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023B1 -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023B1
KR102274023B1 KR1020200000138A KR20200000138A KR102274023B1 KR 102274023 B1 KR102274023 B1 KR 102274023B1 KR 1020200000138 A KR1020200000138 A KR 1020200000138A KR 20200000138 A KR20200000138 A KR 20200000138A KR 102274023 B1 KR102274023 B1 KR 10227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peed
vehicle
shift
accelerator pedal
che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김호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0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15Input shaft speed, e.g. turb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60W2540/103Accelerator thresholds, e.g. kickdow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단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 가속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는 차량의 구동력을 구동휠에 전달하는 변속기, 상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변속 제어 조건이 필요하면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며,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변속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SHIF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OF THE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단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 가속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동력 전달 장치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구동휠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동력 전달 장치는 변속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변속기(Manual Transmission: MT), 자동변속기(Automatic Transmission: AT) 및 무단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VT)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자동 변속기는 자동으로 변속을 시켜주는 변속기로서, 유체의 흐름에 의해 동력의 단속과 토크의 증대가 이루어진다. 즉, 자동 변속기는 가속 페달을 밟은 정도와 차속에 따라 미리 정해진 변속 패턴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단을 변환한다.
한편,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기어를 바꾸는 변속기로서, 클러치로 변속 액추에이터와 엔진을 분리한 다음 기어를 바꾼 후 다시 클러치로 동력을 전하게 된다.
무단 변속기는 연속적인 변속비를 얻을 수 있는 변속기를 나타내며, 주어진 일정 범위 내에서 기어비를 무한대로 가까운 단계로 제어할 수 있는 변속기이다. 무단 변속기는 미리 정해진 몇 개의 단계로만 기어비를 제어할 수 있는 다른 변속기들과 대조적이다. 무단 변속기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로 엔진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무단 변속기는 정해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풀리비를 제어할 수 있어 연비와 동력 성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회전수의 과다 상승에 따른 소음진동특성(Noise Vibration Harshness: NVH)이 악화되고, 변속 이벤트감의 부족 등의 평가를 받는 실정에 있다.
이에 최근에는 무단 변속기를 적용한 차량에서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변속 제어를 구현할 수 있는 제어 방식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변속기는 IVT(Intelligent Variable Transmission)라고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단 변속기를 장착된 차량은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를 수행하여도 자동 변속기와 동일한 변속이 수행되지 않아 가속감 및 변속감이 저하되어 운전자의 불만감이 증가되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단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서 킥 다운(kick down) 변속 시 운전자가 자동 변속기와 유사하게 느끼도록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단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서 미리 설정된 변속맵을 통해 킥 다운 변속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구동력을 구동휠에 전달하는 변속기; 상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변속 제어 조건이 필요하면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며,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변속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차속, 가속 페달의 위치값, 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고,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기반으로 회전수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복수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1 변속맵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변속맵을 통해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복수의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변속맵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변속맵을 통해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차속을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태 검출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 및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상기 상태 데이터에 따른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기반으로 엔진 및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상기 엔진 및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단 변속기차 장착된 차량에서 킥 다운 변속 시 운전자가 자동 변속기와 유사하게 느끼도록 변속을 수행하므로 변속감 및 가속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무단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에서 미리 설정된 변속맵을 통해 킥 다운 변속을 수행하므로 운전자의 위화감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이 적용된 차량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이 적용된 차량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이 적용된 차량은 엔진(110), 토크 컨버터(130), 변속기(140), 차동기어장치(160) 및 구동휠(170)을 포함한다.
엔진(110)은 연료를 연소하여 토크를 생성한다. 즉, 엔진(110)은 연료와 공기를 연소시켜 화학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엔진(110)은 복수의 연소실(113), 점화장치(115) 및 인젝터(117)를 포함한다.
연소실(113)은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며, 점화장치(115)는 연소실(113) 내로 유입된 연료와 공기를 점화시키고, 인젝터(117)는 연소실(113) 내부로 연료를 분사한다.
이러한 엔진(110)은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LPI(liquefied petroleum injection) 엔진 등의 공지된 각종 엔진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동력 전달은 엔진(110)의 토크가 변속기(140)의 입력축(153)에 전달되고, 변속기(140)의 출력축(155)으로부터 출력된 토크가 차동기어장치(160)를 경유하여 차축에 전달된다. 차축이 구동휠(170)을 회전시킴으로써, 엔진(110)의 토크에 의해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토크 컨버터(130)는 엔진(110)과 변속기(140) 사이에 위치한다.
토크 컨버터(130)는 결합 또는 해제하여 엔진(110)의 토크를 구동휠(170)에 전달 또는 차단한다. 즉, 토크 컨버터(130)가 결합 상태일 경우에는 엔진(110)의 출력축(123)과 변속기(140)의 입력축(153)이 연결되어 엔진(110)의 토크를 구동휠(170)에 전달할 수 있다. 토크 컨버터(130)가 해제 상태인 경우에는 엔진(110)의 출력축(123)과 변속기(140)의 입력축(153)이 연결되지 않아 엔진(110)의 토크가 구동휠(170)에 전달되지 않는다.
변속기(140)는 엔진(110)의 출력 토크를 구동휠(170)에 전달시켜 차량이 주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변속기(140)는 무단 변속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단 변속기는 CVT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또는 IVT(Intelligent Variable Transmissio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속기(140)는 구동 풀리(primary pulley, 143), 종동 풀리(secondly pulley, 145) 및 벨트(147)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143)는 변속기(140)의 입력축에 고정 연결되고, 종동 풀리는 변속기(140)의 출력축에 고정 연결된다.
벨트(147)는 구동 풀리(143)와 종동 풀리(145)를 연결하여 엔진(110)의 동력을 구동휠(170)에 전달한다.
즉, 변속기(140)는 내부에 구비된 구동 풀리(143)와 종동 풀리(145)의 압력을 조정하여 풀리비를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엔진(110)의 동력이 변속기(140)를 거치면서 변환되어 구동휠(170)으로 전달되어 차량을 운전자의 요구하는 변속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따른 차량에서 통상적인 동작은 종래의 차량과 동일 내지 유사하게 실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의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장치는 상태 검출부(210), 차량 제어기(230),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포함한다.
상태 검출부(210)는 차량의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러한 상태 검출부(210)는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 속도 검출기(223) 및 회전수 검출기(225)를 포함한다.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누른 정도를 검출한다. 즉,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가속 페달이 눌린 정도)을 검출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차량 제어기(230)에 전달한다.
가속 페달이 완전히 눌린 경우에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이 100%이고, 가속 페달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이 0%일 수 있다.
속도 검출기(223)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차속을 차량 제어기(230)에 전달한다.
이러한 속도 검출기(223)는 차량의 구동휠(170)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수 검출기(225)는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Revolutions Per Minute: RPM)를 검출한다. 회전수 검출기(225)는 검출한 회전수를 차량 제어기(230)에 전달한다.
차량 제어기(230)는 차량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고, 상태 검출부(210),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검출부(210)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kick down)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이때, 킥 다운 변속은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는 양이 증가하게 되어 차량을 구동하는 엔진(110)으로부터 더 큰 토크를 얻어내기 위한 변속을 나타낼 수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한다. 이때, 회전수 점프량은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를 상승시키기 위해 설정된 양이며, 회전수 기울기는 회전수가 점프된 시점에서 최종 회전수가 되는 시점으로 변경할 때 사용되는 기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최종 회전수는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가 킥 다운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변경되어야 하는 회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차량 제어기(23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변속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를 확인한다(S310).
다시 말하면, 상태 검출부(210)의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을 검출하여 차량 제어기(230)에 전달하고, 속도 검출기(223)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차량 제어기(230)에 전달한다.
차량 제어기(230)는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로부터 전달받은 가속 페달의 위치값을 확인하고, 속도 검출기(223)로부터 전달받은 차속을 확인한다.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를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20).
즉,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차속을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230)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대한 변화량이 현재 차속에 따른 설정량 이상인 경우에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차량 제어기(230)는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지 않으면 단계 S310으로 리턴하여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차량 제어기(230)는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한다(S330).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230)는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상태 검출부(210)의 회전수 검출기(225)로부터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를 전달받는다.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가속 페달의 위치값, 차속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23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 점프량(411)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차량 제어기(230)는 복수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1 변속맵을 확인한다. 이때, 제1 변속맵은 자동 변속기의 기어비 변경 수준과 비슷하게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변속맵일 수 있다. 제1 변속맵은 실험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23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변속맵(43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1 변속맵(430)은 점프량, 기울기, 최종을 확인할 수 있는 회전수 변화 데이터(435)가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기(230)는 자동 변속기에서 6단에서 5.5단 수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점프량과 기울기(①)를 기반으로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6단에서 5단 수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점프량과 기울기(②)를 기반으로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6단에서 4.5단 수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점프량과 기울기(③)를 기반으로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변속맵(43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기(230)는 6단에서 5단 수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점프량과 6단에서 4.5단 수준으로 변경하기 위한 기울기를 조합하여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정 가능한 이유는 변속기(140)가 무단 변속기이므로 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차량 제어기(230)는 제1 변속맵을 통해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에서 검출한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속도 검출기(223)에서 검출한 차속에 매칭된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확인하고,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에 따른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한다.
또한, 차량 제어기(230)는 복수의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변속맵을 확인한다.
이때, 제2 변속맵은 자동 변속기와 달리 무단 변속기의 경우 목표 풀리비를 추정하는 형태의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현재 회전수와 목표 회전수가 동일하지 않으므로, 목표 회전수를 설정하여 변속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변속맵일 수 있다. 제2 변속맵은 실험 등을 통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230)는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변속맵(460)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변속맵(430)은 점프량, 기울기, 최종을 확인할 수 있는 회전수 변화 데이터(465) 및 목표 회전수(467)가 포함할 수 있다. 제2 변속맵에 포함된 기울기 및 최종은 점프 후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제2 변속맵을 통해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221)에서 검출한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회전수 검출기(225)에서 검출한 회전수에 매칭된 회전수 변화 데이터 및 목표 회전수를 확인하고, 목표 회전수 및 회전수 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한다.
한편, 차량 제어기(23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변속맵을 통해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거나, 제2 변속맵을 통해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제1 변속맵 및 제2 변속맵 모두를 고려하여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회전수 점프량을 기반으로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한다(S340). 즉, 차량 제어기(230)는 현재 변속기(140)의 회전수가 회전수 점프량만큼 변경되도록 엔진(110)의 토크를 증가시키고, 엔진(110)의 토크를 통해 변속기(140)의 토크도 증가시킬 수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한다(S350).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230)는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가속 페달의 위치값, 차속 및 회전수를 기반으로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기(230)는 도 4에 도시된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 기울기(413) 및 최종 회전수(415)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기(230)는 제1 변속맵을 통해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차속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한다.
또한, 차량 제어기(230)는 제2 변속맵을 통해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한다.
한편, 차량 제어기(230)는 제1 변속맵 및 제2 변속맵 모두를 고려하여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230)는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한다(S360).
즉, 차량 제어기(230)는 점프 후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가 회전수 기울기를 가지면서 최종 회전수로 증가하도록 엔진(110) 및 변속기(140)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한다.
한편, 여기서는 변속기(140)의 입력축 회전수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엔진(110)의 회전수를 기반으로 제어하여도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속 제어 방법은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차속을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변속맵을 통해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고,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변속을 수행하므로 무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차량에서 자동 변속기와 동일한 변속감 및 가속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엔진
130: 토크 컨버터
140: 변속기
143: 구동 풀리
145: 중동 풀리
160: 차동기어장치
170: 구동휠
210: 상태 검출부
221: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
223: 속도 검출기
225: 회전수 검출기
230: 차량 제어기

Claims (12)

  1. 차량의 구동력을 구동휠에 전달하는 변속기;
    상기 차량의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변속 제어 조건이 필요하면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며,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기반으로 변속을 수행하는 차량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차속, 가속 페달의 위치값, 변속기의 입력축 회전수를 기반으로 회전수 점프량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고,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기반으로 회전수 기울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복수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1 변속맵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변속맵을 통해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4. 제1항에 이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복수의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변속맵을 확인하고, 상기 제2 변속맵을 통해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상기 회전수 점프량,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가속 페달의 위치값 및 차속을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검출부는
    가속 페달의 위치값을 검출하는 가속 페달 위치 검출기;
    상기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기; 및
    변속기의 입력축에 대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7. 상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하면 상기 상태 데이터에 따른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기반으로 엔진 및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상기 엔진 및 변속기를 제어하여 변속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데이터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을 기반으로 상기 킥 다운 변속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1 변속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속맵을 통해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변속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속맵을 통해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회전수 점프량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1 변속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변속맵을 통해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차속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 기울기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 각각의 변속에 대한 회전수 변화 데이터가 포함된 제2 변속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변속맵을 통해 상기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회전수 및 가속 페달의 위치값에 따른 회전수 기울 및 최종 회전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제어 방법.
KR1020200000138A 2020-01-02 2020-01-02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74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38A KR102274023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138A KR102274023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023B1 true KR102274023B1 (ko) 2021-07-08

Family

ID=7689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138A KR102274023B1 (ko) 2020-01-02 2020-01-02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799A (zh) * 2022-04-06 2022-07-2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策略修正方法、控制器、变速器及机动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884A (ja) * 2005-04-26 2006-11-09 Jatco Ltd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JP2015169314A (ja) * 2014-03-10 2015-09-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5224730A (ja) * 2014-05-28 2015-12-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80038134A (ko) * 2016-10-06 2018-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884A (ja) * 2005-04-26 2006-11-09 Jatco Ltd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及び変速制御方法
JP2015169314A (ja) * 2014-03-10 2015-09-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5224730A (ja) * 2014-05-28 2015-12-14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180038134A (ko) * 2016-10-06 2018-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6799A (zh) * 2022-04-06 2022-07-2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换挡策略修正方法、控制器、变速器及机动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1167B2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854870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8046143B2 (en) Automatic gear control device
US8527166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ula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7695405B2 (en) Shift shock reducing apparatus for power train
US20080248923A1 (en) Shifting Apparatus and Shifting Control Method Thereof
US9511774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2274023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200413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3022999A (ja) 車両の動力伝達制御装置
US66313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US2004013258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JP4770309B2 (ja) 車両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6200208B2 (ja) 変速機の制御装置
US111498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10077837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10084691A (ja) 車両の制御装置
JP6873546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KR102633870B1 (ko) 클러치 페달 학습 장치 및 방법
JP6065578B2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029205A (ja) 車両の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JP2009014105A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202401419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JP5211299B2 (ja) 動力伝達部の制御装置
KR20240021408A (ko) 무단변속기의 터빈속도 방식 가변 기어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