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31B1 -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31B1
KR102275831B1 KR1020200110700A KR20200110700A KR102275831B1 KR 102275831 B1 KR102275831 B1 KR 102275831B1 KR 1020200110700 A KR1020200110700 A KR 1020200110700A KR 20200110700 A KR20200110700 A KR 20200110700A KR 102275831 B1 KR102275831 B1 KR 10227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d waste
light emitting
fix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Priority to KR102020011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isclos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can be physically pulverized through a primary processing device, decomposed by stirring with microorganisms through a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a drain. In addition, a fixing ring for easily coupl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s disclosed, and various notifications can be provided to a user through a light emission unit of the fixing ring. In addition, a connection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odor from backflowing through a valve disposed in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rring unit increasing stirring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nd provides a cleaning device coupled to an outle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Food waste disposing device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또는 1차 및 2차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and more specifically, first or firstly and secondly finely pulverizing food waste discharged from a sink, such as at home or a restaurant, decomposing it by introducing microorganisms, and then disassembling the sewage system. It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ment system that treats sewage through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가 불가능하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소각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없고, 완전하게 연소하기 어렵다. 또한,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피가 커서 매립지의 사용 년수를 급격하게 줄어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써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한다.Food waste, which is an organic waste, is discharged in large quantities from general households and restaurants. Such food waste cannot be incinerated because it contains a large amount of moisture, and it is difficult to collect because of its large weight. Even if incineration treatment is possible, a lot of fuel is consumed, so it is not economical, and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burn it. In addition, when incinerate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such as dioxins, known to have a fatal effect on the human body, are emitted. In the case of landfilling food waste, most of it is bulky, which causes the number of years of use of the landfill to be rapidly reduced, and a large amount of leachate is generated, which causes severe odor and causes soil and water pollution.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수거와 가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거나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온상이 되며, 수거시의 취급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echnologies for collecting food waste and processing it into livestock feed or compost are being actively proposed, but it is difficult to collect and process it due to the large amount of water. In addition, food waste is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it is collected at the food waste discharging site. In this process, the food waste decays or is not completely sealed, causing a bad odor and becoming a hotbed for mold and bacteria, and careless handling at the time of collection. As a result, food waste flows into the surrounding area and adversely affects the living environment.

따라서,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하지 않고 하수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하수 처리하는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구/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하수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 처리 가능하도록 분쇄, 분해하는 사전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research/development of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that collects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sink and naturally treats it through sewage without being buried or incinerated. In this case, since contamination of sewage due to food waste may occur, it is very important to pre-treat the food waste by pulverizing and decomposing it so that it can be treated as sew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by recognizing the above problems, by primary and secondary pulverization of food waste discharged from sinks, such as homes or restaurants, to atomize it, introducing microorganisms to decompose it, and then treating the food waste with sewage through sewer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and hygienically treated.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 및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1차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고정링은, 내부에 곡면을 가지는 복수의 서브암; 상기 복수의 서브암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암을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복수의 서브암의 양 끝단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1차 고정링은 상기 복수의 서브암의 내측에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1차 고정링의 중심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부와 상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가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와 상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는, 제어부의 상이한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1차 고정링의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고정부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 투과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고, 측면에 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신호발생부와 상기 센서가 대향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회전력생성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측면에 상기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는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정부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에는 항균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에 결합가능한 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러버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러버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러버의 내부면에는 항균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고정부를 투과하여 상기 고정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2차 처리장치;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는 교반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2차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Provided is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primary treatment device for pulverizing food waste.
In another embodiment,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fixing unit that can be installed in a sink and into which food waste can be put; a crushing housing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can accommodate the inputted food waste; a blade unit disposed inside the crushing housing and crushing the accommodated food waste; and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inside of the grinding hous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blade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primary fixing ring capable of fixing the fixing portion to the sink.
In another embodiment, the primary fixing ring, a plurality of sub-arms having a curved surface therein; a hinge par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arms so that the plurality of sub-arms can rotate; I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coupl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b-arms.
In another embodiment, the primary fixing ring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inside the plurality of sub-arms,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arranged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primary fixing ring; and a flexible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operat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visible light.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rradiating the visible light cross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irradiating the visible light may operate independently according to different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fixing part may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imary fixing ring into the fix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it may include a signal generator on the sid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xing uni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signal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senso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y rotating the cover, the sensor is the signal gen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detect a signal generated in the ,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upon receiving the signal.
In another embodimen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cover,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sterilize the inside of the fixing uni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downward.
In another embodiment, an antibacterial film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rubber coupleab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the rubber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rubber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o absorb vibrations of the fixing unit.
In another embodiment, an antibacterial film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In another embodimen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par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part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part may pass through the fixing part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to the fixing part.
In another embodiment,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for accommodating the food waste treated i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 shiel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a stirring unit dispos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agitate the accommodated food waste; And it may include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tirring unit.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In another embodiment, the stirring unit may include a filter unit for passing the food waste that has been stirred to a lower por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included in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waste discharged from sinks, such as homes or restaurants, is first and secondly pulverized to be atomized, and microorganisms are introduced and decomposed, and then treated with sewage through sewage to hygienically and easily dispose of food waste. can be dealt with

또한, 사용자에게 다양한 색상의 빛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용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사전에 알려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te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through light of various colors, so that the capacity of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not exceeded in advance.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부 및/또는 2차 처리장치의 배출배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UV rays are irradiated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and/or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n which the food waste is accommodated, or UV rays are irradiated into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processing devices and/or the discharge pipe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By irradi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teria from multiplying.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고정링을 결합하여 모터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고, 처리장치를 보다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upling the fixing ring to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vibration of the motor and noise thereof may be reduced, and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more strongly coupled.

또한, 1차 처리장치의 분쇄실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부재를 삽입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by inserting a member capable of reducing the noise in the grinding chamber of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또한, 2차 처리장치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통로에 판막을 결합하여 2차 처리장치로부터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 수준의 물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에 따른 악취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coupling the valve to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of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s inj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dor from rising from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and by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due to drying. .

또한,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하는 호스의 외주면에는 전력 및 신호 전달을 위한 배선이 삽입되는 관이 형성되어 별도의 배선없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ube into which wiring for power and signal transmis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so that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without separate wiring. have.

또한, 2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새로운 형상의 교반부을 적용하여 2차 분쇄 및 교반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grinding and stirring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y applying a new shaped stirring unit in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또한, 2차 처리 후 배출되는 배관에 오염 물질이 적층되지 않도록 배관에 직접 연결하는 물 주입구를 형성하여 배관을 세척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sh the pipe by forming a water inlet directly connected to the pipe so that contaminants are not accumulated on the pipe discharged after the secondary treatment.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이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에 의한 발광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와 2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2차 고정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적용 예시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적용 예시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판막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예시이다.
도 17은 연결부에 결합되는 접속부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연결부에 결합되는 접속부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2차 처리장치의 날개부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배출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배출배관에 결합되는 배관 세척장치의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prim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prim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upled.
7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im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area by the prim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is a view showing a secondary fixing 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 i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5 is a detailed illustration of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n example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18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2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ing portion of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2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ipe washing devic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23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ipe cleaning devic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step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실시예가 반드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구성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this is for description and one embodiment does not necessarily include all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embodiment may be interpreted as another embodiment including only some of the disclosed compon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fined in the claim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1차 처리장치(200), 2차 처리장치(1100), 1차 처리장치(200)와 2차 처리장치(1100)를 연결하는 연결부(1600),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배출배관(22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200 ,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1100 , a connection unit 1600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1100 , and processed food. It may include a discharge pipe 2200 for discharging garbage.

1차 처리장치(200)는 예를 들어 싱크대(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싱크대의 배수구(미도시)에는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200)가 바로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200)가 배수통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1차 처리장치(2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칼날부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즉, 싱크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에 바로 투입하고 1차 처리장치(200)를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그 자리에서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싱크대를 통해 물이 같이 투입되므로 별도의 물 주입구가 없이도 효율적으로 분쇄가 가능하다. 1차 처리장치(2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부(1600)를 통하여 2차 처리장치(1100)로 배출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1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 또는 미생물 배양액을 투입하고 이를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100)에서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배관(2200)을 통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한 물리적 분쇄와 2차 처리장치(1100)를 통한 화학적 분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a sink (not shown). In this case,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may be coupled to some components of the sink. In this case, a separate drain containe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not shown) of the sink.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is directly connected. In this case,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may include a function of a drain container.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may physically pulverize the food waste using the blade unit. That is, the food waste can be pulverized on the spot by directly putting the food waste in the sink and operating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 In addition, since water is fed through the sink,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ulverize it without a separate water inlet. The food waste pulverized i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may be discharg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1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00 .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1100 may decompose the food waste by introducing a microorganism or a microbial culture solution to the firstly pulverized food waste and stirring it. The food waste decompos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1100 may be discharged to the sewage through the discharge pipe 2200 . In this way, food waste can be effectively treated through physical pulverization through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and chemical decomposition through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1100 .

도 2는 1차 처리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200 in more detail.

1차 처리장치(200)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싱크대의 제작시에 배수구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싱크대의 제작 후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300)의 내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다. 고정부(30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300)의 저면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분쇄하우징(280)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고정부의 상면에는 걸림판(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걸림판은 서로 분리되는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적당량 고정부(30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으로부터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 악취 등을 차단할 수도 있다.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may include a fixing unit 300 that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port of the sink. The fixing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port when the sink is manufactured, or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hole after the sink is manufactured.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300 may be formed to penetrate, and water and food waste flowing into the drain may be introduce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art 300 may be inclined. In this case, food waste and water can be safely and accurately guided to the grinding housing 280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300 . A locking plate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The locking plate may have wings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wing unit may allow food waste and water to enter the inside of the fixing unit 300 in an appropriate amount. In addition, the wing unit may block food waste and odors rising from the fixing unit 300 and the grinding housing 280 .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싱크대의 배수구로 노출된 고정부(300) 부분에 결합하여 고정부(300)를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210)는 고정부(300)에 단순히 끼움으로써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210)가 고정부(3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The cover 21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300 . At this time, the cover 210 may be coupled to the portion of the fixing part 300 exposed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ink to block the fixing part 300 . At this time, the cover 210 may be fixed to the fixing unit 30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ver 210 may be fixed by rotating the fixing unit 300 . As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210 may be fixed by simply fitting it to the fixing unit 300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the cover 210 is fixed by rotating on the fixing unit 300 will be mainly described.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하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210) 또는 고정부(300) 중 다른 하나는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 결합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결합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돌기는 사각 기둥 형태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 결합부는 나사산, 나선형의 홈, 직선 홈, 직선 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210)로 고정부(300)를 차단함으로써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 중일 때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부(300) 상면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210)가 결합된 경우에만 1차 처리장치(200)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전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커버(210)의 결합에 의한 1차 처리장치(200)의 작동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e of the cover 210 or the fixing part 3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In addition, the other one of the cover 210 or the fixing part 3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art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ar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screw thread. 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by including a screw thread. As another embodiment, the coupling protrusion may include a protrusion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ole. 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screw thread, a spiral groove, a straight groove, a straight hole, and the like. By blocking the fixing part 300 with the cover 210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from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ixing part 300 whe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is operating, and also, the cover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a safety accident by allow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to operate only when is combined. The operation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by the coupling of the cover 2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고정부(300)는 음식물 쓰레기가 안착하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실링부(220)를 사이에 배치하여 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누수를 방지하고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fixing unit 300 may be coupled to the grinding housing 280 on which the food waste is seated. In this case, the sealing part 220 may be disposed therebetween to prevent water or food waste from leaking and noise caused by vibration.

고정부(300)가 싱크대의 배수구에 삽입되면, 고정부(300)를 싱크대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싱크대 하부면에서 1차 고정링(400)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종래 나사산을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을 사용했던 것과 달리 실시예는 설치가 간편하고 고정력이 높은 1차 고정링(400)을 적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1차 고정링(400)에 대한 세부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When the fixing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of the sink, it can be fixed with the primary fixing ring 40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in order to stably couple the fixing part 300 to the sink. Unlike the conventional fixing bracket including a screw thread, the embodiment can derive various effects by applying the primary fixing ring 400 with high fixing force and simple installation. Details of the primary fixing ring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과 고정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단판(25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판(250)의 일부는 분쇄하우징(280) 내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될 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하우징(250)에서 고정부(3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blocking plat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rinding housing 280 and the fixing part 300 .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2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art of the blocking plate 250 may protrude into the grinding housing 280 . In this case, the blocking plate 250 may block the movement of the food waste from the grinding housing 250 toward the fixing part 300 when the food waste is pulverized inside the grinding housing 280 .

고정링(260)은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링(26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링(260)은 제1 고정링과 제2 고정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링(260)은 일부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고정링은 칼날부(272)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삽입돌기와 제2 삽입돌기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돌기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링(260)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는 고정링(260)의 내면과 직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칼날부(272)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돌기는 칼날부(272)의 회전시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할 수도 있다. The fixing ring 2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grinding housing 280 . At this time, the fixing ring 260 may be formed integrally or a plurality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xing ring 260 may include a first fixing ring and a second fixing ring. A portion of the fixing ring 260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ring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lade portion (272). In addition, the second fixing ring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lade portion (272).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xing ring 260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se protrusions may form an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ring 260 . 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form a right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ring 260 . Through this, the food waste may be crushed together with the blade part 272 . In addition, the protrusion may block food waste that rises when the blade part 272 rotates.

칼날부(272)는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칼날부(272)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칼날부(272)는 하나의 플레이트 상면, 하면, 측면 중 하나 이상에 하나 이상의 칼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칼날부(272)는 회전바디부, 회전바디부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돌출칼날, 회전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에지칼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바디부의 테두리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회전바디부의 일부가 절단되고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은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칼날이 향하는 각도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칼날은 회전 중심에 가까운 내측칼날과 이 보다 멀리 떨어져 형성되는 외측칼날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돌출칼날의 상면은 다단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blade unit 272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and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278 . At this time, the blade unit 272 may crush the food waste. The blade portion 272 may have one or more blades formed on one or more of th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one plate. For example, the blade unit 272 may include a rotating body unit, a protrud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unit, and an edge bla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unit. In addition,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on the rim of the rotating body part. The protruding blade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bending upward. The protruding blade may include a plurality, and the size of eac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the angle at which each blade faces may also be the same or different.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otruding blades may be divided into an inner blade close 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an outer blade formed further away from thi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blade may be formed in multiple stages. In addition, the tip may be formed to be flat.

또한, 칼날부(272)는 제1 회전부, 칼날 고정부,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는 상술한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 고정부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칼날 고정부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날 고정부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칼날 고정부의 내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칼날고정부는 분쇄하우징(28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칼날 고정부를 중심으로 제1 회전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나사, 볼트, 핀 등을 통하여 결합되어 제1 회전부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제2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칼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회전부의 칼날들은 회전력생성부(278)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ade unit 272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unit, a blade fixing unit, and a second rotating unit.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unit and the second rotating unit may include the aforementioned blades. The blade fixing par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part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At this time, the blade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irregularities may be formed therein. That is, the blade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n annular plate, the inside of the blade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protrudes. At this time, the blade fixing part may be seated in the grinding housing (280). The second rotating unit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rota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blade fixing unit.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un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unit through screws, bolts, pins, etc. to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unit. The second rota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like the first rotating unit. At this time, the blades of the second rotating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otating force generating unit 278 .

칼날구동부(270)는 회전축결합부(271), 칼날부(272), 캡(273), 오일실(274), 제1유출구(275), 베어링(276), 회전축(277), 회전력생성부(278), 구동부케이스(279)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ade driving unit 270 includes a rotating shaft coupling unit 271 , a blade unit 272 , a cap 273 , an oil chamber 274 , a first outlet 275 , a bearing 276 , a rotating shaft 277 ,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it may include a driving unit case (279).

구동부케이스(279)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력생성부(278)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79)는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회전력생성부(278)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제어부(240)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case 279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may be disposed therein. The driving unit case 279 may be fixed in combination with the grinding housing 280 . The torque generating unit 278 may include a motor. At this time, the motor may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may also receive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24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회전축(277)은 회전력생성부(278)와 연결되어, 회전력생성부(278)에서 생성된 회전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회전축(277)은 칼날부(272)와 연결되어 칼날부(27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어링(276)은 분쇄하우징(280)과 회전축(277)을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276)은 회전축(277)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에 배치되어 회전축(277)과 분쇄하우징(280) 사이 또는 회전축(277)과 베어링(276)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실(274)은 분쇄하우징(28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277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on unit 278 to transmit the rota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on unit 278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277 may be connected to the blade portion 272 to rotate the blade portion (272). The bearing 276 may connect the grinding housing 280 and the rotating shaft 277 . At this time, the bearing 276 may support the rotation shaft 277 to be rotatable. The oil chamber 274 may be disposed in the grinding housing 280 to seal between the rotating shaft 277 and the grinding housing 280 or between the rotating shaft 277 and the bearing 276 . In this case, the oil chamber 274 may prevent the water of the grinding housing 280 from flowing out.

캡(273)은 분쇄하우징(280)과 결합하여 오일실(274)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결합부(271)는 회전축(277)과 결합하여 칼날부(272)를 회전축(277)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결합부(271)와 회전축(277)은 나사, 볼트, 핀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별도의 부재없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ap 273 may be coupled to the grinding housing 280 to fix the oil chamber 274 .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coupling portion 271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77 to couple the blade portion 272 to the rotation shaft 277 . In this case, the rotating shaft coupling portion 271 and the rotating shaft 277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separate members such as screws, bolts, pins, etc.,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out a separate member. It is possible.

분쇄하우징(280)은 칼날부(272)의 칼날 고정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분쇄하우징(28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쇄는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제1유출구(2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유출구(275)는 연결부(1600)을 통하여 2차 처리장치(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분쇄하우징(28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칼날 고정부가 걸리거나 고정링(2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grinding housing 280 may be combined with the blade fixing part of the blade part 272 . At this time,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grinding housing 280, and a first outlet 275 through which food waste and water are discharged may be formed during grinding. In this case, the first outlet 27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1100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280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blade fixing part is caught or the position of the fixing ring 260 can be fixed.

케이스(230)는 고정부(300), 분쇄하우징(280), 칼날구동부(270), 싱크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0)는 제어부(24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케이스(230)는 고정부(300)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고, 고정부(300)를 향하는 내부면에 후술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ase 230 may be fixed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f the fixing unit 300 , the grinding housing 280 , the blade driving unit 270 , and the sink. In addition, the case 230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unit 240 . The case 230 may b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fixing part 300 , and may include a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on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fixing part 300 .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의 회전력생성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와 1차 처리장치(200) 및 2차 처리장치(1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를 작동시키거나 동작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오류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40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200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11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40 may supply power to the torque generating units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nd may also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 control unit 240,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200,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1100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a signal to operate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mary processing unit and/or secondary processing unit, and also, when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rimary processing unit and/or secondary processing unit It can also receive an error signal to stop the operation or send a notification to the user.

더 나아가, 제어부(240)는 외부의 통신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통신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TV, 단말기 등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와이파이, 캔 통신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V, a terminal, and the like. In this case, various types of wireless signals such as Bluetooth, Wi-Fi, and CAN communication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외부 통신 단말기에 설치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고, 이를 제어부(240)와 연결하여 외부의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어하고,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에 통신모듈이 배치되어 외부 통신 단말기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를 통해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의 경우 미생물 주입 후 교반하여 음식물을 분해하므로 즉각적으로 분쇄하는 1차 처리장치에 비해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주입되는 경우 2차 처리장치의 처리 용량을 초과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2차 처리장치의 현재 처리량, 가용처리량, 분해완료시까지의 예상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공급 또는 신호 전달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여 보수, 수리를 진행하도록 알림을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40)는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40 may be connected to an application that can be installed in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y download and install the application to the user's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 it with the control unit 240 to control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rough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eck information on the state. Alternatively,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disposed i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can direct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it may take more time than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that immediately pulverizes food because the food is decomposed by stirring after the injection of microorganisms. In this case, when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temporarily injected through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be exceeded. In this case, the current throughpu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e available throughput, the estimated time until the disassembly is completed, and the lik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in power supply or signal transmission,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is to notify the user to proceed with repair or repair. In this way, the controller 240 may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user through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s well as controll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1차 처리장치(200)의 고정부(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fixing part 300 of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커버(310)는 고정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310)의 측면에는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신호발생부(330)는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발생부(33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호발생부(330)가 배치되는 경우 커버(31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의 측면에는 커버(310)의 신호발생부(330)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3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센서(320)는 케이스(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320)는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서(320)들이 배치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cover 310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part. A signal generator 33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over 310 .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or 330 may generate a signal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ignal generator 330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One or more signal generators 330 may be provided, and when a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330 are disposed, they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310 . In addition, a sensor 32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xing unit 300 to detect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330 of the cover 310 . Alternatively, the sensor 3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230 . In this case, one or more sensors 320 may be disposed, and when a plurality of sensors 320 are disposed, they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1차 처리장치(20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유입되면 이는 분쇄하우징(280)의 내부로 진입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를 통하여 회전력생성부(278)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는, 고정부(300)에 커버(310)를 회전시켜 커버(310)를 고정시키면 회전력생성부(278)가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를 이용하여 1차 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ethod of primarily grinding food waste through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200 , when food waste and water ar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sink, it enters the grinding housing 280 . In this case, the user may driv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through a separately provided switch. Alternatively, when the cover 31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300 by rotating the cover 310 ,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may operate.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cov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고정부(300) 및 분쇄하우징(28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커버(310)를 고정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후, 커버(310)를 회전시키면 커버(310)에 배치된 신호발생부(33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발생부(330)가 센서(320)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센서(320)는 신호발생부(330)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발생부(330)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320)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신호발생부(330)와 센서(32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320)가 신호를 감지하면, 제어부(240)는 커버(310)가 록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회전력생성부(278)를 작동시킬 수 있다. When food waste and water enter at least one of the fixing unit 300 and the grinding housing 280 , the user may couple the cover 310 to the fixing unit 300 . After that, when the cover 310 is rotated, the signal generator 330 disposed on the cover 310 may also be rotated. Accordingly, when the signal generating unit 330 is mov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sensor 320 , the sensor 320 may detect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330 . For example, the signal generator 33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magnet, and the sensor 320 may include a reed switch. In particular,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s of the signal generator 330 and the sensor 320 match, the sensor 320 may detect a signal, which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40 . As such, when the sensor 320 detects a signal, the control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cover 310 has reached the locking position, and may operate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78 .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1차 고정링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imary fixing r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1차 고정링(400)은 복수 개의 서브암(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서브암(440)으로 구성된 1차 고정링(400)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4개, 5개 등의 서브암(44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브암(440)은 인접한 서브암과 힌지부(4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부(420)는 힌지홀(421)과 힌지홀(42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핀(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부(420)를 중심으로 서브암(440)이 회전 이동을 할 수 있다. 서브암(440)의 일단부에는 체결부(430)가 포함될 수 있다. 체결부(430)는 다른 서브암의 타단부에 체결되어 1차 고정링(400)이 전체적으로 폐루프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각 서브암(440)은 내측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430)를 통해 서브암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경우 1차 고정링(400)은 내부에 원형의 내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430)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imary fixing ring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arms 440 . In one embodiment, the primary fixing ring 400 composed of three sub-arms 440 is described based 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two, four, five sub-arms 440 such as may be The sub-arm 440 may be connected to an adjacent sub-arm through a hinge part 420 . The hinge part 420 may include a hinge hole 421 and a hinge pin 422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421 . Through this, the sub-arm 440 can rotate around the hinge part 420 . A fastening part 430 may be included at one end of the sub-arm 440 . The fastening part 430 may be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sub-arm so that the primary fixing ring 400 as a whole forms a closed loop. Each sub-arm 440 may be formed to form a gentle curve inward. Accordingly, when both ends of the sub-arm are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part 430 , the primary fixing ring 400 may form a circ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in. The fastening unit 430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astening units, and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실시에서는 서브암(440)의 내측면에 발광부(4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부(450)는 1차 고정링(400)의 내측으로 빛을 조사하여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450 may be incl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arm 440 . The light emitting unit 450 may implement various functions by irradiating light to the inside of the primary fixing ring 40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1차 고정링(500)의 다양한 동작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various operating forms of the primary fixing ring (500).

도 5의 (a)는 1차 고정링(500)이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다.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고정링(500)은 힌지부를 통해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직선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도 5의 (b)는 1차 고정링(500)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접혀져 원 형상을 이루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에 스토퍼(미도시)가 배치되어 서브암이 필요이상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의 (c)는 체결부에 의하여 서브암이 체결된 형상을 나타낸다. 체결부에 의해 체결된 경우 1차 고정링(500)은 원 형상을 이루게 된다. Figure 5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500 is unfolded. As shown in (a), the primary fixing ring 500 can be rotated through the hinge part, so that it can be unfolded in a straight line. 5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500 is folded around the hinge portion to form a circle shape. In another embodiment, a stoppe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hinge portion to prevent the sub-arm from being folded more than necessary. Figure 5 (c) shows a shape in which the sub-arm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part. When fastened by a fastening part, the primary fixing ring 500 forms a circular shape.

도 6은 1차 고정링(600)이 싱크대(620)와 고정부(610)를 결합시키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부(610)는 싱크대 상면의 배수구로 삽입되어 싱크대 하면으로 돌출된다. 고정부(610)의 상면에는 싱크대 상부면의 배수구의 지름보다 큰 걸림턱이 있어 싱크대(620) 상부에서 삽입시 싱크대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610)를 싱크대(6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싱크대 하부면에서 고정부(610)를 고정시켜 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610)의 노출된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 브라켓을 삽입하여 고정부(61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 결합을 이용하는 브라켓의 경우 1차 처리장치의 모터에 따른 진동에 의해 결합이 풀릴 수도 있고,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지 못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600 couples the sink 620 and the fixing unit 610 . The fixing part 6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protrud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610 has a clasp that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when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620 . In order to stably fix the fixing part 610 to the sink 620, it is necessary to fix the fixing part 610 on the sink lower surface. For example, the fixing part 610 may be fixed by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exposed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610 and inserting a fixing part bracket having a screw thread that can be coupled thereto. However, in the case of the bracket using the screw coupling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may be loosened by vibration according to the motor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absorb vibration and noise.

실시예는, 고정부 브라켓 대신에 1차 고정링(600)을 이용하여 고정부(610)를 싱크대(6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610)을 싱크대 배수구에 삽입한 후, 싱크대 하부에서 1차 고정링(600)을 고정부(610) 외주면을 감싸고 체결부(630)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600)의 측면에는 1차 고정링(600)이 안착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1차 고정링(600)이 홈에 안착되어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링(600)의 상부면, 즉, 싱크대(62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플렉시블한 패킹이 배치될 수 있어 방수 및 쿠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부 브라켓 대신 1차 고정링(600)을 이용하여 고정부(610)와 싱크대(6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1차 고정링(600)의 체결에 있어서도 체결부(630)를 스냅 형식으로 잠글 수 있어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회전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브라켓과 달리 싱크대와 고정부 사이의 틈을 메워 주면서 상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고정을 시키므로 모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또한, 1차 고정링(600)은 강성이 있는 서브암들이 힌지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높은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럽게 고정부 외주면에 체결시킬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fixing part 610 may be stably fixed to the sink 620 by using the primary fixing ring 600 instead of the fixing part bracket.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after inserting the fixing part 610 into the sink drain, the primary fixing ring 600 is wrappe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610 at the bottom of the sink and the fastening part 630 is fastened. can be fixed. The side of the fixing part 60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600 can be seated. Therefore, the primary fixing ring 600 is seated in the groove may not flow down. In addition, a flexible packing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fixing ring 600 , that is,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620 , thereby performing waterproofing and cushioning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xing part 610 and the sink 620 can be stably fixed by using the primary fixing ring 600 instead of a separate fixing part bracket. Even in the fastening of the primary fixing ring 600, the fastening part 630 can be locked in a snap type, so that it can be easily fastened. In addition, unlike the fixing bracket that is fixed by rotation, it is fixed by applying pressure in the upper direction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ink and the fixing unit, so that it can be more stable against vibra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xing ring 600 has rigid sub-arms connected through the hinge part, it can be smoothly fastened to the fixing par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maintaining high rigidity.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1차 고정링(7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개시된 1차 고정링(700)은 서브암 내측에 발광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740)는 플렉서블 기판(742)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741), 예를 들어, LED 들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741)는 1차 고정링(700)의 원 중심을 향해 빛을 발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암에 배치된 기판(74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740)는 제어부(24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또는 1차 고정링(700) 자체가 전력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741)들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741)들은 제어부(240)의 신호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방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색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광부(740)의 빛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내용의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7 is a view showing a primary fixing ring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imary fixing ring 700 illustrated in FIG. 7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art 740 inside the sub-arm. In the light emitting unit 740 ,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741 , for example, LEDs may be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742 . The light emitting device 741 may be disposed to emit l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le of the primary fixing ring 700 . The substrates 742 disposed on each sub-arm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may transmit/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the controller 240 by wire or wirelessly.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74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ontrol unit 240, or the primary fixing ring 700 itself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741 may be provided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light emitting devices 741 may emit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240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emit light of a single color.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unit 740 may provide various types of notifications to the user.

도 8은 도 7의 1차 고정링(700)이 고정부(610)에 장착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는 커버(210)가 고정부(610)된 결합된 상태이며, 도 8의 (b)는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imary fixing ring 700 of FIG. 7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610 . (a) of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210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610, and (b) of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210 is not coupled.

도 8에 따르면 고정부(610)의 일부 영역, 적어도 1차 고정링(700)과 접하는 영역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610) 전체적으로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반투명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6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1차 고정링(700)의 발광부(740)에서 빛이 방출되는 경우, 이는 고정부(610)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 투과되어 고정부(610) 내부를 통해 빛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커버(210)가 결합된 경우, 고정부(610)의 상면 중 일부 영역, 예를 들어, 커버(210)의 바깥측 환형 영역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통해 빛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커버(210) 자체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210)를 통해서 빛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 8의 (b)는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의 예시이다. 커버(21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의 내부를 직접 볼 수 있으므로 빛을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8 , a portion of the fixing part 610 , at least a region in contact with the primary fixing ring 700 , may be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lternatively, the fixing part 6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can pass as a whole. Therefore, when light is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art 740 of the primary fixing ring 700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610 , it is transmitted at least partially into the fixing part 610 inside the fixing part 610 . light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cover 210 is coupled as shown in (a) of FIG. 8 ,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610 , for example, the outer annular area of the cover 210 may transmit light. It may be a material that can be Therefore, the user can check the light through it. Alternatively, the cover 210 itself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In this case, the light may be checked through the cover 210 . Figure 8 (b) is an example when the cover 210 is not coupled. When the cover 210 is not coupled, the user can directly see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light can be recognized.

1차 고정부(700)의 발광부(740)를 통한 동작 예시를 설명한다. An example of operation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740 of the primary fixing unit 700 will be described.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가 작동가능한 상태일 경우 발광부(740)가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있는 경우 또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발광부(740)가 꺼져 있고, 작동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발광부(740)가 빛을 방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할 수 있다. 또한, 1차 처리장치 및/또는 2차 처리장치에 오류가 있는 경우, 또는 점검이 필요한 경우, 미생물 보충이 필요한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발광부(740)가 점멸 신호를 방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지할 수도 있다. Whe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re in an operable state, the light emitting unit 740 may emit light. For example,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or when power is cut off, the light emitting unit 740 is turned off, and the light emitting unit 740 is in an operable state. may emit light.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in an operable state before putting in the food waste and then drop the food waste.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or when an inspection is required, when a user action is required, such as when a microorganism supplement is required, the light emitting unit 740 emits a flashing signal You can also notify users of notifications.

또한, 2차 처리장치가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더 이상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을 중지해야 하는 경우, 이러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1차 처리장치 또한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 경우, 발광부(740)를 통해 약속된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경우에 단순히 1차 처리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장치의 고장, 오작동인지 2차 처리장치의 처리를 기다려야 하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발광부(740)를 통해 빛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상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exceeds the processing capacity and it is necessary to stop inputting the food waste, thi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s well. In this case, the current state may be accurately informed to the user by emitting the promised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740 . For example, i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simply does not operate in the above case, the user cannot check whether the device is malfunctioning, malfunctioning, or in a state that has to wait for the processing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ccordingly, accurate state information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by transmitting the light signal to the user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740 .

구체적으로, 발광부(740)가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사전에 결정된 색상 또는 점멸 주기 등으로 빛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light emitting unit 740 can implement various colors, accurat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emitting light in a predetermined color or a blinking cycle.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900)를 제공한다. 9 provides a fixing unit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의 고정부(900)는 상술한 1차 고정링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1차 고정링이 아닌 고정부 브라켓을 이용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900 of FIG. 9 may be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primary fixing ring, as well as using a fixing part bracket other than the primary fixing ring.

고정부(900)는 내측에 러버(910)를 포함할 수 있다. 러버(910)는 1차 처리장치의 동작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러버(910)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900)의 내부면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900)의 진동을 흡수해 줄 수 있어 고정부(900)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러버(9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는 고정부(900)의 내부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홈부(9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러버(910)의 하면은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연장부(9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장부(912)는 고정부(900)의 하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러버(910)를 고정부(900)의 하면에서 삽입할 경우, 적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러버(910)는 고정부 내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서 고정부에 삽입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러버(910)가 오염된 경우 이를 교체할 수도 있다. The fixing part 900 may include a rubber 910 on the inside. The rubber 910 may prevent vibration and noi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Specifically, the rubber 9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or silicone, and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9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vibration of the fixing unit 900 , thereby reducing nois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fixing unit 900 . The rubber 9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may include a groove portion 911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900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rubber 910 may include an extension 912 that further extends outward. The extension 912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900 , so that when the rubber 910 is inser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900 , it can be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 rubber 91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or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unit as a separate memb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the rubber 910 is contaminated, it may be replaced.

도 10은 고정부(1000)에 러버(101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1010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1000 .

도 10의 (a)와 같이 러버(1010)는 고정부(100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의 (b)는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1010)는 고정부(1000)의 내부 굴곡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고정부(1000) 내부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10 , the rubber 1010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00 . Fig. 10(b)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As shown in (b) of FIG. 10 , the rubber 10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curvature of the fixing part 1000 , so that i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10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ttenuate vibration and noise accompanying i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1차 처리장치에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음식물 쓰레기는 1차적으로 1차 처리장치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이후 칼날구동부에 의해 기계적으로 분쇄된 후 물과 함께 2차 처리장치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는 분쇄하우징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특히 분쇄하우징의 내부 측벽에 달라붙은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고 남아 세균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잔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세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살균할 수 있도록, 분쇄하우징 내부를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에서 악취 및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 장치를 포함하여, 공기중으로 세균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i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The food waste is primarily accommodated in the grinding housing of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nd then mechanically pulverized by the blade driving unit and discharg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ogether with water. In this process, some of the pulverized food waste may remain inside the pulverizing hou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ticking to the inner sidewall of the grinding housing, the food waste is not discharged and bacteria, etc. may grow. In order to prevent and sterilize bacteria from the residual food wast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the inside of the grinding housing may be includ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read of bacteria into the air by including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device for suppressing odor and bacterial propagation in the food waste inlet.

자외선은 10nm 내지 400nm 파장대의 빛으로서, 이 중 특히 UVC라 불리는 단파장의 자외선(100 ~ 280nm)은 살균 효과를 가진다. UVC는 미생물의 세포에 있는 핵산에 강하게 흡수되어 세포를 파괴한다. 즉, 세포 수준에서 핵산을 파괴하고 DNA를 파괴하여 살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Ultraviolet rays are light in a wavelength range of 10 nm to 400 nm, and among them, ultraviolet rays (100 to 280 nm) of a short wavelength called UVC have a sterilizing effect. UVC is strongly absorbed by the nucleic acids in the cells of microorganisms and destroys the cells. That is, it can be used for sterilization by destroying nucleic acids and destroying DNA at the cellular level.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자외선 발광부는 1차 고정링의 발광부의 일부일 수도 있다. 1차 고정링은 분쇄하우징 내부를 비추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을 방출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발광소자 중 일부는 색상으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가시광선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이고, 다른 일부는 분쇄하우징 내부를 살균하기 위하여 UVC 대역의 파장을 조사하는 LED일 수도 있다. 가시광선 LED와 UVC LED는 교차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가시광선 LED 마다 하나의 UVC LED가 배치될 수도 있다.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grinding housing of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a part of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imary fixing ring. The primary fixing r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at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grinding housing. At least some of them may emit ultraviolet light.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may be LEDs irradiating a wavelength of a visible ray band that provides a notification to a user with a color, and the other part may be an LED irradiating a wavelength of a UVC band in order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grinding housing. Visible light LEDs and UVC LEDs may be arranged alternately, or one UVC LED may be arranged for every plurality of visible light LEDs.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고정링의 발광부에 포함되는 경우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도 있다. 또는, 가시광선 발광소자와 별도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가시광선 발광소자를 제어하는 신호와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이들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발광소자는 1차 처리장치가 분쇄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발광하고, 자외선 발광부는 분쇄작업이 완료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발광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동작 타이밍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included in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imary fixing ring, it may operate in the same way as the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Alternatively, it may operate separately from the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distinguish 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nd control them independently. For example, the visible light emitting device may emit light while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performs the grinding operation,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emit ligh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grind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specific operation timing may be variously applied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외선 발광부는 커버의 하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도 3은 커버(310)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어 고정부(300)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커버(310)에 도시된 하방으로의 화살표는 자외선의 조사방향을 나타낸다. 커버(310)의 하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커버(310)의 측면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조사방향이 정렬된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Referring back to FIG. 3 , FIG. 3 shows an example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to the fixing part 300 by being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310 . The downward arrow shown on the cover 310 of FIG. 3 indicates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ultraviolet rays. UV light emitting unit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310 at regular intervals, or may include UV light emitting units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310 and aligned in the downward irradiation direction.

즉, 분쇄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자체에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하는 전원과 제어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전원은 커버에서 공급하고 동작의 제어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가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측면에 배치되는 신호발생부를 통하여 제어부가 신호를 받으면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가 자외선 발광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1차 처리장치에서 커버에 배치된 자외선 발광부에 전원과 제어신호를 모두 공급할 수도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grinding housing. In this case, the cover itself may include a power supp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lternatively,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cover and the control unit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may process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signal generating uni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v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the signal. Alternatively, both the power 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supplied to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on the cover i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또한, 상술한 1차 고정링, 커버 이외의 다른 영역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고정부(300) 내부 중심을 향하는 화살표는 고정부(300)에 배치되어 분쇄하우징 중심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고정부(300) 내부면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고정부(300) 외부에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되고, 자외선이 고정부(300)를 투과하여 분쇄하우징 내부에 조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자외선 발광부가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으면 충족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primary fixing ring and cover. For example, an arrow pointing toward the inner center of the fixing part 300 shown in FIG. 3 represents an embodiment in which the ultraviolet rays are irradi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grinding housing by being disposed in the fixing part 300 . In this way,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300 , or the UV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xing unit 300 , and the UV light will pass through the fixing unit 300 and be irradiated inside the grinding housing. may be As such,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osition as being satisfied as long as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can irradiate ultraviolet light inside the grinding housing,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in various ways.

또 다른 실시예는 분쇄하우징 내부의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하우징 내부에 항균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리(Cu)를 포함하는 필름을 고정부 내부면 또는 러버 내부면에 부착하여 세균이 분쇄하우징 내부면에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ntibacterial film inside the grinding housing to prevent bacterial propagation inside the grinding housing. For example, by attaching a film including copper (Cu)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or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housing.

또 다른 실시예는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연결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nd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 다른 실시예는 2차 처리장치의 배출배관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may be dispos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side the discharge pipe of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but the 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1100) 및 이에 장착될 수 있는 2차 고정링(11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1100 and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that can be moun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2차 처리장치는(1100)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될 수 있는 저수조(1130)와 저수조(1130)의 상면을 차폐하는 차폐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조(1130)와 차폐부(1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특히 2차 고정링(1120)을 통한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2차 고정링(1120)은 1차 고정링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차폐부(1110)를 저수조(1130) 상면에 결합시킨 뒤, 2차 고정링(1120)으로 결합부위를 감싼 뒤 체결부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차폐부(1110)와 저수조(1130)의 결합부위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가 2차 고정링(1120)의 홈부에 끼워지고, 추가적으로 2차 고정링(1120)을 체결부를 통해 조여줌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부(1110)와 저수조(1130)의 돌출부가 맞닿는 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삽입되거나 또는 돌출부 자체에 실링부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실링부를 사이에 두고 돌출부가 맞물리면서 2차 고정링(1120)의 홈부에 끼워짐으로써 효과적으로 실링 기능을 유지하면서 결합시킬 수도 있다. Th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1100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1130 in which food waste can be stirred and a shielding unit 1110 for shiel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30 . The water storage tank 1130 and the shielding part 1110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In the embodiment, in particular, the coupling through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is shown.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may have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primary fixing ring. After the shielding part 111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130 , the coupling part is wrapped with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 and then it can be fixed by fastening it with a coupling part. A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hielding part 1110 and the water storage tank 1130 . For example, the protrusion may be firmly fixed by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and further tightening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In addition, a separate sealing member may be inserted into a surface in which the shielding part 1110 and the protrus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130 contact each other, or a sealing member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itself. Accordingly, by being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1120 while the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seal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coupled while effectively maintaining the sealing function.

도 12는 2차 고정링(1220)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고정링은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서브암(12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1223)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223)는 예를 들어, 힌지홀(1222)과 힌지홀(1222)에 삽입될 수 있는 힌지핀(1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암의 양단을 결합시시키 위한 체결부(1224)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고정링(1220)의 체결부는 1차 고정링의 체결부와 동일한 구조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체결 구조일 수도 있다.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2차 고정링의 체결부 또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구조일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차 고정링(1220)의 힌지부(1223)에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되어 필요 이상으로 서브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2차 고정링(1220) 또한 1차 고정링과 마찬가지로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2차 처리장치(1100)의 내부는 사용자가 볼 수 없으므로 2차 고정링의 외부면에 발광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를 통해 2차 처리장치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12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1220). The secondary fixing r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arms 1225 like the primary fixing ring, and may include a hinge portion 1223 for connecting them. The hinge part 1223 may include, for example, a hinge hole 1222 and a hinge pin 1221 that may be inserted into the hinge hole 1222 .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astening part 1224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sub-arm. The fastening part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122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astening part of the primary fixing 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different type of fastening structure. Like the primary fixing ring, the fastening part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may also have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and various fastening methods may be applied. 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1223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1220 to prevent the sub-arm from rotating more than necessary. The secondary fixing ring 1220 may also include a light emitting part like the primary fixing ring.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user cannot see the inside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1100,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ary fixing ring. In this case,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의 (a)의 2차 처리장치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1310)의 상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페부(1310)는 연결부(1600)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1차 처리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2차 처리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차폐부(1310)은 차폐바디부(1320), 가이드부(1340), 가이드부(1340) 내부에 형성되는 둔턱부, 미생물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바디부(132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구동부, 밸브, 물공급부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폐바디부(1320)에는 연결부(1600)에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저수조(1130)로 이동하는 공급홀(14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공급홀(1450)은 가이드부(13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홀(1450)은 연결부(1600)의 토출구와 상이한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부(1600)로부터 유입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직접 공급홀(145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둔턱부는 가이드부(1340) 내부에 배치되며, 공급홀(145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둔턱부는 차폐바디부(1320)의 상면으로부터 캡부(1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40)는 차폐바디부(1320)로부터 캡부(1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1340)는 캡부(133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1600)의 토출부는 가이드부(1320)의 일단에 배치되며, 공급홀(1450)은 연결부(1600)와 이격되도록 가이드부(134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1340)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바디부(1320)의 상면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차폐바디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분말 형태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도 있다. 미생물투입부는 공급홀(1450)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part 1310 which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3(a). The shield 1310 may be connected to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00 so that food waste and water pulverized i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may flow into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he shielding part 1310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part 1320 , a guide part 1340 , a barrier formed inside the guide part 1340 , and a microorganism input part. The shielding body part 13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driving part, a valve, a water supply part, etc.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a supply hole 1450 through which the water and food waste su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1600 move to the water storage tank 1130 may be formed in the shielding body part 1320 . In this case, the supply hole 14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part 1340 . Also, since the supply hole 1450 is disposed at a different portion from the outlet of the connection part 1600 , water and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pplied to the supply hole 1450 . The barrier part is disposed inside the guide part 1340 , and may be disposed around the supply hole 1450 . In this case, the barrier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ortion 1320 toward the cap portion 1330 . The guide part 134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hielding body part 1320 toward the cap part 1330, and may form a space therein by forming a closed space. In this case, the guide part 1340 may form a space with the cap part 1330 to form a movement path for water and food waste. In this case, the discharge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part 1320 , and the supply hole 145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art 134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art 1600 .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art 1320 disposed inside the guide part 1340 may be curved.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art.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to inject the microorganism in powder form.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supply hole 1450 .

캡부(1330)는 가이드부(1340)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340)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 때, 캡부(1330)는 가이드부(1340)와 함께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공급홀(1450)을 통하여 냄새가 연결부(1600) 및 1차 처리장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의 유로를 따라 공급홀(1450)로 이동하다가 연결부(1600)를 통하여 더 이상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둔턱부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에 갇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싱크대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 물을 마지막으로 흘려보냄으로써 둔턱부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1330)와 가이드부(1340) 사이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수조와 교반용기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공급홀(1450)을 따라 연결부(1600)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ap part 13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art 1340 to shield the guide part 1340 . At this time, the cap part 1330 not only forms a movement path for water and food waste together with the guide part 1340 , but also odor flows out through the supply hole 145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600 and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Specifically, when water and food waste move to the supply hole 1450 along the flow path between the cap part 1330 and the guide part 1340 , and water and food waste no longer flow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600 , the It is trapped between the cap part 1330 and the guide part 1340 before reach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ends using the sink, water may be filled between the cap part 1330 and the guide part 1340 before reaching the barrier part by flowing water last. In this case, since the odor genera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stirring container does not move to the connection part 1600 along the supply hole 14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dor from being leaked to the outside.

또한, 실시예는 공급홀(1450)을 차단하는 판막(14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판막(1440)은 공급홀(1450)에 배치되어 공급홀(14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는 공급홀(1450)에 배치된 판막(1440)이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1450)로 주입되는 경우에는 판막(1440)이 열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용기로 투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14의 (b)와 같이 판막(1440)이 닫혀 공급홀(1450)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냄새가 역류할 수 있는 통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판막(1440)의 개폐는 센서를 통해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 여부를 지하고 전자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다. 또는, 판막(1440)의 개폐를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판막(1440)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공급홀(1450)을 닫는 위치를 유지하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열리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이 중단되면 탄성력에 의해 공급홀(1450)을 닫는 위치로 복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valve 1440 blocking the supply hole 1450 . The valve 1440 is disposed in the supply hole 1450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hole 1450 . Specifically, FIG. 1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lve 1440 disposed in the supply hole 1450 is open. When water and food waste are injected into the supply hole 1450 , the valve 1440 is opened so that water and food was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stirring container. On the other hand, when water and food waste are not introduced, the valve 1440 may be closed to block the supply hole 1450 as shown in FIG. 14B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odor can flow back.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440 may be electronically opened and closed by detecting whether water and food waste are introduced through a sensor. Alternatively,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1440 may be mechanically controlled. For example, the valve 1440 is made to hav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upply hole 1450 is basically maintained in a closed position, opens when pressure is applied by water and food waste, and when the inflow of water and food waste is stopped,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The supply hole 1450 may be restored to the closing position by the method.

도 15는 판막(1540)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valve 1540 .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막(1540)은 공급홀을 차폐할 수 있는 덮개부(1541), 차폐부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543), 덮개부(1541)에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탄성부(154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541)는 공급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공급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넓게 형성되어 공급홀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541)와 공급홀이 접하는 영역에는 보다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실링부재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결합부(1543)는 차폐부의 하부면에 덮개부(1541)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차폐부의 하부면과 나사, 볼트, 핀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543)에는 양 측면으로 결합돌기(1545)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545)는 덮개부(1541)의 홀(1544)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541)는 결합부(1543)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면서도 홀(1544)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탄성부(1542)는 스프링과 같이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그 소재 또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1541)의 회전이동에 일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결합부(1543)와 덮개부(1541)의 결합부위에 탄성부(154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1541)의 일 영역에는 탄성부 결합부(1546)가 배치되어, 탄성부(1542)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탄성부(1542)는 일정한 힘을 가지고 덮개부(1541)가 공급홀을 닫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1542)의 복원력보다 큰 압력이 덮개부(1541)에 가해지면, 예를 들어,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을 통해 유입되어 덮개부(1541)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덮개부(1541)는 열리게 되고,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부(1542)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부(1541)는 원위치, 즉, 공급홀을 닫는 위치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판막(1540)은 공급홀을 통한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공급홀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 저수조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valve 15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cover portion 1541 capable of shielding the supply hole, a coupling portion 1543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portion, and an elasticity that can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cover portion 1541 . portion 1542 . The cover portion 1541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ly hole to cover the supply hole so as to cover the supply hole. In addition, a sealing member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 region where the cover portion 1541 and the supply hole contact each other to increase airtightness. The coupling part 1543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cover part 1541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part,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part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crews, bolts, and pins. The coupling portion 1543 may have coupling protrusions 1545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The coupling protrusion 1545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1544 of the cover part 1541 to be coupled. Accordingly, the cover part 1541 can rotate around the hole 1544 while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coupling part 1543 . The elastic part 1542 is a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uch as a spring, and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r shape thereof, and any means capable of providing a certain forc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ver part 1541 is possible. An elastic part 1542 may be disposed at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part 1543 and the cover part 1541 . For example, an elastic part coupling part 1546 may be disposed in one region of the cover part 1541 to fix the elastic part 1542 . The elastic part 1542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1541 closes the supply hole with a constant force. When a pressure great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1542 is applied to the cover part 1541 , for example, when water and food waste are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hole to apply pressure to the cover part 1541 , the cover part 1541 . ) is opened, and when the supply of water and food waste is stopped, the cover part 1541 is rotat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at is, to a position where the supply hole is clo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rt 1542 . As such, the valve 1540 can effectively shield the supply ho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inflow of water and food waste through the supply hole, thereby preventing the odor of the water storage tank from flowing backward.

다른 실시예는, 판막이 공급홀의 토출구에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막은 복수 개의 날개를 가지는 원판 형태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날개는 원판의 외주면에서 공급홀과 연결되고 중심부에서는 상호간에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 개의 날개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홀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에는 복수 개의 날개가 하방으로 열리면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할 수 있다.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날개가 원판 형태로 닫히게 되므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valve may be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supply hole. Specifically, the valve may be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plurality of wings. The plurality of wings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k and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center. The plurality of wings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Accordingly, when water and food waste are introduced through the supply hole, the plurality of wings may be opened downward to move water and food waste. If water and food waste do not flow in, the wing is closed in the form of a disk,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dor from flowing back.

도 16은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1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부(1600)는 1차 처리장치의 제1유출구(1675)와 2차 처리장치의 공급부(1685)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600)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급관(1620) 및 접속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공급관(1620)을 통해 2차 처리장치로 이동할 수 있고, 접속부(1610)를 통해 상호간에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600)는 배관일 수도 있다. 연결부(1600)는 직선 형태일 수도 있으나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곡부는 U자 형태일 수도 있으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면서 일정 각도로 절곡될 수도 있다. 연결부(1600)에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2차 처리장치로부터 역류하는 냄새가 1차 처리장치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1600)는 S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도 있는데 이는 2차 처리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므로 그 위치가 일정하나, 2차 처리장치의 경우 구체적인 주변환경에 따라 설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연결부(1600)가 S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1600)를 회전하여 2차 처리장치가 배치되는 위치, 특히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부(1600)는 소정의 유연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 설치시의 자유도를 보다 높일 수도 있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unit 1600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e connection unit 1600 may connect the first outlet 1675 of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nd the supply unit 1685 of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include a supply pipe 1620 and a connection part 1610 through which food waste and water can move. The food waste and water pulverized i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may move to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hrough the supply pipe 1620 , and may transmit/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10 .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be a pipe.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have a straight shape, but may include one or more bent parts. The bent portion may have a U-shape, but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shown in FIG. 16 . By forming one or more bent parts in the connection part 1600 , the flow rate of the food waste can be controlled and the odor flowing back from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be bent in an S-shape, which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since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at the sink drain, the location is constant, but in the case of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ecific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the connection part 1600 is bent in an S-shape,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is disposed, particularly the height, may be adjusted by rotating the connection part 1600 . Furthermore, the connection part 16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flexibility.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at the time of installing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can also be raised more.

접속부(1610)는 공급관(1620)과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610)은 단자 및 케이블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자, 소켓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접속부(1610)와 별개로 단자, 소켓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접속부(1610)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2차 처리장치의 가용 처리량을 초과할 수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신호를 1차 처리장치 측의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제어부는 1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1차 고정링의 발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2차 처리장치의 상태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접속부(1610)를 통해 2차 처리장치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 중 하나만 작동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접속부(1610)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1610)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또는 1차 처리장치 또는 2차 처리장치와의 연결이 차단된 경우, 센서부는 이를 감지하여 1차 처리장치와 2차 처리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도 있다. The connection part 1610 may be combined with the supply pipe 1620 or formed integrally. The connection unit 1610 may include a terminal and a cable, and may include a terminal, a socket, and the like so that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lternatively, terminals, sockets, etc.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unit 1610 . When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10 , the driving of the primary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may be organically linked. For example, when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not operate or the available throughpu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be exceeded, a signal for thi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primary proces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It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In addition, even when a notification about the state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above-described primary fixing ring, the signal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waste from being properly treated by operating only one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t least one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nection unit 1610 is coupled.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unit 1610 is damaged or damaged, or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is cut off, the sensor unit detects this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You can also stop it.

또한, 접속부(1610)를 통하여 2차 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처리장치에 결합된 제어부를 통해서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부를 이를 1차 처리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1610)를 통해 연결된 2차 처리장치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를 위한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10 . For example, external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control unit may supply it to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In addition,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610 . Accordingly, a separate power source for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not be provided.

도 17은 접속부(1710)가 형성된 연결부(17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결부(170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171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710)는 내부에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는 홀(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속부(1710)의 홀(1720)에는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와이어, 케이블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홀(1720)의 직경은 내부에 배치될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직경에 맞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접속부(1710)를 공급관(1730)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접속부(1710) 내부에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배치함으로써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속부(1710)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홀(1720)에 필요한 케이블이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케이블에 따라 상이한 접속부(171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과 신호 케이블이 별개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을 다른 접속부(1710) 내부에 배치하여, 문제시 해당 케이블에 대한 접속부(1710)만 점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17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700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1710 is formed. One or more connection parts 17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700 . The connection unit 1710 may include a hole 1720 in which a wire may be disposed. That is, in the hole 1720 of the connection unit 1710, a wire, a cable, or the like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or an electrical signal may be disposed. The diameter of the hole 1720 may be formed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wire or cable to be disposed therein, and is not limited to specific values. In this way, by forming the connection part 1710 integrally with the supply pipe 1730 and arranging the wire or cable inside the connection part 17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or cabl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damaged. One or more connection portions 1710 may be formed, and cables required for one hole 1720 may be disposed together, or may be disposed inside different connection portions 1710 according to cables. For example, when the power cable and the signal cable exist separately, each may be arranged inside the other connection unit 1710 so that only the connection unit 1710 for the corresponding cable can be checked in case of a problem.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810)를 나타낸다. 접속부(1810)는 공급관(181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후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관(1811)의 외주면에는 접속부(1810)가 결합할 수 있는 홈(182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부(1810)에는 공급관(1811)의 홈(182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8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810)와 공급관(1811)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속부(1810) 내부의 와이어, 케이블 등을 삽입하거나 보수를 위해 분리시키는 경우 접속부(1810)를 공급관(1811)으로부터 분리시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8 shows a connection unit 18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part 1810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rather than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ly pipe 1811 and then coupled thereto. Specifically, a groove 1820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1810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ly pipe 1811 . Meanwhile, a protrusion 1830 that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groove 1820 of the supply pipe 181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1810 . Accordingly, the connection portion 1810 and the supply pipe 1811 may be easily coupled. In this case, when a wire, cable, etc. inside the connection part 1810 is inserted or separated for repair, the connection part 18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upply pipe 1811 to proceed with the operation, thereby greatly improving user convenience.

공급관(1811)의 홈(1820)은 공급관(1811)을 관통하지 않도록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관(1811)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물이 홈(182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홈(1820)을 공급관(1811)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돌출부(1830)와 홈(1820)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groove 1820 of the supply pipe 1811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not to penetrate the supply pipe 181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food waste or water passing through the supply pipe 1811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roove 1820 . Alternatively, if necessary, a groove 182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upply pipe 1811 , and the protrusion 1830 and the groove 1820 may be coupled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In this case, a separate seal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도 19는 2차 처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2차 처리장치(19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1930), 저수조(1930)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1910), 미생물 투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191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차폐부의 설명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1900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1930 for accommodating food waste, a shielding unit 1910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torage tank 1930 , and a microorganism input unit (not shown). Specific details of the shielding unit 1910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of the shielding unit, and will be omitted below.

차폐부(1910)의 상부에는 교반부(196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력생성부(1920)가 배치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1900)는 1차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함께 수용되면 이를 미생물과 함께 교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력생성부(1920)는 회전력을 샤프트(1951)에 전달하고 샤프트(1951)를 포함하는 교반부(1950)는 샤프트(1951)에 결합된 날개들을 회전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다. 교반부(1950)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저수조(1930) 저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저수조(1930) 저면의 일 영역에는 제2유출구(1940)가 배치되어 있어 2차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1920 for driving the stirring unit 1960 may be disposed above the shielding unit 1910 .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1900 decomposes the food waste by stirring it together with the microorganisms when the firstly pulverized food waste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water. To this end,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192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shaft 1951 , and the stirring unit 1950 including the shaft 1951 rotates the blades coupled to the shaft 1951 to agitate the food waste. . The food waste decomposed by the stirring unit 1950 may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1954 and flow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930 . A second outlet 1940 is disposed in one are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930 so that the food waste on which the secondary treatment has been complete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2차 처리장치(1900)는 별도의 물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공급부는 싱크대, 상수도 등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또한, 물공급부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2차 처리장치(1900)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감지부는 차폐부(1910)에 배치되어 회전력생성부(1920)에 의한 샤프트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190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water supply unit (not shown).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connected to a sink, water supply, etc. to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a valve may be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unit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In addition,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19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ing unit. The position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on the shielding unit 1910 to detect whether the shaf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1920 .

교반부(1950)는 회전력생성부(1920)와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샤프트(1950), 중심부에 샤프트(1950)가 관통하는 홀을 가진 필터부(1954), 필터부(1954) 상부에 배치되는 상단 날개(1952), 중단 날개(1953), 필터부(1954)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날개(1956), 저수조(19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고정 날개(1955)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1950)는 저수조(193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 날개(1952) 및 중단 날개(1953)가 샤프트(195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섞어주게 된다. 상단 날개(1952) 및 중단 날개(1953)의 회전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저수조(1930)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필터부(1954)는 일정 크기의 홈을 복수 개 포함하여 물과 분해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만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통과시킬 수 있다. 필터부(1954)는 예를 들어 메쉬 형태일 수 있다. The stirring unit 1950 is a shaft 1950 coupled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1920 for rotational motion, a filter unit 1954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1950 passes through the center, and the filter unit 1954. Arranged on the upper part It may include an upper wing 1952 , a middle wing 1953 , a lower wing 1956 disposed under the filter unit 1954 , and a fixed wing 1955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1930 . The agitator 1950 may agitate the food waste input to the water storage tank 1930 with microorganisms to decompose the food waste. To this end, the upper wing 1952 and the middle wing 1953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1951 to mix the food waste with microorganisms. Food waste decomposed by the rotation of the upper wing 1952 and the middle wing 1953 may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1954 to move to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1930 . The filter unit 1954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only water and food waste that has been decomposed can selectively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The filter unit 1954 may have a mesh shape, for example.

도 20은 2차 처리장치 내부에 교반부(1950)가 배치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의 중심부에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샤프트(20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2070)는 샤프트와 결합되며 배출배관(22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2070)를 통과한 잔여물만이 배출배관(22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저수조(2030)의 내측 측면에는 고정 날개(2064)가 결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날개(2064)는 회전하지 않고 저수조(203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2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tirring unit 195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A shaft 2050 serving as a center of rotation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e filter unit 2070 is coupled to the shaft and may be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discharge pipe 2200 . Accordingly, only the residu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070 may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2200 . The inner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30 may include a groove to which the fixed blade 2064 can be coupled. That is, the fixed blade 2064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2030 without rotating.

도 21은 교반부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교반부의 각 구성들의 기능을 설명한다. 21 is a view showing a more specific embodiment of the stirring unit. Hereinafter, the function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stirr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1 .

상단 날개(2110)는 가장 상부에 배치되는 날개이다. 상단 날개(2110)는 샤프트(2150)와 결합되는 결합부(21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13)는 샤프트(2150)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샤프트(2150)를 둘러싸는 부재에 결합되어 샤프트(2150)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단 날개(2110)는 결합부(2113)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고, 필터부(216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면을 이루는 평탄 날개(2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평탄 날개(2112)의 일 측면으로부터 필터부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연장되는 경사 날개(2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와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우 교반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 날개(2112)와 경상 날개(2111)가 180도의 각도를 갖는 경우, 즉, 두 날개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는 경우 경사 날개(2111)와 음식물 쓰레기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작으므로 교반이 어렵다. 또한, 평탄 날개(2112)와 경사 날개(2111)가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경사 날개와 음식물 쓰레기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은 넓으나, 경사 날개(2111)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측면으로 밀어줄 수만 있을 뿐이므로 교반의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실시예와 같이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와 90도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경우, 경사 날개(2111)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상부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부로 올라간 음식물 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다시 하부로 가라앉게 되는데 경사 날개(2111)는 이를 다시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경사 날개(211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단순히 회전운동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운동을 하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교반이 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경사 날개(2111)는 평탄 날개(2112)에 대하여 100도 이상 160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단 날개(2110)를 이루는 경사 날개(2111), 평탄 날개(2112), 결합부(2113)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일체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사 날개(2111)는 평탄 날개(2112)의 일부 영역이 절곡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는 별도의 구성을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경사 날개(2111)가 한 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경사 날개(2111)가 평탄 날개(2112)의 양 측면으로 두 개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평탄 날개(2112)의 타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2 경사날개(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양 경사 날개(2111)의 경사 각도는 동일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이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The upper wing 2110 is a wing disposed at the top. The upper wing 211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2113 coupled to the shaft 2150 . The coupling part 2113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haft 2150 or coupled to a member surrounding the shaft 2150 to be indirectly coupled to the shaft 2150 . The upper wing 2110 may include a flat wing 2112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upling part 2113 and forms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ilter part 2160 . 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inclined blade 2111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lat blade 2112 while forming an inclination toward the filter unit. 21 , when the inclined blade 2111 has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lat blade 2112, the efficiency of stirring can be greatly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 flat blade 2112 and the flat blade 2111 have an angle of 180 degrees, that is, when the two blades are placed on the same plan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clined blade 2111 and the food waste is smal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tir. In addition, when the flat blade 2112 and the inclined blade 2111 form an angle of 90 degrees, the area in which the inclined blade and the food waste can contact is wide, but the food waste is moved to the sid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clined blade 2111 . Since it can only be pushed, the efficiency of stirring de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lined blade 2111 is inclined to have an angle between 90 and 180 degrees with the flat blade 2112 as in the embodiment, when the inclined blade 2111 rotate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d waste, the food waste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is pushed in the direction The food waste that rises to the upper part sinks again to the lower part by gravity, and the inclined blade 2111 pushes it upward again. Since the food waste not only rotates but moves up and down by the inclined blades 2111, more efficient agitation is possible. More specifically, the inclined blade 2111 may be formed to have a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and 16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lat blade 2112 . Some or all of the inclined blades 2111, the flat blades 2112, and the coupling portion 2113 constituting the upper blade 2110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inclined blade 2111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flat blade 2112 . Alternatively, separate compon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lthough the embodiment shows a case in which one inclined blade 2111 is provide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clined blade 2111 to be configured in two on both sides of the flat blade 2112 . For example, a second inclined blad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lat blade 2112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two inclined blades 2111 may be the sam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different angles.

중단 날개(2120)는 상단 날개(2110)와 필터부(2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단 날개(2120) 또한, 상단 날개(2110)와 동일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교반의 효율성을 위해서 상단 날개(2110)와 중단날개(2120)는 샤프트(215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단 날개(2120)는 샤프트(215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2121), 제1 경사 날개(2122), 제2 경사 날개(2124), 평탄 날개(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날개와 마찬가지로 중간 날개의 각 부분들은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는 별개의 구성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중단 날개(2120)의 제1 경사 날개(2122) 및 제2 경사 날개(2124)는 상단 날개(2110)의 경사 날개(2111)와 유사하게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 날개(2120)의 제1 경사 날개(2122) 또는 제2 경사 날개(212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의 상하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중단 날개(2120)는 필터부(2160)의 상부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필터부(2160) 상면에 뭉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 날개(2122)는 필터부(2160) 상면에 가라앉은 음식물 쓰레기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고, 반대 측면에서 절곡된 제2 경사 날개(2124)는 남은 음식물 쓰레기를 필터부(2160) 방향으로 밀어주어 필터부(216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경사 날개와 제2 경사 날개는 평탄 날개(2123)에 대하여 100도 이상에서 160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경사 날개와 제2 경사 날개의 기울기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경사 날개(2122)와 제2 경사 날개(2124)의 길이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는 중단 날개(2120)가 두 개의 경사 날개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경사 날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iddle wing 2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upper wing 2110 and the filter unit 2160 . The middle wing 212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agitating the food waste with microorganisms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wing 2110 . For efficiency of agitation, the upper blade 2110 and the middle blade 2120 may b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haft 2150 . The middle blade 212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2121 for coupling with the shaft 2150 , a first inclined blade 2122 , a second inclined blade 2124 , and a flat blade 2123 . Like the upper wing, each part of the middle wing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 components may be combined. The first inclined wing 2122 and the second inclined wing 2124 of the middle wing 2120 may extend downward at a constant angle similarly to the inclined wing 2111 of the upper wing 2110 .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can be pushed upward through the first inclined blade 2122 or the second inclined blade 2124 of the middle blade 2120 , thereby induced vertical movement of the food waste. In addition, the middle wing 2120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160 to remove food wastes that have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160 . For example, the first inclined blade 2122 may push food waste that has sett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160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inclined blade 2124 bent at the opposite side may filter the remaining food waste. It may be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part 2160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part 2160 . The first inclined blade and the second inclined blade may be formed to form an angle of 100 degrees or more to 16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flat blade 2123 , and the inclinations of the first inclined blade and the second inclined blade may be the same. It is not limited and may have different angles. 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blade 2122 and the second inclined blade 2124 may have the same length,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embodiment, the case in which the middle blade 2120 includes two inclined blades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may include only one inclined blade.

하단 날개(2140)는 필터부(216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날개(2140)는 샤프트(2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2150)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하단 날개(2140)는 필터부(2160)를 통과한 뒤 남은 찌꺼기를 배출배관으로 밀어내어 침전물에 의해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하단 날개(2140)는 교반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므로 하단 날개와 침전물과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단 날개(2140)의 회전면은 필터부(2160)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wing 214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lter unit 2160 . Similarly, the lower wing 2140 may be coupled to the shaft 2150 , and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2150 . The lower wing 2140 pushes the residue remain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160 to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clogged by sediment. That is, since the lower wing 2140 is not intended for stirring, the rotating surface of the lower wing 2140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lter unit 2160 so as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lower wing and the sediment.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단 날개(2140)의 상부면에 솔이 배치될 수도 있다. 솔은 필터부(2160)의 하부면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솔을 통해 필터부(2160) 하부면에 점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 brush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ing 2140 . The brush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160 . Food waste adher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160 may be removed through the brush.

고정 날개(2130)는 제1 고정 날개(2131), 제2 고정 날개(2133), 및 결합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날개들과 달리 고정 날개(2130)는 샤프트(2150)에 결합되지 않고 저수조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132)는 저수조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 및 제2 고정 날개(2133)은 결합부(2132)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부(213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와 제2 고정 날개(2133)는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를 상단 날개(2110)가 회전운동시 통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날개와 제2 고정 날개의 이격 거리는 상단 날개(2110)의 높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고정 날개(2131) 및 제2 고정 날개(2133)는 음식물 쓰레기를 풀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반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덩어리로 뭉치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필터부(2160)를 통과하지 못 하고 저수조 내부를 부유할 수 있으며, 또한, 필터부를 막히게 할 수도 있다. 고정 날개가 배치되는 경우 뭉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하면서 제1 고정 날개와 제2 고정 날개에 부딪쳐 풀어지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뭉침을 해결할 수 있다. The fixed blade 2130 may include a first fixed blade 2131 , a second fixed blade 2133 , and a coupling part 2132 . Unlike other blades, the fixed blade 213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without being coupled to the shaft 2150 . For example, the coupling part 2132 may be coupled in such a way that it is fit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 first fixed blade 2131 and the second fixed blade 2133 may be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upling portion 2132 . Alternatively, it may be fixed to the coupling unit 2132 through coupling means as a separate configuration. The first fixed blade 2131 and the second fixed blade 2133 may be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blade 2110 may pass therebetween during rotation.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ixed blade and the second fixed blade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blade 2110 . The first fixed blade 2131 and the second fixed blade 2133 may function to release food waste. Specifically, food waste may be agglomerated into agglomerates during the stirring process. In this case, it may not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2160 and may float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and may also clog the filter unit. When the fixed blades are disposed, the food waste is released by colliding with the first fixed blade and the second fixed blade while rotating, so that the food waste agglomeration can be solved.

또한, 2차 처리장치의 저수조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자외선 발광부의 구체적인 내용은 1차 처리장치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2차 처리장치의 자외선 발광부는 필터부(1954)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즉, 교반이 완료되어 필터부(1954)를 통과하여 제2유출구(1940)로 배출되는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다. 필터부(1954)에는 하단 날개(1956)가 회전운동으로 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함께 제2유출구(1940)로 배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측벽 또는 바닥면에 잔여물이 남을 수도 있다. 따라서, 필터부(1954) 하부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잔여물에 의한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2차 처리장치의 자외선 발광부는 1차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차 처리장치가 별도의 제어부 및/또는 전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2차 처리장치에서 미생물이 투입될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미생물이 사멸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2차 처리장치에서 미생물이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는 시간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시간을 중복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tank of th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Sinc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have been described in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the overlapping contents are omitte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ispos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1954 . That is, after the agitation is completed, the ultraviolet ray may be irradiated to a region that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1954 and is discharged to the second outlet 1940 . In the filter unit 1954, the lower wing 1956 rotates and discharges the processed food waste together with water to the second outlet 1940. In this process, residues may remain o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lower region of the filter unit 1954, it is possible to prevent bacterial growth due to the residue.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of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separate control unit and/or a power supply. However, when microorganisms are input i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when UV rays are irradiated, the microbes are killed, so the time for decomposing food waste and the time for irradiating UV light are overlapped with the microbes i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t is preferable not to do so.

도 22는 2차 처리장치의 제2유출구(2210)에 연결되는 배출배관(2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처리장치를 통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유출구(2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2유출구(2210)는 배출배관(2200)과 결합되고 배출배관(2200)의 타측은 하수도에 연결되어 처리가 끝난 음식물 쓰레기를 물과 함께 배출할 수 있다. 한편, 1차 처리장치 및 2차 처리장치를 통해 처리가 완료된 경우라 하더라도 미세한 부유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장시간 누적되는 경우 배출배관(2200) 내벽에 노폐물이 쌓일 수 있다. 특히, 주로 물이 이동하는 일반 배수구와 달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배관(2200)의 경우 노폐물의 적층이 더 심할 수 있다. 배출배관(2200) 내부에 장기간 노폐물이 적층되는 경우 냄새를 유발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 막힘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출배관(2200) 내부를 자주 세척해줘야 하나 배출배관(2200) 내부 세척을 위해서는 배출배관(2200)을 2차 처리장치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밖에 없어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배출배관(2200)은 항상 물이 흐르는 것이 아니라 2차 처리장치가 가동될 때만 물이 흐를 수 있어, 장시간 2차 처리장치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배출배관(2200) 내부가 건조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의 내벽에 적층될 수 있다.22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pipe 2200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2210 of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he food waste decomposed through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2210 . The second outlet 221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2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pipe 2200 is connected to the sewer, so that the processed food waste can be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treat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nd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t may contain fine suspended matter, and if accumulated for a long time, waste materials may be accumul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ipe 2200 .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ischarge pipe 2200 through which food waste-treated waste is discharged, unlike a general drain through which water mainly moves, the stacking of wastes may be more severe. When wastes are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ipe 2200 for a long time, it may cause an odor, and may also cause clogging of the pip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2200 must be frequently washed, but in order to clean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2200, the discharge pipe 2200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and washed, which is not efficient. In addition, in the discharge pipe 2200, water does not always flow, but water can flow only whe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s operated, so that whe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s not driven for a long time,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2200 may become dry. In this case, the residue may be lamin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ipe 2200 .

도 22의 실시예는 배출배관(2200)의 일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22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배관 세척장치(2220)는 배출배관(2200)의 일 영역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관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세척장치(22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주입구(2222), 배출배관(2200) 내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2221), 배출배관(2200)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22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세척장치(2220)의 주입구(2222)는 배출배관(220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노즐(2221)은 주입구(2222)와 경사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을 따라서 노즐(2221)의 방향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잔여물의 배출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여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의 내벽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of FIG. 22 describes a structure in which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is coupled to one region of the discharge pipe 2200 .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in one area of the discharge pipe 2200 . Specifically,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includes an inlet 2222 that can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a nozzle 2221 that can spray water into the discharge pipe 2200, and a discharge pipe 2200 to prevent leakage of water. It may include a packing 2223 for. The inlet 2222 of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2200 , and the nozzle 2221 may be bent to have an inclination with the inlet 2222 . Specifically, the direction of the nozzle 2221 may be bent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ood waste residu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due from being deposited on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ipe 2200 by spraying water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ood waste residue.

주입구(2222)는 외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과 함께 세척액이 함께 공급될 수도 있다. 주입구(2222)를 통한 물의 공급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주기에 따라 물이 공급될 수도 있고, 또는 싱크대 개수대의 사용 여부, 또는 1차 처리장치, 2차 처리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이 공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차 처리장치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 중일 때는 물과 함께 잔여물이 배출배관(2200)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므로 문제가 없으나, 2차 처리장치가 동작을 종료한 경우 마지막의 잔여물은 배출배관(2200) 하부로 가라앉을 수 있다. 따라서, 2차 처리장치가 동작을 종료하면 일정 시간 동안 배관 세척장치(2220)를 구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싱크대 개수대를 사용하는 경우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활용하여 배관 세척장치(2220)에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The inlet 2222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supply water. In addition, the washing liquid may be supplied together with water.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inlet 2222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ater may be supplied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or water may be selectively supplied according to whether the sink sink is used, 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is processing food wast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residue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to the discharge pipe 2200. However, when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ends the operation, the last residue is It may sink to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pipe 2200 . Therefore, when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ends the operation, it may be set to drive the pipe washing device 2220 for a predetermined time. Alternatively, when a sink sink is use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pipe washing device 2220 by using a portion of the supplied water.

노즐(2221)은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배관(2200) 하부면을 향하여 물이 흐르도록 할 수도 있고, 스프레이 방식으로 물을 분사하여 배출배관(2200) 내벽 전체를 세척할 수도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량에 따라 노즐(2221)을 통해 물의 분사 방식 또는 분사 속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 The nozzle 2221 may include various shapes. For example, water may flow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2200, or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ipe 2200 may be washed by spraying water in a spray manner. Also, the spraying method or spraying speed of water through the nozzle 2221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mount of food waste treated.

도 23은 제2유출구(2310)의 일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320)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배관 세척장치(2320)의 구체적인 기능은 도 22에 대한 설명을 인용하며, 도 22의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23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pipe cleaning device 2320 is coupled to one area of the second outlet 2310 . Specific functions of the pipe washing device 23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FIG. 22 , and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different part from the embodiment of FIG. 22 .

도 22의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2220)는 배출배관(2200)에 결합되어 있는 예시를 설명하였다. 즉, 배출배관(2200)은 제2유출구(2210)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배출배관(2200)을 제2유출구(221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배관 세척장치(2220)는 분리가능한 배출배관(220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3은 제2유출구(2310)의 일부 영역에 배관 세척장치(2320)가 결합되어 있다. 즉, 도 23이 도시하는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2320)는 제2유출구(2310), 보다 포괄적으로, 2차 처리장치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기존의 배출배관(2300)을 그대로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22의 실시예의 경우, 배관 세척장치가 적용된 배출배관은 기존의 배출배관을 교체하고 설치해야 하는 반면에, 도 23의 실시예의 경우, 기존의 배출배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배관 세척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22 , an example in which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2200 has been described. That is, the discharge pipe 2200 has a structure coupled to the second outlet 2210 by screwing, and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charge pipe 2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outlet 2210 . And, the pipe cleaning device 2220 is installed in the detachable discharge pipe (2200). Meanwhile, in FIG. 23 , a pipe cleaning device 2320 is coupled to a partial region of the second outlet 2310 . That i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3 , the pipe cleaning device 23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outlet 2310 , more generally,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2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xisting discharge pipe 2300 can be combined as it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22, the exhaust pipe to which the pipe washing device is applied needs to be replaced and installed, whereas in the embodiment of Fig. 23, the pipe washing device while using the existing exhaust pipe as it is. can utiliz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집합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자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를 통해 또는 저장매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 자체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a set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a user application itself for executing them. Specifically, it may be a program itself that can be downloaded through a server or a storage medium and installed on a client computer.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ly or equivalently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do it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00: 1차 처리장치
210, 310: 커버 220: 실링부
230: 케이스 240: 제어부
250: 차단판 260: 고정링
270: 칼날구동부 271: 회전축결합부
272: 칼날부 273: 캡
274: 오일실 275: 제1유출구
276: 베어링 277: 회전축
278: 회전력생성부 279: 구동부케이스
280: 분쇄하우징 300, 610, 900, 1000: 고정부
320: 센서 330: 신호발생부
400, 500, 600, 700: 1차 고정링 420: 힌지부
412: 힌지홀 422: 힌지핀
430,630: 체결부 440: 서브암
450, 740: 발광부 620: 싱크대
741: 발광소자 742: 기판
910, 101: 러버 911: 홈부
912: 연장부 1100, 1900: 2차 처리장치
1110, 1310, 1910: 차폐부 1120, 1220: 2차 고정링
1130, 1930, 2030: 저수조 1221: 힌지핀
1222: 힌지홀 1223: 힌지부
1224: 체결부 1225: 서브암
1320: 차폐바디부 1330: 캡부
1340: 가이드부 1440, 1540: 판막
1450: 공급홀 1541: 덮개부
1542: 탄성부 1543: 결합부
1544: 홀 1545: 결합돌기
1546: 탄성부 결합부 1600, 1700, 1800: 연결부
1610, 1710, 1810: 접속부 1620, 1730, 1811: 공급관
1675: 제1유출구 1685: 공급부
1720: 홀 1820: 홈
1830: 돌출부 1920: 회전력생성부
1940, 2210, 22310: 제2유출구 1950: 교반부
1951, 2050, 2150: 샤프트 1952, 2110: 상단 날개
1953, 2120: 중단 날개 1954, 2070, 2160: 필터부
1955, 2064, 2130: 고정 날개
1956, 2140: 하단 날개
2111: 경사 날개 2112, 2123: 평탄 날개
2113, 2121, 2132: 결합부 2122: 제1 경사 날개
2124: 제2 경사 날개 2131: 제1 고정 날개
2133: 제2 고정 날개 2200, 2300: 배출배관
2220, 2320: 배관 세척장치 2221: 노즐
2222: 주입구 2223: 패킹
100: food waste treatment device 200: primary treatment device
210, 310: cover 220: sealing part
230: case 240: control unit
250: blocking plate 260: retaining ring
270: blade driving part 271: rotating shaft coupling part
272: blade 273: cap
274: oil chamber 275: first outlet
276: bearing 277: rotating shaft
278: torque generating unit 279: driving unit case
280: grinding housing 300, 610, 900, 1000: fixed part
320: sensor 330: signal generator
400, 500, 600, 700: primary fixing ring 420: hinge
412: hinge hole 422: hinge pin
430, 630: fastening portion 440: sub-arm
450, 740: light emitting unit 620: sink
741: light emitting device 742: substrate
910, 101: rubber 911: groove
912: extension 1100, 1900: secondary processing device
1110, 1310, 1910: shield 1120, 1220: secondary fixing ring
1130, 1930, 2030: water tank 1221: hinge pin
1222: hinge hole 1223: hinge part
1224: fastening portion 1225: sub-arm
1320: shielding body part 1330: cap part
1340: guide portion 1440, 1540: valve
1450: supply hole 1541: cover part
1542: elastic part 1543: coupling part
1544: hole 1545: engaging projection
1546: elastic portion coupling portion 1600, 1700, 1800: connection portion
1610, 1710, 1810: connection parts 1620, 1730, 1811: supply pipe
1675: first outlet 1685: supply unit
1720: Hall 1820: Home
1830: protrusion 1920: torque generating unit
1940, 2210, 22310: second outlet 1950: stirring unit
1951, 2050, 2150: shaft 1952, 2110: upper wing
1953, 2120: middle wing 1954, 2070, 2160: filter unit
1955, 2064, 2130: fixed wing
1956, 2140: lower wing
2111: inclined wing 2112, 2123: flat wing
2113, 2121, 2132: coupling portion 2122: first inclined wing
2124: second inclined wing 2131: first fixed wing
2133: second fixed blade 2200, 2300: exhaust pipe
2220, 2320: pipe cleaning device 2221: nozzle
2222: inlet 2223: packing

Claims (19)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1차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싱크대에 설치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분쇄하우징;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칼날부; 및
상기 고정부를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킬 수 있는 1차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1차 고정링은,
내부에 곡면을 가지는 복수의 서브암;
상기 복수의 서브암이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서브암을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복수의 서브암의 양 끝단을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1차 고정링은 상기 복수의 서브암의 내측에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1차 고정링의 중심을 향해 빛을 조사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분쇄하우징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primary treatment device for crushing food waste,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 fixing part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sink and into which food waste can be put;
a crushing housing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can accommodate the inputted food waste;
a blade unit disposed inside the crushing housing and crushing the accommodated food waste; and
and a primary fixing ring capable of fixing the fixing part to the sink;
The first fixing ring,
a plurality of sub-arms having a curved surface therein;
a hinge par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b-arms so that the plurality of sub-arms can rotate;
and a fastening part for coupl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sub-arms;
The primary fixing ring includes a light emitting part inside the plurality of sub-arm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s arranged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first fixing ring; and
A flexible substrat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evices,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inside of the crushing housing,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처리장치는,
상기 칼날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회전력생성부 및 상기 자외선 발광부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blade part; and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irradiating visible light,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자외선 발광부와 상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가 교차하여 배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element irradiating the visible light cross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부와 상기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발광소자는, 상기 제어부의 상이한 신호에 따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visible light operate independently according to different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1차 고정링의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상기 고정부 내부로 적어도 일부분 투과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may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primary fixing ring into the fixing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 가능하고, 측면에 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신호발생부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신호발생부와 상기 센서가 대향되도록 배치하는 경우, 상기 센서는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면 회전력생성부를 구동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ver including a signal generator on the side,
The fixing unit includ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signal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When the cover is rotated to arrange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sensor to face each other, the sensor detec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when receiving the signal, driv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하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자외선 발광부는 하방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고정부 내부를 살균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r side of the cover,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par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of the cover can sterilize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by irradiating the ultraviolet rays dow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에는 항균필름이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ntibacterial film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부면에 결합가능한 러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러버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이며,
상기 러버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ubber that can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The rubb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side,
The rubber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o absorb vibrations of the fixing uni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의 내부면에는 항균필름이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 antibacterial film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ubber, a food waste treatmen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2차 처리장치; 및
상기 1차 처리장치와 상기 2차 처리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1차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를 덮는 차폐부;
상기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생성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secondary processing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primary processing device and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The secondary processing device,
a water storage tank accommodating the food waste treated in the primary treatment device;
a shield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water tank;
a stirring unit dispos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to agitate the accommodated food waste; and
and a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the stirring unit.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장치는, 상기 저수조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condary treat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교반이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로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자외선 발광부는 상기 필터부 하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stirring unit includes a filter unit that passes the food waste after the stirring has been completed to the lower part,
The ultraviolet light emitting unit included in th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0200110700A 2020-08-31 2020-08-31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00A KR102275831B1 (en) 2020-08-31 2020-08-31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00A KR102275831B1 (en) 2020-08-31 2020-08-31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31B1 true KR102275831B1 (en) 2021-07-09

Family

ID=7686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00A KR102275831B1 (en) 2020-08-31 2020-08-31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83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861A (en) * 2003-03-27 2004-12-09 Shin Meiwa Ind Co Ltd Apparatus for hanging/supporting disposer
JP2006289215A (en) * 2005-04-07 2006-10-26 Inax Corp Disposer
JP2008200559A (en) * 2007-02-16 2008-09-04 Zest Japan Co Ltd Disposer
KR20090060872A (en) * 2007-12-10 2009-06-15 이도경 Kitchen sink apparatus for draining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KR101546769B1 (en)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KR20160053227A (en) * 2014-10-31 2016-05-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 Sterilizer for Sink Drain
KR101814189B1 (en) *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20200094562A (en) * 2019-01-30 2020-08-07 차일수 Clamp for gas piping with gas sensing uni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4861A (en) * 2003-03-27 2004-12-09 Shin Meiwa Ind Co Ltd Apparatus for hanging/supporting disposer
JP2006289215A (en) * 2005-04-07 2006-10-26 Inax Corp Disposer
JP2008200559A (en) * 2007-02-16 2008-09-04 Zest Japan Co Ltd Disposer
KR20090060872A (en) * 2007-12-10 2009-06-15 이도경 Kitchen sink apparatus for draining having a sterilization function
KR20160053227A (en) * 2014-10-31 2016-05-1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A Sterilizer for Sink Drain
KR101546769B1 (en) * 2014-12-05 2015-08-24 주식회사 멈스전자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KR101814189B1 (en) *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20200094562A (en) * 2019-01-30 2020-08-07 차일수 Clamp for gas piping with gas sens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2799B2 (en) Garbage disposal equipment
KR101907639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069240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546760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cleaning hole of stirring net using water jet
KR101579963B1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227582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4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960013342B1 (en) Organic mat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2275833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25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200410491Y1 (en)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using microbe
KR102275831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1902357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KR101902358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deodorization pipe
KR102311767B1 (en) Device for treating organic matter
KR101413810B1 (en)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KR20150124296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20160002960U (en)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uv module and the blades that runs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t the same time on the same axis.
KR101752816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water softner
KR100748853B1 (en) Food garbage crusher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20140145220A (en) apparatus of food waste disposal
KR101703160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bypass pipe
KR101682059B1 (en) Kitchen waste disposer
KR102466335B1 (en) Treat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2537618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