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020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020B1
KR102281020B1 KR1020150014820A KR20150014820A KR102281020B1 KR 102281020 B1 KR102281020 B1 KR 102281020B1 KR 1020150014820 A KR1020150014820 A KR 1020150014820A KR 20150014820 A KR20150014820 A KR 20150014820A KR 102281020 B1 KR102281020 B1 KR 10228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ther
grayscale
dither table
region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474A (ko
Inventor
송재우
박승호
이강희
주미영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020B1/ko
Priority to US14/729,320 priority patent/US9799260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4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 G09G3/205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 G09G3/2055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dithering with use of a spatial dither pattern the pattern being varied in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디더 테이블들을 저장하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링부, 및 디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면적이 용이하고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한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표시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제어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력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는 제한된 계조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디더링(dithering)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표시 장치는 RC 지연에 의해 줄무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디더(dither) 테이블들을 저장하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링부, 및 상기 디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 테이블들 각각은 복수의 디더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더 패턴들 각각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계조값들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링부는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계조 영역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을 결정하는 계조 영역 결정부, 상기 디더 테이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는 디더 테이블 선택부, 및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계조 영역들은 상기 임계 계조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계조 영역, 제2 계조 영역, 및 제3 계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상기 제1 계조 영역 또는 상기 제3 계조 영역인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상기 제2 계조 영역인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상기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하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에서 시간 가중치가 가장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최소 서브 계조값을 비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임계 계조 레벨은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디더(dither) 테이블들을 저장하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링부, 및 상기 디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 테이블들 각각은 복수의 디더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더 패턴들 각각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계조값들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상기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하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 상기 입력 데이터가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가 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 선택하는 디더 테이블 선택부, 및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에서 시간 가중치가 가장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최소 서브 계조값을 비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품질의 저하시키는 서브 계조값을 제외한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RC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계조 영역의 일부 또는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에서만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노이즈(noise)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한 서브 계조값들 및 서브 필드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디더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에 상응하여 사용 디더 테이블이 선택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사용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디더 패턴을 이용하여 디더 계조값이 표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RC 지연 현상 및 RC 지연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줄무늬 현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0)는 디더링(dithering)부(100), 디더 테이블 저장부(200), 표시 패널 구동부(300), 및 표시 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부(100)는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dither)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더링부(100)는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디더링부(100)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더링부(100)는 계조 영역의 일부 구간에서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더링부(100)는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DATA1)의 표시 패널(400) 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디더링부(100)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더링부(100)는 표시 패널(400)의 일부 영역에서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하고,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디더링부(10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도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더 테이블 저장부(200)는 복수의 디더 테이블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더 테이블들 각각은 복수의 디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더 패턴들 각각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계조값들이 패터닝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계조값은 디더링을 수행하는 하나의 화소에 대한 계조 레벨을 의미한다. 또한, 디더 계조값은 디더링 처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계조 레벨을 의미한다. 디더 패턴을 이용하여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경 디더 테이블은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할 수 있다. 즉, 변경 디더 테이블은 일부 서브 필드를 제외한 서브 계조값으로 패터닝된 디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경 디더 테이블은 RC 지연 등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서브 필드를 제외한 서브 계조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RC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패널 구동부(300)는 디더 데이터(DATA2)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구동부(300)는 데이터 구동부, 스캔 구동부 및 타이밍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구동부(3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동 신호(CNT)를 표시 패널(4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구동부(300)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표시 패널(400)을 구동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40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통하여 표시 패널 구동부(300)의 데이터 구동부와 연결되고, 복수의 스캔 라인들을 통하여 표시 패널 구동부(300)의 스캔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스캔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위치되는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0)는 표시 품질의 저하시키는 서브 계조값을 제외한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RC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계조 영역의 일부 구간에서만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거나 표시 패널(400)의 일부 영역에서만 디더 테이블을 변경함으로써 디더 노이즈(noise)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더링부(100A)는 계조 영역 결정부(120),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A), 및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계조 영역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을 결정할 수 있다.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계조 영역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이 포함되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조 영역들은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과 임계 계조 레벨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조 영역들은 임계 계조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계조 영역, 제2 계조 영역, 및 제3 계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계조 영역 및 제2 계조 영역은 제1 임계 계조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계조 영역 및 제3 계조 영역은 제2 임게 계조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이 제1 임계 계조 레벨보다 작은 경우,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이 제1 계조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이 제1 임계 계조 레벨과 제2 임계 계조 레벨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이 제2 계조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이 제2 임계 계조 레벨보다 큰 경우,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이 제3 계조 영역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A)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200)에 저장된 디더 테이블들(DT1 내지 DTn) 중에서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선택할 수 있다. 계조 영역들 각각은 상응하는 디더 테이블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A)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에 상응하는 디더 테이블을 사용 디더 테이블(SDT)로서 선택할 수 있다.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은 사용 디더 테이블(SDT)에 포함된 디더 패턴들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로부터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는 입력 데이터(DATA1)에 상응하는 디더 계조값을 이용하여 사용 디더 테이블(SDT)에서 디더링 처리를 위한 디더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는 선택된 디더 패턴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해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한 서브 계조값들 및 서브 필드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 구동부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표시 패널을 구동할 수 있다.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한 서브 계조값들 각각은 상응하는 서브 필드값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구동부는 5 비트(bit)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서브 필드들은 시간 가중치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내지 제5 서브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계조값 10은 제1 서브 필드가 설정된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브 계조값 30은 제2 서브 필드가 설정된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서브 계조값 40은 제1 서브 필드 및 제2 서브 필드가 설정된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필드들의 시간 가중치들은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구동 방법으로 구동되는 고해상도 표시 패널에서 사용 가능한 서브 필드들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계조 표현을 위해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서브 필드의 시간 가중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도 4는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디더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더 패턴은 패터닝된 서브 계조값들을 포함하고, 디더 패턴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계조(즉, 디더 계조)가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더링부는 서브 계조값 10 및 서브 계조값 30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계조값 20이 표현될 수 있다. 디더링이 수행되는 단위인 디더 화소군은 서로 인접하는 4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계조 20을 표현하기 위해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30을 가지고,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나머지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10을 가질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4개의 화소들의 서브 계조값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 때, 디더링부는 사용자가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도록 서브 계조값들에 대한 스위칭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더 계조 20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디더링부는 서브 계조값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화소들의 열화 정도가 다른 경우에도 얼룩 등이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도 4에서는 디더 화소군은 서로 인접하는 4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더 화소군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더 화소군은 서로 인접하는 9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에 상응하여 사용 디더 테이블이 선택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조 영역의 일부 구간에서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DT1) 및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일반 디더 테이블(DT1)에 포함된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할 수 있다. 즉,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일부 서브 필드를 제외한 서브 계조값으로 패터닝된 디더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RC 지연 등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서브 필드를 제외한 서브 계조값을 포함할 수 있다. RC 지연에 의해 발생하는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이용한 디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서브 필드를 비포함하는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하나의 디더 패턴을 구성하는 서브 계조값들의 차이가 일반 디더 테이블(DT1)에 비해 클 수 있다. 따라서, 모든 계조 영역들에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사용하는 경우, 서브 계조값들에 대한 스위칭에 의해 사용자에게 디더 노이즈가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계조 영역 중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일부 영역에서만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사용함으로써, 디더 노이즈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조 영역들은 임계 계조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계조 영역(GR1), 제2 계조 영역(GR2), 및 제3 계조 영역(GR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계조 영역은 줄무늬 현상이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계조 영역(GR1)에서 일반 디더 테이블(DT1)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낮은 계조 영역은 시간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계조값을 가질 수 있다. 낮은 계조 영역에서는 RC 지연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고, 줄무늬 현상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계조 영역(GR2)에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높은 계조 영역은 시간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큰 서브 계조값을 가질 수 있다. 높은 계조 영역에서는 RC 지연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사용자에게 줄무늬 현상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계조 영역(GR3)에서 일반 디더 테이블(DT1)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조 영역(GR1) 및 제2 계조 영역(GR2)은 제1 임계 계조 레벨인 계조 레벨 10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계조 영역(GR2) 및 제3 계조 영역(GR3)은 제2 임게 계조 레벨인 계조 레벨 59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 계조 레벨은 서브 필드들의 시간 가중치들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구동 방법으로 구동되는 고해상도 표시 패널에서 사용 가능한 서브 필드들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계조 표현을 위해 서브 필드의 시간 가중치들을 조정할 수 있으며, 임계 계조 레벨은 서브 필드들의 시간 가중치들에 상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 레벨이 제1 임계 계조 레벨보다 크고 제2 임계 계조 레벨보다 작은 경우, 계조 영역 결정부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제2 계조 영역(GR2)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표시 품질에 문제(즉, 줄무늬 현상)가 발생할 수 있는 제2 계조 영역(GR2)이므로,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일반 디더 테이블(DT1)에 포함된 서브 계조값들 중에서 시간 가중치가 가장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최소 서브 계조값을 비포함할 수 있다. 즉, 시간 가중치가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서브 계조값들은 RC 지연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변경 디더 테이블(DT2)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디더 테이블(DT2)은 서브 계조값 10을 비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 레벨이 제1 임계 계조 레벨보다 작거나 제3 임계 계조 레벨보다 큰 경우, 계조 영역 결정부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제1 계조 영역(GR1) 또는 제3 계조 영역(GR3)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제1 계조 영역(GR1) 또는 제3 계조 영역(GR3)인 경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일반 디더 테이블(DT1)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표시 품질의 저하시키는 서브 계조값을 제외한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고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 표시 장치는 계조 영역의 일부에서만 변경 디더 테이블(DT2)을 사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노이즈(noise)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사용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디더 패턴을 이용하여 디더 계조값이 표현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 디더 테이블과 변경 디더 테이블은 동일한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한 서로 다른 디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디더 테이블은 디더 계조값 20을 표현하기 위해 서브 계조값 10 및 서브 계조값 30이 패터닝된 디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이 수행되는 단위인 디더 화소군은 서로 인접하는 4개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계조 20을 표현하기 위해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30을 가지고,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나머지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10을 가질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4개의 화소들의 서브 계조값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영역(예를 들면, 도 5의 제1 계조 영역 또는 제3 계조 영역)인 경우, 서브 계조값 10 및 서브 계조값 30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계조값 20이 표현될 수 있다.
반면에, 변경 디더 테이블은 디더 계조값 20을 표현하기 위해 서브 계조값 0 및 서브 계조값 40이 패터닝된 디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계조 20을 표현하기 위해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40을 가지고,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나머지 2개의 화소들은 서브 계조값 0을 가질 수 있다. 디더링부는 디더 화소군에 포함된 4개의 화소들의 서브 계조값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는 영역(예를 들면, 도 5의 제2 계조 영역)인 경우, 서브 계조값 0 및 서브 계조값 40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계조값 20이 표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RC 지연 현상 및 RC 지연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줄무늬 현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의 일부에서 RC지연에 의해 줄무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순차 발광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3차원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로 인가되는 캐소드 전압(ELVSS)의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제1 구간(P1) 및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제2 구간(P2)에서 캐소드 전압(ELVSS)은 로우 레벨을 가짐으로써,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구간(P1) 및 제2 구간(P2) 이외의 구간에서 캐소드 전압(ELVSS)은 하이 레벨을 가짐으로써,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이 제한될 수 있다. 캐소드 전압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거나,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스위칭되는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RC 지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RC 지연에 의해 제1 구간(P1)에서 제1 좌안 영상 데이터(L-1) 및 제2 좌안 영상 데이터(L-2)가 정확히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시간 가중치가 작은 서브 필드 값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줄무늬가 시인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RC 지연에 의해 줄무늬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은 표시 패널의 특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압(ELVSS)이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스위칭되는 경우 RC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순차 발광 방식에서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서 데이터가 출력되는 표시 패널의 위치에서 줄무늬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DR) 및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NR)을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디더 노이즈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지연 영역(DR)에 대해서만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더링부(100B)는 계조 영역 결정부(120),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B), 및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부(100B)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디더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조 영역 결정부(120)는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계조 영역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을 결정할 수 있다.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는 입력 데이터(DATA1)의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에서 RC 지연에 의해 줄무늬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은 표시 패널의 특정된 일부 영역일 수 있다. RC지연에 의한 줄무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변경 디더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디더 노이즈가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영역에만 변경 디더 테이블을 적용하기 위해 지연 영역 및 비지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B)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200)에 저장된 디더 테이블들(DT1 내지 DTn) 중에서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B)는 입력 데이터(DATA1)가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B)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로서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할 수 있다. 즉, 계조 영역의 일부 구간에서만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거나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에서만 디더 테이블을 변경하기 위해,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B)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DGR) 및 지연 영역 정보(DER)에 기초하여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RC 지연에 의한 줄무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해서만 변경 디더 테이블을 적용함으로써 디더 노이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을 도 1의 표시 장치에 포함된 디더링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더링부(100C)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C), 및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디더링부(100C)는 계조 영역 결정부(120)가 제외되고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도 2의 디더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는 입력 데이터(DATA1)의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C)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130)로부터 수신된 지연 영역 정보(DER)에 기초하여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선택할 수 있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C)는 입력 데이터(DATA1)가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사용 디더 테이블(SDT)로서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할 수 있다.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C)는 입력 데이터(DATA1)가 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사용 디더 테이블(SDT)로서 변경 디더 테이블 선택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DATA1)의 계조를 분석하여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는 방법은 표시 장치에 부하를 줄 수 있으므로, 디더 테이블 선택부(140C)는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만 기초하여 디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RC 지연에 의한 줄무늬 현상이 발생할 수 영역에 대해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노이즈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디더 데이터 생성부(160)는 사용 디더 테이블(SDT)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DATA1)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캠코더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100A, 100B, 100C: 디더링부
120: 계조 영역 결정부
130: 지연 영역 결정부
140A, 140B, 140C: 디더 테이블 선택부
150: 디더 데디터 생성부
200: 디더 테이블 저장부
300: 표시 패널 구동부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디더(dither) 테이블들을 저장하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의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링부; 및
    상기 디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더 테이블들 각각은 복수의 디더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더 패턴들 각각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계조값들이 패터닝되고,
    상기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하고,
    상기 디더링부는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계조 영역들 중 일부 계조 영역에서만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일부 계조 영역에서만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임계 계조 레벨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상기 계조 영역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계조 레벨에 상응하는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을 결정하는 계조 영역 결정부;
    상기 디더 테이블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는 디더 테이블 선택부; 및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조 영역들은 상기 임계 계조 레벨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제1 계조 영역, 제2 계조 영역, 및 제3 계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상기 제1 계조 영역 또는 상기 제3 계조 영역인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 계조 영역이 상기 제2 계조 영역인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상기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하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가 상기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디더 테이블 선택부는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에서 시간 가중치가 가장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최소 서브 계조값을 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계조 레벨은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복수의 디더(dither) 테이블들을 저장하는 디더 테이블 저장부;
    상기 디더 테이블들 중에서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상응하는 사용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링부; 및
    상기 디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더 테이블들 각각은 복수의 디더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디더 패턴들 각각은 디더 계조값을 표현하기 위해 복수의 서브 계조값들이 패터닝되고,
    상기 디더 테이블들은 일반 디더 테이블 및 변경 디더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포함하고,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표시 패널 상의 표시 영역들 중 일부 표시 영역에서만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일부 표시 영역에서만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디더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더링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의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지연 영역 및 상기 RC 지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비지연 영역을 결정하는 딜레이 영역 결정부;
    상기 입력 데이터가 비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 선택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가 지연 영역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로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 선택하는 디더 테이블 선택부; 및
    상기 사용 디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대한 디더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시간 가중치들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필드들을 이용하여 계조를 표현하는 디지털 구동 방식으로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디더 테이블은 상기 일반 디더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서브 계조값들 중에서 시간 가중치가 가장 작은 서브 필드에 상응하는 최소 서브 계조값을 비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필드들의 상기 시간 가중치들은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14820A 2015-01-30 2015-01-30 표시 장치 KR10228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20A KR102281020B1 (ko) 2015-01-30 2015-01-30 표시 장치
US14/729,320 US9799260B2 (en) 2015-01-30 2015-06-03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display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20A KR102281020B1 (ko) 2015-01-30 2015-01-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474A KR20160094474A (ko) 2016-08-10
KR102281020B1 true KR102281020B1 (ko) 2021-07-26

Family

ID=5655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820A KR102281020B1 (ko) 2015-01-30 2015-01-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9260B2 (ko)
KR (1) KR1022810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1149B (zh) * 2017-11-01 2023-04-11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67592A (ko) 2020-11-16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74369A (ko) * 2021-11-19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123745A (ko) 2022-02-17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밝기 값에 따라 임계 계조 값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디더링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6128A1 (en) * 2002-02-21 2003-08-21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therefo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631B1 (ko) * 2004-03-31 2010-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48601B1 (ko) 2005-11-04 2006-11-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의 부드러운 계조 재현을 위한디더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123B1 (ko) 2005-11-22 2007-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0354B1 (ko) * 2008-05-21 2015-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5740831B2 (ja) * 2010-04-12 2015-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30109815A (ko) * 2012-03-28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30131668A (ko) 2012-05-24 201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지털 구동 방법
KR102012451B1 (ko) * 2013-04-01 2019-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66779B1 (ko) * 2014-04-02 2018-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56128A1 (en) * 2002-02-21 2003-08-21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circuit therefor,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9260B2 (en) 2017-10-24
US20160225305A1 (en) 2016-08-04
KR20160094474A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5228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2255866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54982B1 (ko) 화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22708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소자 특성 센싱 방법
KR101084229B1 (ko) 표시 장치 및 그에 따른 구동 방법
US95428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18606B1 (ko) 표시 패널 모듈,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81020B1 (ko) 표시 장치
KR102197632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87429B1 (ko) 저계조 단색 영상 보상을 수행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6009253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로고 영역 휘도 조절 방법
KR102582631B1 (ko)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548739B (zh) 显示驱动装置、显示设备和显示驱动方法
KR10244809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40625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64997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4978925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30025619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798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13820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10134304A (ja) 表示装置
KR10225961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201502698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15481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10870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