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77B1 -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 Google Patents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977B1
KR102273977B1 KR1020190070470A KR20190070470A KR102273977B1 KR 102273977 B1 KR102273977 B1 KR 102273977B1 KR 1020190070470 A KR1020190070470 A KR 1020190070470A KR 20190070470 A KR20190070470 A KR 20190070470A KR 102273977 B1 KR102273977 B1 KR 102273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ds
white
yellow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4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2923A (en
Inventor
양진운
Original Assignee
(주)엔씨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씨네트 filed Critical (주)엔씨네트
Priority to KR102019007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77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조등 색상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면서도 차량에 설치가 간단하며, 차량이 운행중인 지역의 특징 또는 날씨 등의 주변정보를 활용하여 운행을 주의 해야 하는 지역 또는 환경을 고려하여 전조등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주변 차량 및 보행자에게 사고 예방을 안내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eadlight, which automatically converts the color of the vehicle's headlight and is easy to install in a vehicle. It provides a color control system for headlights for vehicles that can guide the prevention of accidents to surrounding vehicles and pedestrians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headlights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 or environment.

Figure R1020190070470
Figure R1020190070470

Description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 {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전조등의 점등 중 주변 환경에 따라 설정된 빛의 색상으로 변환시켜 교통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차량에 설치가 용이한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control system for a headlamp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that can prevent traffic accidents in advance by converting the color of light se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the headlamp is turned on, and is easy to install in a vehicle It relates to a color control system for headlights.

일반적으로 차량 전조등(헤드 램프)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접속된 배선을 통해 전기를 인가받아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 부위에 차폭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고 그 하측에 안개등이 설치된다.In general, vehicle headlights (headlamp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along the width of the vehicle in the front part to secure the driver's view when driving at night by receiving electricity through a wiring connected to the vehicle's battery, and fog lamps are installed below it.

통상 헤드 램프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은 광원으로서 벌브(Bulb)를 사용하고 있으나, 벌브는 사용 수명이 짧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므로 근래에 들어 사용 수명이 길면서도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휘도의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In general, headlamps and rear combination lamps use bulbs as light sources, but bulbs have a short service life and low impact resistance, so in recent years, high-brightness LEDs with long service life and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re used as light sources. there is a trend to

이러한 차량용 전조등의 방열 메카니즘은 전조등으로서의 광원 역할을 하는 LED 전조등과 전기적인 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손실로 빠져 나가는 열을 넓은 면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과, 방열판에 존재하고 있는 열 에너지를 강제 대류 현상으로 방출하여 방열판의 온도를 저하시켜 LED 전조등의 안정적인 에너지 변환과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열팬을 구비한다. 참고로 LED 전조등에는 LED 전조등에서 발산된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이 반사체에서 반사된 빔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렌즈를 포함한다.The heat dissipation mechanism of such a vehicle headlamp consists of an LED headlight that acts as a light source as a headlight, a heat sink for dissipating heat lost through los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and a heat sink for heat energy A heat dissipation fan is provided to reduc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by discharging it through forced convection, thereby stably converting energy and extending the lifespan of the LED headlamp. For reference, the LED headlight includes a reflector that reflects the beam emitted from the LED headlight and a lens that irradiates the beam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forward.

한편, 이러한 전조등이나 안개등의 경우 원하는 빛의 색상을 도로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조절할 수 없었으며 이에 운전 중 전조등의 색상을 조절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안개가 심한 상황에서 보다 노란색상의 비중이 높일 필요가 있는 상황에 따라 색상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안전운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se headlights or fog lights, the driver could not adjust the color of the desired light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s, so it was necessary to adjust the color of the headlight while driving, or it wa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yellow color in foggy condition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safe driving could not be achiev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adjust the color depending on the situation.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예로 등록특허 제10-0699690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LED를 이용한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백색(W)을 포함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의 LED가 종, 횡으로 다수 배열되는 LED모듈 회로와; 상기 LED모듈회로의 LED들 중 원하는 용도의 LED의 색상선택 및 개수선택으로 조도와 색상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의 지시에 의해 최적의 조명 색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LED의 색상과 밝기를 연산하는 LED색상제어기와; 상기 LED색상제어기의 출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베터리 전력을 LED 모듈을 구동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공급하는 LED전력 변환기로 구성된다.Of course, as an example for solving this problem, Patent Registration No. 10-0699690 (Reference 1) has been proposed. This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for a vehicle using an LED, comprising: an LED module circuit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of at least two different colors including white (W) are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 key input unit or sensor input unit for inputting illuminance and color by color selection and number selection of LEDs for a desired use among the LEDs of the LED module circuit; an LED color controller that calculates the color and brightness of each LED in order to control the optimal lighting colo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key input unit or the sensor input unit; It consists of an LED power converter that converts and supplies battery power to drive the LED modul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by the output signal of the LED color controller.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의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과 조도를 키입력부 또는 센서입력부를 입력하면 그 지시에 의해 LED색상제어기에서 입력된 조명 색상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 LED의 색상과 밝기를 연산하지만 수동 조작방식으로 그 사용이 번거롭다. 아울러 상기 구조는 사용자가 LED색상제어기의 설정상태를 추후 변경하지 않으면 설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lighting device of Reference 1 calculates the color and brightness of each LED in order to control the lighting color input from the LED color controller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color and illuminance into the key input unit or the sensor input unit. The operation method is cumbersome to use. In addition, the abov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set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unless the user changes the setting state of the LED color controller later.

물론 이러한 참고문헌 1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964091호(참고문헌 2)를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차량 전조등 색상 자동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백색 및 황색LED가 구비되는 차량 전조등과, 차량 외부의 대기습기 상태를 감지하여 대기수분 감지값을 출력하는 대기습기 감지부와,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차량움직임 감지부와, 상기대기습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대기수분 감지값이 대기수분 기준값을 초과하고 상기 차량움직임 감지부에서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백색LED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가시거리 확보를 위해 상기 황색LED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Of cour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ference 1,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Patent Registration No. 10-1964091 (Reference 2). This relates to an automatic vehicle headlight color conversion system, and a vehicle headlight equipped with white and yellow LEDs emitting white and yellow light, an atmospheric mois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atmospheric moisture condition outside the vehicle and outputs an atmospheric moisture detection value; , When the vehicle mo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and the atmospheric moistur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atmospheric moisture detection unit exceed the atmospheric moisture reference value and the vehicle mo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vehicle movement, the white LED is turned on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the yellow LED in order to secure a visible distance in this state.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2의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환경에 관한 정보가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대기습기 감지부 이외에도 차량움직임 감지부를 더 구비해야 함에 따라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 설치가 까다롭고 시스템 구성 비용 역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system of Reference 2 has extremely limited information on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lude a vehicle motion detection unit in addition to the atmospheric moisture detection unit, so the system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difficult to install,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cost is also increased. .

이에 더해 참고문헌 2의 시스템은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등 차량 운행을 주의 해야 하는 지역 또는 주행 환경에 따른 차량 전조등의 색상 변환 제어가가 불가능해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f Reference 2 has limitations in preventing accident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color conversion of vehicle headlights according to the driving environment or areas where vehicle operation is required such as accident-prone sections or child protection areas.

아울러 상기 참고문헌 2의 시스템은 차량 주변의 환경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더라도 운전자가 대기의 습도 등을 확인할 수도 없고 감지된 차량 주변의 정보의 활용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In addition, in the system of Reference 2, even if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around the vehicle is collected, the driver cannot check the humidity of the air, etc., and the use of the detected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is also very limited.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0699690호Reference 1: Registered Patent No. 10-0699690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10-1964091호Reference 2: Registered Patent No. 10-1964091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시 상황에 따라 전조등의 색상을 자동으로 변환시키면서도 차량에 설치가 간단한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or control system for a headlamp for a vehicle that is easy to install in a vehicle while automatically changing the color of the headlamp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en the vehicle is being driven.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중인 지역의 특징 또는 날씨 등의 주변정보를 활용하여 운행을 주의 해야 하는 지역 또는 환경을 고려하여 전조등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주변 차량 및 보행자에게 사고 예방을 안내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accident prevention to surrounding vehicles and pedestrians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headlights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r environment in which driv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y utiliz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ing or the weather. It also aims to provide a color control system for headlights for vehicles.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차량의 좌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1 백색 및 황색LED가 구비되는 좌측 전조등과, 차량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2 백색 및 황색LED가 구비되는 우측 전조등과,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의 구동을 제어하는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와,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습기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습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백색 및 황색LED과 제2 백색 및 황색LED의 색상이 동시에 변환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를 동시에 제어하는 센싱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 left headlight equipped with a first white and yellow LED installed in the front left side of the vehicle to generate white light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nd a second white and yellow LED installed i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vehicle to generate white light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 right headlight provided with a left and right driver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headlight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to detect a moisture condition outside the vehicle and comparing it with a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and a sensing control module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so that the colors of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are simultaneously converted.

이때, 상기 센싱제어모듈은 차량 외부의 습기를 감지하여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습기감지부와, 상기 습기감지부에서 측정된 차량 외부의 습도측정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설정된 수분기준값과 비교하여 수분기준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백색 및 황색LED와 제2 백색 및 황색LED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주 제어케이블에서 분기되는 좌측 및 우측 제어케이블을 통해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에 동시에 투입하여 상기 좌측 전조등의 제1 백색 및 황색LED와 우측 전조등의 제2 백색 및 황색LED의 점등을 동일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nsing control module includes a moistu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moisture outside the vehicle and outputs a measurement signal,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outside the vehicle measured by the moisture detection unit is input in real time, the moisture reference value is compared with a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ighting of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according to whether it is exceeded;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inputs a control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ntrol cables branching from the main control cable to turn on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of the left headlamp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of the right headlam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control.

그리고, 상기 센싱제어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차량내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로 부터 차량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으로부터 차량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정보가 수신되면 설정된 주변 기준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가 내장되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또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nsing control module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urroun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in-vehicl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ft and right drivers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et surrounding reference value when the surroun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navigation system that displays the driving route of a smartphone or vehicle carried by a driver having a built-in GPS receiver.

아울러, 상기 좌측 드라이버에는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좌측 전원인가용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드라이버에는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우측 전원인가용 플러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ft driver is provided with a left power supply plug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nd the right driver has a right power supply plug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시 주변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습기감지부만을 구비하여 센싱제어모듈의 구성이 간단해 차량에 설치가 간단혀면서도 차량의 전면 양측의 좌측 및 우측 전조등의 색상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color of the left and right headlamps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while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by providing only a moisture sensing unit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 condition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making it easy to install in the vehicle.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센싱제어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차량내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로 부터 차량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정보를 수신하여 좌측 및 우측 전조등의 색상을 제어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차량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인접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교통 사고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color of the left and right headlamps by receiving amb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the vehicle connected wirelessly, thereby reducing the visibility distance of the vehicle driver. It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by making it easier for adjacent vehicles or pedestrians to recognize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연결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제어모듈을 차량 외부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를 차량 내부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or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nsing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a vehic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control system for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way of embodiment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은, 전조등 및 안개등과 같은 차량용 조명장치(이하, '전조등'이라 한다.)의 구동 중 차량(1) 외부의 습도, 수분, 빗방울 등의 대기습기 상태는 물론 사고주의구간이나 어린이보호구역 등 차량 운행을 주의 해야 하는 지역 또는 환경 등의 주변정보에 따라 차량용 조명등(10)의 색상을 설정된 색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이다. 1 to 4, the color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ead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lighting system such as a headlamp and a fog lam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eadlight') while driving the vehicle 1 outside humidity, It is a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he color of the vehicle lighting lamp 10 to a set color according to ambient information such as an area or environment where vehicle operation is required, such as an accident caution section or a child protection zone, as well as atmospheric humidity conditions such as moisture and raindrops.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1)의 좌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가 구비되는 좌측 전조등(10)과, 차량(1)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가 구비되는 우측 전조등(20)과,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와, 상기 차량(1)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습기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습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과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색상이 동시에 변환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동시에 제어하는 센싱제어모듈(50)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ft headlamp 10 is provided with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that are installed on the left front side of the vehicle 1 and generate white light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nd the vehicle 1 . The right headlight 20 is provided with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that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to generate white light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nd the left and right headlights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B).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controlling the driving of (10, 20) and installed outside the vehicle 1 to sense the moisture state outside the vehicle and compare the first white and and a sensing control module 50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that the colors of the yellow LEDs 11 and 12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are simultaneously converted.

이에 더해 상기 센싱제어모듈(50)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차량내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 부터 차량(1)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receives surrounding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 from the wirelessly connected in-vehicl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can be controlled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concretely.

우선 차량은 통상적인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 특수차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차량의 전면 양측에는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이 각각 구비된다.First, the vehicle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a conventional passenger car, a van, a freight car, a special vehicle, and the like, and left and right headlights 10 and 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of the vehicle, respectively.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에 관해서만 설명하지만 차량용 외부조명 장치인 전조등 외에도 안개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고, 이에 안개등 역시 센싱제어모듈(50)에서 감지된 습기 감지값을 이용해 색상을 변환하거나 정보제공장치(60)로 부터 수신하는 지역 및 환경정보에 따라서 안개등의 색상을 제어함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은 물론 별도로 설명하지 아니해도 안개등에도 동일하게 권리범위가 미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headlights 10 and 20, the same can be applied to fog lights in addition to the headlights, which are external lighting devices for vehicles. It is also possible to convert the color or control the color of the fog lamp according to the reg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cope of rights not only for the left and right headlights 10 and 20 but also for the fog lights, even if not separately described.

이러한 좌측 전조등(10)에는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를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장착한 모듈 형태로 제작하거나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가 구비된 각각의 램프 모듈을 장착할 수 있으며, 우측 전조등(20)에는 제2 백색 및 황색LED(11,12)를 하나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장착한 모듈 형태로 제작하거나 제2 백색 및 황색LED(11,12)가 구비된 각각의 램프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In the left headlamp 10,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modules mount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re provided, respectively. of the lamp module can be installed,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re manufactured in a module form in which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re mounted on one printed circuit board (PCB), or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 11, 12) each lamp module equipped with can be mounted.

한편, 상기 좌측 드라이버(30)는 센싱제어모듈(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좌측 전조등(10)의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의 점등을 제어하여 좌측 전조등(10)의 색상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를 동시에 제어함도 가능하나, 전조등의 점등시 제1 백색LED(11)는 점등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1 황색LED(12)만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함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좌측 드라이버(30)를 통해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의 점등 제어시 밝기 조절 역시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eft driver 30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of the left headlamp 1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to control the color of the left headlamp 10 . to control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t the same time, but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the first white LED 11 continuously maintains the lighting state and only the first yellow LED 12 is On or off control box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when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through the left driver 30, brightness adjustment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우측 드라이버(40)는 센싱제어모듈(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우측 전조등(20)의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점등을 제어하여 우측 전조등(20)의 색상을 제어한다. 이 경우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를 동시에 제어함도 가능하나, 전조등의 점등시 제2 백색LED(21)는 점등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 황색LED(22)만 점등 또는 소등 제어함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우측 드라이버(40)를 통해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점등 제어시 밝기 조절 역시 가능하며, 주기적으로 점멸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ight driver 40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of the right headlamp 2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to change the color of the right headlamp 20 . Control.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but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the second white LED 21 continuously maintains the lighting state and only the second yellow LED 22 On or off control box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when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through the right driver 40, brightness control is also possible,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iodically control blinking.

이와 같은 좌측 드라이버(30)에는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좌측 전원인가용 플러그(31)가 구비되고, 우측 드라이버(40)에는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우측 전원인가용 플러그(41)가 구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원부(B)인 차량용 밧데리의 전원은 좌측 및 우측 전원인가용 플러그(31,41)를 통해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에 각각 공급되어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구동시키게 된다. The left driver 30 is provided with a left power supply plug 31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B, and the right driver 40 has a right power source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ource B. An application plug 41 is provided. Therefore, for example, the power of the vehicle battery, which is the power supply unit (B), is supplied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through the left and right power application plugs 31 and 41, respectively,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respectively. will drive

한편, 상기 센싱제어모듈(50)은 차량 외부의 습기를 감지하여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습기감지부(51)와, 상기 습기감지부(51)에서 측정된 차량 외부의 습도측정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설정된 수분기준값과 비교하여 수분기준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와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detects the moisture outside the vehicle and outputs a measurement signal to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and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outside the vehicle is input in real time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21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according to whether the moistur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in comparison with the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22) includes a control unit 52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이때 상기 습기감지부(51)는 차량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는 물론 수분을 측정하는 수분센서, 빗방울을 감지하는 빗방울 감지센서 중에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하거나, 습도센서, 수분센서, 빗방울 감지센서 중에 2개 이상을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습기감지부(51)는 습도센서, 수분센서, 빗방울 감지센서 중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is composed of any one of a moisture sensor for measuring moisture and a raindrop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raindrops, as well as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utside the vehicle, or a humidity sensor, a moisture sensor, and a raindrop sensor. You can configure two or more of them together. That is,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of a humidity sensor, a moisture sensor, and a rain drop sensing sensor.

일 예로 상기 습기감지부(51)를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52)는 각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분 감지값이 차량 외부의 습도 기준값, 수분 기준값, 빗방울 기준값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을 초과하면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에 제어신호를 동시에 출력하여 제1 황색LED(12)와 제2 황색LED(22)를 동시에 점등하도록 제어하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the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moisture detection value sensed by each sensor to exceed any one or more of a humidity reference value outside the vehicle, a moisture reference value, and a raindrop reference value. By simultaneousl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the first yellow LED 12 and the second yellow LED 22 can be controlled to light up at the same time or the brightness can be adjusted.

이와 같은 제어부(52)는 전원부(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시스템이 초기화되고 이후 수분감지부(51)에서 감지되는 수분 감지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주 제어케이블(C)에서 분기되는 좌측 및 우측 제어케이블(C1,C2)을 통해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에 동시에 투입하여 좌측 전조등(10)의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와 우측 전조등(20)의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점등을 동일하게 제어한다.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B), the control unit 52 initializes the system and then send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moistur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moisture detection unit 5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ranched from the main control cable (C).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of the left headlamp 10 and the second white and The lighting of the yellow LEDs 21 and 22 is controlled in the same way.

이때 상기 전원부(B)는 시동이 감지되면 공급되는 차량의 밧데리전원이며, 시동키 조작 후 전조등 버튼(B1)의 작동에 의해 전원이 제어부(52)로 공급된다.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B is the vehicle's battery power supplied when starting is detected,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52 by 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button B1 after the ignition key is operated.

이러한 센싱제어모듈(50)은 방수구조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내부에 습기감지부(51)와 제어부(52)가 내장되어 차량(1)의 외부 특히 차량(1) 전면 유리(1a) 하단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하며, 주 제어케이블(C)은 차량 전방의 보닛(1b) 안쪽으로 설치하여 좌측 및 우측 제어케이블(C1,C2)을 통해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와 연결한다.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has a moisture sensing unit 51 and a control unit 52 built-in inside a housing made of a waterproof structure, so that the outside of the vehicle 1, especially, the adhesive, etc.,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glass 1a of the vehicle 1 The main control cable (C) is installed inside the bonnet (1b)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40) through the left and right control cables (C1, C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52)는 전조등 버튼(B1)의 조작 이후 전원부(B)의 전원 공급중에는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점등시키고, 수분감지부(51)에서 감지된 차량 외부의 수분 감지값이 설정된 수분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점등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52)는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시 가시거리 확보를 위해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점등시킴이 바람직하나, 제1 및 제2 백색LED(11,21)는 소등한 후 제1 및 제2 황색LED(12,22)만 점등시킬 수도 있으며, 제1 및 제2 백색LED(11,21)와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함께 제어하여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52 turns on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B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button B1, and is detected by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turned on when the moisture detected value outside the vehicle exceeds the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2 turns on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n to secure a visible distance when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 , 22) is preferably turned on, but after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ff, only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may be turned on, and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are turned off. The color or brightness may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LED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together.

한편,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1) 또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62) 등과 같이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가 내장된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는 무선 인터넷 등의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원격지의 정보제공서버(70)로부터 차량(1)의 위치정보에 따른 지역 및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센싱제어모듈(5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기반에 따른 지도, 날씨 등의 정보 제공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includes a device with a built-in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martphone 61 carried by the driver or a navigation 62 displaying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receives regional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from the remot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70 connected to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reless Internet, and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Since the technology for providing information such as maps and weather based on location is a well-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 경우 상기 주변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같은 현재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는 물론 지역정보와 환경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상기 지역정보는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등 차량 운행을 주의 해야 하는 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는 원격지의 정보제공서버(70)로부터 지역정보를 제공받아 센싱제어모듈(50)에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에 저장된 지역 정보를 센싱제어모듈(50)에 직접 제공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환경정보는 차량(1)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차량 주변의 외부습도, 온도, 속도, 먼지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과 같이 차량 주변환경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는 원격지의 정보제공서버(70)로부터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센싱제어모듈(50)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is a concept including loc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current driving state such as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loc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areas where vehicle operation should be careful, such as accident-prone sections or child protection areas, and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provides local information from the remot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70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receive and provide to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 lo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may be directly provided to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external humidity, temperature, speed, dust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etc. around the vehicl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and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i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real time from the remote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70 and provided to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

이러한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에서 제공되는 주변정보는 수분감지부(51)에서 측정되는 수분 감지값의 부정확성 및 주변 정보 수집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변 기준값은 특정 구간에서의 차량 주행 허용속도,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여부, 차량 주변의 외부습도 기준치, 온도 기준치, 먼지 및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치 등을 포함한다.The surround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can overcome the inaccuracy of the moisture detection value measured by the moisture detection unit 51 and the limitation of surroun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the surrounding reference value is the vehicle in a specific section. It includes the permitted driving speed, whether there is an accident-prone section or a child protection area, the external humidity standard value around the vehicle, the temperature standard value, and the dust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tandard values.

물론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에서 제공되는 주변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센싱제어모듈(50)은 무선통신부(53)이 구비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53)는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와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지그비 등 다양한 무선통신모듈을 사용함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 in order to receive the surround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 Bluetooth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but in addition, i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Zigbee can also be us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52)는 전조등 버튼(B1)의 조작 이후 전원부(B)의 전원 공급중에는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점등시키고, 수분감지부(51)에서 감지된 차량 외부의 수분 감지값이 설정된 수분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점등시거나 밝기를 조절함은 물론,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주변정보가 수신되면 설정된 주변 기준값에 따라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점등시거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52 turns on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B 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dlight button B1, and is detected by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When the moisture detection value outside the vehicle exceeds the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turned on or the brightness is adjusted, and when surround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A control signal capable of illumina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or adjusting the brightness according to the set peripheral reference value may be output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

이 경우 상기 설정된 주변 기준값은 특정 구간에서의 차량 주행 허용속도, 차량(1) 주변의 외부습도 기준치, 온도 기준치, 먼지 및 이산화탄소 농도 기준치,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범위 등이 포함된다.In this case, the set peripheral reference value includes an allowable vehicle driving speed in a specific section, an external humidity reference value around the vehicle 1, a temperature reference value, a dust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standard value, and a range of accident-prone sections or child protection zones.

따라서, 상기 제어부(52)는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특정 구간에서의 차량 주행 허용속도를 초과하거나, 차량(1)이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에 진입하는 경우는 물론 차량(1) 주변의 외부습도, 온도, 먼지 및 이산화탄소 농도 등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점등시킨 상태에서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점등시키거나, 제1 및 제2 백색LED(11,21)는 소등한 후 제1 및 제2 황색LED(12,22)만 점등시키거나, 제1 및 제2 백색LED(11,21)와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함께 제어하여 색상 또는 밝기를 조절하거나 점멸제어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백색LED(11,21)와 제1 및 제2 황색LED(12,22)의 점등 및 색상 제어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제어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차량(1) 운전자의 가시거리를 더욱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주변의 보행자가 차량(1)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고 예방을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52 determines that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exceeds the vehicle driving speed in a specific section, or the vehicle 1 is in an accident-prone section or child. When entering the protected area as well as when the external humidity, temperature, dust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round the vehicle 1 exceed the standard values,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are controlled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 11 and 21) are turned on,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turned on, or after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ff,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 12, 22) alone, or b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together to adjust color or brightness, or to control blinking . The lighting and color control of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ll correspond to a control method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rough this (1) The driver's visibility distance can be further secured, and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1), thereby inducing accident prevention.

이에 더해 상기 제어부(52)는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사고 다발구간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의 차량 주행 허용속도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백색LED(11,21)는 점등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황색LED(12,22)는 소등시키고, 이후 제1 및 제2 백색LED(11,21)는 소등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황색LED(12,22)는 점등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백색 및 황색 점등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교차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함으로서 차량 주변의 보행자가 차량(1)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고 예방을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exceeds the allowable vehicle driving speed in the accident-prone section or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control unit 52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white The LEDs 11 and 21 are turned on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ff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are turned off at the same time. The yellow LEDs 12 and 22 control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that the white and yellow light alternately turns on by repeating a series of turning on, so that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can see the vehicle (1). can be easily recognized, leading to accident prevention.

이러한 제1 및 제2 백색LED(11,21)와 제1 및 제2 황색LED(12,22)의 교차점등은 수분감지부(51)에서 감지된 차량 외부의 수분 감지값이 설정된 수분 기준값을 더욱 초과하는 상황(예를 들어, 폭우 또는 태품 발생시)에도 작동하도록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Thes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nd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lit together to further increase the moisture reference value set by the moisture detection value outside the vehicle detected by the moisture detection unit 51 .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as to operate even in excessive situations (eg, when heavy rain or impropriety occurs).

한편, 상기 좌측 전조등(10)에 구비되는 제1 백색LED(11)는 3개의 백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1 황색LED(12)는 3개의 황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상기 우측 전조등(20)에 구비되는 제2 백색LED(21)는 3개의 백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 황색LED(22)는 3개의 황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white LED 11 provided in the left headlamp 10 may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ree white LEDs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the first yellow LED 12 is three yellow LEDs are continuously arranged. The second white LED 21 provided in the right headlight 20 may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ree white LEDs are continuously arranged and the second yellow LED 22 is three yellow LEDs are continuously arranged. hav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52)는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감지-정지 수준인 시속 0 ~ 10km인 경우에는 1단계로서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하나만 점등하여 약한 백색 점등이 이루어거나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하나만 하여 약한 황색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11 ~ 80km인 경우에는 2단계로서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두개만 점등하여 중간정도의 백색 점등이 이루어거나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두개만 하여 중간정도의 황색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81 ~ 120km인 경우에는 3단계로서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를 점등하여 강한 백색 점등이 이루어거나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를 점등하여 강한 황색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함으로서 차량 주변의 보행자가 차량(1)을 쉽게 인지할 수 있어 사고 예방을 유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is 0 to 10 km/h, which is the detection-stop level, the control unit 52 performs the first and second steps as a first step. So that only one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white LEDs 11 and 21 is lit to achieve weak white lighting, or only one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is lit to produce a weak yellow light.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is 11 to 80 km/h, as the second stage, only two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n to achieve intermediate white lighting. or only two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respectively, so that a medium yellow light is made, and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is 81 to 120 km/h In the third step,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respectively, are turned on to achieve strong white lighting or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respectively. By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that strong yellow lighting is made by turning on the light, pedestrians around the vehicle can easily recognize the vehicle 1, thereby inducing accident prevention.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52)는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121k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단계로서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를 점등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황색LED(12,22)는 3개의 LED 모두를 소등시키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0.5 ~ 1초) 경과후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 소등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 점등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백색 및 황색 점등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교차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함으로서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이 백색과 황색이 강하게 교차 점등되게 하여 비상상황 또는 매우 위험한 상황임을 주변 차량에 경고하여 차량 추돌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exceeds 121 km/h, the control unit 52 turns on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respectively, as a last step.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turn off all three LEDs, and after a set time (for example, 0.5 to 1 second) has elapsed,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formed,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all three LEDs are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are turned on by repeating the series of steps to turn on the left and right side lights so that the white and yellow lights are alternately turned on. By controlling the right drivers 30 and 40, the left and right headlamps 10 and 20 are strongly cross-lit with white and yellow, thereby warning surrounding vehicles that an emergency or a very dangerous situation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a vehicle collision acciden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량 10: 좌측 전조등
11: 제1 백색LED 12: 제1 황색LED
20: 우측 전조등 21: 제2 백색LED
22: 제2 황색LED 30: 좌측 드라이버
40: 우측 드라이버 50: 센싱제어모듈
51: 습기감지부 52: 제어부
53: 무선통신부 60: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
61: 스마트폰 62: 네비게이션
B: 전원부
1: Vehicle 10: Left headlight
11: first white LED 12: first yellow LED
20: right headlight 21: second white LED
22: second yellow LED 30: left driver
40: right driver 50: sensing control module
51: moisture sensing unit 52: control unit
53: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0: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1: smartphone 62: navigation
B: power supply

Claims (4)

차량(1)의 좌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가 구비되는 좌측 전조등(10)과, 차량(1)의 우측 전방에 설치되어 점등시 백색광 및 황색광을 발생하는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가 구비되는 우측 전조등(20)과,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10,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와, 상기 차량(1)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습기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습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과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색상이 동시에 변환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동시에 제어하는 센싱제어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제어모듈(50)은 차량 외부의 습기를 감지하여 측정신호를 출력하는 습기감지부(51)와, 상기 습기감지부(51)에서 측정된 차량 외부의 습도측정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면 설정된 수분기준값과 비교하여 수분기준값의 초과 여부에 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와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52)와, 차량내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 부터 차량(1)의 위치에 기반한 주변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53)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차량의 위치에 기반한 지역정보가 수신되어 차량(1)이 사고 다발구간 또는 어린이 보호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백색 및 황색LED(11,12)와 제2 백색 및 황색LED(21,22)의 백색 및 황색 점등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드라이버(30,40)를 제어하며;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가 내장되는 운전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61) 또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표시하는 네비게이션(62)이며;
상기 제1 백색LED(11)는 3개의 백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1 황색LED(12)는 3개의 황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백색LED(21)는 3개의 백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2 황색LED(22)는 3개의 황색LED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위치기반 정보제공장치(6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0 ~ 10km이면 1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 LED중에 하나만 점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하나만 점등시키며,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11 ~ 80km이면 2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이루는 3개의 LED중에 두개만 점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중에 두개만 점등시키며, 차량(1)의 주행속도값이 시속 81 ~ 120km이면 3단계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백색LED(11,21)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황색LED(12,22)를 각각 이루는 3개의 LED 모두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
The left headlamp 10 is provided with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that are installed in the front left side of the vehicle 1 to generate white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nd are installed in the right front side of the vehicle 1 The right headlamp 20 provided with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emitting white and yellow light when turned on, and the left and right headlamps 10 and 2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B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for controlling driving and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 to detect the moisture state outside the vehicle and compare it with a set moisture reference value. ) and a sensing control module 50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that the colors of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are simultaneously converted;
The sensing control module 50 includes a moisture sensing unit 51 that detects moisture outside the vehicle and outputs a measurement signal, and when the humidity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oisture sensing unit 51 outside the vehicle is input in real time, set moisture The first white and yellow LEDs 11 and 12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according to whether the moisture reference value is exceeded in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a control unit 52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vehic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 for wirelessly receiving amb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1 from the in-vehicl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The control unit 52 receives local information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and determines that the vehicle 1 has entered the accident-prone section or the child protection area, the first white and yellow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drivers 30 and 40 so that the white and yellow lighting of the LEDs 11 and 12 and the second white and yellow LEDs 21 and 22 are alternately mad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is a smart phone 61 carried by a driver having a built-in GPS recei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r a navigation device 62 displaying a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The first white LED 11 has three white LEDs continuously arranged, the first yellow LED 12 has three yellow LEDs continuously arranged, and the second white LED 21 has three white LEDs. three yellow LEDs are arranged consecutively and the second yellow LED 22 is arranged in series;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received from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60 is 0 to 10 km/h, the control unit 52 displays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respectively, as a first step. Only one of the three LEDs is lit, or only one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respectively, is turned on. As a result, only two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n, or only two of the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12 and 22, respectively, are turned on. , when the driving speed value of the vehicle 1 is 81 to 120 km/h, as a third step,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white LEDs 11 and 21 are turned on, or the first and second yellow LEDs are turned on. A color control system for vehicle headlamps, characterized in that all three LEDs constituting the LEDs 12 and 22 are turned 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드라이버(30)에는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좌측 전원인가용 플러그(31)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드라이버(40)에는 전원부(B)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우측 전원인가용 플러그(4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의 색상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ft driver 30 is provided with a left power supply plug 31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B, and the right driver 40 has a right power supply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B. A color control system for a headlamp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pplication plug (41).
삭제delete
KR1020190070470A 2019-06-14 2019-06-14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KR102273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70A KR102273977B1 (en) 2019-06-14 2019-06-14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470A KR102273977B1 (en) 2019-06-14 2019-06-14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23A KR20200142923A (en) 2020-12-23
KR102273977B1 true KR102273977B1 (en) 2021-07-08

Family

ID=7408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470A KR102273977B1 (en) 2019-06-14 2019-06-14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97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91B1 (en) * 2019-02-25 2019-04-01 (주)엔씨네트 Automatic Converting System for Car headlight Col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690B1 (en) 2005-11-10 2007-03-26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Lighting Device of an Automobile Using LED
KR20150012775A (en) * 2013-07-26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d lamp of vehicl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70080062A (en) * 2015-12-31 2017-07-10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la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091B1 (en) * 2019-02-25 2019-04-01 (주)엔씨네트 Automatic Converting System for Car headlight Col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23A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589B1 (en)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79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vehicular illumination
KR101703147B1 (en) Brightness adjustable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ehicle taillights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70096095A1 (en) A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US10773644B2 (en)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JP3205778U (en) Headlamp color temperature control module
JP2004027528A (en) Road information display system
CN107357002A (en) A kind of light guide combination and the car light with light guide combination
KR101152985B1 (en) Vehicle safety plate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t trunk lid
KR101964091B1 (en) Automatic Converting System for Car headlight Color
KR102213684B1 (en) Turn signal lamp and the method of variable sequential lighting
KR102273977B1 (en)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KR20140111733A (en) Smart headlight of matrix type for automobile
US20230219494A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CN218413631U (en) Early warning system of mountain area turn road department
TWI691234B (en) Vehicle la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10844B1 (en) Vehicle Emergency Light On-off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M453611U (en) Photo-sensing control device
CN217048445U (en) Wheel eyebrow lamp system
KR101858700B1 (en) Driving cirtuit for rear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and Vehicle
KR20150140164A (en) Lighting Apparatus for Road and Lighting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70371B1 (en) Active monitoring and control type safety lighting device
KR102292213B1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driving miniature cars using wireless fidelity
KR20090115329A (en) Notice For Automobile Stop Of Assistance Signal Lamp System
JP7411922B2 (en)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