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54B1 -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54B1
KR102279254B1 KR1020200009791A KR20200009791A KR102279254B1 KR 102279254 B1 KR102279254 B1 KR 102279254B1 KR 1020200009791 A KR1020200009791 A KR 1020200009791A KR 20200009791 A KR20200009791 A KR 20200009791A KR 102279254 B1 KR102279254 B1 KR 10227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er
bars
floating
floating body
arrang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복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0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60Concre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 vertical arrangement of whalers, which comprises: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passing through the floating body at given intervals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lengthwise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wherein both end portions thereof protrude externally when the first through-bars are built in;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passing through the floating body at given intervals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lengthwise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wherein both end portions thereof protrude externally when the second through-bars are built in and the second through-bars are disposed correspondingly below the first through-bars with a given gap; first whalers in a plate shape mounted on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through-bars, which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and second whalers in a plate shape mounted on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through-bars, which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floating b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blem which can cause a structural damage to concret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본 발명은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부유식 구조물은 폰툰(Pontoon)과 같이 해양 환경상에 부유하여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일정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전체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The floating structure is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providing a specific function by floating in the marine environment like a pontoon. will form a structure.

여기서,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는 각각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 중심 몸체를 기저로 하여, 내부에 부유성 물질이 충진되어 부유성이 부가되는 구조로서, 콘크리트 재질의 중심 몸체 내부에는 구조적 보강을 위해 메쉬 형태의 보강 프레임이 매설될 수 있으며, 실시에 따라 상측 평면상에 부유체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일정부분 외부로 노출된 돌출부분을 가진 관통바가 일정 간격으로 매설될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are each based on a central body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floating material is filled therein to add floating properties. A mesh-shaped reinforcing frame may be embedded insid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depending on implementation, both ends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ough-bar having a certai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is constant. It may be buried at intervals.

다시 말해,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는 콘크리트 재질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한 인장력의 물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망 구조의 보강 프레임을 콘크리느 구조 내부에 매설시키거나, 상판 측에 관통바를 일정 간격으로 매설시키고 관통바의 외부로 노출된 양 단부 돌출부분 상에 웨일러(Whaler)와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를 장착시켜 부유체간 상호 연결 구조상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In other words, since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of the floating structure are made on the basis of a concrete material,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weak tensile force. Stability in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oating bodies by burying them inside or by burying through bar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plate side and mounting separate connecting members such as Whaler on the protruding parts of both end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bar was secured.

이와 관련하여 부잔교와 같은 부유식 구조물의 단위체를 이루는 부체의 기저가 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상자부재에 금속재질의 보강망 구조를 매설시키고, 돌출바를 부체 상측에 배치시켜 구조적 보강을 이루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0412호의 "부잔교"(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In this regard, in the prior art prepared to achieve structural reinforcement by embedding a metal reinforcing network structure in a box member made of concrete, which is the basis of a floating body constituting a unit body of a floating structure such as a floating bridge, and placing a protruding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floating body In the prior literature for Korea, there is "Bujang Bri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of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40412.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부유식 구조물의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파랑과 같은 외력을 발생시키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내부에 매설된 각종 구조체들이 영향을 받아 상하 움직임을 갖게 되어 결과적으로 부유체 자체의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the prior art, the inside of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forming the modular unit of the floating structure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generate external forces such as continuous waves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loating structure Various structures buried in the structure have a vertical movement under the influence, and consequently,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damage to the floating body itself.

또한,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부유식 구조물의 경우,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를 상호 연결하기 위에 외부 측면에 장착되는 웨일러의 배치구조가 여러 층으로 겹쳐지는 형태로 마련되는데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the prior ar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ler mounted on the outer side is overlapped in several layers to interconnect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provis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내부에 매설되는 각종 구조체들이 견고하게 결합 지지되어 구조적 보강을 충분히 발휘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부유식 구조물의 설치 환경 상에서 발생하는 파랑과 같은 외력을 발생시키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유체 내부에 매설되는 각종 구조체들이 영향을 받아 상하 움직임을 갖게 되어 부유체 자체의 콘크리트 구조적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fficiently exhibit structural reinforcement by firmly coupling and supporting various structures buried inside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a modular unit of a floating structure. Furthermore,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generate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generated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loating structure, various structures buried inside the floating body are affected and have vertical movement, so that the concrete of the floating body itself is affe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provided to prevent a problem causing structural dam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웨일러의 배치구조를 상하 형태로 특정하여, 웨일러를 통한 외측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을 확장함은 물론이고 설치 상의 구조적 안정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cif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le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plurality of float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in the upper and lower form. , It is to provide a floating structure that not only extends the protection functio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ler, but also complement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부유체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는 다수의 제1관통바;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부유체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며, 상기 제1관통바의 소정 간격 아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관통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1웨일러;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2웨일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 and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formed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of the floating body, and both ends protrude through the floating body so that both ends thereof protrude to the outsid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first through-bar.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disposed; a first waler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ing bodies; and a second waler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s.

여기서,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상기 제1웨일러의 하면과 상기 제2웨일러의 상면이 상호 접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출 수 있다.Here,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may have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상기 제1웨일러의 하면과 상기 제2웨일러의 상면이 상기 부유체의 높이방향 기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출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may have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

아울러,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치구조를 갖추며,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의 배치구조 상 상기 제1웨일러의 양 단부와 상기 제2웨일러의 양 단부는 상기 부유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임의의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t least one of a length or a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Both ends of the first waler and both ends of the second waler may be located on any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또한, 상기 제2웨일러는 방수 재질로 마련되거나, 방수성 코팅제가 표면상에 처리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waler may be provided in a waterproof material or in a state in which a waterproof coating agent is treated on the surface.

그리고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채워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및 제2관통바가 내설되는 콘크리트 몸체부; 훅(Hook) 형태의 구조를 구비하여, 구부러진 내측 영역이 상기 다수의 관통바 각각의 상측에 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어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다수의 파손방지 부재;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전체에 걸쳐 상기 부유체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관통바 지지부재; 및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전체에 걸쳐 상기 부유체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관통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floating body, the buoyancy member is filled therein,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and second through-bars are built-in a concret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breakages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hook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so that the bent inner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bars to limit the upper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absence of prot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least two or more points based on the width or length of the floating body over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that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t least two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entire bar and are built into the concrete body; and at least two or more points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of the float over the entir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entire through-bar and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여기서, 상기 파손방지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서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바 지지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2관통바 지지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Each through-coupled to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is each through-coupled to one or more pairs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또한, 상기 파손방지 부재는, 훅(Hook) 형태의 구부러진 구조를 형성하여, 내측이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상측에 접하는 파손방지부; 상기 파손방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기둥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각각의 측면이 접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파손방지부의 타단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함께 L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by forming a hook (Hook) form a bent structure, the inn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a pilla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reakage preventing portion to form a pillar-shaped structure,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bent portion that is vertically bent from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breakage prevention portion, thereby forming an L-shap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pillar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의 외측에 장착되는 웨일러의 배치구조를 상하 형태로 특정하여, 웨일러를 통한 외측으로부터의 보호 기능을 확장함은 물론이고 설치 상의 구조적 안정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다.First, by specify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waler mounted on the outside of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in the upper and lower form, the protection functio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ler is extended as well as the structural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Stability can complement each other.

둘째,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 내부에 매설되는 각종 구조체들이 견고하게 결합 지지되어 구조적 보강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Second, various structures buried inside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are firmly coupled and supported, so that structural reinforcement can be sufficiently exhibited.

셋째, 부유식 구조물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다수의 부유체가 상호 연결됨에 있어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측면상에 적어도 한 층 이상의 웨일러가 장착되어 연결 구조상의 구조적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Third, since a plurality of floats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of the floating structure are interconnected, at least one waler layer is mounted on the longitudinal and widthwise side surfaces to sufficiently secure structural stability in the connection structure.

넷째, 관통바의 상측에서 관통바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고 지지하는 파손방지 부재를 통해 부유식 구조물의 설치 환경 상에서 발생하는 파랑과 같은 외력을 발생시키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유체 내부에 매설되는 다수의 관통바들이 영향을 받아 상하 움직임을 갖게 되어 부유체 자체의 콘크리트 구조적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가 방지할 수 있다.Fourth, buried inside the floating body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generate an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generated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loating structure through a breakage prevention member that restricts and supports the upper movement of the through bar at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b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causing structural damage to the concrete of the floating body itself as the plurality of penetrating bars are affected and have vertical moveme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내부 매설 구조 상 각종 구조체들의 연결 형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내부 매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form of various structures on the buried structure inside the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ried structure inside the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a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파손방지 부재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10)은 부유체(100); 제1관통바(200); 제2관통바(250);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를 포함한다.1 to 4, the floating structure 10 having a concrete breakage preven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ating body 100; a first through bar 200; a second through bar 250; a first waler 300; and a second waler 400 .

기본적으로, 부유식 구조물(10)은 부유체(100)를 모듈형 단위체로 하여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부유체(100)를 상호 연결하여 일정 구조를 갖추게 된다.Basically, the floating structure 10 has a certain structure by interconnecting the floating body 100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using the floating body 100 as a modular unit.

부유체(100)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 중심 몸체(110)를 기저로 하여, 내부에 부유성 물질이 충진되어 부유성이 부가되는 모듈형 기본 단위체로, 적어도 둘 이상의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될 시 부유식 구조물(10)을 형성한다.The floating body 100 is a modular basic unit with a central body 110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s a base, a floating material is filled therein, and floating properties are added. At least two or more are provided and are floating when interconnected. A formula structure (10) is formed.

부유체(100)의 기저가 되는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지 중심 몸체 내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과 같은 강성 재질로 마련된 바 부재(200, 120, 130, 140)가 특정 프레임 구조를 갖추어 매설될 수 있으며, 특히 부유체(100)의 상판에 해당하는 상측 평면 상에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가 내설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inside the central body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s the base of the floating body 100, the bar members 200, 120, 130, 140 made of a rigid material such as reinforcing bars have a specific frame structure. A plurality of first penetrating bars 200 disposed sequenti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on the upper plan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in particular. And the second through bar 250 is installed.

또한, 부유체(100)의 상판에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들의 양 단부는 추후 설명될 부유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웨일러(300, 40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볼트형 구조로서 기능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nd second through-bars 250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wise direction on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are a floating body to be described later. I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100 and functions as a bolt-type structure so that the mounting of the walers 300 and 400 can be made.

이러한, 다수의 제1관통바(200)는 부유체(100)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부유체(100)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는 보강 프레임 구조체 중 하나이다.Suc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penetrate the floating body 100 so that both ends thereof protrude to the outside. It is one of the reinforced frame structures embedded with

다시 말해, 다수의 제1관통바(200)는 부유체(100)의 상판 측 평면상에 양 단부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부분을 형성하도록 매설되는 보강 프레임 구조체로서, 양 단부에는 제1웨일러(30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볼트부분에 해당한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reinforcing frame structures in which only both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upper plate side plane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are buried to form protrusions, and both ends have the first weft Corresponds to the bolt por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Iller 300 can be made.

또한, 다수의 제2관통바(250)는 부유체(100)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부유체(100)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는 보강 프레임 구조체 중 하나이며, 배치 구조 상 제1관통바(200)의 소정 간격 아래에 대응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 100 , pass through the float 100 , and both ends protrude to the outside. It is one of the reinforcing frame structures that are built into the furnace, an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first through-bar 200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다시 말해, 다수의 제2관통바(250)는 부유체(100)의 상판 측 평면상에 양 단부만이 외부로 노출되어 돌출부분을 형성하도록 매설되는 보강 프레임 구조체로서, 양 단부에는 제2웨일러(40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볼트부분에 해당한다.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are reinforcing frame structures in which only both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upper plate side plane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are buried to form a protrusion, and at both ends, the second we It corresponds to the bolt portion in which the installation of the Iller 400 can be made.

결과적으로, 다수의 제1관통바(200)는 부유체(100)의 상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 상측에 배치되고, 다수의 제2관통바(250)는 상대적 하측에 배치되어 상호 상하로 이격된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disposed on a relatively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height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are disposed on a relatively lower side and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pacing is kept constan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부유식 구조물(10)의 모듈형 단위체를 이루는 부유체(100)는 앞 서 설명한 다수의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 외에도 추가적인 구조적 보강을 이루고, 제1관통바(200)의 외부 환경요인에 기인한 움짐임을 제한하고 상호 지지성을 개선하기 위해 콘크리트 몸체부(110), 파손 방지부재(120), 제1관통바 지지부재(130), 제2관통바 지지부재(140) 및 보강바(1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loating body 100 constituting the modular unit body of the floating structu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dditional structural reinforcement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nd second through-bars 250 described above. , Concrete body 110, breakage prevention member 120, first penetration bar support member 130 to limit movement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first penetration bar 200 and improve mutual supportability. It includes a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140 and a reinforcing bar 140 .

우선, 콘크리트 몸체부(110)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채워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상측에 다수의 제1관통바(200)이 내설되는 부유체(100)의 기저 구성으로, 재질적 특성 상 다소 약한 인장력을 보강하되, 내부에 매설되는 보강 프레임 구조체들의 외부 환경요인에 기인한 움직임이 자체적 파손으로 쉽게 이르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 또한 필요하다.First, the concrete body 110 is filled with a buoyancy member therein, is made of a concrete material, and is a base configura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somewhat in term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the weak tensile force, but to prevent movement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einforcing frame structures buried therein from easily leading to self-damage.

다음으로, 파손 방지부재(120)는 훅(Hook) 형태의 구조(121)를 구비하여, 구부러진 내측 영역이 상기 다수의 관통바 각각의 상측에 접하도록 콘크리트 몸체부(110)에 내설되어 상기 다수의 관통바 각각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구조체로서, 다수의 제1관통바(200)의 개수와 대응되어 다수개로 마련된다.Next,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121 in the form of a hook, and is built into the concrete body 110 so that the bent inner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bars. As a structure for limiting the upper movement of each of the through bars,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200 are provided in plurality to correspond to the number.

구체적으로, 파손 방지부재(120)는 가장 상측영역에 해당하는 파손방지부(121)를 기본으로 하되, 기둥부(122) 및 절곡부(123)가 실시에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120 is based on the breakage preventing part 121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region, but the pillar part 122 and the bent part 123 may be extended according to implementation.

여기서, 파손방지부(121)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Hook) 형태의 구부러진 구조(상하로 뒤집어진 U자형 구조)를 형성하여, 내측이 다수의 제1관통바(200) 각각의 상측에 접하는 파손 방지부재(120)의 기본 구조에 해당한다.Here, the breakage preventing unit 121 forms a hook-shaped bent structure (upside-down U-shaped structure) as shown in FIGS. 1 and 3 , and the inner side is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 corresponds to the basic structure of the damage prevention member 120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또한, 기둥부(122)는 파손방지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기둥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 몸체부(110)의 높이 방향 기준 일정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illar portion 122 extends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reakage prevention portion 121 to form a pillar-shaped structure, and occupies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body portion 110 .

이와 같은 기둥부(122)는 파손 방지부재(120)의 콘크리트 몸체부(110) 내 매설 되는 설치 구조상의 높이방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Such a pillar portion 122 gives structural stabilit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portion 110 of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120 .

아울러, 절곡부(123)는 기둥부(122)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파손방지부의 타단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기둥부(122)와 함께 L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파손 방지부재(120)의 가장 아래 영역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123 is bent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pillar portion 122 and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damage prevention portion, thereby forming an L-shap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pillar portion 122 as a damage prevention member ( 120) corresponds to the lowest area of

이와 같은 절곡부(123) 역시 기둥부(122)와 함께 L자형 구조를 형성하여 파손 방지부재(120)의 콘크리트 몸체부(110) 내 매설 되는 설치 구조상의 높이방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파손방지부(121)가 더욱 안정적으로 다수의 제1관통바(200) 각각의 상측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제1관통바(200)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bent part 123 also forms an L-shap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column part 122 to further strengthen the structural stability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stallation structure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part 110 of the breakage prevention member 120, The breakage prevention unit 121 more stably maintains a st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 and allows the upper movement of the first through-bar 200 to be restricted.

따라서 부유식 구조물(10)의 설치 환경 상 파랑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지속적인 움직임이 발생되어 콘크리트 몸체부(110) 내부에 매설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에 상하 방향 움직임이 연동되도록 영향을 주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파손 방지부재(120)에 의해 해당 움직임이 제한됨으로써, 이로 인한 부유체(100)의 자체적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floating structure 10, a continuous movement is gene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ves, and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ng bars 200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ar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f a phenomenon that affects the interlocking occurs, the corresponding movement is restricted by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120, thereby minimizing the self-damage of the floating body 100 due to this.

그리고 파손방지 부재(120)는 다수의 제1관통바(200)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서 접하도록 배치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열 줄을 형성하게 된다.And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12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array rows as shown in FIG. do.

다음으로, 제1관통바 지지부재(130)는 부유체(100)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제1관통바(200) 전체에 걸쳐 부유체(100)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다수의 제1관통바(200)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콘크리트 몸체부(110)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 부재에 해당한다.Next, the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over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of the floating body 100 .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coupled through and coupled to each other perpendicularly at least at two or more points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and correspond to at least two or more bar member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

여기서, 제1관통바 지지부재(130)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제1관통바(200)가 배치 될 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제1관통바(200) 전체를 관통함으로써, 다수의 제1관통바(200)의 매설 시의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 형상의 금속 재질의 부재로서,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130 form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whe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disposed, it is shown in Figs. As shown above, a bar shape tha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a plane and penetrates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so that strong support can be achieved whe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are buried. As a member of a metallic material, a plurality of rows can be formed.

다음으로, 제2관통바 지지부재(130)는 부유체(100)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다수의 제2관통바(250) 전체에 걸쳐 부유체(100)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다수의 제2관통바(250)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콘크리트 몸체부(110)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바 부재에 해당한다.Next, th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130 is formed over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that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over the entirety of the floating body 100 .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are coupled vertically at least at two or more points in the width or length direction, and correspond to at least two bar member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

여기서, 제2관통바 지지부재(135)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다수의 제2관통바(250)가 배치 될 시,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어, 다수의 제2관통바(250) 전체를 관통함으로써, 다수의 제2관통바(250)의 매설 시의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 형상의 금속 재질의 부재로서, 복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135 form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and when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are disposed, it is shown in FIGS. 1 and 3 . As shown above, the bar shape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plane and penetrates the entirety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bars 250 so that strong support can be achieved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bars 250 are buried. As a member of a metallic material, a plurality of rows can be formed.

따라서 제1관통바 지지부재(130)는 다수의 제1관통바(200)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할 수 있으며, 제2관통바 지지부재(135)는 다수의 제2관통바(250)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130 may be through-coupled to one or more pairs of symmetrical points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135 . may be through-coupled to one or more pairs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2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마지막으로, 보강바(140)는 콘크리트 몸체부 상측 평면상에 소정의 보강 프레임 구조를 갖추도록 내설되는 다수의 부재로서, 바 형상의 금속 재질로 마련되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기준으로 부유체(100) 하나당 중심점에서 교차하는 X형 구조를 이루어 콘크리트 몸체부(110) 내 매설 되어 부유체(100)의 구조적 보강이 더욱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Finally, the reinforcing bar 140 is a plurality of member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reinforcing frame structure on the upper plane of the concrete body, and is made of a bar-shaped metal material and floats on a plane basis as shown in FIG. 1 . Each (100) is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110 by forming an X-shaped structure that intersects at the center point so that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floating body 10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제1웨일러(30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 양 단부에 장착된다.The first waler 3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20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 mounted on the end.

제2웨일러(400)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부유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제2관통바(250) 양 단부에 장착되어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을 형성한다.The second waler 40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 the amount of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bars 250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100 . It is mounted on the end to form an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여기서, 제2웨일러(400)는 자체적인 방수 재질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방수성 코팅제가 표면상에 처리된 상태로 마련되어 방수성을 부여받음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여 물과의 접촉이 더욱 빈번한 제2웨일러(400)의 변형 혹은 훼손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함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waler 400 is provided with its own waterproof material or provided with a separate waterproof coating agent treated on the surface to be provided with waterproofness, which is located relatively below and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his is to minimize the more frequent deformation or damage of the second waler 400 .

이 경우,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의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는 기본적으로 웨일로를 통해 외부 충돌로부터 상호 연결된 부유체(100)를 보호하는 영역이 확장됨은 물론이고,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인접한 부유체(100) 간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walers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basically expands the area that protects the floating body 100 interconnected from external collisions through the walo, as well as expands. , the connection between the adjacent floating bodies 100 can be maintained more firmly and stably.

여기서,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는 제1실시예에 따라 제1웨일러(300)의 하면과 제2웨일러(400)의 상면이 상호 접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출 수 있다.Here,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are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4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tructure can be provided.

이 경우,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치구조는 상하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를 통해 상호간의 장착 구조상의 안정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며, 파랑과 같은 외부 환경요인에 의한 움직음을 상호 보완하여 제한함으로서 파손 문제의 최소화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includes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top and bottom. Through this, the stability of the mounting structure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problem of damage can be minimized by complementing and limiting movement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ves.

또한,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는 제2실시예에 따라 제1웨일러(300)의 하면과 제2웨일러(400)의 상면이 부유체(100)의 높이방향 기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are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loating body 100 . It may have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이 경우,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치구조는 상호 간 상하 높이방향 기준 소정 간격 이격된 여유 공간을 형성하여,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 각각의 최초 장착 위상의 변화 혹은 이탈 문제가 상호간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arrange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forms a free spac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ased on the vertical and height directions, so that the first waler 300 ) and the second waler 400, in order to minimize or minimize the change or deviation of the initial mounting phase of each other.

또한,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부유체(100)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치구조를 갖추며, 이러한 각각 복수개로 마련된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의 배치구조 상 제1웨일러(300)의 양 단부와 제2웨일러(400)의 양 단부는 부유체(400)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수직한 임의의 선과 비교해 단부의 각 위치가 해당 임의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of the floating body 100 , and each of these plurality Both ends of the first waler 300 and both ends of the second waler 400 o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provided as Compared with any lin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each position of the end is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arbitrary line.

다시 말해,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는 상하 배치구조를 이루며 각 상하 층별로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됨에 있어, 길이 상 끝나는 지점인 양 단부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도록 장착되어, 제1웨일러(300)의 양 단부 길이방향 기준 위치와 제2웨일러(400)의 양 단부 길이방향 기준 위치가 상호 어긋나지 않도록 장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other words, since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form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which are the lengthwise ending points, correspon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y mounted so that the reference positions of both ends of the first waler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reference posit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waler 400 do not deviate from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웨일러(300, 400)는 부유체(10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기준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 연결되는 판재 구성으로, 실시에 따라 제1웨일러(300) 또는 제2웨일러(4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추가적으로 여러겹 겹쳐지는 웨일러 층을 추가하여 복수의 층을 이룰 수 있다.These, the waler 300, 400 is a plate material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respectively, are sequentially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irst waler 300 o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cond waler 400 may form a plurality of layers by additionally adding multiple overlapping waler layers.

여기서,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를 통해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각 층별로 적어도 둘 이상이 부유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웨일러(300, 400)는 앞 서 설명한 부유체(100)의 상판에 해당하는 상측 평면 상에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의 양 단부, 즉 외부로 돌출된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의 단부측 일정 영역에 장착되는 형태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Here, an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 and at least two or more walers for each layer are conn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Reference numerals 300 and 400 denot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200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on the upper plan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of the floating body 100 described above. ) and both ends of the second through-bar 250 , that is, the connection may be made in the form of being mount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through-bar 200 and the second through-bar 250 protruding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는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순차 배치된 다수의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의 배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호 연결을 위한 개방홀을 다수개 구비한다.To this end,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are a plurality of first penetrating bars 200 and a second waler disposed sequential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100 . A plurality of open holes for interconnection are provided at the same interval as the arrangement interval of the two through-bars 250 .

또한, 실시에 따라서는 제1관통바(200) 및 제2관통바(250)의 양단부측에 장착되는 연결 방식과 별개로 추가적인 고정 수단을 박아 부유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너비방향 측면상에 제1웨일러(300) 및 제2웨일러(400)를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dditional fixing means are driven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method mounted on both end sides of the first through bar 200 and the second through bar 250 on the longitudinal or width direction side of the floating body 100 . The first waler 300 and the second waler 400 may be fixedly installed.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100 : 부유체
110 : 콘크리트 몸체부
120 : 파손방지 부재
121 : 파손방지부
122 : 기둥부
123 : 절곡부
130 : 제1관통바 지지부재
135 : 제2관통바 지지부재
140 : 보강바
200 : 제1관통바
250 : 제2관통바
300 : 제1웨일러
400 : 제2웨일러
10: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aler arrangement structure
100: floating body
110: concrete body
120: damage prevention member
121: damage prevention part
122: pillar part
123: bend
130: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135: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140: reinforcement bar
200: first through bar
250: second through bar
300: first waler
400: 2nd Whaler

Claims (8)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부유체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는 다수의 제1관통바;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상기 부유체를 관통하여 양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설되며, 상기 제1관통바의 소정 간격 아래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관통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1웨일러;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를 순차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부유체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양 단부에 장착되는 제2웨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부력부재가 채워지며,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및 제2관통바가 내설되는 콘크리트 몸체부;
훅(Hook) 형태의 구조를 구비하여, 구부러진 내측 영역이 상기 다수의 관통바 각각의 상측에 접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어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다수의 파손방지 부재;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전체에 걸쳐 상기 부유체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1관통바 지지부재; 및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전체에 걸쳐 상기 부유체의 너비 또는 길이방향 기준 적어도 둘 이상의 지점에서 상호 수직하게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전체를 관통 결합하며, 상기 콘크리트 몸체부에 내설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관통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손방지 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서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관통바 지지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상기 제2관통바 지지부재는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각각의 길이방향 기준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 이상의 지점에 각각 관통 결합되며,
상기 파손방지 부재는,
훅(Hook) 형태의 구부러진 구조를 형성하여, 내측이 상기 다수의 제1관통바 각각의 상측에 접하는 파손방지부;
상기 파손방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기둥 형태의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다수의 제2관통바 각각의 측면이 접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파손방지부의 타단 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기둥부와 함께 L자형 구조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a floating body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of the floating body and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the floating body;
It form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t least one of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is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protrude through the floating body to the outside, an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first through bar.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disposed;
a first waler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or more floats; and
A second waler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mounted 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ing bodies in order to sequentially connect th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loating bodies;
The floating body is
a concrete body part filled with a buoyancy member and made of a concrete material, in which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and second through-bars are installed;
A plurality of breakages having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hook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body so that the bent inner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bars to limit the upper movemen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absence of prot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least two or more points based on the width or length of the floating body over the entire plurality of first through bars that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t least two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entire bar and are built into the concrete bod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at least two or more points based on the width or length of the floating body over the entir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on bars that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or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It includes; at least two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s that penetrate through the entire bar and are built into the concrete body part;
The breakage preventing member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hrough-bar support member is through-coupled to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The second through-bar support member is through-coupled to at least one pair of points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damage prevention member,
a breakage preventing part forming a hook-shaped bent structure, the in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bars;
a pilla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breakage preventing portion to form a pillar-shaped structure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ba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d a bent part bent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pillar part and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breakage prevention part, thereby forming an L-shaped structure together with the pillar part.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상기 제1웨일러의 하면과 상기 제2웨일러의 상면이 상호 접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provid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상기 제1웨일러의 하면과 상기 제2웨일러의 상면이 상기 부유체의 높이방향 기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 상하 배치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have a vertical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ler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ler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부유체의 길이 또는 너비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치구조를 갖추며,
상기 제1웨일러 및 제2웨일러의 배치구조 상 상기 제1웨일러의 양 단부와 상기 제2웨일러의 양 단부는 상기 부유체의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한 임의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have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t least one of a length or a width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waler and the second waler, both ends of the first waler and both ends of the second waler are positioned on the same arbitrary line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characterized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웨일러는 방수 재질로 마련되거나, 방수성 코팅제가 표면상에 처리된 상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웨일러 배치구조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waler is provided with a waterproof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a waterproof coating agent is treated on the surface.
Floating structure with upper and lower Whaler arrangement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9791A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KR102279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91A KR102279254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791A KR102279254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54B1 true KR102279254B1 (en) 2021-07-20

Family

ID=7712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791A KR102279254B1 (en) 2020-01-28 2020-01-28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s up and down arran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891A (en) * 1982-07-26 1985-12-24 Shorter Jr Myron L Pontoon
US4940021A (en) * 1986-01-06 1990-07-10 Rytand David H Floating dock
US20070017427A1 (en) * 2005-07-20 2007-01-25 Rytand David H Flo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9891A (en) * 1982-07-26 1985-12-24 Shorter Jr Myron L Pontoon
US4940021A (en) * 1986-01-06 1990-07-10 Rytand David H Floating dock
US20070017427A1 (en) * 2005-07-20 2007-01-25 Rytand David H Flot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33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water concrete block structure
KR101134290B1 (en) Method of constructing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bridge
JP2012007410A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tructure of rectangular cross section
EP3118377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050718B1 (en) Arch construction
KR102279254B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whaler&#39;s up and down arrangement
JP6207949B2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8197159B2 (en) Wire facing unit for retaining walls with strut attachment locator
KR10072006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ion beam for using arched plate
KR102279253B1 (en) Floating structure having preventing concrete damage member
KR101763033B1 (en) form for composite beam
KR102273710B1 (en)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with Improved Construction and Support
KR101159097B1 (en) Precast abutment for longitudinal continuous conne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2204901B1 (en) Shear wall reinforced with steel plate
CA2758248C (en) Precast wall system
KR200404658Y1 (en) Prefabricated Buttressed Retaining Wall
KR101313568B1 (en) Wave break structure using concrete beam reinforced by frp re-bar
KR101740004B1 (en) Box girder bridge construction and assembly using the same
KR100255380B1 (en) Wall structure to a decoration brick of a concrete revetment
KR100657213B1 (en) Tetra-pod structure installed on breakwater
KR102228751B1 (en) Prefabricated Covering Block for Breakwater
KR100954154B1 (en)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KR102608885B1 (en) Connection unit, connection structure, and floating bridge containing this
KR200203661Y1 (en) A mesh for preventing cracks on concrete slab
KR102643020B1 (en) SRC PC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