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742B1 -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742B1
KR102275742B1 KR1020200010564A KR20200010564A KR102275742B1 KR 102275742 B1 KR102275742 B1 KR 102275742B1 KR 1020200010564 A KR1020200010564 A KR 1020200010564A KR 20200010564 A KR20200010564 A KR 20200010564A KR 102275742 B1 KR102275742 B1 KR 10227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rticles
magnet
hole
mold
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037A (ko
Inventor
박욱
송석흥
윤진식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0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자성 미립자를 저장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단계, 제1 자석을 통해,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에 자력을 가하여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 제2 자석을 통해,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 자석에 부착되어 플레이트 상부로 이동된 자성 미립자를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tative distribution of aspherical/asymmetric magnetic particles}
본 발명은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을 이용하여 홀 패턴된 몰드를 통해 자성 미립자를 분배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립자는 화장품, 인쇄 및 광학 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기능성 미립자 시장은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복합 소재, 의료, 생명과학, 개인위생용품 등을 중심으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의료 분야에서는 약물방출, 분자 영상화(molecular imaging) 등에 있어서 미립자가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진단 시장에서는 POCT(Point-of-Care Testing)개념의 신속 정확한 차세대 개인 맞춤형 진단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개인 맞춤형 의료시장은 환자별로 특화된 분자 및 세포 진단 서비스를 위한 진단기 또는 키트의 상용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진단기 또는 키트는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자성 미립자의 사용에 기초하여 소형화로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맞춤형, 체외 진단검사기의 소형화에 따라 진단용 자성 미립자를 검사 가능한 최소 수량에 부합하도록 조절함이 요구된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는 기능성 자성 미립자는 다양한 크기 및 작용기를 가지나, 거의 모든 제품이 벌크한 상태로 판매되고 있고, 자성 미립자를 체외 진단분야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제품 구매 후 검사에 필요한 양 만큼 조절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8091호. 2015.01.21.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가 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자성 미립자를 저장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단계, 제1 자석을 통해,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에 자력을 가하여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 제2 자석을 통해,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 자석에 부착되어 플레이트 상부로 이동된 자성 미립자를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패턴된 몰드에 형성된 홀들은 기설정된 간격,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는 자성 미립자가 로딩된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1 자석을 제1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1 자석을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시켜 홀 주변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 이후, 제1 자석을 몰드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키는 단계에서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석을 몰드의 일단으로 이동시킨 이후,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는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2 자석을 제2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동된 제2 자석에 자력을 가하여 홀 내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제2 자석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된 제2 자석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제2 자석 끝단에 마련되며, 제2 자석과 분리가능한 캡을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제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들을 분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저장된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 자성 미립자 저장부로부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패턴된 몰드,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자력을 가하여 몰드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제1 자석,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2 자석 및 제2 자석에 부착되어 이동된 자성 미립자들을 담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 패턴된 몰드에 형성된 홀들은 기설정된 간격,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석은 몰드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하여 홀 주변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를 홀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석은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킨 이후, 몰드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자석을 몰드의 일단으로 이동한 후,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자석은 제2 자석과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되면,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자석은 끝단에 분리가능한 캡을 포함하고, 캡은 플레이트를 향한 제2 자석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자석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자석은 제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정량분배 장치는 진단용 POCT(Point-of-Care Testing) 기기의 빠르고 정확한 정량분석을 위해서 분석(assay)에 필요한 극소량단위로 분배된 정량의 자성 미립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정량분배 장치는 일정한 부피를 가지는 홀 패턴된 몰드를 통해 자성 미립자를 분배함으로써, 진단용 POCT 기기의 진단시간 및 분석에 있어 재현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자석을 이용하여 자성 미립자를 소량으로 정량 분배함으로써, 개인별특성에 따른 검사에 있어 진단용 자성 미립자를 필요한 최소수량 만큼 자동 정렬 후 패키징하여, 자성 미립자 사용자에게는 추가적인 양 조절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고, 간단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배함으로써 검사의 편리함, 신속함 및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 내용의 특징들이 상세하게, 보다 구체화된 설명으로, 이하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도록, 실시예들 중 일부는 첨부되는 도면에서 도시된다. 또한, 도면과의 유사한 참조번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전형적인 실시예들만을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는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 다른 실시예들이 충분히 인식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S10)은 자성 미립자를 저장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단계(S11), 제1 자석을 통해,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에 자력을 가하여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S13), 제2 자석을 통해,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S15) 및 제2 자석에 부착되어 플레이트 상부로 이동된 자성 미립자를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S1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 미립자를 로딩하는 단계(S11)는 자성 미립자 저장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자성 미립자를 로딩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몰드는 분배 장치 중단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표면 일부분에 패턴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홀 패턴된 몰드에 형성된 홀들은 사용자의 디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 미리 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맞는 홀의 깊이와 간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기설정된 간격으로,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홀에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킨 후, 자석을 이용하여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킴으로써, 주로 벌크 형태로 판매되는 자성 미립자를 용이하게 정량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홀의 크기가 곧 정량으로 분리될 자성 미립자의 크기이다. 자성 미립자는 미세하므로, 자성 미립자를 소량의 동일한 양으로 분배하기가 쉽지 않은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일한 크기의 홀들을 이용하여 자성 미립자를 분배함으로써, 미세한 자성 미립자의 양을 소량으로 용이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S13)는 자성 미립자를 로딩하는 단계(S11)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를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1 자석을 이용하여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S13)는 자성 미립자가 로딩된 몰드로,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1 자석을 제1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1 자석을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시켜 홀 주변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S13)는 자성 미립자가 로딩된 몰드로 제1 자석을 제1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자석을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시켜 홀에 자성 미립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S13) 이후, 제1 자석을 몰드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단계는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키는 단계(S13)에서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제1 자석을 이용하여, 몰드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 자석을 몰드의 일단으로 이동시킨 이후,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자석을 이용하여 제거한 후, 에어건 또는 플로우 제너레이터(flow generator)을 이용하여 홀 주변에 바람을 가하여 홀 주변을 추가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예시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S15)는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2 자석을 통해,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S15)는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2 자석을 제2 자석과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이동된 제2 자석에 자력을 가하여 홀 내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제2 자석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된 제2 자석을 플레이트로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는 자성 미립자가 삽입된 다수의 홀 위치로 몰드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2 자석을 이동시킨 후, 자성 미립자가 삽입된 홀 상부로 제2 자석을 제2 자석과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제2 자석에 부착시킬 수 있다. 몰드에 패턴된 홀을 통해 분리시킨 자성 미립자들을 제2 자석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장치의 중단부에 마련된 플레이트로 제2 자석을 이동시켜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옮겨 담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S17)는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S15)에서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킨 제2 자석을 제2 자석에 부착되어 플레이트 상부로 이동된 자성 미립자를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몰드의 상부에 마련된 제2 자석은 제2 자석 끝단에 마련되어 제2 자석과 분리가능한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단계(S17)는 제2 자석 끝단에 마련되며, 제2 자석과 분리가능한 캡을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자석 끝단에 분리가능한 캡을 포함하고 있어서, 제2 자석과 캡의 분리를 통해 제2 자석과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들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킬 수 있다. 자석에 자성 미립자를 직접 부착시키면, 정량으로 분배된 자성 미립자를 플레이트로 옮기고, 자석에서 자성 미립자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배된 자성 미립자의 양이 손실 될 우려가 있으므로, 캡이 씌어져 있는 자석에 자성 미립자를 부착시켜서, 자석과 캡의 분리를 통해 자성 미립자를 쉽게 자석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20)는 상단부(100), 중단부(200) 및 하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20)의 상단부(100)는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2 자석(110), 제2 자석 끝단에 마련된 캡(115) 및 저장된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의 중단부(200)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로부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패턴된 몰드(210), 제2 자석에 부착되어 이동된 자성 미립자들을 담는 플레이트(230) 및 자성 미립자들이 삽입되었던 홀 주변에 바람을 가하는 에어건(250) 또는 플로우 제너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의 하단부(300)는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자력을 가하여 몰드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제1 자석(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성 미립자 저장부(120)는 장치(20)의 상단부(100)에 마련되어 있으며, 벌크형태의 자성 미립자들을 저장할 수 있다. 자성 미립자 저장부(120)에서 중단부(200)의 일단에 위치한 몰드(210)로 자성 미립자를 로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몰드(210)는 장치(20)의 중단부(200)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패턴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홀 패턴된 몰드(210)는 홀(215)을 통해 자성 미립자를 정량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홀(215) 패턴된 몰드(210)에 형성된 홀(215)들은 사용자의 디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 미리 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목적에 맞는 홀의 깊이와 간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간격으로, 미리 설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형성된 홀(215)의 부피와 동일한 양의 자성 미립자를 동일한 양으로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석(310)은 몰드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몰드(210)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를 제1 자석(310)의 자력을 이용하여 홀(215)에 삽입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석(310)은 자성 미립자가 로딩된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으며, 몰드 방향으로 상승 이동하여 몰드(210)와 근접시키거나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이동한 제1 자석은 몰드(210)와 접촉한 상태로 홀(215) 주변을 배회하여 제1 자석(310)과 자성 미립자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로딩된 자성 미립자를 홀(215)에 삽입시킬 수 있다. 제1 자석(310)을 홀(215) 주변에 배회 시키는 이유는 자성 미립자들끼리의 인력으로 인해 홀(215)에 제대로 삽입이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강제로 삽입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자석(310)은 홀(215)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킨 이후, 홀(215)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해, 몰드(210)와 접촉되어 있는 제1 자석(310)을 몰드(210)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몰드(210)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몰드(210)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로 몰드(210)의 일단으로 이동시켜서, 홀(215)에 삽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자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삽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미립자는 다시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 저장되어 다음 분배시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자석(110)은 몰드(210)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으며, 하나의 홀(215)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230)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자석(110)은 제2 자석과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되면,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된 상태로 플레이트(23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석(110)은 제2 자석(110) 끝단에 제2 자석(110)과 분리가능한 캡(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캡은 플레이트(230)로 향한 제2 자석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자석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제2 자석(110)과 결합된 분리가능한 캡의 분리를 통해 제2 자석(110)과 제2 자석(110)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자석(110)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110)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30)는 장치(20)의 중단부(200)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으며, 홀(215)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를 담아둘 수 있다. 플레이트(230)는 제2 자석(110)에 부착되어 이동된 자성 미립자들을 담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건(250) 또는 플로우 제너레이터(Flow Generator)는 장치(20)의 중단부(200)에 마련되어 있으며, 몰드(210)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어서, 제1 자석(310)이 홀(215)에 삽입되지 않고 남아있는 남은 자성 미립자를 몰드(210)의 일단으로 이동시킨 후, 자성 미립자가 삽입되어 있는 홀(215) 주변에 바람을 가하여 홀(215) 주변을 청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장치의 상단부
110: 제2 자석
115: 캡
120: 자성 미립자 저장부
200: 장치의 중단부
210: 몰드
230: 플레이트
250: 에어건
300: 장치의 하단부
310: 제1 자석

Claims (17)

  1. 자성 미립자를 저장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에서 홀 패턴된 몰드 상에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단계;
    제1 자석을 통해, 상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에 자력을 가하여 상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
    제2 자석을 통해,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자석에 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 상부로 이동된 자성 미립자를 상기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패턴된 몰드에 형성된 홀들은,
    기설정된 간격,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자성 미립자가 로딩된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1 자석을 제1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자석을 상기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시켜 상기 홀 주변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상기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에 삽입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자석을 상기 몰드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키는 단계에서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를 제거하는 단계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을 몰드의 일단으로 이동시킨 이후, 상기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된 제2 자석을 제2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된 제2 자석에 자력을 가하여 상기 홀 내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상기 제2 자석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된 제2 자석을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석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자석과 분리가능한 캡을 상기 제2 자석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들을 분리시키는 단계인,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10.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저장된 자성 미립자들을 로딩하는 자성 미립자 저장부;
    상기 자성 미립자 저장부로부터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패턴된 몰드;
    상기 몰드의 하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자력을 가하여 상기 몰드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들을 상기 패턴된 홀에 삽입시키는 제1 자석;
    상기 몰드의 상부에 이격되어 마련되며, 다수의 홀에 삽입된 자성 미립자들을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2 자석; 및
    상기 제2 자석에 부착되어 이동된 자성 미립자들을 담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 패턴된 몰드에 형성된 홀들은,
    기설정된 간격, 기설정된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몰드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자성 미립자들이 로딩된 홀 주변에서 배회하여 상기 홀 주변에 로딩된 자성 미립자를 상기 홀에 삽입시키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은,
    상기 홀에 자성 미립자를 삽입시킨 이후, 상기 몰드와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몰드의 일단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을 몰드의 일단으로 이동한 후, 상기 홀에 삽입되지 않고 홀 외부에 남아있는 자성 미립자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몰드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성 미립자들이 부착되면, 상기 플레이트를 향해 이동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은,
    끝단에 분리가능한 캡을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플레이트를 향한 상기 제2 자석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자석으로부터 분리되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은,
    상기 제2 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제2 자석에 부착된 자성 미립자들을 분리시키는,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장치.
KR1020200010564A 2019-07-01 2020-01-29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 KR102275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892 2019-07-01
KR20190078892 2019-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37A KR20210003037A (ko) 2021-01-11
KR102275742B1 true KR102275742B1 (ko) 2021-07-09

Family

ID=7412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64A KR102275742B1 (ko) 2019-07-01 2020-01-29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7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2321A1 (en) 2003-09-01 2006-11-09 Daisuke Yamada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process for producting the same, and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WO2018136268A1 (en) 2017-01-19 2018-07-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nipulation of magnetizable abrasive particles with modulation of magnetic field angle or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63935C (zh) * 2007-05-23 2009-12-02 江苏天一超细金属粉末有限公司 一种使磨料颗粒均匀分布/有序排列/择优取向的方法和装置
KR102063542B1 (ko) 2012-05-11 2020-01-09 필립스-메디사이즈 에이/에스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2321A1 (en) 2003-09-01 2006-11-09 Daisuke Yamada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process for producting the same, and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WO2018136268A1 (en) 2017-01-19 2018-07-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nipulation of magnetizable abrasive particles with modulation of magnetic field angle or strengt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 A. Evans 외 5명, 'Magnetically Actuated Nanorod Arrays as Biomimetic Cilia', Nano Letters, Vol. 7, No. 5, pp. 1428-1434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037A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6912B2 (en) Sorting of T lymphocytes in a microfluidic device
EP3142789B1 (en) Mems-based single particle separation system
US9358542B2 (en) Magnetic tube rack
Martin et al. Tailoring width of microfabricated nanochannels to solute size can be used to control diffusion kinetics
EP3606755A1 (en) Multi-headed auto-calibrating bioprinter with heads that heat, cool, and crosslink
US10751715B1 (en) Microfluidic reporter cell assay methods and kits thereof
US20100227379A1 (en) Compact disk based system for separating immunomagnetic bead labeled particulates and method thereof
JP2019514061A (ja) 顕微鏡検査のための試料処理
JP2012504764A (ja) 粘弾性フォーカシングに基づく光学的撮像
CN105452838B (zh) 检体调制用容器
KR102275742B1 (ko) 비구형/비대칭 자성 미립자의 정량분배 방법 및 장치
CN108993621A (zh) 一种用于数字酶联免疫检测的微小室阵列微流控芯片及方法
US20170122937A1 (en) Microparticle separation chip, and microparticle separation system and microparticle separation method which employ said microparticle separation chip
Keys et al. Assembly and use of a microfluidic device to study cell migration in confined environments
US4469151A (en) Fluid layering device
GB2523556A (en) Histology cassette stack
JP2003507163A (ja) プランジャおよびプランジャ上で硬化されたハウジングを備えたサンプリング/ディスペンシング器具
US20150323426A1 (en) Suction tip, object observation device using the suction tip, and object observing method
US2013034460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artial labeling and subsequent quantification of cells of cell suspension
US9956560B2 (en) Pipette tip containers
JP6244589B2 (ja) 微粒子分離用マイクロ流路チップ、移流集積ユニット、微粒子分離用システム及び微粒子分離方法
JP2015519041A (ja) 懸濁された細胞成分を均質に分布させるための方法と装置
Inglis Microfluidic devices for cell separation
JP4409113B2 (ja) 容器の中栓
BR112017011469B1 (pt) Aparelho de separação e método para separação de partícul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