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51B1 -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 Google Patents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51B1
KR102274251B1 KR1020200006386A KR20200006386A KR102274251B1 KR 102274251 B1 KR102274251 B1 KR 102274251B1 KR 1020200006386 A KR1020200006386 A KR 1020200006386A KR 20200006386 A KR20200006386 A KR 20200006386A KR 102274251 B1 KR102274251 B1 KR 10227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eating element
heat sources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346A (ko
Inventor
김정환
나원산
박진표
이재영
임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CN202080007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228823B/zh
Priority to PCT/KR2020/000921 priority patent/WO2020153684A2/ko
Priority to US17/424,578 priority patent/US20220086957A1/en
Publication of KR2020009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05Switches using a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Heaters using heating elements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Fuses (AREA)

Abstract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도전성부재로 구비되어 전류 인가 시 발열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을 직렬연결하고, 설정온도 이상시 용단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 및 퓨즈부재를 감싸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 사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Thermal fusible Heating element and heater un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히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니크롬선을 사용하는 히터는 과열시 발화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는 난방을 위하여 PTC 소자를 이용한 히터유닛이 장착된다.
그러나 발열체로서 PTC소자를 이용하는 히터유닛은 PTC소자의 크기를 증대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큰 발열량을 얻을 수 없다.
또한, PTC소자를 이용한 히터유닛은 전도체인 도전성 카본 혼합물이 PTC소자의 발열면 중 일부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전도체 부위별로 온도분포가 불균일하며 방열핀에 전달되는 온도가 상이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고 큰 발열량을 얻을 수 있는 발열체 및 히터유닛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PTC소자를 이용한 히터유닛은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핀으로 전달되어 방열핀과 접촉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발열체에서 핀으로 열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열저항이 일어나기 때문에 열 밀도가 크게 떨어지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 저항을 낮춰 열밀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발열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열에 의한 발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고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도전성부재로 구비되어 전류 인가 시 발열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을 직렬연결하고, 설정온도 이상시 용단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 및 퓨즈부재를 감싸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를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발열원은 비정질 리본시트, 금속시트, 칸탈 및 페칼로이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판상의 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도전성부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퓨즈부재는 납, 주석, 아연, 카드뮴, 구리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1종 이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부재는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부재는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의 상면에 각각 연결되는 제1퓨즈부재와, 양단부측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는 제2퓨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퓨즈부재 및 제2퓨즈부재는 상기 두 개의 제1발열원 및 제2발열원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성을 갖는 필름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발열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복수 회 절곡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로는 상기 산부 및 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금속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체 자체에 퓨즈 기능이 내장됨으로써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이 설정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발열하는 경우 용단됨으로써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과열에 의한 발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히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체가 면상으로 구현됨으로써 열 저항을 낮춰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로서, 두 개의 발열원과 퓨즈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로서, 두 개의 발열원과 퓨즈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A-A 방향 단면도로서, 두 개의 발열원과 퓨즈부재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에서 절연부재의 외면에 금속시트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가 히터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발열원(110), 퓨즈부재(120,120',120") 및 절연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전원인가시 발열하여 열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00,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상기 발열체(100,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은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를 매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퓨즈부재(120,120',120")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발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원(110)은 전원인가시 열을 발생하는 판상의 도전성부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발열원(110)은 비정질 리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질 리본시트는 비정질 합금 및 나노 결정립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리본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원(1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금속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시트로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발열원(110)은 반복적인 열피로 노출에 따른 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칸탈 및 페칼로이 합금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판상의 도전성부재일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발열원(11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선형의 도전성부재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판상 또는 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발열원이 면상 또는 판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면 히터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발열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100,2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이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면상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전원인가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발열원(110)이 동시에 발열될 수 있음으로써 발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증가된 발열면적을 통해 공기와의 열교환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각각의 발열원(110)에서 소정의 면적으로 열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길이가 증가되더라도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한 발열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상기 발열체(100,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을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발열원(110)을 직렬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이 설정온도 이상의 고온으로 발열하는 경우 용단됨으로써 복수 개의 발열원(110) 측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를 통해 자체에 전류차단기능이 구현됨으로써 과열에 의한 발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자체에 전류차단기능이 내장되기 때문에, 외부의 컨트롤러, 일례로 히터 컨트롤러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를 통해 자체 보호 기능이 작동될 수 있음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서로 직렬연결된 복수 개의 발열원(110)이 설정값 이상의 높은 온도로 발열하는 경우 상기 발열원(110)으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해 녹아 끊어짐으로써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납, 구리, 주석, 아연, 카드뮴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1종 이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퓨즈부재(120,120',12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퓨즈로서 사용될 수 있는 공지의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외력에 의한 파단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발열원(11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퓨즈부재(120,120',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을 다양한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퓨즈부재(120,120',120")는 도 4 내지 도 6의 방식을 통해 두 개의 발열원(110)을 직렬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퓨즈부재(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의 동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퓨즈부재(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의 상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부재(1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의 하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퓨즈부재(120',1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퓨즈부재(121,121')와 제2퓨즈부재(122,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퓨즈부재(121,121')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의 상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퓨즈부재(122,122')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110)의 하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퓨즈부재(121,121') 및 제2퓨즈부재(122,122') 중 어느 하나가 두 개의 발열원(110)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퓨즈부재는 두 개의 발열원(110)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퓨즈부재(120',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 사이의 통전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퓨즈부재(121,121') 및 제2퓨즈부재(122,1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발열원(110) 사이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발열원(110)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퓨즈부재(120,120',120")와 발열원(110)의 연결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발열원(110)을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설정온도 이상시 용단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과 두 개의 발열원(110)을 직렬연결하는 퓨즈부재(120,120',12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절연부재(130)는 도전성부재인 발열원(110) 및 퓨즈부재(120,120',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절연부재(130)는 다른 부품과의 접촉시 상기 발열원(110) 및 퓨즈부재(120,120',120")가 다른 부품과의 접촉을 통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양 단부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발열원(110) 측에 인가하기 위한 한 쌍의 단자부재(141,14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141,142)는 일단이 상기 발열원(110)과 연결되면서 적어도 일부의 길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연부재(130)는 상기 발열원(110) 및 퓨즈부재(120,120',120")의 상면을 덮는 제1절연부재(131)와 상기 발열원(110) 및 퓨즈부재(120,120',120")의 하면을 덮는 제2절연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절연부재(131) 및 제2절연부재(132)는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연부재(130)는 복수 개의 발열원(110) 및 하나 이상의 퓨즈부재(120,120',120")를 동시에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절연부재(130)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130)는 전기적인 절연을 위하여 절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발열원(11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내열성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연부재(13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필름부재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상기 절연부재(130)는 공지의 폴리이미드(PI)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절연부재(13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는 코팅액이 도포된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코팅층과 필름부재가 서로 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부재(130)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금속시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시트(15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시트일 수 있으며, 상기 발열원(110) 및 퓨즈부재(120,120',120")를 덮는 절연부재(130)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발열체(2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금속시트(150)는 상기 발열원(110)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하고 발열원(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발열원(1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금속시트(150)의 재질로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금속시트(15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200)가 상술한 금속시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시트(150)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금속시트(150)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튜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110), 퓨즈부재(120,120',120") 및 절연부재(130)는 상기 중공형의 튜브에 삽입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중공형의 튜브는 가압을 통해 판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금속시트(150)가 도 4에 도시된 발열체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발열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와 같은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102)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절곡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발열체(100,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104)와 골부(106)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복수 회 절곡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산부(104)와 골부(106)를 통해 공기와 같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는 상기 유로(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열체(100,200)를 통해 직접 가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핀으로 전달되고 가열대상인 공기가 방열핀과의 접촉을 통해 가열되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발열체(100,200)가 열대상인 공기를 직접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열전달 과정이 최소화될 수 있음으로써 열전달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열저항을 줄여 열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유로(102)를 통해 가열대상인 유체와의 접촉면적 및 가열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열교환면적을 넓혀 큰 발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100,200)는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유닛(3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유닛(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복수 개의 발열체(100,200)를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 개의 발열체(100,200)는 상기 프레임(3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프레임(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레임(3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체(100,200) 사이에는 별도의 지지부재(3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310)의 외측에는 상기 히터유닛(3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100,200)는 전술한 구성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열대상인 유체는 상기 발열체(100,200)에 형성된 유로(10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발열체(100)를 통해 직접 가열될 수 있음으로써 승온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술한 발열체(100,200) 및 히터유닛(300)은 차량의 공조장치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장치 측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히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발열체 및 히터유닛의 용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교환을 통해 유체의 온도가 승온되는 제품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발열체 110 : 발열원
102 : 유로 104 : 산부
106 : 골부 120,120',120" : 퓨즈부재
121,121' : 제1퓨즈부재 122,122' : 제2퓨즈부재
130 : 절연부재 131 : 제1절연부재
132 : 제2절연부재 141,142 : 단자부재
150 : 금속시트 300 : 히터유닛
310 : 프레임 320 : 지지부재
330 : 컨트롤러

Claims (11)

  1.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도전성부재로 구비되어 전류 인가 시 발열하는 복수 개의 발열원;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을 직렬연결하고, 설정온도 이상시 용단되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는 퓨즈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발열원 및 퓨즈부재를 감싸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재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 사이에 배치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도전성부재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재는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연결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부재는 양단부측이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두 개의 발열원의 상면에 각각 연결되는 제1퓨즈부재와, 양단부측이 상기 두 개의 발열원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는 제2퓨즈부재를 포함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퓨즈부재 및 제2퓨즈부재는 상기 두 개의 발열원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성을 갖는 필름부재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회 절곡형성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산부와 골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복수 회 절곡형성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산부 및 골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절연부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매개로 부착되는 금속시트를 더 포함하는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11.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1020200006386A 2019-01-22 2020-01-17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102274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07694.5A CN113228823B (zh) 2019-01-22 2020-01-20 具有熔断功能的发热元件及包括此的加热单元
PCT/KR2020/000921 WO2020153684A2 (ko) 2019-01-22 2020-01-20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US17/424,578 US20220086957A1 (en) 2019-01-22 2020-01-30 Heating element having fuse function and heater unit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8249 2019-01-22
KR1020190008249 2019-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46A KR20200091346A (ko) 2020-07-30
KR102274251B1 true KR102274251B1 (ko) 2021-07-07

Family

ID=7183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386A KR102274251B1 (ko) 2019-01-22 2020-01-17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4251B1 (ko)
CN (1) CN1132288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10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퓨즈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803A (ja) * 2003-08-29 2005-03-24 Nippon Dainatekku Kk 面状発熱体
KR101416170B1 (ko) * 2007-09-10 2014-07-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7752A (en) * 1916-10-27 1917-05-29 Pratt Johns Co Fusible element for inclosed electrical fuses.
JPH08138837A (ja) * 1994-11-16 1996-05-31 Nippon Tungsten Co Ltd Ptc薄板ユニット
JP3869474B2 (ja) * 1994-09-22 2007-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温度制御回路
JP3478785B2 (ja) * 2000-07-21 2003-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度ヒューズ及びパック電池
JP2007280695A (ja) * 2006-04-04 2007-10-25 Hiroshi Kobayashi 面状発熱体及び床暖房パネル
WO2009035241A2 (en) * 2007-09-10 2009-03-19 Amo Co., Ltd. Drying heater, heating unit for drying laundry using the same, dry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384419A (zh) * 2012-05-03 2013-11-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自熔断保护电加热装置及其保护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803A (ja) * 2003-08-29 2005-03-24 Nippon Dainatekku Kk 面状発熱体
KR101416170B1 (ko) * 2007-09-10 2014-07-1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세탁물 건조용 히팅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10A1 (ko) * 2021-10-29 2023-05-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퓨즈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346A (ko) 2020-07-30
CN113228823B (zh) 2023-10-24
CN113228823A (zh)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7217B1 (en)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device for heating apparatus
WO2014156038A1 (ja) 輻射ヒータ装置
KR101318636B1 (ko) 탄소나노튜브 발열체를 이용한 히터
US20150043898A1 (en) Vehicle heater
KR102274251B1 (ko) 퓨즈 기능을 갖는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JP2018523255A (ja) ワイヤメッシュ・ヒータ用の電気エネルギー伝達システム
EP0895440A2 (en) Electrical PTC heating device
ITTO20000034U1 (it) Radiatore elettrico.
US20220086957A1 (en) Heating element having fuse function and heater unit comprising same
US20110044736A1 (en) Heat generating unit and heating apparatus
PT1275462E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soldadura de componentes eléctricos sobre uma folha de material de plástico
KR102587199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102274247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히터유닛
KR102323142B1 (ko)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공조용 히터
KR101815557B1 (ko) 히터
KR102337022B1 (ko) 배터리 예열용 발열체
JP2007511412A (ja) 特に自動車の暖房装置または空調装置用の熱交換器、およびこの熱交換器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RU188481U1 (ru) Гибкий пленочны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
KR102007199B1 (ko) 발열저항체를 이용한 히터
KR100817794B1 (ko) 일체형 방열 장치
JP2006190595A (ja) 感熱線及び機器の保護方法
KR102565037B1 (ko) 차량 히터용 ptc 유닛, 이를 구비하는 ptc 히터 및 차량용 공조장치
JP7062347B2 (ja) 気体加熱装置
KR101462978B1 (ko) 차량용 히터
KR20140040441A (ko) 자동차용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