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154B1 -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 Google Patents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154B1
KR100954154B1 KR1020090052063A KR20090052063A KR100954154B1 KR 100954154 B1 KR100954154 B1 KR 100954154B1 KR 1020090052063 A KR1020090052063 A KR 1020090052063A KR 20090052063 A KR20090052063 A KR 20090052063A KR 100954154 B1 KR100954154 B1 KR 100954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inner frame
frame
upper ed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
정해용
Original Assignee
(주)리튼브릿지
김성
정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튼브릿지, 김성, 정해용 filed Critical (주)리튼브릿지
Priority to KR102009005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1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3Temporary pavings made of metal, e.g. plates, net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Abstract

PURPOSE: A steel composite concrete plate is provided to remarkab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using the small amount of steel, and to securely resist compressive force transferred from outside. CONSTITUTION: A steel composite concrete plate(100) comprises corner frames(110), inner frames(120), and a concrete layer(140). The corner frames are formed in a box shape. The inner frames are composed of circular steel plates(120a), and comprise connection brackets. The concrete layer comprises a form filled with concrete. The form blocks a space between the corner frames and the inner frames. The top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is exposed to outside.

Description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STEEL AND CONCRETE DECK PLATE}Steel composite concrete plate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본 발명은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나 가설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노면을 복개하는데 사용하거나, 철골구조를 갖는 대형 건물 혹은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주차시설 등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으로 에워싸인 콘크리트 층의 내부에 원형 강관을 포함하는 내부프레임을 구비하여 강재량을 최소화하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제작비를 절감하고, 제작이 용이한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ated plate used to cover a road when digging a road or installing a temporary bridge, or used as a flooring material for a large building having a steel structure or a parking facility having a steel structure, and surrounded by a fra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concrete perforated plate having an internal frame including a circular steel pipe inside the concrete layer, structurally solid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일반적으로 복공판은 개착식 굴착공사나 지하철 건설과 같은 지하 시설물 공가를 위해 도로를 파헤치는 경우, 또는 가설 교량을 설치했을 경우,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노면을 복개하는 데에 사용하거나, 철골구조를 갖는 대형 건물 또는 철골구조로 이루어진 주차시설 등의 바닥재로 쓰인다.In general, double-glazed plates are used to excavate roads to allow construc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cut-off excavation or subway construction, or to install temporary bridges to cover roads so that pedestrians and vehicles do not interfere, or steel structures Used as a flooring of a parking lot, etc., which is made of a large building or steel structure.

종래의 복공판은 강재만을 이용하여 "ㄷ"형 형강과 "L"자 형강의 프레임이 서로 맞닿게 밀착시킨 후, 뒤집어서 맞닿은 부분을 내부에서 용접하는 방식과 "H" 형강을 이용하여 서로 밀착시켜 상부와 하부를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In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the frame of the "c" section steel and the "l" section steel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only steel materials, and then the inverted and welded portions are welded from the inside and the upper par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using the "h" section steel. It wa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bottom and the bottom.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은 모두 강재량이 많아서 고가(高價)이고, 강재의 특성상 노면이 미끄러워 별도로 미끄럼 방지시설을 하여야 하며, 용접량이 많아서 품질 유지가 어렵고, 차량의 반복 주행시 반복피로에 의해 용접부 전단 파괴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All of thes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s are expensive due to the large amount of steel, an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the road surface should be slippery, and additionally, slip prevention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quality due to the large amount of welding. There is a frequent problem.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콘크리트와 철근 혹은 콘크리트와 강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복공판이 있으나 이는 너무 무겁고 제작비가 증가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re is a perforated plate manufactured using concrete and reinforcement or concrete and steel, but this is too heavy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uneconomic problem.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공개특허 10-2008-0099556호의 "복공판"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상부면에 콘크리트(30)가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 바닥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의 하부평면플레이트(6)와 하부를 보강하는 하부보강플레이트(26)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ecovery board" of the prior patent publication 10-2008-0099556 is proposed conventionally. Such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1) is a concrete 3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as shown in Figure 1a and 1b, to reinforce the rectangular lower flat plate 6 and the bottom forming a lower bottom surface A lower reinforcing plate 26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하부평면플레이트(6)의 장변 양측면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상부는 내부로 절곡된 측면플레이트(2)를 구비하고, 하부평면플레이트(6)에 대하여 상방쪽으로 수직으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위치한 한쌍 내지 다수개의 종방향수직플레이트(12)와 횡방향수직플레이트(미 도시)를 갖는다.And positioned vertically on both sides of the long side of the lower flat plate 6, the upper portion has a side plate (2) bent inward, and vertically and vertically locat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lower flat plate (6) It has one to several longitudinal vertical plates 12 and transverse vertical plates (not shown).

또한 상기 종래의 복공판(1)의 중간부에 수평으로 위치하여 종/횡방향수직플레이트에서 돌출된 전단키(12a)(14a)가 끼움 고정되고, 상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걸림공(16)이 용접고정되고 중간부가 아래로 절곡되어 있는 중간부평면플레이트(10))를 구비하며, 복공판(1)의 양단면 하부평면플레이트(6) 위로 접하여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30)를 감싸고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가 내부로 절곡된 단부플레이트(4) 를 갖는다.In addition, the shear keys 12a and 14a which are horizontally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1 and protrude from the vertical / horizontal vertical plate are fitted and fixed, and the locking holes 16 are vertically fixed to the upper part. And an intermediate part flat plate 10 having an intermediate part bent downward, and an upper part of the concrete plate 30 which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1 in contact with the lower planar plate 6 on both ends, and prevents detachment. Has an end plate 4 which is bent inward.

또한 종래의 복공판(1)은 하부평면플레이트(6) 하부 저면에 위치하여 복공판(1)이 지지빔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24)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28)를 구비하며, 복공판(1) 상부에 채워지게 되는 콘크리트(30)와 콘크리트와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설치하는 와이어메쉬(2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1)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flat plate 6, the "L" type stopper 24 to prevent the perforated plate (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eam and the rubber pad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t is provided with a 28, the structure comprising a wire mesh 20 to be installed to increase the tension between the concrete 30 and the concrete to be filled in the upper perforated plate (1).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복공판(1)은 경량의 구조를 갖지만, 다수의 판재들을 용접으로 조립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상대적으로 제작하기가 어렵고,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용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1) has a lightweight structure, but the structure is complex and relatively difficult to manufacture because a large number of plate materials must be assembled and connected by welding, the production cost is high accordingly to be practical Has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재량을 최소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하고, 간단한 단면 구조를 갖추어 제작이 용이한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and to provide a steel composite concrete composite plate easy to manufacture by having a simple cross-sectional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된 복공판 구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composite concrete slab that can be constructed lightweight and structurally stable and stable stabilizing plate constru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 박스형태의 상부 모서리 프레임;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연결 브라켓을 통해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원형 강관을 포함하는 내부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 공간을 막는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기 거푸집 내측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하되 그 상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 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 강관의 빈 공간을 통해서 강재량을 최소화하여 제작비를 절감하고, 간단한 단면 구조를 갖추어 제작이 용이하며,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된 복공판 구축물을 축조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pper corner frame of the rectangular box shape; An inner frame including circular steel pipes fixed to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on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edge frame; And a concrete layer installed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upper edge frame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inside the formwork,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hrough the empty sp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it is easy to manufacture with a simple cross-sectio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build a stable perforated plate construction structurally robust.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를 더 고정시켜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하고 경량의 복공판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secure the reinforcement including the reinforcing ba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to be embedded in the filled concret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structurally more robust and light weight perforated plate.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층은 상기 거푸집 상에서 상 부 모서리 프레임의 상부모서리까지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1차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에는 상부 모서리 프레임을 뒤집어서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고, 상기 1차 콘크리트의 하부면과 상기 내부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2차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이를 통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안정된 복공판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concrete layer is cast on the primary concrete to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edge frame, and after the primary concrete is cured, the upper edge frame is turned over to remove the formwork, the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concrete and the inner frame is cured by pouring the secondary concret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structurally robust and stable perforated plate.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층은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 공간을 막되, 상부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측에 스터드를 돌출시키며, 상기 내부프레임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부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호형 보강재를 고정한 다음, 상기 호형의 거푸집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상부모서리까지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바닥면에 호형의 아치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더욱 경량의 복공판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호형 보강 철근과 콘크리트 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호형의 아치 구조를 통하여 더욱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견고히 저항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concrete layer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edge frame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upper edge frame, and installs a convex arc-shaped formwork to the upper side, the inner frame Protruding the stud on the upper side of the, and fixed a plurality of arc-shaped reinforcement to connect the inner frame to each other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n by pouring concrete to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edge frame on the form of the arc to cure the bottom The arc-shaped arch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lightweight perforated plate, but also to strongly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arc-shaped reinforcement bars and arc-shaped arch structur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크리트 층은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사이 공간을 막되, 상부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측에 스터드를 돌출시켜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부에 파형 형상의 다수의 보강재과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철근들을 고정한 다음, 상기 호형의 거푸집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상부모서리까지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바닥면에 호형의 아치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더욱 경량의 복공판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 형상의 다수의 보강 철근과 콘크리트 층의 바닥면에 형성된 호형의 아치 구조를 통하여 더욱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견고히 저항할 수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the concrete layer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edge frame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upper edge frame, and installs a convex arc-shaped formwork to the upper side, the inner frame By protruding the studs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to fix a plurality of corrugated reinforcement and connecting reinforcing bars integrally connecting them, and then by pouring concrete to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frame on the arc-shaped formwork by curing The arc-shaped arch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Throug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nufacture a lightweight lightweight perforated plate, but also to strongly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corrugated reinforcing bars and an arc-shaped arch structu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crete layer.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프레임은 "H"형 빔, 사각 강관, 삼각 강관 또는 마름모 단면의 강관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료 선택을 보다 다양화하여 제작비의 경감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inner frame includes any one of the "H" type beam, square steel pipe, triangular steel pipe or steel pipe of rhombus cross sec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by diversifying the material sel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단면 구조를 갖추고, 원형 강관을 포함하는 내부프레임의 내부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며, 상부 모서리 프레임의 내부에 콘크리트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강재량을 최소화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imple cross-sectional structure, forms an empty space inside the inner frame including the circular steel pipe, and because the concrete layer is formed inside the upper edge frame, it is easy to manufacture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내부프레임들과 바닥면에 아치형 구조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층으로 인하여 경량이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더욱 견고히 저항할 수 있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된 복공판 구축물을 축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plurality of internal frames form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a concrete layer forming an arched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it is lightweight and can more firmly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so it is structurally strong and stable perforated plate An excellent effect of constructing the construct is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박스형의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하부에 연결 브라켓(112)을 통해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내부프레임(120)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teel composite concrete perforated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rner frame 110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and a connection bracket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rner frame 110. It is fixed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the 112,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 frames 120 to form an empty space.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강관(120a)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하부에는 복공판(100)이 지지빔(미 도시)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L"형 스토퍼(124)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미 도시)를 구비한다.The inner frame 120 may be preferably made of a circular steel pipe (120a),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120 is a "L" type stopper to prevent the separation hole 10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eam (not shown) 124 and a rubber pad (not shown) that absorb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콘크리트 층(140)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콘크리트 층(140)은 내부에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145)를 구비하고, 거푸집(150)을 통해서 콘크리트 타설되어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concrete layer 140 is formed inside the upper edge frame 110, and the concrete layer 140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aterial 145 including reinforcement therein and is poured through the formwork 150.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의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100)은 경량이면서 구조적으로 보강된 것이다.Through such a structure, the steel composite concrete porous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weight and structurally reinforced.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100)은 상기 콘크리트 층(140)이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 내에 형성된다.In the composite concrete porous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the concrete layer 140 is formed in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S. 4A to 4E.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120)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120)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을 막는 거푸집(150)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상부측에 스터드(132)를 돌출시켜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145)를 고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mold 15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upper edge frame 110. Protruding the stud 132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20 to fix the reinforcement 145 including the reinforcing bar.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거푸집(150)은 그 양측 모서리에 스틸로폼이나 고무 재료의 분리재(152)를 장착하고, 내부프레임(120)의 사이에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푸집(150)이 내부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formwork 150 is equipped with a separation material 152 of styrofoam or rubber material at both edges thereof, and the formwork 150 is supported by the inner frame 120 to support the inner frame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50)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부모서리까지 1차 콘크리트(140a)를 타설하고, 양생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primary concrete 140a is poured and cured from the formwork 150 to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또한 상기 1차 콘크리트(140a)가 양생된 다음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을 뒤집어서 상기 거푸집(150)을 제거하고, 도 4d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콘크리트(140a)의 하부면과 상기 내부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을 2차 콘크리트(140b)로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In addition, after the primary concrete 140a is cured, as shown in FIG. 4C, the frame 110 is turned upside down to remove the formwork 150, and as shown in FIGS. 4D and 4E, primary concrete.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140a and the inner frame 120 is poured into secondary concrete 140b to cure.

한편 본 발명의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1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층(140)은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120)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120)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을 막되, 상부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거푸집(150a)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A and FIG. 5B, the rigid composite concrete perforated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s 120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and Block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upper edge frame 110, install the convex arc-shaped formwork 150a to the upper side and pour concrete.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호형의 거푸집(150a)이 내부프레임(120)들의 사이 공간에서 그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120)은 그 상부측에 스터드(132)를 돌출시키며,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부프레임(12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호형 철근을 포함하는 호형 보강재(145a)를 고정한다.In such a structure, the arc-shaped formwork 150a is formed to have a convex center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s 120. In addition, the inner frame 120 protrudes the stud 132 on the upper side, the arc-shaped reinforce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arc-shaped reinforcement to connect the inner frame 120 to each other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 145a).

이때 상기 호형 철근을 포함하는 호형 보강재(145a)들은 각각 내부프레임(120)의 외면에 그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되며, 상기 호형의 거푸집(150a)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부모서리까지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층(140)은 양생 후에 그 바닥면에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층(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층(140)은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더욱 견고히 저항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rc-shaped reinforcement (145a) including the arc-shaped reinforcement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inner frame 120 by welding, the concrete from the formwork 150a of the arc to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By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layer 140 forms an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on its bottom surface after curing. Through the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140, the concrete layer 140 can be more firmly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층(140)은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120)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120)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에 상부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거푸집(150a)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상부측에 스터드(132)를 돌출시켜 호형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145a)들을 고정시킨다.6A and 6B, the concrete layer 140 has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s 120 at an inner sid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an inner frame 120 and an upper edge. An arc-shaped formwork 150a convex to the upper side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s 110, and the stud 132 is projec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20 to fix the reinforcement 145a including the arc-shaped reinforcement. .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호형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145)은 내부프레임(120)의 상부에 파형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재(145b)와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 철근(145c)들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보강재(145)을 스터드(132) 상에 반생철근 등으로 고정한 다음, 상기 호형의 거푸집(150a)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부모서리까지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층(140)은 그 바닥면에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형성한 것이다. In this structure, the reinforcement 145 including the arc-shaped reinforcement is made of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145b formed in a wave sha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120 and connecting bars 145c integrally connecting them. The same reinforcing material 145 is fixed on the stud 132 with semi-reinforced steel or the like, and then the concrete layer 140 is cured by pouring concrete to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edge frame 110 on the arc-shaped formwork 150a. An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120)과 콘크리트 층(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통하여 더욱 경량의 복공판(100)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 형상의 다수의 보강재(145b)와 콘크리트 층(140)의 바닥면에 형성된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통하여 더욱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견고히 저항할 수 있다.Even in such a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roduce a lighter weight perforated plate 100 through the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frame 120 and the concrete layer 140, but also have a large number of corrugated shapes. Reinforcement 145b and through the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layer 140 can be more firmly resist the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10)의 내측에 내부프레임(120)과 콘크리트 층(140)이 위치되는 간단한 단면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강재량을 최소화하면서 제작이 용이하여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frame 120 and the concrete layer 140 are positioned inside the frame 110, thereby easily manufacturing while minimizing the amount of steel,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내부프레임(120)들과 바닥면에 아치형 구조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층(140)으로 인하여 더욱 경량이면서 외부에서 전달되는 압축력에 더욱 견고히 저항할 수 있어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안정된 복공판(100) 구축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plurality of inner frames 120 form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the concrete layer 140 forming an arcuate structure on the bottom surface, it is lighter and more firmly resistant to compressive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reby making it structurally robus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able structure of the perforated plate 100.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부프레임(120)을 원형 강관(120a) 이외의 다른 구조로 대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H"형 빔, 사각 강관, 삼각 강관 또는 마름모 단면의 강관 중의 어느 하나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120)이 원형 강관(120a) 뿐만 아니라, 이를 대체하는 재료의 다양한 선택을 통해 보다 제작비의 경감을 이룰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lace the inner frame 120 with a structure other than the circular steel pipe 120a. For example, the inner frame 120 may be replaced with any one of an “H” beam, a square steel pipe, a triangular steel pipe, or a steel pipe having a rhombus cross section. Can b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frame 120 may achieve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through various selections of materials to replace the circular steel pipe 120a as wel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1A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복공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concret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el composite concret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의 제작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4a to 4e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step by step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teel composite concrete composit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에서 호형 거푸집과 호형 보강철근을 구비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5a and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having an arc-shaped formwork and arc-shaped reinforcement in a steel composite concret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에서 호형 거푸집과 파형 형상의 보강 철근을 구비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tructure having arc-shaped formwork and corrugated reinforcing bars in a steel composite concrete perforated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종래의 복공판 2..... 측면플레이트 1 .....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2 ..... side plate

4..... 단부플레이트 6..... 하부평면플레이트 4 ..... end plate 6 ..... bottom flat plate

10..... 중간부평면플레이트 12..... 종방향수직플레이트10 ..... Intermediate Flat Plate 12 ..... Vertical Vertical Plate

12a,14a.... 전단키 16..... 걸림공12a, 14a .... Shear Key 16 ..... Hang Hole

20..... 와이어메쉬 24..... "L"형 스토퍼 20 ..... Wire Mesh 24 ..... "L" Stopper

26..... 하부보강플레이트 28.... 고무패드 26 ..... Reinforcement plate 28 .... Rubber pad

30..... 콘크리트 100.....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30 ..... Concrete 100 ..... Steel composite concrete slab

110.... 상부 모서리 프레임 112..... 연결 브라켓110 .... upper corner frame 112 ..... connection bracket

120..... 내부프레임 120a.... 원형 강관120 ..... Internal frame 120a .... Round steel pipe

124.... "L"형 스토퍼 132.... 스터드124 .... "L" type stopper 132 .... stud

140..... 콘크리트 층 140a... 1차 콘크리트 140 ..... Concrete Floor 140a ... Primary Concrete

140b.... 2차 콘크리트 145.... 보강재 140b .... Secondary Concrete 145 .... Reinforcement

150.... 거푸집 145a.... 호형 보강재150 .... formwork 145a .... arc stiffener

145b.... 파형 형상의 보강재 145c..... 연결 철근145b .... Stiffeners with corrugated shape 145c ..... Connecting bars

147.... 아치 구조 150a.... 호형의 거푸집 147 .... arch structure 150a .... arc formwork

152..... 분리재152 ..... Separator

Claims (6)

사각 박스형태의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Upper corner frame 1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 하부에 연결 브라켓(112)을 통해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는 원형 강관(120a)인 내부프레임(120); 및An inner frame 120 that is a circular steel pipe 120a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112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upper edge frame 110; And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120)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을 막는 거푸집(150)을 설치하여 상기 거푸집(150) 내측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하되 그 상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콘크리트 층(140);을 포함하며, By installing the formwork 150 to block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upper edge frame 110 so that the concrete is filled in the form 150, the upper surface is It includes; concrete layer 140 is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콘크리트층(140)으로부터 하중이 내부프레임(120a)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층(140)은 상기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내부프레임(120)들의 사이 공간과, 내부프레임(120)과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사이 공간을 막되, 상부측으로 볼록한 호형의 거푸집(150a)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상부측에 스터드(132)를 돌출시키며,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내부프레임(12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다수의 호형 보강재(145a)를 고정한 다음, 상기 호형의 거푸집(150a)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부모서리까지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바닥면에 호형의 아치 구조(147)를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In order to directly transfer the load from the concrete layer 140 to the inner frame (120a), the concrete layer 140 is a space between the inner frame 120 and the inner frame (insid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Blocking the space between the 120 and the upper edge frame 110, and installs an arc-shaped formwork (150a) convex to the upper side, protrudes the stud 132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120, the inner frame ( Fixing a plurality of arc-shaped reinforcement (145a) to connect the inner frame 120 to each other in the space between the 120, and then cured by pouring concrete from the arc formwork (150a) to the upper corner of the upper edge frame 110 By forming a arc-shaped arch structure 147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osite steel composite slab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120)의 상부에 철근을 포함하는 보강재(145)를 더 고정시켜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하는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ed composite reinforcing plate to be embedded in the filled concrete by further fixing the reinforcement (145) including the reinforcemen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frame (12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층(140)은 상기 거푸집(150) 상에서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부모서리까지 1차 콘크리트(140a)를 타설하고, 상기 1차 콘크리트(140a)가 양생된 다음에는 상부 모서리 프레임(110)을 뒤집어서 상기 거푸집(150)을 제거하고, 상기 1차 콘크리트(140a)의 하부면과 상기 내부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을 2차 콘크리트(140b)로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crete layer 140 is poured on the formwork 150, the primary concrete (140a) from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dge frame 110, the primary concrete (140a) After curing, the upper edge frame 110 is turned upside down to remove the formwork 150,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mary concrete 140a and the inner frame 120 to the secondary concrete 140b. A composite steel composite slab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ured and cu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52063A 2009-06-11 2009-06-11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KR100954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63A KR100954154B1 (en) 2009-06-11 2009-06-11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63A KR100954154B1 (en) 2009-06-11 2009-06-11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154B1 true KR100954154B1 (en) 2010-04-21

Family

ID=4222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63A KR100954154B1 (en) 2009-06-11 2009-06-11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1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53A (en) * 2018-05-11 2019-11-20 강병관 Road deck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RU200809U1 (en) * 2020-06-08 2020-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Sectional road su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0942U (en) * 1975-06-17 1976-12-21
JPS5938505U (en) 1982-09-07 1984-03-12 住金鋼材工業株式会社 Temporary floorboards with snow melting function
KR200425920Y1 (en) 2006-06-07 2006-09-12 지엘기술 (주) Assembly Type Complex Temporary Bridge Deck
KR100838409B1 (en) * 2007-02-14 2008-06-13 오수철 Deck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0942U (en) * 1975-06-17 1976-12-21
JPS5938505U (en) 1982-09-07 1984-03-12 住金鋼材工業株式会社 Temporary floorboards with snow melting function
KR200425920Y1 (en) 2006-06-07 2006-09-12 지엘기술 (주) Assembly Type Complex Temporary Bridge Deck
KR100838409B1 (en) * 2007-02-14 2008-06-13 오수철 Deck p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53A (en) * 2018-05-11 2019-11-20 강병관 Road deck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220050B1 (en) * 2018-05-11 2021-02-25 강병관 Concrete pouring plate with reinforced tension
RU200809U1 (en) * 2020-06-08 2020-1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Sectional road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081B1 (en)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947306B1 (en)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314081B1 (en) Retaining wall and upeer structure connection method for rahmen structure
KR20090050520A (en) Libbed half pc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070106256A (en) Concrete device for covering opened road
KR100728106B1 (en) Cantilever construction structure of slab for bridg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26886A (en) Structure equipped with box girder
KR100966144B1 (en)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 abutment socket and tendon
KR101127923B1 (en) Pylon of cable-stayed bridge having composite combin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13784B1 (en) Integral abutment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old joint butment bridge
KR101675910B1 (en)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bicycle road
KR2016001078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CN209907429U (en) Industrialized dense rib plate type retaining wall
KR100954154B1 (en) Steel and concrete deck plate
KR10113296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plate girder bridge stiffened its negative moment area by concrete and structure thereof
KR20090094986A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KR20110093139A (en) Rahmen typ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KR100990967B1 (en) Assembled bridge and method for constucting an assembled bridge
KR101008555B1 (en) Hybrid girder for underpass and underpass using the same
KR100758711B1 (en) Concrete filled deck plates
KR100889140B1 (en) The assembly type hollow slab
KR101010109B1 (en) Concrete filled composite lining board of assembly type
KR101220678B1 (en) Rib optimized slab
KR101043710B1 (en) Through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side beam and slab by box structure without lateral prestressing
KR101215764B1 (en) A burial slab structure of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