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805B1 -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805B1
KR102281805B1 KR1020210052345A KR20210052345A KR102281805B1 KR 102281805 B1 KR102281805 B1 KR 102281805B1 KR 1020210052345 A KR1020210052345 A KR 1020210052345A KR 20210052345 A KR20210052345 A KR 20210052345A KR 102281805 B1 KR102281805 B1 KR 10228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olution
porous membrane
fluorescent dye
diagnostic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805B9 (ko
Inventor
윤혁준
오성훈
강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1005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05B1/ko
Publication of KR10228180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80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06Solid-phase rea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 분석 체외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단키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다공성 멤브레인에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 용액을 분주시켜 건조한뒤 검체가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 용액이 분주된 부분을 지나면서 분석물질과 반응하여 형광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건식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형광 면역 분석 방법으로서, 검체를 항체가 들어있는 용액과 섞은 뒤 진단 키트에 점적하고, 형광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으로, 진단 키트에 검체 만을 점적하여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석 성능향상 및 분석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DRY ANALYTICAL IN-VITRO DIAGNOSTIC KIT FOR FLUORESCENT QUANTITATIVE ANALYSIS USING FLUORESCENT DY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단키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다공성 멤브레인에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용액을 분주시켜 건조한 뒤 검체가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용액이 분주된 부분을 지나면서 분석 물질과 반응하여 형광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건식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형광 면역 분석 방법으로서, 검체를 항체가 들어있는 용액과 섞은 뒤 진단 키트에 점적하고, 형광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한 것으로, 진단 키트에 검체 만을 점적하여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석 성능향상 및 분석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19 판데믹 상황에서 바이러스의 감염 증상과 다양한 합병증의 발현과 정도를 알아내기 위한 진단 시약, 진단기기 들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체액과 혈액, 혈청 그리고 혈장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감염과 각종 합병증들을 체외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체외진단 키트는 신체 부담이 적고 사용이 간편하며 필요 설비가 과다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체외 진단기기는 단순 질병의 진단에만 그치지 않고, 체내 표지 물질의 정량을 통해 질병의 진행 정도 및 지속적인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료진의 임상 결과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외 정량 진단 키트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인체 내 존재하는 미량의 표적물질을 정량하며, 전체적으로 측면 유동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 (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ic assay, LFIA)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제작된 측면 유동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을 이용한 체외 정량 진단 키트의 경우 크게 두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번째로 표적 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진단 키트 카트리지와 두 번째로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표지물질 (유기 형광 물질)과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반응 용액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표지물질이 결합된 항체를 포함한 반응 용액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하며, 이로 인해 운송, 보관상에 들어가는 많은 비용과 온도 유지에 필요한 설비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 있다는 것을 감안할 때, 체외 정량 진단 키트의 수요를 늘리려면 해당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개발된 체외 정량 진단 키트에 관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 보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받은 한국등록특허 10-1807871(등록일자 2017년12월05일)는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사용하여 표적물질을 정량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샘플 패드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시료가 컨쥬게이션 패드로 이동하여 상기 타겟 물질과 결합한 제1항체를 상기 제3항체에서 포획하는 단계와; 제1파장을 가지는 제1광원을 유로퓸(Europium) 입자에 조사하고, 상기 제1파장과 다른 제2파장을 가지는 제2광원을 상기 형광 염료에 조사하여 상기 유로퓸에 서 방출하는 제1광신호와 상기 형광 염료에서 방출하는 제2광신호를 하나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에서 동시에 수신하여 신호 유무 및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고정되는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립은,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적층되며 nitro cellulose membrane으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막과, 상기 다공성 막의 일단에 배치되는 컨쥬게이션 패드(conjugation pad)와,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의 일단에 마련되는 샘플 패드(sample pad)를 포함하고,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에는 타겟 물질과 결합 가능한 제1항체와, 상기 제1항체에 결합되는 유로퓸(Europium) 입자 및 형광 염료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막에는 테스트 라인(test line) 및 컨트롤 라인(control line)이 배치되고, 상기 테스트 라인에는 상기 타겟 물질과 결합한 제1항체와 결합하는 제3항체가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 라인에는 컨쥬게이션 패드(conjugation pad)에 존재하는 제2항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4항체를 포함하고, 형광 염료의 표면에는 실리카 층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카 층에는 -COOH 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항체에 유로퓸(Europium) 입자 및 형광 염료를 결합하는 과정은 형광 염료-NHS ester와 제1항체를 접합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형광 염료와 결합시킨 제1항체를 유로퓸 입자에 접합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과정은 PBS(Phosphate-Buffered Saline)과, 중탄산 나트륨 완충액(Sodium bicarbonate buffer)으로 조정된 제1항체를 넣고 교반하여 제1항체를 용해시킨 제1용액과,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DMF(dimethylformamide)에 녹인 게 형광 염료-NHS(N-Hydroxysuccinimide) ester를 첨가하고 암실에서 교반한 제2용액과, 상기 제1용액에 제2용액을 첨가하여 교반시킨 제3용액을 각각 마련한 다음, 상기 제3용액을 컬럼에 떨어뜨리고 상기 컬럼에서 형광 염료로 표지된 제1항체만을 분리한 항체 용액을 마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과정은 표면에 실리카 층이 형성된 형광 염료를 NHS(N-Hydroxysuccinimide)를 함유하는 접합 완충액(conjugation buffer)에 녹인 다음 EDC(1-ethyl-3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반응을 진행시켜 유로퓸 용액(Europium solution)을 마련한 다음, 상기 유로퓸 용액(Europium solution)과 항체 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진단 키트 자체의 성능 향상 (정확도, 민감도 및 진단 속도 그리고 측정가능 범위 등)에 개발 초점을 맞춘 것으로, 항체가 포함된 반응용액을 사용하거나 유기 형광염료가 콘쥬게이트된 분석물질 특이 항체용액을 이용해 콘쥬게이트패드를 따로 제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콘쥬게이트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그래프의 재현성에 문제가 있어 위양성이나 위음성 검출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843438(등록일자 2018년03월23일)에는 사각형의 복수의 분할영역들을 가지는 투광패턴 및 상기 투광패턴의 각 분할영역의 격벽이 되는 비투광패턴이 그리드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는 검출박막; 상기 검출박막 상부에 구비되는 투명한 고분자 박막; 및 상기 검출박막과 상기 고분자 박막 사이에 게재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박막은 상기 투광패턴과 상기 비투광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비투광패턴은 상기 검출박막에 형성되는 핫엠보싱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패턴의 분할영역들은 n x n 형태로 배열되고, 각 분할영역의 평면상 형상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한 변의 길이가 200㎚ 내지 10㎛이며, 상기 투광패턴을 통과하는 광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투광패턴을 통과하는 광을 센싱하는 것은 상기 투광패턴의 분할영역들의 광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에 의한 정량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으로 인해 정성적인 분석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8-0032830(공개일자 2018년04월02일)에는 소변을 검체로 하여 비만도를 진단하도록 제공되는 진단키트에 있어서, 아디포넥틴, 및 FGF21 중 선택된 비만-특이적 항원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다클론 항체를 포함하며, 상기 비만-특이적 항원과 상기 항체의 반응에 따른 발색을 통해 비만도를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아디포넥틴, 및 FGF21 중 선택된 비만특이적 항원의 단일클론 항체 또는 다클론 항체를 흡착시킨 멤브레인; 상기 비만특이적 항체를 골드입자에 부착시키고 항체-금 접합체를 함침시켜 건조한 골드패드; 검체의 흐름을 도와주는 샘플패드 및 흡습패드;를 적층시킨 진단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도 진단용 래피드 진단키트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비만의 음양성을 진단할 수 있을 뿐, 정량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996815(등록일자 2019년07월01일)에는 현장용 진단 키트에 사용되어 검체와 함께 이동하는 진단용 포획제-나노입자 복합체에 있어서, 상기 진단용 포획제-나노입자 복합체는 적외선을 흡광하여 적외선을 발광하는 나노입자와; 상기 나노입자에 결합하여 타겟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포획제;를 포함하여, 타겟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적외선을 흡광하여 적외선을 발광하며, 상기 나노입자는 희토류가 도핑된 코어층과, 상기 코어층을 에워싸 표면 결함을 감소시켜 표면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쉘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희토류를 포함하는 용액을 가열하여 동질 용액을 형성하고, 나트륨 화합물, 플루오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냉각된 동질 용액에 혼합한 후 열을 가해 반응시켜 나노입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쉘층은 상기 혼합 용액에 나노입자 형태의 코어층을 혼합한 후 열을 가해 반응시켜 상기 코어층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용 포획제-나노입자 복합체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코어층은 희토류가 도핑되어야 하고, 쉘층은 코어층을 열을 가하여 코팅하여야 하는 제조상의 어려움과 비용이 상승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출원인이 2019년에 특허받은 한국등록특허 10-2046556(등록일자 2019년11월13일)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검출라인(Test Line)을 포함하는 진단 스트립; 및 상기 진단 스트립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진단 키트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스트립은, 지지체;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표적물질을 포함한 검체가 주입되는 샘플 패드; 상기 샘플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표지물질이 접합된 제1항체를 포함하는 컨쥬게이션(Conjugation) 패드; 및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체 상부에 부착되며,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항체가 고정된 제1검출라인,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3항체가 상기 제1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제2검출라인 및 상기 제1항체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4항체가 상기 제2검출라인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 대조(Control)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막은 상기 컨쥬게이션 패드 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검출라인, 상기 제2검출라인 및 상기 대조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검출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는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이 특이적으로 결합 가능한 동일 또는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 및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가 상이한 항체로 마련될 경우, 상기 제2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는 상기 제3항체의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에 대한 특이적 결합 부위와 상이하며, 상기 제1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2항체와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 간 특이적 결합의 포화가 상기 제2검출라인에 고정된 상기 제3항체와 상기 제1항체에 특이적으로 결합된 상기 표적물질 간 특이적 결합의 포화에 비해 먼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검체 내 표적물질 정량화가 가능한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을 공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경우에도 본 출원인이 종래 개발한 특허기술과 마찬가지로, 항체가 포함된 반응용액을 사용하거나 유기 형광염료가 콘쥬게이트된 분석물질 특이 항체용액을 이용해 콘쥬게이트패드를 따로 제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콘쥬게이트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그래프의 재현성에 문제가 있어 위양성이나 위음성 검출의 위험이 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등록특허 10-1807871(등록일자 2017년12월05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1843438(등록일자 2018년03월23일) [특허문헌 003] 한국공개특허 10-2018-0032830(공개일자 2018년04월02일) [특허문헌 004] 한국등록특허 10-1996815(등록일자 2019년07월01일) [특허문헌 005] 한국등록특허 10-2046556(등록일자 2019년11월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키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다공성멤브레인에 콘쥬게이트된 항체 용액을 고정시켜 건조한 뒤, 검체가 콘쥬게이트된 항체 용액이 고정된 부분을 지나면서 분석 물질과 반응하여 형광 정량 분석이 가능함과 동시에,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석 성능향상 및 분석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적물질 반응 항체를 포함한 최소 2개의 항체 용액이 분주된 다공성 멤브레인;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일측에 접하여 검체가 점적되는 샘플 패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타측에 접하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흘러간 용액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상기 다공성 맴브레인, 샘플패드, 흡수패드를 상부에 부착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내장하고, 형광정량분석장치에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 형광 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분주하여, 분석물질이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된 항체들과 반응하기 이전에 유기 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특이항체 그리고 컨트롤 항체와 먼저 반응하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 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한 후, 다공성 멤브레인에 상기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항체용액에는 인체 검체와 섞여도 일정한 pH를 유지하게 해주는 완충 용액; 표지물질인 유기 형광염료와 결합되어 있으며, 표적물질과 반응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항체;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서 용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항체의 비특이 반응을 제거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Triton x, Tween 20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존제는 아자이드화 나트륨(NaN3)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샘플패드는 Glass Fiber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는 Rat IgG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반응항체는 Anti-CRP, Anti-TSH 와 같이 특정 표적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들 중에서 선택되어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흡수패드는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Fliter paper를 사용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ISPENSER SYSTEM(ZETA corporation 한국) 지지체에 고정시킨 다공성 멤브레인을 안착하는 단계;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한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와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Anti-CRP, Anti-TSH 와 같은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분주한 후 건조한 환경에 방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공성 멤브레인의 상부의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지지체의 일측에 Glass Fiber 재질의 샘플패드를 부착하고 타측에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흡수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광 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 분석 체외 진단 키트는, 진단키트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다공성 멤브레인에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 용액을 분주하여 건조시켜 준 뒤 검체가 다공성 멤브레인의 항체용액이 분주된 부분을 지나면서 분석 물질과 반응하여 형광 정량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로서, 진단 키트에 검체 만을 점적하여 정량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보관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분석 성능 향상 및 분석 간편화를 이룰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형광 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 분석 체외 진단 키트는, 첫째, 기존 자사의 체외 진단 키트의 고농도 검체 정량 기술에 해당 기술을 적용하여 단순히 검체만을 점적하여도 자사의 기존 키트와 동일하게 신뢰도 높게 저 농도에서 고 농도의 표적물질의 정량화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단순히 체액 및 혈액(전혈과 혈청, 혈장)에 자유 상태로 존재하는 표적물질 만을 정량하는데 한계를 두지않고 생체 물질 운송 단백질에 결합된 상태로 존재하는 호르몬 및 체내 물질들의 정량을 높은 신뢰도로 수행가능하다.
셋째,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표적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동일한 구성 및 제조 방법으로 정량 진단 키트의 제조가 가능하며, 단순 샌드위치 정량 분석법을 벗어나 표적물질에 특이적인 항체와 결합하는 항원 간 경쟁 반응을 이용한 체외 정량 키트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
도 2은 기존 진단 키트 스트립의 기본 구성 요소의 모식도
도 3은 종래 진단 키트를 이용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물질 농도에 따른 표지 물질의 형광 발현 강도 (intensity) 측정 결과
도 4은 위해 도3의 자료를 이용해 작성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 정량 곡선 (Calibration curve)
도 5는 콘쥬게이트 패드를 적용한 형광 정량 키트를 이용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물질 농도에 따른 표지 물질의 형광 발현 강도 (intensity) 측정 결과
도 6은 콘쥬게이트 패드를 적용한 형광 정량 키트를 이용해 측정한 도5의 자료로 작성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정량곡선 (Calibration curve)
도 7은 건식 타입 형광 정량 키트를 이용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물질 농도에 따른 표지 물질의 형광 발현 강도 (intensity) 측정 결과
도 8은 건식 타입 형광 정량 키트를 이용해 측정한 도7의 자료로 작성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표준정량곡선 (Calibration curve)
본 발명은, 표적물질 반응 항체를 포함한 최소 2개의 항체 용액이 분주된 다공성 멤브레인;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일측에 접하여 검체가 점적되는 샘플 패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타측에 접하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흘러간 용액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상기 다공성 맴브레인, 샘플패드. 흡수패드를 상부에 부착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내장하고, 형광정량분석장치에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 형광 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분주하여, 분석물질이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된 항체들과 반응하기 이전에 유기 형광 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특이 항체, 그리고 컨트롤 항체와 먼저 반응하도록 한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상기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샘플패드는 검체 용액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3% sucrose 용액을 담지시키고 37℃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준다.
상기 항체용액에는 인체 검체와 섞여도 일정한 pH를 유지하게 해 주는 완충용액; 표지물질인 유기 형광염료와 결합되어 있으며, 표적물질과 반응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항체;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서 용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항체의 비특이 반응을 제거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Triton x, Tween 20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존제는 아자이드화 나트륨(NaN3)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샘플패드는 Glass Fiber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를 분주하여 건조시킨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는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반응항체는 Anti-CRP, Anti-TSH 와 같이 특정 표적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들 중에서 선택되어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수패드는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Fliter paper를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DISPENSER SYSTEM(ZETA corporation 한국) 지지체에 고정시킨 다공성 멤브레인을 안착하는 단계;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한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와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A nti-CRP, Anti-TSH 와 같은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분주한 후 건조한 환경에 방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공성 멤브레인의 상부의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지지체의 일측에 Glass Fiber 재질의 샘플패드를 부착하고 타측에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흡수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는 표적물질 반응 항체를 포함한 최소 2개의 항체 용액이 분주된 다공성 멤브레인;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일측에 접하여 검체가 점적되는 샘플 패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타측에 접하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흘러간 용액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상기 다공성 맴브레인, 샘플패드, 흡수패드를 상부에 부착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내장하고, 형광정량분석장치에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반응 용액의 보관 온도로 인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로써, 기존의 광범위한 농도의 표적 물질 정량화가 가능한 체외 진단 키트를 개량하여 표적물질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며 반응용액에 포함된 표지물질이 결합된 항체를 용액이 아닌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한 형태로 제공하여 보관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운송 상의 문제점과 사용상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아울러 이번 발명은 단순히 검체 내 생체 물질 운송 단백질과 결합되지 않은 표적물질을 정량하는 진단 키트 개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측정하고자 하는 검체를 전처리하여 생체 물질 운송 단백질과 결합된 표적물질을 정량하는 기술에도 적용하여 다양한 표적물질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건식 형태의 진단 키트 제조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번 발명의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는 위 체외 진단 키트의 기본적인 구성을 따른다. 하지만, 반응 용액을 사용하지 않고 검체 용액을 진단키트에 점적하는 것만으로 표적물질을 정량하기 위하여 다공성 멤브레인에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항체 용액을 기존 반응용액에 포함된항체의 3배~ 5배 농도로 준비하여 분주하여 준다.
먼저, 단순히 표지물질이 결합된 항체만을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하는 경우, 항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고려하여 기존의 반응 용액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Tween 20 0.5%와 아자이드화 나트륨 1%, 그리고 소 혈청 알부민 1%를 포함한 용액을 미리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식 타입 형광 체외 진단 키트는 항체가 포함된 1개 이상의 테스트 라인을 포함하는 스트립;과 이를 보호하고 정량이 가능한 기기에 맞도록 만들어진 플라스틱 카트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진단 스트립은 표적물질 반응 항체를 포함한 최소 1개의 항체 용액이 분주된 다공성 멤브레인;, 다공성 멤브레인을 흘러간 용액을 흡수하여 더 많은 용액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해주는 흡수 패드; 진단 스트립 구성요소들이 부착되어 있는 지지체;에 더하여 표지물질이 결합된 항체를 포함하는 유리 섬유 재질의 샘플패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검사 대상의 신체 상태에 따라 검체 용액의 점도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일정한 검체 용액의 흐름을 얻기 위해 샘플패드를 3% sucrose 용액으로 처리하여 일정한 점도를 맞추어 검체 용액의 흐름을 조절하여 준다.
일반적인 진단키트 반응과정을 설명하면, 1) 검체 (검사자의 혈청, 혈장 또는 전혈)를 반응 용액과 섞으면 그 안에 포함되어 있던 표지물질과 결합한 항체 (이하 제1 항체)와 반응한다. 2) 첫 번째 단계를 거친 용액이 샘플 패드에 점적되어 다공성 멤브레인을 따라서 흘러가다가 멤브레인에 고정된 항체 (이하, 제2 항체)와 결합한다. 3) 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제2 항체와 결합한 표적 물질에 동시에 결합한 제1 항체에 있는 표지 물질에서 나오는 신호를 읽고, 이를 검량 곡선과 비교하여 정량한다.
즉, 종래의 진단키트는 반응 용액을 상온에 꺼내어 일정한 온도로 맞춘 후, 검체와 균일하게 섞어주어야 하며, 이를 진단 키트의 샘플 패드에 점적하여 주는 선행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반응 용액은 표지 물질이 결합된 항체가 들어 있고, 이들이 표적물질과의 유효한 결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보관 시 일정 온도(2 ~ 8 ℃) 유지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표지 물질이 결합된 항체를 용액 상태가 아닌, 건조된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다면, 이러한 보관 문제에서 자유로울 것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표지 물질이 결합된 항체를 건조된 형태로 보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때, 상기 유기 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 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한 후,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상기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항체용액에는 인체 검체와 섞여도 일정한 pH를 유지하게 해주는 완충 용액; 표지물질과 결합되어 있으며, 표적물질과 반응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항체;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서 용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항체의 비특이 반응을 제거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계면활성제는 Triton x, Tween 20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존제는 아자이드화 나트륨(NaN3)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를 분주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는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반응항체는 Anti-CRP, Anti-TSH 와 같이 특정 표적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들 중에서 선택되어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사용한다.
아울러, 상기 흡수패드는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Fliter paper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도 1]에서, (5)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와 (6)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멤브레인에 고정시키는 과정 설명
DISPENSER SYSTEM(ZETA corporation 한국)에 (9) 지지체에 고정시킨 멤브레인을 두고, 준비된 (5)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와 (6)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분주한 후 건조한 환경에 방치하여 고정시킨다. (5)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에는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할 수 있고, (6)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의 경우 Anti-CRP, Anti-TSH 등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2) [도 1]에서, 다공성 멤브레인에 (2)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3)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분주하는 과정설명
형광 염료가 결합된 항체를 용해시키는 용매는 기본적으로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을 사용한다.
위에서 제조한 용액에 (2)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3)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기존 반응용액에 포함된 항체의 3배 ~ 5배 농도로 최종 항체 용액을 제조한다.
그 뒤 다공성 멤브레인에 항체용액을 분주한 후, 실온의 상태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진단기트를 조립하는 과정 설명
컨트롤 항체 특이 결합 항체와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가 고정된 멤브레인에 샘플패드를 부착하고 흡수패드를 부착한 뒤 카트리지 조립을 완성한다.
<갑상선 자극 호르몬 정량 키트에 있어서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의 실시 예 및 정량분석 형태>
반응 용액이 필요한 종래의 체외 진단 키트와 동일한 효과의 정량 분석이 본 발명의 건식 타입 체외 진단 키트을 이용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정량 분석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작한 진단 키트의 경우 진단 스트립의 구성은 종래 체외 진단 키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실시 예에 사용한 진단 스트립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진단 스트립이다. 표적물질 검출 라인에는 항 갑상선 자극 호르몬 항체 (Biocheck, Inc., Anti-TSH 70204) 2 mg/mL 농도의 용액을 만들어 고정시킨다. 대조라인 에는 Chicken IgY 항체 (Arista Biologicals) 1.0 mg/mL 농도의 용액을 만들어 고정시킨다.
표준물질은 Lyphochek Immunoassay plus Control Lv1, 2, 3 (BIO-RAD)를 사용하였다. 물질의 Lv별 농도는 Lv 1: 0.335 uIU/mL (저 농도), Lv 2: 4.89 uIU/mL, Lv 3: 31 uIU/mL (고 농도)의 물질을 사용하였다. 각 표준물질은 반응 용액을 이용하는 기존 방식의 형광 정량 진단 키트와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가 담지되어 있는 콘쥬게이트 패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그리고 다공성 멤브레인에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가 분주되어 있는 건식 타입 형광 정량키트를 이용하여 정량을 실행하였다.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에 각 농도별로 점적한 뒤, 표적물질 검출 라인과 대조라인의 표지물질(유기 형광 염료)의 형광 신호 세기(Intensity)는 자사 형광 측정기기(Zet-biotech, AnyLab F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650 nm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해 표지물질(유기 형광 염료)을 여기(Excitation) 시킨 뒤, 발현되는 665 nm 파장의 형광을 측정하여 표적물질과 결합한 형광 표지물질과 콘쥬게이트된 항체 내 표지 물질의 형광 신호 세기 (intensity)를 측정하여 도면 7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면 7의 결과 그래프의 x축은 측정기기의 진단 키트 판독 구간을 나누어 step 수로 표시한 값으로 수치가 클수록 검체 점적 부분에서 가까운 구간으로, 첫 번째 peak는 대조라인, 두 번째 peak는 표적물질 검출라인이다.
도면 3과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물질 검출라인 형광 세기 변화 경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 형광 진단 키트의 표준물질 농도별 표적물질 검출라인 형광 세기의 변화 경향과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의 표적물질 검출라인 세기의 변화 경향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확인 하였고, 도면 3과 도면 7을 각각 이용하여 작성한 도면 4와 도면 8의 표준 정량 곡선의 형태를 비교 하였을 때 곡선의 기울기에는 차이가 있으나, 그 경향은 대단히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도면 4와 도면 8의 결과 그래프 내 x축은 표적물질 검출라인의 형광 세기 (Intensity) 와 대조라인의 형광 세기(Intensity) 간의 비율을 나타내며, Y축은 표준물질 내 표적물질인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의 농도 (단위: uIU/mL)를 나타낸다.
도면 5와 도면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적물질 검출라인 형광 세기 변화 경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 형광 진단 키트 방식의 일환인 유기 형광 염료가 콘쥬게이트된 항체를 이용하여 콘쥬게이트 패드를 만드는 경우와 건식 타입 형광 정량 키트의 표준물질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그래프의 재현성에서도 건식 타입 형광 정량 키트의 결과가 기존 자사의 제품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타입 형광 진단 키트의 경우, 그래프의 경향성과 표준 정량 곡선의 형태가 기존 형광 진단 키트의 그것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로 인해 본 발명 방식으로도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샘플패드
2 :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
3 :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
4 : 유기형광염료
5 :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
6 : 표적물질 반응항체
7 : 표적물질
8 : 흡수패드
9 : 지지체

Claims (9)

  1. 표적물질 반응 항체를 포함한 최소 2개의 항체 용액이 분주된 다공성 멤브레인;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일측에 접하여 검체가 점적되는 샘플 패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 타측에 접하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을 흘러간 용액을 흡수하는 흡수 패드; 상기 다공성 맴브레인, 샘플패드, 흡수패드를 상부에 부착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내장하고, 형광정량분석장치에 인터페이스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 형광 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분주하여, 분석물질이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된 항체들과 반응하기 이전에 유기 형광 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먼저 반응하도록 하고,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 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 ~ 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한 후, Tween 20 0.5%와 아자이드화 나트륨 1%, 그리고 소 혈청 알부민 1%를 포함한 용액을 미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하고, 유기 형광 염료가 결합된 항체 용액을 기존 반응용액에 포함된 항체의 3배~ 5배 농도로 준비하여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형성하되,

    상기 항체용액에는 인체 검체와 섞여도 일정한 pH를 유지하게 해주는 완충 용액; 표지물질과 결합되어 있으며, 표적물질과 반응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항체;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서 용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항체의 비특이 반응을 제거하여 정량을 가능하게 하는 Triton x, Tween 20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용액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자이드화 나트륨(NaN3) 보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은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를 분주하여 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는 Rat IgG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하고, 상기 표적물질 반응항체는 Anti-CRP, Anti-TSH 항체와 같이 특정 표적물질 따라 선택되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패드는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Fliter pape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9. DISPENSER SYSTEM(ZETA corporation 한국) 지지체에 고정시킨 다공성 멤브레인을 안착하는 단계; Rat IgG 를 포함한 면역 글로불린의 일종을 사용한 컨트롤 항체 포획용 항체와 표적하고자 하는 항원의 항체에 따라 Anti-CRP, Anti-TSH 와 같은 분석물질 특이 결합 항체를 분주한 후 건조한 환경에 방치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컨트롤항체와 유기형광염료와 결합된 분석물질 반응항체를 1X PBS에 1~3 % Bovine Serum Albumin, 0.1~0.5 % Sodium azide를 녹인 용액에 희석하여 항체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Tween 20 0.5%와 아자이드화 나트륨 1%, 그리고 소 혈청 알부민 1%를 포함한 용액을 미리 상기 다공성 멤브레인에 분주하는 단계; 다공성 멤브레인의 상부의 컨트롤 항체를 포획하기 위한 항체와 표적물질 반응항체가 분주된 지점과 샘플패드 사이에 항체용액을 분주하고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고정시키는 단계; 지지체의 일측에 Glass Fiber 재질의 샘플패드를 부착하고 타측에 Glass Micro fiber 또는 Nitrocellulose 재질의 흡수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제조방법
KR1020210052345A 2021-04-22 2021-04-22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45A KR102281805B1 (ko) 2021-04-22 2021-04-22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345A KR102281805B1 (ko) 2021-04-22 2021-04-22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05B1 true KR102281805B1 (ko) 2021-07-26
KR102281805B9 KR102281805B9 (ko) 2022-03-15

Family

ID=77125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345A KR102281805B1 (ko) 2021-04-22 2021-04-22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863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Dna 압타머를 이용한 c-반응성 단백질 (crp) 형광 면역정량분석 체외 진단 키트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54B1 (ko) * 2012-05-31 2013-06-28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현장진단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동결건조 접합체 구조물, 이를 이용하는 면역분석용 키트 및 상기 키트를 이용하는 분석방법
JP2014517311A (ja) * 2011-06-09 2014-07-17 ジェン−プローブ・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小板第4因子(pf4)/ヘパリン抗体を検出する診断デバイス、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40143120A (ko) * 2013-06-04 2014-12-15 (주)프로테옴텍 가변 대조선을 구비한 분석 스트립 및 이를 구비한 진단 키트
KR20170132081A (ko) * 2016-05-23 2017-12-0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면역 바이오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시스템
KR101807871B1 (ko) 2016-08-30 2017-12-12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KR20180032830A (ko) 2016-09-23 2018-04-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도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검출을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만도 진단용 래피드 진단키트 및 비만도 판정방법
KR101843438B1 (ko) 2016-05-04 2018-04-02 주식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 진단키트, 이를 이용한 진단장치 및 진단시스템
KR101996815B1 (ko) 2017-07-07 2019-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외선을 흡광 및 발광하는 진단용 포획제-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는 현장용 진단키트
KR102046556B1 (ko) 2017-11-20 2019-11-19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고농도 검체 내 표적물질 정량화가 가능한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
KR20200082208A (ko) * 2018-12-28 2020-07-08 (주)프로테옴텍 다수 개의 검사선을 구비한 임신진단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임신진단키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17311A (ja) * 2011-06-09 2014-07-17 ジェン−プローブ・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小板第4因子(pf4)/ヘパリン抗体を検出する診断デバイス、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80054B1 (ko) * 2012-05-31 2013-06-28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현장진단 면역크로마토그래피용 동결건조 접합체 구조물, 이를 이용하는 면역분석용 키트 및 상기 키트를 이용하는 분석방법
KR20140143120A (ko) * 2013-06-04 2014-12-15 (주)프로테옴텍 가변 대조선을 구비한 분석 스트립 및 이를 구비한 진단 키트
KR101843438B1 (ko) 2016-05-04 2018-04-02 주식회사 나노바이오라이프 진단키트, 이를 이용한 진단장치 및 진단시스템
KR20170132081A (ko) * 2016-05-23 2017-12-01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면역 바이오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시스템
KR101807871B1 (ko) 2016-08-30 2017-12-12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KR20180032830A (ko) 2016-09-23 2018-04-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도 진단용 바이오마커의 검출을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만도 진단용 래피드 진단키트 및 비만도 판정방법
KR101996815B1 (ko) 2017-07-07 2019-07-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적외선을 흡광 및 발광하는 진단용 포획제-나노입자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하는 현장용 진단키트
KR102046556B1 (ko) 2017-11-20 2019-11-19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고농도 검체 내 표적물질 정량화가 가능한 광범위 체외 진단 키트
KR20200082208A (ko) * 2018-12-28 2020-07-08 (주)프로테옴텍 다수 개의 검사선을 구비한 임신진단용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스트립 및 이를 포함하는 임신진단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nsors, vol.19, 5494 (2019.12.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863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제트바이오텍 Dna 압타머를 이용한 c-반응성 단백질 (crp) 형광 면역정량분석 체외 진단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805B9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6573B2 (ja) 基準としての天然分析物を有するラテラルフローアッセイ装置および方法
US20110076781A1 (en) Expanding the dynamic range of a test strip
US5631170A (en) Method for improving measurement precision in evanescent wave optical biosensor assays
US8093057B2 (en) System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lyco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ohemoglobin
JP4383860B2 (ja) バイオセンサ、及び測定方法
JP4225576B2 (ja) 検定時に検出可能な変化を所定の分布状態に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2524279A5 (ko)
US5942407A (en) Light-emitting immunoassay
KR20020079488A (ko) 면역크로마토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샘플의 측정 방법
WO2009136477A1 (ja) バイオセンサ
KR100455298B1 (ko) 투명한 플라스틱 지지체를 가진 면역크로마토그래피 분석 디바이스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21015685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mplifying signals of a lateral flow assay
KR101807871B1 (ko)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JP2023100697A (ja) 高濃度の分析物等、分析物を測定するための用量反応曲線の減少信号部分を使用したサンドイッチ型アッセイ
KR102281805B1 (ko) 형광염료를 이용한 건식 타입 형광 정량분석 체외 진단키트 및 그 제조방법
TW494238B (en) Chromatographic test pieces and chromatographic assay
KR20180025295A (ko) 유로퓸 입자와 형광 염료를 이용한 고감도 체외 진단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량 분석 방법
Daneshvar et al. Detection of biomolecules in the near-infrared spectral region via a fiber-optic immunosensor
CN106645043A (zh) 快速定量检测小分子化合物的试剂盒和方法
JP2003083970A (ja) 試験片を用いた被検物質の測定方法及び装置
JP4437211B2 (ja) 免疫クロマトグラフィーを用いた測定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検体分析用具
JPH05126832A (ja) 免疫分析装置及び免疫分析方法
US20220308049A1 (en) Lateral flow test strips with competitive assay control
JP3481894B2 (ja) 免疫学的クロマト方式を利用した測定方法
JPH04233462A (ja) 免疫学的定量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