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35B1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Google Patents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75435B1 KR102275435B1 KR1020200177031A KR20200177031A KR102275435B1 KR 102275435 B1 KR102275435 B1 KR 102275435B1 KR 1020200177031 A KR1020200177031 A KR 1020200177031A KR 20200177031 A KR20200177031 A KR 20200177031A KR 102275435 B1 KR102275435 B1 KR 102275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te
- blade
- base
- unit
- squeeg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0—Inking units
- B41F15/42—Inking units comprising squeegees or do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44—Squeegees or doct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14—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using ultrasonic energ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51/00—Details or accessories of prin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 모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로 페이스트를 밀어 넣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스퀴지부;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출원인이 주관기관으로서 참여하고,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과제번호:20183030019460)에 관련된 발명이다. 이하의 설명은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프린팅은 특정 마스크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을 이용하여 용액성 재료를 롤러 또는 스퀴지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개구부에 밀어넣어 기판 표면상에 적정한 위치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스크린 프린팅은 예전에 인쇄에서 사용되는 스크린 인쇄기법에서 유래하여 현재에는 PCB기판에서 회로소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점(LAND)을 형성하는 기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프린팅 기법이다. 이 방법은 실장공정에서 솔더페이스트를 기판에 패턴에 따라서 도포하는 방식으로 응용되었고, 이 작업을 담당하는 장비를 스크린프린터라고 부른다. 스크린 프린팅은 기판을 테이블에 설치하는 과정, 마스크를 기판과 정렬하여 기판 상부에 배치하는 과정, 마스크상부에 솔더페이스트를 놓는 과정, 스퀴징 장치를 이용하여 솔더페이스트를 마스크의 개구부로 압착(squeeze)하는 과정 및 기판과 마스크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스퀴지를 사용하는 스크린 프린팅의 경우, 스퀴지로는 금속, 고무 및 폴리우레탄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최종 스크린 인쇄 품질은 페이스트의 점도, 스퀴지 블레이드 재질, 각도, 평탄도, 누름 압력 또는 진행 속도 등의 다양한 변수의 조합으로 결정되므로, 균일한 인쇄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해야 하는 공정 변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페이스트의 두께 편차를 줄이기 위해 스퀴지와 롤러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이 존재하지만, 이는 인쇄 공정 자체의 단계가 늘어남과 동시에 인쇄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 요소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 재질의 스퀴지를 사용할 경우, 사용 조건에 따라 인쇄면의 스쿠핑(Scouping) 현상이 나타나는 인쇄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 모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로 페이스트를 밀어 넣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스퀴지부;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부분 중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의 대역은, 700kHz 내지 1200kHz 범위의 메가소닉(Megasonic)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 프린팅 모듈은, 상기 진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기판 상에 도포될 페이스트를 수용하는 페이스트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트 공급부는,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를 상기 스퀴지부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일측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블레이드가 돌출되는 지점의 인접한 부분에서 개구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블레이드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내부 유로 중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부분은, 상기 블레이드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스퀴지에 초음파 진동수 대역 중 소정의 진동수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페이스트가 마스크 개구부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페이스트의 강제 주입을 위한 롤러 등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정 과정 역시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진동을 통해 페이스트 공급부로부터 페이스트를 막힘없이 매끄럽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진동이 마스크에 전달됨으로써 페이스트가 개구부 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을 통한 인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을 통한 인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을 통한 인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1)은,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공정 중 페이스트(P)를 인쇄하기 위한 기판위에 도포하는 스퀴지(Squeegee)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P)는 금속 페이스트(metal past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P)로는, 실버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1)은 스퀴지부(12), 진동부(11), 페이스트 공급부(14), 공압부(15) 및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퀴지부(12)는, 기판(91)상에서 스크린 마스크(93)에 형성된 개구부(92)로 페이스트(P)가 주입되도록 페이스트(P)를 밀어 넣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퀴지부(12)는, 베이스(121) 및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1)는, 블레이드(122)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베이스(121)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페이스트(P)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밀어넣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베이스(12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22)의 단부는 기판(91) 상에 배치된 스크린 마스크(93) 및 페이스트(P)에 직접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페이스트(P)를 스크린 마스크(93)의 개구부(92)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22)는 베이스(12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122)는 베이스(12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탈착되거나,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의 성분, 페이스트의 점도, 페이스트 층의 두께, 기판의 형상 또는 기판의 재질 등 다양한 인쇄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날의 형상 또는 적절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을 갖는 블레이드(122)가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P)로 실버 페이스트를 이용할 때에, 블레이드(122)로는 메탈 재질 또는 폴리 우레탄(polyurethane, PU) 재질의 블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스트(P)를 개구부(92)에 적절히 충진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예: 롤러 등)가 요구되지 않는 만큼, 스퀴지부(12)가 컴팩트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페이스트(P)를 개구부(92)에 밀어 넣는 용도의 블레이드(122) 외에도, 잔여 페이스트(P)를 회수하기 위한 용도의 스크래퍼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21), 블레이드(122) 및 스크래퍼는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베이스(121)는, 진동부(11) 및 블레이드(122) 사이에 연결되는 부분으로써, 블레이드(122)를 고정적으로 파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진동부(11)로부터 생성된 진동을 블레이드(122)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21)는 내부 유로(1211) 및 배출구(12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유로(1211)는, 페이스트 공급부(14)로부터 공급되는 페이스트(P)를 블레이드(122)로 안내할 수 있다.
배출구(1212)는, 내부 유로(1211)의 단부에 위치하여, 블레이드(122)의 일면에 페이스트(P)를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1212)는, 베이스(121)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내부 유로(1211)는, 페이스트 공급부(14)로부터 공급되는 페이스트(P)가 통과하는 내부 통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유로(1211)의 일측은, 페이스트 공급부(14)의 공급관(141)에 연통되고, 내부 유로(1211)의 타측은 블레이드(122)의 돌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베이스(121) 외부로 개구되는 배출구(1212)로 연결될 수 있다. 내부 유로(1211)는 베이스(121)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로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유로(1211)가 베이스(121)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21)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서, 진동부(11)에서 생성된 진동이 내부 유로(1211)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관로에서 페이스트(P)에 의한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내부 유로(1211)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122)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121)의 내부로 연장되고, 내부 유로(1211) 중 배출구(1212)에 인접한 부분은, 블레이드(122)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유로(1211) 중 블레이드(122)에 맞닿는 부분의 길이는, 블레이드(122)로부터 이격된 부분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121)가 블레이드(12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을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도 2와 같은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스크린 프린팅 모듈(1)이 전진할 때에도, 하방으로 직접적으로 낙하하는 문제를 줄여주고, 페이스트(P)가 점성에 의해 블레이드(122)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배출구(1212)는, 내부 유로(1211)를 통해 이송된 페이스트(P)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구멍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1212)는 베이스(121)로부터 돌출되는 블레이드(122)의 일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구(1212)는 베이스(121)의 부분 중 베이스(121)로부터 블레이드(122)가 돌출되는 부분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배출구(1212)는 베이스(121)로부터 블레이드(122)가 돌출되는 방향(도면 상의 하측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베이스(121) 내부에 형성된 내부 유로(1211)를 통해서 페이스트(P)를 공급하는 구조에 의하면, 진동부(11)에서 형성된 진동이 블레이드(122)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베이스(121)를 거쳐서 전달되기 때문에, 내부 유로(1211)를 통과하는 페이스트(P) 역시 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P) 자체의 점성에 의해서 또는 시간 또는 온도 등의 변화로 인해 페이스트(P)의 물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페이스트(P)가 내부 유로(1211)에서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경향이 존재할 경우, 베이스(121)에 전달되는 진동력이 유동 마찰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여 내부 유로(1211)에서 페이스트(P)가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11)는 내부에 진동을 형성하는 진동 생성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1)는 스퀴지부(12)에 연결되어 진동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된 진동을 스퀴지부(12)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11)는 베이스(121)의 부분 중 블레이드(122)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블레이드(122)가 베이스(12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하측 방향이라 할 때, 진동부(11)는 베이스(121)의 상측으로 연결될 수 있고, 페이스트 공급부(14)는 진동부(11)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부(11)는 스퀴지부(12)에 연결되는 동시에 페이스트 공급부(14)에도 연결될 수 있어서 진동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된 진동을 페이스트 공급부(14)에 전달할 수 있다.
진동 생성부(111)는, 초음파 대역의 진동 에너지를 통해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생성부(111)는 진동부(11) 내부에 설치되어 진동부(11)를 매개하여 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부(11)에 의하면, 진동 생성부(111)에 생성되는 진동력을 스퀴지부(12)의 블레이드(122)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22)를 통해 접촉하는 페이스트(P)의 유동 마찰을 경감시켜 페이스트(P)로 하여금 스크린 마스크(93)의 개구부(92)로의 침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페이스트(P)의 강제 주입을 위한 롤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서, 해당 공정 절차에 따른 시간 및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스퀴지부(12)에 페이스트(P)가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자가 세정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스퀴지부(12)를 세정 주기를 늘려줄 수 있다.
또한, 진동부(11)를 통해 생성되는 진동은 블레이드(122)의 말단을 통해 스크린 마스크(93)에도 인가될 수 있기 때문에, 페이스트(P)와 스크린 마스크(93) 사이의 유동 마찰을 경감시키는 동시에, 상호 간에 부착되려는 인력의 경향을 방해하여 개구부(92) 내에 페이스트(P)가 빈공간 없이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개구부(92) 내에 도포되는 페이스트(P) 역시 스쿠핑(scouping) 현상이 없는 일정한 두께와 평탄도를 갖도록 하여 우수한 인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11)릍 통해 생성되는 진동은 페이스트 공급부(14)를 통해 페이스트(P)에도 인가될 수 있다. 페이스트 공급부(14)의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의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솔벤트 성분이 증발하면서 자연 경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진동부(11)에 의하면, 스크류(screw) 등과 같은 물리적 교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이와 같은 자연 경화 현상을 줄여줄 수 있으므로, 페이스트 공급부(14)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1)처럼, 소형화 및 경량화된 페이스트 공급부(14)를 스퀴지부(12)와 함께 일체로 이동시키면서 스크린 프린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 한편, 공급관(141) 및/또는 내부 유로(1211)는 페이스트(P)가 일정하고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당히 작은 직경의 단면적을 가지며, 이에 따라서, 관로(141, 1211)가 막힐 염려가 존재한다. 이 경우, 관로(141, 1211)에 인접한 영역을 가열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부(11)에 의하면, 진동부(11)를 통해 생성되는 진동이 (i) 페이스트 공급부(14)를 통하여 공급관(141)에 전달되고, (ii) 베이스(121)를 통하여 내부 유로(1211)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가열 수단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도, 상술한 관로(141, 1211)가 막히는 문제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생성부(111)는 초음파의 대역 중 700kHz 내지 1200kHz 범위의 대역인 메가소닉(Megasonic) 대역의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진동 생성부(111)로는 초음파 진동자 등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수단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진동 생성부(111)를 통해 형성되는 진동력의 가진 방향은 진동부(11)로부터 스퀴지부(12)가 연결되는 방향, 다시 말하면 블레이드(122)가 돌출하는 방향일 수 있다.
메가소닉(Megasonic) 대역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 생성부(111)에 의하면, 메가소닉 대역의 진동은, 충분한 입자 가속도를 확보할 수 있고, 직진성이 높은 파동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진동의 가진 방향을 블레이드(122)의 돌출 방향을 따라 정렬시킴으로써, 블레이드(122) 자체와 블레이드(122)의 종단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메가소닉 대역의 진동을 이용하면, 단주파(28kHz 또는 40kHz), 다주파(40~90kHz) 및 중간주파(60~200kHz) 대역의 진동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충격력이 없기 때문에, 블레이드(122)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력에 의해, 스크린 마스크(93)나, 기판(91)이 손상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진동 대역별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아래의 [표 1]을 통하여 나타낸다.
항목 | 단주파 (28kHz) |
단주파 (40kHz) |
다주파 (40~90kHz) |
중간주파 (60~200kHz) |
메가소닉 (700~1200kHz) |
작용원리 | Cavitation | Cavitation | Cavitation | Cavitation 입자 가속 |
입자 가속 |
입자가속도 | 1,500G | 2,500G | 2,500~5,000G | 5,000G 이상 | ~1,000,000G |
충격력 | 수백 기압 | 수십 기압 | 수십 기압 | 수기압 | 없음 |
파동의 특징 | 회절성 강함 | 회절성 강함 | 직진성 | 직진성 | 높은 직진성 |
페이스트 공급부(14)는, 기판(91) 및 스크린 마스크(93)에 도포하기 위한 페이스트(P)를 저장할 수 있다. 페이스트 공급부(14)는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를 스퀴지부(12)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 공급부(14)는 공압부(15)를 통해 인가되는 공압을 통해 페이스트(P)의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 공급부(14)는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가 기판(91) 및 스크린 마스크(93)에 도포될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와 점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스트 공급부(14)는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를 스퀴지부(12)의 베이스(121)로 이송하는 공급관(141)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스트 공급부(14)로부터 연결되는 공급관(141)은 베이스(121)의 내부 유로(1211)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공압부(15)를 통해 인가된 공압에 의해 페이스트 공급부(14)에 수용된 페이스트(P)는 공급관(141)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이후, 페이스트(P)는 공급관(141)을 통해 베이스(121)의 내부 유로(1211)로 이송되고, 블레이드(122)의 일면에 인접한 위치에 개구되어 있는 배출구(1212)를 통해 페이스트(P)를 배출할 수 있다.
페이스트 공급부(14)는 진동부(11)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페이스트 공급부(14)는 진동부(11)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서, 페이스트 공급부(14) 내에 수용된 페이스트(P)는 진동부(11)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페이스트 공급부(14)에 전달되는 진동은,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가 도포될 수 있는 적절한 점성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고, 동시에 페이스트(P)가 공급관(141)을 통해 원활하게 공급 수 있도록 유동 마찰을 경감시킬 수 있다.
공압부(15)는 페이스트 공급부(14)에 수용된 페이스트(P)가 기판(91) 및 스크린 마스크(93)에 공급될 수 있도록, 페이스트(P)를 배출하기 위한 공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진동부(11) 및 공압부(1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진동 생성부(111)의 구동을 제어하여 진동부(11)를 통해 생성되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공압부(15)의 구동을 제어하여 페이스트 공급부(14)를 통해 공급되는 페이스트(P)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2)은 페이스트(P)를 밀어 넣는 스퀴지부(12)와, 스퀴지부(12)에 연결되어 진동을 생성 및 전달하는 진동부(11)와, 진동부(1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프린팅 모듈(1)의 구성으로부터 페이스트 공급부(14)와 페이스트 공급부(14)가 생략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명칭을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스크린 프린팅 모듈(1)과는 달리, 페이스트(P)를 공급하는 구성과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진동부(11)와 스퀴지부(12)사이의 연결 구조만을 갖는 단순화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어서, 진동부(11)를 통해 형성되는 진동력을 블레이드(122)에 보다 집중적으로 또는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팅 모듈(2)은 기존의 스퀴지 장비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적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 모듈(1, 2)은, 베이스(121)와, 베이스(121)로부터 돌출되어 스크린 마스크(93)의 개구부(92)로 페이스트(P)를 밀어 넣기 위한 블레이드(122)를 구비하는 스퀴지부(12); 및 베이스(121)에 연결되고,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부(11)는, 베이스(121)의 부분 중 블레이드(122)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진동부(11)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의 대역은, 700kHz 내지 1200kHz 범위의 메가소닉(Megasonic) 대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 프린팅 모듈(1)은, 진동부(11)에 연결되고 기판(91) 상에 도포될 페이스트(P)를 수용하는 페이스트 공급부(14)를 더 포함하고, 페이스트 공급부(14)는,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P)를 스퀴지부(12)로 공급하는 공급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121)는, 일측은 공급관(141)에 연결되고, 타측은 블레이드(122)가 돌출되는 지점의 인접한 부분에서 개구되는 배출구(1212)를 형성하는 내부 유로(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유로(1211)의 적어도 일부는 블레이드(122)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베이스(121)의 내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내부 유로(1211) 중 배출구(1212)에 인접한 부분은, 블레이드(122)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스퀴지에 초음파 진동수 대역 중 소정의 진동수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페이스트가 마스크 개구부 내부로 더욱 용이하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페이스트의 강제 주입을 위한 롤러 등의 부가적인 장치 없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정 과정 역시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진동을 통해 페이스트 공급부로부터 페이스트를 막힘없이 매끄럽고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스크린 프린팅 모듈에 의하면, 진동이 마스크에 전달됨으로써 페이스트가 개구부 내에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혀 둔다.
Claims (6)
-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스크린 마스크의 개구부로 페이스트를 밀어 넣기 위한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스퀴지부;
상기 베이스의 부분 중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측 부분에 연결되고, 초음파 대역의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부; 및
상기 진동부에 연결되고 기판 상에 도포될 페이스트를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페이스트를 상기 스퀴지부로 공급하는 공급관을 구비하는 페이스트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일측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블레이드가 돌출되는 지점과 맞닿은 상태로 하측으로 개구되는 배출구를 형성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유로의 부분 중 상측은 상기 블레이드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내부를 통과하되, 상기 배출구로 연결되는 상기 내부 유로의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트가 상기 블레이드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의 대역은, 700kHz 내지 1200kHz 범위의 메가소닉(Megasonic)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7031A KR102275435B1 (ko) | 2020-12-17 | 2020-12-17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PCT/KR2021/003354 WO2022131451A1 (ko) | 2020-12-17 | 2021-03-18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7031A KR102275435B1 (ko) | 2020-12-17 | 2020-12-17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5435B1 true KR102275435B1 (ko) | 2021-07-09 |
Family
ID=7686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7031A KR102275435B1 (ko) | 2020-12-17 | 2020-12-17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5435B1 (ko) |
WO (1) | WO2022131451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015A (ja) * | 1993-07-01 | 1995-01-20 | Hitachi Techno Eng Co Ltd | スクリ−ン印刷機 |
JP2010149301A (ja) * | 2008-12-24 | 2010-07-08 | Namics Corp |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
KR20160069980A (ko) * | 2014-12-09 | 2016-06-17 | 이동주 | 스퀴지 모듈 |
KR101768502B1 (ko) * | 2016-03-21 | 2017-08-18 | 우리이앤엘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2599B1 (ko) * | 1998-07-11 | 2000-11-15 | 구자홍 | 초음파를 이용한 인쇄 스퀴즈 |
-
2020
- 2020-12-17 KR KR1020200177031A patent/KR1022754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3-18 WO PCT/KR2021/003354 patent/WO202213145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7015A (ja) * | 1993-07-01 | 1995-01-20 | Hitachi Techno Eng Co Ltd | スクリ−ン印刷機 |
JP2010149301A (ja) * | 2008-12-24 | 2010-07-08 | Namics Corp |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その装置 |
KR20160069980A (ko) * | 2014-12-09 | 2016-06-17 | 이동주 | 스퀴지 모듈 |
KR101768502B1 (ko) * | 2016-03-21 | 2017-08-18 | 우리이앤엘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31451A1 (ko)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203579B (zh) | 模板印刷机的印刷头 | |
EP0201158B1 (en) | Vibratory wave soldering | |
KR100696213B1 (ko) | 전자부품의 인쇄장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US525436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on of solder paste on a printed wiring board | |
CN110076990B (zh) | 建造材料施加装置 | |
WO2017198335A1 (de) | Entpulvern eines rapid-prototyping-bauteils | |
JP2004322099A (ja) | 少量の液体材料を分配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TW200706259A (en) | Apparatus for applying paste and method of applying paste | |
US5762257A (en) | Device for flux-free soldering | |
KR102275435B1 (ko) | 인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스크린 프린팅 모듈 | |
US7040228B2 (en) | Self-contained vacuum module for stencil wiper assembly | |
JP2006297241A (ja) | スリットコータ及び該スリットコータ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 |
US3430332A (en) | Production line soldering with application of ultrasonic energy directing to molten solder | |
JPH03174972A (ja) | 基板の半田付方法 | |
US8191498B2 (en) | Filing assembly | |
KR101199922B1 (ko) | 인쇄회로기판에 부품 실장을 위한 스크린 프린터의 솔더 크림 도포용 스퀴지 | |
EP0423184A1 (en) | DEVICE FOR THE FAST PUNCTUAL APPLICATION OF TESTS AND ADHESIVES, IN PARTICULAR FOR THE SURFACE MOUNTING OF COMPONENTS ON CIRCUIT BOARDS. | |
CN201483120U (zh) | 波峰焊助焊剂喷雾系统 | |
TWI671131B (zh) | 高黏度材料均勻塗佈方法 | |
DE4328750C1 (de) |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fließfähigem Material | |
USRE33197E (en) | Vibrator wave soldering | |
KR100582617B1 (ko) | 점성 재료의 도포용 궤도 토출기 | |
CN101648309B (zh) | 波峰焊助焊剂喷雾系统 | |
CA1230426A (en) | Vibratory wave soldering of printed wiring boards | |
JPH08318613A (ja) | クリーム半田のスクリーン印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