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639B1 -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639B1
KR101907639B1 KR1020170119767A KR20170119767A KR101907639B1 KR 101907639 B1 KR101907639 B1 KR 101907639B1 KR 1020170119767 A KR1020170119767 A KR 1020170119767A KR 20170119767 A KR20170119767 A KR 20170119767A KR 101907639 B1 KR101907639 B1 KR 10190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unit
food waste
stirr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해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
Priority to KR102017011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6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7/001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a sink drain; a filter unit which separates water and food waste by selectively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through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selectively dropping the food waste; and a rotation unit rotatably disposed on the filter unit to move the food was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treat the food waste by crushing the food waste, feeding microbes to the food waste, dividing the food waste, and sending the food waste to a sewer.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0001]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0002]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유기성 폐기물인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가 불가능하며, 중량이 크기 때문에 수거에 어려움이 따른다. 소각처리가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많은 연료가 소모되어 경제성이 없고, 완전하게 연소하기 어렵다. 또한, 소각할 때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물질이 다량 배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경우는, 대부분 부피가 커서 매립지의 사용 연수를 급격하게 줄어들게 하는 요인이 되고, 다량의 침출수가 발생함으로써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며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을 야기한다.Food waste, which is an organic waste, is emitted in large quantities from households and restaurants. These food wastes contain a large amount of water, so they can not be incinerated and they are difficult to collect because they are heavy. Even if incineration treatment is possible, much fuel is consumed, which is not economical and is difficult to completely burn.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such as dioxins, which are known to have a fatal impact on the human body, are emitted when incinerated. When food waste is buried, the bulk of the landfill is largely large, which causes a drastic reduction in the use period of the landfill, and a large amount of leachate is generated, causing a bad odor, causing soil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한편,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가축사료나 퇴비로 가공하는 기술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으나, 수분이 많아 수거와 가공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소에서 수거하기 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거나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 악취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의 온상이 되며, 수거시의 취급 부주의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흘러내려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echnologies for collecting food waste and processing them into livestock feed or compost have been actively proposed, but they are difficult to collect and process due to high water content. In addition, the food garbage is sto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until the food garbage is collected at the discharge site. In this process, the food garbage is decayed or not completely sealed, and the odor is generated, and it becomes a hotbed of fungi and bacteria, Food waste flows around and adversely affects the living environment.

따라서,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하지 않고 하수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하수 처리하는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구/개발이 요망되고 있다.Therefore, it is desired to research / develop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food waste discharged from a sink is separately collected and sewn through natural sewage without being buried or inci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싱크대 배수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 중 물을 투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unit comprising: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a sink drain, a filter unit for separating water and food waste by selectively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from water and food waste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a rotating part that is disposed to be rotatable on the rotating shaft and moves the food waste.

또한, 상기 필터부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portion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thereof is opened.

또한, 상기 필터부는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또한, 상기 회전부는,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중심축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on center axis and a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formed to project radially from the rotation center axis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각 회전날은 상기 필터부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rotary blades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unit.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날 중 하나에 배치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ot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generator dis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blades to generate a signal.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또한, 상기 필터부를 차폐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unit that shields the filter unit and guides water and food waste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to the filter unit.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와 상이한 상기 차폐부 부분에 형성되는 공급홀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hield may include a supply hol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hiel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공급홀과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폐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둔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ield may include a barrier formed between the supply 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또한,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p may further include a cap portion coupl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shield portion.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캡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부와 접촉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hield may include a guid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ap portion and contacting the cap portion.

또한, 상기 캡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차폐부 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차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Further, at least a part of the cap portion may protrude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or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ielding portion.

또한, 상기 차폐부는, 미생물을 투입하는 미생물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portion may include a microorganism input portion for inputting microorganisms.

또한, 상기 미생물투입부에 결합하며 상기 미생물투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 closing unit coupled to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and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또한, 상기 필터부가 안착하며,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교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water storage tank on which the filter unit is placed and which guides the water to the outside, and a stirring vessel disposed to be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in which food waste is temporarily stored.

또한, 상기 저수조에 안착하며, 상기 필터부에서 투과된 물을 상기 저수조와 상기 교반용기 사이의 공간을 안내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교반용기로 안내하는 배출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trap that is seated on the water reservoir and guides the water permeated by the filter section to a space between the water reservoir and the agitating vessel and guides the food waste to the agitating vessel.

또한, 상기 배출트랩은,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배출트랩바디부와, 상기 배출트랩바디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트랩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물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haust trap may include an exhaust trap body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food waste passes, a sidewall disposed at an angle to the exhaust trap body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haust trap body, Section.

또한,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통과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로부터 상기 필터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상기 필터부의 개구된 부분과 상기 통과홀을 연결하는 음식물쓰레기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xhaust trap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through hole and may protrude from the exhaust trap body toward the filter portion to connect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 through the food waste, Guide. ≪ / RTI >

또한,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로부터 상기 필터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저면과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를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xhaust trap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xhaust trap body toward the filter portion to sepa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from the exhaust trap body.

또한,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은 물이 통과하도록 메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또한, 상기 교반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git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gitating unit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agitating container.

또한, 상기 교반부는, 교반중심축과, 상기 교반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교반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irring portion may include a stirring central axis and a stirr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stirring central axis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또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될 수 있다. Also, at least a portion of the agitating blade may be bent at least once.

또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may be curved.

또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stirring blad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또한, 상기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에 배치되는 제1 교반날과, 상기 교반중심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날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2 교반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irring blade may include a first stirring blade disposed on the stirring center axis and a second stirring blade disposed on the stirring center axis and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stirring blade.

또한, 상기 제1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과 연결되는 제1 날고정부와, 상기 제1 날고정부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날과, 상기 제1 돌출날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돌출날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측면돌출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gitating blade may include a first agitating unit connected to the agitating center axis, a first protrud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first blade fixing uni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and a second protruding blad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blade And a first side projecting blade forming an angle with the first projecting blade.

또한, 상기 제1 돌출날 및 상기 제1 측면돌출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jecting edge and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또한, 상기 제2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과 연결되는 제2 날고정부와, 상기 제2 날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교반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으로 돌출된 제2 돌출날과, 상기 제2 도출날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도출날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제2 측면돌출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agitating blade may include a second agit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agitating central axis, a second protruding blade connected to the second agitating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agitating central axi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gitating container, And a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leading edge and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the second leading edge.

또한, 상기 제2 돌출날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될 수 있다. Further, the second projecting blade may be bent at least once.

또한, 상기 제2 측면돌출날 중 적어도 일부부은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some of the second side projecting blades may be curved.

또한, 상기 제2 교반날은, 상기 제2 돌출날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돌출날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tirring blade may include a lower projecting blad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blade and projecting from the second projecting blade to the bottom of the stirring vessel.

또한, 상기 교반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교반용기에 고정되는 음식물쓰레기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ood waste removing unit fixed to the stirring container so as to face the stirring unit.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부는, 상기 교반용기에 고정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교반용기 내부로 돌출된 절곡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ood garbage removing unit may include an engaging part fixed to the stirring container, and a bending blade bent from the engaging part and protruding from the engaging part into the stirring container.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부는, 상기 절곡날로부터 상기 교반용기 내부로 돌출된 음식물쓰레기제거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od garbage remo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od garbage remov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bending blade into the stirring container.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날은 나선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may be spir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며,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과,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하는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 중 물을 투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installed in a sink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and food waste and crushing and discharging food waste to be introduced; And a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unit that stirs the microorganisms decomposing the food waste disposal unit with the food garbage, wherein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compris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There is provide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filter unit that transmits water in food waste and selectively separates food waste to separate water and food waste, and a rotation unit that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filter unit and moves the food waste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하여 하수도로 흘려보냄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treat food waste by crushing food waste, feeding microbes into food waste, and discharging the food waste into sewer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소 단위로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ut the food garbage into small units,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ing speed of the food garb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날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반부 및 음식물쓰레기제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칼날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ade portion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ield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and the food waste removing part shown i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portion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칼날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ade portion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싱크대(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상기 싱크대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미도시)에는 별도의 배수통(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통에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이 바로 직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싱크대에 형성된 상기 배수구에 바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부(100)가 상기 싱크대의 상기 배수구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00)는 상기 배수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00)가 상기 배수통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to 3,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 may be installed in a sink (not shown). At this time,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 may be coupled to some components of the sink. In this case, a separate water drain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a drain (not shown) of the sink. In addition,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age tank. As another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o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sink. In this case, the fixing portion 100 can be fixed to the drain hole of the sink. Particularly, the fixing unit 100 may serve as the water drain.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fixing unit 100 plays the role of the drain pipe.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고정부(1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고정브라켓(400), 걸림판(500), 커버(600), 신호발생부(710), 센서부(720), 제1 실링부(810), 제2 실링부(820) 및 케이스(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은 1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 또는 미생물배양액을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수 있다. 이때,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미생물(또는 미생물배양액)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1 includes a fixing unit 100, a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200, a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300, a fixing bracket 400, an engagement plate 500, A sensor unit 720, a first sealing unit 810, a second sealing unit 820, In this case,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can first crush food waste. In addition,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can disassemble the food waste by supplying the microorganism or microorganism culture liquid to the pulverized food waste. At this time,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may have a function of not only supplying microorganisms (or a microorganism culture liquid) but also pulverizing food waste.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과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배관(P)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배관(P)은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동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한번 이상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배관(P)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됨으로써,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pipe P. [ At this time, the food waste and the water which are crushed in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can be moved to the pipe P, and they can be formed to be bent more than once. In particular, the pipe P is bent at least o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so that the odor generated in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can be blocked.

선택적으로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과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별도의 접속부(C)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부(C)는 배관(P)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배관(P) 외부면에 접착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배관(P)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접속부(C)가 배관(P)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한 구현예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may be connected via a separate connection C. The connection portion C may be located in the pipe P or may be placed in an adhered sta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P or may be locat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P, It is not.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C is located apart from the pipe P. Fig.

접속부(C)는 단자 및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과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은 접속부(C)가 결합하도록 단자, 소켓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과 제2 음식물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는 접속부(C)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접속부(C)가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에 동시에 연결되는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부(C)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접속부(C)가 단락되는 경우, 접속부(C)가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탈락하는 경우 등에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센서부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음으로써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작동이 모두 중지될 수 있다. 반면, 접속부(C)가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정상적인 경우에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센서부에서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또는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하나만 작동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C may include a terminal and a cable and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processing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terminals, .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processing unit 300 may include a sensor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connection unit C is engaged.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are connected to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only when the connection unit C is connected to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at the same time Can be operated.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C is damaged or broken, the connection C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200 and / When a signal is not sensed at the sensor unit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300 can all be stopp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part C is normal without being damaged or damaged, the sensor part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can sense a signal,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 can operate normally. Therefore, by operating only one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or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waste from being properly treated.

한편, 접속부(C)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부와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접속부(C)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을 통하여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속부(C)가 단락되거나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이 해제되는 경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미작동 시 순차적으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이 작동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art C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processing unit 3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unit C can supply current to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through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In this case, when the connection portion C is short-circuited or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s release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s operated 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does not operate sequentially when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s not operated.

이때,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작동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속부(C)가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을 연결하는 경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이 모두 작동하고,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을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모든 구조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ase and the connection part C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 Both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operate when the waste disposal unit 300 is connected and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are operate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200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300 when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300 can not be connect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의 각 부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part of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정부(100)는 상기 싱크대의 상기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는 상기 싱크대의 제작 시 상기 배수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싱크대의 제작 후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부(100)가 상기 싱크대의 제작 후 상기 배수구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xing portion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hole of the sink.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hole when the sink is manufactured, or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hole after the sink is manufactured. Hereinafter, the fixing unit 100 is installed in the drain hole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sink,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고정부(100)는 상기 싱크대의 상기 배수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의 내부는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0)의 외면에는 고정브라켓(400)이 결합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00)의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100)의 저면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은 분쇄하우징(230)으로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가이드될 수 있다. The fixing portion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rain hole of the sink. 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ixing part 10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and water and food waste introduced into the drain can be inserted. In addition,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00 so that the fixing bracket 400 is engage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0 may be formed obliquely. In this case, food waste and water can be safely and accurately guided to the crushing housing 230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은 고정부(1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200 can be combined with the fixed portion 100 and can crush the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fixed portion 1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은 칼날부(210), 칼날구동부(220), 분쇄하우징(230), 고정링(240), 차단판(250) 및 제3 실링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200 includes a blade unit 210, a blade driving unit 220, a crushing housing 230, a fixed ring 240, a blocking plate 250, and a third sealing unit 260 .

칼날부(210)는 칼날구동부(220)와 연결되어 칼날구동부(22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칼날부(210)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칼날부(210)는 제1 회전부(211), 칼날고정부(212) 및 제2 회전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ade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blade driving unit 220 and can ro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blade driving unit 220. At this time, the blade unit 210 can crush food waste. The blade portion 210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ortion 211, a blade fixing portion 212,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213.

제1 회전부(211)는 제1 회전바디부(211a), 제1 돌출칼날(211b) 및 제1 에지칼날(2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바디부(211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바디부(211a)의 테두리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바디부(211a)의 테두리 면은 칼날 형태로 가공됨으로써 제1 에지칼날(211c)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로부터 고정부(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일부가 절단되어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칼날(211b)은 크기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의 크기는 제1 외측칼날(211b-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의 크기는 제1 외측칼날(211b-2)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측칼날(211b-1)은 제1 외측칼날(211b-2)보다 제1 회전바디부(211a)의 회전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 및 제1 외측칼날(211b-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회전바디부(211a)(또는 칼날구동부(22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 및 제1 외측칼날(211b-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내측칼날(211b-1)의 높이 방향(예를 들면, 칼날구동부(220)에서 고정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일정한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내측칼날(211b-1) 및 제1 외측칼날(211b-2) 모두 제1 내측칼날(211b-1)의 높이 방향으로 폭이 일정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내측칼날(211b-1)은 사각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제1 외측칼날(211b-2)의 경우 끝단이 다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외측칼날(211b-2)의 상면은 다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외측칼날(211b-2)의 끝단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외측칼날(211b-2)의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rotating part 21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a first protruding blade 211b, and a first edge blade 211c.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In addition, the rim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may be formed with irregularities. In this case, the edge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is processed into a blade shape to form the first edge blade 211c.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toward the fixing part 100 side.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may be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art of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The first protruding blades 211b may include a first inner blade 211b-1 and a first outer blade 211b-2 that are the same or different in size. In an embodiment, the size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s another example, the size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The first inner blade 211b-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1a than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oves away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or the blade driving portion 220) Can be reduced. At least one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for example, (The direction toward the fixing portion 100).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 I will explain. The first inner blade 211b-1 may be in the form of a square pillar. In the case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the ends may be formed to be multi-stepped.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formed to be multi-stepped. In another embodiment, the end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formed flat. Hereinafter, the first outer blade 211b-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end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is flat.

칼날고정부(212)는 제1 회전부(211)와 제2 회전부(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칼날고정부(212)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칼날고정부(212)는 환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칼날고정부(212)의 내부에는 고정돌기(212c)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칼날고정부(212)는 분쇄하우징(230)에 안착될 수 있다. The blade fixing part 2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part 211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213. At this time, the blade fixing part 212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concave and convex may be formed inside. That is, the blade fixing part 212 may be formed as an annular plate, and a fixing protrusion 212c may protrude inside the blade fixing part 212. At this time, the blade fixing part 212 may be seated in the crushing housing 230.

제2 회전부(213)는 칼날고정부(212)를 중심으로 제1 회전부(2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부(213)는 제1 회전부(211)와 나사, 볼트, 핀 등을 통하여 결합하여 제1 회전부(211)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on part 213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rotation part 211 with the blade fixing part 212 as a center.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on part 213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rotation part 211 through a screw, a bolt, a pin, or the like to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 part 211.

제2 회전부(213)는 제2 회전바디부(213a), 제2 돌출칼날(213b), 제2 에지칼날(21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바디부(213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칼날(213b)은 제2 회전바디부(213a)로부터 칼날구동부(2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칼날(213b)은 제2 내측칼날(미도시)과 제2 외측칼날(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내측칼날과 상기 제2 외측칼날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에지칼날(213c)은 제2 회전바디부(213a)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에지칼날(213c)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에지칼날(213c)은 제2 회전바디부(213a)의 테두리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ng portion 213 may include a second rotating body portion 213a, a second protruding blade 213b, and a second edge blade 213c.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body portion 213a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ding blade 213b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rotating body 213a toward the blade driving unit 220 side. The second protruding blade 213b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cond inner blade (not shown) and a second outer blade (not shown). At this time, the second inner blade and the second outer blade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econd edge blade 213c may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second rotating body portion 213a.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second edge blades 213c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edge blades 213c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im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13a.

칼날구동부(220)는 구동부케이스(221), 제1 회전력생성부(222), 제1 회전축(223), 베어링(224), 제1 오일실(225), 모터패킹(226), 제1 캡(227) 및 제1 회전축결합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ade driving unit 220 includes a driving unit case 221, a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22, a first rotating shaft 223, a bearing 224, a first oil chamber 225, a motor packing 226, A first rotating shaft coupling portion 227 and a first rotating shaft coupling portion 228.

구동부케이스(2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력생성부(222)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케이스(221)는 분쇄하우징(230)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driving unit case 221 and a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22 may be disposed therein. The driving unit case 221 can be fixedly coupled with the crushing housing 230.

제1 회전력생성부(22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or 222 may include a motor. At this time, the motor can receive the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 the rotational force.

제1 회전축(223)은 제1 회전력생성부(222)와 연결되어 제1 회전력생성부(222)에서 생성된 회전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223)은 칼날부(210)와 연결되어 칼날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first rotation shaft 223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force generator 222 and can transmit the rotation generated by the first rotation force generator 222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is connected to the blade 210 to rotate the blade 210.

베어링(224)은 분쇄하우징(230)과 제1 회전축(223)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224)은 제1 회전축(223)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The bearing 224 can connect the crushing housing 230 and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At this time, the bearing 224 can support the first rotation shaft 223 rotatably.

제1 오일실(225)과 모터패킹(226)은 분쇄하우징(230)에 배치되어 제1 회전축(223)과 분쇄하우징(230) 사이 또는 제1 회전축(223)과 베어링(224)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오일실(225)과 모터패킹(226)은 분쇄하우징(230)의 물이 분쇄하우징(23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oil chamber 225 and the motor packing 226 are disposed in the crushing housing 230 so as to seal between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or between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and the bearing 224. [ can do. In this case, the first oil chamber 225 and the motor packing 226 can prevent water in the crushing housing 230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rushing housing 230.

제1 캡(227)은 분쇄하우징(230)과 결합하여 제1 오일실(225)과 모터패킹(226)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결합부(228)는 제1 회전축(223)과 결합하여 칼날부(210)를 제1 회전축(223)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축결합부(228)와 제1 회전축(223)은 나사, 볼트, 핀 등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면 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별도의 부재 없이도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rst cap 227 may be engaged with the crushing housing 230 to fix the first oil chamber 225 and the motor packing 226. The first rotary shaft coupling part 228 may be coupled with the first rotary shaft 223 to couple the blade part 210 to the first rotary shaft 223. [ In this case, the first rotary shaft coupling portion 228 and the first rotary shaft 223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through separate members such as screws, bolts, and fins, and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It is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분쇄하우징(230)은 칼날고정부(212)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분쇄하우징(23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제1 유출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출구(231)는 배관을 통하여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쇄하우징(230)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칼날고정부(212)가 걸리거나 고정링(2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rushing housing 230 can engage with the blade fixing portion 212. At this time,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pulverizing housing 230, and a first outlet 231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water can flow out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outlet 23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through a pipe.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rushing housing 230 may protrude to fix the blade fixing part 212 or fix the fixing ring 240.

고정링(240)은 분쇄하우징(2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24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링(240)은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결합하는 제1 고정링(241)과 제2 고정링(2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링(241)과 제2 고정링(242)은 일부가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제1 고정링(241)은 칼날고정부(21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삽입돌기(24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링(242)은 칼날고정부(212)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 삽입돌기(24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삽입돌기(241a)와 제2 삽입돌기(242a)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고정돌기(212c) 사이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The stationary ring 24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rushing housing 230. At this time, the fixing rings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a plurality of fixing rings 240 may be provided. Hereinafter, the fixing ring 240 may include a first fixing ring 241 and a second fixing ring 242 which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fixing ring 241 and the second fixing ring 242 may be partially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ring 241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241a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lade fixing portion 212 side. The second fixing ring 242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242a protruding toward the blade fixing portion 212 side. In this cas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s 241a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s 242a may be resp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fixing protrusions 212c.

고정링(240)은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243)는 고정링(240)의 내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돌기(243)는 고정링(240)의 내면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기(243)는 제1 외측칼날(211b-2)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돌기(243)는 칼날부(210)의 회전 시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tationary ring 240 may include a protrusion 243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protrusion 243 may form an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240.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243 can form a right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ationary ring 240.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43 may crush the food garbage together with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lso, the protrusion 243 can block the food waste rising during the rotation of the blade 210.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30)과 고정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차단판(250)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단판(250)의 일부는 분쇄하우징(23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판(250)은 분쇄하우징(230)의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하우징(230)에서 고정부(1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blocking plat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rushing housing 230 and the fixing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2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part of the blocking plate 250 may protrude into the crushing housing 230. In this case, when the food waste is crushed in the crushing housing 230, the blocking plate 250 can prevent the food waste from moving from the crushing housing 230 to the fixed portion 100 side.

제3 실링부(260)는 차단판(250)과 분쇄하우징(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실링부(260)는 차단판(250)과 분쇄하우징(230) 사이로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3 실링부(260)는 차단판(250)과 분쇄하우징(230) 사이를 기밀하게 실링할 수 있다. The third sealing portion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250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In this case, the third sealing portion 260 can prevent water and food waste from flowing out between the shield plate 250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In particular, the third sealing portion 260 can seal airtightly between the shield plate 250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고정브라켓(400)은 고정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400)은 고정부(100)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은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41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걸림돌기(410)는 서로 이격되도록 고정브라켓(400)의 외주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돌기(410)는 상기 싱크대 일부에 삽입되거나 걸림으로써 고정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fixing bracket 400 can engage with the fixing portion 100. The fixing bracket 400 can be screwed with the fixing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400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410 protru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41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410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0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locking protrusion 410 can be inserted into or caught in the part of the sink to support the fixing part 100.

걸림판(500)은 고정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판(500)은 서로 분리되는 날개부(5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510)는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적당량 고정부(100) 내부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510)는 고정부(100) 및 분쇄하우징(230)으로부터 상승하는 음식물 쓰레기, 악취 등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locking plate 5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xing portion 100. In this case, the latching plate 500 may have wings 510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the wing part 510 can allow food waste and water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fixing part 100 in an appropriate amount. In addition, the wing portion 510 can block food waste, odor, etc. rising from the fixed portion 100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커버(600)는 고정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커버(600)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로 노출된 고정부(100) 부분에 결합하여 고정부(100)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600)는 고정부(100)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커버(600)는 고정부(1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버(600)는 고정부(100)에 단순히 끼움으로써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커버(600)는 고정부(100)에 회전함으로써 고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ver 6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cover 600 may be coupled to the portion of the fixing part 100 exposed by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may block the fixing part 100. At this time, the cover 600 may b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00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ver 600 can be fixed by rotating it to the fixing portion 100. As another example, the cover 600 may be fixed by simply fitting the fixing portion 100 into the fixing portion 100. Hereinafter, the cover 6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cover 600 is fixed by rotating to the fixing part 100 by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커버(600) 또는 고정부(100) 중 하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600) 또는 고정부(100) 중 다른 하나는 결합돌기(11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돌기결합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600)는 결합돌기결합부(610)를 포함하고, 고정부(100)는 결합돌기(110)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e of the cover 600 or the fixing portion 100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110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he cover 600 or the other one of the fixing portions 100 may include a coupling projection 610 that selectively engages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11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ver 600 includes a coupling projection 610, and the fixing unit 100 includes a coupling projection 110. FIG.

결합돌기(110) 및 결합돌기결합부(6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돌기(110)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결합부(610)는 나사산을 포함함으로써 결합돌기(11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결합돌기(110)는 사각 기둥 형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결합돌기결합부(610)는 나사산, 나선형의 홈, 나선형의 홀, 직선 홈, 직선 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110)와 결합돌기결합부(61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600)를 회전하여 고정부(100)에 고정시키는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ngaging projection 110 and the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6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 110 may include threads. In this case, the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610 can engag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110 by including a thread. As another example, the engaging projection 110 may include a projection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rism. In this case, the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610 may include threads, spiral grooves, spiral holes, straight grooves, straight hole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portion 61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may include any structure that rotates the cover 600 and fixes the coupling protrusion 110 to the fixing portion 100.

신호발생부(710)는 커버(6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신호발생부(710)는 외부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발생부(710)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발생부(71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신호발생부(710)는 커버(60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The signal generator 710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600. [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or 710 can generate a signal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ignal generator 710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A plurality of the signal generators 710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ignal generators 7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ide surface of the cover 600.

센서부(720)는 고정부(100)의 외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720)는 고정부(100)의 외면 또는 케이스(9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7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센서부(720)는 고정부(100)의 외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nsor portion 720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7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100 or the case 900.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ensor units 72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nsor units 720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100.

제1 실링부(810)는 고정부(100)와 고정브라켓(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실링부(810)는 고정부(100)와 고정브라켓(4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part 8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art 100 and the fixing bracket 400. At this time, the first sealing part 810 can seal between the fixing part 100 and the fixing bracket 400.

제2 실링부(820)는 고정부(100)와 차단판(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실링부(820)는 고정부(100)와 차단판(250) 사이를 실링할 뿐만 아니라 분쇄하우징(23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econd sealing portion 8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00 and the blocking plate 250. In this case, the second sealing part 820 not only seals between the fixing part 100 and the shielding plate 250, but also can block the noise generated in the grinding housing 230.

케이스(900)는 고정부(100), 분쇄하우징(230), 상기 싱크대, 칼날구동부(2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900)는 센서부(720)가 배치되는 암부(910a)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910a)는 고정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900) 내부에는 제1 회전력생성부(222) 및 센서부(7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10)이 수납될 수 있다. The case 900 may be fixedly coupled with at least one of the fixing part 100, the crushing housing 230, the sink, and the blade driving part 220. In this case, the case 900 may include an arm portion 910a in which the sensor portion 720 is disposed. The arm portion 910a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0. [ A circuit board 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22 and the sensor unit 720 may be housed in the case 900.

이때, 케이스(900)는 고정부(100), 분쇄하우징(230), 상기 싱크대, 칼날구동부(2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는 메인케이스(910), 메인케이스(910)를 차폐하는 커버케이스(9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900)는 메인케이스(910)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케이스(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스(930)에는 각종 케이블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ase 900 includes a main case 910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fixed portion 100, the crushing housing 230, the sink and the blade driving portion 220, a cover case 920). In addition, the case 900 may include a lower case 930 disposed under the main case 910. At this time, various cables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ase 930.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차단판(250)을 통과하여 분쇄하우징(23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The method of grinding food garbage through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ing unit 200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The food garbage into which the food garbage and water are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can enter the inside of the crushing housing 230.

이 경우 사용자는 별도로 마련된 스위치를 통하여 제1 회전력생성부(2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부(100)에 커버(600)를 회전시켜 커버(600)를 고정시키면 제1 회전력생성부(222)가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600)가 고정부(100)에 결합하여 고정되면 제1 회전력생성부(222)가 작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drive the first torque generating unit 222 through a switch provided separately.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orque generating unit 222 may be operated by fixing the cover 600 by rotating the cover 600 to the fixing unit 1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cover 600 is coupled to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the first torque generating part 222 operates.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고정부(100) 및 분쇄하우징(23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진입하면 사용자는 커버(600)를 고정부(1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커버(600)가 회전하면 결합돌기(110)는 결합돌기결합부(6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food waste and water enter the inside of at least one of the fixing part 100 and the crushing housing 23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attach the cover 600 to the fixing part 100. [ Then, when the cover 600 rotates, the engaging protrusion 110 can move along the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610.

커버(600)가 회전하는 경우 커버(600)에 배치된 신호발생부(710)도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720)는 신호발생부(710)에서 발생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신호발생부(710)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부(720)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센서부(720)와 신호발생부(710)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센서부(720)에서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는 회로기판(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센서부(720)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회로기판(10)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는 커버(600)가 록킹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회전력생성부(2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cover 600 rotates, the signal generating unit 710 disposed in the cover 600 may also be rotated.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720 can sense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710.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ing unit 710 may include a magnetic body such as a magnet, and the sensor unit 720 may include a reed switch. Particularly,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s of the sensor unit 720 and the signal generator 710 coincide with each other, a signal can be generated in the sensor unit 720, and these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the circuit board 10. When a signal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7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0 can determine that the cover 600 has reached the locking posi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operate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on unit 222.

제1 회전력생성부(222)가 작동하는 경우 제1 회전축(223)이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바디부(211a)와 제2 회전바디부(213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칼날고정부(212)와 제1 회전바디부(211a) 사이의 음식물 쓰레기는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측칼날(211b-2)의 끝단이 단차지게 형성된 경우 제1 외측칼날(211b-2)의 단차진 부분은 돌기(243)와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외측칼날(211b-2)의 끝단이 평평한 경우 제1 외측칼날(211b-2)의 끝단은 돌기(243)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1 외측칼날(211b-2)의 높이는 돌기(243)가 설치된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외측칼날(211b-2)과 돌기(243) 사이의 공간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되거나 분쇄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ing unit 222 is operated,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rotates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body 211a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13a. In this case, the food waste between the blade fixing part 212 and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may be ground by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t this time, if the end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is stepped, the stepped portion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not interfere with the protrusion 243. If the end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is flattened, the height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adjusted so that the end of the first outer blade 211b-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trusion 243, May be lower than the installed height of the second guide plate 243. In this case, the food garbage can be cut or crush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nd the protrusion 243.

상기와 같은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은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지름과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반면,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지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측칼날(211b-2)은 돌기(243)와 직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측칼날(211b-1), 제1 외측칼날(211b-2) 및 돌기(243)를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다양한 방향에서 절삭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회전바디부(211a)가 회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물의 회전에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고정링(240) 측으로 움직이므로 제1 내측칼날(211b-1)보다 큰 제1 외측칼날(211b-2)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분쇄가 가능하다.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as an example, the first inner blade 211b-1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Further,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orthogonal to the projection 243. In this case, the food garbage can be cut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inner blade 211b-1,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nd the protrusion 243. Since the food waste moves toward the fixed ring 24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ater generated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211a rotates, the first outer blade 211b-2, which is larger than the first inner blade 211b-1,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ind food waste.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측칼날(211b-1)과 제1 외측칼날(211b-2)은 제1 회전바디부(211a)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회전바디부(211a)로부터 경사지게 배열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inner blade 211b-1 and the first outer blade 211b-2 may be inclined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Do.

상기와 같이 제1 회전바디부(211a)가 회전하는 경우 물이 회전함으로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승할 수 있다. 이때, 돌기(243)와 차단판(250)은 음식물 쓰레기와 충돌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ed food waste can be raised by rotating the water. At this time, the protrusion 243 and the blocking plate 250 can prevent the food waste from rising due to collision with the food waste.

상기와 같이 제1 내측칼날(211b-1), 제1 외측칼날(211b-2) 및 돌기(24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물과 함께 제1 회전바디부(211a)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에지칼날(211c)과 고정링(24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전바디부(211a)의 회전에 따라서 제1 에지칼날(211c)은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분쇄할 수 있다. The food waste that has been crush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inner blade 211b-1, the first outer blade 211b-2, and the protrusion 243 passes through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together with the water can do. At this time,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water can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edge blade 211c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and the stationary ring 240.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the first edge blade 211c can grind the food waste again.

상기와 같이 제1 회전바디부(211a)가 회전하는 경우 칼날고정부(212)는 고정링(24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first rotating body 211a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blade fixing part 212 is fixed to the fixing ring 240 and may not rotate.

제2 회전부(213)는 제1 회전부(21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에지칼날(211c)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제2 에지칼날(213c)을 통하여 분쇄됨으로써 분쇄하우징(230)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분쇄하우징(230)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제2 내측칼날 및 상기 제2 외측칼날 중 적어도 하나는 분쇄하우징(230)의 저면에 저장된 물과 함께 부유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on part 213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on part 211. In this case, the food garbage crushed in the first edge blade 211c can be moved to the bottom of the crushing housing 230 by being crushed through the second edge blade 213c.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second inner blade and the second outer blade protru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rushing housing 230 may crush the food waste floating together with the water stor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rushing housing 230.

한편, 상기와 같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분쇄하우징(230)의 제1 유출구(231)를 통하여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으로 이동하여 미생물(또는 미생물배양액)과 혼합될 수 있다.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water may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300 through the first outlet 231 of the pulverizing housing 230 to be mixed with the microorganism (or the microorganism culture liquid).

이하에서는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폐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교반부 및 음식물쓰레기제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of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ield shown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irring part and the food waste removing part shown in FIG.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은 연결부(311), 차폐부(320), 캡부(330), 구동부커버(341), 물공급부(342), 구동부(343), 밸브(344), 위치감지부(345), 개폐부(346), 필터부(350), 회전부(360), 저수조(312), 교반용기(313), 배출트랩(370), 교반부(380) 및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부호를 표시하지 않은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실링부는 서로 결합하는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틈을 실링할 수 있다.4 to 6,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311, a shielding portion 320, a cap portion 330, a drive cover 341, a water supply portion 342, a drive portion 343 A valve 344, a position sensing part 345, an opening and closing part 346, a filter part 350, a rotation part 360, a water reservoir 312, a stirring container 313, an exhaust trap 370, 380, and a food waste remover 390.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unit 300 may include a sealing part which is shown in the figure but is not designated by a reference numeral. At this time, the sealing portion can be disposed between the components that are joined to each other to seal the gap.

연결부(311)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연결부(311)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미도시)의 제1 유출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연결부(311)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1)는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311)는 유입되는 물의 진행 방향과 일정 각도로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311 can be connected to a drain of a sink.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portion 311 may be connected to a first outlet (not shown)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water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311.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311 is formed to be bent at least once, thereby reducing the speed of water and food waste flowing in.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311 may be form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water and food was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incoming water.

연결부(311)는 다양한 방향으로 캡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311)는 도 4에 도시된 방향과 같이 배치되어 캡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311)는 도 4에 도시된 방향으로부터 90도 틀어진 상태로 캡부(33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부(311)는 도 4에 도시된 방향과 180도 틀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캡부(330)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을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미도시)를 기준으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nection portion 311 may be connected to the cap portion 330 in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311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4 and connected to the cap portion 330.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311 may be connected to the cap portion 330 in a state of being rotated by 90 degrees from the direction shown in FIG.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31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hifted by 180 degrees from the direction shown in FIG. 4 and connected to the cap portion 3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at various positions based on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not shown).

차폐부(320)는 연결부(311)에서 공급되는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필터부(35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차폐부(320)는 저수조(312)와 결합할 수 있으며, 구동부(343) 및 밸브(344)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320)는 캡부(330)가 결합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부(34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차폐부(320)는 물공급부(34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hielding part 320 can guide the water and the food waste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part 311 to the filter part 350. At this time, the shielding part 320 can be coupl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12, and the driving part 343 and the valve 344 can be seated and fixed. In addition, the shield 320 may be coupled to the cap 330,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may be inserted and fixed. The shielding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rt 342.

이러한 차폐부(320)는 차폐바디부(321), 둔턱부(322), 가이드부(323), 미생물투입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바디부(32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구동부(343), 밸브(344), 물공급부(34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차폐바디부(321)는 연결부(311)에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필터부(350)로 이동하는 공급홀(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홀(325)은 가이드부(32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공급홀(325)은 연결부(311)의 토출구와 상이한 부분에 배치됨으로써 연결부(311)로부터 유입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직접 공급홀(325)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둔턱부(322)는 가이드부(323) 내부에 배치되며, 공급홀(325)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둔턱부(322)는 차폐바디부(321)의 상면으로부터 캡부(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23)는 차폐바디부(321)로부터 캡부(33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폐쇄회로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323)는 캡부(330)와 함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311)의 토출구는 가이드부(323)의 일단에 배치되며, 공급홀(325)은 연결부(311)와 이격되도록 가이드부(323)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323)의 내부에 배치되는 차폐바디부(321)의 상면은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미생물투입부(324)는 차폐바디부(3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생물투입부(324)는 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분말 형태의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다. 미생물투입부(324)는 공급홀(325)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부(350)의 개구된 부분의 상면에 배치되어 미생물을 교반용기로 직접 안내할 수 있다. The shielding portion 320 may include a shielding body portion 321, a barrier portion 322, a guide portion 323, and a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driving portion 343, a valve 344, a water supply portion 342,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In addition,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may be formed with a supply hole 325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11 and the food waste move to the filter portion 350. At this time, the supply hole 325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portion 323. The supply hole 325 is disposed at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311 so that water and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supplied to the supply hole 325. The barrier portion 322 is disposed inside the guide portion 323 and may be disposed around the supply hole 325. [ At this time, the barrier portion 322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toward the cap portion 330. The guide portion 32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toward the cap portion 330, and a space can be formed therein by forming a closed circuit. At this time, the guide part 323 forms a space together with the cap part 330 to form a flow passage for water and food waste.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311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323 and the supply hole 325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ortion 323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11. In particular,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disposed inside the guide portion 323 may be curved.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body portion 321. At this time,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is formed into a tube shape, so that microorganisms in powder form can be input.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supply hole 325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ed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 350 to directly guide the microorganism to the stirring container.

캡부(330)는 가이드부(323)의 상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323)를 차폐시킬 수 있다. 이때, 캡부(330)는 가이드부(323)와 함께 물과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 유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공급홀(325)을 통하여 냄새가 연결부(311),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배수구를 통하여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부(3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차폐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부(330)의 다른 일부는 차폐부(320)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부(330) 중 차폐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은 둔턱부(322)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부(330) 중 차폐부(3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부분은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서 둔턱부(322)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둔턱부(322)와 캡부(330) 중 차폐부(320) 측으로 돌출된 부분 사이는 유로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캡부(330)와 가이드부(323) 사이의 유로를 따라 공급홀(325)로 이동하다가 연결부(311)를 통하여 더 이상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둔턱부(322)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330)와 가이드부(323) 사이에 갇힘으로써 캡부(330)와 가이드부(323)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싱크대의 사용의 종료하는 경우 물을 마지막에 흘려보냄으로써 둔턱부(322)에 도달하기 전의 캡부(330)와 가이드부(323) 사이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저수조(312) 및 교반용기(313)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공급홀(325)을 따라 연결부(311)로 이동하지 못함으로써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cap portion 3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ortion 323 to shield the guide portion 323. At this time, the cap part 330 not only forms the moving path of water and food waste together with the guide part 323, but also the smell through the supply hole 325, the connection part 311,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So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a sequential manner. Specifically, the cap portion 330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320 side. Further, another portion of the cap portion 3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hielding portion 320 side. At this time, the portion of the cap portion 330 protruding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3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rrier portion 322.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cap portion 330 protruding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320 may be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barrier portion 322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In this case, a channel may be formed between the barrier portion 322 and the cap portion 330 so as to be bent between the portions protruding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320. At this time, the water and the food waste move to the supply hole 325 along the flow path between the cap part 330 and the guide part 323, and when the water and the food waste no longer flow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11, The space between the cap portion 330 and the guide portion 323 can be shielded by being trapped between the cap portion 330 and the guide portion 323 before reaching the cap portion 330 and the guide portion 323. Particularly, when the user finishes using the sink, water can be filled between the cap portion 330 and the guide portion 323 before reaching the barrier portion 322 by flowing the water last. In this case, the odor genera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312 and the stirring container 313 can not move to the connection portion 311 along the supply hole 325, so that the odor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구동부커버(341)는 차폐부(320)와 결합하여 물공급부(342), 구동부(343) 및 밸브(344)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물공급부(342)는 구동부커버(341)를 관통하여 차폐바디부(321)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물공급부(342)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싱크대 등에 연결되거나 외부의 별도의 물공급장치, 상수도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부(342)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필터부(350)의 개구된 부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부(343)는 회전부(360) 및 교반부(380)와 연결되어 회전부(360) 및 교반부(3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343)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밸브(344)는 물공급부(342)에 배치되어 물공급부(342)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밸브(34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cover 341 may be combined with the shielding unit 320 to shield the water supply unit 342, the driving unit 343, and the valve 344 from the outside. The water supply part 342 may be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hielding body part 321 through the drive part cover 341.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unit 342 may b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utside, connected to a sink or the like, or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supply device or a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part 34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to supply water to the opened part of the filter part 350. The driving unit 343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unit 360 and the stirring unit 380 to rotate the rotating unit 360 and the stirring unit 380.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343 may include a motor or the like. The valve 344 is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section 342 and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section 342. At this time, the valve 344 may include a solenoid valve.

위치감지부(345)는 차폐부(320)에 배치되어 회전부(36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부(345)는 홀센서, 자기센서, 레이저센서 등과 같이 물체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치감지부(345)가 자기센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may be disposed on the shield 320 to sense whether the rotation unit 360 is rotated. At this time,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may include a device for sensing the rotation of an object such as a hall sensor, a magnetic sensor, a laser sensor, or the like. Hereinafter,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includes a magnetic sens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개폐부(346)는 미생물투입부(324)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346)는 캡 형태, 마개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346)는 구동부커버(34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46 can selectively engage with the microorganism input part 324.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4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ap shape, a cap shape,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opening / closing unit 346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cover 341.

필터부(350)는 차폐부(32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350)는 홀이 형성되어 물은 투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는 투과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350)의 저면은 메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필터부(350)는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351)는 공급홀(325)과 상이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공급홀(325)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5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 320. At this time, the filter unit 350 may be formed with holes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not to allow food waste to pass through. In this cas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may be in the form of a mesh.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50 may have an opening 351 formed to partially open. At this time, the opening 351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supply hole 325 by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supply hole 325.

필터부(350)는 배출트랩(37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가이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가이드(352)는 개구부(351)의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개구부(351)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필터부(350)와 배출트랩(370)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350 may include a protrusion guide 352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discharge trap 370 side. At this time, the protrusion guide 352 is dispos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351, thereby preventing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351 from entering between the filter part 350 and the discharge trap 370.

회전부(360)는 필터부(350)의 상면, 즉 필터부(350)와 차폐부(320)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360)는 회전중심축(361), 회전날(362) 및 신호발생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중심축(361)은 구동부(343)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날(362)은 회전중심축(361)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362)은 필터부(350)의 상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날(362)은 필터부(350)의 상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날(362)과 필터부(350)의 상면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거나 회전날(362)에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날(362)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회전날(362)은 회전중심축(36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363)는 복수개의 회전날(36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신호발생부(363)는 빛, 전자기력, 자기력 등 다양한 신호를 외부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위치감지부(345)에 감지하여 회전부(360)의 회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신호발생부(363)가 자석을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rotation unit 36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that is, between the filter unit 350 and the shielding unit 320 so as to be rotatable. The rotation unit 360 may include a rotation center shaft 361, a rotary blade 362, and a signal generation unit 363. The rotation center shaft 361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43. The rotary blade 362 may be formed to project radially from the rotation center shaft 361. At this time, the rotary blade 362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That is, the rotary blade 362 may be disposed at an ang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waste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rotary blade 36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or the food waste to be caught in the rotary blade 362.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36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axis 361. [ The signal generator 363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362. At this time, the signal generator 363 can generate various signals such as light, electromagnetic force, and magnetic force. Such a signal may be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to determine whether the rotation unit 360 is rotated. Hereinafter, the signal generating unit 363 includes a magne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저수조(31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차폐부(32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저수조(312)는 미생물과 혼합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부산물 및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제2 유출구(312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tank 312 may have a space therein and may be coupled to the shield 320. At this time, the water storage tank 312 may include a second outlet 312a through which various by-products and water generated from the food waste mixed with the microorganism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교반용기(313)는 저수조(3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교반용기(313)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반용기(313)의 저면은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교반용기(313)의 측면은 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완전히 차폐된 형태일 수 있다. 교반용기(313)의 외면에는 저수조(312)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이격돌기(313a)가 구비되어 교반용기(313)를 저수조(31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이격돌기(313a)에는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교반용기(313)는 배출트랩(370)과 연결되어 배출트랩(37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dispos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312. At this time,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stirring vessel 313, an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bottom.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sh. In addition, the side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in a form completely shielded with no holes formed. The outer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provided with a spacing projection 313a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312 to separate the stirring vessel 313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312. [ At this time, a part of the food waste removing unit 390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pacing protrusion 313a. Further,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trap 370 and fixed to the discharge trap 370.

배출트랩(370)은 필터부(350)를 투과한 물을 저수조(312)와 교반용기(313)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용기(313)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트랩(370)은 배출트랩바디부(371), 측벽부(372), 음식물쓰레기가이드(373) 및 지지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트랩바디부(371)의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지 않으며, 배출트랩바디부(371)의 일부에만 통과홀(37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과홀(375)은 개구부(351)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통과홀(375)은 개구부(351)와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372)는 배출트랩바디부(3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출트랩바디부(37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측벽부(372)는 배출트랩바디부(371)와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물이 통과하는 홀(미표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부(372)의 일부는 저수조(312)에 안착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가이드(373)는 공급홀(325)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쓰레기가이드(373)는 배출트랩바디부(371)로부터 필터부(3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부(351)와 통과홀(375)을 연결함으로써 필터부(350)와 배출트랩바디부(371) 사이의 공간으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가이드(373)는 돌출가이드(352)와 접촉함으로써 개구부(351)와 통과홀(375)을 연결할 수 있으며, 필터부(350)와 배출트랩(370) 사이의 공간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74)는 배출트랩바디부(371)로부터 필터부(3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74)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지지부(374)는 배출트랩바디부(371)의 상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trap 370 guides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50 to the space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312 and the stirring vessel 313 and guides the food waste 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vessel 313. [ Specifically, the discharge trap 370 may include an exhaust trap body portion 371, a side wall portion 372, a food waste guide 373, and a support portion 374. Holes may not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trap body 371 and a through hole 375 may be formed in only a part of the discharge trap body 371. [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375 may be disposed at the same or similar position as the opening 351. In particular, the through hole 375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overlaps with the opening 351. The side wall portion 372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trap body 371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trap body 371. At this time, the side wall part 372 may form an angle with the discharge trap body part 371, and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water passes may be formed.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372 can be seated in the water reservoir 312. The food garbage guide 373 may be disposed around the supply hole 325. The food waste guide 37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scharge trap body 371 toward the filter unit 350 and connects the filter unit 350 and the discharge trap body 371 by connecting the opening 351 and the through hole 375.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d waste from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371. Particularly, the food waste guide 373 can connect the opening 351 and the through hole 375 by contacting the protrusion guide 352, and the food waste can be mov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lter part 350 and the discharge trap 370 Can be prevented. The support portion 374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371 toward the filter portion 350 sid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74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37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37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교반부(380)는 교반용기(313)의 내부에 배치되어 구동부(34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교반부(380)는 교반중심축(381) 및 교반날(382)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중심축(381)은 회전중심축(361)과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34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교반중심축(381)에는 별도의 부시(Bush)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교반중심축(381)은 교반용기(313)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날(382)은 교반중심축(381)으로부터 교반용기(313)의 내면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교반날(38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있다. 일 실시예로서 교반날(382)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교반날(382)은 적어도 일부분이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교반날(382)의 곡률진 부분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형의 교반날(382)은 회전중심축(361)에 가까운 부분이 낮고, 회전중심축(361)으로부터 가장 먼 곳이 가능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교반날(382)은 적어도 일부분이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교반날(382)의 적어도 일부분은 교반중심축(381)에서 멀어질수록 교반용기(313)이 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교반날(382)은 단수개 구비되거나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교반날(382)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agitating unit 3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agitating vessel 313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43. At this time, the stirring portion 380 may include a stirring central axis 381 and a stirring blade 382.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shaft 36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43. In addition, a separate bush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stirring central axis 381. The stirring central axis 381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tirring vessel 313. The stirring blade 382 may protrude from the stirring central axis 381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stirring vessel 313. [ At this time, the stirring blade 38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an example, the stirring blade 382 may be bent at least once. As another embodiment, the stirring blade 382 may b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curved shape. 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382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The portion of the spiral stirring blade 382 close to the rotation center axis 361 is low and the portion farthest from the rotation center axis 361 It can be located as high as possible. As another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stirring blade 38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 Particularly, at least a portion of the agitating blade 382 can be inclined so that the agitating vessel 313 moves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as the agitating blade 383 is farther from the agitating central axis 381. The stirring blade 382 may have a single number or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382. Hereinafter,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382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복수개의 교반날(382)은 교반중심축(381)의 길이방향(또는 높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교반날(382)은 교반중심축(381)을 기준으로 서로 상이한 높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교반날(382)은 교반중심축(381)에 배치되는 제1 교반날(383)과 제1 교반날(383)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2 교반날(3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교반날(383) 또는 제2 교반날(384) 중 하나는 제2 교반날(384) 또는 제2 교반날(384) 중 다른 하나보다 교반용기(313)의 저면을 기준으로 더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교반날(383)이 제2 교반날(384)보다 높은 곳에 배열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38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height direction) of the stirring central axis 381.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382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with respect to the stirring center axis 381.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tirring blades 382 include a first stirring blade 383 disposed on the stirring central axis 381 and a second stirring blade 384 disposed on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stirring blade 383 . One of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may be moved further than the other one of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or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on the basi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It can be placed at a high place. Hereinafter, the first stirring blade 383 is arrang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stirring blade 38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교반날(383)은 제1 날고정부(383a), 제1 돌출날(383b) 및 제1 측면돌출날(38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고정부(383a)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교반날(383)을 교반중심축(38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교반날(383)은 교반중심축(381)과 용접,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돌출날(383b)은 제1 날고정부(383a)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제1 날고정부(383a)는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날고정부(383a)는 교반중심축(38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교반용기(313)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날고정부(383a)는 제1 날고정부(383a)로부터 틀어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날고정부(383a)는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대해서 사선을 형성하면서 상승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돌출날(383c)은 제1 돌출날(383b)과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돌출날(383c)은 제1 돌출날(383b)의 끝단에 연결되어 제1 돌출날(383b)과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돌출날(383c)은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면돌출날(383c)은 제1 돌출날(383b)을 중심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면돌출날(383c)은 제1 돌출날(383b)을 중심으로 교반용기(313)의 저면과 가까운 부분이 교반용기(313)의 저면과 먼 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교반날(383)이 형성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더라도 경사에 의하여 제1 교반날(383)에 걸리지 않으며, 다양한 방향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미생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것이 수월해질 수 있다. The first stirring blade 383 may include a first blade fixing portion 383a, a first projecting blade 383b and a first side projecting blade 383c. The first flying part 383a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o fix the first stirring blade 383 to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At this time, the first stirring blade 383 may be connected to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through welding, screws, bolts or the like.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can be bent from the first edge fixing portion 383a. At this time, the first flying part 383a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Specifically, the first flying height adjusting portion 383a can be moved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as the distance from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increases. In this case, the first flying part 383a may be connected from the first flying part 383a in a distorted state. Therefore, the first flying part 383a may have a shape rising while forming a slanting lin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383c can form an angle with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For example,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383c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to form a right angle with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In this case, the first side surface projecting edge 383c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In addition,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383c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around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For example,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383c may be longer than a portion of the first side projecting edge 383c near the bottom of the agitating vessel 313, which is farther from the bottom of the agitating vessel 313, about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 When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food waste falls,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is not caught by the inclination, and it is easy to stir the microorganism and the food waste by moving the food waste in various directions Can be.

제2 교반날(384)은 제2 날고정부(384a), 제2 돌출날(384b), 제2 측면돌출날(384c) 및 하부돌출날(384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날고정부(384a)는 교반중심축(381)과 제2 교반날(384)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날고정부(384a)는 제1 날고정부(383a)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교반중심축(38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돌출날(384b)은 제2 날고정부(384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날(384b)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될 수 있다. 특히 제2 돌출날(384b)은 제1 돌출날(383b)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날(384b)은 교반용기(313)의 저면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측면돌출날(384c)은 제2 돌출날(384b)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측면돌출날(384c)은 나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측면돌출날(384c)은 제2 돌출날(384b)로부터 멀어질수록 교반용기(313)의 저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측면돌출날(384c)은 많은 면적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는 경우에도 음식물 쓰레기가 제2 측면돌출날(384c)에 남지 않을 수 있다. 하부돌출날(384d)은 제2 돌출날(384b)로부터 교반용기(313)의 저면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하부돌출날(384d)은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돌출날(384d)은 교반용기(313)의 저면의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걸리지 않을 수 있다.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may include a second blade fixing portion 384a, a second projecting blade 384b, a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384c and a lower projecting blade 384d. The second fly-by part 384a can connect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and the second stirring blade 384. At this time, the second flying part 384a may be connected to the stirring center shaft 381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first flying part 383a. And the second projecting edge 384b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edge fixing portion 384a. At this time, the second projecting edge 384b may be bent at least once. In particular, the second projecting edge 384b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projecting edge 383b. Further, the second projecting blade 384b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384c can be ben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edge 384b. At this time, the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384c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or a curved shape.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384c may be formed so as to be away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as it moves away from the second projecting edge 384b. In this case,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384c can contact the food garbage in a large area, and even if the food garbage is caught, the food garbage may not remain in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384c. The lower protruding edge 384d can be bent from the second protruding edge 384b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container 313. [ At this time, the lower protruding edge 384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ng container 313. In this case, the lower protruding edge 384d can move the food garbag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and the falling food garbage can not be caught.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는 교반용기(31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는 교반용기(313) 내면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는 결합부(391), 절곡날(392) 및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91)는 교반용기(313) 내면의 측벽에 결합하거나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절곡날(392)은 결합부(391)로부터 절곡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교반용기(313)의 내면으로부터 교반용기(313)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절곡날(392)은 제1 측면돌출날(383c)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제1 측면돌출날(383c)에 흡착되거나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절곡날(392)은 제1 측면돌출날(383c)의 이동 반경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절곡날(392)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나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절곡날(392)로부터 멀어질수록 교반용기(313)의 상측으로 교반용기(313)의 저면측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제1 돌출날(383b), 제2 돌출날(384b) 및 제2 측면돌출날(384c) 중 하나에 흡착되거나 걸린 음식물 쓰레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제1 돌출날(383b), 제2 돌출날(384b) 및 제2 측면돌출날(384c) 중 하나의 이동 반경과 겹치지 않으면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넓은 범위를 커버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와의 접촉 시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을 가짐으로써 일정 정도 복원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ood garbage removing unit 390 may be fixed to the stirring container 313. At this time, the food waste removing unit 390 may be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tirring vessel 313. Specifically, the food waste removing unit 390 may include a coupling unit 391, a bending blade 392, and a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The engaging portion 391 may be coupled to or inserted into the side wall of the inner surface of the agitating vessel 313. The bending blade 392 may be connected to be bent from the coupling portion 391 and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313 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vessel 313. [ At this time, the bending blade 392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side-surface-projecting blade 383c, so that the food garbage sucked or caught by the first side-surface-projecting blade 383c can be removed. In this case, the bending blade 392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ving radius of the first side-surface-projecting blade 383c.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can be bent and connected from the bending blade 392. At this time,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may be in a spiral shape or a curved shape. The food garbage removing blade 393 may be formed so as to be lowered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stirring vessel 313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tirring vessel 313 away from the bending blade 392. Particularly,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can remove the food waste adsorbed or caught by one of the first projecting blade 383b, the second projecting blade 384b and the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384c. In this case,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can be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the moving radius of one of the first projecting blade 383b, the second projecting blade 384b and the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384c. In particular,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is formed in a spiral shape or a curved shape as described above to cover a wide range, and whe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food waste, it is restored to some extent by elasticity It is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은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가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물과 함께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연결부(311)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0040] 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is operated to crush food waste, and then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300 ). At this time, the water and the food wastes can move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311.

연결부(311)를 통과한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공급홀(325)을 통하여 필터부(35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1)와 공급홀(325)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가이드부(323)를 따라 연결부(311)에서 공급홀(325)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캡부(330)와 가이드부(323)가 형성하는 유로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될 수 있으며, 공급홀(325) 주변에서 차폐바디부(321) 측으로 내려갔다가 캡부(330) 측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둔턱부(322)와 연결부(311) 사이에 물의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The water and the food waste having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11 can be moved to the filter part 350 through the supply hole 325.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311 and the supply hole 325 are dispos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so that water and food waste can mov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11 to the supply hole 325 along the guide portion 323. The channel formed by the cap part 330 and the guide part 323 can be bent at least once and is formed so as to descend toward the shielding body part 321 in the vicinity of the supply hole 325 and to rise toward the cap part 330 A part of the water can be stored between the barrier portion 322 and the connection portion 311. [

공급홀(325)을 통하여 필터부(350)로 낙하한 물과 음식물 쓰레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은 필터부(350)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낙하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35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43)가 작동하여 회전부(3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구동부(343)는 기 작동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낙하 시 회전부(360)가 회전하는 상태일 수 있다. 회전부(36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날(36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음식물 쓰레기가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는 개구부(351)를 통하여 낙하될 수 있다. The water and the food waste falling into the filter unit 350 through the supply hole 325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the water can be dropped through the holes formed in the filter unit 350, and the food waste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50.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343 may be operated to rotate the rotation unit 360. Alternatively, the driving unit 343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unit 360 is rotated when the food waste falls during operation. The food wast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rotating blades 362 can move when the rotating unit 360 rotates. In this case, a certain amount of food waste can be dropped through the opening 351.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신호발생부(363)는 외부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위치감지부(345)는 신호발생부(363)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위치감지부(345)는 회전하는 신호발생부(363)가 위치감지부(345)의 하측을 지나가는 경우 신호발생부(363)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감지부(345)에서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구동부(343)는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반면, 위치감지부(345)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위치감지부(345)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구동부(343)의 작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부(343)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uring the operation, the signal generator 363 may generate a signal to the outside, and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may sense the signal of the signal generator 363. FIG. Particularly,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can sense the signal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363 when the rotating signal generating unit 363 passes under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The driver 343 can continuously operate when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senses a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no signal is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or when a signal is not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345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43 is stopped, Can be prevented.

한편, 개구부(351)를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는 통과홀(375)을 통하여 교반용기(313)로 낙할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50)를 통과한 물은 배출트랩바디부(371)에 저장될 수 있으며, 측벽부(372)를 통하여 교반용기(313)와 저수조(312)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될 수 있다. 특히 필터부(350)를 통과한 물은 음식물쓰레기가이드(373)로 인하여 통과홀(375)로 이동하지 못하고 측벽부(372)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ood waste having passed through the opening 351 may fall through the through hole 375 into the agitating vessel 313.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50 can be stored in the discharge trap body 371 and can be guided to the space between the stirring vessel 313 and the water storage tank 312 through the side wall part 372 . Particularly,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50 can not move to the through hole 375 due to the food waste guide 373, and can move to the side wall unit 372.

상기와 같이 교반용기(313)와 저수조(312)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 물은 저수조(312)의 저면으로 이동하고, 제2 유출구(31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water moved to the space between the agitating vessel 313 and the water storage tank 312 moves to the bottom of the water storage tank 312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312a.

교반용기(313)의 내부로 낙하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용기(31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일부 수분은 교반용기(313)의 저면의 홀을 통하여 저수조(312)로 이동하고 제2 유출구(31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food waste dropped into the stirring vessel 313 may be stored in the stirring vessel 313. At this time, some water contained in the food waste may move to the water storage tank 312 through the hole in the bottom of the stirring vessel 313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312a.

상기와 같이 교반용기(313)에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되어 저장된 후 사용자는 개폐부(346)를 통하여 미생물투입부(324)를 개방한 후 미생물을 미생물투입부(324)를 통하여 투입할 수 있다. 이때, 미생물투입부(324)는 개구부(351)와 통과홀(375)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미생물 투입 시 미생물은 미생물투입부(324), 개구부(351) 및 통과홀(375)을 순차적으로 지나 교반용기(313)로 낙하할 수 있다. After the food waste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stirring container 313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open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346, and then insert the microorganism through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 At this time,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51 and the through hole 375, so that the microorganism enters the microorganism input portion 324, the opening portion 351 and the through hole 375 sequentially To the stirring vessel 313.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구동부(343)가 작동하여 회전부(36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교반부(3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이 회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날(383b) 및 제1 측면돌출날(383c)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날(384b)과 제2 측면돌출날(384c)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할 수 있다. 특히 제2 측면돌출날(384c)은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함으로써 교반용기(313)의 넓은 범위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은 서로 상이한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 중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와 충돌 후 발생하는 진동 등을 구동부(343)로 전달하지 않거나 음식물 쓰레기와 충돌 후 자체 탄성력으로 인하여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하부돌출날(384d)은 교반용기(313)의 저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용기(313)의 저면과 함께 분쇄하거나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은 교반용기(313)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효율적이면서 신속하게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은 교반용기(313) 내부의 넓은 범위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during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the driving unit 343 operates to rotate the rotating unit 360 and to rotate the stirring unit 380. Concretely,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rotate to stir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edge 383b and the first side protruding edge 383c can rotate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while rotating.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ding edge 384b and the second side protruding edge 384c can rotate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 while rotating. Particularly,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384c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rotated, so that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can be agitated in a wide rang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In addition,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on blade 384 form different angles from each other, so that food waste in various positions can be agitated with microorganisms.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may be bent so that vibration or the like generated after collision with the food waste is not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343,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n addition to the above case, the lower protruding edge 384d may crush the food was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313 or stir the food waste and the microorganisms. Therefore,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on blade 384 can efficiently and rapidly agitate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in the agitation vessel 313.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on blade 384 are capable of agitating food waste and microorganisms in a wide range within the agitating vessel 313.

상기와 같이 교반부(380)가 회전하는 경우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 중 적어도 하나에 음식물 쓰레기 흡착되거나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에는 과도한 하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구동부(343)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43)는 고장나거나 화재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The food waste may be adsorbed or caught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when the agitating part 380 rotates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n excessive load may be generated in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and the driver 343 may be overloaded.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343 may be broken or a fire may occur.

상기와 같은 경우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가 음식물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날(392)과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제1 교반날(383)과 제2 교반날(384)에 흡착되거나 걸린 음식물 쓰레기와 충돌할 수 있다. 특히 절곡날(392)은 제1 측면돌출날(383c) 및 제2 측면돌출날(384c)의 일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제거날(393)은 제1 돌출날(383b)의 일부 및 제2 측면돌출날(384c)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충돌한 음식물 쓰레기는 제1 교반날(383) 및 제2 교반날(384)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제거부(390)는 구동부(343)에 과도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such a case, the food waste removing unit 390 can remove the food. Specifically, the bending blade 392 and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393 may collide with food garbage adsorbed or caught by the first agitation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on blade 384. Particularly, the bending blade 392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od waste in a part of the first side-surface projecting blade 383c and the second side-surface-projecting blade 384c, and the food garbage removing blade 39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rojecting blade 383b And the second side protruding edge 384c of the food waste. The food waste which has colli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agitating blade 383 and the second agitating blade 384. Therefore, the food waste remover 390 can prevent the drive unit 343 from generating an excessive load.

상기와 같이 미생물과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용기(313)의 저면을 통하여 일부가 저수조(312)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다른 일부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된 후 교반용기(313)의 저면을 통하여 저수조(312)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ood waste stirred with the microorganisms can be partially transferr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1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on vessel 313. Further, another part of the food waste may be decomposed by the microorganism and then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1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agitation vessel 313.

상기와 같이 저수조(312)로 이동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부산물은 제2 유출구(312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y-product of the food waste or the food waste moved to the water storage tank 31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utlet 312a.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상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disintegrates the food waste discharged from the above-mentioned sink such as a home or a restaurant into primary and secondary pulverizations, microorganisms are introduced and decomposed and sewage is carried out through the sewerage, But can be easily achieved.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다양한 방향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립화함으로써 미생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Als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n crush food garbage in various directions,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ecomposition speed of food garbage due to microorganism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는 고정부(1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미도시), 고정브라켓(400′), 걸림판(500′), 커버(600′), 신호발생부(710′), 센서부(720′), 제1 실링부(810′), 제2 실링부(820′) 및 케이스(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200′),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걸림판(500′), 커버(600′), 신호발생부(710′), 센서부(720′), 제1 실링부(810′) 및 제2 실링부(8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7,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includes a fixing unit 100 ', a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200', a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not shown), a fixing bracket 400 ' The first sealing portion 810 ', the second sealing portion 820', and the case 900 (see FIG. 5), the sealing plate 500 ', the cover 600', the signal generating portion 710 ', the sensor portion 720' '). 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00 ',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200', the second food waste processing unit, the latching plate 500 ', the cover 600', the signal generating part 710 ' The first sealing portion 810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82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고정브라켓(400′)은 고정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고정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400′)은 분쇄하우징(23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400′) 내부는 고정부(100′)와 연결되어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할 수 있다. The fixing bracket 40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00' and may be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100 '.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400 'can engage with the crushing housing 230'.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xing bracket 4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100' so that water and food waste can move.

케이스(900′)는 고정브라켓(4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900′)는 내부에 회로기판(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부(7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ase 9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00'.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se 900', and the sensor unit 720 'may be disposed.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고정브라켓(400′)과 고정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링부와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aling part and a packing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racket 400 'and the fixing part 100'.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커버(600′)가 고정부(100′)의 락킹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칼날구동부(220′)가 작동할 수 있다. 특히 제1 회전력생성부(222′)가 작동하여 제1 회전축(22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223′)과 연결된 칼날부(210′)가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칼날부(210′)의 일부는 고정링(240′)에 고정되고 칼날부(210′)의 다른 부분은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칼날부(210′)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when the cover 600 'is positioned 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fixing unit 100', the blade driving unit 220 'may operate. In particular, the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or 222 'may operate to rotate the first rotational shaft 223'. At this time, the blade 210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223' rotates, and the food waste can be firstly crushed. A part of the blade part 210 'is fixed to the stationary ring 240' and the other part of the blade part 210 'rotates to break the food waste. At this time, the method of crushing the food waste by the blade portion 210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분쇄하우징(230′)에 일부가 저장되고 일부는 제1 유출구(231′)를 통하여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는 미생물(또는 미생물배양액)을 공급하여 1차적으로 분쇄한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음식물 쓰레기의 일부를 다시 분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의 작동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ulverized food waste and water may be partially stored in the pulverizing housing 230 'and some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through the first outlet 231'. Then,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may supply the microorganisms (or a microorganism culture liquid) to mix with the primary food waste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unit is capable of grinding a part of the food garbage again. The operation of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상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및 2차 분쇄하여 미립화하고 미생물을 투입하여 분해한 후 하수도를 통해 하수 처리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Therefore,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s capable of disposing food garbage discharged from the sink such as a home or a restaurant first and second, atomizing the microorganisms, decomposing the microorganisms, and disposing the sewage water through the sewerage, thereby sanitizing the food garbage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다양한 방향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립화함으로써 미생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속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Also,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n crush food garbage in various directions, and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ecomposition speed of food garbage due to microorganisms.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칼날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portion of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4 또는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칼날부(2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may include a first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and a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a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4 or FIG. In addition,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Hereinafter, the blade unit 210 "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칼날부(210″)는 제1 회전부(211″), 칼날고정부(212″) 및 제2 회전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칼날고정부(212″)와 제2 회전부(213″)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blade portion 210 "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portion 211 ", a blade fixing portion 212 ", and a second rotating portion 213 ". At this time, since the blade fixing portion 212 '' and the second rotation portion 213 ''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FIGS. 1 to 4,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회전부(211″)는 제1 회전바디부(211a″), 제1 돌출칼날(211b″) 및 제1 에지칼날(2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바디부(211a″)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rst rotating portion 211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a first protruding blade 211b "and a first edge blade 211c".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와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로부터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일면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 may protrude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 may form an angle with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 can form a right angle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 In particular,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 may be vertic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body part 211a ".

제1 돌출칼날(211b″)은 제1 회전바디부(211a″)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열되는 제1 서브돌출칼날(211b-1″)과 제1 서브돌출칼날(211b-1″)로부터 고정링(24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돌출칼날(211b-1″)의 최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은 제1 서브돌출칼날(211b-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돌출칼날(211b-1″)과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jecting blade 211b "is fixed from the first sub-projecting blade 211b-1" and the first sub-projecting blade 211b-1 "which are vertically arranged from one side of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And a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 protruding toward the ring 240 " side. In this case,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first sub-protruding blade 211b-1 " may be inclined. In addition, the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 may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first sub-protruding blade 211b-1 ". At this time, the first sub-protruding blade 211b-1 "and the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may be stepped.

상기와 같은 제1 돌출칼날(211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1 돌출칼날(211b″)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제1 돌출칼날(211b″) 중 하나의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의 저면은 제1 회전바디부(211a″)와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복수개의 제1 돌출칼날(211b″) 중 다른 하나의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의 저면은 제1 회전바디부(211a″)와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blades 211b "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shapes of the first projecting blades 211b "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blades 211b " may not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of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ding blades 21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1a ".

제1 에지칼날(211c″)은 제1 회전바디부(211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에지칼날(211c″)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에지칼날(211c″)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제1 에지칼날(211c″) 사이에는 홈(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에지칼날(211c″)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 에지칼날(211c″)은 칼날고정부(212″)에 형성된 고정돌기(212a″)와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The first edge blade 211c " may protrude from the first rotating body portion 211a ".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edge blades 211c "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irst edge blades 211c "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a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first edge blades 211c ". In addition, at least one out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first edge blades 211c " may be stepped. The first edge blade 211c " as described above can crush the food waste together with the fixing protrusion 212a " formed in the blade fixing portion 212 ".

제2 회전부(213″)는 제1 회전부(21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otation part 213 "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first rotation part 211 ".

상기와 같은 칼날부(210″)는 회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돌출칼날(211b″) 및 제1 에지칼날(211c″)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부(211″)와 제2 회전부(213″)가 회전하는 경우, 제1 서브돌출칼날(211b-1″)과 제2 서브돌출칼날(211b-2″)이 연결되는 부분 상면으로 고정링(240″)의 돌기(243″)가 지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돌출칼날(211b-1″)과 제2 서브돌출칼날(211b-2″) 사이의 단차진 부분과 돌기(243″)가 서로 교차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조밀하게 분쇄할 수 있다. The knife portion 210 'may be rotated to crush food waste.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blade 211b " and the first edge blade 211c " can crush the food wast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rotating portion 211 '' and the second rotating portion 213 'are rotated, the first sub-protruding blade 211b-1' 'and the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The protrusion 243 " of the stationary ring 240 " In this case, the stepped portion between the first sub-protruding blade 211b-1 "and the second sub-protruding blade 211b-2" and the protrusion 243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food garbage can be densely crushed.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동안 제1 에지칼날(211c″)과 칼날고정부(212″)의 고정돌기(212a″)는 서로 교차함으로써 제1 회전부(211″)에서 제2 회전부(213″) 측으로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제2 에지칼날(213c″)과 칼날고정부(212″)의 고정돌기(212a″)도 서로 교차하면서 고정돌기(212a″) 사이로 빠져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During the ro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dge blade 211c '' and the fixing protrusion 212a '' of the blade fixing part 212 'intersect with each other to rotate the first rotation part 211' 'to the second rotation part 213' It is possible to crush the food waste moving toward the food waste. At this time, the second edge blade 213c " and the fixing protrusion 212a " of the blade fixing unit 212 " also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food waste escaping through the fixing protrusions 212a "

상기와 같은 칼날부(210″)는 회전 시 고정링(2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링(240″)은 제1 삽입돌기(241a)를 포함하는 제1 고정링(241″)과 제2 삽입돌기(242a″)를 포함하는 제2 고정링(2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링(240″)의 상단에는 차단판(250″)이 배치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lade portion 210 " may be fixed by a fixing ring 240 " during rotation. At this time, the retaining ring 240 " includes a second retaining ring 242 " that includes a first retaining ring 241 " including a first retaining projection 241a and a second retaining projection 242a " . Further, a blocking plate 250 ''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ixed ring 240 '' to prevent the powdered food waste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food garbage disposing apparatus can effectively break down and disassemble the food.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9를 참고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미도시)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외부단말기(10) 및 통신모듈(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기(10)는 휴대폰,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통신모듈(20)은 외부단말기(10)에 구비되거나 외부단말기(10)와 연결되어 외부단말기(1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2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캔 통신 등 다양한 형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9,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the external terminal 1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0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external terminal 10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and a portable terminal. The communication module 20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 or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to transmit a signal generat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20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wireless signals such as Bluetooth, Wi-Fi, and can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은 외부단말기(10)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미도시) 및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The external terminal 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not shown) and a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not shown) to wirelessly connect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It is possible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waste disposal units or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and the second food waste disposal unit.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제1 송수신부(2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송수신부(270)는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의 다양한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수신부(270)는 통신모듈(20)과 유무선 등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nsceiver 270. At this time, the first transceiver 2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rtions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Also, the first transceiver 27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 by wired or wireless, and may receive or transmit a signal.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통신모듈(20)과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는 제2 송수신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송수신부(347)는 통신모듈(2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may include a second transceiver 347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ceiver 347 can receive or transmit a signal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20. [

한편, 상기와 같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외부단말기(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신호는 통신모듈(20)을 통하여 제1 송수신부(270) 및 제2 송수신부(347)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송수신부(270)로 신호가 전달되면, 칼날구동부(220)가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제2 송수신부(347)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343)가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external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in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270 and the second transceiver 347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 Specifically,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270, the blade driving unit 220 operates to crush the food wast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transceiver 347 receives a signal, the driving unit 343 operates to stir the food waste.

상기와 같이 칼날구동부(220)가 작동하는 경우 칼날구동부(220)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제1 송수신부(270)로 전달되어 통신모듈(20)을 통하여 외부단말기(1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외부단말기(10)에는 음성 또는 이미지 등을 통하여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의 작동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43)가 작동하는 제2 송수신부(347)로 신호가 전달되고, 제2 송수신부(347)는 통신모듈(2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모듈(20)에서 수신된 신호는 외부단말기(10)로 전달되어 외부단말기(10)는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의 작동 상태를 음성 또는 이미지 등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A signal generated by the blade driving unit 22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ceiver 27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0. At this time, the external terminal 10 can expres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through voice, image, or the like.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ransceiver 347 through which the driving unit 343 operates and the second transceiver 347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0. [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20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10 so that the external terminal 10 can expres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through voice or image.

상기와 같은 제2 송수신부(347)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송수신부(347)는 도 4에 도시된 위치감지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송수신부(347)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가 통신모듈(20)에 수신되면, 외부단말기(10)는 상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의 작동 유무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단말기(10)는 상기와 같은 결과를 외부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별도의 표시 장치 또는 알람장치, 음성알림장치 등을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7 may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o transmit signals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7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sensing unit (not shown) shown in FIG. 4 to transmit a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ing unit to the outside. At this time, whe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ceiver 347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0, the external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is operated based o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do. The external terminal 1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to an external user through a separat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external terminal 10, an alarm device, a voice notification device, or the like.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제1 송수신부(270)는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송수신부(347)는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송수신부(270) 및 제2 송수신부(347)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접속부(C)가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분리되거나 파손된 경우 통신모듈(20)로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외부단말기(10)는 상기의 신호를 근거로 이러한 정보를 외부로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cases, the first transceiver 270 may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transceiver 347 may transmit a signal generated by the second food waste processing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7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4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ion unit C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first food waste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food waste processing unit The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0 when the signal is separated or damaged from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ignals, and the external terminal 10 may inform the outside of the signal based on the signal.

따라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 상태를 외부단말기(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사용자에게 작동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food garbage disposing unit can not only operate remotely by receiving a signal from an external user but also inform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terminal 10 of the operation state. The food garbage disposing unit is capable of accurately and promptly transmitting operating information to the user.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0, 10': 회로기판 250: 차단판
100,100': 고정부 260: 제3 실링부
200,200':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311: 연결부
210,210',220″: 칼날부 320: 차폐부
211,211″: 제1 회전부 330: 캡부
212,212″: 칼날고정부 341: 구동부커버
213,213″: 제2 회전부 342: 물공급부
220, 220': 칼날구동부 343: 구동부
221: 구동부케이스 344: 밸브
222, 222': 제1 회전력생성부 345: 개폐부
223,223': 제1 회전축 350: 필터부
224: 베어링 400,400': 고정브라켓
225: 제1 오일실 500,500': 걸림판
226: 모터패킹 600,600': 커버
227: 제1 캡 610: 결합돌기결합부
228: 제1 회전축결합부 710,710': 신호발생부
230,230': 분쇄하우징 720,720': 센서부
231, 231': 제1 유출구 810,810': 제1 실링부
240,240',240″: 고정링 820,820': 제2 실링부
241: 제1 고정링 900,900': 케이스
242: 제2 고정링 910: 암부
243,243″: 돌기 300: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10, 10 ': circuit board 250: shield plate
100, 100 ': Fixing portion 260: Third sealing portion
200, 200 ': first food waste disposal unit 311:
210, 210 ', 220 ": blade portion 320:
211, 211 ": first rotating part 330: cap part
212, 212 ": blade fixing portion 341: drive cover
213,213 ": second rotating part 342: water supply part
220, 220 ': blade drive unit 343:
221: drive unit case 344: valve
222, 222 ': first rotational force generator 345:
223, 223 ': first rotating shaft 350:
224: Bearing 400, 400 ': Fixing bracket
225: first oil chamber 500, 500 ': engaging plate
226: Motor packing 600,600 ': Cover
227: first cap 610: engaging projection engaging portion
228: First rotary shaft coupling part 710, 710 ': Signal generator
230, 230 ': crushing housing 720, 720'
231, 231 ': first outlet 810, 810': first sealing portion
240, 240 ', 240 ": fixed ring 820, 820': second sealing part
241: first fixing ring 900, 900 ': case
242: second fixing ring 910:
243,243 ": protrusion 300: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Claims (40)

싱크대 배수구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 중 물을 투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서,
상기 필터부가 안착하며,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교반용기; 및
상기 저수조에 안착하며, 상기 필터부에서 투과된 물을 상기 저수조와 상기 교반용기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교반용기로 안내하는 배출트랩;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connection to the sink drain;
A filter unit which separates water and food waste by selectively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throug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food waste; And
And a rotation unit rotatably disposed on the filter unit to move the food waste, the apparatus comprising:
A water reservoir on which the filter unit is seated and which guides water to the outside;
A stirring vesse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and storing food waste temporarily; And
And a discharge trap which is seated on the water storage tank and guides the water permeated by the filter unit to the space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stirring vessel and guides the food waste to the stirring vess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partially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메쉬 형태로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unit is formed in a mesh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중심축; 및
상기 회전중심축에서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rotation center axis; And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that are formed to project radially from the rotation center shaft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날은 상기 필터부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rotary blades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개의 회전날 중 하나에 배치되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on unit includes:
And a signal generator dispos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rotary blades to generate a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osi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a position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차폐하고,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하는 물 및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ield for shielding the filter unit and guiding water and food waste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to the filter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와 상이한 상기 차폐부 부분에 형성되는 공급홀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ielding portion has a supply hole formed in the shielding portion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공급홀과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차폐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둔턱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hielding portion
And a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supply hol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barrier being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hiel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차폐부와 결합하는 캡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ap portion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coupled to the shield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캡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부와 접촉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hielding portion
And a guide part protruding toward the cap part and contacting the cap par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차폐부 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차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cap portion protrudes toward the shielding portion or protrudes away from the shielding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미생물을 투입하는 미생물투입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hielding portion
And a microorganism input unit for inputting microorganism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투입부에 결합하며 상기 미생물투입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coupled to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and selectively opening / closing the microorganism inpu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랩은,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배출트랩바디부; 및
상기 배출트랩바디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배출트랩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물을 통과시키는 홀이 형성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trap comprises:
An exhaust trap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food waste flows; And
And a sidewall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and having a hole for allow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통과홀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로부터 상기 필터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하는 상기 필터부의 개구된 부분과 상기 통과홀을 연결하는 음식물쓰레기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charge trap comprises:
And a food garbage guide disposed around the through hole and protruding toward the filter portion from the discharge trap body to connect the open portion of the filter portion through the food waste to the through hole, Garbage disposal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랩은,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로부터 상기 필터부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저면과 상기 배출트랩바디부를 이격시키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ischarge trap comprises: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toward the filter portion to sepa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from the discharge trap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은 물이 통과하도록 메쉬 형태로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is formed in a mesh shape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용기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교반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gitating part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stirring containe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교반중심축; 및
상기 교반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교반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tirring part
Stirring center axis; And
And an agitat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agitating central axis in an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agitating vessel.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tirring blade is bent at least onc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률지게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stirring blade is curved.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tirring blade is inclined relative to a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에 배치되는 제1 교반날; 및
상기 교반중심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교반날과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제2 교반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4. The method of claim 23,
The stirring blade
A first stirring blade disposed on the stirring central axis; And
And a second stirring blade disposed at the stirring center shaft and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first stirring blade.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과 연결되는 제1 날고정부;
상기 제1 날고정부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날; 및
상기 제1 돌출날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돌출날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측면돌출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first stirring blade
A first flying part connected to the stirring center shaft;
A first projecting blade projecting from the first blade fixing par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vessel; And
And a first side projecting blade connected to the first projecting blade and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the first projecting blad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날 및 상기 제1 측면돌출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rojecting blade and the first side projecting bla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반날은,
상기 교반중심축과 연결되는 제2 날고정부;
상기 제2 날고정부와 연결되며, 상기 교반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내면으로 돌출된 제2 돌출날; 및
상기 제2 돌출날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돌출날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제2 측면돌출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second stirring blade
A second flying part connected to the stirring center shaft;
A second protruding blade connected to the second blade fixing part and protruding from the stirring central axi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And
And a second side projecting blade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projecting blade and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the second projecting blad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날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econd projecting blade is bent at least onc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돌출날은 나선형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And the second side projecting edge is a spiral.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반날은,
상기 제2 돌출날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돌출날로부터 상기 교반용기의 저면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second stirring blade
And a lower projecting blade connected to the second projecting blade and protruding from the second projecting blade to a bottom surface of the stirring container.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교반용기에 고정되는 음식물쓰레기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food garbage removing unit fixed to the stirring container so as to face the stirring unit.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부는,
상기 교반용기에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교반용기 내부로 돌출된 절곡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5. 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the food garbage remover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fixed to the stirring vessel; And
And a bending blade that is bent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coupling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stirring container.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부는,
상기 절곡날로부터 상기 교반용기 내부로 돌출된 음식물쓰레기제거날;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food garbage remover includes:
And a food garbage removing blade protruding from the bending blade into the stirring container.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쓰레기제거날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률지게 형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7. The method of claim 36,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food waste removing blade is curved.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며,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며,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교반하는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서,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공급된 물과 음식물 쓰레기 중 물을 투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선택적으로 낙하시켜 물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과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접속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못한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first food garbage disposing unit installed in the sink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and food waste and crushing the discharged food waste; And
And a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unit that stirs the microorganisms decomposing the food waste disintegrated in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with the food garbage,
Wherein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comprises: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A filter unit which separates water and food waste by selectively passing water and food waste throug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connection unit and food waste; And
And a rotating unit rotatably disposed on the filter unit to move the food waste,
Wherein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ing unit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ing unit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and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not norm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waste disposal apparatus is stopped.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 상태 확인이 가능한 외부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9. The method of claim 38,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operate at least one of the first food garbage disposal unit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And an external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an operating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food garbage disposal unit.
삭제delete
KR1020170119767A 2017-09-18 2017-09-18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907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67A KR101907639B1 (en) 2017-09-18 2017-09-18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767A KR101907639B1 (en) 2017-09-18 2017-09-18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639B1 true KR101907639B1 (en) 2018-12-05

Family

ID=6474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767A KR101907639B1 (en) 2017-09-18 2017-09-18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639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056B1 (en)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20200093319A (en) * 2019-01-28 2020-08-0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ood waste disposer
KR102228862B1 (en) * 2020-07-22 2021-03-17 주식회사 이노밴티지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sink
KR102229110B1 (en) * 2019-09-11 2021-03-19 (주)휴렉 Food waste disposer
KR102229107B1 (en) * 2019-09-11 2021-03-19 (주)휴렉 Food waste disposer
KR102275825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4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3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20230025295A (en)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42A (en) * 2002-12-19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rbage disposer
KR101215310B1 (en)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kichen sink
KR101655318B1 (en) * 2009-09-21 2016-09-08 코웨이 주식회사 Transfer Unit for Food Treatment System and Transfer control method for Food Treatment System
KR101675353B1 (en) * 2015-02-13 2016-11-11 주식회사 퍼휴먼 Bond structure of stirring wing for foodstuffs waste treating device
KR101689990B1 (en)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42A (en) * 2002-12-19 2003-09-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rbage disposer
KR101655318B1 (en) * 2009-09-21 2016-09-08 코웨이 주식회사 Transfer Unit for Food Treatment System and Transfer control method for Food Treatment System
KR101215310B1 (en) * 2012-07-03 2013-01-03 김찬동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kichen sink
KR101675353B1 (en) * 2015-02-13 2016-11-11 주식회사 퍼휴먼 Bond structure of stirring wing for foodstuffs waste treating device
KR101689990B1 (en) * 2016-01-28 2017-01-02 곽상훈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319A (en) * 2019-01-28 2020-08-0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ood waste disposer
KR102540687B1 (en) * 2019-01-28 2023-06-0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ood waste disposer
KR102079056B1 (en) * 2019-09-11 2020-02-19 (주)휴렉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KR102229110B1 (en) * 2019-09-11 2021-03-19 (주)휴렉 Food waste disposer
KR102229107B1 (en) * 2019-09-11 2021-03-19 (주)휴렉 Food waste disposer
KR102228862B1 (en) * 2020-07-22 2021-03-17 주식회사 이노밴티지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sink
KR102275825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4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3B1 (en) * 2020-08-31 2021-07-09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20230025295A (en) * 2021-08-13 2023-02-21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537618B1 (en) 2021-08-13 2023-05-26 주식회사 세인홈시스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639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814189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1069240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food waste
KR102079056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JPH03245855A (en) Garbage pulverizing apparatus
CN205379941U (en) Table surface formula food waste disposer
KR20110003663U (en) A Food Waste Treating System
KR20150124296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101413810B1 (en)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KR102275825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26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4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2275833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189942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KR102537618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20140145220A (en) apparatus of food waste disposal
KR20100024461A (en) Disposal equipment for food's waste matters
KR101314870B1 (en) foodwaste reduced an apparatus
KR101967686B1 (en) Food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Crusing and Agitating Food
KR102466335B1 (en) Treating apparatus for food waste
KR102275831B1 (en) Apparatus for disposing food waste
KR101598839B1 (en) Crusher
KR101413826B1 (en) 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KR102228862B1 (en)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sink
KR101570306B1 (en) Agitator apparatus for disposer having recirculatio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