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90B1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 Google Patents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90B1
KR102281990B1 KR1020190111187A KR20190111187A KR102281990B1 KR 102281990 B1 KR102281990 B1 KR 102281990B1 KR 1020190111187 A KR1020190111187 A KR 1020190111187A KR 20190111187 A KR20190111187 A KR 20190111187A KR 102281990 B1 KR102281990 B1 KR 102281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nsor cover
cruise control
smart cruise
optic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0521A (ko
Inventor
김병초
김병도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이 filed Critical (주)아이에이
Priority to KR102019011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3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4Inserts
    • B32B2305/34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파 투과성, 반사율 및 그릴 금속감을 향상시키고, 주변 환경에 의한 오감지 또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있어서,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진층; 상기 투명 레진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고 광택을 나타내는 다층 광학막; 상기 다층 광학막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고 흑색을 나타내는 블랙 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레진층 전면에는 발수 기능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접촉각이 85°±5°인 발수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Sensor Cover for Smart Cruise Control}
본 발명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파 투과성, 반사율 및 그릴 금속감을 향상시키고, 주변 환경에 의한 오감지 또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센서 커버(Sensor cover)는 센서(Sensor)의 안테나를 덮는 부분으로, 통상 안테나를 충돌, 파편, 및 강한 풍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센서 커버에는 풍압, 공기와의 마찰, 우박 등에 견딜 수 있는 강도, 내후성, 경량성, 우수한 전파 투과율 등이 요구된다.
그런데 센서 커버를 설계하는데 디자인 측면에서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다. 오토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auto cruise control system)은, 운전자가 희망하는 속도로 스위치를 조작하면, 컴퓨터가 차속을 기억하여 운전자가 엑셀 페달을 밟지 않고도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말한다. 오토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은 차속뿐만 아니라 차량 간 거리도 제어하는데, 시스템에 설치된 센서가 차량 간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간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차량의 앞쪽에 설치될 수밖에 없고, 미관상 센서의 안테나를 덮을 수 있는 센서 커버가 요구된다. 그리고 차량용 센서 커버는 그 주변과 어우러질 필요가 있다.
도 1에는 앞쪽 내부에 센서가 설치된 차량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센서 커버는 프론트 그릴(Front grille)에 설치되거나, 엠블럼(Emblem) 뒷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엠블럼 그 자체가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차량용 센서 커버가 설치된 프론트 그릴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차량용 센서 커버는 프론트 그릴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차량용 센서 커버가 그 자체로 엠블럼이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프론트 그릴은 흑색 및/또는 은색을 나타낸다. 엠블럼도 흑색 및/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파 투과성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소재로 차량용 센서 커버를 제조할 경우, 그 차량용 센서 커버는 그 주변과 어우러지기 어렵다. 게다가 차량의 내부가 투명한 센서 커버를 통해 보이는 것도 미관상 좋지 않다. 이와 같이, 흑색 또는 은색을 나타내는 소재로 차량용 센서 커버를 제조할 경우, 그 차량용 센서 커버가 그 주변의 프론트 그릴 및/또는 엠블럼과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파 투과성을 확보하는 것이 문제된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금속 색상 및 광택을 나타내면서도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인, 인듐(In) 또는 주석(Sn)이 센서 커버 소재로 이용되었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일본 등록특허 제3366299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 적용하는 인듐(In) 또는 주석(Sn)은 고가의 소재이므로 센서 커버 부품 가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자동차용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아 오동작을 하거나 인식 오류가 발생해서는 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일반적인 센서 커버는 눈, 비, 오염 물질, 이물질 등 외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레이더 센서의 인식 오류가 발생하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일본 등록특허 제33662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다층 광학막과 반사광 강화층을 채택 적용함으로써, 전파 투과성, 반사율 및 그릴 금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드 코팅층, 내열성 도료층 및 투명 발열선을 채택 적용함으로써, 주변 환경에 의한 오감지 또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있어서,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진층; 상기 투명 레진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고 광택을 나타내는 다층 광학막; 상기 다층 광학막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고 흑색을 나타내는 블랙 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레진층 전면에는 발수 기능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접촉각이 85°±5°인 발수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불소계, 실리콘계, 왁스계, 알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의 발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층 광학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이 교번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저굴절률층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산질화물(SiOxNy),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 플루오르화바륨(BaF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굴절률층은 주석(Sn), 아연(Zn), 세륨(Ce),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인듐(In), 텅스텐(W), 티타늄(Ti), 니오븀(Nb), 탄타륨(T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층 광학막의 상부에 게르마늄(Ge) 또는 게르마늄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되는 반사광 강화층과 상기 반사광 강화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열성 도료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 레진층과 하드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또는 상기 투명 레진층과 하드 코팅층 사이에 투명 발열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의하면, 다층 광학막과 반사광 강화층을 채택 적용하기 때문에, 전파 투과성, 반사율 및 그릴 금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드 코팅층, 내열성 도료층 및 투명 발열선을 채택 적용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의한 오감지 또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센서가 설치된 차량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차량용 센서 커버가 설치된 프론트 그릴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를 구성하는 다층 광학막의 예시적인 적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를 구성하는 투명 발열선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투명 레진층(10), 프라이머층(20), 다층 광학막(30), 블랙 차폐층(70), 불투명 레진층(80) 및 하드 코팅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반사광 강화층(50)과 내열성 도료층(60)이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특정한 색상 및 광택을 나타내면서,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차량용 센서 커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센서(1)에서 나오는 전파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를 통과하여 차량에 해당하는 물체(3)에 도달하고, 물체(3)로부터 반사되는 전파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를 통과하여 센서(1)에 도달하는 배치 관계에 있다.
상기 투명 레진층(10)은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일 수 있다. 이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이나, 상기 다층 광학막(30) 및 블랙 차폐층(70)에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그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외부로 나타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이 나타내는 광택을 그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외부로 나타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에서, 사람이 자동차, 차량에 해당하는 물체(3) 쪽에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를 바라볼 때,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특정한 색상으로 보인다. 이는 물체(3) 쪽에서 조사되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에 도달하는 광의 일부가, 다시 물체(3) 쪽으로 반사되면서 특정한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이나, 상기 다층 광학막(30) 및 블랙 차폐층(70)에 반사되는 광의 특정한 색상이 그대로 투명 레진층(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나타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레진층(10)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이미드(PI),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릴레이트(PAR), 에이비에스(ABS)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상부에는 프라이머층(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라이머층(20) 역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상부에 형성되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아크릴 계열의 수지(주성분), 용제, 및 기타 첨가제가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라이머층(20)은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프라이머층(20)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이는,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층 광학막(30)이나, 상기 다층 광학막(30) 및 블랙 차폐층(70)에 반사되는 광의 색상이 그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외부로 나타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층 광학막(30)이 나타내는 광택을 그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외부로 나타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라이머층(20)은 접착력이 있어, 상기 투명 레진층(10) 및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접착을 돕는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상부에는 다층 광학막(30)이 형성되고, 상기 다층 광학막(30)은 빛을 반사시키고 광택을 나타낸다. 즉, 상기 다층 광학막(30)은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고 광택을 나타낸다. 상기 다층 광학막(30)은 후술하겠지만 금속 산화물이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되, 기본적으로 저굴절률층(33)과 고굴절률층(31)이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상부에는 블랙 차폐층(70)이 형성되고, 상기 블랙 차폐층(70)은 빛을 차단하고 흑색을 나타낸다. 즉, 상기 블랙 차폐층(70)은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고 흑색을 나타낸다.
상기 블랙 차폐층(70)은 아크릴 계열의 수지(주성분), 흑색 안료, 용제, 및 기타 첨가제가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블랙 차폐층(70)은 도장(painting), 디핑(dipping), 또는 스프레이(spray)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블랙 차폐층(70)은 흑색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가 차량용 센서 커버로 이용되는 경우, 차량 내부의 부품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블랙 차폐층(70)의 색상은 외부에 보여지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색상과도 관련이 있다. 블랙 차폐층(70)의 색상이 그대로 외부에 나타나, 본 발명에 다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가 흑색을 나타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다층 광학막(30)을 이루는 물질들,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두께 등이 변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가 밝은 색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블랙 차폐층(70)은 불투명 레진층(80)으로 덮혀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블랙 차폐층(70)은 상기 불투명 레진층(80)에 코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불투명 레진층(80)은 불투명하면서 전파 투과성이 높다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예를 들어 ASA(Acrylic Styrene Acrylonitrile)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불투명 레진층(80)은 바람직하게는 검은색으로 구성되고, 상기 투명 레진층(10)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투명 레진층(80)의 후면에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용 레이더나 기타 주변 부재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은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아 오동작을 하거나 인식 오류가 발생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눈, 비, 오염 물질, 이물질 등 외부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 적용할 필요가 있고, 결과적으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레이더 센서의 인식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상기 투명 레진층(10) 전면에 형성되는 하드 코팅층(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레진층(10) 전면에는 발수 기능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90)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90)은 접촉각이 85°±5°인 발수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드 코팅층(90)은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전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역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코팅층(90)은 빛을 통과시킬 수 있고 접촉각이 85°±5°인 발수력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비 또는 눈이 내리더라도 상기 하드 코팅층(90)의 발수력에 의하여 물방울이 맺히지 않고 흘러 내려가기 때문에, 전파 이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90)은 불소계, 실리콘계, 왁스계, 알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의 발수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불소계 발수물질은 불소를 함유하는 에스테르기로서 퍼플루오르알킬기(perfluoro alkyl gorup)를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계 발수 물질은 메틸수소폴리실록산(methyl hydrogen polysiloxane)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왁스계 발수 물질은 파라핀을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불소계 발수물질은 상기 실리콘계 발수 물질에 비하여 고도의 발수성, 낮은 이형성뿐만 아니라, 발유성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하드 코팅층(90)을 형성하기 위하여 채택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를 구성하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굴절률층(33)과 고굴절률층(31)이 교번 적층되어 구성된다. 도 5에서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이 상기 저굴절률층(33)과 고굴절률층(31)을 세번 교번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나타내고자 하는 광택, 반사율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가변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률층(33)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산질화물(SiOxNy),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 플루오르화바륨(BaF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굴절률층(31) 역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주석(Sn), 아연(Zn), 세륨(Ce),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인듐(In), 텅스텐(W), 티타늄(Ti), 니오븀(Nb), 탄타륨(T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광학막(30)을 이루는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SiO2로 구성된 저굴절률층(33)과 TiO2로 구성된 고굴절률층이 교번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SiO2로 구성된 저굴절률층은 다층 광학막(30)의 반사광의 색상을 밝게 하고,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여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TiO2로 구성된 고굴절률층(31)은 모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다층 광학막(30)과 투명 레진층(10)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SiO2나 TiO2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질은, 전파 투과성이 높으면서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이 우수하고, 저굴절률층(33)과 고굴절률층(31)을 교번 적층한 구조를 통해 높은 반사율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저굴절률층(33) 및 고굴절률층(31)은 상술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저굴절률층(33)을 실리콘산질화물 형성하고 고굴절률층(31)을 Ta2O3로 형성하는 등,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 두 재료를 교번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층 광학막(30)의 반사율을 결정하는 인자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저굴절률층(33)과 상기 고굴절률층(31)이 교번 적층된 층 수와 각 층의 두께 및 총 두께에 의해 반사율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광학막(30)은 적어도 하나의 저굴절률층(33)과 고굴절률층(31)이 교번 적층되어 형성되되, 소정의 증착 방법에 의해 증착되어 형성된다. 증착 방법은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전자빔 증착(electron beam 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열 CVD(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무전해 도금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다양한 금속 산화물층을 다층으로 증착할 수 있는 멀티 증착기로서, 전자빔 증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다층 광학막(30)을 증착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상기 다층 광학막(30)의 상부에 게르마늄(Ge) 또는 게르마늄 합금을 증착하여 형성되는 반사광 강화층(50)과 상기 반사광 강화층(5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열성 도료층(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광 강화층(50)은 반사율을 보강할 수 있는 전파 투과층으로서, 게르마늄(Ge) 또는 게르마늄 합금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사용된 인듐(In), 주석(Sn), 또는 갈륨(Ga) 대신, 본 발명에서는 게르마늄이 사용된다. 게르마늄은 준금속으로, 암색 계열 색상 및 광택을 나타냄은 물론 전파를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광 강화층(5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가 암색 계열 색상 및 광택을 나타내는데 기여한다.
상기 게르마늄 합금은 게르마늄, 및 주기율표의 3B 내지 5A족에 속하는 1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한다. 게르마늄에 추가된 상기 1개 이상의 원소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 이상의 원소는 금(Au), 은(Ag), 붕소(B),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주석(Sn), 및 탈륨(Tl)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소이다.
상기 반사광 강화층(50)은 상기 다층 광학막(30)과 동일하게 증착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적용될 수 잇는 증착 방법은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전자빔 증착(electron beam 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열 CVD(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및 무전해 도금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다층 광학막(30)과 동일 챔버에서 연속적으로 증착 형성하는 장점을 고려하여 전자빔 증착기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광 강화층(50)을 증착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내열성 도료층(60)은 상기 반사광 강화층(50) 상부에 형성되어 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인접하는 층들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열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는 상기 투명 레진층(10)과 하드 코팅층(9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또는 상기 투명 레진층(10)과 하드 코팅층(90) 사이에 투명 발열선(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발열선(40)은 상기 투명 레진층(1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도 6의 (a) 및 (b) 참조), 상기 하드 코팅층(9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도 6의 (c) 참조), 상기 투명 레진층(10)과 상기 하드 코팅층(9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발열선(40)은 투명한 금속 재질로 코팅 형성되거나 투명한 열선이 형성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발열선(4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100)의 표면에 물기 또는 눈이 묻는 것을 방지하여 전파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 자동차용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의 오동작 또는 오감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발열선(40)은 상기 발수 기능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90)과 연계되어 주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센서 3 : 물체
10 : 투명 레진층 20 : 프라이머층
30 : 다층 광학막 31 : 고굴절률층
33 : 저굴절률층 40 : 투명 발열선
50 : 반사광 강화층 60 : 내열성 도료층
70 : 블랙 차폐층 80 : 불투명 레진층
90 : 하드 코팅층 100 :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Claims (5)

  1.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에 있어서,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명 레진층; 상기 투명 레진층의 상부에 형성되고,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고 광택을 나타내는 다층 광학막; 상기 다층 광학막의 상부에 형성되어 빛을 차단하고 흑색을 나타내는 블랙 차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레진층 전면에는 발수 기능을 가지는 하드 코팅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은 접촉각이 85°±5°인 발수력을 가지며,
    상기 하드 코팅층은 실리콘계, 왁스계, 알킬에틸렌 중, 어느 하나의 발수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드 코팅층 내부에 투명 발열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광학막은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이 교번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저굴절률층은 실리콘산질화물(SiOxNy), 플루오르화마그네슘(MgF2), 플루오르화바륨(BaF2)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굴절률층은 주석(Sn), 세륨(Ce), 알루미늄(Al), 인듐(In), 텅스텐(W), 니오븀(Nb), 탄타륨(T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1187A 2019-09-09 2019-09-09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KR10228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87A KR102281990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87A KR102281990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521A KR20210030521A (ko) 2021-03-18
KR102281990B1 true KR102281990B1 (ko) 2021-07-28

Family

ID=7523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187A KR102281990B1 (ko) 2019-09-09 2019-09-09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1888A (ja) * 2016-08-24 2018-03-01 豊田合成株式会社 近赤外線センサ用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4021C2 (de) 1998-09-25 2001-05-10 Daimler Chrysler Ag Innerhalb des Strahlenganges eines Radargerätes liegendes Verkleidungsteil
KR101869157B1 (ko) * 2015-09-23 2018-06-19 김훈래 색상 조절 및 전파 투과 가능한 차량용 센서 커버 적층체
KR20190011528A (ko) * 2017-07-25 2019-02-07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전파 탐지기 방호용 전방 커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1888A (ja) * 2016-08-24 2018-03-01 豊田合成株式会社 近赤外線センサ用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521A (ko)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52057A1 (ja) 近赤外線センサ用カバー
US11128037B2 (en) Radome for vehicles
EP3663814B1 (en) Cover device for near-infrared sensors
CN1125996C (zh) 具有眩光控制的波长选择应用薄膜
CN106908884B (zh) 具有金属光泽的无线电波可穿透层
JP4122010B2 (ja) 赤外線受発光部
KR10163827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869157B1 (ko) 색상 조절 및 전파 투과 가능한 차량용 센서 커버 적층체
JP2018031888A (ja) 近赤外線センサ用カバー
WO2020078916A2 (en) Decorative radom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4270626A (zh) 第一表面或第二表面装饰性雷达天线罩
TWI598225B (zh) 具有優異的光學和太陽能性能的複合膜
US20160170514A1 (en) Touch scree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WO2008065962A1 (ja) 可視光透過熱線反射シート
US20220065422A1 (en) Decorative pvd coated items and radom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281990B1 (ko)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용 센서 커버
CN115732920A (zh) 装饰性pvd涂覆物品和天线罩及其制造方法
JP7230830B2 (ja) 近赤外線センサカバー
KR102059484B1 (ko) 차량용 커버 플레이트 조립체
JP6904392B2 (ja) 近赤外線センサ用カバー
KR20210022305A (ko) 센서 커버
KR101824090B1 (ko) 센서 커버용 적층체
WO2018075440A2 (en) Solar control window film
KR200478526Y1 (ko) 차량용 룸미러
CN115453644A (zh) 液滴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