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430B1 -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430B1
KR102275430B1 KR1020210005531A KR20210005531A KR102275430B1 KR 102275430 B1 KR102275430 B1 KR 102275430B1 KR 1020210005531 A KR1020210005531 A KR 1020210005531A KR 20210005531 A KR20210005531 A KR 20210005531A KR 102275430 B1 KR102275430 B1 KR 102275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uscle
interval
separation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림
Original Assignee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강산업(주) filed Critical 한국철강산업(주)
Priority to KR102021000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열지그와 철근결속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주근이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과 분리방지근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 개씩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상하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주근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풀 철근 격자망을 구성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제1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주근과,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제2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간격유지근과,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전단과 후단 상부에 각각 상기 간격유지근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분리방지근으로 이루어진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간격안내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주근배열지그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배열지그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간격안내홈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주근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되 단부가 모두 일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어긋나게 놓이게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기 간격유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한 쌍의 상기 분리방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되,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주근과 상기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상기 주근과 상기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을 결속선을 통해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XY reinforcing bar grid with separation prevention bar with clearance}
본 발명은 배열지그와 철근결속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주근이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과 분리방지근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격자망은 건축 및 토목 공사에 바닥이나 벽체의 골조로 사용되는 기초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 격자망은 복수 개의 철근을 전후 및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고정한 구조를 가진다.
즉, 철근 격자망은 복수 개의 주근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주근의 상부에 복수 개의 배력근이 좌우 너비방향을 따라 전후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며 주근과 배력근의 교차지점이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현재 일부 철근 가공 공장에서는 철근 격자망을 자동화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철근 격자망 제조장치가 개발됨에 따라 철근 격자망의 생산 효율을 크게 개선되고 있다.
여기서 철근 가공 공장에서 제조한 철근 격자망은 트럭의 적재함에 실어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고 있으나, 트럭의 적재함 좌우 폭은 차로 폭에 의해 제한됨에 따라 철근 격자망의 좌우 폭이 트럭의 적재함 폭이하로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리하여 좌우 폭이 트럭의 적재함 좌우 폭보다 더 큰 대면적의 철근 격자망은 트럭으로 운반이 불가능하여 공사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제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나마 수작업 비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을 X축 방향으로 배열하고 그 위에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을 Y축 방향으로 배열한 후 서로 간의 교차지점을 연결하여 대면적의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을 각각 X축과 Y축 방향으로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배열하고 그 교차지점을 연결하는 방법은 수작업이 요구됨에 따라 인력과 시간의 소모가 많을 뿐만 아니라 전체 면적 중에서 상하로 중첩되는 부분이 크게 차지함에 따라 철근 소모량도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철근 격자망을 X축과 Y축 방향으로 배열하기 위해 크레인으로 양중할 때 철근 격자망의 고중량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있고 철근의 격자망에서 하방으로 처지는 부분이 발생하면서 교차지점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대면적의 철근 격자망을 공사 현장에서 신속하고 편리하며 저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기존의 철근 격자망(이하 모두 '풀 철근 격자망'이라 함)과는 달리 복수 개의 주근이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이격으로 배치되고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이 연결된 XY 철근 격자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풀 철근 격자망은 복수 개의 주근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제1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상부에 복수 개의 배력근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제1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진 것이고, XY 철근 격자망은 복수 개의 주근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제1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상부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이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제1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제2간격으로 배열된 형태를 가진 것이다.
즉, XY 철근 격자망은 배력근 역활을 수행하는 간격유지근의 개수가 최소화됨에 따라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볍고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면적의 철근 격자망을 제조할 때 상하로 중첩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철근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XY 철근 격자망은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이 상대적으로 더 넓은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주근 상부에 용접 방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운반이나 양중시 주근이 하방으로 휘어지는 처지면서 주근과 간격유지근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주근과 간격유지근이 용접됨에 따라 주근의 유동이 불가능하여 주근을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없으므로 풀 철근 격자망을 시공하기 위해 XY 철근 격자망의 주근을 이음할 때 커플러 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이 분리되지 않고 커플러 방식으로 주근을 이음할 수 있도록 XY 철근 격자망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9329호, 2020.07.02.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고 주근을 수평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하여 커플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은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 개씩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상하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주근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풀 철근 격자망을 구성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제1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주근과,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제2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간격유지근과,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전단과 후단 상부에 각각 상기 간격유지근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분리방지근으로 이루어진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간격안내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주근배열지그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배열지그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간격안내홈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주근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되 단부가 모두 일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어긋나게 놓이게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기 간격유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한 쌍의 상기 분리방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되,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주근과 상기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상기 주근과 상기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을 결속선을 통해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물론이고 전기공급이 곤란한 상황에서도 결속선을 통해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주근과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을 일체로 결속시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주근과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을 결속선으로 견속하게 결속 가능하여 교차지점이 분리되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근과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주근과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이 용접이 아닌 결속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주근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배근하여 풀 철근 격자망을 시공할 때 그 주근을 커플러로 이음 가능함으로써 주근의 소비량을 줄여 비용 절감이 가능한 커플러 이음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주근을 커플러 방식으로 이음 가능함에 따라 겹이음 방식과 달리 주근이 서로 겹쳐지지 않으므로 두부 보강 장치의 상부에 시공할 때 주근과 두부 보강 장치의 보강철근 간의 배근 간섭이 최소화되면서 배근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주근배열지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복수 개씩 배치한 풀 철근 격자망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 개씩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상하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주근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풀 철근 격자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주근이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배치되어 연결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은 주근과 간격유지근이 분리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고 주근에 커플러 방식의 이음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S100)에 의해 제조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 개씩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상하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주근(10)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풀 철근 격자망(200)을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와 분리방지근(30) 및 결속선(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주근(10)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가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근(10)의 간격은 제1간격(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근(10)의 간격인 제1간격(A)은 250㎜ 또는 3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주근(10)은 겹이음 방식을 위해 주근(10)의 단부가 일직선 상에 놓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커플러 방식을 위해 이웃하는 주근(10)의 단부가 서로 전후로 어긋나게 주근(10)의 단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유지근(20)은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 개가 주근(10)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과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교차되게 주근(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간격유지근(20)의 간격은 제1간격의 배수가 되는 제2간격(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근(20)의 간격은 제1간격(A)의 5 내지 9배가 되는 제2간격(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간격유지근(20)의 간격인 제2간격(B)은 주근(10)의 간격이 250mm인 경우 1750㎜, 2000㎜, 2250㎜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주근(10)의 간격이 300㎜인 경우 1500㎜, 1800㎜, 2100㎜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리고 주근(10)의 전단 상부에서 가장 전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의 전단에서부터 제1간격(A)의 2.5배되는 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장 전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의 간격이 250㎜인 경우 주근(10)의 전단에서부터 625㎜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주근(10)의 간격이 300㎜인 경우 주근(10)의 일단에서부터 750㎜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근(10)의 후단 상부에서 가장 후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의 후단에서부터 구조일반도면의 겹이음 길이(C) 또는 그 이상의 길이에 제1간격(A)을 더한 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장 후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의 간격이 250㎜인 경우 주근(10)의 후단에서부터 겹이음 길이에 250㎜를 더한 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주근(10)의 간격이 300㎜인 경우 주근(10)의 타단에서부터 겹이음 길이에 300㎜를 더한 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근(10)의 상부에서 간격유지근(20)을 상기와 같은 지점들에 배치한 이유는 XY 철근 격자망(100)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상하 교차되게 배치하여 풀 철근 격자망(200)을 제조할 때 X축 방향으로 배치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이 Y축 방향으로 배치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에 상하로 겹치면서 상하 유격이 발생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간격유지근(20)의 개수는 주근(10)의 길이에 따라 총 5 내지 6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간격유지근(20)의 개수는 주근(10)의 길이가 12m인 경우 총 6개로 구성될 수 있고, 주근(10)의 길이가 10m인 경우 총 5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은 일체로 연결되도록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의 교차지점이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결속선(4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간격유지근(20)은 주근(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근(10)의 직경이 22m, 25m, 29mm, 32mm, 35mm 중의 하나로 구성된 경우 간격유지근(20)의 직경은 13mm, 16mm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근(20)의 직경을 주근(1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한 이유는 간격유지근(20)이 주근(10)을 제1간격으로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임에 따라 건축 및 토목 기초 철근을 계산할 때 계산 요소로 포함되지 않므므로 간격유지근(20)의 직경을 최소화하여 철근 소비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간격유지근(20)의 직경을 주근(1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한 또다른 이유는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의 교차지점을 결속선(40)으로 결속할 때 간격유지근(20)의 직경이 주근(1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보다 주근(10)과 연결되는 간격유지근(20)의 면적비율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므로 간격유지근(20)과 주근(10)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리방지근(30)은 주근(10)의 상부에 간격유지근(20)과 평행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이때 분리방지근(30)과 주근(10)은 일체로 연결되도록 분리방지근(30)과 주근(10)의 교차지점이 적어도 한 가닥 이상의 결속선(40)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다.
즉, 분리방지근(3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주근(10)의 전단과 후단 상부에 각각 간격유지근(20)과는 평행을 이루고 주근(10)과는 수직으로 교차되게 연결되고 주근(10) 상에서 가장 전측과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이 분리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방지근(30)은 XY 철근 격자망(100)을 트럭에 실어 운반할 때 주근(10)의 전단 또는 후단에서 시작하여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각 교차지점으로 전달되는 크고 작은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방지근(30)은 XY 철근 격자망(100)을 크레인으로 양중할 때 전체 하중에 의해 주근(10)이 하방으로 쳐지면서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을 분리하려는 인장하중에 반하는 힘을 주근(10)의 전단과 후단에서 발휘함으로써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방지근(30)은 주근(10)의 전단과 후단 상부에서 가장 전측과 가장 후측에 각각 배치된 간격유지근(20)과는 제1간격(A)만큼 떨어진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는 XY 철근 격자망(100)을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상하 교차되게 배치하여 풀 철근 격자망(200)을 제조할 때 X축 방향으로 배치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이 Y축 방향으로 배치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분리방지근(30)과 주근(10)에 상하로 겹치면서 상하 유격이 발생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분리방지근(30)은 간격유지근(20)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분리방지근(30) 역시 간격유지근(20)과 동일하게 건축 및 토목 기초 철근을 계산할 때 계산 요소로 포함되지 않으므로 철근 소비량을 줄이면서 주근(10)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주근(10)과의 교차지점에 대한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은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과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의 교차지점이 결속선(40)으로 연결됨에 따라 풀 철근 격자망(200)의 시공시 주근(10)의 단부가 커플러 방식으로 이음될 수 있다.
즉, 주근(10)은 결속선(40)에 의해 간격유지근(20)과 분리방지근(3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함에 따라 그 단부에 커플러를 체결하여 이웃하는 다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 단부와 커플러를 통해 나사 체결식으로 이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은 주근(10)이 커플러로 이음 가능함에 따라 겹이음과 달리 두 개의 주근(10)이 서로 겹치지 않게 됨으로써 두부 보강 장치의 상부에 시공하더라도 주근(10)과 두부 보강 장치의 보강철근 간의 배근 간섭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배근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S1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근배열지그 배치 단계(S10), 주근 배열 단계(S20), 간격유지근 배열 단계(S30), 주근 간격유지근 결속 단계(S40), 분리방지근 배열 단계(S50) 및 교차지점 결속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주근배열지그 배치 단계(S10)는 복수 개의 주근(10)을 정해진 간격에 맞게 배열하기 위해 복수 개의 주근배열지그(300)를 바닥에 배치하는 작업 공정이다.
즉, 복수 개의 주근배열지그(5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주근배열지그(50)는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과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의 교차지점과는 상하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주근배열지그(300)는 바닥의 상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주근배열대(310)와, 주근배열대(310)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V"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간격안내홈(320)과, 주근배열대(310)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직교되게 설치되는 지지판(330)과, 지지판(330)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주근배열대(310)와 지지판(330)을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봉(340)과, 지지봉(340)의 단부에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편(3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안내홈(320)은 실시예에 따라 50mm 또는 100mm 또는 150mm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근 배열 단계(S20)는 주근 배열지그 배치 단계(S10)에서 바닥에 배치된 주근배열지그(50)의 상부에 간격안내홈(320)을 따라 복수 개의 주근(10)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에 제1간격(A)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작업 공정이다.
여기서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을 배근하여 풀 철근 격자망(200)을 시공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을 겹이음 방식으로 이음할 경우 주근(10)을 단부가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을 배근하여 풀 철근 격자망(200)을 시공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을 커플러 방식으로 이음할 경우 주근(10)을 이웃하는 다른 주근(10)의 단부와 전후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단, 주근(10)을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할 때는 풀 철근 격자망(200)을 시공하기 위해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을 상하 수직으로 교차되게 배열할 때 상측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 또는 하측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100)의 주근(10)이 커플러와 상하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웃하는 다른 주근(10) 단부와의 거리 차이가 제1간격(A)의 배수에다가 제1간격/2를 더한 길이가 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유지근 배열 단계(S30)는 주근 배열 단계(S20)에서 주근배열지그(50)에 배열된 복수 개의 주근(10) 상부에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20)을 주근(10)과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에 제2간격(B)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작업 공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방지근 배열 단계(S40)는 주근 배열 단계(S20)에서 주근배열지그(50)에 배열된 복수 개의 주근(10) 상부에 한 쌍의 분리방지근(30)을 주근(1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작업 공정이다.
이때 한 쌍의 분리방지근(3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분리방지근(30)은 간격유지근 배열 단계(S30)에서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20) 중에서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20)의 후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분리방지근(30) 중에서 나머지 다른 하나의 분리방지근(30)은 복수 개의 간격유지근(20) 중에서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20)의 전측에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교차지점 결속 단계(S50)는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과,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의 교차지점을 각각 결속선(40)을 통해 일체로 결속하여 연결하여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의 제조를 완료하는 작업 공정이다.
여기서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의 교차지점과,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의 교차지점을 각각 견고하게 연결하여 운송 과정이나 시공 과정에서 서로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철근결속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철근격속기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적어도 한 가닥의 결속선(40)을 인출하여 교차지점을 따라 결속선(40)을 주근(10)과 간격유지근(20) 또는 주근(10)과 분리방지근(30)에 권취한 후 결속선(40)의 양단을 서로 꼬아묶는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주근
20: 간격유지근
30: 분리방지근
40: 결속선
100: XY 철근 격자망
200: 풀 철근 격자망
300: 주근배열지그
310: 주근배열대
320: 간격안내홈
330: 지지판
340: 지지봉
350: 안착편
A: 제1간격
B: 제2간격
C: 겹이음 길이

Claims (6)

  1. 평면 상에서 적어도 한 개씩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각각 상하로 교차되게 배치되면서 복수 개의 주근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는 풀 철근 격자망을 구성하되, 복수 개로 구성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제1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기 주근과,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상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제2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간격유지근과,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근의 전단과 후단 상부에 각각 상기 간격유지근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간격유지근 중에서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주근과의 교차지점이 연결되는 분리방지근으로 이루어진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상부면에 복수 개의 간격안내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주근배열지그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배열지그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간격안내홈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주근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되 단부가 모두 일직선 상에 놓이는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어긋나게 놓이게 상태가 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복수 개의 상기 간격유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에 상기 제2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
    상기 주근의 상부에 한 쌍의 상기 분리방지근을 상기 주근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하되,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분리방지근은 상기 가장 후측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전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주근과 상기 간격유지근의 교차지점과 상기 주근과 상기 분리방지근의 교차지점이 운송 과정이나 시공 과정에서 서로 이격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적어도 한 가닥의 결속선으로 상기 교차지점을 권취한 후 양단을 서로 꼬아묵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교차지점을 일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간격은 상기 제1간격의 배수에 해당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분리방지근 중에서 상기 주근의 상부에서 가장 전단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좌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된 분리방지근은 상기 주근의 전단에서부터 제1간격에 1.5배를 곱한 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배치되면서 상기 분리방지근 중에서 상기 주근의 상부에서 가장 후단에 배치된 간격유지근의 우측에 상기 제1간격을 두고 배치된 분리방지근은 상기 주근의 후단에서부터 구조일반도면에 따라 정해지는 겹이임 길이 이상 떨어진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주근배열지그는
    바닥의 상부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주근배열대와, 상기 주근배열대의 상부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V"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간격안내홈과, 상기 주근배열대의 하부면 양단에 각각 직교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주근배열대와 상기 지지판을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설치되고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바닥에 안착되는 안착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05531A 2021-01-14 2021-01-14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KR102275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31A KR102275430B1 (ko) 2021-01-14 2021-01-14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531A KR102275430B1 (ko) 2021-01-14 2021-01-14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430B1 true KR102275430B1 (ko) 2021-07-09

Family

ID=7686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531A KR102275430B1 (ko) 2021-01-14 2021-01-14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4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82B1 (ko) * 1992-03-18 1999-10-01 리테르 클라우스 철근 콘크리트용 철근 격자매트
KR20180094536A (ko) * 2017-02-15 2018-08-24 현대건설주식회사 철근 선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방법
KR102129329B1 (ko) 2019-12-18 2020-07-02 한국철강산업(주) 간격유지근이 용접된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82B1 (ko) * 1992-03-18 1999-10-01 리테르 클라우스 철근 콘크리트용 철근 격자매트
KR20180094536A (ko) * 2017-02-15 2018-08-24 현대건설주식회사 철근 선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조립방법
KR102129329B1 (ko) 2019-12-18 2020-07-02 한국철강산업(주) 간격유지근이 용접된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652A (en) Concrete-filled steel bearing wall
JP4967039B2 (ja) 連続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用支持スペーサーの設置方法
JP2012207451A (ja) 仮設鉄塔ユニット及び仮設鉄塔
KR102275430B1 (ko) 유격을 가지는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제조방법
JP5652959B2 (ja) ユニット鉄筋の補強構造
JP6428027B2 (ja) 柱鉄筋接続パネルおよび鉄筋構造物
KR101846501B1 (ko) 철근래티스 콘크리트 스틸합성 박스형 기둥 구조체
KR102247172B1 (ko) 분리방지근이 구비된 xy 철근 격자망
CN113293858A (zh) 一种快速分梁器及装配插入式混凝土叠合梁柱结构
JPH07217072A (ja) 補強筋及びその製造方法
CN218711876U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抗滑路面板
JP6302445B2 (ja) 法枠形成用枠体及びそ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
JPH09242259A (ja) 建築構造物のボイドスラブ用鉄筋ユニット
KR102216833B1 (ko) Xy 철근 격자망과의 배근 간섭을 해소한 기초파일용 두부 보강 장치
CN211548218U (zh) 一种钢筋混凝土剪力墙的边缘柱结构及剪力墙
CN218263426U (zh) 一种大跨度钢结构桥梁桁架拱肋结构
JP5685329B2 (ja) 検測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及び構造体
JP5506114B2 (ja) 検測枠並びにこれを用いた法面保護工法及び構造体
CN218040588U (zh) 一种简易轻型电缆托架
CN215828151U (zh) 一种可自由拆卸组装的吊架结构
JP7076101B2 (ja) 合成スラブの施工方法
KR200451398Y1 (ko)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 데크 플레이트
CN208686398U (zh) 地铁隧道钢筋焊接网
JPH01214668A (ja) 梁鉄筋の先組方法
KR101714019B1 (ko) 역삼각트러스와 배력근이 일체화된 평데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