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088B1 - A cleaner - Google Patents

A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088B1
KR102024088B1 KR1020180014159A KR20180014159A KR102024088B1 KR 102024088 B1 KR102024088 B1 KR 102024088B1 KR 1020180014159 A KR1020180014159 A KR 1020180014159A KR 20180014159 A KR20180014159 A KR 20180014159A KR 102024088 B1 KR102024088 B1 KR 102024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onnection channel
cleaner body
cleaning nozzl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4698A (en
Inventor
이상익
강혜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088B1/en
Priority to TW108102581A priority patent/TWI733081B/en
Priority to PCT/KR2019/001254 priority patent/WO2019151754A1/en
Priority to US16/967,486 priority patent/US20210212533A1/en
Publication of KR2019009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0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63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specially adapted for 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청소 노즐의 탈거가 용이한 청소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연결유로가 외측에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노즐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소정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버튼과,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상기 가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되, 상기 푸쉬 버튼과 연동되어 회전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A cleaner is provided that facilitates removal of the cleaning nozzle.
To this end,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in which a first connection passage for guid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s formed on the outside, a suction inlet for suctioning air, and a cleaning nozzle for cleaning the floor. The cleaning nozzle may include a case formed with the suction port, a case in which air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re formed, and penetrate one surface of the case. A push button movably provided in a pressing direction, and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channel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ssing direction, the first connecting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ng channel And a rotation member coupled to the flow path, the rotation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ush button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th during rotation.

Description

청소기{A CLEANER}Cleaner {A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청소 및 수동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and manual cleaning.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흡입장치 및 먼지통을 구비한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피 청소면에 근접한 상태로 청소를 실시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the cleaner includes a cleaner body having a suction device and a dust container, and a cleaning nozzl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perform cleaning in a state close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상기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피 청소면에 청소를 실시하는 수동 청소기와, 청소기 본체 스스로 주행을 하면서 피 청소면에 청소를 실시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된다.The cleaner is divided into a manual cleaner which the user directly cleans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an automatic cleaner which cleans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le the cleaner body itself runs.

상기 수동 청소기는 상기 흡입장치가 전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 노즐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손으로 잡은 상태로 상기 청소 노즐을 피 청소면 위에 올려놓으면,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청소 노즐이 피 청소면 위에 있는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먼지통에 수거됨으로써, 상기 피 청소면의 청소가 실시된다.In the manual cleaner, the suction device generates the suction forc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nd when the user puts the cleaning nozzle on the cleaning surface while holding the cleaning nozzle or the cleaner body by hand, The cleaning nozzle sucks foreign matters including dust on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sucke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thereby cleaning the cleaning surface.

또한, 상기 자동 청소기는 상기 흡입장치 및 상기 먼지통이 구비된 청소기 본체에, 초음파 센서 및/또는 카메라 센서 등이 더 설치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가 피 청소면 주위를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흡입장치에서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청소 노즐이 피 청소면 위에 있는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먼지통에 수거됨으로써, 상기 피 청소면의 청소가 실시된다.The automatic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and / or a camera sensor installed on the vacuum cleaner body including the suction device and the dust container, and the vacuum cleaner may be generated by the suction device while automatically driving around the cleaning surface. The cleaning nozzle sucks the foreign matter on the cleaning surface by the suction force, and the suctioned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thereby cleaning the cleaning surface.

상기 수동 청소기에 사용되는 상기 청소 노즐은 사용자에 의해 피청소면으로 이동되어 피청소면에 밀착되지만, 상기 자동 청소기에 사용되는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일 때 피청소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manual cleaner is mov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us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but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automatic clea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it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Is placed.

그리고, 상기 수동 청소기 및 상기 자동 청소기 각각의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휠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수동 청소기에 설치되는 상기 휠은 사용자가 청소 시에 상기 청소기 본체를 바닥면에 놓은 채로 쉽게 끌고 다닐 수 있게 하고, 상기 자동 청소기에 설치되는 상기 휠은 전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청소기 본체를 자동으로 주행시킨다.In addition, a wheel for driving the cleaner body is installed in the cleaner body of each of the manual cleaner and the automatic cleaner, and the wheel installed in the manual cleaner remains with the cleaner body on the floor when the user cleans. Easily dragged and carried, the wheel installed in the automatic cleaner rotates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and automatically drives the cleaner body.

최근에는, 자동 청소 및 수동 청소가 모두 가능한 청소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자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은 피 청소면인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 청소를 하는 경우 상기 자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이 문턱 등에 걸림으로 인해 상기 청소기 본체를 끌고 다니기가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사용자가 수동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자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을 상기 청소기 본체에서 탈거하여, 수동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로 교체해줄 필요가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the vacuum cleaner which can perform both automatic cleaning and manual cleaning is becoming active. However, since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automatic cleaning is disposed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user performs manual cleaning,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automatic cleaning is pulled out due to a threshold or the like. Sin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when the user wants to perform manual cleaning,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automatic cleaning from the cleaner body, and replace it with a cleaning nozzle used for manual cleaning.

또한, 수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은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자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청소기의 주행 영역이 좁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최대한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일 때 청소 노즐 및 청소기 본체의 주행방향으로의 전체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manual cleaning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user can be cleaned while standing. However, when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the automatic cleaning is formed to have a long length, the cleaning area of the cleaner is inevitably narrow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leaning nozzle is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The overall length of should be short.

상기 청소 노즐 및 상기 청소기 본체의 주행방향으로의 전체길이를 짧게 형성하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 노즐 각각의 외측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연결유로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In order to shorten the overall length in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nozzle and the cleaner body, there is a method of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low path forme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cleaner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그런데, 상기 연결유로를 짧게 형성하는 경우, 상기 청소 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연결유로가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청소기 본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동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을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탈거할 수 있는 탈거 구조물이, 상기 연결유로에 설치된다면, 사용자는 상기 탈거 구조물을 찾기 위해 상기 청소기 본체 밑을 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유로에 설치된 탈거 구조물로 인해 상기 연결유로의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when the connection flow path is shortly formed, when the cleaning nozzle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he connection flow path is positioned below the cleaner body, and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cleaner body. Therefore, if a stripping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the cleaning nozzle used for automatic cleaning from the cleaner body is installed in the connecting passage, the user may not only have to look under the cleaner body to find the stripping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nection channel is lowered due to the removal structur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channe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 청소용 청소 노즐을 청소기 본체로부터 탈거할 수 있는 구조물을 자동 청소용 청소 노즐에 설치함으로써, 자동 청소 및 수동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를 구현할 수 있고, 자동 청소에서 수동 청소로의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structure that can remove the automatic cleaning cleaning nozzle from the cleaner body in the automatic cleaning cleaning nozz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cuum cleaner capable of automatic cleaning and manual cleaning, from automatic cleaning to manual cleaning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청소기 본체 및 청소 노즐을 연결하는 젠더에 먼지통의 하측이 안착되도록 구성하여, 부품 일체화를 통해 구조가 간단해지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is seated on the gender connecting the cleaner main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parts.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연결유로가 외측에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노즐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소정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버튼과,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상기 가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되, 상기 푸쉬 버튼과 연동되어 회전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ing main body having a first cleaning flow path for guiding air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a suction inlet for suctioning air, the cleaning nozzle for cleaning the floor The cleaning nozzle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suction port, a case in which air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re formed, and one surface of the case. A push button which is penetrated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pressing direction,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channel based on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ssing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is coupled to, but interlocked with the push button when rotating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a member.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쉬 버튼과 접촉되는 제1 암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푸쉬 버튼에 의해 푸쉬될 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제2 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hinge portion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hing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ssage, a first arm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to one side, and in contact with the push button, and at the hinge portion.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to the other side to coupl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when the first arm part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It may include a dark portion.

상기 제2 암부에는,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푸쉬 버튼에 의해 푸쉬될 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o the second arm part, and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when the first arm part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Hook protrusions may be formed.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제2 연결유로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후크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channel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may include a hook hol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may include a hook groov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inserted. Can be.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제2 암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may further include a cov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and surrounding the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제2 암부 및 상기 커버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arm and the cover to return the pivot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암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f a coil spring, and an insertion boss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rm.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푸쉬 버튼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는 일단이 상기 제1 암부에 접촉되는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arm portion is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the second arm portion is disposed at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and the push button is formed cur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nds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It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rm.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푸쉬 버튼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푸쉬 버튼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푸쉬 버튼의 만곡도와 대응하여 만곡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button may be formed in the case, and the guide protrusion may be curved to face a surface of the push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push button.

상기 회전축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a hinge groove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청소기 본체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er body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the cleaning nozzle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cleaner body.

상기 청소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먼지통이 안착되는 젠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젠더에 형성될 수 있다.A dust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connecting the cleaner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to the dust container for storing the foreign matter, and the gender to which the dust container is seated,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in the gender Can be.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흡입구와, 상기 푸쉬 버튼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n upper cas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flow path is forme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 s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of the upper cas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penetr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t may include.

상기 제2 연결유로는 길이방향의 끝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may not protrude from the case in the longitudinal end.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 번째, 청소 노즐의 일면에 푸쉬 버튼이 구비되고,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는 상기 푸쉬 버튼과 연동되는 회동부재가 구비되므로, 자동 청소 모드에서 수동 청소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청소 노즐에 배치된 사익 푸쉬 버튼을 직관적으로 보면서 눌러서 상기 청소 노즐을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a push butto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ing nozzle, and a rotating member interlocked with the push butt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he user needs to switch from the automatic cleaning mode to the manual cleaning mode. Intuitively watching the spiral push button disposed on the cleaning nozzle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cleaning nozzle.

두 번째로, 청소기 본체 및 청소 노즐을 연결하는 젠더에 먼지통의 하측이 안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 일체화를 통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Secondly, since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gender connecting the cleaner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part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먼지통을 분리한 상태의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젠더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젠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청소 노즐이 젠더에 후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청소 노즐이 젠더에 후크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s removed from FIG. 1;
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nozzle and the gender illustrated in FIGS. 1 and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nozzle and the gender illustrated in FIGS. 1 and 2;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3;
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FIG. 4;
7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ning nozzle hooked to a gender;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nozzle is released from the hook coupling to the gender.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먼지통을 분리한 상태의 청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leaner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ntainer in Figure 1 remov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청소기(100)는 청소기 본체(110), 청소 노즐(120), 센싱 유닛(130) 및 먼지통(140)을 포함한다.1 and 2, the cleaner 100 includes a cleaner body 110, a cleaning nozzle 120, a sensing unit 130, and a dust container 140.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각종 부품들이 내장 또는 장착된다. 청소기 본체(110)는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0 includes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leaner 100 and includes various components therein. The cleaner body 110 may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cleaner 100.

청소기 본체(110)는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중 하나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주행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에는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모드선택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에서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는 로봇청소기처럼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에서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끌리거나 밀리면서 수동으로 주행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0 may be selected and run by the user in one of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The cleaner body 110 may include a mode selection input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mode in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the cleaner body 110 may automatically run like a robot cleaner.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manual mode in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the cleaner body 110 may be manually driven while being dragged or pushed by the user's force.

청소기 본체(110)에는 주행을 위한 휠(111)이 구비된다. 휠(111)은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모터의 회전 방향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111)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wheel 111 for driving. The wheel 111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a motor (not show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Accordingly, the wheel 111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휠(111)은 청소기 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휠(111)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는 전후좌우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The wheels 111 may b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er body 110, respectively. The cleaner body 110 may be moved back, front, left, or right by the wheel 111 or rotated.

각각의 휠(111)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Each wheel 111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is

위하여, 각각의 휠(111)은 서로 다른 모터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To this end, each wheel 111 may be driven by a different motor.

제어부가 휠(111)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청소기(100)는 바닥을 자율 주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wheel 111, so that the cleaner 100 autonomously runs on the floor.

휠(111)은 청소기 본체(110)는 하부에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110)를 주행시킨다. 휠(111)는 원형의 바퀴들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원형의 롤러들이 벨트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원형의 바퀴들로만 구성된 휠과 원형의 롤러들이 벨트 체인으로 연결된 휠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휠(111)은 상부가 청소기 본체(1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휠(111)은 적어도 하부가 피 청소면인 바닥면에 접촉된 채로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110)를 주행시킬 수 있다.The wheel 111 is provided with a cleaner body 110 at the bottom to drive the cleaner body 110. The wheel 111 may be composed of only circular wheels, or may be composed of circular rollers connected by a belt chain, or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wheel consisting of circular wheels and a wheel of circular rollers connected by a belt chain. have. The wheel 111 may have an upper portion disposed in the cleaner body 110, and a lower portion thereof may protrude downward of the cleaner body 110. The wheel 111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which at least a lower portion thereof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may drive the cleaner body 110.

휠(111)은 청소기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10)의 좌측에 배치된 휠(111) 및 청소기 본체(1110)의 우측에 배치된 휠(111)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청소기 본체(110)의 좌측에 배치된 휠(11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기어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주행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본체(110)의 우측에 배치된 휠(111)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기어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주행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The wheels 111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leaner body 110, respectively. The wheel 11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wheel 111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body 1110 may b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at is, the wheels 11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first gear, and may be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gear. In addition, the wheels 111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t least one second gear, and may be rotated by a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행모터 및 상기 제2 주행모터 각각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주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주행모터 및 상기 제2 주행모터 각각의 회전축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는 직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행모터 및 상기 제2 주행모터 각각의 회전축이 동시에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청소기 본체(11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청소기 본체(1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주행모터 및 상기 제2 주행모터 중 어느 하나는 구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정지시킬 수도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s of the rotation shafts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resp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shafts of each of the first travel motor and the second travel motor are simultaneously rotated at the same speed, the cleaner body 110 may go straight.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rotate the cleaner body 110 to the left or right when the rotation shafts of each of the first travel motor and the second travel motor are simultaneously rotated at different speeds. The controller may drive one of the first travel motor and the second travel motor and stop the other to turn the cleaner body 110 to the left or the right.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서스펜션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10)가 주행시 휠(111)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A suspension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leaner body 110. The suspension unit may include a coil spring. The suspension unit may absorb the shock and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wheel 111 when the cleaner body 110 travels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또한, 상기 서스펜션 유닛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서스펜션 유닛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서스펜션 유닛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승강 유닛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승강 유닛이 상기 서스펜션 유닛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승강 유닛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0)는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ift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leaner body (110). The elevating unit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suspension unit, and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00. Therefore, when the lifting unit is moved upward from the suspension unit, the cleaner body 100 may move upward with the lifting unit, and when the lifting unit is moved downward from the suspension unit, the cleaner body 100 ) May be mov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lifting unit. The cleaner body 100 may be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unit to adjust the height.

휠(111)은 청소기 본체(110)가 딱딱한 바닥면을 주행할 시에는 청소 노즐(120)의 저면부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그런데, 피 청소면인 바닥면에 카펫(carpet)이 깔려 있을 경우, 휠(111)에서 슬립이 발생하여 청소기 본체(110)의 주행성능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 노즐(120)이 상기 카펫을 빨아 당기는 힘에 의해 청소기 본체(110)의 주행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The wheel 111 may m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nozzle 12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the cleaner body 110 runs on the hard bottom surface, and clean the bottom surface. However, when a carpet is laid on the floor, which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slippage may occur at the wheel 111 and the running performan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may be degraded, and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isposed on the carpet.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cleaner body 110 may be deteriorated by the suction force.

하지만, 상기 승강 유닛은 휠(111)의 슬립율에 따라 청소기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청소 노즐(120)의 저면부가 피 청소면에 밀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피 청소면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청소기 본체(110)의 주행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However, since the elevating unit adjusts the height of the cleaner body 110 according to the slip ratio of the wheel 111, the level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nozzle 120 can be adjus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us the material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Regardless of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cleaner body 110 can be maintained.

한편, 청소기 본체(110)의 좌측에 배치된 휠(111)이 상기 제1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주행모터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고, 청소기 본체(110)의 우측에 배치된 휠(111)이 상기 제2 기어를 통해 상기 제2 주행모터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된다면, 상기 제1 주행모터 및 상기 제2 주행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기 본체(110)를 수동모드로 주행시키고자 할 때 좌우측 휠(111)들은 모두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청소기 본체(110)의 수동모드에서는 좌우측 휠(111)들 및 상기 제1,2 주행모터의 연결을 해제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해,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자동모드일 때 좌우측 휠(111)들 및 상기 제1,2 주행모터를 연결하고, 청소기 본체(110)의 수동모드일 때 좌우측 휠(111)들 및 상기 제1,2 주행모터의 연결을 해제하는 클러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wheel 111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is arrang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through the first gear, the wheel 111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is If the user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through the second gear, when the user wants to drive the cleaner body 110 in the manual mode while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re stopped. The left and right wheels 111 are both prevented from rotating. Therefore, in the manual mod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11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should be released. To this end, the left and right wheels 11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110 in the automatic mode of the cleaner body 110, and left and right sides when the cleaner body 110 is in the manual mode. It is preferable that a clutch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heels 111 and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motors is disposed.

청소기 본체(110)에는 청소기(100)의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body 110 is equipped with a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cleaner 100. The battery is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leaner body 110.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 수용부(112)가 구비되며, 먼지통 수용부(112)에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하여 집진하는 먼지통(14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leane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and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is detachably coupled to a dust container 140 which separates and collects dust in sucked air.

먼지통 수용부(112)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과 상방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고,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수용부(112)는 청소 본체(110)의 전방부가 전방,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may have an open shape upwardly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110 and may be concave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formed by opening the front par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cleaning body 110.

먼지통 수용부(112)는, 청소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예를 들어, 청소기 본체(110)의 뒤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may be formed in another position (for example, the back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kind of cleaner.

먼지통(140)은 먼지통 수용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지통(140)의 일부는 먼지통 수용부(112)에 수용되되, 먼지통(140)의 다른 일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Dust bin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2. Part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ortion 112, the other part of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cleaner body (110).

먼지통(140)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42)와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43)가 형성되며, 먼지통(140)이 먼지통 수용부(112)에 장착시, 입구(142)와 출구(143)는 먼지통 수용부(112)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 개구(116) 및 제2 개구(117)와 각각 연통되도록 구성된다.The dust container 140 has an inlet 142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143 through which air is separated from dust is formed, and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moun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unit 112, the inlet The 142 and the outlet 143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opening 116 and the second opening 117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on part 112, respectively.

청소기 본체(110) 내부에 형성된 흡기유로는 청소 노즐(120)부터 제1 개구(116)까지의 유로에 해당하며, 배기유로는 제2 개구(117)부터 배기구까지의 유로에 해당한다.The intak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leaner body 110 corresponds to the flow path from the cleaning nozzle 120 to the first opening 116, and the exhaust flow path corresponds to the flow path from the second opening 117 to the exhaust port.

이러한 구성에 따라, 청소 노즐(120)을 통하여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흡기유로를 거쳐 먼지통(140)으로 유입되고, 먼지통(14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여과부(예를 들어, 사이클론, 필터 등)를 거치면서 공기와 먼지가 상호 분리된다. 먼지는 먼지통(140)에 집진되며, 공기는 먼지통(140)에서 배출된 후 청소기 본체(110) 내부의 배기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배기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cleaning nozzle 120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ntainer 140 through the intake flow path inside the cleaner body 110, at least one filter unit in the dust container 140 ( For example, cyclones, filters, etc.) separate air and dust from each other. The dust is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through the exhaust flow path inside the cleaner body 110.

청소기 본체(110)에는 먼지통 수용부(112)에 수용된 먼지통(140)을 덮는 상부 커버(113)가 배치된다. 상부 커버(113)는 청소기 본체(110)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커버(113)는 먼지통 수용부(112)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서 먼지통(140)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아울러, 상부 커버(113)는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cleaner body 110 has an upper cover 113 covering the dust container 140 accommodated in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unit 112. The upper cover 113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o be rotatable. The upper cover 113 may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In addition, the upper cover 113 may be detachably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110.

상부 커버(113)가 먼지통(140)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먼지통 수용부(112)에 대한 먼지통(140)의 분리가 제한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top cover 113 is disposed to cover the dust container 140, the separation of the dust container 140 with respect to the dust container receiving part 112 may be limited.

상부 커버(113)의 상측에는 손잡이(114)가 구비된다. 손잡이(114)에는 상술한 촬영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촬영부(115)는 전방과 상방을 함께 촬영할 수 있도록 청소기 본체(110)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andle 11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ver 113. 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be disposed on the handle 114.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unit 115 is preferably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main body 110 so as to photograph the front and the upper side together.

촬영부(115)는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청소기의 동시적 위치추정 및 주행 지도 작성(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을 위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15)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주행 영역의 지도를 생성하거나 상기 주행 영역 내의 현 위치를 감지하는 데 이용된다.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be provided i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capture an image for simultaneous location estimation and driving mapping (SLAM) of the cleaner.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15 is used to generate a map of the driving area or detect a current position in the driving area.

촬영부(115)는 청소기 본체(110)의 주위와 관련된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촬영부(115)는 청소기(100)와 피촬영 대상체의 원근거리를 산출하는 3차원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3차원 좌표 정보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generat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leaner body 110. That is, 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be a 3D depth camera that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cleaner 100 and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ccordingly, field data for the 3D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구체적으로, 촬영부(115)는 청소기 본체(110)의 주위와 관련된 2차원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detail, 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photograph a 2D image relat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cleaner body 110 and generate a plurality of 3D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2D image.

일 실시예에서 촬영부(115)는 기존의 2차원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상기 2개 이상의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2개 이상의 영상을 조합하여, 3차원 좌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테레오 비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5 includes two or more cameras for acquiring a conventional two-dimensional image, and combines two or more images obtained by the two or more cameras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nformation. It can be formed in a visionary manner.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115)는 본체의 전방을 향해 하측으로 제1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제1 패턴 조사부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상측으로 제2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제2 패턴 조사부 및 본체의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영상 획득부는 상기제1 패턴의 광과 상기 제2 패턴의 광이 입사된 영역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unit 11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 first pattern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of the first pattern downwar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pattern of light upwar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second pattern irradiator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As a result, the image acquisition unit may acquire an image of a region where light of the first pattern and light of the second pattern are incid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촬영부(115)는 단일 카메라와 함께 적외선 패턴을 조사하는 적외선 패턴 방출부를 구비하고, 적외선 패턴 방출부에서 조사된 적외선 패턴이 피촬영 대상체에 투영된 모양을 캡쳐함으로써, 촬영부(115)와 피촬영 대상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15)는IR(Infra Red) 방식의 촬영부(115)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5 includes an infrared pattern emitter for irradiating an infrared pattern with a single camera, and captures a shape in which the infrared pattern emitted from the infrared pattern emitter is projected onto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115 and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may be measured. 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be an IR (infra red) photographing unit 115.

또 다른 실시예에서 촬영부(115)는 단일 카메라와 함께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중 피촬영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일부를 수신하며, 수신된 레이저를 분석함으로써, 촬영부(115)와 피촬영 대상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15)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의 촬영부(115)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hotographing unit 115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emits light together with a single camera, receives a portion of the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which is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analyzes the received laser.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115 and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may be measured. The photographing unit 115 may be a photographing unit 115 of a time of flight (TOF) method.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촬영부(115)의 레이저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상기 촬영부(115)는 제1 및 제2 레이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이저는 서로 교차하는 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고, 제2 레이저는 단일의 직선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최하단 레이저는 바닥 부분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고, 최상단 레이저는 상부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되며, 최하단 레이저와 최상단 레이저 사이의 중간 레이저는 중간 부분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에 이용된다.Specifically, the laser of the photographing unit 115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irradiate the laser of the form exten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one example, the imaging unit 115 may include a first and a second laser, the first laser is irradiated with a straight laser cross each other, the second laser is a single straight laser You can investigate. According to this, the bottom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at the bottom, the top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at the top, and the middle laser between the bottom laser and the top laser is used to detect obstacles in the middle. Used for

센싱 유닛(130)은 상부 커버(1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센싱 유닛(130)은 먼지통(1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be disposed under the upper cover 113, and the sensing unit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140.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 본체(110)에 배치되어, 청소기 본체(110)가 위치하는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 센싱 유닛(130)은 필드 데이터(field data)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한다.The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in the cleaner body 110 to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leaner body 110 is located. The sensing unit 130 detec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order to generate field data.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100)가 장애물과 부딪히지 않도록 주변 지형지물(장애물 포함)을 감지한다.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100) 외부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detects surrounding features (including obstacles) so that the cleaner 100 does not collide with the obstacle.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information outside the cleaner 100.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 user around the cleaner 100. The sensing unit 130 may detect an object around the cleaner 100.

아울러, 센싱 유닛(130)은, 상기 청소기의 감지 기능 및 로봇 청소기의 주행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닝(panning: 좌우로의 이동) 및 틸팅(tilting: 상하로 경사지게 배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130 is configured to enable panning and tilting to improve the sensing function of the cleaner and the traveling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센싱 유닛(130)은 청소기 본체(110) 앞쪽에 배치되고, 먼지통(140)과 상부 커버(113)사이에 배치된다. 센싱 유닛(130)의 하측면에는 결합 돌기(132d)가 돌출 형성되고, 먼지통(141)의 상측면에는 결합 돌기(132d)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41)이 형성된다. 상부 커버(113)가 먼지통 수용부(112)의 상측을 덮으면 결합 돌기(132d)는 결합홈(141)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먼지통(140)은 센싱 유닛(130)에 결합되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상부 커버(113)가 먼지통 수용부(112)의 상측을 개방하면 결합 돌기(132d)는 결합홈(14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에 의해, 먼지통(140)은 센싱 유닛(13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The sensing unit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1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upper cover 113. A coupling protrusion 132d protrudes from a lower side of the sensing unit 130, and a coupling groove 141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1 to insert and engage the coupling protrusion 132d. When the upper cover 113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the coupling protrusion 132 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41, so that the dust container 140 is coupled to the sensing unit 130 to be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body 110. ) Is inseparable. 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cover 113 opens the upp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the coupling protrusion 132d comes out of the coupling groove 141, so that the dust container 140 is coupled from the sensing unit 130. It is released and becomes a state detachable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센싱 유닛(130)은, 외부 신호 감지 센서, 장애물 감지 센서, 낭떠러지 감지 센서, 하부 카메라 센서, 상부 카메라 센서, 엔코더, 충격 감지 센서 및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xternal signal sensor, an obstacle sensor, a cliff sensor, a lower camera sensor, an upper camera sensor, an encoder, an impact sensor, and a microphone.

상기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청소기(100)의 외부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신호 감지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Infrared Ray Sensor), 초음파 센서(Ultra Sonic Sensor),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신호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signal sensor may detect an external signal of the cleaner 100. The external signal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ray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or the like. Accordingly, field data for an external signal may be generated.

청소기(100)는 외부 신호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충전대가 발생하는 안내 신호를 수신하여 충전대의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충전대는 청소기(100)가 복귀 가능하도록 방향 및 거리를 지시하는 안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즉, 청소기(100)는 충전대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동 방향을 설정하여 충전대로 복귀할 수 있다.The cleaner 100 may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harging station by receiving a guide signal generated by the charging station using an external signal detection sensor. In this case, the charging stand may transmit a guide signal indicating a direction and a distance so that the cleaner 100 may return. That is, the cleaner 100 may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st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and set the moving direction to return to the charging station.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애물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다.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may detect an obstacle in front of the vehicle. Accordingly, field data for the obstacle is generated.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청소기(100)의 이동 방향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생성된 필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장애물 감지 센서는 청소기(100)의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돌출물, 집안의 집기, 가구, 벽면, 벽 모서리 등을 감지하여 그 필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detect the object present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eaner 100 and transmit the field data generated to the controller. That is,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detect protrusions, household appliances, furniture, walls, wall edges, etc. existing on the moving path of the cleaner 100, and transmit the field data to the controller.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일 수 있다. 청소기(100)는 장애물 감지 센서로 한 가지 종류의 센서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may b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geomagnetic sensor, or the like. The cleaner 100 may use one type of sensor as an obstacle detecting sensor or two or more types of sensors as needed.

상기 낭떠러지 감지 센서(Cliff Sensor)는, 다양한 형태의 광 센서를 주로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10)를 지지하는 바닥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의 장애물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다.The cliff sensor may detect an obstacle on the floor supporting the cleaner body 110 using mainly various types of optical sensors. Accordingly, field data for obstacles on the floor is generated.

상기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센서 등일 수 있다.The cliff detection sensor may be an infrared sensor hav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 ultrasonic sensor, an RF sensor, a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 sensor, and the like as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예를 들어, 낭떠러지 감지 센서는 PSD 센서일 수 있으나,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PSD 센서는 장애물에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장애물로부터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되, 일반적으로 모듈 형태로 구성된다. PSD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하는 경우, 장애물의 반사율, 색의차이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liff detection sensor may be a PSD sensor, but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sensors. The PSD sensor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for emitting infrared rays to an obstacle and a light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stacle, and is generally configured in a module form.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using the PSD sensor, a stable measurement value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reflectance and the color difference of the obstacle.

제어부는 상기 낭떠러지 감지 센서가 지면을 향해 발광한 적외선의 발광신호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신호 간의 적외선 각도를 측정하여, 낭떠러지를 감지하고 그 깊이에 대한 필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ct an edge and obtain field data about its depth by measuring an infrared ray angle between an infrared ray emitted by the cliff detection sensor and an reflected signal received by being reflected by an obstacle.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는 청소기(100)의 이동 중 피청소면에 대한 이미지 정보(필드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는, 다른 말로 옵티컬 플로우 센서(Optical Flow Sensor)라 칭하기도 한다. 상기 하부카메라 센서는, 센서 내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하방 영상을 변환하여 소정 형식의 영상 데이터(필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식된 영상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lower camera sensor acquires image information (field data)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while the cleaner 100 moves. The lower camera sensor may be called an optical flow sensor in other words. The lower camera sensor may generate image data (field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by converting a lower image input from an image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Field data on an image recognized by the lower camera sensor may be generated.

상기 하부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부는 이동 로봇의 미끄러짐과 무관하게 이동 로봇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하부 카메라센서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방향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By using the lower camera sensor,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regardless of the sliding of the mobile robot. The controller may compare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lower camera sensor with time to calculate a moving distance and a moving direction, and calculate a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same.

상부 카메라 센서는 청소기(100)의 상방이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청소기(100)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청소기(100)가 복수의 상부 카메라 센서들을 구비하는 경우, 카메라 센서들은 일정 거리 또는 일정 각도로 이동 로봇의 상부나 옆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식된 영상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The upper camera sensor may be installed to face upwards or forwards of the cleaner 100 to capture the surroundings of the cleaner 100. When the clean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camera sensors, the camera sensors may be formed on the top or side surfaces of the mobile robo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t an angle. Field data on an image recognized by the upper camera sensor may be generated.

상기 엔코더는 휠(111)을 동작시키는 모터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동작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다.The encoder may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for operating the wheel 111. Accordingly, field data on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generated.

상기 충격 감지 센서는 청소기(100)이 외부의 장애물 등과 충돌시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다.The shock sensor may detect a shock when the cleaner 100 collides with an external obstacle. Thus, field data for external shocks are generated.

마이크는 외부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외부의 소리에 대한 필드 데이터가 생성된다.The microphone can detect external sounds. Accordingly, field data for the external sound is generated.

본 실시예에서, 센싱 유닛(130)은 영상 센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드 데이터는 상기 영상 센서가 획득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추출된 특징점 정보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nsing unit 130 includes an image senso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eld data is imag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or feature point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informa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한편, 먼지통 수용부(112)의 개방된 하측에는 젠더(118)가 배치될 수 있다.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젠더(118)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젠더(118)위에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먼지통(140)이 안착될 수 있다.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 및 청소 노즐(120)을 연결할 수 있다.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의 흡기 유로와 청소 노즐(120)의 흡기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ender 118 may be disposed on the open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112. The gender 118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o form a part of the cleaner body 110. That is, when the gender 118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e gender 118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leaner body 110. On the gender 118, a dust container 140 storing foreign matters may be seated. The gender 118 may connect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cleaning nozzle 120. The gender 118 may connect the intake passage of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intake passage of the cleaning nozzle 120.

청소 노즐(120)은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거나 바닥을 닦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청소 노즐(120)은 흡입 모듈로 명명될 수 있고, 바닥을 닦도록 이루어지는 청소 노즐(120)은 걸레 모듈로 명명될 수 있다.Cleaning nozzle 120 is made to suck the air containing the dust or to wipe the floor. Here, the cleaning nozzle 120 for sucking the air containing the dust may be referred to as a suction module, the cleaning nozzle 120 to clean the floor may be referred to as a mop module.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듈이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 분리된 흡입 모듈을 대체하여 상기 걸레 모듈이 청소기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10)에 흡입 모듈을 장착하고, 바닥을 닦고자 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10)에 걸레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When the suction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110, the mop modul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by replacing the separated suction module. Therefore, the user may mount the suction module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remove dust from the floor, and install the mop module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clean the floor.

청소 노즐(120)이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후에 바닥을 닦는 기능을 함께 갖추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of wiping the floor after inhaling air containing dust.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일측은 상기 청소기 본체(110)가 정방향으로 주행하는 측, 즉 청소기 본체(110)의 앞쪽이 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휠(11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일부가 먼지통(140)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isposed under the cleaner body 110 or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as shown. The one side may be a side in which the cleaner body 110 travels in a forward direction, that is, in front of the cleaner body 110.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 111, and a part of the cleaning nozzle 12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dust container 140.

본 도면에서는, 청소 노즐(120)이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에서 전방 및 좌우 양측방으로 모두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 노즐(120)의 전단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청소 노즐(120)의 좌우 양단부는 청소기 본체(110)의 일측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각각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In this drawing, the cleaning nozzle 120 is shown to have a form in which both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cleaning nozzle 120 is disposed in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cleaning nozzle 120 ar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s placed in a closed position.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흡입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의 회전축에는 임펠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임펠러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임펠러는 흡입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The suction mot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leaner body 110. An impell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uction motor. The impeller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when the suction motor is driven to rotate the impeller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흡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생성된 흡입력에 의해 피 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이 청소 노즐(120)로 유입되고, 청소 노즐(120)로 유입된 상기 이물질은 상기 흡기유로로 유입될 수 있다.An intake flow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cleaner body 110.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may be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nozzle 120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cleaning nozzle 120 may flow into the intake passage.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가 자동모드로 주행하는 경우 피 청소면인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면 중 바닥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의 저면부에는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흡입구가 바닥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clean the floor that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when the cleaner body 110 runs in the automatic mode.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ing nozzle 120. When the cleaning nozzle 120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e suction port may be dispo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청소 노즐(120)은 젠더(118)를 통해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젠더(118)를 통해 청소기 본체(110)의 흡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면에 배치된 먼지통(14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rough the gender 118. The cleaning nozzle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intake passage of the cleaner body 110 through the gender 118.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isposed below the dust container 14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청소 노즐(120)은 저면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에는 브러쉬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러쉬 유닛이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유닛은 좌우로 길게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둘레에 돌출 배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유닛의 회전축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ing nozzle 120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 suction port is formed in a bottom portion thereof, and a brush unit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the case. The case may provide an empty space so that the brush unit is rotatably provided therein. The brush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and a brush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shaft. The rotating shaft of the brush un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ase.

청소 노즐(120)의 케이스(121, 122)는, 중앙 케이스(121)와, 중앙 케이스(1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청소 노즐(120)의 케이스(121, 122)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측면 케이스(12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케이스(121)의 저면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케이스(121)의 양측은 개구될 수 있고, 양측의 측면 케이스(122)는 중앙 케이스(12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중앙 케이스(121)의 개구된 양측을 차폐할 수 있다.The cases 121 and 122 of the cleaning nozzle 120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case 121 and the center case 121, respectively,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s 121 and 122 of the cleaning nozzle 120 are respectively provided. Each side case 122 may be formed. A suction port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entral case 121. Both sides of the center case 121 may be opened, and the side cases 122 on both sides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case 121, respectively, to shield both sides of the center case 121.

상기 브러쉬 유닛은 상기 브러쉬가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하부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서, 흡입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흡입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 청소면인 바닥면 위에서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을 쓸어 올릴 수 있고, 이렇게 쓸어 올려진 상기 이물질은 상기 흡입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이물질이 쉽게 붙지 않도록 마찰전기가 생성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brush unit is dispos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rush protrudes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in the bottom of the case, and when the suction motor is driven, the brush unit may be rotated by the suction force to sweep up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on the floor to be cleaned.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thus swept up may be sucked into the case by the suction force. The brush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generate triboelectricity so that the foreign matter does not easily adhere.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 및 청소 노즐(120)을 연결할 수 있다. 청소 노즐(120)은 젠더(118)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젠더(118)는 먼지통(14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The gender 118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gender 118 may connect the cleaner body 110 and the cleaning nozzle 120.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ender 118. The gender 118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먼지통(140)은 청소기 본체(110)의 전방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측이 젠더(11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먼지통(140)은 내부가 빈 원통형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는 청소기 본체(110)의 흡기유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이물질 및 공기를 분리하는 여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복수의 싸이클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에서 걸려진 먼지를 비롯한 이물질은 먼지통(140)의 내부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고, 공기만이 먼지통(140)의 외부로 빠져나간 후 흡입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모터 측으로 이동된 후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Dust bin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lower side may be supported by the gender 118. Dust bin 140 may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case.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case may be disposed in the filter unit for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and air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assage of the cleaner body (110). The filtr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dust caught in the filtration unit may be accommodated by falling into the in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only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n moved to the suction motor side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It may exit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110).

먼지통(140)의 하측면은 개구될 수 있고, 이 개구된 먼지통(140)의 하측면은 뚜껑(14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뚜껑(145)은 일측이 먼지통(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뚜껑(145)이 개방되는 경우 먼지통(140)의 개구된 하측은 개방될 수 있고, 먼지통(140)에 수용된 이물질은 먼지통(140)의 개구된 하측을 통해 낙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지통(140)을 청소기 본체(110)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뚜껑을 열어 먼지통(140)에 수용된 이물질을 버릴 수 있다. 먼지통(140)이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일 때, 먼지통(140)은 젠더(118) 위에 안착된다. 즉, 먼지통(140)의 뚜껑은 젠더(118)의 상측에 안착된다.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opened, and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opened dust container 140 may be shielded by the lid 145. The lid 145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lid 145 is opened,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may be opened, and the foreign matter received in the dust container 140 may fall through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After the user separates the dust container 140 from the cleaner body 110, the user may open the lid to discard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dust container 140. When the dust container 140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e dust container 140 is seated on the gender 118. That is, the lid of the dust container 14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ender 118.

상기와 같이, 청소 노즐(120)은 피 청소면인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자동모드 주행시에 바닥면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청소를 하기를 원할 시엔 사용자는 청소기 본체(110)에 구비된 모드선택 입력부를 통해 청소기 본체(110)의 수동모드 주행을 입력한 후, 청소 노즐(120)을 청소기 본체(110)에서 탈거한 후, 수동 청소 노즐을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하여 수동 청소를 할 수 있다. 상기 수동 청소 노즐은 벨로우즈 형태의 긴 호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수동 청소 노즐은 상기 호스 부근이 청소기 본체(110)와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nozzle 120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to be clean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may be automatically cleaned when the cleaner body 110 runs in the automatic mode. However, when the user wants to clean manually, the user inputs the manual mode driving of the cleaner body 110 through the mode selectio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leaner body 110, and then cleans the cleaning nozzle 120 with the cleaner body ( After removing from the 110, the manual cleaning nozzle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o perform manual cleaning. The manual cleaning nozzle may include a long hose of a bellows type. In this case, the manual cleaning nozzle may b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10 near the hose.

사용자는 청소기(100)를 자동모드로 사용 중에 수동모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청소 노즐(120)을 젠더(118)로부터 빠르고 쉽게 탈거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는, 청소 노즐(120)을 젠더(118)로부터 빠르고 쉽게 탈거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user wishes to use the cleaner 100 in the manual mode while in the automatic mode, the user needs to quickly and easily remove the cleaning nozzle 120 from the gender 118.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cleaning nozzle 120 can be quickly and easily removed from the gender 118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젠더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청소 노즐 및 젠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단면도, 도 7은 청소 노즐이 젠더에 후크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청소 노즐이 젠더에 후크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nozzle and the gender illustrated in FIGS. 1 and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nozzle and the gender illustrated in FIGS. 1 and 2, FIG.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FIG. 3,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nozzle is hooked to the gender,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nozzle is hooked to the gender.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젠더(118)에는 제1 연결유로(118A)가 형성된다. 제1 연결유로(118A)가 젠더(118)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젠더(118)는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청소기 본체(11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연결유로(118A)는 청소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제1 연결유로(118A)는 청소기 본체(11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제1 연결유로(118A)는 젠더(118)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 to 8,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is formed in the gender 118. Although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gender 118, the gender 118 may be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o form a part of the cleaner body 110. 118A may be interpreted as being formed in the cleaner body 110.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may be formed outside the cleaner body 110. Hereinaf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scriptio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at formed in the gender 118.

그리고, 청소 노즐(120)은 제2 연결유로(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1A)는 제1 연결유로(118A)와 연결될 수 있다. 젠더(118)에 형성된 제1 연결유로(118A)는 청소 노즐(120)의 제2 연결유로(121A)를 청소기 본체(110)의 흡기유로에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nozzle 12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formed in the gender 118 may connect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of the cleaning nozzle 120 to the intake passage of the cleaner body 110.

청소 노즐(120)은 저면부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스(121, 122)와, 케이스(121)에 형성된 제2 연결유로(121A)를 포함한다. 케이스(121, 122)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브러쉬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1, 122)의 빈 내부공간은 제2 연결유로(121A)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1A)는 케이스(121, 122)의 후방 중 길이방향인 좌우방향의 가운데에 형성된다. 제2 연결유로(121A)는 중앙 케이스(121)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유로(121A)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끝단인 후단이 케이스(121, 122)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The cleaning nozzle 120 includes cases 121 and 122 having suction ports formed at a bottom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formed at the case 121. A rotatable brush unit may be disposed in the cases 121 and 122. Empty interior sp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of the cases 121 and 122.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is preferably formed at the rear of the center case 121.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is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and the rear end, which is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es not protrude from the cases 121 and 122.

중앙 케이스(121)는 상부 케이스(121B)와, 하부 케이스(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1B) 및 하부 케이스(121C)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1B)는 하부 케이스(121C)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 케이스(121C)는 상부 케이스(121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케이스(122)는 하부 케이스(121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case 121 may include an upper case 121B and a lower case 121C. The upper case 121B and the lower case 121C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upper case 121B may be disposed above the lower case 121C, and the lower case 121C may be disposed above the upper case 121B. The side case 12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case 121C.

제2 연결유로(121A)는 상부 케이스(121B)의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1B)의 전방부는 측단면의 형상이 원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1C)는 상부 케이스(121B)의 개구된 하측과 대응되는 부분에 흡입구(121D)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D)는 상부 케이스(121D)의 내부공간과 통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 유닛은 측단면의 형상이 원의 일부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121B)의 전방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 유닛의 브러쉬의 일부는 흡입구(121D)를 통해 청소 노즐(120)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회전시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쓸어 올릴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1A)는 길이방향의 끝단인 후단이 하부 케이스(121C)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of the upper case 121B. The front part of the upper case 121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side cross section forms part of a circle, and the lower side may be opened. The lower case 121C may have a suction port 121D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upper case 121B. The suction port 121D may communicate with an internal space of the upper case 121D. The brush unit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case 121B having a shape of a side cross-section, and a part of the brush of the brush unit is lower than the cleaning nozzle 120 through the suction port 121D. It is arranged to protrude, it can sweep up the foreign matter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during rotation.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may not protrude to the rear of the lower case 121C.

제1 연결유로(118A)는 청소기 본체(110)의 외부로부터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로 공기를 안내한다. 또한, 제2 연결유로(121A)는 케이스(121, 122)의 흡입구(121D)를 통해 케이스(121, 12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케이스(121, 122)의 외부로 안내한다. 따라서,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가 서로 연결되면, 청소 노즐(120)의 흡입구(121D)의 흡입구를 통해 청소 노즐(12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guide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leaner body 110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body 11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guide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ases 121 and 122 to the outside of the cases 121 and 122 through the inlets 121D of the cases 121 and 122. Therefore, when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ir sucked into the cleaning nozzle 120 through the suction port of the suction port 121D of the cleaning nozzle 120 is cleaner body. It may be moved into the interior of 110.

제2 연결유로(121A)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1A)는 반드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2 연결유로(121A)는 상하측면이 평평하고 양측이 볼록한 타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유로(121A)는 케이스(121, 122)의 빈 내부공간과 연통되어서, 케이스(121, 122) 내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케이스(121, 122)에 형성된 흡입구(121D)를 통해 케이스(121, 122) 내로 유입된 공기 및 이물질은 제2 연결유로(121A)를 통해 청소 노즐(1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er.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be formed in an elliptic cylinder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flat and both sides are convex.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communicate with empty interior sp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to discharg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cases 121 and 122 to the outside. That is,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cases 121 and 122 through the suction ports 121D formed in the cases 121 and 122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ing nozzle 12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

젠더(118)의 전방부에는 제1 연결유로(118A)가 형성된다. 제1 연결유로(118A)는 제2 연결유로(121A)와 연결된다. 제1 연결유로(118A)는 제2 연결유로(121A)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연결유로(121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118A)는 청소 노즐(120)의 제2 연결유로(121A)와 청소기 본체(110) 내의 흡기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유로(118A)의 일단인 전단은 제2 연결유로(121A)와 연결되고, 제1 연결유로(118A)의 타단인 후단은 청소기 본체(110) 내의 흡기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A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gender 118.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may connect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of the cleaning nozzle 120 and the intake passage in the cleaner body 110. That is, the front end, which is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and the rear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may be connected to the intake channel in the cleaner body 110.

제1 연결유로(118A)는 제2 연결유로(121A)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 연결유로(12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유로(118A)의 외측면에는 후크홈(118Q)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유로(121A)에는 후크홀(121Q)이 형성된다. 후크홈(118Q) 및 후크홀(121Q)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는 회동부재(12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부재(125)에는 후크홀(121Q) 및 후크홈(118Q)에 삽입되는 후크돌기(125D)가 형성된다. 후크돌기(125D)는 회동부재(125)가 회전시에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를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후크돌기(125D)는 후크홀(121Q) 및 후크홈(118Q)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를 결합하고, 후크홈(118Q)에서 빠져나오는 경우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을 해제시킨다.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Hook grooves 118Q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In addition, a hook hole 121Q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hook groove 118Q and the hook hole 121Q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n, the rotating member 125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rotating member 125 has a hook protrusion 125D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21Q and the hook groove 118Q. The hook protrusion 125D performs a function of engaging or releasing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when the rotation member 125 rotates. That is, when the hook protrusion 125D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21Q and the hook groove 118Q, the hook protrusion 125D couples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and exits from the hook groove 118Q. In this c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is released.

청소 노즐(120)의 케이스(121, 122)에는 푸쉬 버튼(123)이 설치된다. 푸쉬 버튼(123)은 케이스(121, 122)의 일면을 관통하여 소정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푸쉬 버튼(123)은 케이스(121, 122)의 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나, 케이스(121, 12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푸쉬 버튼(123)은 케이스(121, 122)의 측면을 관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Push buttons 123 are installed in the cases 121 and 122 of the cleaning nozzle 120. The push button 123 penetrates one surface of the cases 121 and 122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pressing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push button 123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but may be installed to be moved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upper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 Hereinafter, the push button 123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하부 케이스(121C)의 측면에는 푸쉬 버튼(123)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21F)이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100)의 주행시 주변의 장애물에 의해 푸쉬 버튼(123)이 눌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푸쉬 버튼(123)은 푸쉬되지 않을 시 청소 노즐(120)의 케이스(121, 12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배치된다.A through hole 121F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123 penetr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lower case 121C. In order to prevent the push button 123 from being pressed by the obstacles around when the cleaner 100 is driven, the push button 123 does not protrude from the sides of the cases 121 and 122 of the cleaning nozzle 120 when it is not pushed. Are not placed.

사용자가 푸쉬 버튼(123)을 푸쉬하는 경우, 청소 노즐(120)은 젠더(118)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푸쉬 버튼(123)은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회동부재(125)를 회전시킨다. 회동부재(125)는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를 결합할 수 있고, 푸쉬 버튼(123)과 연동되어 회전시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회동부재(125)가 푸쉬 버튼(123)에 의해 푸쉬되지 않는 경우, 후크돌기(125D)가 후크홀(121Q) 및 후크홈(118Q)에 삽입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는 결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회동부재(125)는 푸쉬 버튼(123)에 의해 푸시되는 경우 회전되어 후크돌기(125D)가 후크홈(118Q)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이 해제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push button 123, the cleaning nozzle 120 may be removed from the gender 118. The push button 123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ush button 123 is pushed by the user. The rotation member 125 may combin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and interlock with the push button 123 to rotat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 121A) can be uncoupled. That is, when the rotating member 125 is not pushed by the push button 123, since the hook protrusion 125D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21Q and the hook groove 118Q,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are in a coupled state. On the contrary, since the rotation member 125 is rotated when pushed by the push button 123 and the hook protrusion 125D comes out of the hook groove 118Q,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 121A) is released.

회동부재(125)는 푸쉬 버튼(123)이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경우, 상하로 배치된 회전축(125R)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회동부재(125)는 회전축(125R)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When the push button 123 is pushed by the user, the rotation member 125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so as to be rotatable based on the rotation shaft 125R disposed up and down. The rotation member 125 may be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shaft 125R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한편, 젠더(118)는 먼지통(140)의 하측을 지지하는 바, 젠더(118)에는 먼지통(140)이 안착되는 먼지통 안착부(118C)가 형성된다. 먼지통 안착부(118C)는 제1 연결유로(118A)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1 연결유로(118A)는 먼지통 안착부(118C)의 하측에 배치되어 먼지통 안착부(118C)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연결유로(121A)는 길이방향의 끝단인 후단이 케이스(121, 12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소 노즐(120)이 젠더(118)에 결합된 상태일 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140)은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보다 청소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청소 노즐(120)은 먼지통(140)보다 청소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이는, 청소 노즐(120)이 청소기 본체(110)에 결합된 상태일 때, 청소기 본체(110)는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청소 노즐(120)은 청소기 본체(110)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Meanwhile, the gender 118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40, and the gender 118 is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seating part 118C on which the dust container 140 is seated. The dust container seating portion 118C is disposed above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is disposed below the dust container seating portion 118C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than the dust container seating portion 118C. Do not.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which is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es not protrude rearward from the cases 121 and 122. Thus, as shown in FIGS. 1 and 2 when the cleaning nozzle 120 is coupled to the gender 118, the dust container 140 is more than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Protruding out of the cleaner body 110, the cleaning nozzle 120 is disposed protruding out of the cleaner body 110 than the dust container 140. This is because when the cleaning nozzle 120 is coupled to the cleaner body 110, the cleaner body 110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and the cleaning nozzle 120 is disposed. 120 may be interpreted as the same meaning a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cleaner body 110.

이와 같이, 청소 노즐(120)이 젠더(118)에 결합된 상태일 때 먼지통(140)이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보다 청소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기 때문에, 푸쉬 버튼(123)은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에 구비되는 것보다는, 먼지통(140)보다 청소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 청소 노즐(120)에 구비되어, 사용자는 청소 노즐(120)을 젠더(118)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leaning nozzle 120 is coupled to the gender 118, the dust container 140 protrudes outward from the cleaner body 110 than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Since the push button 123 is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cleaning nozzle 120 protrudes outward of the cleaner body 110 than the dust container 140. ), The user can easily remove the cleaning nozzle 120 from the gender 118.

먼지통 안착부(118C)는 먼지통(140)의 뚜껑(145)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볼 때 뚜껑(145)의 형상과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먼지통 안착부(118C)는 원형의 베이스(118D)와, 베이스(118D)의 상측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118E)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커버(118E) 위에는 뚜껑(145)이 실질적으로 접촉된다. 베이스 커버(118E)는 베이스(118D)에 비해 탄성력을 가지는 연성재질의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seating portion 118C has the same circular shape as the shape of the lid 145 when viewed from above so that the lid 145 of the dust container 140 can be seated. The dust container seating portion 118C may include a circular base 118D and a base cover 118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ase 118D. The lid 145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base cover 118E. The base cover 118E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or plastic material having elasticity compared to the base 118D.

푸쉬 버튼(123)은 하부 케이스(121C)에 형성된 관통홀(121F)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부분인 일단부가 나머지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직경이 큰 나머지부는 관통홀(121F)의 직경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푸쉬 버튼(123)이 관통홀(121F)을 통해 케이스(121, 122)의 측면으로부터 빠져나올려고 할 시, 푸쉬 버튼(123)의 수평방향이동을 제지할 수 있다.The push button 123 may have a diameter smaller at one end than a portion of the push button 123 that penetrates the through hole 121F formed in the lower case 121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mainder having a larger diameter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1F, and when the push button 123 tries to escape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through the through hole 121F, the push button ( The horizontal movement of 123 can be restrained.

회동부재(125)는 힌지부(125A)와, 제1 암부(125B)와, 제2 암부(125C)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25A)는 청소 노즐(120)의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암부(125B)는 힌지부(125A)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1 암부(125B)는 푸쉬 버튼(123)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암부(125C)는 힌지부(125A)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제2 암부(125C)는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를 결합할 수 있고, 제1 암부(125B)가 푸쉬 버튼(123)에 의해 푸쉬될 시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제1 암부(125B)는 힌지부(125A)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제2 암부(125C)는 힌지부(125A)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on member 125 may include a hinge portion 125A, a first arm portion 125B, and a second arm portion 125C. The hinge portion 125A may be hing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of the cleaning nozzle 120. The first arm 125B may extend from one hinge 125A to one side and protrude. The first arm 125B may contact the push button 123. The second arm 125C may extend from the hinge portion 125A to the other side to protrude. The second arm portion 125C may combin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and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 when the first arm part 125B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123.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may be released. The first arm portion 125B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125A, and the second arm portion 125C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125A.

회전축(125R)은 힌지부(125A)의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5R)은 제2 연결유로(121A)와 대향하는 면에 반원형상의 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25R)은 푸쉬 버튼(123)의 가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25R)은 푸쉬 버튼(123)의 가압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푸쉬 버튼(123)은 케이스(121, 122)의 측면을 좌우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회전축(125R)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지만, 푸쉬 버튼(123)이 케이스(121, 122)의 상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회전축(125R)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는 회전축(125R)이 삽입되는 힌지홈(121R)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홈(121R)은 평단면 형상이 회전축(125R)과 동일한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125R)의 상하길이 전체가 수용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125R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125A. The rotating shaft 125R may b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flat cross section on a surface facing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rotation shaft 125R may exten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23.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haft 125R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ush button 123.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ush button 123 penetrates the sides of the cases 121 and 122 from side to side and is pres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rotation shaft 125R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ush button When the 123 is dispos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e upper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and is press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rotation shaft 125R may b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hinge groove 121R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125R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hinge groove 121R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flat cross-sectional shape the same as that of the rotation shaft 125R,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long to accommodate the entire vertical length of the rotation shaft 125R.

후크돌기(125D)는 제2 암부(125C) 중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 연결유로(121A)에 형성된 후크홀(121Q)과, 제1 연결유로(118A)에 형성된 후크홈(118Q)에 삽입 배치되어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가 후크돌기(125D)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푸쉬 버튼(123)이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경우, 제1 암부(125B)는 푸쉬 버튼(123)에 의해 눌림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재(125)는 힌지부(125A)를 기준으로 회전됨으로써, 후크돌기(125D)는 후크홈(118Q)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The hook protrusion 125D is formed to protrude on a surface of the second arm portion 125C that face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hook hole 121Q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and the first portion. It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118Q formed in the connection channel 118A, and may combin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In addition, when the push button 123 is pushed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are coupled by the hook protrusion 125D, the first arm part 125B is Pressed by the push button 123, the rotation member 125 is rotated relative to the hinge portion (125A), so that the hook projection (125D) is out of the hook groove (118Q),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118A) )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be released.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는 회동부재(125)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126)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26)는 회동부재(125) 중 힌지부(125A) 및 제2 암부(125C)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부재(125)는 제1 암부(125B)가 커버(126)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푸쉬 버튼(123)과 접촉될 수 있다. 회동부재(125)의 회전축(125R)을 제2 연결유로(121A)의 힌지홈(121R)에 삽입한 후, 커버(126)는 힌지부(125A) 및 제2 암부(125C)를 감싸면서 제2 연결유로(121A)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26) 및 제2 연결유로(121A)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후크홀이 형성되어, 커버(126) 및 제2 연결유로(121A)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커버(126) 및 제2 연결유로(121A)는 스크류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A cover 126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pivot member 125. The cover 126 may surround the hinge portion 125A and the second arm portion 125C of the rotation member 125. Accordingly, in the pivot member 125, the first arm part 125B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ver 126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 button 123. After inserting the rotating shaft 125R of the rotating member 125 into the hinge groove 121R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the cover 126 is formed while wrapping the hinge portion 125A and the second arm portion 125C. 2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ssage 121A. One of the cover 12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is formed with a hook protrusion, and the other is formed with a hook hol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ver 12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However, the cover 12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may be coupled through a screw.

제2 암부(125C) 및 커버(126) 사이에는 탄성부재(127)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7)는 제2 암부(125C) 및 커버(126)에 탄성지지되어 회동부재(1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푸쉬 버튼(123)을 눌러 제1 연결유로(118A) 및 제2 연결유로(121A)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푸쉬 버튼(123)을 누르면, 회동부재(125)는 탄성부재(127)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쉬 버튼(123)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An elastic member 12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rm 125C and the cover 126. The elastic member 127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arm 125C and the cover 126 to return the rotation member 125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23 while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123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118A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121A, the rotation member 125 is an elastic member. It may be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127, accordingly, the push button 123 may also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탄성부재(127)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제2 암부(125C)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은 커버(126)에 탄성지지될 수 있다. 제2 암부(125C)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보스(125T)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보스(125T)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을 통해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126)에는 삽입보스(125T)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27 may be formed of a coil spring so that one end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arm 125C and the other end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ver 126. An insertion boss 125T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rm 125C to be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 The insertion boss 125T may be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 through one end of the coil spring so th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may not be separated. In addition, the cover 126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a surface facing the insertion boss 125T. The insertion groove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not separated.

한편, 푸쉬 버튼(123)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버튼(123)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되어, 케이스(121, 122)의 측면을 관통하는 일단이 제1 암부(125B)에 접촉되는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21, 122)는 중앙부가 양측부에 비해 전후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21, 122) 내에는 푸쉬 버튼(123) 및 회동부재(125)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다. 하지만, 푸쉬 버튼(123)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되어 케이스(121, 122)의 측면을 관통하는 일단이 제1 암부(125B)에 접촉되는 타단보다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케이스(121, 122) 내에 푸쉬 버튼(123) 및 회동부재(125)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sh button 123 may be formed cur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ush button 123 is curv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one end penetra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first arm 125B. The cases 121 and 122 are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before and after the center than both sides. Therefore, the space where the push button 123 and the rotation member 125 can be installed in the case 121 and 122 is narrow. However, the push button 123 is cur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end penetra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s 121 and 12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rm portion 125B, thereby providing the case 121 and 122. A space in which the push button 123 and the rotating member 125 can be installed can be secured therein.

케이스(121, 122) 내에는 푸쉬 버튼(123)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121P)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1P)는 하부 케이스(121C) 내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21P)는 푸쉬 버튼(123)과 대향하는 면이 푸쉬 버튼(123)의 만곡도와 대응하여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푸쉬 버튼(123)은 전방면이 볼록하고 후방면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돌기(121P)는 푸쉬 버튼(123)과 대향면인 전방면이 볼록하게 형성된다.In the cases 121 and 122, guide protrusions 121P may be formed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button 123. The guide protrusion 121P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rear side in the lower case 121C. The guide protrusion 121P may be formed such that a surface facing the push button 123 is curved to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push button 123. The push button 123 is formed by convex front face and concave rear face.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121P is formed to have a convex front surface facing the push button 123.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00)는 청소 노즐(120)의 측면에 푸쉬 버튼(123)이 구비되고, 제2 연결유로(121A)의 외측면에는 푸쉬 버튼(123)과 연동되는 회동부재(125)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청소 노즐(120)의 측면에 배치된 푸쉬 버튼(123)을 직관적으로 보면서 눌러서 청소 노즐(120)을 탈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123 on the side of the cleaning nozzle 120,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A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123 Since the member 125 is provided, the user may remove the cleaning nozzle 120 by pressing and intuitively looking at the push button 123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leaning nozzle 12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청소기(100)는, 로봇청소기와 같이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하는 자동모드와, 사용자에 의해 직접 끌리거나 밀려서 수동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하는 수동모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모드로 청소를 원할 시엔 상기 자동모드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120)을 청소기 본체(110)로부터 신속하게 탈거한 후 수동 청소 노즐을 청소기 본체(110)에 장착하여 수동으로 청소를 하여야 하므로, 상기 자동모드에 사용되는 청소 노즐(120)을 쉽게 탈거하여 수동 청소 노즐로 교체한 후 수동모드로 청소를 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tomatic mode for cleaning while driving automatically, such as a robot cleaner, and a manual mode for cleaning while manually driving by being pulled or pushed by a user directly, When the user wants to clean in the manual mode, the cleaning nozzle 120 used in the automatic mode is quickly removed from the cleaner main body 110, and then the manual cleaning nozzle is mounted on the cleaner main body 110 to clean manually. Therefore, the cleaning nozzle 120 used in the automatic mode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with a manual cleaning nozzle to clean in the manual mode.

또한, 젠더(118)가 청소 노즐(120) 및 청소기 본체(110)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먼지통(140)을 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부품 일체화를 통해 간단한 구조의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ender 118 performs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cleaning nozzle 120 and the cleaner body 110, and also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dust container 140, thereby providing a clea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parts. can do.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10 : 청소기 본체 118 : 젠더
118A : 제1 연결유로 118Q : 후크홈
120 : 청소 노즐 121, 122 : 케이스
121A : 제2 연결유로 121B : 상부 케이스
121C : 하부 케이스 121D : 흡입구
121F : 관통홀 121P : 가이드돌기
121R : 힌지홈 121Q : 후크홀
123 : 푸쉬 버튼 125 : 회동부재
125A : 힌지부 125B : 제1 암부
125C : 제2 암부 125D : 후크돌기
125R : 회전축 125T : 삽입보스
126 : 커버 127 : 탄성부재
140 : 먼지통
110: cleaner body 118: gender
118A: first connection 118Q: hook groove
120: cleaning nozzle 121, 122: case
121A: second connection passage 121B: upper case
121C: Lower Case 121D: Inlet
121F: Through Hole 121P: Guide Projection
121R: Hinge Groove 121Q: Hook Hole
123: push button 125: rotating member
125A: hinge portion 125B: first arm portion
125C: 2nd arm 125D: Hook protrusion
125R: rotating shaft 125T: insertion boss
126: cover 127: elastic member
140: dust bucket

Claims (14)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연결유로가 외측에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및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어, 바닥을 청소하는 청소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노즐은,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와 연결되는 제2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관통하여 소정의 가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푸쉬 버튼과,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상기 가압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되, 상기 푸쉬 버튼과 연동되어 회전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자동 모드에서 상기 청소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청소를 진행하고, 수동 모드에서 상기 푸쉬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청소노즐이 상기 청소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청소기.
A cleaner body having a first connection channel configured to guide air from the outside to the outside; And
A suction nozzle is formed to suck air and cleans the floor;
The cleaning nozzle,
A case in which the suc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channel which guides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to the outside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re formed;
A push button provided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pressing direction by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case;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the pressing direction to combine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i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push button A rotating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And the cleaning nozzle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in the automatic mode to perform cleaning, and the cleaning nozzle is separated from the cleaner body by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by pressing the push button in the manual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푸쉬 버튼과 접촉되는 제1 암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푸쉬 버튼에 의해 푸쉬될 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제2 암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mber,
A hinge portion form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hing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A first arm part extending from the hinge part to one side and contacting the push button;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to the other side to couple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and when the first arm portion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is performed. A cleaner comprising a second arm for relea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암부에는,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를 결합하고, 상기 제1 암부가 상기 푸쉬 버튼에 의해 푸쉬될 시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Coupling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o the second arm unit, and disengaging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when the first arm unit is pushed by the push button; Hook cleaner is form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제2 연결유로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유로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에는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후크홈이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with a hook hol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hook groove into which the hook protrusion is inserted in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부 및 상기 제2 암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leaning nozzle,
And a cover dispos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and surrounding the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arm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제2 암부 및 상기 커버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cleaning nozzle,
And a resilient member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arm and the cover to return the pivot member to its original pos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암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보스가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of a coil spring,
The second arm portion is a cleaner formed with an insertion boss is inserted into the coil spr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암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암부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푸쉬 버튼은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측면을 관통하는 일단이 상기 제1 암부에 접촉되는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arm portion is disposed in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The second arm portio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inge portion,
The push button is cur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one end penetrating the side of the case is positioned ahead of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ar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푸쉬 버튼의 수평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푸쉬 버튼과 대향하는 면이 상기 푸쉬 버튼의 만곡도와 대응하여 만곡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In the case is formed a guide protrusion for guid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push button,
The guide protrusion is a cleaner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push button is curved to correspond to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push butt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유로의 외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otating shaft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hinge portion,
And a hinge groove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상기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제2 연결유로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청소 노즐은 상기 청소기 본체보다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body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channel and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The cleaning nozzle cleaner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lean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물질을 저장하는 먼지통과,
상기 청소기 본체 및 상기 청소 노즐을 연결하고, 상기 먼지통이 안착되는 젠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유로는 상기 젠더에 형성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movably coupled to the cleaner body, the dust container for storing the foreign matter,
And a gender connecting the cleaner body and the cleaning nozzle to the dust box,
The first connecting passage is a cleaner formed in the gen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공간과 통하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푸쉬 버튼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An upper case in which the second connection channel is formed;
And a lower case coupled to the upper case and having a su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of the upper case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ush button penetr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유로는 길이방향의 끝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cleaner in which the longitudinal end does not protrude from the case.
KR1020180014159A 2018-02-05 2018-02-05 A cleaner KR1020240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59A KR102024088B1 (en) 2018-02-05 2018-02-05 A cleaner
TW108102581A TWI733081B (en) 2018-02-05 2019-01-23 Cleaner
PCT/KR2019/001254 WO2019151754A1 (en) 2018-02-05 2019-01-30 Cleaner
US16/967,486 US20210212533A1 (en) 2018-02-05 2019-01-30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59A KR102024088B1 (en) 2018-02-05 2018-02-05 A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98A KR20190094698A (en) 2019-08-14
KR102024088B1 true KR102024088B1 (en) 2019-11-04

Family

ID=67479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59A KR102024088B1 (en) 2018-02-05 2018-02-05 A clea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212533A1 (en)
KR (1) KR102024088B1 (en)
TW (1) TWI733081B (en)
WO (1) WO2019151754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788A (en) * 2004-04-30 2005-11-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Vacuum cleaner
KR100640920B1 (en) * 2000-05-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007A (en) * 1996-06-10 1998-01-20 Chiang; Wayne Remote control vacuum cleaner
JP3457639B2 (en) * 2000-05-04 2003-10-2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Vacuum cleaner
KR100412577B1 (en) * 2000-11-06 2003-12-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Brush assembly for Cleaner
JP3986310B2 (en) * 2001-12-19 2007-10-03 シャープ株式会社 Parent-child type vacuum cleaner
US7113847B2 (en) * 2002-05-07 2006-09-26 Royal Appliance Mfg. Co. Robotic vacuum with removable portable vacuum and semi-automated environment mapping
EP1364608B1 (en) * 2002-05-22 2012-03-28 Panasonic Corporation Vacc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employed therein
US7568259B2 (en) * 2005-12-13 2009-08-04 Jason Yan Robotic floor cleaner
KR20070074147A (en) * 2006-01-06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system
TWM325088U (en) * 2007-08-15 2008-01-11 Ling-Chu Su Three level separable wireless vacuum
KR101330735B1 (en) * 2007-10-17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DE102010030731B4 (en) * 2010-06-30 2012-0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acuum cleaner nozzle
US8769764B2 (en) * 2010-08-05 2014-07-08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Hand-held and conversion vacuum cleaner with adapter
US20120189507A1 (en) * 2011-01-24 2012-07-26 Ko Joseph Y Modular automatic traveling apparatus
KR102180432B1 (en) * 2013-10-04 2020-12-01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Nozzle for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CN104887150B (en) * 2015-04-03 2017-10-3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loor brush of dust collector having from walking function
KR102278584B1 (en) * 2015-09-01 2021-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KR101836974B1 (en) * 2016-05-20 2018-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920B1 (en) * 2000-05-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JP2005312788A (en) * 2004-04-30 2005-11-1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12533A1 (en) 2021-07-15
KR20190094698A (en) 2019-08-14
TWI733081B (en) 2021-07-11
WO2019151754A1 (en) 2019-08-08
TW201934062A (en) 201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826B1 (en) A cleaner
KR102070065B1 (en) Cyclone type dust collector and Cleaner having the same
US11297991B2 (en) Cleaner
TWI719424B (en) Cleaner
KR102033935B1 (en) A cleaner
US11234570B2 (en) Cleaner
KR102070064B1 (en) Dust collecting equipment
KR102024088B1 (en) A cleaner
KR102035138B1 (en) A cleaner
KR20220003111A (en) robotic vacuum
TWI736006B (en) Robot cleaner
US11510535B2 (en) Robot cleaner
KR20210090446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210090447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