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906B1 -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906B1
KR102281906B1 KR1020190170130A KR20190170130A KR102281906B1 KR 102281906 B1 KR102281906 B1 KR 102281906B1 KR 1020190170130 A KR1020190170130 A KR 1020190170130A KR 20190170130 A KR20190170130 A KR 20190170130A KR 102281906 B1 KR102281906 B1 KR 102281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got
plating solution
plating bath
plat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645A (ko
Inventor
정철호
Original Assignee
유플리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플리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플리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23C2/00344Means for moving substrates, e.g. immersed rollers or immersed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5Charging or loading melting furnaces with material in the solid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M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OF THE CHARGES OR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 F27M2001/00Composition, conformation or state of the charge
    • F27M2001/22Ing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하도록 받친 상태로 용융시켜 잉곳(C)이 한 번에 투입되면서 발생하는 도금액(B)의 소용돌이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유닛(110);을 포함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액의 탕면에 부상한 상태로 용융시켜 탕면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강판의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비가 도금액에 잠기지 않으므로 도금액의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Ingot feeding device to prevent the surface flow of molten steel in the plating bath}
본 발명은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곳을 도금욕조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금액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여 강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도금공정에서 도금액의 농도 또는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잉곳을 투입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중량물인 잉곳이 도금욕조로 한 번에 투입되면서 도금액의 탕면에 유동(출렁거림) 및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그 여파로 탑 드로스 및 애쉬 등과 같은 이물질이 강판의 표면에 쉽게 혼입 또는 부착되면서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크레인 등과 같은 투입장비를 이용하여 잉곳을 도금욕조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투입장비의 일부가 도금액에 잠기면서 농도를 변화시키고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도금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7746호(2004.07.0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62525호(2013.06.13.) 한국등록특허 제10-1425130호(2014.08.13.) 한국등록특허 제10-1523216호(2015.05.29.)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0179호(2015.06.03.) 한국등록특허 제10-1536938호(2015.07.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욕조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도금액의 탕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잉곳이 도금액에 잠긴 상태로 자연스럽게 용융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100)는,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하도록 받친 상태로 용융시켜 잉곳(C)이 한 번에 투입되면서 발생하는 도금액(B)의 소용돌이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유닛(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 유닛(110)은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부(111); 상기 회전부(111)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되 잉곳(C)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몸체(112); 상기 받침 몸체(112)를 상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 몸체(112)와 구동수단(113)의 사이에 형성하는 연결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 유닛(110)의 하부에 잉곳(C)과 맞닿아 도금욕조(A)의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유닛(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지지 유닛(120)은 잉곳(C)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몸체(121); 상기 지지 몸체(121)의 하부에 상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잉곳을 도금액의 탕면에 부상한 상태로 용융시켜 탕면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강판의 생산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잉곳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장비가 도금액에 잠기지 않으므로 도금액의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하도록 받친 상태로 용융시켜 잉곳(C)이 한 번에 투입되면서 발생하는 도금액(B)의 소용돌이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유닛(11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받침 유닛(110)은 크레인 또는 컨베이어 등과 같은 별도의 공급장비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한 상태로 들어올려 자연스럽게 용융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종래와 같이 중량물인 잉곳(C)을 바로 도금욕조(A)에 투입시킬 경우 도금액(B)의 비중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유동이 발생하여 이물질의 혼입으로 강판의 생산품질이 저하되므로, 이러한 제반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 유닛(110)을 이용하여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용융시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받침 유닛(1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부(111); 상기 회전부(111)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되 잉곳(C)을 받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몸체(112); 상기 받침 몸체(112)를 상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111)는 축 또는 핀 형태로 상기 받침 몸체(112)가 원활하게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받침 몸체(112)는 잉곳(C)을 받친 상태로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하면서 위치를 조절하여 자연스럽게 용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 몸체(112)는 잉곳(C)이 점차 도금액(B)에 용융되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도금액(B)의 탕면에서 하부로 완전히 잠길 경우 쉽게 위치를 이탈하거나 도금욕조(A)의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잉곳(C)의 용융 상태에 따라서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상부로 회전하면서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13)은 상기 받침 몸체(112)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실린더 또는 기어와 모터의 조합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113)의 주변에는 도금액(B)의 열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커버 또는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받침 몸체(112)와 구동수단(113)의 사이에 형성하는 연결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14)는 상기 받침 몸체(112)의 일측에서 도금욕조(A)의 외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구동수단(113)의 작동으로 상기 받침 몸체(112)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부(114)는 도금액(B)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로 발생하는 상기 구동수단(113)의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하고, 잉곳(C)의 하부 후방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11), 받침 몸체(112), 연결부(114)는 내열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 유닛(110)의 하부에 잉곳(C)과 맞닿아 도금욕조(A)의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 유닛(120)은 상기 받침 유닛(110)의 유지보수 및 고장이 발생하여 작동이 어려울 경우 대체하여 잉곳(C)을 지지하여 용융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받침 유닛(110)에서 이탈하여 가라앉는 잉곳(C)을 받아서 용융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 유닛(120)은 잉곳(C)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몸체(121); 상기 지지 몸체(121)의 하부에 상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 몸체(12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잉곳(C)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122)는 잉곳(C)의 전방과 맞닿아 더는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정지시켜 용융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급장비(미 도시함)를 이용하여 잉곳(C)을 도금액(B)에 투입하여 상기 받침 몸체(112)의 상부에 안착한다.
이때 상기 받침 몸체(112)는 상기 구동수단(113)의 작동으로 상부로 회전하면서 잉곳(C)을 들어올려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액(B)에 잠긴 상태의 잉곳(C)이 자연스럽게 용융되면서 남아있는 잉곳(C)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용융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잉곳(C)이 거의 용융되면 상기 받침 몸체(112)의 상부로 회전시켜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상태를 유지하면서 완전히 용융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110: 받침 유닛 111: 회전부
112: 받침 몸체 113: 구동수단
114: 연결부
120: 지지 유닛 121: 지지 몸체
122: 받침부
A: 도금욕조 B: 도금액
C: 잉곳

Claims (5)

  1.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잉곳(C)을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하도록 받친 상태로 용융시켜 잉곳(C)이 한 번에 투입되면서 발생하는 도금액(B)의 소용돌이 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받침 유닛(110);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 유닛(110)은 도금욕조(A)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형성하는 회전부(111); 상기 회전부(111)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하되 잉곳(C)을 받친 상태로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전하면서 위치를 조절하여 자연스럽게 용융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받침 몸체(112); 잉곳(C)이 점차 도금액(B)에 용융되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도금액(B)의 탕면에서 하부로 완전히 잠길 경우 쉽게 위치를 이탈하거나 도금욕조(A)의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잉곳(C)의 용융 상태에 따라서 도금액(B)의 탕면에 부상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 몸체(112)를 상하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13);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 몸체(112)와 구동수단(113)의 사이에 형성하는 연결부(114);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 유닛(110)의 하부에 잉곳(C)과 맞닿아 도금욕조(A)의 바닥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유닛(1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120)은 잉곳(C)의 하부와 맞닿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 몸체(121); 상기 지지 몸체(121)의 하부에 상부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70130A 2019-12-18 2019-12-18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KR10228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30A KR102281906B1 (ko) 2019-12-18 2019-12-18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130A KR102281906B1 (ko) 2019-12-18 2019-12-18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45A KR20210078645A (ko) 2021-06-29
KR102281906B1 true KR102281906B1 (ko) 2021-07-28

Family

ID=7662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130A KR102281906B1 (ko) 2019-12-18 2019-12-18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9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43Y1 (ko) * 1996-09-24 2000-09-01 이구택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200202394Y1 (ko) * 2000-05-31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아연도금설비용 잉고트 용융바스켓 장치
KR102038483B1 (ko) *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635B1 (ko) 2002-12-26 2009-12-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에서 도금욕 알루미늄 농도의 고정밀 제어방법
KR20130062525A (ko) 2011-12-05 2013-06-13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액 유지 장치
KR101425130B1 (ko) 2013-11-05 2014-08-13 주식회사 리배산업 생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융아연 도금장치
KR101564407B1 (ko) 2013-11-26 2015-10-29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용액의 조성 제어 시스템
KR101523216B1 (ko) 2014-08-14 2015-05-29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투입장치
KR101536938B1 (ko) 2014-08-14 2015-07-2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잉곳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143Y1 (ko) * 1996-09-24 2000-09-01 이구택 아연 도금조의 잉고트 투입 유도장치
KR200202394Y1 (ko) * 2000-05-31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아연도금설비용 잉고트 용융바스켓 장치
KR102038483B1 (ko) * 2019-09-11 2019-10-30 주식회사 리배산업 도금욕조의 도금액 농도 및 레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645A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4046B (en) A method for refining a glass melt and an apparatus for melting and refining a glass melt
US8366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gassing molten metal
US10352620B2 (en) Transferring molten metal from one structure to another
US11358217B2 (en) Method for melting solid metal
JPS62205235A (ja) 溶融金属の処理装置
CN106222445A (zh) 一种铝液精炼设备及铝液精炼工艺
RU2443961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перемешивания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KR102281906B1 (ko) 도금욕조의 탕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잉곳 투입장치
KR101238994B1 (ko) 금속 주조에 있어서의 용탕 연속 공급 시스템
JP4725244B2 (ja) 連続鋳造用取鍋及び鋳片の製造方法
JP2007161566A (ja) 溶融ガラスの輸送方法及び輸送装置
KR20140058767A (ko) 용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6589876B2 (ja) ガラス溶融物製造装置、ガラス溶融物製造方法、ガラス物品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物品製造方法
KR101526444B1 (ko) 용탕 처리 장치
KR101804670B1 (ko) 일렉트로 슬래그 재용해로
JP4412316B2 (ja) 液体容器および該液体容器を用いた液体排出方法
JP4243711B2 (ja) 坩堝炉
US1375589A (en) Appliance for casting metal ingots into molds
KR101528254B1 (ko) 로체를 리프팅할 수 있는 정치식 용해로
JP4471875B2 (ja) アノード鋳造用計量鍋
WO2000061506A1 (fr) Procede de desemulsification de verre fondu a pression reduite et appareil de production de verre par desemulsification a pression reduite
US1483030A (en) Furnace for melting stereo and similar metals and other materials
US1138111A (en) Glass-melting tank-furnace.
KR20100006403U (ko) 슬래그 유출 방지를 위한 턴디쉬
KR20040046414A (ko) 고로의 대탕도 용융물 와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