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938B1 -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938B1
KR102277938B1 KR1020200138629A KR20200138629A KR102277938B1 KR 102277938 B1 KR102277938 B1 KR 102277938B1 KR 1020200138629 A KR1020200138629 A KR 1020200138629A KR 20200138629 A KR20200138629 A KR 20200138629A KR 102277938 B1 KR102277938 B1 KR 10227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rtain
transverse
shap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강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강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강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3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내부커튼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커튼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 in Green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용 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Vinyl House)는 기후 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채소류의 촉성재배(促成栽培)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비닐 필름을 씌운 온실을 말하는데, 영어권 문화에서는 그린하우스(Greenhouse) 또는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로 불린다. 대체로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도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농작물의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채소류의 재배에 가장 많이 쓰이며 화훼류(花卉類)·과수류(果樹類)의 재배에도 이용되고 있다. 한편, 보온성이 뛰어난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더라도, 추운 겨울철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 조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온수, 온풍 등 다양한 발열수단을 이용하여 난방을하게 되는데, 이러한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기름이나 전기 등 난방에너지 발생에 필요한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그에 따른 연료비가 상당하여 농가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최근에는 난방을 위한 각종 연료비가 인상되면서 농가 수익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의 난방에 소요되는 연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난방에 따른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난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보온커튼의 사용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그런데, 기존의 보온커튼 또는 차광커튼은 비닐하우스 내·외부에 대칭으로 설치됨으로써, 모터와 회전축이 두개씩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5554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용 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내부커튼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커튼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가로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일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1 지붕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골조를 향하는 방향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2 지붕골조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붕가로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부커튼개폐부는, 상기 지붕가로골조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프레임부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제 1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마련되며,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1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1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 회전부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1 회전부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어, 상기 내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내부커튼로프와, 상기 제 1-2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2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내부커튼로프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방향이 뚫린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 타측이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에 걸리되록 마련되는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외부커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외부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튼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일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1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골조를 향하는 방향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2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붕가로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커튼개폐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2 세로골조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1 가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 상기 지붕가로골조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 상기 제 1-2 지붕골조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상부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프레임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제 2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에 마련되며, 홈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2-1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1 회전지지부, 상기 제 2-2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2 회전지지부,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2 회전부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2 회전부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2 회전부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로프,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2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로프,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1 가로골조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2 가로골조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튼이 바람따위에 휘날리지 않게 잡아주며, 양 끝단에 로프가 마련되는 그물부가 다수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단독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그물부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 프레임부,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에 차례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사이에 마련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3 가로골조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기 그물부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 프레임부, 상기 제 3 가로골조, 바닥에 연결되고,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 서로다른 상기 제 3 가로골조, 바닥에 연결되며,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에 차례대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2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1 가로골조가 삭제되고, 상기 제 3 가로골조 하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4 가로골조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부와 하부가 일측으로 뚫린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의 타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연결부, 상기 제 1-1 가로골조연결부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의 일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가로골조에,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 서로다른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 서로다른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구동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용 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의 회전부, 가이드부, 커튼로프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내부커튼개폐부 확대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의 제 2 프레임부의 확대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의 제 2 프레임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의 제 1-1 가로골조연결부, 제 1-2 가로골조연결부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의 회전부, 가이드부, 커튼로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도 1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100)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내부커튼(미도시)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커튼개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은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물, 작물을 키우기 위한 공간이된다.
먼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1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기둥역할을 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1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와 함께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의 기둥역할을 수행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1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가로골조(122)는 후방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들의 일측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연결되는 방법은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와 상기 제 1-1 가로골조(122)가 연결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1 가로골조(112)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와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가로골조(1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가로골조(124)는 후방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들의 타측, 즉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연결되는 방법은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와 상기 제 1-2 가로골조(124)가 연결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2 가로골조(124)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와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상방에 마련되고, 일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1 지붕골조(13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에 연결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와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지붕역할을 수행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를 향하는 방향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2 지붕골조(1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대칭인 형태로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의 상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에 연결된다.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는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함께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지붕역할을 수행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붕가로골조(140)가 마련된다. 상기 지붕가로골조(140)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와 연결되는 역할을 하고,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내부커튼(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내부커튼은 보온커튼이 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다양한 커튼 또는 덮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도 1과 같은 내부커튼개폐부(20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지붕가로골조(140)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프레임부(2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프레임부(210)는 상기 지붕가로골조(140)에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된다면, 어떤 형태이든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붕가로골조(140)에 연결되는 방식 또한, 체결공, 볼트 및 너트 등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210)의 제 1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축(22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회전축(220)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회전축(220)의 회전을 통해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회전축(220)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 회전축(220)에 마련되며,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부(2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회전부(230)는, 상기 제 1 회전축(220)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1 회전부(230) 외측면 홈에 하기에 설명될 제 1 가이드부(240)와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제 1-2 내부커튼로프(264)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하기에 설명될 제 1 가이드부(240)와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제 1-2 내부커튼로프(264)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 1 회전축(220)이 회전함에도 하기에 설명될 제 1 가이드부(240)가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될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또한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 1 회전부(230)는 상기 제 1 회전축(220)을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 가이드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240)는 하기에 설명될 제 1-1 내부커튼로프(262)가 꼬여서 마련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1 회전부(230)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1 가로골조(122)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1 회전지지부(25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는 하기에 설명될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축(2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는 상기 제 1-1 가로골조(122)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와 상기 제 1 회전부(230)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240)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240)의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내부커튼로프(26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에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커튼(미도시)를 견인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는 도 7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부(240)에 의해 X자로 꼬이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 양 상면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을 한 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의 상부가, 상기 제 1 가이드부(240) 하부에, 상부로 마련된 홈에 의해 상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의 하부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의 하부가, 상기 제 1 가이드부(240) 상부에, 하부로 마련된 홈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의 상부로 연결된다. 즉,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된 후,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1회 꼬인 후,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제 1 가이드부(2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는 상기 제 1 회전부(230)와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252), 상기 제 1 가이드부(240)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는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2번 감겨 마련될 수 있으며, 그보다 더 많이 감겨 내구성이 튼튼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2 가로골조(124)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2 회전지지부(25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254)는 하기에 설명될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회전축(22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254)는 상기 제 1-2 가로골조(12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254)와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내부커튼로프(26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에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한다.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는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와 달리 꼬이지 않고,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254)와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된다. 이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 양 상면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을 한 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기 제 1 회전축(2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에 연결된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은 상방향, 즉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고,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에 연결된 서로다른 상기 내부커튼(미도시) 또한 상방향, 즉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 양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동시에 개폐되는 효과가 가능하다.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는 상기 제 2 회전부(230)와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25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40) 방향이 뚫린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 회전부(230)의 홈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타측이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에 걸리되록 마련되는 다수개의 고정부(27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제 1 가이드부(240)와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에 마련되는 예인클립(미도시),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에 마련되는 예인클립(미도시)에 의해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이 닫혀지지 않는 부분에 추가 내부커튼을 마련하여,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의 식물 또는 작물등에 그늘을 생성해주기 위해 형성되며, 도 8의 상기 고정부(270)의 점선을 참고하면, 일측이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에 걸리도록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에 걸리도록 연결되어 내부에 추가 내부커튼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상기 내부커튼(미도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200)는 여러개가 이어져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기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외부커튼(미도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외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튼개폐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는, 도 2와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는 내부에 공간은 마련되며, 상기 공간은 과일이나 채소 등의 식물, 작물을 키울 수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는 제 1-1 세로골조(112), 제 1-2 세로골조(114), 제 1-1 지붕골조(132), 제 1-2 지붕골조(134), 지붕가로골조(140)로 구성되며, 이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외부커튼(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은 차광커튼이 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다양한 커튼 또는 덮개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도 2와 같은 외부커튼개폐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부(3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와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는, 하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1 세로골조와 볼트·너트 체결 등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가 끼워지는 형상의 연결부(316)로 인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16)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판 형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가로골조(13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1 지붕가로골조(132)와도 볼트·너트 체결이 가능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외부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를 위치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112)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부(3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와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는, 하부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와 볼트·너트 체결 등으로 연결되고,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134)가 끼워지는 형상의 연결부(316)로 인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316)는, 상부와 하부 사이에 판 형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 1-2 지붕가로골조(134)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2 지붕가로골조(134)와도 볼트·너트 체결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134)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외부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를 위치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11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1 가로골조(3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는 후방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들의 일측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연결되는 방법은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와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가 연결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와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조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3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는 후방으로 다수개가 마련되는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들의 타측, 즉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연결되는 방법은 볼트·너트, 철사 등을 이용한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3)와 상기 제 2-2 가로골조가(324) 연결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와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프레임부(3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는 상기 지붕가로골조(140)에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상방로 연장되며, 상부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면 어떤 형태이든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되는 방식 또한, 체결공, 볼트 및 너트 등의 방법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9에서 도시한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도면과 도 10에서 도시한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에 연결되는 부분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꺾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분에 중앙부를 향한 비스듬한 홈이 여러개 마련되어, 상기 홈을 통해 볼트 및 너트 체결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볼트 및 너트가 잘 분리되지 않고, 둥근형태인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에 유연하게 체결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붕가로골조(140)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 상기 제 1-2 지붕골조(13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330)의 제 2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축(340)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회전축(340)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 회전축(34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회전축(340)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 회전축(340)에 마련되며,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부(3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회전부(350)는, 상기 제 2 회전축(340)이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제 2 회전부(350) 외측면의 홈에 하기에 설명될 제 2 가이드부(360)와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제 1-2 외부커튼로프(384)가 연결된다.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하기에 설명될 제 2 가이드부(360)와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제 1-2 외부커튼로프(384)가 연결되므로, 상기 제 2 회전축(340)이 회전함에도 하기에 설명될 제 2 가이드부(360)가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될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제 1-2 외부커튼로프(384) 또한 전후방으로 밀리거나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고 회전가능하다. 상기 제 2 회전부(350)는 상기 제 2 회전축(340)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132)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 가이드부(3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부(360)는 하기에 설명될 제 1-1 외부커튼로프(382)가 꼬여서 마련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 회전부(350)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1 회전지지부(37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는 하기에 설명될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축(34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는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와 상기 제 2 회전부(350)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360)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360)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하기에서 설명될 제 2-2 회전지지부(372)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로프(38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에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는 도 7과 같이 상기 제 2 가이드부(36)에 의해 X자로 꼬이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외부 양 상면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한 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 일측을 감싼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의 상부가, 상기 제 2 가이드부(360) 하부에 상부로 마련된 홈에 의해 상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의 하부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 일측을 감싼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의 하부(382)가, 상기 제 2 가이드부(360) 상부에 하부로 마련된 홈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의 상부로 연결된다. 즉, 도 7 과 같이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연결된 후, 상부와 하부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1회 꼬인 후, 그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2 가이드부(36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는 상기 제 2 회전부(350)와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 상기 제 2 가이드부(360)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는 도 12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2번 감겨 마련될 수 있으며, 그보다 더 많이 감겨 내구성이 튼튼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2 회전지지부가(374) 마련된다.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는 하기에 설명될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회전축(340)이 회전함에 따라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는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와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로프(38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에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한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는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와 달리 꼬이지 않고,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와 상기 제 2 회전부(350)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된다. 이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에 외부 양 상면에 대칭으로 마련되는 상기 외부커튼을 한 방향으로 개폐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상기 제 2 회전축(3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에 연결된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은 상방향, 즉 상기 제 2 회전축(3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고,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에 연결된 서로다른 상기 외부커튼(미도시) 또한 상방향, 즉 상기 제 2 회전축(3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외부 양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동시에 개폐되는 효과가 가능하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는 상기 제 2 회전부(350)와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미도시)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는,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에 끼워넣어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는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미도시)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미도시)는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미도시)는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미도시)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는,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을 보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에 끼워넣어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는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에는,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미도시)는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미도시)는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를 따라 후방으로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는, 도 3과 같이 그물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바람따위에 휘날리지 않게 잡아주며, 양 끝단에 로프가 마련되는 그물부(400)가 다수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외부커튼개폐부(300)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가 도 3과 같이 단독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 상기 제 2 프레임부(330),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에 차례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에 상기 그물부(400)의 타단 로프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330)에 상기 그물부(400)의 그물이 연결되고,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에 상기 그물부(400)의 일단 로프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가 도 4와 같이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이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사이에 마련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3 가로골조(510)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 상기 제 2 프레임부(330), 상기 제 3 가로골조(510), 바닥에 연결되고,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510),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330), 서로다른 상기 제 3 가로골조(510), 바닥에 연결되며,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510),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330),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에 차례대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중 최타단에 위치하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에 상기 그물부(400)의 타단 로프가 연결되고, 상기 제 2 프레임부(330)에 상기 그물부(400)의 그물이 연결되며,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의 하부로 상기 그물부(400)의 일단 로프가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510)를 1회 감싸고 바닥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그물부(400)의 타단 로프가 바닥에 연결된 후, 상기 제 3 가로골조(510)를 1회 감싸고,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3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부(330)에 상기 그물부(400)의 그물이 연결되며, 상기 그물부(400)의 일단 로프가 상기 제 3 가로골조(510)를 1회 감싸고 바닥으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중 최일단에 위치하는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그물부(400)는, 상기 그물부(400)의 타단 로프가 바닥에 연결된 후, 상기 제 3 가로골조(510)를 1회 감싸고,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330)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프레임부(300)에 상기 그물부(400)의 그물이 연결되며, 상기 그물부(400)의 일단 로프가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도 4와 같이,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312),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 서로다른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가 삭제되고, 상기 제 3 가로골조(510) 하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4 가로골조(520)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부와 하부가 일측으로 뚫린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의 타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연결부(530), 상기 제 1-1 가로골조연결부(53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의 일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연결부(540)에 의해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가로골조(520)에,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 서로다른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4와 같이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가 여러개 형성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510)가 다수개 더 마련되었을 때,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사이에 있는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314), 상기 제 2-2 가로골조(324)와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312)부, 서로다른 상기 제 2-1 가로골조(322)를 삭제하고, 도 11과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1 가로골조연결부(530)와 상기 제 1-2 가로골조연결부(540)를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를 양측에서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 3 가로골조(510)와 상기 제 4 가로골조(52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가로골조(520)에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374), 서로다른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372),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394),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392)를 연결함으로써, 간편히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제 5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커튼(미도시), 내부커튼개페부(200), 외부커튼(미도시), 외부커튼개폐부(300), 그물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커튼(미도시), 내부커튼개페부(200), 외부커튼(미도시), 외부커튼개폐부(300), 그물부(400)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제 6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커튼(미도시), 내부커튼개페부(200), 외부커튼(미도시), 외부커튼개폐부(300), 그물부(400), 제 3 가로골조(510), 제 4 가로골조(520), 제 1-1 가로골조연결부(530), 제 1-2 가로골조연결부(540)가 다수개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몸체부(100), 내부커튼(미도시), 내부커튼개페부(200), 외부커튼(미도시), 외부커튼개폐부(300), 그물부(400), 제 3 가로골조(510), 제 4 가로골조(520), 제 1-1 가로골조연결부(530), 제 1-2 가로골조연결부(540) 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 내·외부커튼(미도시)를 펼치는 작동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제 1 회전축(220) 및 제 2 회전축(3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회전부(230) 및 상기 제 2 회전부(3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가 상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이 상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 각각에 마련되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내부커튼(미도시)과 외부커튼(미도시)을 견인하여,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와 상기 외부커튼(미도시)가 펼쳐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에서 내·외부커튼(미도시)를 개방시키는 작동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모터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축(220)및 상기 제 2 회전축(340)을 시계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가 하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이 하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262) 및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264),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382) 및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384) 각각에 마련되는 예인클립(미도시)이 내부커튼(미도시)과 외부커튼(미도시)를 견인하여, 상기 내부커튼(미도시)와 상기 외부커튼(미도시)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비닐하우스몸체부 112 : 제 1-1 세로골조
114 : 제 1-2 세로골조 122 : 제 1-1 가로골조
124 : 제 1-2 가로골조 132 : 제 1-1 지붕골조
134 : 제 1-2 지붕골조 140 : 지붕가로골조
200 : 내부커튼개폐부 210 : 제 1 프레임부
220 : 제 1 회전축 230 : 제 1 회전부
240 : 제 1 가이드부 252 : 제 1-1 회전지지부
254 : 제 1-2 회전지지부 262 : 제 1-1 내부커튼로프
264 : 제 1-2 내부커튼로프 270 : 고정부
300 : 외부커튼개폐부 312 : 제 1-1 세로골조부
314 : 제 1-2 세로골조부 316 : 연결부
322 : 제 2-1 가로골조 324 : 제 2-2 가로골조
330 : 제 2 프레임부 340 : 제 2 회전축
350 : 제 2 회전부 360 : 제 2 가이드부
372 : 제 2-1 회전지지부 374 : 제 2-2 회전지지부
382 : 제 1-1 외부커튼로프 384 : 제 1-2 외부커튼로프
392 :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 394 :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400 : 그물부 510 : 제 3 가로골조
520 : 제 4 가로골조 530 : 제 1-1 가로골조연결부
540 : 제 1-2 가로골조연결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내부커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내부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커튼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커튼개폐부와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가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일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1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골조를 향하는 방향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2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붕가로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부커튼개폐부는,
    상기 지붕가로골조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하부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프레임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제 1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축;
    상기 제 1 회전축에 마련되며, 홈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회전부;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 가이드부;
    상기 제 1-1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1 회전지지부;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 회전부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1 회전부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1-1 회전지지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어, 상기 내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내부커튼로프;
    상기 제 1-2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1-2 회전지지부;
    상기 제 1-2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내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내부커튼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튼개폐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 방향이 뚫린 옷걸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제 1-2 내부커튼로프, 타측이 상기 제 1-1 내부커튼로프에 걸리되록 마련되는 다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3.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몸체부;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 상면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외부커튼;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외부에 마련되며,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대칭으로 설치된 상기 외부커튼이 같은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커튼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으로부터 수직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일측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1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지붕골조를 향하는 방향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2 지붕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상기 제 1-2 지붕골조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붕가로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커튼개폐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1 세로골조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1 세로골조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세로골조의 상방에 마련되고, 상기 제 1-2 세로골조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다수개의 제 1-2 세로골조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1 가로골조;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 중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를 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
    상기 지붕가로골조 또는 상기 제 1-1 지붕골조, 상기 제 1-2 지붕골조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부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프레임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제 2 관통공에 관통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축;
    상기 제 2 회전축에 마련되며, 홈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 회전부;
    상기 제 2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상기 제 1-1 지붕골조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는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 하부는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상부와 하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2-1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1 회전지지부;
    상기 제 2-2 가로골조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이 개폐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다수개의 제 2-2 회전지지부;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2 회전부에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의 하부에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 하부에 상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2 회전부의 상부 홈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2 회전부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 2 회전부의 하부 홈으로 연결된 후, 상기 제 2 가이드부 상부에 하부로 홈이 형성된 형상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 채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꼬여서 마련되어, 상기 외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로프;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와 상기 제 2 회전부의 홈에 연결되어 마련되며, 상기 외부커튼을 견인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로프;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1 가로골조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1 외부커튼받이;
    두개의 갈고리가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제 2-2 가로골조에 연결되고 상기 두개의 갈고리가 상기 제 2 프레임부를 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에 의해 견인되는 외부커튼을 보관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내부에 보관되는 다수개의 제 1-2 외부커튼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그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튼이 바람따위에 휘날리지 않게 잡아주며, 양 끝단에 로프가 마련되는 그물부;가 다수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단독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그물부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 프레임부,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에 차례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사이에 마련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3 가로골조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기 그물부는,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 프레임부, 상기 제 3 가로골조, 바닥에 연결되고, 바닥, 상기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 서로다른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에 차례대로 연결되며, 바닥, 상기 제 3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 프레임부, 서로다른 상기 제 3 가로골조, 바닥에 차례대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경우,
    서로다른 상기 비닐하우스몸체부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제 1-2 세로골조부, 서로다른 상기 제 1-1 세로골조부, 상기 제 2-2 가로골조, 서로다른 상기 제 2-1 가로골조가 삭제되고,
    상기 제 3 가로골조 하부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 4 가로골조가 다수개 더 마련되어,
    상부와 하부가 일측으로 뚫린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의 타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의 타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1 가로골조연결부;
    상기 제 1-1 가로골조연결부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3 가로골조의 일측, 하부가 상기 제 4 가로골조의 일측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2-2 가로골조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 3 가로골조와 상기 제 4 가로골조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가로골조에, 상기 제 2-2 회전지지부, 서로다른 상기 제 2-1 회전지지부, 상기 제 1-1 외부커튼로프, 서로다른 상기 제 1-2 외부커튼로프, 상기 제 1-2 외부커튼받이고리, 서로다른 상기 제 1-1 외부커튼받이고리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KR1020200138629A 2020-10-23 2020-10-23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KR10227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29A KR102277938B1 (ko) 2020-10-23 2020-10-23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629A KR102277938B1 (ko) 2020-10-23 2020-10-23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938B1 true KR102277938B1 (ko) 2021-07-15

Family

ID=7688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629A KR102277938B1 (ko) 2020-10-23 2020-10-23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9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241A (ko) * 1990-03-29 1991-11-05 윤무원 이중비닐하우스의 보온섬피 개폐장치
KR920002014A (ko) * 1990-07-11 1992-02-28 윤무원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920008076A (ko) * 1990-10-18 1992-05-27 더글라스 볼드윈 올레핀 중합 촉매 및 이를 사용하는 올레핀 중합 방법
KR950008161A (ko) * 1993-09-09 1995-04-17 김재웅 대나무를 소재로한 제품에 문양을 전사날염하는 방법 및 그것에 의한 대나무 제품
JP2000078931A (ja) * 1998-06-23 2000-03-21 Takenaka Komuten Co Ltd 土壌の温度制御装置
KR20090091586A (ko) * 2008-02-25 2009-08-28 배영달 이중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JP2014045757A (ja) * 2012-09-04 2014-03-17 Seikei Gakuen 植物育成方法及び装置
KR101755540B1 (ko) 2015-06-22 2017-07-07 진홍수 비닐하우스용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6241A (ko) * 1990-03-29 1991-11-05 윤무원 이중비닐하우스의 보온섬피 개폐장치
KR920002014A (ko) * 1990-07-11 1992-02-28 윤무원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920008076A (ko) * 1990-10-18 1992-05-27 더글라스 볼드윈 올레핀 중합 촉매 및 이를 사용하는 올레핀 중합 방법
KR950008161A (ko) * 1993-09-09 1995-04-17 김재웅 대나무를 소재로한 제품에 문양을 전사날염하는 방법 및 그것에 의한 대나무 제품
JP2000078931A (ja) * 1998-06-23 2000-03-21 Takenaka Komuten Co Ltd 土壌の温度制御装置
KR20090091586A (ko) * 2008-02-25 2009-08-28 배영달 이중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JP2014045757A (ja) * 2012-09-04 2014-03-17 Seikei Gakuen 植物育成方法及び装置
KR101755540B1 (ko) 2015-06-22 2017-07-07 진홍수 비닐하우스용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9467B1 (en) Plant support system
KR101755540B1 (ko) 비닐하우스용 다겹보온커튼 개폐장치
US20070051054A1 (en) Retractable greenhouse
JP2008253218A (ja) 植物栽培装置
JP5704475B1 (ja) 熱帯果樹用栽培ポ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帯果樹の栽培方法
KR20120094817A (ko) 단동하우스의 측면난방 및 상하 이동형 보온시스템
US20180116132A1 (en) Organic Greenhouse in a Box
KR102277938B1 (ko)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JP2753977B2 (ja) 蔓性果樹棚の新梢支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CN209314403U (zh) 一种果树种植用便于调节光照的育苗棚
US5134803A (en) Method of cultivating cut flower of rose
JP2007151528A (ja) つる植物栽培用用土容器及び育成仕立て運搬用資材
KR20230008433A (ko) 비닐하우스용 측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커튼 개폐 장치
KR102467489B1 (ko) 식물 재배기
CN108235882A (zh) 一种绿色树屋大棚
JP6598097B2 (ja) 栽培装置
CN212813148U (zh) 大棚用捆扎结构
JP6861088B2 (ja) 簡易式農業ハウス暖房システム
CN220799277U (zh) 一种双拱双膜的温控大棚
JPH0441822Y2 (ko)
CN219894003U (zh) 一种植物向下生长栽培架
CN211267908U (zh) 一种基于智慧农业用的幼苗培育大棚
KR102139414B1 (ko) 버섯배지 걸이장치
CN220528746U (zh) 一种用于农业生产的可伸缩屋顶新型智能温室
CN213695000U (zh) 用于日光温室东西垄向栽培的可调节吊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