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593A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1593A KR20170101593A KR1020160024347A KR20160024347A KR20170101593A KR 20170101593 A KR20170101593 A KR 20170101593A KR 1020160024347 A KR1020160024347 A KR 1020160024347A KR 20160024347 A KR20160024347 A KR 20160024347A KR 20170101593 A KR20170101593 A KR 20170101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vehicle
- light source
- unit
- visible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21S48/1131—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mitted light
- F21S41/125—Coloured 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 F21S48/115—
-
- H05B33/0815—
-
- H05B33/0842—
-
- H05B33/0884—
-
- H05B37/0227—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4—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electrical parameters of the light sourc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 F21W2101/1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광 변환부는, 광원부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두께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same.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case;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outputting visible light of a first color; And a light converting portion for converting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wherein the light converting portion is formed of a phosphor which is applied onto the light source portion and converts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And outputs visible ligh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o third hues is mixed, and outputs visible light that decreases in luminance and shape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ncreases. Thus, the thickness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can be reduc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vehicle equipped with the headlamp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and a vehicle having the headlamp apparatus.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A vehicle is a device that moves a user in a desired direction by a boarding user. Typically, automobiles are examples.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차량용 헤드 램프에 대해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who use the vehicle,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are provided. In particular, various devices for user's driving convenience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for a vehicle headlamp.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headlamp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thickness and a vehicle provided with the headlamp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광 변환부는, 광원부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headlamp apparatus including a case,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in the case, the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outputting visible light of a first color, And a light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wherein the light conversion section is applied on the light source section and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And outputs visible ligh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hues is output, and a visible light whose brightness and size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s increased.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광 변환부는, 광원부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a case;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in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outputting visible light of a first color; And a light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one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wherein the light conversion section is applied on the light source sec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And outputs visible ligh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hues is output, and a visible light whose luminance and size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s out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은,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광 변환부는, 광원부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두께가 저감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장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A vehicle headlamp apparatus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ase,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in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outputting visible light of a first color, And a light conversion section for conv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one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wherein the light conversion section is applied on the light source section,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And outputs visible ligh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hues is output, and a visible light whose luminance and size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s output. Thus, the thickness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is reduced. Thus, the mounting convenience of the vehicle headlamp apparatus can be improved.
한편,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riving convenience of the driver by outputting visible light mix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hues, and outputting visible light whose brightness and size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s increased .
한편, 광원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어, 일부 광원을 오프하거나 광원의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차량 주행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상 또는 세기의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control of the light source is performed so that visible light of various shapes or intensities can be out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by turning off some light sources or varying intensity of the light sour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야간에 차량 주행시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에서 가시광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도 3의 광 출력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구조의 일예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광원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3 또는 도 12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including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output of visible light from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when driving at night.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light output section of Fig.
5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the in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of Fig. 6;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visible light output from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in Fig.
9A to 11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tructure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of FIG.
Figs. 14 to 16 are drawings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of Fig. 3 or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The vehicle described herein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car, a motorcycle. Hereinafter,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mainly with respect to the vehic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both a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vehicle including a head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2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03FR,103FL,103RL,..), 차량(2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150), 및 차량(200)에 장착되는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특히,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케이스(도 6의 101)와, 케이스(도 6의 101)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도 6의 Dpa,Dpb,...)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도 6의 52)와, 케이스(101)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도 6의 54)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특히, 광 변환부(도 6의 54)는, 광원부(52)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54a)를 구비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출력되는 가시광의 휘도가 낮아지며, 출력되는 가시광의 형상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L,100R)의 두께가 저감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L,100R)의 장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light converting portion (54 in Fig. 6) is provided on the
한편,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한편,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광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어, 일부 광원을 오프하거나 광원의 세기를 가변함으로써, 차량 주행 상황에 맞는, 다양한 형상 또는 세기의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특히,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차량의 조향 방향 가변 신호에 기초하여,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한편,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시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도가 작아질수록, 즉 차량 주변이 어두워질수록, 가시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또는,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통신부(도 3의 1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도 2는 야간에 차량 주행시 헤드램프에서 가시광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utput of visible light from the headlamp when the vehicle travels at night.
도면을 참조하면, 야간의 차량 주행시, 전방(521)에 대해, 차량(200) 내의 복수의 헤드 램프 장치(100L,100R)는, 가시광(VL)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plurality of
가시광(VL)은, 광 출력부(도 3의 50)를 통해 출력 가능하다. The visible light VL is output through the light output portion (50 in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3 illustrate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도 3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가시광을 차량 전방에 출력하는 광 출력부(50), 광 수신부(7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조도센서(16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3, the
광 출력부(50)는, 가시광을 차량 전방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광 출력부(50)는,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52)와,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 변환부(54)를 구비할 수 잇다.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차량 전방에 확산시켜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광 수신부(70)는, 차량 전방의 광, 특히, 다른 차량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할 수 있다가. The
이를 위해, 광 수신부(70)는, 수신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광 검출부(미도시)에서 변환된 전기 신호는 프로세서(170)로 입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The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에서, 이미지를 기반으로 파악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The
한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s boarding the vehicle, the user's
한편, 통신부(12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 등으로부터, 가시광의 출력을 위한, 광 출력부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각 종 신호는,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ECU(770),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 센서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30)는, AVN 장치(400)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ECU(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tilt information, vehicle forward / backward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and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sensor information,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the vehicle angle information,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vehicle tilt information, and the like relating to the vehicle running can be referred to as vehicle running information.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조도센서(160)는, 차량 외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전방의 외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된 외부의 조도는, 프로세서(170)로 전달된다. The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An audio input unit (not shown) can receive a user's voice. For this purpose, a microphone may be provided. The received voice may be converted 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프로세서(170)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기초하여, 광출력부(50) 내의 광원부(52) 내의 복수의 광원(Dpa,Dpb,...) 중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일부 광원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조향 방향에 대응하는 전방 영역에, 보다 더 집중된 가시광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The
한편, 광원부(52)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도 12의 39)가 더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부(52)의 온도 상승에 의해, 회로 소자 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부(52)에서 온도 특성에 무관하게 균일한 광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한편, 프로세서(170)는, 광 수신부(70)로부터 수신되는 수신광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light received from the
즉, 프로세서(170)는, 광 출력부(50)를 통해 가시광이 출력되는 경우,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마주 오는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야간에 마주오는 차량의 헤드 램프 장치로부터의 가시광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the visible light from the headlamp device of the vehicle facing at nigh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Dpa, Dpb, ..., or to vary the intensity of the ligh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driver of the opposed vehicle.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160)로부터의 감지된 조도에 따라, 광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조도가 낮을수록, 가시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광 출력부(50)를 제어할 수도 있다.The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조향 방향 가변 신호에 기초하여,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의 조도에 따라, 가시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도가 작아질수록, 즉 차량 주변이 어두워질수록, 가시광의 세기가 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또는,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ECU(770) 또는 센서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사용자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HUD 인 경우, 차량(200)의 전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The
도 4는 도 3의 광 출력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light output section of Fig.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광 출력부(50)는,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52)와, 제1 색상의 가시광(VL1)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VL2,VL3)으로 변환하며, 제1 내지 제3 색상의 가시광(VL1~VL3)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VL)을 출력하는 광 변환부(54)를 구비할 수 있다.4,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제1 내지 제3 색상의 가시광(VL1~VL3)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VL)을, 차량 전방에 확산시켜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특히, 광 변환부(54)는, 제1 내지 제3 색상의 가시광(VL1~VL3)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VL)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의 두께가 저감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의 장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예를 들어, 광원부(52)가 청색광을 출력하는 경우, 광 변환부(54)는, 청색광을 적색광, 및 녹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도 6a의 54a)를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청색광, 적색광, 및 녹색광이 혼합된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광 변환부(54)는, 적색광 및 녹색광이 혼합된 노란색광을 더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청색광을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광원(Dpa,Dpb,...)을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복수의 광원(Dpa,Dpb,...)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소자(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청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Dpa, Dpb, ... may include light emitting diodes (LED). In particular, a blue light emitting diode device can be provi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블록도의 일예이다.5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the insi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200)은 차량 제어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70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장치(700)는, AVN 장치(4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전자 제어 장치(700)는, 광 출력부(50), 광 수신부(70), 조도 센서(160), 입력부(710), 통신부(720), 메모리(740), 램프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동력원 구동부(754), 썬루프 구동부(755), 서스펜션 구동부(756), 공조 구동부(757), 윈도우 구동부(758), 에어백 구동부(759), 센서부(760), ECU(770), 디스플레이(780), 오디오 출력부(785), 전원 공급부(79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여기서, 광 출력부(50), 광 수신부(70), 조도 센서(160)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4에서 기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생략한다.Here, the
한편, ECU(770)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입력부(710)는, 차량(200)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통신부(7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7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The communication unit 720 can exchange data with the
통신부(7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720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road,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information from the
한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전자 제어 장치(7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aboard the vehicle, the user's
한편, 통신부(72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 등으로부터, 가시광의 출력을 위한, 광 출력부 동작 신호를 수신하거나,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각 종 신호는, ECU(770)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720 receives the light output unit operation signal for outputting visible light from the user's
메모리(740)는, ECU(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자 제어 장치(7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램프 구동부(751)는, 차량 내,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2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2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2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2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동력원 구동부(754)는, 차량(2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ower
예를 들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4)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ossil fuel-based engine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4)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electric motor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썬루프 구동부(755)는, 차량(2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The
서스펜션 구동부(756)는, 차량(2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2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공조 구동부(757)는, 차량(200) 내의 공조 장치(air co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윈도우 구동부(758)는, 차량(200) 내의 서스펜션 장치(window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에어백 구동부(759)는, 차량(200) 내의 서스펜션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센서부(760)는, 차량(1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760)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이에 의해, 센서부(760)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Thereby, the
한편, 센서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CU(770)는, 전자 제어 장치(7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입력부(710)에 의한 입력에 의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센서부(760)에서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AVN 장치(400)로부터 맵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각 종 구동부(751,752, 753,754,75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by input by the
또한, ECU(770)는, 통신부(72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한편, ECU(77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기술한,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디스플레이(780)는, 연산되는 차량 전방에 대한 오브젝트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그 외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이러한 거리 정보 등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7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780)가 HUD 인 경우, 차량(200)의 전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780)는,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For display of such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오디오 출력부(785)는, ECU(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785)는, 입력부(710), 즉 버튼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전원 공급부(790)는, ECU(7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7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구조의 일예이고, 도 7은 도 6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구조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n example of a structure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referencing an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of FIG. 6, FIGS. 9A to 11 are views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structure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케이스(101)와, 케이스(101)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Dpa,Dpb,...)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52)와, 케이스(101) 내에 배치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54)를 포함할 수 있다.6, a
광 변환부(54)는, 광원부(52) 상에 도포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54a)를 구비할 수 있다. The
한편, 도 7과 같이, 광원부(52)는 청색광을 출력하며, 광 변환부(54)는, 청색광을 입력받아, 적색광 및 녹색광으로 변환하고,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이 혼합된 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적색광 및 녹색광이 혼합된 노란색광을 더 출력할 수 있다.7,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마주 오는 차량 등을 고려하여, 도 8과 같이, 비대칭 형상의 가시광(900)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차량 전방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nfirm the situation ahead of the vehicle, the photo-
한편, 복수의 광원(Dpa,Dpb,...)은, 도 6과 같이, 제1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Dpa,Dpb,...)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6,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Dpa, Dpb, ... are arranged in a line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Dpa, Dpb, And a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한편, 도 6과 같이, 케이스(101)와 광 변환부(54)는, 제1 방향(수평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한편, 도 8과 같이, 광 변환부(54)는,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1 측(좌측)의 제1 영역(Ar3a)에, 제1 내지 제3 색상이 혼합된 제1 형상의 가시광(백색광)을 출력하며,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2 측(우측)의 제2 영역(Ar3b)에, 제1 내지 제3 색상이 혼합된 제2 형상의 가시광(백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photo-
여기서, 제1 형상은, 사각형의 형상이며, 제2 형상은, 사다리꼴의 형상 또는 오각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비대칭 형상을 위해, 제2 형상의 크기가, 제1 형상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shape may b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shape may be a trapezoid shape or a pentagonal shape. On the other hand, for the asymmetric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second shape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shape.
한편, 도 8과 같이, 광 변환부(54)는,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1 측(좌측)의 제1 영역(Ar3a) 보다 더 먼, 제1 측(좌측)의 제3 영역(Ar2)에, 제2 색상의 가시광(적색광) 및 제3 색상의 가시광(녹색광)이 혼합된 제3 형상의 가시광(노란색광)을 출력하며,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2 측(우측)의 제2 영역(Ar3b) 보다 더 먼, 제2 측(우측)의 제4 영역(Ar4)에, 제2 색상의 가시광(적색광) 및 제3 색상의 가시광(녹색광)이 혼합된 제4 형상의 가시광(노란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photo-
한편, 도 8과 같이, 광 변환부(54)는,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1 측(좌측)의 제3 영역(Ar2) 보다 더 먼, 제1 측(좌측)의 제5 영역(Ar1)에, 제5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며, 센터 영역(CEN)을 기준으로, 제2 측(우측)의 제4 영역(Ar4) 보다 더 먼, 제2 측(우측)의 제6 영역(Ar5)에, 제6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photo-
도 8을 참조하면, 광 변환부(54)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은,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 램프 장치(100)에 적합한 가시광이 출력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8, as the visible light output from the
한편, 도 6에서는, 도포되는 형광체(54a)의, 광원에서 가시광 출력 방향으로의, 두께는 일정한 것을 예시하나,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위해, 센터 영역(CEN)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도포되는 형광체(54a)의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6, the thickness of the
한편, 이와 달리, 센터 영역(CEN)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도포되는 형광체(54a)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도 9a는, 센터 영역(CEN) 부근의 백색광을 출력하는 영역에, W2 두께의 형광체(54b)가 도포되고, 노란색광을 출력하는 영역에, W2 보다 작은 W1 두께의 형광체(54a)가 도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센터 영역(CEN)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9A shows a state in which a
한편, 도 9b 내지 도 9c는 센터 영역(CEN)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도포되는 형광체(54d, 54e, 54c, 54a)가 각각 W3,W4,W2,W1과 같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예시한다.9B to 9C illustrate that the
특히, 도 9b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b)는, 광의 출력 방향으로 형광체의 두께가 돌출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9c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c)는, 역으로, 광 출력의 반대 방향으로 형광체가 돌출되는 것을 예시한다.Particularly, the
한편, 도 10a와 같이, 복수의 광원(Dpa,Dpb,...) 중 일부는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A,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Dpa, Dpb, ...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part and the other part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part.
이에 따라, 광 변환부(54)는, 도 10a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광원에 대응하는 제1 광 변환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광원에 대응하는 제2 광 변환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형광체(54a)가, 제1 형광체(54a1)와, 제2 형광체(54a2)로 분리되는 것을 예시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A, the
한편, 광 변환부(54)는, 도 10a와 같이, 블록 별로 구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0b는, 형광체(54a)가, 블록별(54aa1,54aa2,54ba1,54ba2,...)로 분리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10B illustrates that the
도 11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d)는, 도 6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의 구조와 유사하나, 복수의 광원(Dpa,Dpb,...) 주변에, 방열을 위한, 방열 부재(HDpa,HDpb,...)가 더 배치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The
특히, 방열 부재(HDpa,HDpb,...)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진 케이스(101)에 접속될 수 있다. 금속 부재로 이루어진 방열 부재(HDpa,HDpb,...)는, 복수의 광원(Dpa,Dpb,...)에서 발생하는 열을, 케이스(101)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광원(Dpa,Dpb,...)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heat dissipating members HDpa, HDpb, ... can be connected to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12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광원부(52), 광원부(52)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256), 광원 구동부(256)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70), 외부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70), 광원부(52)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39),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광원(Dpa,Dpb,...) 중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일부 광원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The
프로세서(170)는, 온도 감지부(39)에서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The
한편, 프로세서(170)는, 수신광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ligh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the
광원 구동부(256)는, 복수의 광원(Dpa,Dpb,...)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Sa,...,Sn)와, 스위칭 소자(Sa,...,Sn)를 구동하는 스위치 구동부(1130)와, 광원부(52)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광원 구동부(256)에 대해서는 도 13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3은 도 12의 광원 구동부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광원부(52), 광원부(5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90), 및 광원부(52)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256)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여기서, 광원부(52)는, 복수의 광원(Lda,..,Ldn)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복수의 광원(Lda,..,Ldn)은, 각각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Lda, .., Ldn may each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한편, 가시광의 휘도가 증가될수록, 복수의 LED의 개수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 소자(Lda,..,Ldn)의 구동 전압(Vfa,..,Vfn)이 커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luminance of the visible light increas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LEDs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driving voltages Vfa, .., Vf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Lda, .., Ldn can be increased.
또는, 각 발광 다이오드 소자(Lda,..,Ldn)의 구동 전류(Ifa,..,Ifn)가 커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iving currents Ifa, .., Ifn of the light-emitting diode elements Lda, .., Ldn can be increased.
그리고, 상승되는 LED 구동 전압(Vfa,..,Vfn)또는 전류(Ifa,..,Ifn)에 따라, 광원부(52)에서 소비되는 소비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 전력 편차가 저감되도록, 광원부(52)를 구동하는 것이 중요하다.Depending on the LED drive voltages Vfa, .., Vfn or the currents Ifa, .. Ifn, power consumption consumed in the
전원 공급부(190)는, 직류 전원을 레벨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1110)와, 고조파 등의 제거를 위한 인덕터(L), 그리고, 직류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커패시터(C)를 구비할 수 있다.The
커패시터(C) 양단의 전압은, node A와 접지단 사이에 공급되는 전압에 대응하며, 이는, 복수의 광원(Lda,..,Ldn)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즉, node A의 전압은, 도면과 같이, VLED 전압이라 명할 수 있다.The voltage across the capacitor C corresponds to the voltage supplied between the node A and the ground terminal, which may correspond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Lda, .., Ldn. That is, the voltage of the node A can be referred to as a VLED voltage as shown in the figure.
또는, VLED 전압은, 저항 소자(R1,R2)에 의해, 전압 분배되어, 분배된 전압(Vadc)이, 구동 제어부(1120)에 인가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120)는, 인가되는 전압(Vadc)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LED voltage may be divided by the resistance elements R1 and R2, and the divided voltage Vadc may be applied to the
한편, VLED 전압은, 실제, 광원부를 동작시키는 Vf 전압과 일부 차이가 있으나, 이하에서는, 대략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VLED voltage actually differs from the Vf voltage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part, but is assu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in the following.
한편,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는, VLED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부(DVL)을 구비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DVL)는, 저항 소자, 및 증폭기 등을 구비하거나, VT(voltage transformer)를 구비할 수 있다. 검출되는 VLED 전압은, 구동 제어부(1120)에 입력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120)는, 인가되는 전압(VLED)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전압 검출부(DVL)는, VLED 전압을 검출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VLED 전압을 대략 Vf 전압과 유사하다고 가정하였으므로, 결국, 전압 검출부(DVL)는, 광원부(Lda,..,Ldn)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The voltage detector DVL detects the VLED voltage but assumes that the VLED voltage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Vf voltage as described above. Consequently, the voltage detector DVL detects the voltage of the light source unit Lda, .., Ldn, Can be detected.
한편, 광원 구동부(256)는, 복수의 광원(Lda,..,Ldn)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들(Sa,..,Sn), 복수의 광원(Lda,..,Ldn)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20), 구동 제어부(1120)로부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Scs)를 입력받아, 스위칭 소자들(Sa,..,Sn)을 제어하는 스위치 구동부(11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광원 구동부(256)는, 스위칭 소자들(Sa,..,Sn)과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복수의 저항 소자들(Ra,..,Rn) 및, 각 저항 소자들(Ra,..,Rn)에 흐르는 전류(Ifa,..,Ifn)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부들(Dfa,..,Dfn)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전류 검출부들(Dfa,..,Dfn)은, 증폭기를 구비하거나, 또는, CT(current transformer)를 구비할 수 있다.The current detectors Dfa, .., Dfn may be provided with an amplifier or may be provided with a current transformer (CT).
전류 검출부들(Dfa,..,Dfn)에서 검출되는 전류(Ifa,..,Ifn)는, 스위치 구동부(1130)로 입력될 수 있으며, 스위치 구동부(1130)는, 검출되는 전류(Ifa,..,Ifn)에 기반한, 전류 데이터(Data if)를 구동 제어부(11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urrents Ifa, .., Ifn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s Dfa, .., Dfn may be input to the
구동 제어부(1120)는, 제1 구간 동안,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Ifa,..,Ifn)의 평균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제1 구간 이후의 제2 구간 동안,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의 평균 레벨이,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구동 제어부(1120)는, 광원부에 인가되는 전압(VLED) 및 광원부(Lda,..,Ldn)에 흐르는 전류(Ifa,..,Ifn)에 기초하여, 소비전력을 연산한다. 그리고, 연산된 소비 전력과 목표 소비전력에 기초하여, 제2 구간 동안, 광원부(Lda,..,Ldn)에 흐르는 전류(Ifa,..,Ifn)의 평균 레벨이, 제2 레벨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원부의 소비 전력 편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구동 제어부(1120)는,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 데이터, 스위치 구동부(1130)로부터 검출된 전류 데이터, 목표 전류 지령에 기초하여, 광원(Dpa,Dpb,...)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광원(Dpa,Dpb,...)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4는, 도 3 또는 도 12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14 is a diagram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in Fig. 3 or Fig.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도면에서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Lp1,Lp2,Lp3) 중 일부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는 오프되고, 다른 일부 발광 다이오드 소자(Lp1,Lp2,Lp3)만이 온 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some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Lpa and Lpb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Lpa, Lpb, ... Lp1, Lp2 and Lp3 are turned off, and only some other light emitting diode elements Lp1, Lp2 and Lp3 are turned on .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도면과 같이,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Lp1,Lp2,Lp3) 중 일부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다른 예로, 프로세서(170)는, 광 수신부(70)에서 수신된 수신광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Lp1,Lp2,Lp3) 중 일부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light received by the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Lp1,Lp2,Lp3) 중 일부 발광 다이오드 소자(Lpa,Lpb)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일부 광원의 광의 세기를 가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도 15 내지 도 16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s. 15 to 16 are diagrams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먼저, 도 15은 야간에 차량(200) 주행 중 헤드 램프 장치들(100L,100R)에서 제1 및 제2 가시광(1210,1214)이 출력되다가, 제1 가시광의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예시한다.15 illustrates that the first and second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 내의 광 출력부(50)는, 야간에 가시광을 출력하며, 광 수신부(70)는, 가시광에 대응하는 수신광을 수신한다.The
도면과 같이, 차량(200)이 주행하는 차선(La2) 외에, 반대편 차선(La1)에서, 상대방 차량(1800)이 달려오는 경우,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0) 내의 프로세서(170)는, 수신되는 수신광에 기초하여, 반대편 차선(La1) 방향에, 상대방 차량(1800)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반대편 차선(La1) 방향의 상대방 차량(1800) 운전자가, 차량(2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에 의한 눈부심을 느끼지 않도록, 가시광의 출력 방향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좌측 헤드 램프 장치(100L)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하여, 출력되는 가시광의 방향이, 상대방 차량과 겹치지 않도록, 즉 우측 방향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차량(1800)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다음, 도 16은, 도 15은 야간에 차량(200) 주행 중 헤드 램프 장치들(100L,100R)에서 제1 및 제2 가시광(1210,1214)이 출력되다가, 제1 가시광의 세기가 변경되는 것을 예시한다.Next, FIG. 1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도 15과 유사하나, 가시광의 세기 또는 가시광의 도달 거리를 가변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15,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intensity of visible light or the distance of reach of visible light is varied.
프로세서(170)는, 반대편 차선(La1) 방향의 상대방 차량(1800) 운전자가, 차량(2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에 의한 눈부심을 느끼지 않도록, 가시광의 출력 세기 또는 출력 거리 등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좌측 헤드 램프 장치(100L)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광원(Dpa,Dpb,...)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하여, 가시광의 세기 또는 가시광의 도달 거리가 출력되는 가시광의 방향이, 상대방 차량과 겹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방 차량(1800)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Specifically, the
한편, 도면과 달리,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조향 방향 가변 신호에 기초하여, 광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wing, the
또는,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160)로부터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광 출력부(5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출력 방향, 출력 거리, 및 출력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및 차량의 동작방법은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 또는 차량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headlamp apparatus and the vehicl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readable by a processor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for a vehicle headlamp apparatus or a vehicl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광원을 구비하며, 제1 색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원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광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광원부 상에 도포되며, 상기 제1 색상의 가시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2 및 제3 색상의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색상 중 적어도 일부가 혼합된 가시광을 출력하되, 센터 영역에서 멀어질수록, 휘도, 및 형상의 크기가 작아지는 가시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case;
A light source unit disposed in the case, the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outputting visible light of a first color; And
And a light conversion unit disposed in the case and converting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Wherein the light-
And a phosphor which is applied on the light source and converts at least a part of the visible light of the first color into visible light of the second and third colors,
And outputs visible ligh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o third hues is mixed, wherein the visible light is output as the luminance and shape becom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area increases.
상기 복수의 광원은, 제1 방향으로 일렬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arranged in a line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light source comprises a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상기 케이스와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se and the light converting unit may include:
And the second head portion has an a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복수의 광원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제1 측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색상이 혼합된 제1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며,
상기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제2 측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내지 제3 색상이 혼합된 제2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light-
And outputs visible light of a first shape mixed with the first to third colors to a first region of the first sid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region,
And outputs visible light of a second shape mixed with the first to third colors to a second region of the second side with reference to the center region.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측의 제1 영역 보다 더 먼, 상기 제1 측의 제3 영역에, 상기 제2 색상 및 제3 색상이 혼합된 제3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며,
상기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측의 제2 영역 보다 더 먼, 상기 제2 측의 제4 영역에, 상기 제2 색상 및 제3 색상이 혼합된 제4 형상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ght-
And outputs a visible light of a third shape mixed with the second color and the third color in a third region of the first side farther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firs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region,
The visible light of the fourth shape mixed with the second color and the third color is output to the fourth region of the second side farther from the second region of the second side on the basis of the center region Of the vehicle headlamp.
상기 도포되는 형광체의, 상기 광원에서 상기 가시광 출력 방향으로의, 두께는 일정하되, 상기 센터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도포되는 형광체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applied phosphor in a direction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visible light output is constant and a concentration of the applied phosphor decreases from the center area to the side area.
상기 센터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도포되는 형광체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applied phosphor decreases from the center area to the side area.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는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 변환부는,
상기 상부에 배치되는 광원에 대응하는 제1 광 변환부와, 상기 하부에 배치되는 광원에 대응하는 제2 광 변환부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on the lower part,
Wherein the light-
A first light conver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second light convert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light sourc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및
상기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조향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일부 광원의 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sourc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driver,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s of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be turned off based on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r varies the intensity of light of a part of the light sources.
상기 광원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temperature around the light source unit,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ontrols the light sourc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be turned off or to change the intensity of light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
상기 스위칭 소자를 구동하는 스위치 구동부; 및
상기 광원부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 source driv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A switch driver for driving the switching element; And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source unit.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구동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driver includes:
A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source; And
And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source,
The switch driver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current data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the current data to the drive control unit and receiv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source from the drive control unit.
상기 광원 구동부는,
상기 광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 및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되는 전압 데이터, 상기 스위치 구동부로부터 검출된 전류 데이터, 및 목표 전류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source driver includes:
A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source; And
And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source,
The drive control unit may include: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urrent flowing in the light source based on the voltage data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or, the current data detected from the switch driver, and the target current command.
전방으로부터 수신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
상기 광원부를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및
상기 광원 구동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수신광의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의 광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거나, 광의 세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received from a front side;
A light sourc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And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driver,
The processo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source of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to be turned off or to change the intensity of the light when the level of the received ligh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unit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A vehicle comprising a headlamp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4347A KR20170101593A (en) | 2016-02-29 | 2016-02-29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24347A KR20170101593A (en) | 2016-02-29 | 2016-02-29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1593A true KR20170101593A (en) | 2017-09-06 |
Family
ID=5992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4347A Withdrawn KR20170101593A (en) | 2016-02-29 | 2016-02-29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0159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1203A (en) * | 2018-07-24 | 2020-02-03 | 에스엘 주식회사 | Charging state displa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CN114060766A (en) * | 2020-07-29 | 2022-02-18 | 现代摩比斯株式会社 | Head lamp for vehicle |
-
2016
- 2016-02-29 KR KR1020160024347A patent/KR20170101593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1203A (en) * | 2018-07-24 | 2020-02-03 | 에스엘 주식회사 | Charging state display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CN114060766A (en) * | 2020-07-29 | 2022-02-18 | 现代摩比斯株式会社 | Head lamp for vehicle |
CN114060766B (en) * | 2020-07-29 | 2024-05-31 | 现代摩比斯株式会社 | Headlight for a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190005B1 (en) |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101637882B1 (en)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JP6910953B2 (en) | Vehicle lighting device | |
US10723260B2 (en) | Autonomous vehicle information lighting system | |
KR101830664B1 (en) |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569701B2 (en) | Systems and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a vehicle light | |
CN107499226B (en) | Input voltage stabilizing circuit of combined tail lamp, combined tail lamp and vehicle | |
KR101703147B1 (en) | Brightness adjustable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ehicle taillights control device and method | |
WO2019156106A1 (en) | Automated driving display system an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160041519A (en) |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3254537B1 (en) | Road lighting | |
CN107357002A (en) | A kind of light guide combination and the car light with light guide combination | |
KR20170101593A (en)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KR20170101599A (en) | Apparatus for driving headlamp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US10057957B2 (en) | Vehicle light | |
TWI691234B (en) | Car lamp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CN213276965U (en) | Wearable warning device for driving | |
KR102273977B1 (en) | Color Control System of Car light | |
KR101858700B1 (en) | Driving cirtuit for rear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and Vehicle | |
CN112660037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logo, storage medium and vehicle | |
CN219544623U (en) | Automatic driving heavy truck marker lamp control system | |
CN220586487U (en) | Vehicle-mounted atmosphere lamp control system | |
JP7220099B2 (en) | vehicle lighting system | |
CN217048445U (en) | Wheel eyebrow lamp system | |
CN206644726U (en) | A kind of car room lighting contro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