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157B1 -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157B1
KR102280157B1 KR1020210052786A KR20210052786A KR102280157B1 KR 102280157 B1 KR102280157 B1 KR 102280157B1 KR 1020210052786 A KR1020210052786 A KR 1020210052786A KR 20210052786 A KR20210052786 A KR 20210052786A KR 102280157 B1 KR102280157 B1 KR 10228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taff
height
height adjust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자
Priority to KR1020210052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경사면에 표척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시키면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의 실제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면서도 해당 표척이 경사면의 측정용 지점에 착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척이 표시하고 있는 눈금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해당 표척을 수직으로 전개시키는 작업 없이 측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은 사각 하우징, 표척 높이 조절 장치,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 및 무선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척 높이 조절 장치는 표척 고정부, 몸체부 및 높이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 구동부, 유압실린더, 착지 감지센서, 수평감지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Height adjustment system for staff in survey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측지측량 기술 분야 중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경사면에 표척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시키면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의 실제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면서도 해당 표척이 경사면의 측정용 지점에 착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척이 표시하고 있는 눈금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해당 표척을 수직으로 전개시키는 작업 없이 측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이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표척(1)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 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 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레벨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 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레벨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리고 도 2는 통상의 표척(1)을 예시한 것으로서, 표척(1)은 상하 2개의 척대(1a, 1b)를 슬라이드 신축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한 형태이며, 표척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 표척(1)을 잡고 하부척대(1a)와 상부척대(1b)를 결합하는 결합나사(미도시)를 이완시킨 다음, 표척수가 한손으로는 하부척대(1a)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상부척대(1b)를 잡은 상태에서 밀거나 당겨서 표척(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다시 하부척대(1a)와 상부척대(1b)를 고정하는 결합나사를 조여서 하부척대(1a)와 상부척대(1b)가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수준 측량의 작업 과정에서 표척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상황은 수시로 발생되며, 이때 표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지 못하고 조금만 기울어지더라도 해당 표척의 조절된 높이가 정확치 않을 수 있고, 이러한 오차는 표척의 높이에 비례하게 된다. 특히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이 진행될 경우, 표척이 경사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높이 조절되도록 하는 작업은 더욱 어려운 것이었다.
부연 설명하면,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표척을 해당 경사면으로부터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해당 표척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3911호(2014.11.27.공고), “수준 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2081917호(2020.02.26.공고),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경사면에 표척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시키면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의 실제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면서도 해당 표척이 경사면의 측정용 지점에 착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척이 표시하고 있는 눈금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해당 표척을 수직으로 전개시키는 작업 없이 측정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은, 상면에 측량용 표척(10)의 삽입 및 통행을 위한 표척 결합홀(110)이 형성되는 동시에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투명한 측면(이하 “투명면(120)”이라 함)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표척(10)의 눈금과 동일한 크기의 눈금(121)이 표시되고, 상기 투명면(120)과 직각을 이루는 두 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투명면(120)과 마주하는 한 측면에는 하부에 인입/인출구(140)가 형성되는 사각 하우징(100)과, 상기 사각 하우징(10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130)들을 따르는 상하 이동 및 이동된 여러 높이에서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표척 결합홀(110)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표척 결합홀(110)을 통해 삽입된 상기 표척(10)의 하단을 고정하는 표척 고정부(210)를 포함하는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와, 상기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상기 사각 하우징(100)의 내외로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경사면에서 상기 사각 하우징(10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와, 상기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가 상하 이동이 방지되면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경사면에 표척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시키면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의 실제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면서도 해당 표척이 경사면의 측정용 지점에 착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척이 표시하고 있는 눈금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해당 표척을 수직으로 전개시키는 작업 없이 측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표척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도 3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도 3의 "B" 방향에서 사각 하우징의 투명면 및 표척 높이 조절 장치의 몸체부 중심으로 예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도 3의 "A" 방향에서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을 도 3의 "B" 방향에서 사각 하우징의 투명면 및 표척 높이 조절 장치의 몸체부 중심으로 예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은 사각 하우징(100),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 및 무선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각 하우징(100)은 상면에 측량용 표척(10)의 삽입 및 통행을 위한 표척 결합홀(110)이 형성되며,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투명한 측면(이하 “투명면(120)”이라 함)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표척(10)의 눈금과 동일한 크기의 눈금(121)이 표시된다. 그리고 사각 하우징(100)은 투명면(120)과 직각을 이루는 두 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30)이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홈(130)들에는 각각 자성체로 형성되는 레일 프레임(150)이 삽입 설치된다.
또한, 사각 하우징(100)은 투명면(120)과 마주하는 한 측면에 인입/인출구(14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인입/인출구(140)는 사각 하우징(100)의 해당 측면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인입/인출구(140)는 사각 하우징(100)에 대한 후술되는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용도이다. 따라서 인입/인출구(140)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에 대한 설명에서 추가로 언급키로 한다.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는 사각 하우징(100)의 내측에 가이드홈(130)들을 따르는 상하 이동 및 이동된 여러 높이에서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는 표척 결합홀(110)을 통해 사각 하우징(100) 내로 인입된 표척(1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표척 고정부(210)를 포함하며, 이러한 표척 고정부(210)는 표척 결합홀(110)의 직하방에 위치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하면,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는 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는 몸체부(220) 및 이러한 몸체부(220)의 둘레에 설치되어 몸체부(220)를 사각 하우징(100) 내의 여러 높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높이 고정부(230)를 포함하며, 몸체부(220)의 상면에 표척 고정부(210)가 설치된다.
몸체부(220)는 사각 하우징(100)의 레일 프레임(150)들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221)가 둘레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각 하우징(100)의 표척 결합홀(110)로부터 직하방에 위치하는 표척 삽입홈(222)이 형성되며, 표척 삽입홈(222)의 바닥면 중앙에 센서홈(223)이 형성된다.
표척 고정부(210)는 몸체부(220)의 센서홈(223)에 설치되어 표척 삽입홈(222)에 표척(10) 하단이 삽입 시 이를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211)와, 이러한 접촉감지센서(211)의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로킹유닛 제어부(212)와, 이러한 로킹유닛 제어부(212)의 제어신호에 따라 표척 삽입홈(222) 내 표척(10) 하단에 대해 로킹 기능을 수행하는 로킹유닛(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로킹유닛(213)은 표척 삽입홈(222)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로킹본체(213a) 및 각각의 로킹본체(213a)에 설치되어 반대쪽의 로킹본체(213a)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킹 작동을 하는 로커(213b)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이 로킹본체(213a) 및 로커(213b)를 포함하는 로킹유닛(213)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킹장치들 중에서 선택 적용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높이 고정부(230)는 몸체부(220)의 가이드돌기(221)들 선단에 각각 결합되는 전자석(231) 및 이러한 전자석(231)를 자화 및 비자화되도록 제어하는 전자석 제어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자석 제어부(232)는 후술되는 무선 컨트롤러(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석(231)을 자화 또는 비자화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전자석 제어부(232)는 전자석(231)별 설치되는 동시에 몸체부(220)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설치된다.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는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사각 하우징(100)의 내외로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경사면에서 사각 하우징(10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하면,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는 사각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를 통한 사각 하우징(100) 내외로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20),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작동로드(331)를 하방향인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30), 유압실린더(330)의 작동로드(33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판(340),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과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착지 감지센서(350),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설치되는 수평감지센서(360), 착지 감지센서(350) 및 수평감지센서(360)의 신호를 기반으로 구동부(320) 및 유압실린더(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착지 감지센서(350)의 기능이 필요치 않은 상황에서 착지 감지센서(350)를 외부로부터 가리는 센서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센서 덮개는 사각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사각 하우징(100)의 내외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해 사각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는 가이드레일홈(160)이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10)에는 사각 하우징(100)의 가이드레일홈(16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11)가 형성된다.
구동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사각 하우징(100)의 내외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랙(321) 및 이러한 랙(321)과 치합되도록 사각 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되는 피니언(322) 그리고 피니언(322)에 정역 회전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사각 하우징(100) 내측에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압실린더(33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사각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한 것을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전방 일단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300)는 그 작동로드(331)가 베이스 플레이트(310)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이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는 작동로드(331)의 통행을 위한 로드 통행홀(312)이 형성된다.
받침판(340)은 유압실린더(330)의 작동에 따라 작동로드(331)가 아래쪽으로 이동 시 함께 이동하여 사각 하우징(100)이 설치되는 경사면의 한 지점에 착지되며, 작동로드(331)의 선단에 비해 비교적 넓은 접촉 영역을 가지면서 경사면에 지지되어 해당 경사면에 대한 사각 하우징(100) 및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설치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받침판(340)은 유압실린더(330)의 작동로드(331) 선단에 회전볼 등을 통한 360° 회전이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착지 감지센서(350)는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과 하면이 접하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착지 감지센서(350)는 사각 하우징(100)을 경사면에 수평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기준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착지 감지센서(350)를 통해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이 경사면의 한 지점에 착지된 상태인 것이 확인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30)의 작동로드(331) 이동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10) 및 사각 하우징(100)의 하면이 해당 경사면에서 수평 상태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수평감지센서(36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설치되며, 이러한 수평감지센서(36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수평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며, 결과적으로 사각 하우징(100)의 하면이 경사면에 대해 수평 상태가 되도록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동 제어부(370)는 착지 감지센서(35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면 구동부(320)를 작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310) 및 유압실린더(330)가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사각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되게 한 다음, 이렇게 사각 하우징(100) 외부로 인출된 유압실린더(330)를 수평감지센서(360)의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310) 및 사각 하우징(100)의 하면이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유압실린더(330) 및 받침판(340)을 통해 경사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각 하우징(100)의 인입/인출구(140)는 유압실린더(330)의 통행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긴 수직 장홀(141) 및 이러한 수직 장홀(141)의 하단과 연결되는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131)의 통행을 위해 수평 방향으로 긴 수평 장홀(142)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무선 컨트롤러(400)는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가 상하 이동이 방지되면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에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무선 컨트롤러(400)로부터 제어신호가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의 높이 고정부(230)에 포함된 전자석 제어부(232)에 전송됨에 따라, 전자석 제어부(232)는 높이 고정부(230)의 전자석(232)을 자화시키고, 따라서 이렇게 자화된 전자석(232)의 레일 프레임(150)에 대한 인력으로 인해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의 몸체부(220)가 상하 이동이 방지되면서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전자석 제어부(232)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무선 컨트롤러(400)는 측량 작업 중인 작업자가 휴대하는 것이며, 작업자는 이러한 무선 컨트롤러(400)를 통해 측량 작업 간 필요할 때마다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의 몸체부(220)를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비교적 기울기기 큰 경사면, 예를 들어 30° 이상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 시,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과 하면 간 모서리에 설치된 착지 감지센서(350)를 해당 경사면의 한 지점에 접촉시키는 용이한 작업을 통해 사각 하우징(100)을 해당 경사면 상에 수평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이어서 상기와 같이 수평 상태로 고정된 사각 하우징(100)의 표척 결합홀(110) 내로 표척(10)의 하부를 삽입시키는 용이한 작업을 통해 표척(10)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을 통해 표척(10)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사각 하우징(100)의 투명면(120)에 표척(10)과 동일한 크기의 크기의 눈금(121)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표척(10)의 눈금 및 투명면(120)의 눈금(121) 확인을 통해 표척(10)이 실제로 착지되어 있어야 하는 지점, 다시 말해 착지 감지센서(350)가 경사면에 접촉하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수직 방향의 높이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표척(10)의 눈금 및 투명면(120)의 눈금(121)을 연계시켜 확인하면서 측정 높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10)의 고정 높이를 무선 컨트롤러(400)를 통한 용이한 조작을 통해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비교적 기울기가 큰 경사면을 따라 수준 측량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경사면에 표척(10)을 용이한 작업을 통해 정확하게 수직으로 설치시키면서 측량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표척(10)의 실제 높이를 상하로 조정하면서도 해당 표척(10)이 경사면의 측정용 지점에 착지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표척(10)이 표시하고 있는 눈금의 높이보다 그 이상의 높이에 대해서도 해당 표척(10)을 수직으로 전개시키는 작업 없이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표척 100 : 사각 하우징
110 : 표척 결합홀 120 : 투명면
121 : 눈금 130 : 가이드홈
140 : 인입/인출구 141 : 수직 장홀
142 : 수평 장홀 150 : 레일 프레임
160 : 가이드레일홈 200 : 표척 높이 조절 장치
210 : 표척 고정부 211 : 접촉감지센서
212 : 로킹유닛 제어부 213 : 로킹유닛
213a : 로킹본체 213b : 로커
220 : 몸체부 221 : 가이드돌기
222 : 표척 삽입홈 223 : 센서홈
230 : 높이 고정부 231 : 전자석
232 : 전자석 제어부 300 :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11 : 가이드돌기
312 : 로드 통행홀 320 : 구동부
321 : 랙 322 : 피니언
323 : 정역회전모터 330 : 유압실린더
331 : 작동로드 340 : 받침판
350 : 착지 감지센서 360 : 수평감지센서
370 : 구동 제어부 400 : 무선 컨트롤러

Claims (1)

  1. 상면에 측량용 표척(10)의 삽입 및 통행을 위한 표척 결합홀(110)이 형성되는 동시에 네 측면 중 하나의 측면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투명한 측면(이하 “투명면(120)”이라 함)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표척(10)의 눈금과 동일한 크기의 눈금(121)이 표시되고, 상기 투명면(120)과 직각을 이루는 두 측면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투명면(120)과 마주하는 한 측면에는 하부에 인입/인출구(140)가 형성되는 사각 하우징(100);
    상기 사각 하우징(100)의 내측에 상기 가이드홈(130)들을 따르는 상하 이동 및 이동된 여러 높이에서의 선택적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표척 결합홀(110)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표척 결합홀(110)을 통해 삽입된 상기 표척(10)의 하단을 고정하는 표척 고정부(210)를 포함하는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
    상기 인입/인출구(140)를 통해 상기 사각 하우징(100)의 내외로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며, 경사면에서 상기 사각 하우징(100)을 수평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하우징 수평 조절 장치(300);
    상기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가 상하 이동이 방지되면서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표척 높이 조절 장치(200)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컨트롤러(400)를 포함하는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KR1020210052786A 2021-04-23 2021-04-23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KR10228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86A KR102280157B1 (ko) 2021-04-23 2021-04-23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86A KR102280157B1 (ko) 2021-04-23 2021-04-23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157B1 true KR102280157B1 (ko) 2021-07-22

Family

ID=7715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86A KR102280157B1 (ko) 2021-04-23 2021-04-23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6096A (zh) * 2021-10-31 2022-01-11 舟山市质量技术监督检测研究院 分段调整式油罐高度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39B1 (ko) * 2012-02-29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자동 측량타겟위치조절형 레벨표척용 스타프
KR101172441B1 (ko) * 2012-03-28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지하공간측량용 무선발광위치조절형 레벨표척장치
KR101347859B1 (ko) * 2013-09-02 2014-01-07 중원이엔씨(주)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463911B1 (ko) 2014-08-28 2014-11-27 (주)대한지적기술단 수준 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장치
KR102081917B1 (ko) 2019-09-09 2020-02-26 이완복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39B1 (ko) * 2012-02-29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자동 측량타겟위치조절형 레벨표척용 스타프
KR101172441B1 (ko) * 2012-03-28 2012-08-08 (주)삼경이엔씨 지하공간측량용 무선발광위치조절형 레벨표척장치
KR101347859B1 (ko) * 2013-09-02 2014-01-07 중원이엔씨(주) 지면의 표고와 곡률오차의 동시 측량이 가능한 수준측량시스템
KR101463911B1 (ko) 2014-08-28 2014-11-27 (주)대한지적기술단 수준 측량용 스타프 높낮이 장치
KR102081917B1 (ko) 2019-09-09 2020-02-26 이완복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6096A (zh) * 2021-10-31 2022-01-11 舟山市质量技术监督检测研究院 分段调整式油罐高度测量装置
CN113916096B (zh) * 2021-10-31 2024-04-19 舟山市质量技术监督检测研究院 分段调整式油罐高度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0102B2 (en) Working position measuring system
US6598304B2 (en) Laser level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34937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280157B1 (ko) 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CN103147466B (zh) 矩形或空心矩形截面预制桩自动化测斜装置
KR101103356B1 (ko)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
CN107402035A (zh) 用于测量仪器户外作业的减震式支撑装置
KR101550403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개량형 포터블 gps 수신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KR101494852B1 (ko) 오차요인 확인을 통한 정밀성 향상 수준측량시스템
JP2007271627A (ja) 作業位置測定装置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CN212300186U (zh) 一种简易工程地质裂缝测量装置
KR101487464B1 (ko) 측량 기준점 설치대
JP3481324B2 (ja) 測量機の機械高測定方法および測定器
CN104949650A (zh) 测距仪
KR102345068B1 (ko) 측지측량용 스테빌라이저 시스템
JPH08313256A (ja) レーザ光線を利用した構真柱計測システム
CN215114364U (zh) 一种可转向可固定的保证塔尺垂直度的支架
KR102530428B1 (ko) 광파거리측정기와 스틸 테이프(steel tape)를 이용한 레벨 기준점 수직이설 측량 방법 및 이를 위한 측량 장치
CN220542058U (zh) 一种精准控制坡率的坡比控制仪
CN219624691U (zh) 一种国土空间规划地形测绘装置
CN210113520U (zh) 一种自带定位功能的水准测量系统
CN108180860A (zh) 采动影响下建筑物基础的变形测量装置及方法
CN215572576U (zh) 一种桥梁工程用桥面距离测量装置
CN216432980U (zh) 盾构机靶标、盾构机前盾的位姿测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