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769B1 -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769B1
KR101546769B1 KR1020140173892A KR20140173892A KR101546769B1 KR 101546769 B1 KR101546769 B1 KR 101546769B1 KR 1020140173892 A KR1020140173892 A KR 1020140173892A KR 20140173892 A KR20140173892 A KR 20140173892A KR 101546769 B1 KR101546769 B1 KR 10154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irring
food waste
cover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멈스전자
이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멈스전자, 이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멈스전자
Priority to KR1020140173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769B1/en
Priority to CN201580000438.2A priority patent/CN106460376B/en
Priority to PCT/KR2015/001627 priority patent/WO201608893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7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using microorganisms, comprising: a chamber formed as an empty box, having, at an upper part, an inflow par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rainage hole of a sink to introduce food waste, including a microorganism chip on top of a stirring net having multiple holes formed therein, decomposing the food waste by stirring the introduced food waste together with microorganisms melted from the microorganism chip via the rotation of stirring blades, and having, at a lower part, a discharge part connected to a drainpipe to discharge sewage and solids, which are the decomposition product of the food waste; a cover arranged to be able to open or close the inflow part and a safety sensor formed at one side of the inflow part in contact with the cove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cover is open; and a control part for stopping the stir of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by stopping the rotation of stirring blades if the safety sensor detects that the cover is open while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are being stirred by rotating the stirring blades. The food waste disposal device includes a safety sensor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over is o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controlling operation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over is open, wherein the safety sensor is attached to the cover, damage to a hand can be prevented when the hand is put into the device, by stopping stir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food or microorganisms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to the outside.

Description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은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cover and controll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hen the cover is opened, stirring is stopped to prevent injury when the user puts his / her hand int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whether the food waste or microorganisms are prevented from coming out can be detected,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본 발명은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최근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국시행과 런던협약 발효에 따른 해양투기 금지 등으로 전국 지자체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년간 1조원 이상의 예산을 소요하고 있다. 하루에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2012년 기준으로 1만 4천여 톤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 % 에 달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이 개발되어 시행되어 있다.In recent years, local governments have spent more than KRW 1 trillion a year on food waste disposal due to the nationwide enforcement of the food waste disposal system and the prohibition of marine dumping due to the entry into effect of the London Convention. The amount of food waste generated in Korea per day is 14,000 tons as of 2012, accounting for 28.7% of total waste.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food waste dispos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음식물을 건조시키커나 냉동시키는 방법은 1차 처리 후 남은 쓰레기를 다시 배출하는 2차 처리가 있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처리방법이 되지 못한다.The method of cooking or freezing the food when it is dried is not an essential treatment method since there is a secondary treatment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waste after the first treatment.

디스포저 방식이라 불리는 음식물 분쇄방식은 미국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방식으로 하수구의 불법 개조가 필요하고 제품의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food pulverizing method called disposer method is widely use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lik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llegal modification of the sewer is needed in a way that is not suitable to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life of the product is short.

고온 미생물방식은 미생물을 이용해 음식물을 퇴비로 만드는 방식이지만 악취가 발생하고, 음식물에는 염분이 있어 실질적으로 퇴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high-temperature microbial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food into compost using microorganisms, but there is a problem that odor is generated and food is saline, which is not suitable for practical use as compost.

가장 최근에 사용되는 방식인 액상 미생물방식은 모든 음식물이 미생물과의 교반에 의해 소멸되어 액체상태로 배출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액상 미생물방식은 미생물의 배양 및 활성화 조건인 일정한 습도, 일정한 온도, 산소공급을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most recently used method, the liquid microorganism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ll foods are extinguished by stirring with microorganisms and discharged into a liquid stat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microorganism method requires constant humidity, constant temperature, and oxygen supply, which are the cultivation and activation conditions of microorganisms.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7524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07524 and the like, but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not presen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a safe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cov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when the user puts his or her hand into the apparatus and controlling whether the apparatus is driven or no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which is equipped with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at one side of a cover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stopping stirring when the cover is opened to prevent food or micro- And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controlling whether the door is driven or no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hich includes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at one side of a cover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automatically starts stirring when the cover is closed after being opened again. And a safe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미생물칩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칩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유입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맞닿는 유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 및 상기 교반익이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 중인 상태에서 상기 안전센서에서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을 중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중이던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되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커버가 폐쇄되어 상기 안전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을 다시 재개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는 교반축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교반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이 설치된 챔버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상기 교반망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과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체결부, 탄성부 및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교반축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과 상기 챔버 및 교반망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조각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과 수직이거나 상기 탄성부와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히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챔버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양모드는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 내부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부개폐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챔버는 수위센서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챔버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를 클로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챔버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에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초음파발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는, 상기 챔버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진자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초음파발진자에서 고형물 분해파장을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오수분무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분무호스는 상기 챔버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의 내부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분무호스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를 통해 교반망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분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microorganisms, wherein the interior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is formed of a hollow housing,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is fastened to a lower end of a sink drain, A microbial chip is provided on a stirring net having a plurality of pores formed therein and the food waste is decomposed by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 flowing in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and the microorganisms dissolved from the microbial chip A chamber connected to a drain pipe at a lower portion to form an outlet for discharging wastewater and solid matter as a result of decomposition of the food waste; A safety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inflow portion contacting the cover to detect whether the cover is open or closed; And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to stop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s and the microorganisms when the safety sensor senses that the cover is opened when the stirring wool rotates and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are stirring. Wherein when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are being stirred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the cover is open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and then the cover is closed again and is sensed by the safety sensor, Wherein the agitating shaft is further rota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agi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agi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stirring shaft is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of the chamber other tha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hamber in which the stirring net is installed and the stirring shaft rotat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motor driven by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the stirring shafts are fixed to the stirring shafts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not to contact the stirring shafts, Wherein the stirring portion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an elastic portion, and a blade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astened to the stirring shaft through one end by welding or bolt-joining, Wherein when the food wastes are stuck between the agitating wings and the chamber and the agitating net, the wastes are bent and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wherein the blade portion is fastened to the elastic portion, And the food wastes between the chamber and the stirrer are rotated while being agitated while stirring the microorganisms and the food wastes. The blade direction of the knife portion is parallel to the stirr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r forms an angle of 45 [deg.] With the elastic part Wherein the heating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and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heating member when a predetermined time or a culture mode is selected by a user so that the chamber internal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chamber so as to mainta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he culturing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organism is in a freeze-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inside of the chamber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DEG C under conditions for dissolving the food waste in a state capable of decomposing the food waste, And the culture mode is not selected by the user, Wherein the temperature is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rang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range and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s within a range from 10 to 15 And a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valve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and the chambe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and a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is install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side Wherein the water level sensor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on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Wh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energized through the wastewater in the chamber, a second electrode is provided for a predetermined time Closing valve is opened and the solenoid valve is driven, and if the energization is not performed, the discharging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is closed, and the water level sensor is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through the contro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ection drives the discharge section opening / closing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through the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wherein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 microparticle water mist apparatus, wherein the microparticle water mist apparatus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the inlet has a circular double pipe shape protruding from the chamber, a circular inlet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chamber to the chamber at the center, A donut-shaped inlet port penetrating to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 first inclined portion of a cylindrical shape incline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to the inlet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Wherein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n ultrasonic oscillator,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dispos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the solid material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is decomposed, And the ultrasonic oscillator drives the ultrasonic oscillat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ltrasonic oscillator periodically operates. By generating the solubilization wavelength at the ultrasonic oscillator, the solids are decomposed to prevent the solid matter from accumula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ber And the wastewater spray hose is dispos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moves the waste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hrough the stirring net upward through the pump to spray the inside of the stirring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o that the sewage spraying hose periodically operates, wherein the homogenizing microorganisms flowing into the sewage are discharged through the pump And is sprayed from the upper side so that microorganisms are distributed on the food waste upon stir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상기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로 손을 집어 넣었을 때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cover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when stirring is stopped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a hand is put int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to prevent the player from being injured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garbage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되면 교반을 중지시켜 장치 외부로 음식물 또는 미생물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cover is opened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cover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nd when the cover is opened, stopping of stirring to stop food or microorganisms from coming out of the apparatus, And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or no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커버의 일측에 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부착해 커버가 개방된 후 다시 폐쇄되면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And a safety sensor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food waste is trea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의 내부 상측을 나타낸 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립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양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outer side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inlet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ow por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upper portion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portion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 end portion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wage flow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tomiz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irring blade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selecting a sleep mode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selecting a culture mode,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Chambe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 외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와 제2경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챔버의 내부 상측을 나타낸 저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망을 제거한 챔버의 하단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오수 흐름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분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슬립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양모드 선택시 작동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부에 관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chamber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and closed to control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hamber of the base unit. FIG. 6 is a view showing a bottom portion of the chamber outside the chamber of the base treatment apparatus, and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let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end portion of a chamber in which a stirring net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to be adjusted is removed.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end portion of a chamber from which a stirring net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wage flow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blade of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for sensing whether a user is driving or not; and FIG. 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safety sens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우징(110), 챔버(120), 유입부(140), 배출부(147), 교반망(150), 교반축(160), 교반익(170), 미생물칩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chamber 120, an inlet 140, a discharge unit 147, a stirring net 150, A stirring shaft 160, a stirring wedge 170, a microbial chip, and a control unit 2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고, 하우징(110), 챔버(120), 유입부(140), 배출부(147), 교반망(150), 교반축(160), 교반익(170), 미생물칩 및 제어부(200)를 포함한다.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chamber 120, an inlet 140, a discharge unit 147, a stirring net 150, A stirring shaft 160, a stirring wedge 170, a microbial chip, and a control unit 200.

하우징(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형태로,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및 기타 불순물 등이 투입되는 투입홀이, 하부에는 배수관으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다.The housing 110 is formed as a cas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hole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and other impurities are introduced through the sink outlet, and a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waste water and solid matter are discharged.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챔버(120)와 제어부(200)가 배치된다.A chamber 120 and a control unit 200 ar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110.

상기 챔버(12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 내에는 일정한 양의 물과 미생물 칩이 항시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칩에서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고, 상기 챔버(120)의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싱크대 배수구와 체결되는 유입부(140)가, 상기 챔버(120)의 하부에는 하수구와 연결되어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오수 및 고형물 형태로 배출되는 배출부(147)가 각각 구비된다.The chamber 120 is formed with an empty space therein.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microbial chips are always present in the empty space, food waste is mixed with the microorganisms dissolved in the microbial chip, And an inlet 140 connected to the sink outlet so that the food waste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hamber 120. The lower portion of the chamber 120 is connected to the drain, And a discharge portion 147 through which waste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waste water and solid matter.

이때, 교반이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물질을 외부적인 기계 에너지를 사용하여 균일한 혼합상태로 만드는 일을 일컫는다.In this case, stirring means to make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into a uniform mixture state by using external mechanical energy.

바람직하게는, 1시간에서 24시간 정도의 교반 후, 음식물 쓰레기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오수 및 미세한 고형물 형태가 되고, 상기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Preferably, after stirring for about 1 to 24 hours, the food waste is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s into a wastewater and a fine solid matter, and is discharged to the drain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7.

상기 유입부(140)는 상기 챔버(120)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141)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120)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41)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14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45)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141)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42)에는 상기 투입구(141)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143)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45)와 이어지며, 상기 유입부(140)의 내측면 중앙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나사산(144)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 배수구의 외측면에 상기 유입부(140)가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The inlet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double pipe protruding from the chamber 120. A circular inlet 141 is formed at the center through the chamber 120, A donut-shaped inlet 145 penetrating to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is formed. A first inclined portion 142 in the form of a colum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145 and incline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to the inlet 141. The first inclined portion 142 is provided with an inlet A plurality of inflow holes 143 are formed toward the center of the inflow portion 141 so as to connect to the inflow port 145. A plurality of threads 144 are form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flow portion 140, So that the inlet 140 is inserted in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상기 유입구(145)의 저면에 해당하는 상기 챔버(120)의 외측 상부면에는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부(146)가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된 물받이부(123)와 이어지는데 상기 물받이부(123)는 상기 투입구(141) 및 챔버(120)와는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147)와 연결된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6 is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chamber 12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inlet 145 and connect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3 formed in the chamber, (123) is formed as a space separated from the inlet (141) and the chamber (120),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147).

상기 챔버(120)의 투입구(14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13)는 상기 투입구의 크기와 형태에 상응하고 가운데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113)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상기 투입구(141)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챔버(120)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폐쇄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입홀(143)을 통해 상기 물받이부(123)로 오수를 흘려 보낼 수 있다.The cover (113), which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141) of the chamber (120), has a middle handl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inlet. The food was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141 while the cover 113 is opened and the food was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hole 143 when the cover 113 is closed. The water can be poured.

즉,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일반적인 설거지나 음식 준비 등을 할 때 발생하는 오수는 상기 투입구(141)를 상기 커버(113)로 폐쇄한 상태에서 싱크대 하수구를 통해 배출한다. 배출된 오수는 상기 유입홀(143)을 통해 상기 유입구(145)를 통과하여 상기 제2경사부(146)를 따라 흘러 상기 물받이부(123)로 배출된다.That is, the user discharges the sewage generated when the general dishwashing or food preparation is performed in the sink through the sink drain in a state where the inlet 141 is closed by the cover 113. The discharged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inflow hole 143, the inflow hole 145,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6, and is discharged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3.

이때, 상기 커버(113); 및 상기 커버(113)와 맞닿는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 에는 안전센서(114)가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ver 113; And one side of the inlet (141) abutting on the cover (113); A safety sensor 114 is formed.

상기 안전센서(114)는 상기 챔버(120)를 개방하기 위해 커버(113)가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으로부터 분리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교반익(170)을 회전시키는 모터(3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sensor 114 senses the cover 113 when the cover 113 is separated from the one side of the inlet 141 to open the chamber 120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The driving of the motor 300 for rotating the stirring wing 170 is stopped to stop the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s and the microorganisms.

즉, 상기 챔버(12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거나 챔버(120) 등을 수리하기 위해 상기 커버(113)를 열 경우 사용자가 회전하는 교반익(170)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도 있고, 교반중이던 음식물 쓰레기 또는 미생물이 원심력에 의해 챔버(120) 외부로 튀어 나올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한다.That is, when the cover 113 is opened to insert the food waste into the chamber 120 or to repair the chamber 120,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rotating stirring wing 170, Food waste or microorganisms may be ejected out of the chamber 120 by centrifugal force. In order to prevent this, when the cover 113 is opened, it senses it and stops the stirring of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또한,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중이던 상태에서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어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상기 챔버(120)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13)와 상기 투입구(141)의 일 측을 접촉시키면 상기 안전센서(11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300)의 작동을 재개시켜 교반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are stirred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ax 170, the cover 113 is open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ax 170, and then the chamber 120 is closed again The safety sensor 114 detects the safety sensor 114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When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signal, 300) is restarted to start stirring.

즉, 작동 중이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에서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었다가 다시 폐쇄되면 상기 안전센서(114)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200)로 커버 폐쇄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200)는 상기 커버 폐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교반익(170)을 회전시키는 모터(300)를 구동시킨다.That is, when the cover 113 is opened and then closed again in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100 in operation, the safety sensor 114 senses it and transmits a cover close signal to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the cover close signal, and drives the motor 300 that rotates the stirring wing 170.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투입이나 장치의 A/S 등을 위해 상기 커버(113)가 개방되어 교반이 정지된 후 음식물 쓰레기 투입이나 장치의 A/S가 끝난 뒤 다시 상기 커버(113)를 폐쇄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교반을 다시 시작하여 장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cover 113 is clo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food waste or the A / S of the device after the cover 113 is opened for stirring the food waste or the A / S of the apparatus, The stirring operation can be resumed automatically without any operation for driving the evaporator,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apparatus.

또한, 상기 커버(113)가 폐쇄되어 있지만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부(200)가 작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별도의 구동을 위한 조작 없이도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모터(300)의 구동을 시작시켜 자동으로 교반을 시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the cover 113 is closed but the power is off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control unit 200 can be operated, the control unit 200 can perform the operation The stirring of the motor 300 may be started automatically.

이때, 상기 안전센서(114)는 접촉식 센서인 마그넷 센서를 이용한다.At this time, the safety sensor 114 uses a magnet sensor which is a contact type sensor.

상기 마그넷 센서는 도어나 창 등 개폐하는 장소에 설치하여 침입자를 검지하는데 주로 쓰이는 검지기이고, 자석부와 스위치부로 이루어져 자석부와 스위치부가 서로 접근하거나 떨어지면 전기 접점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The magnet sensor is a detector used mainly for detecting an intruder by being installed at a place where a door or a window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magnet portion and the switch portion come close to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the electric contact is opened or closed.

상기 자석부는 상기 커버(113)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자석부(191)와 대응되는 투입구(14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 un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113, and the switch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charging port 141 corresponding to the magnet unit 191.

상기 안전센서(114)는 상기 마그넷 센서 이외에도 비접촉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afety sensor 114 may use a non-contact type sensor in addition to the magnet sensor.

상기 챔버(120) 내부에는 교반망(150), 교반축(160) 및 교반익(170)이 구비된다.In the chamber 120, a stirring net 150, a stirring shaft 160, and a stirring wing 170 are provided.

상기 교반망(150)은 상기 챔버(120)의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중간부에서 음식물 쓰레기 및 미생물이 쌓여 분해되도록 단면이 U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교반망(150)에는 복수개의 타공(151)이 형성된다.The stirring net 150 is fix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chamber 120 and is formed in a U-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accumulate in the middle portion to be decomposed. In the stirring net 150, 151 are formed.

이때, 상기 타공(151)은 상기 교반망(150)의 단면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되지 않은 미생물이 상기 타공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forations 151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cross-sectional center line of the stirring net 150 so that microorganisms not stirred with the food waste may be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erforations.

또한, 상기 타공(151)은 상기 교반망(150)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올수록 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타공(151)의 형태는 원뿔대 또는 각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상기 타공(151)에 끼었을 경우 끼지 않은 반대측 타공(151)의 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분해된 결과물인 고형물이 용이하게 타공(151)을 빠져나갈 수 있고, 상기 타공(151)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려있다 하더라도 상기 교반익(170)에 의한 교반으로 교반망의 내측으로 다시 나오거나 교반망의 외측으로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erforations 151 are formed so as to increase in area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stirring net 150, and the perforations 151 are formed in a truncated cone or pyramid. As a result, when the food waste or the solid matter as a result of disintegration is trapped in the perforation 151, the diameter of the opposite side perforation 151 is larger, so that the food waste or the solid matter, It is easy to come out to the inside of the agitating net by the agitation by the agitating wedge 170 or to completely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agitating net even if it is caught without coming out of the perforation 151.

상기 교반축(160)은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150)이 설치된 챔버(120)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된다.The stirring shaft 160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200 and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net 150. The stirring shaft 160 is connected to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Respectively.

상기 교반축(160)은 제어부(200)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300)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irring shaft 160 is rotated by a motor 300 driven by a command of the controller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이때, 챔버(120)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효과적인 교반을 위해 상기 교반축(160)의 회전 방향이 중간에 바뀔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irring shaft 160 may be change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for effective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put into the chamber 120.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망(150)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15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160)에 복수 개 고정되고, 특히 상기 교반축(160)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익(170)은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축(160)과 90°가 아닌 일정한 각도를 이룰 수도 있다.A plurality of the stirring wings 170 are fixed to the stirring shaft 16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irring net 150 so as not to contact the stirring net 150, . The stirring wing 170 may be formed at an angle other than 90 ° with respect to the stirring shaft 160 in order to effectively stir the food wastes.

또한, 상기 교반익(170)은 체결부(171), 탄성부(172) 및 칼날부(173)를 포함한다.The stirring wing 17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71, an elastic portion 172, and a blade portion 173.

상기 체결부(171)는 상기 교반축(160)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 등을 통해 체결된다.The fastening portion 171 is fastened to the stirring shaft 160 at one end thereof by welding or bolt joining.

상기 탄성부(172)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고강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170)과 상기 챔버(120) 및 교반망(150) 사이에 부피가 크거나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교반익의 무리한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익이나 챔버, 교반망이 손상되지 않도록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한다.The elastic portion 172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such as a high strength spring so that the volume between the stirring blade 170 and the chamber 120 and the stirring net 150 is large If solid food waste is caught, it is bent by the food waste so that the stirring blade, the chamber, and the stirring net are not damaged by the excessiv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칼날부(173)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날카로운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잘게 조각내준다.The knife portion 173 is fastened to the elastic portion and is provided as a sharp blade member at both ends to agitate the microorganism and the food garbage, and the food garbage having a large volume between the chamber and the stirring blade is finely mined .

이때, 상기 칼날부(173)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160)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160)과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lade direction of the blade portion 173 may be parallel to the stirring shaft 160 or perpendicular to the stirring shaft 160.

또는, 상기 칼날부(173)의 방향은 상기 탄성부(172)와 45° 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rection of the knife portion 173 may be set at 45 degrees with the elastic portion 172.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축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이때, 상기 교반익(170)은 상기 교반축(160)과 함께 회전하여 챔버 내의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과 빠르게 교반해 주고, 부피가 큰 음식물 쓰레기를 작게 조각 내어 미생물과 접촉하는 단면이 넓어져 좀 더 신속하게 분해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stirring wicks 170 are arranged on the stirring shaft at regular intervals. At this time, the stirring wing 170 rotates together with the stirring shaft 160 to rapidly stir the food waste in the chamber with microorganisms , The bulky food waste is sculpt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microorganisms in contact with the wastes is widened so that it can be decomposed more quickly.

또한, 상기 탄성부(172) 및 칼날부(173)는 상기 교반익(170) 전체에 걸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elastic portion 172 and the blade portion 173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agitation blade 170.

즉, 체결부(171)의 타단에 탄성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70)이나 체결부(171)의 타단에 칼날부재만 체결된 교반익(170) 중 사용자의 사용 목적이나 기대되는 효과에 따라 선호되는 교반익(170)을 설치할 수 있다.That is,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or expected effect of the user among the stirring blade 170 having only the elastic member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71 or the stirring blade 170 having only the blade member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71, A preferred stirring wick 170 may be provided.

상기 미생물칩은 물에 녹지 않는 고형물 내에 미생물이 흡수되어 있고, 미생물은 상기 챔버(120) 내로 공급된 물에 의해 상기 고형물로부터 녹아 나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한다. 또한, 상기 고형물에는 복수개의 미세한 타공이 형성되어 타공 내로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된 미생물이 투입되어 미생물이 계속해서 배양될 수 있도록 한다.The microbial chip has microorganisms absorbed in water-insoluble solids, and the microorganisms are dissolved from the solids by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hamber 120 and stirred together with the food garbage to decompose the food garbag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icro pores are formed in the solid material, and the microorganisms stirred with the food waste are poured into the pores so that the microorganisms can be continuously cultured.

상기 미생물은 호기성 미생물(aerobe)로 공기 중에 산소가 존재하면 되고, 호기성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속도가 빠르고 유기물을 이산화탄소와 열로 바꾸기 때문에 암모니아와 같은 악취가 혐기성 미생물에 비해서는 현저히 적게 발생한다.The microorganisms are aerobic microorganisms in which oxygen exists in the air, aerobic microorganisms decompose organic matter rapidly, and organic matter is converted into carbon dioxide and heat, so that odor such as ammonia is remarkably less than anaerobic microorganisms.

또한, 상기 챔버(120)는 바닥부(121), 차단벽(미도시),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 솔레노이드밸브(125), 냄새센서(126), 수위센서(127), 습도센서(128), 초음파발진자(129), 산소발생부(130), 분사기(131), 히팅부재(133), 바이패스홀(135) 및 오수분무호스(136)를 포함한다.The chamber 120 also includes a bottom 121, a blocking wall (not shown), a fine particle water mist 124, a solenoid valve 125, an odor sensor 126, a water level sensor 127, a humidity sensor 128, an ultrasonic oscillator 129, an oxygen generator 130, an injector 131, a heating member 133, a bypass hole 135, and a water spray hose 136.

상기 바닥부(121)는 상기 챔버(120)의 바닥면으로 상기 교반망(1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반망(150)으로부터 오수 및 고형물이 유입되고, 경사진 바닥부(121)로 유입된 오수 및 고형물은 상기 바닥부(121)의 일측에 형성된 홀 형태의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The bottom part 121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stirring net 150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20 to allow the wastewater and the solid material to flow from the stirring net 150 and flow into the inclined bottom part 121 The discharged wastewater and solids are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a hole-shaped discharge portion 147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121.

또는, 차단벽(미도시)이, 상기 바닥부(121)와 교반망(150) 사이에서 상기 교반망(150)의 단면 중심선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21)는 상기 차단벽(미도시)을 중심으로 양측 공간이 서로 이어지면서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부(147)로 흘러가도록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을 통해 오수 및 고형물이 유입되는 측에서부터 경사가 시작되어 상기 배출부(147)가 형성된 바닥부(121)에서 경사가 끝나 가장 낮도록 구비될 수 있다.Or a blocking wall (not show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cross-sectional center line of the stirring net 150 between the bottom 121 and the stirring net 150, (Not show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lope can be formed so that wastewater and solids flow to the discharge part 147. [ That is, the slope may start from the side where the wastewater and solid matter are introduced through the perforations 151 of the stirring net 150 and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bottom portion 121 formed with the discharge portion 147 has the lowest slope have.

상기 배출부(147)에는 배출부개폐밸브(148)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47)를 개폐시킨다.A discharge port opening / closing valve 148 is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147 to open / close the discharge port 147.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상기 챔버(120)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120)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The fine particle water spraying device 124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120 and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to supply water into the chamber 120.

또한,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호스 형태이고, 상기 챔버(120)의 상측을 향하여 물을 분무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icroparticulate water spraying device 124 is in the form of a hose and is formed to spray water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120.

이때,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는 물을 미세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상기 챔버(120) 내부의 미생물이 빠른 유속의 물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챔버(120) 내부를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로 유지시킨다.At this time, the microparticle water spraying device 124 spray water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to prevent the microorganisms in the chamber 120 from being lost by water at a high flow rate, Maintain humidity optimized for the environment.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챔버(120) 내부가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상기 챔버(120) 내부로 물을 분무한다.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micro-particle water spraying device 124 to inject water into the chamber 120 at a predetermined period so that the inside of the chamber 120 can be maintained at a humidity optimum for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microorganism. Lt; / RTI >

여기서, 미생물의 생존환경에 최적화된 습도 범위는 40 내지 8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umidity range optimized for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microorganism is preferably 40 to 8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5)는, 상기 챔버(120)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147)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147)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147)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한다.The solenoid valve 125 is install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120 to the discharge portion 147 and injects water at a preset water pressure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147 to remove solids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ortion 147 do.

상기 냄새센서(126)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챔버(120) 내부의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측정한다.The odor sensor 126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12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in the chamber 120.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냄새센서(126)에서 측정되는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범위 이상이면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물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If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measured by the odor sensor 126 is i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range or more, the controller 200 further performs a function of flowing water through the fine particle water spraying device 124.

여기서, 상기 냄새센서(126)를 통해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물을 분무하여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낮춰 냄새발생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is out of the predetermined range through the odor sensor 126, water is sprayed to lower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to lower the odor generation.

이때, 냄새센서(126)란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혐기성세균에 의해 생성되는 황화수소, 메틸 메르캅탄, 디메틸황화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여 농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물을 분무하여 황화합물 가스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dor sensor 126 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 sulfide, etc. produced by the anaerobic bacteria is measured. When the concentration is out of a preset range, water is sprayed It is preferable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he sulfur compound gas.

상기 수위센서(127)는, 상기 챔버(120)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120)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148)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5)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148)를 클로징시킨다.The water level sensor 127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ode on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120 and a second electrode on the middle side of the chamber 120. In the chamber 120, Wh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energized, the discharging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148 is opened and the solenoid valve 125 is driven for a preset time, and wh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not energized, the discharging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148 is closed.

여기서, 상기 수위센서(127)는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148) 및 솔레노이드밸브(12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위센서(127)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148) 및 솔레노이드밸브(125)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level sensor 127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pening and closing valve 148 and the solenoid valve 125 through a control unit. (148) and the solenoid valve (125).

상기 습도센서(128)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The humidity sensor 128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120 and measures the humidity inside the chamber 120.

여기서, 습도센서(128)는, 챔버(12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챔버(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umidity sensor 128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120 for measuring the humidity inside the chamber 120.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습도센서(128)에서 측정되는 습도가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습도범위로 미리 설정된 습도범위 이하면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124)를 통해 물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f the humidity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28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humidity range for activating the microorganisms,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microparticle water sprayer 124 do.

상기 초음파발진자(129)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한다.The ultrasonic oscillator 129 is install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20 to decompose the solid material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20.

즉, 고형물 분해파장을 초음파발진자(129)에서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120)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해준다.That is, by generating the solubilization wavelength in the ultrasonic oscillator 129, the solids are decomposed to prevent the solids from accumula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20.

여기서, 초음파발진자(129)는 오폐수의 슬러지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고형물을 감량시키되, 액체매질에 초음파를 조사할 때 발생되는 케비테이션(Cavitation, 공동화현상)의 힘으로 고형물 입자구조에 물리,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고형물의 구조를 파괴하여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가용화하고 소화시켜 고형물을 감량하고 혐기성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한다.Here, the ultrasonic oscillator 129 reduces the amount of solids generated during the biological treatment of the wastewater sludge, and the effect of cavitation (cavitation) generated when ultrasonic waves are applied to the liquid medium, , Chemical changes are caused to break down the structure of solids, solubilize and digest degradable organic materials to reduce solids and prevent the growth of anaerobic microorganisms.

이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초음파발진자(129)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129)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drives the ultrasonic oscillator 129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set time period so that the ultrasonic oscillator 129 periodically operates.

상기 산소발생부(130)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120)의 하측에 쌓이는 오수를 전기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킨다.The oxygen generating unit 130 is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120 and generates oxygen by electrolyzing the wastewater accumul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120.

즉, 산소발생부(130)를 통해 인공적으로 챔버(120)의 내부에서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챔버(120) 내부의 유기성 황화합물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생물의 배양조건을 만족시켜준다.That is, oxygen is generated inside the chamber 120 artificially through the oxygen generating unit 130, thereby preventing the organic sulfur compound gas in the chamber 12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satisfying the culture condition of the microorganism .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산소발생부(130)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130)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200 may drive the ultrasonic oscillator 13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oxygen generator 130 periodically operates.

상기 분사기(131)는, 상기 교반망(150) 중 상기 타공(151)이 형성된 측의 하부와 상기 챔버(120)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다.The injector 131 is form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stirring net 150 on the side where the pores 151 are formed and a bottom portion of the chamber 120.

이때, 상기 분사기(13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교반망(150)을 향해 기 설정된 수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에 낀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악취 발생을 억제한다.At this time, the injector 131 receives water from the outside, injects water at a predetermined water pressure toward the stirring net 150, removes the food waste accumulated in the holes 151 of the stirring net 150, There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odor.

즉, 상기 분사기(131)는, 일단은 개방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타단은 밀폐된 파이프 형태이며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측면에는 공급받은 물을 상기 교반망(150)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분사홀(132)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분사홀(132)의 형태는 타원형 또는 분사되는 물이 상기 모든 타공(151)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분사기의 타단 방향으로 장축이 치우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In other words, the injector 131 is opened at one end to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is a closed pipe type. The injector 131 is provided at one side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for spraying the supplied water toward the stirring net 150 The shape of the injection hole 13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whose major axis is shifted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injector so that the elliptical or sprayed water can reach all the pores 151.

또한, 상기 분사기(131)는, 사용자에 의해 세척모드 스위치(미도시)가 선택될 때 작동하여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제어부(200)에 기 설정된 시간마다 작동하여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ayer 131 is operated when a washing mode switch (not shown) is selected by the user and spray water, or water is sprayed to the controller 20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상기 히팅부재(133)는, 상기 챔버(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120) 내부의 온도가 미생물 배양에 적당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heating member 133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120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0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suitable for microbial culture.

즉,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133)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120)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이때 상기 챔버(12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134)를 통해 챔버(120)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controller 200 operates the heating member 133 to allow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0 to fall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range when a predetermined time or a culture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120 is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134 installed in the chamber 120 to mainta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이때, 상기 배양모드란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120) 내부를 8시간 이상 30 내지 40 ℃ 의 온도로, 특히 38 ℃ 로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culture mode is a mode for activating the microorganism in a freeze-dri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microorganism is dissolved in water and capable of decomposing food waste,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120 is heated for 8 hours or more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 C, Lt; 0 > C.

따라서, 제1온도 범위는 미생물의 배양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30 내지 40 ℃ 범위이다.Therefore,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in the range of 30 to 40 占 폚, wher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is active.

즉, 음식물의 투입량이 거의 없을 때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하기 보다는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집중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하우징(110)에 구비된 배양모드 스위치(115)가 눌러지면 상기 챔버(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히팅부재(133)를 구동시켜 상기 챔버(120) 내부의 온도를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히팅한다.That is, when there is almost no amount of food,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housing 110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by a predetermined time or by a user to concentrate on culturing the microorganisms, rather than stirring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chamber 120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range by driving the heating member 133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120, do.

상기 히팅부재(133)는 실리콘 히터가 사용되어 상기 챔버(120) 외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히터는 히터 안에 고내열성의 텅스텐 저항체를 배치하고 세라믹으로 굳힌 구조를 말하고, 고내열성 및 고절연성이 뛰어나다.The heating member 133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120 using a silicon heat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o start or stop heating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0. The silicon heater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highly heat-resistant tungsten resistor is disposed in a heater and is hardened by a ceramic, and is excellent in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insulation.

또한, 상기 히팅부재(133)를 열선으로 구비하여 상기 챔버(120) 또는 교반망(150)에 열선을 균일하게 배치하고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200)의 신호에 의해 히팅을 시작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The heating member 133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wire so that heat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chamber 120 or the stirring net 15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o perform heating by a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0 You can start or stop.

또한, 새벽시간 등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작동에 의한 소음에 의해 수면에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된 배양모드 스위치(115)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교반축(160)의 구동을 중지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it may be disturbed by the nois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00 at the dawn time, the culture mode switch 115 provided in the housing 110 may be set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200 may stop driving the stirring shaft 160 to stop the stirring of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를 작동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은 교반되면서 35~52 dB의 소음이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생활소음 정도이지만 야간에 수면을 청하기엔 큰 소음이 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00 is operated,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are agitated to generate 35 to 52 dB of noise, which is a general noise level, but can be a great noise for sleeping at night

35 dB은 조용한 공원의 소음 크기이고, 수면에 거의 영향 없다. 40 dB은 냉장고 작동시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40 % 정도 수면깊이가 낮아지고, 50 dB은 사무실내 소음 또는 식당이나 백화점내의 소음 크기로 35 dB 기준으로 88 % 정도 수면이 낮아진다.35 dB is the noise level of a quiet park and has little effect on the water. 40 dB is the noise level of refrigerator operation, which is 40% lower than the 35 dB standard, and 50 dB is the noise level in the office or noise level in the restaurant or department store.

기존에는 이러한 교반에 의한 소음 때문에 사용자는 수면을 청하기 전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원을 꺼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럴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미생물이 살기에 부적당한 환경이 되어버리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효율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ast, due to the noise generated by such agitation, the user turned off the power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before asking for sleep, thereby preventing noise from occurring. However, in such a case,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becomes an environment unsuitable for living microorganisms, and the efficiency of food garbage disposal is reduce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00)는 기 설정된 시각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 스위치(Sleep mode, 116)가 선택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교반축(160)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킨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ontroller 2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tor for rotating the stirring shaft 160 for a preset time when the sleep mode switch 116 is selected by the user at a preset time, Stop stirring of garbage and microorganisms.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다시 모터의 작동을 재개시켜 상기 교반축(160)이 회전하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은 다시 시작된다.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unit 200 restarts the operation of the motor again so that the stirring shaft 160 rotates, and stirring of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starts again.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고, 일정 시간 동안 교반을 중지하는 방식 이외에도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는 교반 인터벌(interval)을 늘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preset tim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life pattern,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stirring interval for a preset time may be used in addition to a method of stopping stirring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싱크대에 구비된 조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슬립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도가 기 설정된 럭스(lux) 이하가 되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0 may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sleep mode by using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provided in the sink where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is installed, And stops the agitation of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when the illuminanc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lux.

즉,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가 설치되는 싱크대 외부에는 조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도센서(미도시)는 CdS센서를 사용하는데 CdS센서는 카드뮴(Cd)과 황(S)의 화합물인 황화카드뮴(CdS)이 주원료로 빛이 있으면 저항값이 낮아지고, 빛이 없어지면 저항값이 높아진다.That is,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ink where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is installed, and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At this time,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uses a CdS sensor, and when the CdS sensor is a light source of cadmium sulfide (CdS), which is a compound of cadmium (Cd) and sulfur (S) The resistance value becomes high.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134)를 이용하여 상기 히팅된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로 유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다시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200 monitors whether the temperature in the heated chamber is maintain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range for a preset time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34. If the temperature is outside the preset first temperature range, And the heating is performed.

즉, 상기 챔버(120) 내부에는 온도센서(134)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고, 챔버(12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즉, 미생물의 배양이 활발해지는 30 내지 40 ℃ 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지 모니터링한다. 상기 온도센서(134)가 상기 챔버(120)의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범위에서 벗어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히팅부재(150)를 이용해 다시 히팅하여 상기 제1온도 범위 내에 들도록 한다.That is, a temperature sensor 134 is provided in the chamber 120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00, and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range, that is, 30 to 40 Lt; RTI ID = 0.0 > C < / RTI > When the temperature sensor 134 sens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0 is out of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he heating member 150 heats again using the heating member 150 to reach the first temperature range.

이때, 잦은 히팅으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챔버(120)를 단열재로 구성하여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챔버(120)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consumed by frequent heating from increasing, the chamber 120 may be form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being lowered, thereby maintaining the chamber 120 at a constant temperature.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134)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12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120 is lower than a preset second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incuba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user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34, And the hea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becomes the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range.

즉, 동절기에는 온도가 낮아 미생물의 활동 저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챔버(12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온도센서(134)가 상기 챔버(120)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히팅부재(133)를 이용해 챔버(120) 내부를 히팅한다.That is, in the winter season, since the temperature is low, the odor due to the degradation of the microorganisms is liable to occur. To prevent this, the temperature sensor 134 provided in the chamber 12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chamber 120, The control unit 200 heats the inside of the chamber 120 by using the heating member 133.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heating unit 133 to heat the inside of the chamber 120. [

상기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활발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로 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range may be 10-15 DEG C, which is a temperature at which microorganisms actively decompose food waste.

상기 바이패스홀(135)은 상기 교반망(150)이 고정된 챔버(120)의 일측면 상부에 홀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되어, 상기 챔버(120) 내에 과도한 양의 물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바이패스홀(135)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한다.The bypass holes 135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holes in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fixed chamber 120 so that when the excessive amount of water is supplied into the chamber 120,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pass hole 135.

즉, 챔버(120) 내에서 넘치는 물이 싱크대 배수구로 역류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홀(135)을 통하여 상기 물받이부(123)로 흐르도록 유도하여 상기 챔버(120) 내의 물이 싱크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at is, the water in the chamber 120 flows back 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23 through the bypass hole 135 without flowing back to the sink drain, so that the water in the chamber 120 flows backwar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

상기 오수분무호스(136)는 상기 챔버(12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150)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120)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137)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150)의 내부에 분무한다.The wastewater spray hose 136 is install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hamber 120 and moves the waste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20 through the stirring net 150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pump 137 And sprayed into the stirring net 150.

즉,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137)를 통해 교반망(120)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mogeneous microorganisms flowing into the wastewater are spray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irring net 120 through the pump 137 so that the microorganisms are evenly distributed on the food wastes upon stirring.

여기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오수분무호스(136)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137)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200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driving the pump 137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so that the wastewater spraying hose 136 periodically operates.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싱크대 배수구와 연결된 유입부(140)를 통해 상기 챔버(120) 내부로 투입된다. 그 다음,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일정한 양의 물과 미생물칩이 구비된 상기 교반망(150)에 쌓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교반익(17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미생물칩에서 녹아 나온 미생물과 함께 교반된다. 그 다음,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의 교반이 완료되면 오수와 고형물이 남게 되고, 상기 교반망(150)의 타공(151)을 통해 배출된다. 그 다음, 배출된 오수와 고형물은 상기 경사진 바닥부(121)를 흘러 상기 배출부(147)를 통해 하수구로 배출된다.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First, the food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20 through the inlet 140 connected to the sink drain. Then, the introduced food wastes are accumulated in the stirring net 150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microbial chips. Then, the food waste is agitated together with the microorganisms dissolved in the microbial chip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170). Then,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nd the stirring of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is completed, the wastewater and solids remain, and are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ions 151 of the stirring net 150. The discharged wastewater and solids then flow through the inclined bottom portion 121 and are discharged to the sewer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147.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0 하우징 113 커버
114 안전센서 115 배양모드 스위치
116 슬립모드 스위치 120 챔버
121 바닥부 123 물받이부
124 미세입자 물분무장치 125 솔레노이드밸브
126 냄새센서 127 수위센서
128 습도센서 129 초음파발진자
130 산소발생부 131 분사기
132 분사홀 133 히팅부재
134 온도센서 135 바이패스홀
136 오수분무호스 137 펌프
140 유입부 141 투입구
142 제1경사부 143 유입홀
144 나사산 145 유입구
146 제2경사부 147 배출부
148 배출부개폐밸브 150 교반망
151 타공 160 교반축
170 교반익 171 체결부
172 탄성부 173 칼날부
200 제어부 300 모터
100 Food waste disposal system
110 Housing 113 Cover
114 Safety sensor 115 Cultivation mode switch
116 Sleep mode switch 120 Chamber
121 bottom part 123 water receiving part
124 Fine particle sprayer 125 Solenoid valve
126 Odor sensor 127 Water level sensor
128 Humidity sensor 129 Ultrasonic generator
130 Oxygen generator 131 Injector
132 injection hole 133 heating member
134 Temperature sensor 135 Bypass hole
136 Sewage spray hose 137 Pump
140 inlet 141 inlet
142 First inclined portion 143 Inlet hole
144 threads 145 Inlet
146 Second inclined portion 147 Discharge portion
148 Discharge section opening / closing valve 150 Stirring network
151 piercing 160 stirring shaft
170 stirring blade 171 fastening part
172 elastic portion 173 blade portion
200 controller 300 motor

Claims (3)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함체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싱크대 배수구의 하단에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교반망 상에 미생물칩이 구비되고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미생물칩으로부터 녹아 나온 미생물 간의 교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며, 하부에는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결과물인 오수 및 고형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챔버;
상기 유입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맞닿는 유입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센서; 및
상기 교반익이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 중인 상태에서 상기 안전센서에서 상기 커버가 개방되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을 중지시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반익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중이던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되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이 중지되었다가 다시 커버가 폐쇄되어 상기 안전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교반익의 회전을 다시 재개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 간의 교반을 시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는 교반축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교반축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교반망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교반망이 설치된 챔버의 내측면이 아닌 다른 양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은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에 의해 기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상기 교반망에 닿지 않도록 교반망과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상기 교반축에 복수 개 고정되고, 상기 교반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익은 체결부, 탄성부 및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교반축과 일단이 용접이나 볼트접합을 통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체결부의 타단에 일체로 결합되고 구비되어 상기 교반익과 상기 챔버 및 교반망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끼었을 경우 휘어진 다음 본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탄성부에 체결되고, 양단으로 칼날부재로 구비되어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면서 상기 챔버와 교반익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 회전하면서 조각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날부의 날방향은 상기 교반축과 평행하게 하거나 상기 교반축과 수직이거나 상기 탄성부와 45°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히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재는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이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히팅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제1온도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하고,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챔버 내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1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양모드는 동결건조 상태인 미생물을 물에 용해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는 상태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상기 챔버 내부를 30 내지 40 ℃ 의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각이 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배양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챔버 내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보다 낮아지면, 상기 챔버 내부의 온도가 상기 기 설정된 제2온도 범위가 되도록 히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온도 범위는 미생물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온도인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에는 배출부개폐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챔버는 수위센서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챔버 외부로부터 상기 배출부 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물을 미리 설정된 수압으로 분사하여 배출부에 쌓이는 고형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챔버의 하측에 제1전극이 설치되고, 상기 챔버의 중간측에 제2전극이 설치되어,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오수를 통해 제1전극과 제2전극이 통전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출부개폐밸브를 오픈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며, 통전되지 않으면 배출부개폐밸브를 클로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를 통해 제어부가 배출부개폐밸브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세입자 물분무장치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챔버 내부로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챔버로부터 돌출된 원형의 이중 파이프 형태로 중앙에는 원형의 투입구가 홀 형태로 상기 챔버까지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 외측으로는 상기 챔버의 외측 상부면까지 관통된 도넛츠 형태의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는 내측면 중앙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투입구 측으로 경사진 원주 형태의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에는 상기 투입구의 중심을 향하여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와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초음파발진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발진자는, 상기 챔버의 내부 밑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의 밑면에 쌓이는 고형물을 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발진자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초음파발진자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초음파발진자에서 고형물 분해파장을 생성함으로써, 고형물을 분해시켜 고형물이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챔버는 오수분무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수분무호스는 상기 챔버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교반망을 통과하여 상기 챔버의 저면에 쌓이는 오수를 펌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교반망의 내부에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수분무호스가 주기적으로 동작하도록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오수로 유입되는 호모성미생물을 상기 펌프를 통해 교반망의 상측에서 분무시킴으로써, 교반 시, 음식물 쓰레기 상에 미생물이 분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개폐를 감지하여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안전센서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microorganisms,
The microorganism chip is provided on a stirring net in which a plurality of pores are formed, and the microorganism chip is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stirring net, Wherein the food garbage is decomposed by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dissolved from the microbial chip, and a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at the lower part to discharge waste water and solid matter, which is the result of decomposition of the food garbage,
A safety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inflow portion contacting the cover and detecting whether the cover is open or closed;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and stopping the stirring between the food wastes and the microorganisms when the safety sensor detects that the cover is opened while the stirring wool rotates and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are stirring; Lt; / RTI >
Wherein,
When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are being stirred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the cover is opened to stop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When the cover is closed again and is sensed by the safety sensor,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wing is restarted And stirring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Wherein a stirring shaft is further provided in the chamber,
Wherein the stirring shaft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and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irring net and is fixed to the other inner side surface other tha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hamber provided with the stirring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rring shaft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motor driven by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plurality of the stirring blades are fixed to the stirring shaf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stirring mesh so as not to touch the stirring mesh, and are fix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stirring shaft,
Wherein the stirring ripe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an elastic portion and a blade por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stirring shaft is fastened through welding or bolt connection,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s bent when the stirring wedge is caught between the chamber and the stirring net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in the blade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lastic portion and is provided as a blade member at both ends so as to stir the food waste between the chamber and the stirring blade while stirring the microorganism and the food waste while rotating the stirring blade.
Wherein a blade direction of the blade portion is parallel to the stirring shaft, perpendicular to the stirring shaft, or at 45 [deg.] With the elastic portion,
Wherein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 heating member,
The heating member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heating member to allow the chamber internal temperature to fall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emperature range when a predetermined time or a culture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temperature is monitored in real time to mainta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he culture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30 to 40 DEG C under a condition for activating the microorganism in a lyophilized state dissolved in water and capable of decomposing food waste,
If the temperature in the chamber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econd temperature range in a state where the incubation mode is not selected by the user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not been reached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eating is performed so as to reach the set second temperature range,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s characterized by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microorganism decomposes the food waste, 10 to 15 ° C,
Wherein the discharge portion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to open / close the discharge portion,
The chamber including a water level sensor and a solenoid valve,
Wherein the solenoid valve is installed from the outside of the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ion and discharges water at a preset water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ion to remove solids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ortion,
The water level sensor include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chamber,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an intermediate side of the chambe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losing the discharge unit opening / closing valve and driving the solenoid valve during a predetermined time, and closing the discharge unit opening / closing valve if not energized,
Wherein the water level sensor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and a solenoid valve through the control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drives the discharge portion opening / closing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through a water level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 microparticulate water spray device,
The fine particle water spraying apparatus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and supplies wate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by receiving water from the outside,
The inlet has a circular double pipe shape protruding from the chamber, a circular inlet is formed through the hole to the chamber, and a donut-shaped inlet is formed outside the inlet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 first inclined portion of a cylindrical shape incline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ide to the inlet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a plurality of inflow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inclined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inle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rein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n ultrasonic oscillator,
Wherein the ultrasonic oscillator is dispos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decomposes the solid material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ultrasonic oscillat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ultrasonic oscillator periodically opera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ubilization wavelength is generated in the ultrasonic oscillator to decompose the solids to prevent the solids from accumulating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Wherein the chamber further comprises a sewage spraying hose,
The sewage spraying hose is install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and moves the sewage accumul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through the stirring net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pump to spray the inside of the stirring 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ump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sewage spraying hose periodically operates,
The microorganisms are distributed on the food waste by spraying the homogenous microorganisms flowing into the wastewater through the pump from the upper side of the stirring net to thereby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Food garbage disposal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73892A 2014-12-05 2014-12-05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KR1015467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2A KR101546769B1 (en) 2014-12-05 2014-12-05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CN201580000438.2A CN106460376B (en) 2014-12-05 2015-02-17 Device for processing food refuse
PCT/KR2015/001627 WO2016088939A1 (en) 2014-12-05 2015-02-17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92A KR101546769B1 (en) 2014-12-05 2014-12-05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769B1 true KR101546769B1 (en) 2015-08-24

Family

ID=5406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92A KR101546769B1 (en) 2014-12-05 2014-12-05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76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75B1 (en) * 2018-09-28 2019-07-11 한국토지주택공사 Smart recycling apparatus for underground reclamation applicable to detached house and commercial area and recyc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75826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1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CN115569564A (en) * 2022-12-07 2023-01-06 中延菌菇业(天津)有限公司 Automatic material pot of mixing of cultivateing material that can automatic unloa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65Y1 (en) * 2005-02-16 2005-06-07 (주)엠비엠피에스 Apparatus For Annihilating Garbage Using Microorganism
KR101445693B1 (en) * 2013-10-23 2014-10-01 주식회사 그린비 Food garbage dispo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065Y1 (en) * 2005-02-16 2005-06-07 (주)엠비엠피에스 Apparatus For Annihilating Garbage Using Microorganism
KR101445693B1 (en) * 2013-10-23 2014-10-01 주식회사 그린비 Food garbage dispos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75B1 (en) * 2018-09-28 2019-07-11 한국토지주택공사 Smart recycling apparatus for underground reclamation applicable to detached house and commercial area and recycl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20067851A1 (en) * 2018-09-28 2020-04-02 한국토지주택공사 Underground-laying smart recycling device applicable to detached house and shopping mall, and recycling device using same
KR102275826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1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CN115569564A (en) * 2022-12-07 2023-01-06 中延菌菇业(天津)有限公司 Automatic material pot of mixing of cultivateing material that can automatic unloading
CN115569564B (en) * 2022-12-07 2023-06-23 中延菌菇业(天津)有限公司 Automatic material mixing pot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culture materi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760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cleaning hole of stirring net using water jet
KR101620575B1 (en) Apparatus for whistle type food waste disposal
KR101620572B1 (en) Food waste processing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for keeping the temperature
KR101546762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microparticles water spray for optimized humidity environment for microbial survival
KR101546769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afety sensor to control the drive to detect whether cover open
KR101546770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irring wing with resilient member and blade
KR960013342B1 (en) Organic mat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546765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adjusting water spraying using odorant sensor
KR101276188B1 (e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KR101546766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decomposing the solids build up on the bottom of housing using ultrasonic vibrator
KR101902358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deodorization pipe
KR101902357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deodorization function
KR101546763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stirring net with hole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KR101546764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with dual drainage structure
KR101546761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including bypass hole
KR101546767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generating oxygen in the chamber via electrolysis
KR101752816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water softner
KR101703172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using grinder and microorganism
KR101703160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having bypass pipe
KR101546768B1 (en) Apparatus for food waste disposal heating inside of chamber during cultivation mode selection
KR20100051524A (en) Compressive and dehydrator of food waste
KR101703187B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with intergrated switch pcb and circuit pcb
JP4611466B2 (en) Organic waste decomposition treatment equipment for both fermentation decomposition treatment and underwater decomposition treatment
KR101703222B1 (en) Motor rpm control system for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by temperature sensor
CN106460376B (en) Device for processing food ref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