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036B1 -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 Google Patents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036B1
KR102276036B1 KR1020210067174A KR20210067174A KR102276036B1 KR 102276036 B1 KR102276036 B1 KR 102276036B1 KR 1020210067174 A KR1020210067174 A KR 1020210067174A KR 20210067174 A KR20210067174 A KR 20210067174A KR 102276036 B1 KR102276036 B1 KR 10227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mulching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피루스
최현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피루스, 최현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피루스
Priority to KR102021006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2Protei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6Salts, e.g. al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71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 D21H17/74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은 100 중량부를 단독으로 해리하거나 또는 펄프 30 ~ 50 중량부와 재생원료 50~70 중량부를 혼합한 칭량 30 ~ 50g/㎡의 멀칭모지; 및 상기 멀칭모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며, 생분해 지연을 위하여 천연 방부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생분해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견운모, 질석,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이트가 혼합된 광물질 분말을 정수처리된 용수에 침지 및 교반함에 따라 광물질로부터 미네랄 성분이 추출되게 하여 만들어진 미네랄수 50 ~ 80 중량부; 패각을 고온으로 구운 후 분말화 한 알카리온 칼슘 수화제 5 ~ 8 중량부; 평균직경 300 ~ 1000 메쉬, 입자 균일도 98% 이상의 참숯 분말 8 ~ 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충진제 2 ~ 5 중량부; 탄수화물계 접착제와 알부민 접착제가 1:2 또는 2:1로 혼합된 혼합 접착제 5 ~ 8 중량부; 및 수분이 제거된 수리취 잎을 50 ~ 60℃에서 2 ~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가 완료된 수리취를 핀밀 및 롤링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분쇄하여, 평균입경 50 ~ 100 메쉬의 입자상 분말형태의 수리취 분말 10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Mulching paper containing natural preservatives}
본 발명은 경작지의 토양 표면을 덮어주는 멀칭지에 관련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나치게 빨리 생분해됨에 따라 멀칭지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분해되기까지의 기간을 지연시켜서 멀칭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농약과 화학비료는 농산물에 잔류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고 토양 및 수질 오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은 친환경 농업을 위한 과제가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친환경 농업 육성법을 1997년에 제정하여 유기합성농약과 제초제의 과도한 사용을 규제하고 있고, 이와 함께 다양한 생산유통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친환경 농지는 2010년 기준 전체 농지면적에 약 11% 정도로 친환경 농지의 확보 및 활용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므로 친환경 농업을 확장시키기 위한 관련 기술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친환경 농업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 중,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멀칭재배기술을 들 수 있는데, 멀칭기술이나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을 특정소재로 덮어주는 것으로, 지온 조절, 잡초 및 병충해 발생 억제, 토양 내 수분 유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조체 등의 농약 사용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현재 멀칭농업은 비닐소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비닐소재는 경제성이 우수하며 취급 및 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닐소재는 수분이나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토양 내에 유해 미생물이 발생할 수 있고 뿌리 호흡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폐비닐의 수거가 어렵고 이를 위한 추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제대로 수거되지 않은 폐비닐의 경우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비닐멀칭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친환경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종이소재의 멀칭지가 개발되었다. 종이 멀칭지는 일정 기간 이후에 토양속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사용 후 수거 및 폐기 등이 필요치 않고 구조적으로 공기와 수분의 투과가 원활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종이 멀칭지는 비닐 멀칭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취급 및 적용이 용이하지 않은 점 때문에 실제 활용도는 저조한 상황이다. 친환경 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생분해성 멀칭지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여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종이 멀칭지와 관련한 선행문헌으로 특허등록공보 제01472990호(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상기 선행문헌은 펄프에 천연 보강 섬유가 자유방향으로 분포되도록 상기 펄프와 천연 보강섬유를 해리한 후 얻은 습지의 가장자리 양 측으로 보강사를 밀착시키고, 습지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 측에 보조 보강사를 밀착시킨 후, 건조 및 압축하여 제조된 멀칭지로서, 멀칭지의 일면에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물 100 중량부에 숯분말 10~15중량부, 황토분말 8~12중량부, 일라이트분말 5~10중량부 및 천연 접착제 5~2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광물질 코팅층을 형성하고, 광물질 코팅층 위에 생분해 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생분해 코팅층은 물 100중량부에 목초액 8~10중량부, 식물종합영양제 8~10중량부, 게르마늄분말 2~4중량부 및 천연 접착제 3~5중량부가 혼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선행문헌인 특허등록공보 제08993342호(생분해성 멀칭필름)(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생분해성 열가소성 수지를 종이위에 코팅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으로서, 10~20g/㎡ 미만의 얇고 인장강도가 높은 박엽지에 생분해성 열가소성 수지를 5~10㎛의 두께로 도포하고 재단하여 총두께 15~30㎛가 되도록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멀칭지는 펄프와 천연 보강섬유를 해리한 후 얻은 습지의 가장자리 양 측에 보강사를 밀착시키고, 습지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양측에는 보조 보강사를 밀착시킨 후 건조 및 압축하여 평량 33g/㎡인 멀칭지를 제조하기 때문에 초지 시 보강섬유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종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탈수 불량으로 인한 건조 불량과 종이 지합이 나빠 평활도가 일정하지 않고, 초지 시 양 가장자리 보조 보강사를 밀착시켜 생산 불가능함과 1차 원지 생산 후 2차 가공을 하여 보조 보강사를 밀착시켜 광물질 코팅 시 상기 문제점으로 코팅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많이 상승하여 비닐 멀칭지와 가격 비교가 높아 현실적으로 농민들이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천연 보강섬유와 양 측 가장자리 보조 보강사가 부직포와 같이 자연 분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수확 후 토양에 잔여물이 남는 문제점이 있고, 코팅액을 도포후 곧바로 건조시키기 때문에 평활도와 인장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에 개시된 멀칭지는 평량이 20g/㎡ 미만인 박엽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장강도, 파열강도, 흡수도, 내절도, 밀도 등이 미흡하여 가장자리가 잘 찢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우천 시와 햇빛 차단율과 인장강도가 광물질을 사용해도 떨어지며, 또한 농작물 모종을 심기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구를 형성시 멀칭지의 중간부에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등록특허공보 제10-2019308호(2019.09.02, 등록) 선행문헌 2 : 등록특허공보 제10-1021303호(2011.03.03, 등록) 선행문헌 3 : 등록특허공보 제10-2019308호(2019.09.03,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나치게 빨리 생분해됨에 따라 멀칭지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분해되기까지의 기간을 지연시켜서 멀칭지로서의 역할을 충실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가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소재로 되어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생분해 과정에서 작물의 작황에 도움을 주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00 중량부를 단독으로 해리하거나 또는 펄프 30 ~ 50 중량부와 재생원료 50~70 중량부를 혼합한 칭량 30 ~ 50g/㎡의 멀칭모지; 및 상기 멀칭모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며, 생분해 지연을 위하여 천연 방부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생분해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견운모, 질석,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이트가 혼합된 광물질 분말을 정수처리된 용수에 침지 및 교반함에 따라 광물질로부터 미네랄 성분이 추출되게 하여 만들어진 미네랄수 50 ~ 80 중량부; 패각을 고온으로 구운 후 분말화 한 알카리온 칼슘 수화제 5 ~ 8 중량부; 평균직경 300 ~ 1000 메쉬, 입자 균일도 98% 이상의 참숯 분말 8 ~ 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충진제 2 ~ 5 중량부; 탄수화물계 접착제와 알부민 접착제가 1:2 또는 2:1로 혼합된 혼합 접착제 5 ~ 8 중량부; 및 수분이 제거된 수리취 잎을 50 ~ 60℃에서 2 ~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가 완료된 수리취를 핀밀 및 롤링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분쇄하여, 평균입경 50 ~ 100 메쉬의 입자상 분말형태의 수리취 분말 10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물질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견운모 5 ~ 8 중량부, 질석 2 ~ 5 중량부, 제올라이트 7 ~ 12 중량부, 맥반석 3 ~ 7 중량부, 벤토나이트 2 ~ 4 중량부, 세피오라이트 1 ~ 3 중량부 및 애타플자이트0.5 ~ 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물질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죽탄 1 ~ 3 중량부, 황토 8 ~ 10 중량부, 옥 0.1 ~ 2 중량부, 세륨 0.1 ~ 1 중량부 및 란탄 0.5 ~ 1.5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천연 방부 성분인 자몽씨 분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몽씨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솔잎 추출물 및 감귤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솔잎으로부터 착즙된 솔잎 추출액이고, 상기 감귤 추출물은 감귤껍질로부터 착즙된 감귤 추출액이며, 상기 솔잎 추출물과 감귤 추출물은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2 ~ 4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조성물이 자연친화적인 소재로 되어 생분해
가 가능하므로 토양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일정시간이 경과 된 후에는 자연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어 별도의 수거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의 시비작업이 없이도 작물의 작황에 도움을 주며, 특히 견운모, 질석,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이트가 혼합된 광물질 분말로부터 추출되는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미네랄수에 의해 토양의 영양 결핍을 막아준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방부성분인 수리취 분말, 자몽씨 분말, 솔잎 추출물 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지나치게 빨리 생분해됨에 따라 멀칭지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제2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제2 실시예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는 멀칭모지(1) 및 상기 멀칭모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된 채 멀칭모지의 생분해에 관여됨과 아울러 생분해 기간의 지연을 위하여 방부성분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코팅제(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칭모지(1)의 주성분인 펄프는 침엽수미표백 펄프 100 중량부를 단독으로 해리(dissociation)하거나 또는 침엽수미표백 펄프 30 ~ 50 중량부와 재생원료(정대, 골판지 등) 50 ~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펄프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재생원료(재생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해리 속도가 다르므로 농도를 5 ~ 9%로 해리시켜야 하는데, 펄프는 해리 속도가 늦어 농도를 높게 하고, 재생고지를 혼합하는 경우 해리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농도를 낮게 해야 한다.
그리고, 해리가 완료되면 원료를 분쇄기로 고해도 40 ~ 55°(SR)로 분쇄한다. 이때 원료의 분쇄는 종이지함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환망 초지기, 장망 초지기, 장환망 초지기에서 기계적 특성에 따라 고해도를 다르게 해야 한다. 즉, 환망 초지기는 실린더 로울러로 형성하기 때문에 원료를 실린더 로울러에 묻혀 고해도가 높을 경우 실린더 롤에서 흘러 고른 지합이 나오지 않아 평활도 및 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해도 40 ~ 49°(SR) 범위내에서 원료에 따라 고해도를 달리하고, 장망 초치기 및 장환망 초치기는 와이어에 원료를 초지함으로써 고해도가 환망 초치기보다 원료를 곱게 분쇄할 수 있고, 환망 초치기처럼 고해도가 높은 원료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어 고해도를 45 ~ 55°(SR)로 하여 지합을 좋게 한다.
분쇄가 완료되면, 원료를 조약 탱크 또는 체스트로 이동시켜서 원료를 교반시키면서 약품을 25 ~ 35분간 혼합시킨다. 이때 조약 공정은 약품 투입 순서가 중요해서 음이온과 양이온이 잘 결합되도록 하여 종이에 흡착시켜야만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액상의 사이즈제(Sizing Agent)를 원료 100 중량부 대비 0.5 ~ 2 중량부로 혼합시키고, 액상의 음이온 지력 증강제(아크릴아마이드, Acrylamide)를 원료 100 중량부 대비 0.5 ~ 6 중량부로 혼합시킨 다음, 액상의 산화 알루미늄(AL2O3)을 원료 100 중량부 대비 3 ~ 8 중량부로 혼합시키고, 액상의 양이온 지력 증강제(폴리아크릴아마이드, Polyacrylamide)를 원료 100 중량부 대비 0.5 ~ 5 중량부로 혼합시킨 후, 액상의 에폭시 습윤 지력 증강제를 원료 100 중량부 대비2 ~ 10 중량부로 혼합 시킨다. 이때, 선택에 따라 염료를 투입할 수도 있고, 액상의 사이즈제는 로진(Rosin) 사이즈제, 중성 사이즈제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액상의 산화 알루미늄(AL2O3)은 고형분이 8% 이상 함유되고, 황산 알루미늄(유산 반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약품이 혼합된 원료를 이동시켜 초지기의 특성에 맞게 종이 지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물을 투입하여 0.5 ~ 1.2% 농도로 희석한 다음, 환망 초지기 또는 장망 초지기 또는 장환망 초지기에서 초지시키되, 초지시 평활도와 종이 층간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식물성 전분을 물에 혼합해 1~5% 농도를 가지는 전분물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포한다.
초지한 원지를 프레스 로울러를 통과시켜 탈수하되, 0.5 ~ 3㎏f/㎠의 압력을 가한다. 이때, 초지한 종이를 잘 탈수시켜야 종이의 평활도, 지합,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프레스 로울러의 압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압력을 종이의 평량(g/㎡)에 따라 0.5 ~ 3㎏f/㎠의 범위 내에서 조정해서 종이의 밀도를 높여 강도와 평활도, 전폭 두께가 일정하게 나와 고른 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압력 조정을 잘못하는 경우 종이 지합이 파괴되어 종이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후, 60 ~ 150℃의 온도별로 다단으로 구성된 원통 형태의 드라이와 캔버스(canvas)를 사용하여 탈수된 원지를 예열 및 건조시키되, 각각의 드라이에 원지를 밀착시킨 후 캔버스로 압착시켜야만 고르게 건조되면서 원지의 평활도와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상기 멀칭모지의 칭량(또는 秤量 : weighing capacity)은 30 ~ 50g/㎡ 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적의 칭량은 사용환경, 토양상태, 작목종류 뿐만 아니라 멀칭기계가 요구하는 인장강도 등에 미리 연구된 데이터를 확보한 후 이에 맞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 코팅제(2)는 상기 멀칭모지(1)의 일면(도 1참조) 또는 양면(도 2 참조)에 코팅되는 것으로, 미네랄수, 칼슘 수화제, 참숯 분말, 충진제, 혼합 접착제 및 수리취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수는 담수된 용기에 견운모, 질석,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이트가 혼합된 광물질 분말을 침지 및 교반시킴에 따라 광물질로부터 미네랄 성분이 추출되게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네랄수는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 8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적게 포함되면 코팅제의 점도가 너무 되어서 멀칭지에 코팅액을 코팅할 때 잘 분사되지 않고, 이보다 많이 포함되면 점도가 너무 묽어서 멀칭지에 코팅할 때 접착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견운모는 주성분이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이고, 수십여 종의 필수 미네랄과 미량원소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며, 활성도가 높은 고유의 특성 이외에도 상온에서 5 ~ 20㎛ 파장의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사하며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흡착력이 우수하고 항균, 항곰팡이 작용과 악취제거 등의 효과가 있으며, 입자와 전기적인 중화응집으로 침전을 유발하여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각종 오염물을 중화 및 해독시켜 토양의 활성화 증진과 산성화된 토질을 알카리화시키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견운모는 이온의 발생을 높여주는데, 제올라이트와 함께 물에 혼합되면 미네랄 이온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상태에서 다른 미네랄 이온들의 발생을 높여 강하게 이온화된 상태가 된다.
상기 견운모는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견운모가 상기 중량부 범위 보다 작으면 미네랄 이온 발생량이 적정수준이 이르지 못하고, 상기 중량부 범위 보다 크면 이온 발생량은 증가하나 포함량이 정비례하여 이온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므로 실효성이 떨어진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질석(Vermiculite)은 일반적으로 금운모나 흑운모의 변질산물인 함수운모를 말하는 것이며 전세계적으로 산출되는 광물 중에서 유일하게 흡수수와 층간수 및 결정수의 3가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특유의 광물이다. 특히, 이것을 급격한 고열로 가열할 경우 질석의 층간에 있는 수분이 수증기로 기화되어 압력이 발생하며 이 압력이 방출되면서 질석이 박리팽창하여 팽창질석이 된다. 이렇게 열에 의해 박리팽창된 것(Expanded Vermiculite)은 비중이 매우 낮고 우수한 단열성 및 불연성, 소음차단효과 및 수분 흡수효과, 물리충격흡수효과, 증량재, 충진재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양이온 치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CEC)이 우수하여 오염정화제 또는 유기물 흡착제로도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질석의 CEC가 높기 때문에 토양내의 양분들을 가둬 두었다 용출시켜 토양의비옥함을 그대로 유지하고, 질석 내의 수많은 공극은 보온 및 통기성을 원활케 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주므로 토양개량제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상토를 제조할 때, 상토 내의 보습력 유지 및 양분의 보관창고 역할을 하는 상토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익한 미생물이 번식하기에 아주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어 미생물이나 양분을 흡착시켜 살포용으로도 사용되고, 흡착된 미생물이나 양분은 주변환경에 맞추어 천천히 용출되므로 장기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질석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석이 상기 중량부 범위보다 작으면 질석의 고유한 작용력이 약화되고, 상기 중량부 범위보다 많으면 포함량 대비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제올라이트는 앞선 견운모와 함께 미네랄을 다량으로 분출하며, 토질개선 비료와 농약의 보조제, 가축사료의 첨가제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제올라이트는 결정성 알루미노 규산염의 하나로서, 주요 구성 금속이 나트륨, 칼슘 및 칼륨으로 장석과 비슷한 성분을 갖는 백색 또는 무색의 함수알루미늄 규산염 광물군을 뜻한다. 제올라이트는 미세한 기공이 있고, 분자체 작용 및 양이온 교환능이 있다. 제올라이트는 이온 교환체, 흡착제 및 촉매로 사용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중금속 및 다이옥신 같은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제올라이트는 니트로사민의 작용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또, 제올라이트는 수분흡수율이 높은 물질이다. 카올라이트는 흡수성이 높기 때문에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서 멀칭지를 지면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는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7 ~ 12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맥반석은 신비의 돌 또는 약석이라는 별칭을 가질만큼 미네랄이 풍부한 암석으로 화성암중 석영 반암에 속하는 암석으로,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 주성분이며, 인체 및 살아있는 세포에 꼭 필요한 산화제2철(Fe2O3)이 함유된 것이 특징이며, 40여종의 미네랄을 포함함과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바이오 광물로 알려져 있으며, 다공질 조직으로 흡착력과 미네랄 용출 이온교환작용, 유해금속 흡착 및 분해작용, 부패 원인 제거, 신선도 유지가능 등의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맥반석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 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벤토나이트는 알루미늄 실리게이트의 광물로 이온교환성, 현탁성, 흡착성, 팽윤성 등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벤토나이트는 이와같은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 토목 기초공사에 사용되며, 환경오염물질을 흡착 중화하며, 물에 쉽게 다량의 미네랄을 용출하는 광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벤토나이트는 토양에 존재하는 유해 균류를 층간 흡입하여 사멸시킬 수 있으며 무게 대비 10 ~ 20배로 팽창하여 이온교환 작용으로 무기물을 배출하며, 토양 및 농작물에 영양울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4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가 상기 중량부 범위 보다 작으면 유해 균류를 사멸시키는 효과가 낮고, 상기 중량부 범위 보다 많으면 농작물이나 토양에 이로운 균류까지 흡입하여 사멸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애타플자이트(Attapulgite)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산염 계열의 크림색 내지 회색의 점토광물로 기다란 사슬형태의 결정구조를 가지며, 흡착력이 강해 흡착제로 사용되고 있다. 분말샅애의 애타플자이트는 물에 분산시켰을 때, 불규칙한 격자상으로 연결되는 연결체로 되어 농밀화(thickening), 부유성(suspension) 및 요변성(thixotropic or gilling)을 갖는다.
특히, 세피오라이트(Sepiolite)와 혼합되어 침상덩어리를 형성하며, 물등의 용제속에서 뒤엉켜 불규칙한 망상의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물에 분산시킬 시 용액의 점성을 증가시키게 되며, 흡착력이 강해 유출된 기름의 제거제, 동물의 바닥 깔개, 탱크의 청소제, 화분용 복합제와 비료, 살충제, 중화제, 완충제등으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광물질 분말의 일 성분인 세피오라이트(Sepiolite)는 흰색, 회색, 황색, 적색, 청녹색 등의 다양한 색을 가지는 가벼운 광물(비중 20 이하)이다. 애타플자이트(Attapulgite)와 같이 흡착력, 탈색력, 결합력, 농밀화 능력을 가지며, 애타플자이트와 함께 혼합하여 흡착제, 중화제, 완충제 및 물에 용해되어 점성을 증가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상기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리트는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 ~ 3 중량부, 0.5 ~ 3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광물질 분말은 죽탄, 황토, 옥, 세륨 및 란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죽탄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3중량부가, 상기 황토는 8 ~ 10 중량부가, 상기 옥은 0.1 ~ 2 중량부가, 상기 세륨은 0.1 ~ 1 중량부가, 상기 란탄은 0.5 ~ 1.5 중량부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죽탄은 흡착작용이 있어서 생분해 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으며, 살균력을 가지고 있어서 생분해 시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죽탄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세균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보다 크면 필요한 세균까지 억제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황토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습도조절의 효과가 있어서 건조 습기를 발산하고, 습도가 높을 때는 습기를 흡수하여 농작물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는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이 있고, 살균 기능도 있다. 황토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세균 감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고, 상기 범위 보다 크면 황토 특유의 점성에 의해 토양 사이의 공간이 협소해져 공간 사이에 침투되는 산소의 양을 감소시켜 멀칭지의 분해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옥은 유해한 노폐물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는데, 그 배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노폐물 분해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보다 크면 멀칭지의 분해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세륨은 농작물의 경작속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그 배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농작물의 경작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보다 크면 앞서와 같이 멀칭지의 분해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란탄은 농작물의 경작속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그 배합량이 상기 범위 보다 작으면 농작물의 경작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 보다 크면 앞서와 같이 멀칭지의 분해속도를 필요이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의 일 구성인 칼슘 수화제는,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칼슘 수화제, 특히 이산화칼슘 수화제는 패각을 고온으로 구운 후, 분말화 한 것이다. 이 칼슘 수화제는 물보다 흡수가 빠른 카리온 이온화 칼슘영양제로서, 칼슘은 작물의 내병성 강화에 매우 중요한 물질로서 작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당분과 녹말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작물을 튼튼하게 하여 칼슘이 부족할 경우 발생되는 여러 가지 질병이나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의 일 구성인 참숯 분말은 햇볕을 차단하고 병충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8 ~ 12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숯에는 수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시 온도상승에 따라 숯 내부 기공속의 공기가 팽창 방출되면 핀홀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품질저하 및 제품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숯 분말 입자가 너무 큰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와의 혼화성이 떨어져 기공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참숯 분말의 평균입경은 300 ~ 1000 메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을 800 ~ 900 메쉬로 하고, 입자크기의 균질도를 98%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숯은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항균 및 살균효과가 탁월한 참숯을 적용하였다.
한편, 숯은 수분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대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게 되고 펠렛으로 제조될 때 냉각과정 등에 수분과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된 습기는 160℃ 온도의 압출기나 사출기에서 기체로 기화하게 되고 이는 완제품의 표면에 화산의 분화구처럼 핀홀현상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숯 분말을 사용하기 전에 오븐을 이용하여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의 일 구성인 충진제는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 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일라이트 분말, 유황분말 및 탄산칼슘분말이 중량비로서 2 : 1.5: 0.5로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거나 또는 미만인 경우에는 비경제적이거나 또는 비료요소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의 일 성분인 일라이트는 [feldspar : (K2O, Na2OㆍAl2O3 6SiO2]과 백운모 (muscovite : 1/2K2Oㆍ3Al2O3ㆍ6SiO2ㆍ2H2O)의 광물학적 조성물로서, 칼륨원소을 포함하고 있고 그 칼륨원소는 식물에 있어서는 질소, 산소와 함께 영양소의 하나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미량이라도 물에 용해되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일라이트는 본 발명에 사용될 경우, 지력을 향상시키고 풍부한 산소를 공급하고 미네랄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농작물 성장에 촉진역할을 해 줄 수 있다. 또한, 일라이트는 다른 점토광물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형성되며, 층간에 칼륨이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같은 특성을 잘 활용하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여겨지며, 원적외선방사, 유독가스 흡착, 음이온 발생 등의 효과가 크며 토양에 침투하여 토지가 숨을 쉴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다량의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황폐한 토질의 지력을 살려주며, 양질의 토지를 더욱 활성화시켜 준다.
상기 충진제의 일 성분인 유황분말은 작물의 생육에 꼭 필요한 성분이고 또한 많이 소요되는 성분으로서, 대표적인 3대 아미노산인 시스틴(Cystin), 시스테인(Cysteine) 및 메티오닌(Methionine)을 생성하여 작물의 맛과 향을 좋게하고, 생산수량을 높이며, 품질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충진제의 일 성분인 탄산칼슘분말은 석회질 비료의 주성분으로 산성 토양을 개선하는 효과와 식물이나 과일에 칼슘성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의 일 구성인 혼합 접착제는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8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접착제는 생분해성 코팅제와 상기 멀칭모지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화학 접착제는 접착효율면에서는 친환경 접착제에 비해서 우수하기는 하나, 인체나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페놀이나 포르말린, 포름알데히드 등의 물질을 배출함으로써 농업용으로는 적절치 않다.
상기 혼합 접착제는 탄수화물 접착제와 알부민 접착제가 1:2 또는 2:1로 혼합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친환경 혼합 접착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의 먹이가 되어 경시적으로 분해되며, 분해 과정에서 토양이나 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탄수화물 접착제는 옷수수, 쌀, 보리, 고구마, 감자 등에서 추출한 접착제이고, 상기 알부민 접착제는 소, 돼지, 기타 가축의 혈액을 정치하여, 맑은 상층 액으로 얻어지는 혈청은 오래전부터 다른 나라에서 접착제로 응용되고 있다. 혈청의 주성분은 알부민(albu-min)이므로 일반적으로 혈청 알부민 접착제라고 불리고 있으며, 저온에서 건조시킨 분말로 제품화되어 있다. 알부민은 내수성이 좋아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대두 단백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의 일 구성인 수리취 분말은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수리취(Synurus deltoides Aiton, Nakai)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그 형태 및 분포에 따라서 큰수리취, 가새수리취, 국화수리취, 왕수리취 등으로 분류되며, 쑥이나 모시잎 같이 떡을 만들어 먹거나 나물 등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리취는 수분이 제거된 수리취 잎을 50 ~ 60℃에서 2 ~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가 완료된 수리취를 핀밀 및 롤링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분쇄하여, 평균입경 50 ~ 100 메쉬의 입자상 분말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리취는 수분, 조지방, 조단백, 조회분 및 조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무기 성분으로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미량의 나트륨, 망간, 아연 및 구리 성분도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수리취는 천연 방부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수리취는 상기 멀칭모지의 급속한 생분해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멀칭모지가 지나치게 빨리 생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천연 방부 성분인 자몽씨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자몽씨는 천연의 살균, 소독, 방부제로서 의학적으로 박테리아나 세균 감염에 내복약으로 상처나 중이염, 인후염 등에 외용액으로도 쓰이며, 식품에서는 방부 역할제로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자몽씨는 상기한 수리취와 함께 상기 멀칭모지의 급속한 생분해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수리취 분말과 함께 멀칭모지가 지나치게 빨리 생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솔잎 추출물 및 감균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솔잎으로부터 착즙된 솔잎 추출액이고, 상기 감귤 추출물은 감귤껍질로부터 착즙된 감귤 추출액이다.
상기 솔잎 추출물과 감귤 추출물은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2 ~ 4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솔잎 추출물은 각종 세균류에 대한 생육 억제와 살균 작용이 있으므로, 살균제 및 보존제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솔잎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의 솔잎 추출물이 수득된다.
상기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각종 세균류에 대한 생육 억제와 살균 작용이 저하되고,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솔잎 추출물의 함량이 과다하여 감귤 추출물과의 상승작용이 저해된다.
또한, 상기 감귤 추출물은 각종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 A, C가 주를 이루고 있고, 이외에도 펙틴질, 각종 정유성분, 헤스페리딘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토양의 양분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감귤 추출물은 감귤 껍질을 분쇄하여 감귤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감귤 분쇄물을 압착하여 액상의 감귤 추출물이 수득된다.
상기 감귤 추출물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감귤이 갖는 고유의 약리작용이 저하되며, 함량이 4 중량부를 초과하면 감귤 추출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과다하여 상기 솔잎 추출물과의 상승작용이 저해된다.
아래는 생분해성 코팅제의 생분해성 평가한 것이다.
단위 : 중량부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미네랄수 60 51 70 75 80
칼슘 수화제 3 6 7 6 8
참숯 분말 5 8 10 10 12
충진제 4 2 3 4 5
홉합접착제 5 5 6 7 8
상기 실시예에 따른 물성평가는 다음과 같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인장강도
(kg/cm2)
8.2 10.2 10.3 10.8 11.2
신율(%) 321 342 319 330 320
생분해도
(25일, %)
75 81.2 82 85 89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내지 5는 인장강도가 10.2 ~ 11.2 kg/cm2 및 신율이 319~342%로서 기계적 물성치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25일 생분해도가 81.2 ~ 89%로 실시예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5에 수리취 나물 13 중량부를 혼합했을 때의 방부성을 테스트 한 것으로, 멀칭모지 2×2cm 크기에 실시예 5의 성분과 수리취 나물이 혼합된 생분해성 코팅제를 코팅한 시료를 만들고, 이 시료를 NA 배지 및 PDA 배지에 올려 놓고 40℃의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미생물의 성장 여부를 관찰하였다. 각 배지당 3차에 걸쳐 테스트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NA 배지 PDA 배지
1차 0 0
2차 0 0
3차 4 1
Grade Description Colony Count
0 No Growth No colonies evident
1 Very Scant Growth 1~10 colonies
2 Scant Growth 10~100 colonies
3 Slight Growth 100~300 colonies
4 Light Growth 300~400 colonies
5 Heavy Growth Too many colonies to count, but not enough to cover the total area of sample streak
6 Growth Blanket of growth evident
DIfficult to Distinguish individual
colonies Growth may extend beyond
of streak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항의 코팅제를 사용한 1차시료의 모든 배지에서 Grade '0' 판정을 받았다. 이를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천연방부성분인 수리취 분말이 포함됨에 따라 방부성이 우수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멀칭모지
2 : 생분해성 코팅제

Claims (5)

100 중량부를 단독으로 해리하거나 또는 펄프 30 ~ 50 중량부와 재생원료 50~70 중량부를 혼합한 칭량 30 ~ 50g/㎡의 멀칭모지; 및
상기 멀칭모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며, 생분해 지연을 위하여 천연 방부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생분해성 코팅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견운모, 질석, 제올라이트, 맥반석, 벤토나이트, 세피오라이트 및 애타플자이트가 혼합된 광물질 분말을 정수처리된 용수에 침지 및 교반함에 따라 광물질로부터 미네랄 성분이 추출되게 하여 만들어진 미네랄수 50 ~ 80 중량부;
패각을 고온으로 구운 후 분말화 한 알카리온 칼슘 수화제 5 ~ 8 중량부;
평균직경 300 ~ 1000 메쉬, 입자 균일도 98% 이상의 참숯 분말 8 ~ 12 중량부;
일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충진제 2 ~ 5 중량부;
탄수화물계 접착제와 알부민 접착제가 1:2 또는 2:1로 혼합된 혼합 접착제 5 ~ 8 중량부; 및
수분이 제거된 수리취 잎을 50 ~ 60℃에서 2 ~ 4시간 동안 건조한 후, 건조가 완료된 수리취를 핀밀 및 롤링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분쇄하여, 평균입경 50 ~ 100 메쉬의 입자상 분말형태의 수리취 분말 10 ~ 15 중량부;
를 포함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견운모 5 ~ 8 중량부, 질석 2 ~ 5 중량부, 제올라이트 7 ~ 12 중량부, 맥반석 3 ~ 7 중량부, 벤토나이트 2 ~ 4 중량부, 세피오라이트 1 ~ 3 중량부 및 애타플자이트 0.5 ~ 3 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물질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죽탄 1 ~ 3 중량부, 황토 8 ~ 10 중량부, 옥 0.1 ~ 2 중량부, 세륨 0.1 ~ 1 중량부 및 란탄 0.5 ~ 1.5 중량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천연 방부 성분인 자몽씨 분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몽씨 분말은 상기 미네랄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 1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는 솔잎 추출물 및 감귤 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솔잎 추출물은 솔잎으로부터 착즙된 솔잎 추출액이고, 상기 감귤 추출물은 감귤껍질로부터 착즙된 감귤 추출액이며,
상기 솔잎 추출물과 감귤 추출물은 상기 생분해성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2 ~ 4 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KR1020210067174A 2021-05-25 2021-05-25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KR10227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74A KR102276036B1 (ko) 2021-05-25 2021-05-25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174A KR102276036B1 (ko) 2021-05-25 2021-05-25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036B1 true KR102276036B1 (ko) 2021-07-13

Family

ID=7685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174A KR102276036B1 (ko) 2021-05-25 2021-05-25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5287A (zh) * 2023-07-20 2023-10-20 东莞市智达降解材料研发有限公司 一种利用酒糟生物质制备的纸浆模塑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3229095A1 (ko) * 2022-05-27 2023-11-30 이하얀 패각을 이용한 돌종이 제조방법
KR102664647B1 (ko) * 2023-09-15 2024-05-10 김태균 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멀칭지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03B1 (ko) 2010-12-17 2011-03-11 주식회사 대영비료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4576B1 (ko) * 2014-07-01 2014-10-28 김종구 농업용 토양보호 천연부직포
KR101472990B1 (ko) *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102019308B1 (ko) 2018-09-21 2019-09-06 백남두 친환경 생분해펄프 멀칭지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303B1 (ko) 2010-12-17 2011-03-11 주식회사 대영비료 천연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는 기능성 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4576B1 (ko) * 2014-07-01 2014-10-28 김종구 농업용 토양보호 천연부직포
KR101472990B1 (ko) * 2014-09-19 2014-12-24 김종구 농업용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KR102019308B1 (ko) 2018-09-21 2019-09-06 백남두 친환경 생분해펄프 멀칭지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9095A1 (ko) * 2022-05-27 2023-11-30 이하얀 패각을 이용한 돌종이 제조방법
CN116905287A (zh) * 2023-07-20 2023-10-20 东莞市智达降解材料研发有限公司 一种利用酒糟生物质制备的纸浆模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6905287B (zh) * 2023-07-20 2024-04-05 东莞市众智达生物新材料有限公司 一种利用酒糟生物质制备的纸浆模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64647B1 (ko) * 2023-09-15 2024-05-10 김태균 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멀칭지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036B1 (ko) 천연 방부성분이 포함된 멀칭지
KR101970536B1 (ko) 멀칭지용 생분해성 코팅조성물 및 멀칭지
KR101933147B1 (ko) 바이오차 및 미생물을 이용한 상토 조성물, 토양개량제, 유기질비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8276B1 (ko) 바이오차를 활용한 유기 탄소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3445B1 (ko) 임해매립지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US7090916B2 (en) Paper product for use in sterilizing an area
KR102032335B1 (ko) 발전소 저회 및 비회 가공물을 이용한 생육보조 기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530B1 (ko) 바이오차를 이용한 토양개량제 및 유기탄소비료의 제조방법
KR101677369B1 (ko) 씨앗 부착 직파용 친환경 복합 기능 파종 시트
JPH07255269A (ja) 植物栽培用培養土
KR101221035B1 (ko) 나노 무기재를 활용한 과수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283057B (zh) 一种稠浆法多功能有机环保薄片地膜的制作方法
CN100362919C (zh) 农用杀菌剂绿色木霉·烯酰吗啉水分散片剂或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KR100501744B1 (ko) 황토와 천연 광물질을 혼합한 기능성 제품의 제조방법
KR102056285B1 (ko) 탄닌 저감 방식의 코코피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식물처리제
KR102098967B1 (ko) 미강,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골판지용 접착제를 이용한 골판지 제조방법
KR102418221B1 (ko) 도시 환경 정비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지목 또는 교체목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이오차를 활용한 탄소 저장 및 순환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697524B1 (ko) 다기능성 천연소재 종이멀칭지
DE4334249C2 (de)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Kompost zu einem vermarktungsfähigen Produkt
CA3061212A1 (en) Method for stimulating plant disease suppressive activity in sphagnum moss, related products and uses
KR100990715B1 (ko) 보양토 조성물
KR102371584B1 (ko) 종이 멀칭지
KR102617124B1 (ko) 토마토 양액재배용 배지
Upadhyay et al. Non-conventional substrates for growing oyster mushrooms
EP0673902B1 (de) Mittel zur Behandlung von Bioabfäl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