upper, and the front roller side is referred to as front or front, and the rear roller side is referred to as rear or rear direction. to specify

도 1 내지 도 9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는,1 to 9,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무빙유닛(10), 핸들(20) 및 구동유닛(30)으로 이루어진다.It largely consists of a moving unit 10 , a handle 20 , and a driving unit 30 .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상기 무빙유닛(10)은The moving unit 10 i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to 4,

지면에 롤링 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주차 차량(1)의 타이어(2)를 회전시켜 주차 차량(1)을 강제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forcibly moving the parking vehicle 1 by rotating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to be rolled on the ground,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11),A pair of side plates 11 that are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프론트롤러(12),An idle-type front roller 1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11;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리어롤러(13), 그리고An idle-type rear roller 1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rear lower ends of the side plates 11, and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중앙 상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주차 차량(1)의 타이어(2)와 접촉하게 되는 드라이빙롤러(14)A driving roller 14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re 2 of the parked vehicle 1 while interconnecting the upper center of each side plate 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여기서 상기 무빙유닛(10)의 각 사이드플레이트(11)는 주차 차량(1)의 타이어(2) 폭 보다 큰 이격거리를 갖는데, 이는 주차 차량(1)을 밀어 이동시킬 때에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가 타이어(2)의 회전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상기한 이격거리는 대형 승용차나 SUV(sport utility vehicle) 차량의 타이어 폭 보다 큰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Here, each side plate 11 of the moving unit 10 has a separation distanc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which is when the parking vehicle 1 is pushed and moved. )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tire 2 . As a resul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distance be larger than the tire width of a large passenger car or SUV (sport utility vehicle) vehicle.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무빙유닛(10)에서 드라이빙롤러(14)에는 외주면에 드라이빙롤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면서 드라이빙롤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다수의 리세스(141)와, 외주면에서 상기 각 리세스(14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널링부(knurling)(N)가 형성된다. 이러한 각 리세스(141)와 널링부(N)는 타이어(2)의 패턴을 이루는 돌기 및 홈들과 상호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타이어(2)와 드라이빙롤러(10) 간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4 , the driving roller 14 in the moving unit 10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roller 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radially arrang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driving roller 10 . A plurality of recesses 141 to be formed, and knurling portions N disposed in the remaining regions except for the respective recesses 14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Each of the recesses 141 and the knurling portion N can b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and grooves forming the pattern of the tire 2 to prevent a slip phenomenon between the tire 2 and the driving roller 10 . can do.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드라이빙롤러(10) 회전 시 지면과 접하여 자유 회전하게 되는 상기 프론트롤러(12) 또는 리어롤러(13), 또는 이들 모두의 외주면에도 널링부(N)가 형성되는데,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 모두에 널링부(N)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에 형성된 널링부(N)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 회전 시 지면과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ront roller 12 or the rear roller 13, which freely rotat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driving roller 10 rotates, or a knurling portion 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both, It is most preferable that knurling portions N are form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 The knurling portion N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may prevent a slip phenomenon with the ground when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rotate.

따라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가 주차 차량(1)의 타이어(2) 후방 측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드라이빙롤러(14)가 주차 차량(1)의 타이어(2)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롤러(14) 회전 시 주차 차량(1)의 타이어(2)를 강제로 회전시켜 주차 차량(1)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and the driving roller 14 is in contact with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 When the driving roller 14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30 , the tire 2 of the parked vehicle 1 may be forcibly rotated to push and move the parked vehicle 1 .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무빙유닛(10)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를 상기 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롤러(10)와 함께 강제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타이어(2)와의 슬립 현상이나 지면 상태에 따라 상기 무빙유닛(10)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 상기 드라이빙롤러(10)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 각각에 축 결합된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연동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지면과 접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의 회전에 따라 함께 딸려오는 돌이나 파편 등의 이물질로 인해 기어가 손상됨은 물론, 이러한 기어 손상으로 인해 드라이빙롤러(10)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에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moving unit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are forcibly rotated together with the driving roller 10 by the driving unit 30, but the tire (2)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unit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lip phenomenon or the ground condition, and a gear shaft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10 and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respectively. When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y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 gears are damaged by foreign substances such as stones or debris that come with the rotation of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in contact with the ground, as well as damage to the gears.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ing roller 10 cannot function properly, so it is configured to solve this problem.

상기 핸들(20)은The handle 20 i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1 and 2,

상기 무빙유닛(10)을 조종하기 위한 것으로,For controlling the moving unit (10),

원형 파이프 구조의 스틱(21), 그리고A stick 21 of a circular pipe structure, and

상기 스틱(21)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22)The grip part 22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ick 21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20)에는 상기 스틱(21)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3)과, 상기 끼움홈(23) 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구동모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24)과, 상기 그립부(2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봉(25)과, 상기 끼움봉(25)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23)에 상기 끼움봉(25) 결합 시 상기 소켓(24)에 접속되면서 후술할 배터리(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26)가 더 구비된다.Here, as shown in FIG. 2, the handle 20 has a fitting groove 23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tick 21, and a driving motor 36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fitting groove 23 to be described later; A socket 24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 fitting rod 2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p part 22 and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3 to be coupled, and a fitting rod 25 provided in the fitting rod 25 and provided in the fitting groove ( 23)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g 2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7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ocket 24 when the fitting rod 25 is coupled.

그리고 상기 핸들(20)의 스틱(21)과 그립부(22)가 이루는 길이는 일반 성인이 허리를 굽히지 않고 곧게 선 상태에서 잡을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ngth formed by the stick 21 and the grip portion 22 of the handle 20 is preferably such that an ordinary adult can hold the handle in a straight state without bending the waist.

아울러 상기 핸들(20)의 그립부(22)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ㅁ'자 형상이면서 손으로 파지 시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인접한 개소(個所)에 후술할 스위치(38)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22 of the handle 20 has a 'ㅁ'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switch 38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t an adjacent location where the thumb is positioned when gripped by hand. .

상기 핸들(20) 없이 상기 무빙유닛(10)만으로 무버를 구성할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조작하여야 하고 진행 방향이 변경되거나 타이어(2)로부터 벗어나는 등의 예기치 못한 상황에 바로 대처하여 조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When the mover is configured only with the moving unit 10 without the handle 20, the user has to sit down to operate it, and it is difficult to operate it by directly responding to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a chang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r departure from the tire 2 there is.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무버에는 상기 핸들(20)을 마련하고 또 상기 핸들(20)에 스위치(38)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핸들(20)을 잡은 상태에서 스위치(38)를 통한 무빙유닛(10)의 조종이 용이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unit 10 is provided through the switch 38 while holding the handle 20 by providing the handle 20 and arranging the switch 38 on the handle 20 . ) is easy to control and can quickly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상기 구동유닛(30)은The driving unit 30 i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2,

상기 무빙유닛(10)의 드라이빙롤러(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It is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driving roller 14 of the moving unit 10,

상기 드라이빙롤러(14)의 축에서 좌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교차축기어(31),a first cross-shaft gear 31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driving roller 14;

상기 제1교차축기어(31)와 상호 맞물리며 단부에 제2결합부(321)를 갖는 제2교차축기어(32),A second cross-shaft gear (32) which is intermeshed with the first cross-axis gear (31) and has a second coupling portion (321) at an end thereof;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에서 좌측 사이드플레이트(11)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교차축기어(31, 32)를 감싸 보호하는 기어박스(33),A gearbox 33 mounted on the left side plate 11 in each of the side plates 11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cross shaft gears 31 and 32;

내부 리어공간부(341)를 갖고 상기 리어공간부(341) 바닥 중앙 영역에 상기 제2교차축기어(32)의 제2결합부(321)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박스(33)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리어커넥터(34),The second coupling part 321 of the second cross-shaft gear 32 is disposed in the central area of the bottom of the rear space part 341 having an internal rear space part 341 and on the rear side of the gearbox 33 . a rear connector to be connected (34),

상기 핸들(20)의 스틱(21)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커넥터(34)의 리어공간부(341)에 삽입되는 대응커넥터(35),a corresponding connector 3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ck 21 of the handle 20 and inserted into the rear space 341 of the rear connector 34;

상기 핸들(20)의 스틱(21)에 내장되며 상기 리어커넥터(34)에 상기 대응커넥터(35) 삽입 시 상기 제2교차축기어(32)의 제2결합부(321)와 암수 결합되는 구동축(361)을 갖는 구동모터(36),The drive shaft is built into the stick 21 of the handle 20 and is male and femal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321 of the second cross-shaft gear 32 when the corresponding connector 35 is inserted into the rear connector 34 . A drive motor (36) having a (361),

상기 핸들(20)의 그립부(22)에 내장되며 상기 구동모터(3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7), 그리고a battery 37 embedded in the grip portion 22 of the handle 20 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36; and

상기 핸들(20)의 그립부(22)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36)와 상기 배터리(37) 간의 전원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하는 스위치(38)A switch 38 provided in the grip portion 22 of the handle 20 to turn on or off the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36 and the battery 37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터리(37)는 상기 그립부(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기는 하나,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틱(21)의 상단에 별도의 하우징(211)을 마련하고 이 하우징(211)에 별도의 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그립부(22)에 구비되어 있던 배터리(37)를 상기 하우징(211)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현 가능할 것이다.At this time, although the battery 37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grip part 22 as in FIG. 2 , a separate housing 21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ick 21 as shown in FIG. 5 , and the housing ( A separate battery may be detachably provided in the 211 , and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battery 37 provided in the grip part 22 can be mounted on the housing 211 .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30)에는 상기 제1교차축기어(31)와 상호 맞물리며 단부에 제3결합부(321A)를 갖는 제3교차축기어(32A)와, 내부 프론트공간부(341A)를 갖고 상기 프론트공간부(341A) 바닥 중앙 영역에 상기 제3교차축기어(32A)의 결합부(321A)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박스(33)의 전방 측에 연결되는 프론트커넥터(34A)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어커넥터(34)의 리어공간부(341) 또는 상기 프론트커넥터(34A)의 프론트공간부(341A)에 상기 대응커넥터(35)가 삽입된다.Here, as shown in FIG. 6 , the drive unit 30 has a third cross-shaft gear 32A that is intermeshed with the first cross-shaft gear 31 and has a third coupling part 321A at an end thereof, and an internal front space. A front connector having a portion 341A and having a coupling portion 321A of the third cross-shaft gear 32A disposed in the bottom central region of the front space portion 341A and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gearbox 33 ( By further providing 34A, the corresponding connector 35 is inserted into the rear space 341 of the rear connector 34 or the front space 341A of the front connector 34A.

결국 사용자는 상기 대응커넥터(35)를 상기 리어커넥터(34)나 프론트커넥터(34A)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접속시킬 수 있고, 일예로 상기 리어커넥터(34)에 접속 시 주차 차량(1)의 운전석 뒤 후륜 타이어에 본 발명의 무버를 위치시켜 사용하는데 적할 것이고, 상기 프론트커넥터(34A) 접속 시 주차 차량(1)의 보조석 뒤 후륜 타이어에 본 발명의 무버를 위치시켜 사용하는데 적합할 것이다. 다시 말해, 주차 차량(1)의 주변 환경 등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위치에 상기 핸들(20)을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user can connect the corresponding connector 35 by selecting one of the rear connector 34 and the front connector 34A, for example, when connecting the rear connector 34 to the driver's seat of the parking vehicle 1 It will be suitable for use by placing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ear rear tire, and it will be suitable for using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ocating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rear tire behind the passenger seat of the parking vehicle 1 when the front connector 34A is connected. In other words,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parked vehicle 1 , the user can use the handle 20 by positioning it at an appropriate posi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는 청소유닛(40)을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eaning unit (40),

상기 청소유닛(40)은The cleaning unit 40 is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s 8 and 9,

상기 핸들(20)의 끼움봉(25)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유통홀(41),Distribution hole 41 formed along the inside of the fitting rod 25 of the handle 20,

상기 유통홀(41)과 연통되며 상기 그립부(22)에 장착되는 수집통(42), 그리고A collection tube 42 communicated with the distribution hole 41 and mounted on the grip portion 22, and

상기 수집통(42)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스위치(38)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모터(43)A suction motor 43 disposed in the collection container 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7 and controlled by the switch 38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s made including

이때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청소유닛(40)에는 상기 끼움봉(25)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흡입노즐(44)이 더 구비되고, 상기 흡입노즐(44)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유로가 형성되며, 이 내부 유로가 상기 끼움봉(25)에 억지 끼움되거나 별도의 홀더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는 일반적인 청소기에 적용되어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국 상기 흡입노즐(44)이 상기 끼움봉(25)에 장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무버를 차량 실내 등을 청소할 수 있는 휴대용 청소기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the cleaning unit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44 detachably coupled to the fitting rod 25, and an internal flow pa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uction nozzle 44 is provided. is formed, and this internal flow path may be forcibly fitted to the fitting rod 25 or may be fixed by a separate holder. Since such a holder is applied to a general vacuum clean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 result, when the suction nozzle 44 is mounted on the fitting rod 25, the 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ortable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청소유닛(40)에는 흡입구(451)를 갖는 흡입헤드(452)와, 상기 흡입헤드(452)와 상기 끼움봉(25)을 상호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흡입구(451)와 연통되는 중계홀(453)을 갖는 청소스틱(454)으로 이루어진 헤드구조체(4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청소스틱(454)은 길이조절이 가능하면서 상기 흡입헤드(452)에 연결될 시 상기 흡입헤드(452)에 구비되는 홀더에 의해 결합 고정되고 상기 끼움봉(25)에 연결될 시에는 상기 청소스틱(454)의 상단에 구비되는 홀더에 의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9, the cleaning unit 40 has a suction head 452 having a suction port 451, and the suction head 452 and the fitting rod 25 are interconnected, and the suction port 451 inside )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d structure 45 made of a cleaning stick 454 having a relay hole 453 communicating with, and the cleaning stick 454 is adjustable in length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head 452 when connected to the suction head 452. When coupled and fixed by a holder provided in the suction head 452 and connected to the fitting rod 25 , it may be coupled and fixed by a hold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ing stick 454 .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틱(21)으로부터 상기 그립부(22)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봉(25)에 상기 흡입노즐(44) 또는 상기 헤드구조체(45)를 선택하여 연결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d connect the suction nozzle 44 or the head structure 45 to the fitting rod 25 while the grip portion 22 is separated from the stick 21 .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1 : 주차 차량
2 : 타이어
10 : 무빙유닛
11 : 사이드플레이트
12 : 프론트롤러
13 : 리어롤러
14 : 드라이빙롤러
141 : 리세스
20 : 핸들
21 : 스틱
211 : 하우징
22 : 그립부
23 : 끼움홈
24 : 소켓
25 : 끼움봉
26 : 플러그
30 : 구동유닛
31 : 제1교차축기어
32 : 제2교차축기어
321 : 제2결합부
32A : 제3교차축기어
321A : 제3결합부
33 : 기어박스
34 : 리어커넥터
341 : 리어공간부
34A : 프론트커넥터
341A : 프론트공간부
35 : 대응커넥터
36 : 구동모터
361 : 구동축
37 : 배터리
38 : 스위치
40 : 청소유닛
41 : 유통홀
42 : 수집통
43 : 흡입모터
44 : 흡입노즐
45 : 헤드구조체
451 : 흡입구
452 : 흡입헤드
453 : 중계홀
454 : 청소스틱
N : 널링부
1: Parking vehicle
2: tire
10: moving unit
11: side plate
12: front roller
13: rear roller
14: driving roller
141: recess
20 : handle
21 : stick
211: housing
22: grip part
23: fitting groove
24 : socket
25: fitting rod
26 : plug
30: drive unit
31: first cross shaft gear
32: second cross shaft gear
321: second coupling part
32A: 3rd cross shaft gear
321A: third coupling part
33: gearbox
34: rear connector
341: rear space part
34A: Front connector
341A: front space
35: corresponding connector
36: drive motor
361: drive shaft
37: battery
38: switch
40: cleaning unit
41: distribution hall
42: collection bin
43: suction motor
44: suction nozzle
45: head structure
451: intake
452: suction head
453: relay hall
454: cleaning stick
N: knurled part

Claims (7)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11),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프론트롤러(12),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후방 하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지면과 접촉하게 되는 아이들(idle)형 리어롤러(13), 그리고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의 중앙 상단을 상호 연결하면서 주차 차량(1)의 타이어(2)와 접촉하게 되는 드라이빙롤러(14)를 갖는 무빙유닛(10);
상기 무빙유닛(10)을 조종하기 위한 핸들(20); 및
상기 무빙유닛(10)의 드라이빙롤러(14)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30);
으로 이루어져,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롤러(12, 13)가 주차 차량(1)의 타이어(2) 후방 측 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드라이빙롤러(14)가 주차 차량(1)의 타이어(2)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유닛(30)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롤러(14) 회전 시 주차 차량(1)의 타이어(2)를 강제로 회전시켜 주차 차량(1)을 밀어 이동시키며,
상기 핸들(20)은 스틱(21)과, 상기 스틱(21)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22)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드라이빙롤러(14)의 축에서 좌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교차축기어(31)와, 상기 제1교차축기어(31)와 상호 맞물리며 단부에 제2결합부(321)를 갖는 제2교차축기어(32)와, 상기 각 사이드플레이트(11)에서 좌측 사이드플레이트(11)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교차축기어(31, 32)를 감싸 보호하는 기어박스(33)와, 내부 리어공간부(341)를 갖고 상기 리어공간부(341) 바닥 중앙 영역에 상기 제2교차축기어(32)의 제2결합부(321)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박스(33)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리어커넥터(34)와, 상기 핸들(20)의 스틱(21)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리어커넥터(34)의 리어공간부(341)에 삽입되는 대응커넥터(35)와, 상기 핸들(20)의 스틱(21)에 내장되며 상기 리어커넥터(34)에 상기 대응커넥터(35) 삽입 시 상기 제2교차축기어(32)의 제2결합부(321)와 암수 결합되는 구동축(361)을 갖는 구동모터(36)와, 상기 핸들(20)의 그립부(22)에 내장되며 상기 구동모터(3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7)와, 상기 핸들(20)의 그립부(22)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36)와 상기 배터리(37) 간의 전원 연결을 온(on) 또는 오프(off) 하는 스위치(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A pair of side plates 11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n idle-type front roller 12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lower front ends of each side plate 11, and each of the side plates 11 ), an idle-type rear roller 1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interconnecting the rear lower end of the ), and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while interconnecting the upper center of each side plate 11 a moving unit 10 having a driving roller 14 to be brought into contact;
a handle 20 for manipulating the moving unit 10; and
a driving unit 30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driving roller 14 of the moving unit 10;
The front and rear rollers 12 and 13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n the rear side of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and the driving roller 14 is in contact with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In this state, when the driving roller 14 is rotated by the driving unit 30, the tire 2 of the parking vehicle 1 is forcibly rotated to push the parking vehicle 1 and move it,
The handle 20 is composed of a stick 21 and a grip portion 22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tick 21,
The driving unit 30 includes a first cross-shaft gear 31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shaft of the driving roller 14,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at the end while intermeshing with the first cross-shaft gear 31 ( A second cross shaft gear 32 having a 321 , and a gear mounted on the left side plate 11 in each of the side plates 11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irst and second cross shaft gears 31 and 32 . It has a box 33 and an inner rear space portion 34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1 of the second cross-shaft gear 32 is dispos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bottom of the rear space portion 341, and the gearbox ( 33) a rear connector 34 connected to the rear side, and a corresponding connector 3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tick 21 of the handle 20 and inserted into the rear space 341 of the rear connector 34. And, it is built into the stick 21 of the handle 20, and when the corresponding connector 35 is inserted into the rear connector 34, the second coupling part 321 of the second cross-shaft gear 32 is coupled with the male and female a driving motor 36 having a driving shaft 361 that is used as a driving shaft, a battery 37 built in the grip portion 22 of the handle 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36, and the handle 20 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grip part (22) of a parking vehicle and comprises a switch (38) for turning on or off the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36) and the battery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유닛(10)에서 드라이빙롤러(14)에는 외주면에 드라이빙롤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푹 들어가면서 드라이빙롤러(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다수의 리세스(141)와, 외주면에서 상기 각 리세스(14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되는 널링부(knurling)(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oving unit 10, the driving roller 14 has a plurality of recesses 141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roller 10 while being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roller 1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and a knurling portion (N) disposed in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the respective recesses (14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유닛(10)에서 프론트롤러(12) 또는 리어롤러(13), 또는 이들 모두의 외주면에는 널링부(N)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knurling part (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roller (12) or the rear roller (13) or both of the moving unit (1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에는 상기 스틱(21)의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홈(23)과, 상기 끼움홈(23) 바닥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24)과, 상기 그립부(22)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3)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봉(25)과, 상기 끼움봉(25)에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23)에 상기 끼움봉(25) 결합 시 상기 소켓(24)에 접속되면서 상기 배터리(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26)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20 has a fitting groove 23 formed inside the upper end of the stick 21 , and a socket 2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fitting groove 23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36 . and a fitting rod 25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p part 22 and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3 to be coupled, and the fitting rod 25 provided in the fitting rod 25 and provided in the fitting groove 23 )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lug (2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7)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ocket (24) when coupl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30)에는 상기 제1교차축기어(31)와 상호 맞물리며 단부에 제3결합부(321A)를 갖는 제3교차축기어(32A)와, 내부 프론트공간부(341A)를 갖고 상기 프론트공간부(341A) 바닥 중앙 영역에 상기 제3교차축기어(32A)의 결합부(321A)가 배치되며 상기 기어박스(33)의 전방 측에 연결되는 프론트커넥터(34A)가 더 구비되고,
상기 리어커넥터(34)의 리어공간부(341) 또는 상기 프론트커넥터(34A)의 프론트공간부(341A)에 상기 대응커넥터(3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ive unit 30 has a third cross-shaft gear 32A that is mutually meshed with the first cross-shaft gear 31 and has a third engaging portion 321A at an end thereof, and an inner front space portion 341A. The coupling part 321A of the third cross-shaft gear 32A is disposed in the center area of the bottom of the front space part 341A, and a front connector 34A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gearbox 33 is further provided,
The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sponding connector (35) is inserted into the rear space (341) of the rear connector (34) or the front space (341A) of the front connector (34A).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20)의 끼움봉(25) 내부를 따라 형성되는 유통홀(41)과, 상기 유통홀(41)과 연통되며 상기 그립부(22)에 장착되는 수집통(42)과, 상기 수집통(42)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스위치(38)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모터(43)로 이루어진 청소유닛(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유닛(40)에는 상기 끼움봉(25)에 착탈되게 결합되는 흡입노즐(44)이 더 구비되며,
상기 청소유닛(40)에는 흡입구(451)를 갖는 흡입헤드(452)와, 상기 흡입헤드(452)와 상기 끼움봉(25)을 상호 연결하며 내부에 상기 흡입구(451)와 연통되는 중계홀(453)을 갖는 청소스틱(454)으로 이루어진 헤드구조체(4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틱(21)으로부터 상기 그립부(22)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봉(25)에 상기 흡입노즐(44) 또는 상기 헤드구조체(45)를 선택하여 연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차량용 전동식 무버.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A distribution hole 41 formed along the inside of the fitting rod 25 of the handle 20, a collection tube 42 communicating with the distribution hole 41 and mounted on the grip portion 22, and the collection tube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unit (40) disposed in (4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7) and consisting of a suction motor (43) controlled by the switch (38),
The cleaning unit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44 detachably coupled to the fitting rod 25,
The cleaning unit 40 has a suction head 452 having a suction port 451, and a relay hole that interconnects the suction head 452 and the fitting rod 25 and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451 therein. A head structure 45 made of a cleaning stick 454 having 453 is further provided,
Electric mover for a parking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nozzle 44 or the head structure 45 is selected and connected to the fitting rod 25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part 22 is separated from the stick 21 .
KR1020210037354A 2021-03-23 2021-03-23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KR102282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54A KR102282203B1 (en) 2021-03-23 2021-03-23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354A KR102282203B1 (en) 2021-03-23 2021-03-23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03B1 true KR102282203B1 (en) 2021-07-26

Family

ID=7712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354A KR102282203B1 (en) 2021-03-23 2021-03-23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0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827B1 (en) 2004-05-25 2006-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ushing Device For Car
KR100812325B1 (en) 2007-05-28 2008-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olding type push bar for parked car
KR101043886B1 (en) 2008-12-29 2011-06-22 박병섭 Moving apparatus for a parking vehicle
KR20130083762A (en) 2012-01-13 2013-07-23 조기권 Position shifting and stopping device for parking vehicle
KR101760689B1 (en) * 2016-03-22 2017-07-24 정규영 Apparatus for transfering compulsion automobile for portable
KR101933021B1 (en) * 2018-05-17 2018-12-28 박영용 Apparatus for moving parked vehicle automatical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827B1 (en) 2004-05-25 2006-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ushing Device For Car
KR100812325B1 (en) 2007-05-28 2008-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olding type push bar for parked car
KR101043886B1 (en) 2008-12-29 2011-06-22 박병섭 Moving apparatus for a parking vehicle
KR20130083762A (en) 2012-01-13 2013-07-23 조기권 Position shifting and stopping device for parking vehicle
KR101760689B1 (en) * 2016-03-22 2017-07-24 정규영 Apparatus for transfering compulsion automobile for portable
KR101933021B1 (en) * 2018-05-17 2018-12-28 박영용 Apparatus for moving parked vehicle automatica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5289B1 (en) Motor driven scissor jack with limit switches
US5988304A (en) Wheelchair combination
US3826322A (en) Accessory wheel and drive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758291B1 (en) Compact multipurpose trailer tug
US5904214A (en) Power assist anti-tip wheel system for invalid carriage
US20040146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a vehicle
WO1997034051A1 (en) Rear drive ride-on tractor unit for propelling steerable utility vehicles such as walk-behind paint stripers
US9758133B2 (en) Vehicle lifting and parallel parking aid
US8851210B2 (en) Device for moving vehicles
KR102282203B1 (en) Electric mover for parked vehicles
US8262439B2 (en) Riding apparatus for treating floor surfaces with a power cord handling swing arm
US20070108716A1 (en) Trial bidirectional wheels, tires and vehicles
RU2616119C2 (en) Trailer with controlled ancillary axle
JPH10315701A (en) Vehicle tire and vehicle using it
KR102656406B1 (en) Vehicle mobility
KR101329362B1 (en) Wheel alignment system of 2ws/4ws vehicle
US5738376A (en) Automobile parking aid mechanism
JPS6393672A (en) Steering device for road cleaning vehicle
EP2211814B1 (en) Drivable anti-tip castors
KR102389084B1 (en) Non-powered parking apparatus
KR20200061051A (en) Articulated electric vehicle for road sweeping
US9522624B1 (en) Remotely operated vehicular pushing apparatus
EP0132333A2 (en) Universal detachable mud-grips
US20170225509A1 (en) Tire Traction and Vehicle Turning Device
JP2004331012A (en) Self-propelling electric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