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45B1 -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45B1
KR102274845B1 KR1020200119848A KR20200119848A KR102274845B1 KR 102274845 B1 KR102274845 B1 KR 102274845B1 KR 1020200119848 A KR1020200119848 A KR 1020200119848A KR 20200119848 A KR20200119848 A KR 20200119848A KR 102274845 B1 KR102274845 B1 KR 10227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low
hole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현
최인기
Original Assignee
코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6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carrying very heavy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7/00Wheels characterised by rail-engaging elements
    • B60B17/0006Construction of wheel bodies, e.g. disc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w-rise trolley for transporting structures and a trolley towing device using the same. To this end, the low-rise trolley is provided. The low-rise trolley comprises: a lower trolley (150) including (i-1) a lower frame (130) formed on a track (40) to be transportable by a plurality of wheels (110) and an axle (120), (i-2) a lower through-hole (160)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frame (130), and (i-3) a lower support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30) to slidingly or rotatably support an upper trolley (200); the upper trolley (200) including (ii-1) an upper frame (230) for supporting a large structure (10), (ii-2) an upper through-hole (272)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frame (230), and (ii-3) an upper support mean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30) to slidably or rotatably contact the lower support means; and (iii) a rotation pin (270)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the lower through-hole (160). The upper trolley (200) can relativ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trolley (150). Therefore, heavy and/or large structures can be transported on the track.

Description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Low-rise trolley for transporting structures and a trolley towing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롤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olley,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structures and a trolley traction device using the same.

일일 400회 이상 운행하는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철도교량의 상부에 육교를 설치하는 작업은 매우 고난이도의 공사이다. Installing an overpass on the upper part of a railway bridg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operation of trains operating more than 400 times a day is a very difficult task.

종래에는 열차가 운행하지 않는 야간시간대(새벽1시~4시)를 이용하여 점진적으로 설치 작업을 해야만 했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was long and the construction cost increased because the installation work had to be done gradually using the night time period (1 am to 4 am) when the train was not running.

또한, 일정 길이의 육교를 미리 제작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서 교체하는 공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국토 대부분의 철도가 전철화됨으로서 상부에 고압의 전차선이 있기 때문에 크레인 작업은 안전상의 이유로 거부되고 있다. In addi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verpass of a certain length in advance and lifting it with a crane to replace it has been proposed. However, as most of the country's railways are electrified, the crane work is rejected for safety reasons because there is a high-voltage electric wire at the top.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로 주변에서 일정 길이의 신규의 대형 구조물을 완성하고 이를 기존 선로를 통해 운송한 뒤 설치하는 새로운 공법이 제시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ew construction method of completing a new large structure of a certain length around a track, transporting it through an existing track, and installing it has been proposed.

한편, 고중량물이면서 대형인 구조물을 기존 철도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트롤리(대차)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트롤리는 직선구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역과 같이 곡선 선로 구간이 많은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utilize a plurality of trolleys (bogies) in order to transport heavy and large structures to the existing railroad. However, the conventional trolley can be used only in straight sections, and cannot be used in places where there are many curved track sections such as stations.

또한, 종래의 트롤리는 일반 차륜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형고(높이)가 높았다. 따라서 대형이거나 중량인 구조물의 운반시 전복의 위험이 높았고, 상부의 고압 전차선과 간섭을 일으켰다. 작업현장에서 대형구조물과 고압 전차선과의 간섭은 종래의 트롤리를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며 새로운 장치의 개발을 통해 해결할 수 밖에 없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trolley used general wheels, the height (height) was high. Therefore, when transporting large or heavy structures, there was a high risk of overturning and interference with the upper high-voltage catenary. Interference between large structures and high-voltage catenary at the work site meant that the conventional trolley could not be used and had to be resol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new device.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287455 호 (교량의 상부구조물용 런칭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87455 (launching system for superstructure of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269868 호 (교량의 개량공법)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69868 (Bridge improvement method)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56219 호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3.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56219 (Replacement of superstructure of railway bridge and method of induction lift using i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고중량 및/또는 대형 구조물을 선로상으로 이송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capable of transporting a high-weight and/or large-sized structure on a track and a trolley using the same To provide a traction device.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대형구조물이 열차의 단면한계선을 초과함으로써 고압의 전차선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profil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a high-voltage electric wire by exceeding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of a large structure and a trolley traction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길이가 긴 대형 구조물을 탑재한 토롤리가 곡선의 선로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및 이를 이용한 트롤리 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type high trolley and a trolley traction device using the same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that allows a trolley equipped with a long large structure to safely travel on a curved track.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i-1) 선로(40) 상에서 복수의 차륜(110)과 차축(120)에 의해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프레임(130), (i-2) 하부프레임(130)을 관통하는 하부관통공(160), (i-3) 하부프레임(130)의 상면에서 상부트롤리(200)를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으로 구성된 하부트롤리(150); (ii-1) 대형구조물(10)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30), (ii-2) 상부프레임(230)을 관통하는 상부관통공(272), (ii-3) 상부프레임(230)의 하면에서 하부지지수단과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부지지수단;으로 구성된 상기 상부트롤리(200); 및 (iii) 상부관통공(272)과 상기 하부관통공(160)에 삽입되는 회전핀(270);으로 구성되어, 상부트롤리(200)가 하부트롤리(15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1) a lower frame 130 configured to be transportable by a plurality of wheels 110 and an axle 120 on the track 40, (i-2) a lower frame A lower trolley (150) comprising a lower through hole (160) passing through (130), (i-3) a lower support means for slidably or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trolley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30). ; (ii-1) the upper frame 230 for supporting the large structure 10, (ii-2) the upper through-hole 272 penetrating the upper frame 230, (ii-3) of the upper frame 230 The upper trolley 200 consisting of an upper support means slidably or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means on the lower surface; and (iii) a rotation pin 270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the lower through-hole 160;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trolley 200 is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trolley 150 A low-profile trolley is provided for transporting the structure.

또한, 차륜(110)은 직경이 150 ~ 600 mm인 저형고 차륜(110)이다. In addition, the wheel 110 is a low-profile high wheel 110 having a diameter of 150 to 600 mm.

또한, 하부지지수단은, 하부관통공(160)의 둘레에 형성된 제 2 중앙지지대(180); 및 차륜(110)의 주변에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지지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means, the second central support 180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through-hole (160); and a plurality of lower supports 170 installed around the wheel 110 ; may include at least one of

또한, 상부지지수단은, 상부관통공(272)의 둘레에 형성된 제 1 중앙지지대(290); 및 하부지지수단에 대응하여 복수의 상부지지대(2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means, the first central support 290 formed around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a plurality of upper supports 28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pport means; at least one of

또한, 하부프레임(130)은 차륜(110)의 둘레 일부가 통과하도록 차륜홀(190)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130 has a wheel hole 190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110 passes.

또한,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230)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구조물 지지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3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tructure support 250 that crosses the upper frame 230 .

선택적으로, 차륜(110)은 직경이 150 ~ 600 mm인 저형고 차륜(110)이고, 차륜(110)은 4개 내지 8개이며, 하부지지수단은, 하부관통공(160)의 둘레에 형성된 제 2 중앙지지대(180); 및 각 차륜(110)의 주변 마다 설치되는 하부지지대(170);를 포함하고, 상부지지수단은, 상부관통공(272)의 둘레에 형성된 제 1 중앙지지대(290); 및 각 하부지지대(17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부지지대(280);를 포함하며, 하부프레임(130)은 차륜(110)의 둘레 일부가 통과하도록 4개 내지 8개의 차륜홀(190)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230)을 가로지르는 2개 ~ 3개의 구조물 지지대(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Optionally, the wheel 110 is a low-profile wheel 110 having a diameter of 150 to 600 mm, the wheel 110 is 4 to 8, and the lower support means is formed around the lower through hole 160 . a second central support 180; and a lower support 170 installed around each wheel 110 , wherein the upper support means includes: a first central support 290 formed around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an upper support 280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lower support 170 , wherein the lower frame 130 has 4 to 8 wheel holes 190 so tha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110 passes through it. and two to three structure supports 250 crossing the upper frame 23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30 .

또한, 상부프레임(230)은 상기 선로(40)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빔을 연결하여 형성하고, 빔의 길이는 3,500 ~ 4,000 mm이다.In addition, the upper frame 230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eams crossing the line 40, and the length of the beam is 3,500 ~ 4,000 mm.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전술한 저형고 트롤리가 적어도 2대 구비되고, 제 1 저형고 트롤리는 대형구조물(10)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 2 저형고 트롤리는 대형구조물(10)의 타측을 지지하며, 제 1 저형고 트롤리 및 제 2 저형고 트롤리 중 하나와 연결되는 견인봉(30); 및 견인봉(30)과 연결되는 견인열차(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견인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another embodiment, at least two of the above-described low type high trolleys are provided, the first low type high trolley supports one side of the large structure 10, and the second low type high trolley is the large structure ( 10) supporting the other side, and a pull bar 30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low type high trolley and the second low type high trolley; And it can be achieved by a low-type high trolley towing device for transporting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owing train 20 connected to the towbar 30 .

또한, 대형구조물(10)은 15 m ~ 40 m의 길이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large structure 10 has a length of 15 m to 40 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20 ~ 40톤의 고중량이거나 15 ~ 40 m 길이의 대형 구조물을 트롤리를 통해 기존 선로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로의 선로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port a large structure with a weight of 20 to 40 tons or a length of 15 to 40 m on an existing track through a trolley.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requiring much line construction.

또한, 대형구조물을 저형고의 트롤리로 이송함으로써 열차의 단면한계선을 초과(특히, 높이 초과)하지 않고, 이로 인해, 고압의 전차선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공사중 전차선을 단전하거나 철거후 재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실제로, 전차선의 단전은 해당 구간 전체의 열차 통행을 불가능하게 하고, 전차선의 철거와 재설치는 높은 비용과 기술을 요구한다.In addition, by transferring the large structure to the low-profile trolley,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of the train is not exceeded (especially, the height is exceed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high-voltage catenary. This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omit the trouble of disconnecting power lines during construction or reinstalling them after removal. In fact, a power outage in the catenary makes it impossible for trains to pass through the entire section, and the removal and reinstallation of the catenary requires high cost and technolog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가 긴 대형 구조물을 탑재한 토롤리가 전도되거나 탈선하는 일없이 곡선의 선로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 특히, 역내에 설치된 많은 곡선 선로에 대해서 뚜렷한 장점으로 작용한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rolley equipped with a large structure with a long length can be safely driven on a curved track without being overturned or derailed. In particular, it acts as a distinct advantage for many curved lines installed in the station.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와 대형구조물(10)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러의 측면도,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가 곡선 선로를 지날때의 평면도,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를 상부트롤리(200)와 하부트롤리(150)로 구분한 분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 중 하부트롤리(150)의 평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의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에 수직 정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하부트롤리(150)에 수직 정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에 수직 동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하부트롤리(150)에 수직 동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only to
1 is a state diagram of a low 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nd the large structure 10 shown in FIG. 1;
3 is a side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r shown in FIG. 1;
4A is a plan view of the low-type high trolley shown in FIG. 1;
Figure 4b is a plan view when the low-type high trolley shown in Figure 1 passes a curved line;
Figure 5a is a front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ure 1,
5b is an exploded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5a divided into an upper trolley 200 and a lower trolley 150;
6 is a plan view of the lower trolley 1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1;
7 is a plan view of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1;
8a is a graphic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static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graphic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static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trolley 1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graphic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dynamic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graphic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dynamic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trolley 1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embodiment 구성 Configur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가 2대 구비되고, 제 1 저형고 트롤리(100)는 대형구조물(10)의 선단부를 지지하고, 제 2 저형고 트롤리(100)는 대형구조물(10)의 후단부를 지지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low-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wo low type high trolley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he first low type high trolley 100 supports the tip of the large structure 10, and the second low type high trolley ( 100)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large structure (10).

대형구조물(10)은 콘크리트 구조물, 트러스 구조물, 강재 구조물, 또는 그 의 혼합 구조물이 될 수 있다. 대형구조물(10)의 일예는 교량, 도로, 철도, 육교, 램프, 철교, 타워, 기둥, 빔, 날개, 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대형구조물(10)은 대략 20 ~ 40톤의 고중량이거나 15 ~ 40 m 길이를 갖지만, 이는 일예일 뿐이다. The large structure 10 may be a concrete structure, a truss structure, a steel structure, or a mixture structure thereof. An example of the large structure 10 may be a bridge, a road, a railway, an overpass, a ramp, an iron bridge, a tower, a column, a beam, a wing, a pipe, and the like. The large structure 10 has a high weight of approximately 20-40 tons or a length of 15-40 m, but this is only an example.

견인봉(30)의 일측은 제 1 저형고 트롤리(100)의 견인장치(195a)에 연결되고, 타단은 견인열차(20)에 연결된다. 저형고 트롤리(100)는 대형구조물(10)에 대해 1개, 2개, 3개, 4개 이상과 같이 적절히 투입할 수 있다. One side of the tow bar 30 is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 195a of the first low type high trolley 100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owing train 20 . The low-type high trolley 100 may be appropriately input such as one, two, three, four or more for the large structure 10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와 대형구조물(10)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한계선(50)은 선로(40)부터 높이와 폭을 규정하는 한계 범위이다. 이러한 단면한계선(50)을 초과하면 전차선이나 터널 등에 간섭되거나 철로 주변의 시설물과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nd the large structure 10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2 ,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50 is a limit range that defines the height and width from the line 40 . When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50 is exceeded, it interferes with a catenary or tunnel, or interferes with facilities around the railway.

특히, 종래의 일반차륜(60)을 이용한 트롤리에 대형구조물(10)을 적재할 경우 단면한계선(50)의 높이를 초과하게 된다. 예를 들어, 대형구조물(10)의 단면 크기 H×W는 3,980mm×3,900 mm이며, 일반차륜(60)의 직경은 860mm가 되어 트롤리의 높이까지 포함하게 되면 단면한계선(50)의 높이 제한을 초과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의 경우 대형구조물(10)이 단면한계선(50)의 높이 제한을 초과하지 않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large structure 10 is loaded on the trolley using the conventional general wheel 60, the height of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50 is exceeded.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ize H × W of the large structure 10 is 3,980 mm × 3,900 mm, and the diameter of the general wheel 60 becomes 860 mm. will exce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profil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the large structure 10 does not exceed the height limit of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50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비교를 위해 일반차륜(60)을 같이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1은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차륜(110)의 반경이고, H2는 일반차륜(60)의 반경이다. H2는 430mm(직경 860 mm)로 규정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H1은 175 ~ 200 mm(직경 350 ~ 400 mm)이고, 바람직하게는 195 mm(직경 390 mm)가 될 수 있다.3 is a side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r shown in FIG. 1 . 3, the general wheel 60 is also shown for comparison. As shown in FIG. 3 , H1 is the radius of the low profile wheel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H2 is the radius of the general wheel 60 . H2 is defined as 430 mm (diameter 860 mm), and H1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75 mm to 200 mm (diameter 350 to 400 mm), preferably 195 mm (diameter 390 m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형고 트롤리(10)는 크게 상부트롤리(200)와 하부트롤리(150)로 구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low-type high trolley 10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upper trolley 200 and a lower trolley 150 .

하부트롤리(150)에는 6개의 저형고 차륜(110)과 3개의 차축(120)이 구비되며, 하부프레임(130)에 의해 구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lower trolley 150 is provided with six low-profile wheels 110 and three axles 120 , and is configured to be driven by the lower frame 130 .

상부트롤리(200)는 대형구조물(10)을 직접 지지하는 구조물지지대(250)와 상부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구조물지지대(250)는 한쌍의 H빔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부프레임(230)은 4개의 H빔을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230)은 선로(40) 방향과 직각으로 설치되고, 구조물지지대(250)는 선로(40)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The upper trolley 200 is composed of a structure support 250 and an upper frame 230 that directly support the large structure 10 . The structure support 250 may be configured by a pair of H-beams, and the upper frame 23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four H-beams. The upper frame 230 i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the line 40 , and the structure support 25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line 40 .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가 곡선 선로를 지날때의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롤리(200)는 회전핀(270)을 중심으로 하부트롤리(15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 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 가능하며, 회전각의 범위는 좌우 ±5°~ ±2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 회전은 대형구조물(10)이 곡선의 선로(40)를 주행중 발생하게 된다. 4A is a plan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shown in FIG. 1 , and FIG. 4B is a plan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shown in FIG. 1 as it passes through a curved line. As shown in FIGS. 4A and 4B , the upper trolley 200 is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trolley 150 around the rotating pin 270 . The rotation direction can b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range of the rotation angle can be left and right ±5° to ±20°. This relative rotation is generated while the large structure 10 is traveling on the curved track 40 .

회전핀(270)은 하부프레임(130)의 평면상에서 기하학적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The rotation pin 270 may be located at a geometric center on the plane of the lower frame 130 .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를 상부트롤리(200)와 하부트롤리(150)로 구분한 분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트롤리(150)의 상부에 상부트롤리(200)가 적재되며, 하부트롤리(150)와 상부트롤리(200)는 상부지지대(280)와 하부지지대(170)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 1 중앙지지대(290)와 제 2 중앙지지대(180)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5A is a front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1 , and FIG. 5B is an exploded view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5A divided into an upper trolley 200 and a lower trolley 150 . 5A and 5B, the upper trolley 200 is loa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trolley 150, and the lower trolley 150 and the upper trolley 200 have an upper support 280 and a lower support 170. ) is slidably supported, and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central support 290 and the second central support 180 .

제 1 중앙지지대(290)는 상부프레임(230)의 하면 중앙에서 상부관통공(272)과 동심원이 되도록 설치되고, 제 2 중앙지지대(180)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된다. 제 1, 2 중앙지지대(290, 180) 사이에 윤활제, 그리스, 오일 등을 게재할 수 있다. The first central support 290 is installed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upper through-hole 272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30 ,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central support 180 so as to be slidable. A lubricant, grease, oil, etc. may be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entral supports 290 and 180 .

회전핀(270)은 상부관통공(272)과 하부관통공(160)을 통과하여,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회전핀(270)을 분리하여 상부트롤리(200)와 하부트롤리(150)를 분리형으로 할 수 있고, 다른 모델의 상부트롤리(200)를 적재할 수도 있다. The rotation pin 270 passes through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the lower through-hole 160 to form a rotation center. By separating the rotating pin 270, the upper trolley 200 and the lower trolley 150 may be separated, and the upper trolley 200 of another model may be load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 중 하부트롤리(150)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트롤리(150) 중 하부프레임(130)에는 저형고 차륜(110)에 대응하는 위치에 6개의 차륜홀(190)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형고 차륜(110)의 둘레 일부가 차륜홀(190)을 통과하여 하부프레임(130) 상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차륜홀(190)로 인해 저형고 트롤리(100)의 전체 높이를 더 낮출 수 있다. 6 is a plan view of the lower trolley 1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1 . As shown in FIG. 6 , six wheel holes 190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frame 130 of the lower trolley 15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profile and high-profile wheels 110 .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low profile wheel 110 passes through the wheel hole 190 and is exposed on the lower frame 130 . Due to the wheel hole 190, the overall height of the low-profile trolley 100 can be further lowered.

6개의 하부지지대(170)는 각각의 차륜홀(190) 외측에 구비되고, 저형고 차륜(110)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다. 하부지지대(170)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육면체, 원기둥, 타원기둥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The six lower supports 170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each wheel hole 190 , and have a higher height than the low profile wheel 110 . The lower support 170 is made of metal, and may be in the form of a hexahedron, a cylinder, or an ellipse.

하부프레임(130)의 양단에는 한쌍의 견인장치(195a, 195b)가 설치되어 견인봉(30)을 연결하거나 또 다른 트롤리를 연결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30)의 길이와 폭은 2,440 × 2,000 mm가 될 수 있다. A pair of traction devices 195a and 195b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130 to connect the traction rod 30 or connect another trolley.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ower frame 130 may be 2,440 × 2,000 mm.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트롤리(250)의 상부프레임(230)은 4개의 H빔을 선로(40)에 수직하게 배치하고 상호 연결하여 제작한다. 상부프레임(230)의 길이는 3,500 ~ 4,000 mm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800 ~ 3,900 mm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범위는 단면한계선(50)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7 is a plan view of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shown in FIG. 1 . 7, the upper frame 230 of the upper trolley 250 is manufactured by arranging four H-beams perpendicular to the track 40 and interconnecting them. The length of the upper frame 230 may be 3,500 ~ 4,000 mm, preferably 3,800 ~ 3,900 mm. This size range is to satisfy the cross-sectional limit line (50).

상부프레임(230)의 중앙 하면에는 제 1 중앙지지대(290)가 설치되고, 그 중심에 상부관통공(272)이 형성된다. A first central support 290 is installed on the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30 , and an upper through hole 272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상부지지대(280)는 상부프레임(230)의 하면에 6개가 각각 배치되며, 각각 하부지지대(170)에 대응한다. Six upper supports 280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30 , respectively, and correspond to the lower supports 170 , respectively.

한쌍의 구조물 지지대(250)는 상부프레임(230)의 상부에서 선로(4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대형구조물(10)을 직접 지탱하게 된다. A pair of structure support 25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track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frame 230, and directly supports the large structure (10).

실시예의embodiment 동작 a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한쌍의 저형고 트롤리(100)를 선로(40) 상에서 이격 배치하고, 크레인(미도시)으로 구조물 지지대(250) 위에 대형구조물(10)을 적재한다. 그 다음, 별도의 고정장치를 통해 구조물지지대(250)와 대형구조물(10)을 고정한다. First, a pair of low-type high trolleys 100 are spaced apart on the track 40 and the large structure 10 is loaded on the structure support 250 with a crane (not shown). Then, the structure support 250 and the large structure 10 are fixed through a separate fixing device.

견인장치(195a)에 견인봉(30)과 견인열차(20)를 연결한다. The tow bar 30 and the towing train 20 are connected to the towing device 195a.

견인중 곡선구간의 선로(40)에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핀(270)을 중심으로 상부트롤리(20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하부트롤리(150)는 선로(40)상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하고, 상부트롤리(200)는 회전하면서 대형구조물(10)을 지탱하게 되어 저형고 트롤리(100)의 전도나 탈선, 또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track 40 of the curved section during towing, the upper trolley 200 rotates around the rotation pin 270 as shown in FIG. 4B . Therefore, the lower trolley 150 travels stably on the track 40, and the upper trolley 200 supports the large structure 10 while rotating, thereby preventing the low-profile high trolley 100 from being overturned, derailed, or damaged. can do.

육교를 설치할 지점까지 도달하면, 별도의 고정장치를 해제하고, 준비된 크레인(미도시)으로 대형구조물(10)을 인상한 뒤,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수의 선로(40)를 가로지르는 육교(또는 보도교, 플랫폼 연결통로 등)를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과정은 2~4시간 소요되므로 열차가 다니지 않는 야간시간에 수행할 수 있다. 즉, 매일밤 대형구조물을 한 단위씩 이송하여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이송과 설치중 전차선을 차단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없어 일상적인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When it reaches the point where the overpass is to be installed, the separate fixing device is released, the large structure 10 is raised with a prepared crane (not shown), and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is process, an overpass (or a pedestrian bridge, a platform connecting passage, etc.) crossing the plurality of tracks 40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This transfer process takes 2 to 4 hours, so it can be performed at night when trains are not running. That is, large structures can be transported and installed one unit at a time every night. In particular, there is no need to block or dismantle the catenary during transport and installation, so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aily operation of trains.

저형고 트롤리의 구조해석Structural analysis of low-profile trolley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에 수직 정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하부트롤리(150)에 수직 정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이다. Figure 8a is a graphic of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static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 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when a vertical static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trolley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Structural analysis result graphic.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정하중에 대한 상부트롤리(200)는 고중량을 충분히 견디면서도, 하부트롤리(150)로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6개의 저형고 차륜(110)으로 충분히 고중량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As shown in FIGS. 8A and 8B , it was confirmed that the upper trolley 200 for the vertical static load sufficiently withstands a high weight while evenly distributing the load to the lower trolley 150 . This proves that six low-profile and high-profile wheels 110 can withstand a sufficiently high weight.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저형고 트롤리(100) 중 상부트롤리(250)에 수직 동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하부트롤리(150)에 수직 동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구조해석 결과 그래픽이다. 9A is a graphic diagram of a structural analysis result when a vertical dynamic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trolley 250 of the low-type high trolle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lower trolley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rtical dynamic load is applied. Structural analysis result graphic.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중 트롤리가 받을 수 있는 수직 동하중에 대해 상부트롤리(200)는 고중량을 충분히 견디면서도, 하부트롤리(150)로 하중을 균등하게 분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트롤리의 이송과정중에도 충분히 고중량을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As shown in FIGS. 9A and 9B ,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upper trolley 200 withstands the high weight sufficient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ynamic load that the trolley can receive during transport, while evenly distributing the load to the lower trolley 150 . there was. This proves that the trolley can withstand sufficiently high weight even during the transport process.

변형 transform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저형고 트롤리는 선로위의 차륜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공로(아스팔트 도로, 콘크리트 도로)상에서 타이어와 조향장치로 대체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상부트롤리(200)의 하부에 SPMT(Self Propelled Modular Transporter)를 장착할 수 있다. Although the low-profile tro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wheel on a track, it may be implemented by replacing it with a tire and a steering device on a road (asphalt road, concrete road). In particular, a Self 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SPM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trolley 200 .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way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claims that are not explicitly cited in the claims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대형구조물,
20 : 견인열차,
30 : 견인봉,
40 : 선로,
50 : 단면한계선,
60 : 일반차륜,
100 : 트롤리,
110 : 저형고 차륜,
120 : 차축,
130 : 하부프레임,
150 : 하부트롤리,
160 : 하부관통공,
170 : 하부지지대,
180 : 제 2 중앙지지대,
190 : 차륜홀,
195a, 195b : 견인장치,
200 : 상부트롤리,
230 : 상부프레임,
250 : 구조물 지지대,
270 : 회전핀,
272 : 상부관통공,
280 : 상부지지대,
290 : 제 1 중앙지지대,
H1 : 저형고 차륜의 반경,
H2 : 일반차륜의 반경,
10: large structures,
20: tow train,
30: drawbar,
40: track,
50: section limit line,
60: general wheel,
100: trolley,
110: low profile high wheel,
120: axle,
130: lower frame,
150: lower trolley,
160: lower through hole,
170: lower support,
180: the second central support;
190: wheel hole,
195a, 195b: towing device,
200: upper trolley,
230: upper frame,
250: structure support,
270: rotating pin,
272: upper through hole,
280: upper support,
290: the first central support;
H1: The radius of the wheel with a low profile,
H2: radius of general wheel,

Claims (7)

(i-1) 선로(40) 상에서 복수의 차륜(110)과 차축(120)에 의해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하부프레임(130),
(i-2) 상기 하부프레임(130)을 관통하는 하부관통공(160),
(i-3)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상면에서 상부트롤리(200)를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지지수단;으로 구성된 하부트롤리(150);
(ii-1) 대형구조물(10)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30),
(ii-2) 상기 상부프레임(230)을 관통하는 상부관통공(272),
(ii-3) 상기 상부프레임(230)의 하면에서 상기 하부지지수단과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는 상부지지수단;으로 구성된 상기 상부트롤리(200); 및
(iii) 상기 상부관통공(272)과 상기 하부관통공(160)에 삽입되는 회전핀(2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트롤리(200)가 상기 하부트롤리(15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차륜(110)은 직경이 150 ~ 600 mm인 저형고 차륜(110)이고,
상기 하부지지수단은, 상기 하부관통공(160)의 둘레에 형성된 제 2 중앙지지대(180); 및 상기 각 차륜(110)의 주변 마다 설치되는 하부지지대(17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수단은, 상기 상부관통공(272)의 둘레에 형성된 제 1 중앙지지대(290); 및 상기 각 하부지지대(17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상부지지대(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i-1) a lower frame 130 configured to be transportable by a plurality of wheels 110 and an axle 120 on the track 40;
(i-2) a lower through-hole 160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frame 130;
(i-3) a lower trolley 150 comprising a lower support means for slidably or rotatably supporting the upper trolley 2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30;
(ii-1) the upper frame 230 for supporting the large structure 10,
(ii-2) an upper through-hole 272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frame 230;
(ii-3) the upper trolley 200 consisting of an upper support means slidably or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lower support mean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230; and
(iii) a rotation pin 270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the lower through-hole 160;
The upper trolley 200 is capable of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trolley 150,
The wheel 110 is a low-profile high wheel 110 having a diameter of 150 to 600 mm,
The lower support means, the second central support 180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lower through-hole 160; and a lower support unit 170 installed around each wheel 110.
The upper support means may include a first central support 290 formed around the upper through-hole 272; and an upper support 280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lower supports 170; a low-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structures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기 차륜(110)의 둘레 일부가 통과하도록 차륜홀(1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을 이송하기 위한 저형고 트롤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rame 130 is a low type high trolley for transporting a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hole 190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110 pas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19848A 2020-09-17 2020-09-17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KR102274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48A KR102274845B1 (en) 2020-09-17 2020-09-17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48A KR102274845B1 (en) 2020-09-17 2020-09-17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845B1 true KR102274845B1 (en) 2021-07-12

Family

ID=7685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848A KR102274845B1 (en) 2020-09-17 2020-09-17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4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186U (en) * 1998-10-16 2000-05-15 유철진 Mobile bogie for curved rails
KR20010076176A (en) * 2000-01-17 2001-08-11 가나이 쓰도무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use bogie car
KR100556219B1 (en)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A method for changing plate-girder bridge of railway bridge into slab bridge by using temporary construction bents.
JP4461406B2 (en) * 2000-05-11 2010-05-12 マツダ株式会社 Traction equipment
KR20120064288A (en) * 2010-12-09 2012-06-19 한국철도공사 A carrier moving a power bogie
KR101269868B1 (en) 2013-01-10 2013-06-07 코벡주식회사 A method for bridge improving
KR101287455B1 (en) 2011-10-14 2013-07-19 코벡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upper structure of bridege
KR101530208B1 (en) * 2013-12-20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ulti-axle freight train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186U (en) * 1998-10-16 2000-05-15 유철진 Mobile bogie for curved rails
KR20010076176A (en) * 2000-01-17 2001-08-11 가나이 쓰도무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use bogie car
JP4461406B2 (en) * 2000-05-11 2010-05-12 マツダ株式会社 Traction equipment
KR100556219B1 (en)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A method for changing plate-girder bridge of railway bridge into slab bridge by using temporary construction bents.
KR20120064288A (en) * 2010-12-09 2012-06-19 한국철도공사 A carrier moving a power bogie
KR101287455B1 (en) 2011-10-14 2013-07-19 코벡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upper structure of bridege
KR101269868B1 (en) 2013-01-10 2013-06-07 코벡주식회사 A method for bridge improving
KR101530208B1 (en) * 2013-12-20 2015-06-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Multi-axle freight t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4543A1 (en) Straddle type track beam transporter and use method thereof
CN105040533B (en) Pivot type turnout structure and turnout switching method
RU2321510C2 (en) Transport system
CN102633194B (en) Railway crane for high-speed railway rescue and construction
CN102051860B (en) Bridge erecting and track laying machine for railway
CN212050244U (en) Gantry crane system for mounting assembled bent cap
EP1558816A2 (en) Overhead suspended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WO2006062414A1 (en) A travelling crane
KR102274845B1 (en) Low-risel trolley for transporting constructions and Towing device using thereof
US20070017410A1 (en) Overhead Suspended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JP2021021252A (en) Viaduct replacing method
US3734302A (en) Traveling monotower crane base
CN112479089B (en) Movable overhaul operation platform of suspension type monorail trai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10479974U (en) Monorail trolley conveying mechanism based on subway station
KR102275474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tructures on tramway catenary
WO2022037112A1 (en) Device for high-altitude push and vertical movement for 900t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CN211947954U (en) Bridge moving hanging basket capable of spanning lamp pole
CN204508638U (en) A kind of hung type lifting amplitude variation trolley
CN207987634U (en) A kind of suspension train
CN110747759B (en) Method for installing gantry crane in place
CN209795521U (en) Steel pipe travelling bogie with lifting and steering device
RU2159827C1 (en) Track and switch section replacing machine
JPS5812894Y2 (en) Assembly bridge for construction site
JP3585832B2 (en) Trucks for maintenance vehicles
KR102499696B1 (en) Replacement method of an old bridge using a transporters and a temporary gi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