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62B1 -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62B1
KR102275462B1 KR1020190157238A KR20190157238A KR102275462B1 KR 102275462 B1 KR102275462 B1 KR 102275462B1 KR 1020190157238 A KR1020190157238 A KR 1020190157238A KR 20190157238 A KR20190157238 A KR 20190157238A KR 102275462 B1 KR102275462 B1 KR 102275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unit
parts
alignment stat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522A (ko
Inventor
강용주
Original Assignee
강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주 filed Critical 강용주
Priority to KR1020190157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이 공급되는 부품 공급부와, 부품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는 정렬 상태 감지부와, 정렬 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와, 저장된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정렬 방법 결정에 사용되는 정렬 정보를 입력하는 정렬정보 입력부와, 제어부에서 결정된 정렬 방법으로 부품을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과,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요하기 위한 부품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Part Sorting Supply System, Part Sorting Method Using Part Sorting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부품 정렬 대상이 바뀔 경우 사용자가 쉽게 바뀐 부품에 대응하여 프로그램을 재설정 가능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과, 이를 활용하기 위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품 정렬 공급기는 부품을 자동으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장치로, 자동화 공정에서 부품을 지정된 방향 및 간격으로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정렬에 진동정렬기(Vibrating Feeder), 회전진동기(Rotating Feeder) 등의 장치가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다축 로봇에 머신비전을 결합한 로봇 정렬기 또한 함께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진동정렬기와 회전진동기의 경우 특정한 제품 정렬에 특화된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품 정렬 대상의 형상이 바뀔 경우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정렬 방향 또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로봇 정렬기의 경우 범용성을 가지지만, 머신비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비의 가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부품 정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조작이 어려워 정렬 대상이 바뀔 경우 전문가를 통한 새로운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결국, 로봇 정렬기의 경우 종래에 사용되던 진동정렬기와 회전진동기가 정렬 대상이 제한되던 문제점을 해결하였지만, 비용적인 측면과 제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문제를 야기한 것이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640010호(명칭: 부품 공급장치, 공고일: 2016.07.1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계비용이 높아 사용이 제한되고, 시스템 제어가 어려워 정렬 대상이 되는 부품 교체 시 전문 인력이 필요하였던 로봇 정렬 장치의 한계를 해결 가능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과, 이를 활용하기 위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은, 부품이 공급되는 부품 공급부(100); 상기 부품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는 정렬 상태 감지부(200);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와, 저장된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정렬 방법 결정에 사용되는 정렬 정보를 입력하는 정렬정보 입력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에서 결정된 정렬 방법으로 부품을 정렬하는 정렬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가 패턴으로 표현되는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을 보고 사용자가 정합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는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품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2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부품이 감지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 형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는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이송되는 부품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촬영부(220)에서 촬영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 형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는 부품의 일측면에서 감지되는 평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와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부품이 정렬될 수 있는 가지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사용자가 올바른 부품의 정렬 패턴을 입력하는 부품 정렬패턴 입력부(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부품이 공급되며 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정렬하여 공급하는 정렬 공급단계(S100); 상기 정렬 공급단계(S100)에서 공급된 부품의 정렬 상태를 상기 감지부(200)에서 감지하여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패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200);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된 부품의 패턴을 보고 상기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이용하여 부품 정렬 상태의 정합 여부를 판단하는 정합여부 판단단계(S300); 및 상기 정합여부 판단단계(S300)에서 판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저장하는 판단정보 저장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과, 이를 보다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은, 정렬 정보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렬 정보를 쉽게 설정 가능하므로, 정렬 하고자 하는 대상 부품이 바뀔 시 현장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정렬 정보를 쉽게 재설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정렬 정보를 재설정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정렬 정보 재설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 가능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렬상태 패턴을 보고 이를 이용하여 정렬 상태의 정합 여부를 결정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정렬 정보를 설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정렬 패턴을 직접 결정하거나 보정 가능하므로 보다 빠르게 정렬 정보를 재설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방위에서 측정되는 정렬 패턴을 개별적으로 설정 가능하므로, 두면 이상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면체의 정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도 1은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구체화한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구체화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1000)은 부품이 공급되는 부품 공급부(100)와, 상기 부품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는 정렬 상태 감지부(200)와,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와, 저장된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 제어부(300)와, 상기 제어부(300)의 정렬 방법 결정에 사용되는 정렬 정보를 입력하는 정렬정보 입력부(400)와, 상기 제어부(300)에서 결정된 정렬 방법으로 부품을 정렬하는 정렬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부품의 정렬은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부품이 공급되면, 상기 감지부(200)에서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가 상기 제어부(300)로 송신되면, 제어부(300)에서 상기 정렬부(500)를 동작시켜 부품을 지정된 형태로 정렬한다. 이때, 부품이 바뀔 경우 상기 제어부(300)의 프로그램 제어를 변경하여 상기 정렬부(500)의 운동을 재설정 하여야 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의 재설정은 전문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 또한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정렬 정보를 재설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1000)을 구체화한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구체화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에서 상기 부품 공급부(100)는 부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10)와, 상기 컨베이어(110)로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는 상기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동하는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10)와, 영상 촬영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300)는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 PC 제어부(310)와, PLC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렬 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가 패턴으로 표현되는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을 보고 사용자가 정합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와, 사용자가 부품의 정렬 패턴을 입력하는 부품 정렬패턴 입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렬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부품을 올바르게 정렬하는 그립퍼(510)와, 정렬 컨베어(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 공정에 사용되는 부품(p)은 상기 부품 공급장치(120)를 통하여 컨베이어(110)로 공급되고, 컨베이어(110)로 공급된 부품(p)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를 통하여 형상 데이터가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300)는 전송받은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렬 방법을 결정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렬부(500)를 이용하여 부품(p)을 올바르게 정렬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품 공급장치(120)는 상기 컨베이어(110)로 부품을 공급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p)이 공급되는 투입구(121)와,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투입된 부품(p)을 리프팅 하여 상승 시키는 에어 실린더부(122)와, 상기 에어 실린더부(122)를 통하여 상승된된 부품(p)이 상기 컨베이어(110)로 이동하는 출구부(123)를 포함하는 리프팅 방식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는 일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110)를 타고 이동하는 부품(p)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나열되며, 각각이 지정된 영역에 부품(p)이 위치되는지 유무를 확인하는 센서(211)와, 상기 센서(211)가 구비되는 하우징(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지센서(210)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는 컨베이어(110)를 타고 이동하는 부품(p)의 일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부(2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500)는 일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부품(p)을 이동시키거나 회전 가능한 구동계를 가지는 그립퍼(510)일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는 부품(p)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이동시키는 정렬 컨베어(520)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400)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4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가 패턴으로 표현되는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을 보고 사용자가 정합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저장되어 있는 정렬 정보와,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를 비교하여 정렬 유무 및 부품을 정렬하기 위한 상기 정렬부(500)의 모션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정렬하고자 하는 부품이 바뀔 경우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새로운 정렬 정보를 특정 정렬 정보 입력 툴을 이용하여 주어야 했기 때문에, 정렬 정보를 재입력을 위한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정렬 정보 재입력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다 쉽게 새로운 정렬 정보를 입력 가능하게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0)에서의 정렬 방법 결정은, 저장된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를 통하여 올바른 정렬 패턴과 올바르지 않은 정렬 정보 패턴을 입력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와 상기 제어부(3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통신하여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를 수신받고, 수신된 정렬 상태 정보는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패턴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되는 패턴의 형상이 부품의 형상에 대응되는지 유무를 확인한 후, 상기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통하여 합치 유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300)에 저장되어, 제어부(300)에서 정렬 유무 및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가 평면상에 복수개의 발광부재가 나열되고,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 또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수신되는 부품의 형상 정보에 대응되는 발광부재가 발광하며, 이를 보고 사용자가 상기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클릭하여 부품 정렬 합치 유무를 결정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정렬정보 입력부(4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하드웨어장치에 의해,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의 터치스크린에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와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가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이를 통하여 정렬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일 수도 있으며,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경우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직접 부품의 정렬 패턴을 입력하는 부품 정렬패턴 입력부(430)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와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부품이 정렬될 수 있는 가지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감지센서(210)는 복수개의 센서(211)가 지정된 영역을 통과하는 부품의 시간을 기반으로 부품의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촬영부(220)는 촬영된 영상을 기반으로 부품의 패턴 정보를 획득하며, 이러한 부품의 패턴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의 패턴 정보 획득은 다면체인 부품의 어느 일면 형상만을 취득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이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어느 두 개 이상의 면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를 통해 파악된 부품의 일면 패턴을 통해 정확한 정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와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가 복수개 구비되어, 보다 신뢰성 있는 부품 정렬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8에는 위에서 설명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부품이 공급되며 취할 수 있는 형태로 부품을 정렬시켜 공급하는 정렬 공급단계(S100)와, 상기 정렬 공급단계(S100)에서 공급된 부품의 정렬 상태를 상기 감지부(200)에서 감지하여 상기 부품 정렬단계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패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단계(S2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된 부품의 패턴을 보고 상기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이용하여 부품 정렬 상태의 정합 여부를 판단하는 정합여부 판단단계(S300)와, 상기 정합여부 판단단계(S300)에서 판단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저장하는 판단정보 저장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은 사용자가 정렬 정보를 보다 쉽게 재설정 가능한 장치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획득한 부품의 정렬 패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되므로, 상기 정렬 공급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120)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110)로 공급된 후, 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는 부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기울어진 정도)로 부품의 정렬 상태를 바꿔주어,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S200)에서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부품의 정렬 상태에 대응하는 패턴이 표시되면, 상기 정합여부 판단단계(S300)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패턴을 보고 부품의 정렬이 필요한지 또는 부품의 정렬이 필요없는지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정보 저장단계(S40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0)로 정렬 방법 결정에 사용되는 패턴의 정렬 정보가 입력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의 정렬 방법 결정은 상기 판단정보 저장단계(S400)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부품을 움직여 부품의 패턴을 사용자가 정렬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패턴에서 사용자가 정렬이 필요 없다고 판단하는 형태로 바뀌도록 부품을 정렬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부품 공급부
200 : 정렬 상태 감지부
300 : 제어부
400 : 입력부 410 : 디스플레이부
420 :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 430 : 부품 정렬패턴 입력부
500 : 정렬부
S100 : 정렬 공급단계 S200 : 디스플레이 단계
S300 : 정합여부 판단단계 S400 : 판단정보 저장단계

Claims (3)

  1. 부품이 공급되는 부품 공급부(100);
    상기 부품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를 감지하는 정렬 상태 감지부(200);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부품의 정렬 상태 정보와, 저장된 정렬 정보를 기반으로 정렬 방법을 결정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정렬 방법 결정에 사용되는 정렬 정보를 입력하는 정렬정보 입력부(400); 및
    상기 제어부(300)에서 결정된 정렬 방법으로 부품을 정렬하는 정렬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정렬하고자 하는 부품이 바뀔 경우,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새로운 정렬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정보 입력부(400)는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에서 감지되는 부품의 정렬 상태가 패턴으로 표현되는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현되는 패턴을 보고 사용자가 정합 여부를 판별하는 부품 정렬상태 결정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상태 감지부(200)는 상기 부품 공급부(100)를 통하여 공급되는 부품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2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210)에서 부품이 감지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부품 정렬상태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표시되는 패턴 형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KR1020190157238A 2019-11-29 2019-11-29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KR102275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38A KR102275462B1 (ko) 2019-11-29 2019-11-29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38A KR102275462B1 (ko) 2019-11-29 2019-11-29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22A KR20210067522A (ko) 2021-06-08
KR102275462B1 true KR102275462B1 (ko) 2021-07-09

Family

ID=7639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38A KR102275462B1 (ko) 2019-11-29 2019-11-29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17A (ko) 2021-10-20 2023-04-27 송해길 비전 카메라를 위한 부품 정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8718A (ja) * 2018-10-26 2019-03-2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画像処理装置及びパーツフィー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7125B2 (ja) * 1992-09-18 1999-07-28 神鋼電機株式会社 部品整列方法
KR101611701B1 (ko) * 2014-06-26 2016-04-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자동화기기용 지폐 정렬 장치
KR101640010B1 (ko) 2014-09-30 2016-07-18 주식회사화신 부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48718A (ja) * 2018-10-26 2019-03-2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パーツフィーダ用画像処理装置及びパーツフィー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17A (ko) 2021-10-20 2023-04-27 송해길 비전 카메라를 위한 부품 정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22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001B2 (en) Method for teaching an industrial robot to pick parts
JP6450727B2 (ja) ロボットが行う物品整列作業のシミュレーションのための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1021333B2 (en) Conveyor track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US20150261899A1 (en) Robot simulation system which simulates takeout process of workpieces
US8295588B2 (en) Three-dimensional vision sensor
CN110784708B (zh) 感测系统、作业系统、扩展现实图像的显示方法、扩展现实图像的存储方法以及程序
Nerakae et al. Using machine vision for flexible automatic assembly system
CN105817430A (zh) 基于机器视觉的产品检测方法
US20080013825A1 (en) Simulation device of robot system
US20120236140A1 (en) User support apparatus for an image processing system, program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00324737A1 (en) Shape detection system
CN113196337B (zh) 图像处理装置、作业机器人、基板检查装置及检体检查装置
KR102275462B1 (ko)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 부품 정렬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정렬 정보 입력 방법
CN108012068A (zh) 可携式影像撷取电子装置及其影像撷取系统
WO2021065658A1 (ja) 薬剤照合装置、薬剤照合システム、薬剤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02560B1 (ko) 광학식 마커를 이용한 3차원 측정 데이터 자동 정렬장치및 그 방법
JP2012230041A (ja) 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装置、ロボットシステム
CN110653172A (zh) 基于三维视觉的产品分拣处理系统及方法
US2011022272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CN105049700B (zh) 送料器用图像处理装置以及送料器
KR20180017074A (ko) 카메라를 이용한 로봇 축각도들의 검출 및 로봇의 선택
JP201119194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20174851A1 (en) Production data creation device and production data creation method
JP7221613B2 (ja) 検証管理システム、検証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10128689A (ja) 無人移動体の視覚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