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136B1 -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136B1
KR102279136B1 KR1020140175330A KR20140175330A KR102279136B1 KR 102279136 B1 KR102279136 B1 KR 102279136B1 KR 1020140175330 A KR1020140175330 A KR 1020140175330A KR 20140175330 A KR20140175330 A KR 20140175330A KR 102279136 B1 KR102279136 B1 KR 10227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management server
flight
receive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624A (ko
Inventor
김태균
강성필
서경덕
심영용
이주형
임호문
장아름
조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7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16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 B64C13/20Initiating means actuated automatically, e.g. responsive to gust detectors using radiate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드론에 의한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드론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드론과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DRONE, DRONE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IGHT OF DRONE}
본 발명은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드론의 비행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기 위한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드론(drone)이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군용 및 취미용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운송업 및 영화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성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
드론은 드론 조종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비행 및 사진 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드론 조종 장치를 통한 드론의 제어는 수 백 미터 내외의 근거리에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드론 조종 장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영역으로 드론을 비행시키고, 원하는 영역의 사진을 촬영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드론의 비행을 통제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보안시설 및 사생활 보호가 요구되는 지역에서 드론을 비행시키거나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드론의 비행 및 사진 촬영을 일정 정도 제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드론의 비행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드론의 비행을 일정 정도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사생활, 군사시설 및 영업시설 등과 같이 비밀의 보장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제어 방법은,
드론에 의한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과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비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드론 관리 서버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으로부터 드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비행 불가 지역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가 상기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드론으로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는,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드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드론으로부터 드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비행 불가 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행 불가 지역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가 상기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드론의 비행을 일정 정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사생활, 군사시설 및 영업시설 등과 같이 비밀의 보장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드론 조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드론의 동작 상태가 제 1 모드로 설정된 이후의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드론의 동작 상태가 제 1 모드로 설정된 이후의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 드론 관리 서버(200) 및 드론 조종 장치(300)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200), 및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드론(100)과 드론 관리 서버(200)는 기지국(400)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드론(1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비행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이/착륙, 비행 방향 전환 및 고도 조절을 한다. 드론 조종 장치(300)는 드론(100)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조종 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구현예에 따라서는, 데스크탑 컴퓨터,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이/착륙, 비행 방향 전환 및 고도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이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드론 관리 서버(200)와 인증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드론(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심(usim) 모듈을 포함하고 있으며,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유심 모듈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IMSI 번호에 기초하여 드론(100)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그 비행에 일정 정도 제한을 받을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210 단계에서, 드론(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200)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100)은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기 전에,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소정 주기마다 전송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3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S24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2 모드로 설정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의 인증이 완료된 상태이면, 확인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하고, 드론(100)의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거나, 이동통신망의 연결이 불가능하면 드론(100)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1 모드로 설정되면, S25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과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행'이란, 드론(100)의 이륙, 착륙, 방향 전환 및 고도 조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2 모드로 설정되면, S26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을 거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드론(100)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를 받는 경우에 한하여 드론(100)의 비행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드론(100)의 임의 조작을 일정 정도 또는 모두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1 모드로 설정된 이후의 드론(100)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305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S310 단계에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소정 주기마다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는 드론(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S315 단계에서, 드론(100)은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소정 횟수 전송하는 동안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드론(100)과 드론 관리 서버(200)를 연결하는 이동통신망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드론(100)이 연속적으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S32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유지한다.
S325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을 제한하는 제 3 모드로 설정한다. 드론(100)이 제 1 모드로 설정된 후에는 드론(100)이 비행 중 상태에 있을 수 있으므로, 만약,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아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2 모드로 변경한다면, 드론(100)이 추락할 위험이 있는바, 드론(100)의 사진 촬영만을 제한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진 촬영이라 함은, 드론(100)이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정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S33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3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드론 조종 장치(3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드론(100)을 안전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도록 유도한다.
S335 단계에서, 드론(100)은 제 3 모드로 변경된 후에,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소정 횟수 전송하는 동안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S34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드론(100)은 제 1 모드로 변경하고, S345 단계에서,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 및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비행 및 사진 촬영을 한다.
S35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드론(100)은 기 설정된 지점으로 비행을 한다. 드론(100)과 드론 관리 서버(200)의 통신 이상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면, 드론(100)의 통제가 불가능해지므로 드론(100)을 안전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 4는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1 모드로 설정된 이후의 드론(100)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405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한다. 제 1 모드 상태에서 드론(100)은 드론 조종 장치(300)의 비행 제어 명령 및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비행 및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위치 정보를 GPS 모듈을 통해 수신하여, 드론(100)의 위치 정보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마다 드론(100)의 위치 정보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415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의 위치가 비행 불가 지역에 해당하면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하고, 드론(100)의 위치가 비행 불가 지역이 아니라면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면, S42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유지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면, S425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사진 촬영을 제한하는 제 4 모드로 설정하고, S430 단계에서, 드론(100)의 동작 상태가 제 4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드론 조종 장치(300)로 전송한다.
S435 단계에서, 드론(100)은 동작 상태를 제 4 모드로 설정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면, S440 단계에서, 드론(100)은 드론(100)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변경하고, S445 단계에서,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 및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비행 및 사진 촬영을 수행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S450 단계에서, 드론(100)은 기 설정된 비행 허가 지역으로 비행을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설명한 비행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드론(100)과 드론 관리 서버(200) 사이의 통신을 계속적으로 유지하여 드론(100)의 비행을 일정 정도 제한하고, 동시에 드론(100)이 비행 불가 지역으로 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0)은 드론 조종 장치(300)의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사진을 촬영한 경우,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거나 별도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지 않고 드론 관리 서버(200)로만 전송하여 드론 관리 서버(200)에 의해 사진 데이터가 검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5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500)은 제 1 통신부(510), 제 2 통신부(520), 유심 모듈(530), GPS 모듈(540), 카메라 모듈(550) 및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5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드론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통신부(5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드론 조종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유심 모듈(530)은 드론(500)을 드론 관리 서버(200)에 인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드론(500)의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GPS 모듈(540)은 드론(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카메라 모듈(550)은 드론 조종 장치(300)에 의해 수신되는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사진을 촬영한다.
제어부(560)는 제 1 통신부(510), 제 2 통신부(520), 유심 모듈(530), GPS 모듈(540) 및 카메라 모듈(550)을 제어하고, 드론(500)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제 1 통신부(510)를 통해 드론(500)을 인증하거나, 드론(500)의 위치 정보 및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60)는 드론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드론(500)의 상태를 제 1 모드, 제 2 모드, 제 3 모드 및 제 4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각 모드에 따라 드론(500)의 비행/사진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드론(500)의 동작 상태 및 각 모드에 따른 드론(500)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드론 관리 서버(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200)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61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으로부터 드론(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으로부터 드론(1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드론(1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드론 관리 서버(200)는 인증이 완료된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드론(100)으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가 기 저장된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에는 비행 불가 지역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으며, 비행 불가 지역 정보는 계속적으로 갱신될 수도 있다.
S63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가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대응하면,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하여 드론(100)이 비행 불가 지역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수신한 드론(100)은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에서 제 4 모드로 변경할 것이다.
S64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가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대응하지 않으면,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200)의 비행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71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으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 드론(100)은 드론 조종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드론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사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한다. 오브젝트는 사람 및 건물 등 사진 촬영의 대상이 된 객체를 의미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는 드론(100)으로부터 동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동영상 데이터로부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으로부터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도 있다. 사진 데이터의 색상, 모양 등을 이용해 소정 물체를 식별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73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드론 관리 서버(200)에는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는 촬영이 제한되는 장소, 건물, 사람의 형상 및 모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3자의 촬영이 허용되지 않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라면 본 발명의 촬영 제한 오브젝트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면, 해당 사진 데이터를 삭제한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드론 관리 서버(200)는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경우,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소정 이미지 처리를 적용한 후, 이미지 처리가 완료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소정 이미지 처리는 사진 데이터 중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삭제 또는 모자이크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750 단계에서, 드론 관리 서버(200)는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가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폰, PC 등으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 제어 방법에 의하면, 드론(100)에 의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기 전에, 드론 관리 서버(200)가 먼저 검증을 수행하므로, 비밀의 보장이 요구되는 사진 데이터가 공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8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관리 서버(800)는 통신부(810), 저장부(82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드론(100)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드론(100)으로부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 또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하고, 확인 메시지,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 또는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820)는 드론(100)을 인증하기 위한 드론(100)의 식별 정보, 비행 불가 지역 정보 및 촬영 제한 오브젝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830)는 통신부(810)와 저장부(820)를 제어한다.
제어부(83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되는 드론(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드론(100)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통신부(810)를 통해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확인 메시지를 드론(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드론(100)으로부터 수신되는 드론(100)의 위치 정보와 비행 불가 지역 정보 사이의 비교 및 사진 데이터와 촬영 제한 오브젝트 정보 사이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은 드론의 비행을 일정 정도 제한하면서, 사생활, 군사시설 및 영업시설 등과 같이 비밀의 보장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500: 드론
200, 800: 드론 관리 서버
300: 드론 조종 장치

Claims (19)

  1. 드론에 의한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소정 주기마다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과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 소정 횟수 전송하는 동안,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사진 촬영을 제한하는 제 3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로 설정하기 전에,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2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제 3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 소정 횟수 전송하는 동안,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지점으로 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7. 드론에 의한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론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과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단계;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위치가 비행 불가 지역에 해당되어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드론의 사진 촬영을 제한하는 제 4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 4 모드로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제 4 모드로 변경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비행 허가 지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지점으로 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진 촬영 명령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드론에 포함된 유심(usim) 모듈을 통해 상기 드론 관리 서버에 대해 인증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2.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 관리 서버로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소정주기마다 전송하는 제 1 통신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비행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드론의 동작 상태를 제 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드론 조종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제어 명령에 따라 비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 소정 횟수 전송하는 동안, 상기 드론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드론의 사진 촬영을 제한하는 제 3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13. 드론 관리 서버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드론으로부터 드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비행 불가 지역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가 상기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드론으로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드론에 의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와 기 저장된 촬영 제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면, 상기 사진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드론으로부터 상기 드론에 포함된 유심 모듈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제어 방법은,
    상기 드론으로부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의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비행 허가 요청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와 기 저장된 촬영 제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면, 상기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소정 이미지 처리를 적용한 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 제어 방법.
  19.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드론 관리 서버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드론으로부터 드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비행 불가 지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비행 불가 지역 정보와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드론의 위치 정보가 상기 비행 불가 지역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드론으로 비행 불가 지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론에 의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사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와 기 저장된 촬영 제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촬영 제한 오브젝트에 대응하면, 상기 사진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관리 서버.
KR1020140175330A 2014-12-08 2014-12-08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KR102279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30A KR102279136B1 (ko) 2014-12-08 2014-12-08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30A KR102279136B1 (ko) 2014-12-08 2014-12-08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24A KR20160069624A (ko) 2016-06-17
KR102279136B1 true KR102279136B1 (ko) 2021-07-21

Family

ID=5634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30A KR102279136B1 (ko) 2014-12-08 2014-12-08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070B1 (ko) * 2015-10-19 2017-02-01 (주)에이알웍스 Uav 식별장치 및 uav 식별장치의 비행 제어 수행 방법
KR20170101087A (ko) * 2016-02-26 2017-09-05 (주)스마트모션 복합센서를 이용한 드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431102B2 (en) * 2016-11-09 2019-10-01 The Boeing Company Flight range-restricting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180066713A (ko) * 2016-12-09 2018-06-19 신양섭 무인비행체의 비행 가능성 확인방법 및 장치
KR102002373B1 (ko) * 2017-04-27 2019-07-22 탁승호 드론 비행 예약 관제 시스템
FR3067473B1 (fr) * 2017-06-09 2019-06-28 Drone Protect System Procede de videosurveillance utilisant au moins un drone autonome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KR102029173B1 (ko) 2017-06-27 2019-10-07 박소현 드론 비행을 위한 공중 교통체계와 그 공중 교통체계 하의 드론 자율 비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852851B1 (ko) * 2017-11-10 2018-04-27 (유)동아하이테크 드론 제어 장치
CN108091122A (zh) * 2017-12-29 2018-05-29 深圳创动科技有限公司 无人机及其通信方法、控制系统和具有存储功能的装置
KR102224567B1 (ko) 2019-02-11 2021-03-08 홍영표 비행경력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418107B1 (ko) * 2020-12-07 2022-07-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수단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591A (ja) * 2006-10-26 2008-05-08 Hiroboo Kk 自律制御無人飛行体の飛行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615B1 (ko) * 2008-01-17 2010-06-1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 관측 시스템 및 무인비행체 및 그 운용방법
KR101417498B1 (ko) * 2012-12-21 2014-07-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항공기 획득 영상을 이용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5591A (ja) * 2006-10-26 2008-05-08 Hiroboo Kk 自律制御無人飛行体の飛行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24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136B1 (ko) 드론,드론 관리 서버 및 이들에 의한 드론의 비행 제어 방법
US11566915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a flight task
WO2018209683A1 (zh) 身份验证方法、设备、机器可读存储介质以及系统
CN107207089B (zh) 用于捕获图像的基于无人机的系统和方法
US2021019142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base station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50350820A1 (en)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US20210191390A1 (en) User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drone
WO2018036040A1 (zh) 搭载于无人机云台上的智能设备的拍照方法和系统
US11363185B1 (en) Determining capture instructions for drone photography based on images on a user device
US10083319B2 (en) Privacy zone
KR102181741B1 (ko) 드론을 관제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6537799B (zh) 摄像头控制方法和摄像头控制装置
US10038834B2 (en) Video call method and device
US9298746B2 (en) Collaborative capture of photographic images
CN102272673A (zh) 用于为本人自动拍摄照片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KR102559827B1 (ko) 블록체인과 해쉬 암호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영상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6872A (ko)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되는 드론 및 드론의 제어 방법
US11945583B2 (en) Method for generating search inform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901041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US11995165B2 (en) Unmanned flight device, management device, operation device and flight management method
US20190132711A1 (en)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sharing image files
US20210306343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ecurity access permissions between in-camera users
KR101676767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순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77983A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60770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