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144B1 -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144B1
KR102280144B1 KR1020190149380A KR20190149380A KR102280144B1 KR 102280144 B1 KR102280144 B1 KR 102280144B1 KR 1020190149380 A KR1020190149380 A KR 1020190149380A KR 20190149380 A KR20190149380 A KR 20190149380A KR 102280144 B1 KR102280144 B1 KR 10228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light emitting
infrared ligh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614A (ko
Inventor
김광화
서진석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14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1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8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for image processing, e.g. cameras or sensor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4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electromagneticwaves, e.g.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외선을 조사하되, 상기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각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좁은 적외선 발광부; 및 상기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의 조사 영역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Camera system for passenger detection i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어린이집, 유치원 또는 사설 학원은 통학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와 유치원 아동이 통학 차량을 이용하는 있다.
그러나, 아침에 등원할 때, 아동이 차량 안에서 잠이 들었으나, 차량 운전자는 이를 확인하지 못하고, 차량을 주차시키는 경우가 있다. 봄, 가을 같은 경우에는 건강상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여름의 경우, 차량 내부의 온도가 70
Figure 112019119207071-pat00001
이상 상승하여, 안타깝게도 사망 사고에 이르는 경우가 있어,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외선을 조사하되, 상기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각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좁은 적외선 발광부; 및 상기 적외선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의 조사 영역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감지하거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hadow area)을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모드 및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하되,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카메라가 가시광선 모드로 동작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hadow area)을 특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모드에서 적외선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외부로부터의 침입 감지를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에 따라 상기 적외선 발광부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는 미하차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의 화각보다 좁은 조사각을 갖는 적외선 발광부의 적외선 조사 영역이 카메라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이 이미지의 품질을 분석하여 동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이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카메라(100) 및 적외선 발광부(2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 내에서 적외선 발광부(200)의 조사 영역(S)이 이동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 적외선 발광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발광부(2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적외선을 차량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발광부(200)에는 적외선 LED(light-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발광부(200)가 조사하는 적외선은 일례로, 탑승객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0.75μm ~ 1.4μm 파장 대역의 근적외선(Near-infrared)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발광부(200)는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각이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발광부(20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 영역(S)이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적외선 발광부(200)가 움직일 수 있다.
카메라(100)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가시광선 대역과 적외선 대역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RGB+IR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RGB+IR 센서는 가시광선 대역 및 적외선 대역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광학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00)가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대역은 적외선 발광부(200)가 조사하는 적외선의 대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00)는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시광선 대역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가시광선 모드와 적외선 대역을 감지하여 촬영하는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클 경우, 가시광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의 조도가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작을 경우, 적외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발광부(200)는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일례로, 주간 시간 등 외부에서 가시광선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카메라(100)가 가시광선 모드로 동작하고, 야간 시간이나 어두운 주차장 환경 등 외부에서 가시광선이 유입되는 정도가 적은 경우에는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카메라(100)는 적외선 모드로 동작할 ?, 적외선 발광부(200)가 구동되어, 카메라(100)가 촬영하는 이미지의 화각 범위 내에서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100)는 적외선 발광부(2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탑승객인 피사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적외선 발광부(200)가 조사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내에 탑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발광부(200)와 카메라(100)는 함께 구비되거나, 도 2와 다르게 카메라(100)와 이격되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카메라(100)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발광부(200)와 카메라(1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서 운전석의 뒤쪽에 위치하는 좌석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0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좌석열 중 운전석이 위치하는 제1 열과 바로 뒤쪽열인 제2 열 사이에 구비되어, 후석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후석 승객 유무를 쉽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적외선 발광부(200)와 함께 형성되어, 적외선 발광부(2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 영역(S)을 카메라(100) 이미지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적외선 발광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각 범위라 함은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역의 범위, 즉 카메라(100)의 시야각(angle of view, NI)의 범위일 수 있다. 일례로, 도 3과 같이 카메라(100)가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경우, 이미지의 화각 범위는 도 4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IY, 수평 방향으로 IX일 수 있다.
적외선 발광부(200)에 의해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각은 전술한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보다 좁을 수 있다.
적외선 발광부(200)가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와 동일한 범위를 한꺼번에 조사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출력이 상대적으로 고전력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와 같은 경우, 탑승객의 피부에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탑승객의 눈에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적외선의 경우, 가시광선과 같이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아, 차량을 주로 이용하는 아동의 경우, 적외선 발광부(200)를 직접 눈으로 응시하는 경우가 있고, 눈에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탑승객의 피부나 눈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발광부(200)의 적외선 출력을 낮추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적외선의 출력을 낮출 경우, 적외선 발광부(200)의 조사각이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와 같이, 적외선 발광부(200)가 조사하는 적외선의 조사 영역(S)은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보다 좁을 수 있으며, 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일부 영역만을 조사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 적외선 조사 영역(S)의 수평 길이는 Rx, 수직 길이는 Ry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 내에서 적외선 조사 영역(S)에 탑승객이 위치하는 경우, 탑승객을 쉽게 감지할 수 있으나, 적외선이 조사되지 않는 영역은 탑승객을 쉽게 감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구동부(300)는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 내에서 적외선 발광부(200)를 움직이도록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적외선 발광부(200)의 조사 영역(S)이 카메라(100) 이미지의 화각 범위 내에서 적외선 발광부(2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모터(미도시)와 구동 기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조사 영역(S)은 카메라(100) 이미지의 화각 범위 내에서 미리 설정된 패턴 경로에 따라 움직이도록 구동부(300)가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분석부(410)와 제어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분석부(410)과 제어부(42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어, 하나의 AP(application processor, 400) 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분석부(410)는 카메라(100)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분석부(410)는 카메라(100)로부터 가시광선 이미지 또는 적외선 이미지를 제공받아, 이미지의 품질을 분석하여, 가시광선 이미지 또는 적외선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hadow area)이 있는지 여부와 쉐도우 영역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은 위치를 특정하여 제어부(4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분석부(410)는 차량 내부에 승객이 있는지 유무를 분석하고, 승객이 있는 경우, 승객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 외부로부터 침입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4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이미지 분석부(4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승객 유무, 움직임 유무 또는 침입 유무를 차량의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특정 패턴의 소리나 음성 등과 같은 형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분석부(410)와 제어부(420)는 차량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특정 조건에서 조사 영역(S)의 움직임이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분석부(410)는 카메라(10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의 내부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제어부(420)는 적외선 발광부(200)가 특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 및 도 4와 같이, 카메라(100)로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부(410)가 이미지를 분석할 결과, 탑승객이 차량의 마지막 좌석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분석부(410)는 도 4의 이미지에서 탑승객의 위치를 특정하여 제어부(420)에 제공하고, 제어부(420)는 적외선 발광부(200)가 특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탑승객을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이 이미지의 품질을 분석하여 동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이미지 분석부(41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쉐도우 영역을 특정하고, 제어부(420)가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적외선 발광부(200)가 쉐도우 영역(SA)을 조사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의 동작 단계는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단계(S1a), 이미지 분석부(410)가 카메라(100)로부터 제공된 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쉐도우 영역(SA)을 특정하는 단계(S1b) 및 적외선 발광부(200)가 특정된 쉐도우 영역(SA)을 조사하는 단계(S1c)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저녁 또는 밤이나, 낮이라도 좔영 환경이 어두운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100)는 적외선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차량 내부를 촬영하면, 카메라(100)가 제공하는 적외선 이미지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이미지 분석부(410)가 적외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도 6의 (a)에서 이미지에서 자외선의 감지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A)을 특정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카메라(100)의 화각 이미지 범위 내에서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움직이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특정된 쉐도우 영역(SA)에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탑승객을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에서 카메라(100)는 카메라(100)는 가시광선 모드 및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의 동작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가 가시광선 모드로 촬영하는 단계(S2a), 이미지 분석부(410)가 가시광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쉐도우 영역을 특정하는 단계(S2b) 및 적외선 발광부(200)가 특정된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고,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전환하여 촬영하는 단계(S2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은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차량 외부로부터 빛이 충분히 들어오는 낮과 같이, 좔영 환경이 충분히 밝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카메라(100)는 가시광선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S2a 단계와 같이, 카메라(100)가 가시광선 모드로 차량 내부를 촬영하면, 카메라(100)가 제공하는 적외선 이미지는 RGB 색상을 포함하는 가시광선 이미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S2b 단계와 같이, 이미지 분석부(410)가 가시광선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에서 가시광선의 감지가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을 특정하여, 제어부(420)에 제공할 수 있다.
S2c 단계와 같이, 제어부(420)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카메라(100)의 화각 이미지 범위 내에서 쉐도우 영역에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이동 및 위치하도록 하고, 카메라(100)가 적외선 모드로 전환되어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자 또는 관리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탑승객을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카메라(100)의 이미지에서 쉐도우 영역을 분석하고, 쉐도우 영역을 적외선 발광부(200)가 조사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쉐도우 영역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이외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이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420)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움직임 패턴은 모드는 (1) 미하차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 모드와 (2)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움직임 패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1)의 경우, 차량이 특정된 위치에 도착하여 승객이 모두 하차해야 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제어부(420)는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미하차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 모드를 선택하여,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300)는 적외선 발광부(200)가 움직이도록 하여, 카메라(100)의 화각 이미지 내에서,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20)는 도 8과 같이,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차량 내부 중에서 승객이 착석하는 좌석열을 주로 이동하도록,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2)의 경우, 제어부(420)는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 상태인 경우, 제어부(420)는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외부로부터의 침입 감지를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에 따라 적외선 발광부(2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 발광부(200)가 주로 차량의 창문 쪽을 적외선 조사할 수 있도록 움직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100)의 이미지에서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차량의 창문을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100) 시스템은 카메라(100)의 화각보다 좁은 조사각을 갖는 적외선 발광부(200)의 적외선 조사 영역(S)이 카메라(100)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차량 내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카메라 200: 적외선 발광부
300: 구동부 410: 이미지 분석부
420: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적외선을 조사하되, 상기 조사되는 적외선의 조사각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보다 좁은 적외선 발광부;
    상기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상기 적외선 발광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의 조사 영역이 상기 카메라의 화각 범위 내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움직이는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분석부가 상기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hadow area)을 특정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역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카메라와 독립적으로 상기 적외선 발광부를 움직이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감지하거나 적외선을 감지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승객이 위치하는 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모드 및 적외선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동작하되,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카메라가 가시광선 모드로 동작하여 생성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대적으로 어두운 쉐도우 영역(shadow area)을 특정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발광부가 상기 특정된 쉐도우 영역을 조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가시광선 모드에서 적외선 모드로 전환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차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 중 외부로부터의 침입 감지를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에 따라 상기 적외선 발광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움직임 패턴 모드는 미하차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 움직임 패턴 모드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KR1020190149380A 2019-11-20 2019-11-20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KR10228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80A KR102280144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80A KR102280144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14A KR20210061614A (ko) 2021-05-28
KR102280144B1 true KR102280144B1 (ko) 2021-07-21

Family

ID=7614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80A KR102280144B1 (ko) 2019-11-20 2019-11-20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1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07A1 (en) * 2009-02-12 2010-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mode vision system for vehicle safety
US20150055678A1 (en) * 2012-03-29 2015-02-26 Stanley Electric Co., Lt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for object to be measured
JP2017118440A (ja) * 2015-12-25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室内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01507A1 (en) * 2009-02-12 2010-08-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mode vision system for vehicle safety
US20150055678A1 (en) * 2012-03-29 2015-02-26 Stanley Electric Co., Lt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for object to be measured
JP2017118440A (ja) * 2015-12-25 2017-06-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室内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14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938B2 (ja) 車両の車室照明装置
KR101051828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2006248363A (ja) 運転者照明装置、運転者撮影装置および運転者監視装置
US20090168185A1 (en) Electrochromic Windshield with Computer Vision Control
CN106458083B (zh) 车辆前照灯控制装置
JP2005301742A (ja) 運転者の外観認識システム
JP5761046B2 (ja) 防眩制御装置
CN101607520A (zh) 遮光系统、汽车遮光系统及方法
JP2006252138A (ja) 運転者撮影装置および運転者監視装置
JP2003260933A (ja) 自動眩しさ調節装置
CN109910567B (zh) 一种用于汽车的智能遮阳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206643A (zh) 用于控制车辆遮蔽系统的装置和方法
US7091867B2 (en) Wavelength selectivity enabling subject monitoring outside the subject's field of view
CN110501827A (zh) 一种液晶玻璃自动遮光方法及系统
JP4269998B2 (ja) 撮影装置
KR102280144B1 (ko) 차량 내부의 승객 감지용 카메라 시스템
JP2009242045A (ja) ドア装置
EP1800964B1 (en) Method of depth estimation from a single camera
KR102320030B1 (ko) 차량의 내부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US11772563B2 (en) In-vehicle multi-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US20220272302A1 (en) In-vehicle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JP201709500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19523A (ja) 車両用サンバイザ装置
WO1999044846A1 (fr) Vehicule a champ de vision ameliore, dispositif et procede servant a reduire l'eblouissement
KR101694785B1 (ko) 졸음 운전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