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584B1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584B1
KR102278584B1 KR1020170033263A KR20170033263A KR102278584B1 KR 102278584 B1 KR102278584 B1 KR 102278584B1 KR 1020170033263 A KR1020170033263 A KR 1020170033263A KR 20170033263 A KR20170033263 A KR 20170033263A KR 102278584 B1 KR102278584 B1 KR 10227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leaning
main body
cleaning module
module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4362A (en
Inventor
김효성
남보현
박소진
김진주
배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84B1/en
Publication of KR2017003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8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16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suction devices other than rotary fans
    • A47L5/18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suction devices other than rotary fans with ejectors, e.g. connected to motor vehicle exha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듈결합부; 및 청소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모듈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vacuum cleaner.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ain body; a suction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sucking dust and air; a module coup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leaning module having a cleaning area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w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rea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do.

Description

로봇 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vacuum cleaner.

로봇 청소기란, 소정의 청소 영역을 주행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가전기기다.A robot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while traveling in a predetermined cleaning area.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청소 대상물로부터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장치 및 청소 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아지테이터를 포함한다.Such a robot cleaner includes a suction device provid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eaning object and an agitator for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cleaning object.

종래 기술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노즐 개구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노즐 개구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 및 상기 본체의 주행을 위한 주행 장치가 설치된다.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nozzle opening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i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nozzle opening and a traveling device for traveling of the body are installed inside the body.

한편,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아지테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아지테이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지테이터는, 청소 대상물을 가압하거나 긁어내어서 청소 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n agitator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agitator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he agitator serves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bject to be cleaned by pressing or scraping the object to be cleaned.

한편,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8797호(공개일 2006.05.04.)에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된다.Meanwhile, a robot clea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38797 (published on May 4, 2006), which is a prior document.

상기 선행문헌은, 바닥의 함몰부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하며, 요철이 있는 바닥면을 따라 움직이는 흡입 노즐;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노즐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봇 청소기를 개시한다.The prior document relates to a robot cleaner that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a depression of the floor, and includes: a cleaner body; a suction nozzl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lower part of the cleaner body to suck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and to move along the uneven floor surface; And discloses a robot cleaner configured to include a nozzle support for preventing the suction nozzl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이와 같은 로봇 청소기의 경우,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이드 브러시 등의 구성으로 바닥의 이물질을 흡입노즐 측으로 이동시켜야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흡입 노즐로 제대로 이동되지 않으면, 청소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었다.In the case of such a robot cleaner,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and the foreign material on the floor must be moved to the suction nozzle side with a side brush, etc.,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sucked. If the foreign material is not properly moved to the suction nozzle, The cleanliness could be poor.

또한, 종래의 로봇 청소기의 경우 흡입 노즐이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서, 흡입 노즐을 이용하여 청소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이었다. 즉, 상기 로봇 청소기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만 상기 흡입 노즐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obot cleaner, since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leaner body, the area that can be cleaned using the suction nozzle is limit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can be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only within an area in which the robot cleaner can move.

또한, 기존의 로봇 청소기는 흡입 노즐을 교환할 수 없으므로, 물걸레 청소, 스팀 청소, 카펫 청소 같이 특성화된 청소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cannot replace the suction nozz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implement specialized cleaning such as wet mop cleaning, steam cleaning, and carpet cleaning.

또한, 기존의 로봇 청소기로 물걸레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본체의 하단 중앙에 장착할 수 밖에 없으므로, 평면의 걸레만을 장착이 가능하여, 걸레가 쉽게 오염되거나 걸레에 수분이 증발하여, 넓은 공간을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leaning with a wet mop with a conventional robot vacuum cleaner, it can onl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so only a flat mop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mop is easily contaminated or moisture evaporates from the mop to clean a large space. There was an impossible problem.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특화된 청소를 수행될 수 있도록, 청소모듈을 교환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exchanging a cleaning module so that a specialized clean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user's nee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봇청소기의 본체가 진입할 수 없는 공간에도 흡입구를 진입시켜 청소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cleaning by introducing a suction port into a space where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cannot e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와 청소 모듈이 용이하게 결합 가능한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in which a main body and a cleaning module can be easily coupl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듈결합부의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청소모듈이 컴팩트 해질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can be compact by improving the shape of the module coupling p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의 본체에는 청소모듈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결합부가 구비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of the robot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dul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rea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상기 청소모듈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된다.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o prevent an obstacle from being caught into the space.

청소모듈이 모듈결합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청소모듈은 상기 모듈결합부와 체결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cleaning module to be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art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일 예로, 상기 제1체결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 또는 상기 조작부의 일부가 수용되는 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조작부 또는 홈 중 다른 하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art may be any one of a manipulation unit that can be manipulated by a user or a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manipulation unit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may be the other one of the manipulation unit or the groove.

또한, 청소모듈이 모듈결합부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모듈결합부와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를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cleaning module to be st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clean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the coupling with the module coupling part,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is a first guide for moving the first guide part. It may further include two guides.

상기 청소모듈이 먼지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모듈은 먼지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배출공 및 상기 흡입수단과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dust and air so that the cleaning module can suck dust and air, and the module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suction means. can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하여, 모듈결합부는 제1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for the cleaning module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ody, the module coup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or, and 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for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청소모듈의 먼지를 털어내는 회전 청소부재와, 상기 회전 청소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rotary cleaning member to shake off the dust of the cleaning module, and a rotary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rotary cleaning member.

상기 청소모듈은, 복수의 롤러와 상기 복수의 롤러에 장착되어, 상기 바닥면을 닦아내는 벨트형의 회전걸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and a belt-type rotary mop mounted on the plurality of rollers to wipe the floor surface.

상기 청소모듈을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본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청소모듈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듈결합부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In order to configure the cleaning module compactly, the module coupling part may protrude from the main body,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may be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module. At this time, the module coupl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로봇청소기의 청소 가능한 영역이 증가되도록, 상기 청소모듈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가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듈결합부; 및 청소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모듈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모듈결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모듈결합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듈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청소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청소모듈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듈결합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의 조작부 사이에 상기 수용부가 위치된다. 상기 모듈결합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To increase the cleaning area of the robot cleaner, the cleaning module may include a case and a fixing par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case.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case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main body; a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ain body; a suction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sucking dust and air; a module coup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a cleaning module having a cleaning area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wherein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e, the The fixing part includes a manipulation part for fixing the fixing part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nd the fixing part is slid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surround the module coupling part, and the module A portion of the exterior of the cleaner is formed so that the manipulation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rea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pac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s provided to prevent an obstacle from being caught, and the fixing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extension portion while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or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receiving part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manipulation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s on both sides. The module coupling portion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청소모듈을 본체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브러쉬 등의 별도 구성이 없이도 구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module can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erform corner cleaning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 side brush.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청소모듈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른 청소모듈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module can be ex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effective cleaning by using the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the need.

또한. 본체가 진입할 수 없는 공간에 흡입구가 진입할 수 있으므로, 청소 가능한 공간이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suction port can enter a space where the main body cannot enter, there is an effect of expanding the cleanable space.

또한, 용이하게 청소 모듈이 착탈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청소 모듈을 본체에서 분리하거나, 본체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module is easily detachab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cleaning module from the main body or combine it with the main body with one hand.

또한, 컴팩트한 청소모듈이 결합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청소 모듈이 협소한 공간에 보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pact cleaning module is combined,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types of cleaning modules can be stored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과 본체가 분리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부분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in which a cleaning module and a main body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과 본체가 분리된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in which a cleaning module and a main body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4 ,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It is a cross section.

상기 본체(1)는, 내부 전장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 상기 청소모듈(100)이 연결되는 모듈결합부(20),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미도시), 상기 본체(1)를 이동하게 하는 이동장치(50) 및 상기 감지수단을 통하여 얻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동장치(5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 includes a case 10 for protecting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s, a module coupling unit 20 to which the cleaning module 100 is connected, a sensing means (not shown) for detecting an obstacle, and the main body 1 ) may include a mobile device 50 for moving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50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means.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본체(1)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본체(1)의 구성을 보호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납작한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납작한 다면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The case 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main body 1 and prot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1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are disposed inside the case 10 . The case 10 may have a flat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flat polyhedron.

상기 모듈결합부(20)는 상기 청소모듈(100)과 본체(1)가 연통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모듈결합부(20)는 도 2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module coupling unit 2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1 . The module coupling part 2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as shown in FIG. 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to the case 10 .

상기 본체(1)는 상기 청소모듈(10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16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상기 수용부(16)는 일 예로 상기 본체(1)의 전면 하측 부분이 후방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용부(16)는 상기 모듈결합부(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16 may be formed as, for example, the lower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rear. For example, the accommodating part 16 may be located below the module coupling part 20 .

따라서, 상기 청소모듈(100)이 상기 수용부(16)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모듈(100)의 일부, 일 예로 청소모듈(100)의 케이스(200)의 일부는 상기 본체(1)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10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16 , a par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for example, a part of the case 200 of the cleaning module 100 , is part of the main body 1 ) and arranged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청소모듈(100)의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1)의 앞쪽 부분에서 양측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청소모듈(100)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1)의 앞쪽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된다. Another part of the cleaning module 100 protrudes from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 to both sides.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cleaning module 10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 .

상기 모듈결합부(20)에는 상기 청소모듈(100)과 상기 본체(1)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리브홈(11) 및 상기 청소모듈(100)과 상기 본체(1)를 체결하는 조작부 체결홈(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리브홈(11)과 상기 조작부 체결홈(12)의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module coupling part 20 has a rib groove 11 for guid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1 and an operation part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1 ( 12) may be included. Details of the rib groove 11 and the manipulation unit fastening groove 12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모듈결합부(20)가 외부로 돌출된 경우, 모듈결합부(20)는 상기 청소모듈(100)과 체결되어 후술할 청소모듈(100)의 고정부(30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결합부(20)는 청소모듈(100)의 고정부(300)에 의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module coupling part 20 protrudes to the outside as 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coupling part 20 is fastened with the cleaning module 100 and is located inside the fixing part 300 of the cleaning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located That is, the module coupling part 2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xing part 300 of the cleaning module 100 .

또한, 본 실시 예는 상기 모듈결합부(20)가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서, 상기 청소모듈(100)이 상기 모듈결합부(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청소모듈(100)의 적어도 일부의 높이는 상기 본체(1)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module coupling part 20 protrudes to the out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modul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100 is fasten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20 is the It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 And, the heigh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module 10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

따라서, 상기 본체(1)가 이동하지 못할 정도의 높이의 공간에 상기 청소모듈(100)은 위치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가능한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leaning module 100 may be located in a space at a height where the main body 1 cannot move, and as a result, the cleaning area of the robot cleaner may be increased.

상기 본체(1)에는 상기 본체(1)의 외측에 위치되는 청소모듈(100)과 상기 본체(1) 사이 공간에 장애물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장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연장부(15)는 상기 청소모듈(100)과 상기 이동장치(5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5)의 높이는 상기 청소모듈(100)의 높이 보다 낮다. The main body 1 may be provided with an extension part 15 for preventing an obstacle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in a space between the cleaning module 100 positioned outside the main body 1 and the main body 1 . Although not limited, the extension 15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moving device 50 . And,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art 15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100 .

상기 모듈결합부(20)는 상기 흡입수단과 연통되는 흡입유로(21) 및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수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e coupling unit 20 may include a suction passage 21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means and a connector receiving portion 2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흡입유로(21)와 상기 커넥터수용부(22)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ction passage 21 and the connector accommodating part 22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흡입유로(21)를 통하여 상기 청소모듈(100)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흡입수단은 흡입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means is configured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cleaning module 100 through the suction passage 21 . The suction means may include a suction motor (not shown).

또한,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흡입수단를 통해 흡입된 기류 중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미도시)와,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수단을 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필터를 교체하거나, 먼지통에 모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not shown) for filtering dust from the airflow sucked through the suction means, and a dust container (not shown)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The user can remove the suction unit from the main body 1 to replace the filter or remove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bin.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외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에는 적외선센서, 고주파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ing means may detect an object external to the robot cleaner. The sensing means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nd a high frequency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이동장치(50)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바퀴는 상기 본체(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바퀴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이동한다. 또한, 이동장치(50)는 상기 각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device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The plurality of wheels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 . The plurality of wheels includes a left wheel and a right wheel, and as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rotate, an area to be cleaned moves. 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5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espective wheels.

상기 주행 구동부는 좌측 바퀴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우측 바퀴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ft wheel and a second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ight wheel.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구동부와 제2 구동부가 독립적으로 제어됨으로써 본체(1)의 직진, 후진 또는 선회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are independently controlled so that the main body 1 moves forward, backward, or turns.

또한, 상기 이동장치(50)는 상기 본체(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ving device 5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for stable support of the main body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구동함으로써, 상기 로봇 청소기의 구동을 위한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상기 청소모듈(100)에 구비되는 회전모터(510)를 제어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명령이나 청소기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510)의 회전 수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The control unit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by processing or driv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tation motor 510 provided in the cleaning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motor 5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or the state of the cleaner.

상기 청소모듈(100)은, 상기 청소모듈(100)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00), 상기 본체(1)의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청소모듈(100)을 고정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 case 20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cleaning module 100 and a fixing part 300 for fixing the cleaning module 100 to the case 10 of the main body 1 . may include

상기 청소모듈(100)은 공기를 흡입하면서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0 may suck in dust on the floor while sucking in air.

상기 케이스(200)는 저면에는 공기와 먼지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ase 200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and dust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케이스(200)는 반투명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의 일면은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개폐된 일면으로 케이스 내부의 구성에 대한 유지 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The case 200 may be transluc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e side of the case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maintenance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se may be possible with the opened side.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의 모듈결합부(2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The fixing part 3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20 of the main body 1 .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케이스(20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300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00 .

상기 고정부(300)와 상기 모듈결합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300)에는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300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20 are coupled, a part of the module coupling part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xing part 300 . That is, the fixing part 30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303 in which a part of the module coupling part 20 can be accommodated.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본체(1)의 케이스(10)와 체결되기 위한 리브(301) 및 조작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301)는 상기 청소모듈(100)과 본체(1)의 결합을 가이드하고, 상기 조작부(302)은 상기 고정부(300)를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02)는 상기 고정부(300)의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의 조작부(302) 사이에 상기 수용부(303)가 위치될 수 있다. The fixing unit 300 may include a rib 301 and a manipulation unit 302 to be fastened to the case 10 of the main body 1 . The rib 301 guides the coupling of the cleaning module 100 and the main body 1 , and the manipulation unit 302 may fix the fixing unit 300 to the module coupling unit 20 . The manipulation unit 30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unit 300 , and the receiving unit 30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s 302 on both sides.

상기 리브(301)는 상기 고정부(300)의 내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0)와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리브(301)가 상기 고정부(300)에서 돌출될 수 있다.The rib 30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300 . A plurality of ribs 301 may protrude from the fixing part 300 for stabl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part 300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20 .

상기 다수의 리브(301)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300)와 상기 모듈결합부(20)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리브(301) 사이에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301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and when the fixing part 300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20 are coupled, a part of the module coupling part 20 is plac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301 . can be located.

상기 리브(301)는 상기 고정부(300)와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체결 시에,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리브홈(11)을 따라 슬라이딩한다.The rib 301 slides along the rib groove 1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dule coupling part 20 when the fixing part 300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20 are fastened.

상기 리브(301)는 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부(300)의 최상단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부(30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며, 청소모듈(100)과 모듈수용부(20)의 체결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고정부(300)의 어느 부분이라도 위치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ib 301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ly on the uppermost end of the fixing part 3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prevent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xing part 300, and the cleaning module Any part of the fixing part 300 may be located if it is a configuration capable of guiding the coupling of 100 and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 20 .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리브(301)가 상기 고정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리브홈이(11)이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구비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리브(301)가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구비되고, 상기 리브홈(11)이 상기 고정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b 301 is provided in the fixing part 300 and the rib groove 11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part 2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 rib 301 may be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part 20 , and the rib groove 11 may be provided in the fixing part 300 .

또한, 상기 리브(301) 및 리브홈(11) 중 어느 하나를 제1가이드부라고 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를 제2가이드부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ribs 301 and the rib groove 11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guide portion,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guide portion.

상기 조작부(302)은 고정부(30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조작부의 일측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부(300)의 외주면에 노출되어 배치된다.The manipulation unit 30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fixing unit 300 , and one side of each operating unit is ex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또한, 각 조작부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부(300)를 관통하여, 고정부(30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protrusion penetrating through the fixing part 300 and protruding inward of the fixing part 30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each operation part.

상기 조작부(302)은 각각은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전축(304),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조작부를 원상회복 시키는 탄성부재(305)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manipulation units 302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04 for rotatably fixing the manipulation unit, and an elastic member 305 fixed to the rotating shaft to restore the manipulation unit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조작부(302)의 일측이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면, 상기 조작부(302)은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300)의 수용부(303)에서 벗어난 위치로 회피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조작부(302)의 일단에 사용자의 외력이 없어지면, 상기 탄성부재(305)는 조작부(302)를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300)의 수용부(303)에서 벗어난 돌기가 상기 수용부(303)로 돌출될 수 있다. When one side of the manipulation unit 302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manipulation unit 302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to avoid the position away from the receiving unit 303 of the fixing unit 300 . Conversely, whe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one end of the manipulation unit 302 , the elastic member 305 may restore the manipulation unit 302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the protrusion deviated from the accommodating part 303 of the fixing part 300 may protrude into the accommodating part 303 .

상기 고정부(300)의 수용부(303)에 상기 모듈결합부(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부(303)로 돌출되어 상기 모듈결합부(20)의 조작부 체결홈(12)에 수용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00)과 상기 모듈결합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module coupling part 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303 of the fixing part 300 , the protrusion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part 303 , and the manipulation part fastening groove 12 of the module coupling part 20 is accommodated. As accommodated in the , the fixing part 300 and the module coupling part 20 may be coupled.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조작부(302)가 상기 고정부(300)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 체결홈(12)이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구비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작부(302)가 상기 모듈결합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 체결홈(12)이 상기 고정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expressed that the manipulation unit 302 is provided in the fixing unit 300 and the manipulation unit fastening groove 12 is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unit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manipulation unit 302 may be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unit, and the manipulation unit fastening groove 12 may be provided in the fixing unit 300 .

또한, 상기 조작부(302) 및 조작부 체결홈(12) 중 어느 하나를 제1체결부라고 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를 제2체결부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manipulation unit 302 and the manipulation unit fastening groove 1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astening unit,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astening unit.

상기 청소모듈(100)은 공기와 먼지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공(4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hole 401 for discharging air and dust.

상기 고정부(300)가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결합되면, 상기 배출공(401)은 상기 흡입유로(21)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401)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 및 먼지는 상기 흡입유로(21)를 통하여 상기 본체(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fix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20 , the discharge hole 401 may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assage 21 . Accordingly, air and dus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401 may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 through the suction passage 21 .

또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1)의 커넥터수용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4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40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receiving portion 22 of the main body (1).

상기 청소모듈(100)은 상기 케이스(200)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청소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청소부재(520)은 상기 흡입구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청소부재(520)는 바닥면의 먼지를 쓸어낼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0 may include a rotating cleaning member 520 that rotates inside the case 200 . The rotary cleaning member 520 is positioned at the suction port, and the rotary cleaning member 520 may sweep away dust from the floor.

상기 회전 청소부재(520)는, 원통 형상의 바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디에는 브러시가 나선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The rotating cleaning member 52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and the brush may be arranged in a spiral form on the body.

상기 청소모듈(100)은 상기 회전 청소부재(5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motor 510 for rotating the rotation cleaning member 520 .

상기 커넥터(402)가 상기 모듈결합부(20)에 구비된 커넥터수용부(22)에 결합되면, 상기 회전모터(510)는 상기 본체(1)의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본체(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or 402 is coupled to the connector accommodating part 22 provided in the module coupling part 20, the rotary motor 51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body 1, and the It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ain body (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모터(510)가 상기 회전 청소부재(5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회전모터(510)가 상기 회전솔(5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모터(510)가 회전솔(520)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회전모터(510)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전솔(520)을 가로방향으로 폭을 길게 연장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rotary motor 510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rotary cleaning member 520 , the rotary motor 51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rotary brush 520 . When the rotary motor 510 is provided inside the rotary brush 520 ,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space for the rotary motor 510 , so the rotary brush 520 can be extended in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또한, 상기 커넥터(402)와 상기 커넥터수용부(22) 중 어느 하나를 제1커넥터라 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를 제2커넥터라 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connector 402 and the connector accommodating part 2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or,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or.

상기 회전모터(510)는 바닥면의 종류에 따라서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The rotational motor 510 may have a different rotational speed and rotation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ottom surface.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소모듈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청소모듈(101)은 이전 실시 예의 청소모듈(100)과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전 실시 예의 청소모듈(100)가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leaning module 101 of this embodiment can be functionally distinguished from the cleaning module 1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cleaning module 1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 . have.

본 실시 예의 청소모듈(101)은 이전 실시 예의 청소모듈(100)에 구비되는 고정부(300)와 동일한 구조의 고정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모듈(101)은 상기 본체(1)의 모듈결합부(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part 63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xing part 300 provided in the cleaning module 100 of the previous embodiment. Accordingly, the cleaning module 10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20 of the main body 1 .

따라서, 고정부(630)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청소모듈(101)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xing part 630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cleaning module 101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 예의 청소모듈(101)은 회전걸레(600), 롤러(610) 및 물공급통(6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eaning module 101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rotary mop 600 , a roller 610 and a water supply container 620 .

상기 회전걸레(600)는 넓은 폭을 가진 벨트형 걸레로서, 회전되며 바닥면의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The rotary mop 600 is a belt-type mop having a wide width, and is rotated to wipe off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상기 롤러(610)는 다수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걸레(600)를 양측에서 지지하고, 회전 걸레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걸레(600)는 외주면 일부가 상기 청소모듈(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바닥면과 접촉하게 구비된다.The roller 610 is provided in plurality, supports the rotary mop 600 from both sides, and enables the rotary mop to rotate. The rotary mop 600 is provided with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module 100 to contact the floor surfac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걸레(600)에서 바닥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청소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oor in the rotary mop 600 may be referred to as a cleaning area.

상기 롤러(610)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모터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모터가 제어되며, 상기 롤러(610)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걸레(60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roller 610 may further include a motor, and when the motor is provided, the moto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the rotary mop 600 supported on the roller 610 may be rotated.

상기 물공급통(620)는 상기 다수의 롤러(610)사이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물을 공급하는 입수부(미도시), 상기 회전걸레로 일정의 물을 유출시키는 출수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회전걸레의 내측면을 향하여 소정의 양을 물을 유출하여 상기 회전걸레가 일정한 습기를 가지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The water supply tank 620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llers 610, and includes a water inlet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by the user, and a water outlet (not shown) to drai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with the rotary mop. Including, wherein the water outlet flow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mop so that the rotating mop is maintained in a state with a constant moisture

상기 청소모듈(100)은 일 예로 케이스(200)의 측면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걸레(600) 및 물공급통(620)은 개구된 측면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In the cleaning module 100, for example, the side of the case 200 may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rotary mop 600 and the water supply container 620 may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opened side.

회전걸레(600)가 더러워져서 교체가 필요한 경우나, 물공급통(620)에 물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개방하여, 회전걸레의 교체나 물공급통의 물을 보충할 수 있다.When the rotary mop 600 is dirty and needs replacement, or when water needs to be replenished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620, the user opens the side of the case to replace the rotary mop or replenish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can

본 실시예의 청소모듈(101)에 의하면, 벨트형의 걸레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걸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물공급통(620)에 의해서 걸레에 포함된 수분이 마르지 않고, 장시간 계속적으로 청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leaning module 101 of this embodiment, since a belt-type mop can be mounted, a mop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can be used,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mop does not dry out by the water supply tank 620, and for a long tim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ontinuously cleaned.

또한 롤러(610)에 모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걸레질을 할 수 있으므로, 더 깨끗한 청소가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roller 6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it is possible to mop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so that cleaner cleaning is possible.

한편, 본원 발명의 본체(1)에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청소모듈(100,101) 중 하나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combining one of a plurality of cleaning modules 100 and 101 having different functions.

일례로,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 청소부재(520)를 포함하는 청소모듈(100)을 본체(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you want to remove the dust on the floor, the cleaning module 100 including the rotating cleaning member 5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 and used.

반면, 바닥면을 걸레를 이용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전걸레(600)를 구비하는 청소모듈(101)을 본체(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lean the floor using a mop, the cleaning module 101 having the rotary mop 6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 for us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조건에 따라서 청소모듈(100, 101)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 또는 바닥면의 조건에 맞는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modules 100 and 101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cleaning conditions, it is possible to clea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or the conditions of the floor surfac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Claims (12)

본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먼지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모듈결합부; 및
청소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모듈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모듈결합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모듈결합부와 슬라이딩 결합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양측의 상기 조작부 사이에 상기 모듈결합부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기 위한 수용부가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모듈결합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청소기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청소모듈이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청소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청소모듈의 후면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 사이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모듈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 보다 높게 위치되는 로봇 청소기.
main body;
a moving device for moving the main body;
a suction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sucking dust and air;
a module coup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It includes a cleaning module having a cleaning area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cleaning module includes a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ase,
The fixing part includes an operation part for fixing the fixing part to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fixing part is slidably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manipulation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for sliding and inserting the module coupling unit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s on both sides,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surround the module coupling part, and forms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leaner so that the manipulation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odule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cleaning area is located outside the main bod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leaning modul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order to prevent an obstacle from being caught into the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coupled to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fixing pa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extension par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모듈결합부와의 체결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를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first guide part for guiding the coupling with the module coupling part,
The module coupling unit, 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ide unit for moving the first guid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먼지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결합부는 상기 배출공 및 상기 흡입수단과 연통되는 흡입유로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dust and air,
The module coupl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uc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and the suc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결합부는 제1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coupling part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The clean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높이는 상기 청소모듈의 높이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ortion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cleaning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먼지를 털어내는 회전 청소부재와,
상기 회전 청소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2.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module
A rotating cleaning member that shakes off dust and
A robot cleaner including a rotation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rotation clea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복수의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에 장착되어, 바닥면를 닦아내는 벨트형의 회전걸레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2.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A robot cleaner including a belt-type rotary mop mounted on the plurality of rollers to wipe the floor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모듈은,
상기 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걸레로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통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eaning module,
Positioned between the rollers, the robot cleaner comprising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rotary m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본체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바퀴와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흡입 수단과 상기 바퀴 사이에 위치되는 로봇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device
to automatically move the body
It includes a wheel and a motor for driving the wheel,
The extension portion is a robot cleaner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means and the wheel.
KR1020170033263A 2015-09-01 2017-03-16 robot cleaner Active KR1022785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63A KR102278584B1 (en) 2015-09-01 2017-03-16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30 2015-09-01
KR1020170033263A KR102278584B1 (en) 2015-09-01 2017-03-16 robot clea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430 Division 2015-08-31 201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62A KR20170034362A (en) 2017-03-28
KR102278584B1 true KR102278584B1 (en) 2021-07-16

Family

ID=5849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63A Active KR102278584B1 (en) 2015-09-01 2017-03-16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088B1 (en) * 2018-02-05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 cleaner
CN108814523B (en) * 2018-09-03 2024-04-16 深圳市思力铭科技有限公司 Sole cleaning device
CN210810810U (en) * 2018-12-28 2020-06-23 云鲸智能科技(东莞)有限公司 Cleaning robot
KR102269273B1 (en) 2019-07-31 202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279788B1 (en) 2019-07-31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286287B1 (en) 2019-07-31 202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314326B1 (en) * 2020-04-13 202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325528B1 (en) * 2020-04-28 2021-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2699884B1 (en) * 2022-03-11 202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KR102739135B1 (en) * 2022-03-11 2024-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719A1 (en) 1998-07-31 2001-06-21 Volker Sommer Service robot for the automatic suction of dust from floor surfaces
JP2001258806A (en) * 2000-03-17 2001-09-25 Denso Corp Self-traveling vacuum cleaner
US20020002751A1 (en) 2000-05-30 2002-01-10 Fisher Charles William Appendage for a robot
US20040031113A1 (en) 2002-08-14 2004-02-19 Wosewick Robert T. Robotic surface treating device with non-circular housing
KR100738886B1 (en) * 2005-10-2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module of mobile robot for cleaning
JP2015043788A (en) 2013-08-27 2015-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Self-propelled floor surface treat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227A (en) * 2008-01-31 2009-08-0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Bypass type cleaning device
US8452450B2 (en) * 2008-04-24 2013-05-28 Evolution Robotics, Inc. Application of localization,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s for robotic enabled mobile products
KR20120007096U (en) * 2011-04-06 2012-10-16 어수곤 robot cleaner
KR20130078867A (en) * 2011-12-31 2013-07-10 김영춘 Robot cleaner
KR102137532B1 (en) * 2014-02-28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4719A1 (en) 1998-07-31 2001-06-21 Volker Sommer Service robot for the automatic suction of dust from floor surfaces
JP2001258806A (en) * 2000-03-17 2001-09-25 Denso Corp Self-traveling vacuum cleaner
US20020002751A1 (en) 2000-05-30 2002-01-10 Fisher Charles William Appendage for a robot
US20040031113A1 (en) 2002-08-14 2004-02-19 Wosewick Robert T. Robotic surface treating device with non-circular housing
KR100738886B1 (en) * 2005-10-26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ing module of mobile robot for cleaning
JP2015043788A (en) 2013-08-27 2015-03-12 シャープ株式会社 Self-propelled floor surface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362A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584B1 (en) robot cleaner
KR102620360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102385519B1 (en) Robot cleaner
US11284766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TWI674872B (en) Cleaner
JP7125967B2 (en) robot vacuum cleaner
US10117551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20050251947A1 (en) Robot cleaner
KR102116597B1 (en) Autonomous cleaner
US11291343B2 (en) Robot cleaner and maintenance device for the same
KR101667716B1 (en) Robot cleaner
KR20100132893A (en) Cleaning device and dust col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472770B1 (en) Cleaning device
CN219813997U (en) Vacuum cleaner
KR200402524Y1 (en) Vacuum and steam cleaner
KR101012943B1 (en) Suction unit for indoor corner cleaning
JP610588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WO2019026888A1 (en) Suction opening body and electric cleaner
JP6404642B2 (en) Vacuum cleaner and its suction port
KR20130078867A (en) Robot cleaner
KR20240164025A (en) Station for cleaner and cleaning device having the same
JP6899313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WO2024032667A1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119584909A (en)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20240030125A (en) Station for vacum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3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90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234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7031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3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