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930B1 - 피부 확대경 - Google Patents

피부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930B1
KR102273930B1 KR1020190054263A KR20190054263A KR102273930B1 KR 102273930 B1 KR102273930 B1 KR 102273930B1 KR 1020190054263 A KR1020190054263 A KR 1020190054263A KR 20190054263 A KR20190054263 A KR 20190054263A KR 102273930 B1 KR102273930 B1 KR 102273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eds
unit
polariz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603A (ko
Inventor
홍일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루코
Priority to KR102019005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930B1/ko
Priority to PCT/KR2019/008718 priority patent/WO2020226228A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ens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파지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상기 광학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LED 장착부를 갖는 발광기판; 복수의 상기 LED의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부; 및 복수의 상기 LED의 광축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LED 장착부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하는 경사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 확대경{DERMATOSCOPE DEVICE}
본 발명은 피부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피부 확대경은 나안(裸眼)으로는 관찰하기 어려운 피부 표피 및 유두 진피의 색소성 병변을 관찰하여 흑색종(Malignant Melanoma)과 같은 병변의 감별에 사용되는 진단 도구로서, 이와 같은 색소성 피부 병변의 감별진단 외에도 더 나아가 표피 종양, 구진인설성 병변(Papulosquamous disease), 조갑병변의 진단 및 피부상의 기생충 확인에도 이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피부 확대경은 조직검사 이전에 나안으로 의사와 같은 관찰자가 획득할 수 있는 진단에 기초가 되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확하고 진단 및 더 나아가 신속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러한 피부 확대경은 진단을 수행하는 관찰자가 피부 표면을 관찰함에 있어서, 확대되어 관찰되는 상을 더욱 명확하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해상력을 높이고 왜곡의 정도를 줄여 시인성(Visibility)을 개선시킴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정확하게 관찰자가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피부 확대경의 휴대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를 갖춤 피부 확대경이 개발되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의사와 같은 관찰자가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학대경을 국내 특허출원하여 특허등록(국내등록특허번호 제10-1785056호)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피부 확대경은 관찰대상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복수의 LED를 사용한 종래의 피부 확대경은 각 LED로부터 발광하는 광이 관찰대상에 수직하게 분산하며 조사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피부 확대경을 관찰대상인 피부 가까이에 위치시킬 경우, 각 LED에서 조사되는 광들이 관찰대상에서 중첩되지 않는 영역 즉 음영 영역이 발생하여, 관찰대상의 광학적 해상력이 저하되고, 관찰되는 상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피부 확대경은 복수의 LED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한 쌍의 편광부를 각각 복수의 LED 앞에 설치해야 하므로, 제품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조립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8505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관찰대상에 조사되는 광의 음영 영역을 해소하여 광학적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확대되어 관찰되는 상을 더욱 명확하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개선시킨 피부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하며,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환자의 피부 조건에 대응하여 피부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피부 확대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지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상기 광학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LED 장착부를 갖는 발광기판; 복수의 상기 LED의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부; 및 복수의 상기 LED의 광축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LED 장착부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하는 경사 형성부를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 케이스는 관찰자 측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와, 관찰대상 측에 배치되는 제2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경사 형성부는, 제1케이스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으로 상기 LED 장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2케이스의 외측으로 상기 LED 장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장착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상기 LED 장착부에는 복수의 상기 LED 사이에 복수의 절취홈이 절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학유닛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과,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광학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경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경통의 복수의 상기 LED의 광 경로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1편광위치와,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2편광위치 사이를 왕복 선회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경통 또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편광부의 선회 궤적에 대응하며 상기 경통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나머지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을 편평하게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유닛은, 관찰자 측에 위치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단면형 볼록렌즈 형태의 제1광학렌즈; 상기 제1광학렌즈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하는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 및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편광부의 제1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보조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광학렌즈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하며,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양면형 볼록렌즈 형태의 제2광학렌즈; 및 관찰자를 향하는 면이 상기 제2광학렌즈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의 볼록한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광학렌즈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음형 메니스커스 렌즈(Negative Meniscus lens) 형태의 제3광학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경통에 돌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편광부를 상기 제1편광위치와 상기 제2편광위치 사이로 왕복 선회시키는 손잡이; 및 상기 편광부의 선회 궤적을 따라 상기 경통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LED의 광축이 광학유닛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복수의 LED가 배치됨으로써, 관찰대상에 조사되는 광의 음영 영역을 해소하여 광학적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확대되어 관찰되는 상을 더욱 명확하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제2편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편광시키는 하나의 편광부를 경통에 선회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관찰자가 간편하게 편광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며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통에 관찰대상을 편평하게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마련함으로써, 환자의 피부 조건에 대응하여 피부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의 광학 케이스와 경사부에 대한 요부 확대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의 제2케이스와 제2경사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의 제2하우징에서 본 스토퍼부의 돌기부와 가이드홈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하우징(10)과, 광학유닛(30)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20)와, 발광기판(40)과, 편광부(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피부 확대경(1a)을 구성하는 광학유닛(30)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20), 발광기판(40)을 비롯한 각종 추가 가능한 구성들이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 측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11)과 관찰대상 측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13)의 결합에 의해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외형은 관찰자가 손을 이용해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파지가능한 형태로 마련되어 내부에 제어모듈 및 배터리(91)가 내장 설치된다, 또한, 제2하우징(13)에는 후술할 경통(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통 착탈부(15)가 마련된다.
광학 케이스(20)는 하우징(10)에 수용되고, 관찰자 측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21)와, 관찰대상 측에 배치되는 제2케이스(25)의 결합에 의해 마련된다.
제1케이스(21)와 제2케이스(25)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호 끼움 결합된다. 또한, 제1케이스(21)는 제1하우징(11)에 결합되고, 제2케이스(25)는 경통 착탈부(15)와 연통하도록 제2하우징(13)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광학 케이스(20)의 내부에는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30)이 수용된다.
광학유닛(30)은 제1광학렌즈(31)와,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33)와, 보조 편광부(39)를 포함한다.
제1광학렌즈(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유닛(30)에 있어서 관찰자 측에 위치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단면형 볼록렌즈 형태로 마련된다.
또한,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33)는 제1광학렌즈(31)와 이격 배치되며, 제1광학렌즈(31)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한다.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33)는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렌즈 접착체로, 제2광학렌즈(35)와 제3광학렌즈(37)로 마련되는 접착 몰색렌즈에 해당된다.
제2광학렌즈(35)는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양면형 볼록렌즈 형태로, 제1광학렌즈(31)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한다.
제3광학렌즈(37)는, 관찰자를 향하는 면이 제2광학렌즈(35)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의 볼록한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광학렌즈(35)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음형 메니스커스 렌즈(Negative Meniscus lens) 형태를 가진다.
보조 편광부(39)는 얇은 판 원반형상을 가지고, 제3광학렌즈(37)와 이격하며 제3광학렌즈(37)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한다. 보조 편광부(39)는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33)로 입사되는 광을 편광부(70)의 제1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킨다.
즉, 보조 편광부(39)는 후술할 복수의 LED(45)를 통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 광이 편광부(70)를 거쳐 관찰대상 주변 일정 영역에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제공될 때, 관찰대상으로부터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되는 광은 결과적으로 평행 편광 기능을 관찰자에게 제공하여, 관찰대상인 피부 표면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의 LED(45)를 통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 광이 편광부(70)를 거쳐 관찰대상 주변 일정 영역에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제공될 때, 관찰대상으로부터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되는 광은 결과적으로 교차 편광 기능을 관찰자에게 제공하여, 관찰대상인 피부 안쪽을 관찰하게 되고, 이에 피부 표면에 점처럼 보이는 관찰대상이 피부암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발광기판(4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연성재질의 판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에 수용된다. 발광기판(40)에는 LED(45)를 발광시키기 위한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기판(40)의 일측에는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45)가 장착된 LED 장착부(41)가 마련되어 있다.
LED 장착부(41)는 광학 케이스(20)의 바깥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원형 단면의 링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5에서 LED 장착부(41)와 발광기판(40)의 나머지 영역과의 경계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
LED 장착부(41)의 일측 판면에는 예컨대, 관찰대상을 측을 향하는 판면에는 복수의 LED(45)가 광학 케이스(20)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LED 장착부(41)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절취홈(43)이 등간격으로 절취되어 있다. 복수의 절취홈(43)은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LED 장착부(41)의 내주로부터 복수의 LED(45) 사이에 절취 형성된다.
이와 같이, LED 장착부(41)에 복수의 절취홈(43)을 형성함으로써, LED 장착부(41)가 후술할 경사 형성부(50)에 의해 경사를 이룰 때, LED 장착부(41)가 기울어지면서 형상 변경되며 발생하는 변형을 절취홈(43)이 흡수하여, 복수의 LED(45)는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LED 장착부(41)에 장착된 LED(45)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모듈의 발광신호에 의해 일괄적으로 발광한다. 여기서, LED(45)는 칩형 LED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복수의 LED(45)가 경사지게 배치 예컨대, 복수의 LED(45)의 광축이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경사 형성부(50)를 포함한다. 경사 형성부(50)는 복수의 LED(45)의 광축이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LED 장착부(41)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한다.
경사 형성부(50)는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를 포함한다.
제1경사부(51)는 제1케이스(21)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제1케이스(21)의 외측으로 LED 장착부(41)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경사부(53)는 제2케이스(25)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제2케이스(25)의 외측으로 LED 장착부(41)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는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며,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 사이에는 발광기판(40)의 LED 장착부(41)가 배치된다.
한편, 제2경사부(53)에는 LED 장착부(41)에 장착된 복수의 LED(45)가 인출입하는 복수의 LED 인출입공(5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LED 인출입공(55)은 LED 장착부(41)에 장착된 복수의 LED(45)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를 조립 또는 분리할 때, LED 장착부(41)에 장착된 각 LED(45)는 각 LED 인출입공(55)을 통해 인출입하게 되어, 제2경사부(53)와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의 각 자유단부에는,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를 상호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59)이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57a,57b)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편평한 상태로 하우징(10)에 배치된 발광기판(40)의 LED 장착부(41)를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 사이에 배치하고, 이 때 각 LED(45)를 LED 인출입공(55)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를 체결수단(59)으로 체결하면, LED 장착부(41)는 제1경사부(51)와 제2경사부(53)가 형성하는 경사 각도로 기울어져,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LED 장착부(41)에 장착된 복수의 LED(45)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각 LED(45)의 광축은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 때, LED 장착부(41)에 형성된 복수의 절취홈(43)에 의해 LED 장착부(41)가 경사지면서 발생하는 변형이 흡수되어, 복수의 LED(45)는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LED(45)의 광축이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복수의 LED(45)가 배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을 관찰대상 가까이에 위치시키더라도, 관찰대상에 조사되는 광의 음영 영역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광학적 해상력을 향상시키고, 확대되어 관찰되는 상을 더욱 명확하고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LED(45)는 경사 형성부(50)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지 않고, 복수의 LED(45)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발광기판(40)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복수의 LED(45)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과,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광학유닛(30)으로 입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경통(60)을 더 포함한다.
경통(60)은 발광기판(40)을 사이에 두고 광학유닛(30)과 대향하도록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된다.
경통(60)은 일정 구배를 가지며, 양측이 개구된 속이 빈 통 형상을 가진다. 경통(60)은 일단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의 경통 착탈부(15)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61)와, 타단부에 마련되어 관찰대상과 접촉하는 접촉부(63)를 포함한다.
한편, 경통(60)의 내측에는 경통(60)의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하게 편광부(70)가 수용되어 있다.
편광부(70)는 경통(60)의 복수의 LED(45)의 광 경로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LED(45)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킨다. 편광부(70)는 얇은 판의 링 형상을 가지며, 경통(60)의 중심축선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경통(60)의 내측에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편광부(70)를 복수의 LED(45) 앞에 바로 배치하지 않고 경통(60)에 마련함과 동시에, LED(45)의 광축이 광학유닛(30)의 광축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편광부(70)는 광방향에 맞게 더 넓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편광부(70)는 복수의 LED(45)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1편광위치와, 복수의 LED(45)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2편광위치 사이를 왕복 선회한다. 여기서, 제1편광위치와 제2편광위치는 90도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통(60)은 편광부(70)를 제1편광위치와 제2편광위치 사이를 선회하도록 하우징(10)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편광부(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75)를 포함한다.
스토퍼부(75)는 경통(60)의 하우징 결합부(61)의 외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77)와, 편광부(70)의 선회 궤적에 대응하며 하우징(10)의 경통 착탈부(15)의 내주를 따라 일정 길이로 함몰 형성된 가이드홈(79)을 포함한다.
가이드홈(79)에는 돌기부(77)가 결합되어, 돌기부(77)의 왕복이동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77)가 제1편광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경통(60)을 제2편광위치 방향으로 선회시키면, 돌기부(77)는 가이드홈(79)을 따라 이동하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편광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돌기부(77)가 제1편광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복수의 LED(45)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편광부(70)에 의해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돌기부(77)가 제2편광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복수의 LED(45)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편광부(70)에 의해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퍼부(75)의 돌기부(77)는 경통(60)의 하우징 결합부(61)의 외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홈(79)은 경통(60)의 내주를 따라 함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부(75)의 돌기부(77)는 가이드홈(79)의 내주로부터 돌출되고, 가이드홈(79)은 경통(60)의 하우징 결합부(61)의 외주에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관찰자가 경통(60)을 하우징(10)에 대해 일방향으로 선회시켜 돌기부(77)를 제1편광위치에 위치시키면, 복수의 LED(45)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편광부(70)에 의해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관찰대상으로 조사되고, 관찰대상에 조사된 광은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하여 광학유닛(30)을 거쳐 관찰자의 눈으로 전달된다. 이 때, 복수의 LED(45)를 통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 광이 편광부(70)를 거쳐 관찰대상에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제공되고, 관찰대상으로부터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되는 광도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결과적으로 평행 편광 기능을 관찰자에게 제공하여, 관찰자는 관찰대상인 피부 표면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찰자가 경통(60)을 하우징(10)에 대해 타방향으로 선회시켜 돌기부(77)를 제2편광위치에 위치시키면, 복수의 LED(45)로부터 발산되는 광은 편광부(70)에 의해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관찰대상으로 조사되고, 관찰대상에 조사된 광은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하여 광학유닛(30)을 거쳐 관찰자의 눈으로 전달된다. 이 때, 복수의 LED(45)를 통해 관찰대상으로 조사된 광이 편광부(70)를 거쳐 관찰대상에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된 상태로 제공되고, 관찰대상으로부터 반사되어 보조 편광부(39)로 입사되는 광은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되어, 결과적으로 교차 편광 기능을 관찰자에게 제공하여, 관찰자는 관찰대상인 피부 안쪽을 명확하게 관찰하게 되며, 특히 피부 표면에 점처럼 보이는 관찰대상이 피부암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수의 LED(45)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제2편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편광시키는 하나의 편광부(70)를 경통(60)에 선회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관찰자가 간편하게 편광방향을 선택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며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은 가압 플레이트(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81)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가압 플레이트(81)는 경통(60)의 선단부의 개구 예컨대, 경통(60)의 접촉부(63)의 개구에 장착되어, 관찰대상을 관찰할 때 관찰대상을 편평하게 누른다.
이와 같이, 가압 플레이트(81)를 더 구비함으로써, 피부의 점 등과 같은 작은 크기의 관찰대상을 측정할 때 관찰대상을 편평하게 눌러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즉, 환자의 피부 조건에 대응하여 피부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찰대상을 관찰할 때 가압 플레이트(81) 중앙으로 초점을 정확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압 플레이트(81)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압 플레이트(81)가 마련된 경통(60)과, 가압 플레이트(81)가 마련되지 않은 경통(60)을 각각 마련하여, 필요에 따라 원하는 경통(60)을 하우징(10)에 교체 결합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 설명된 참조부호 9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b)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편광부(70)의 일측에 손잡이(71)가 마련되고, 경통(60)에는 손잡이(7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65)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71)는 편광부(70)의 일측에 마련되어 경통(60)의 가이드 슬롯(65)에 돌출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 슬롯(65)은 편광부(70)의 선회 궤적을 따라 경통(60)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슬롯(65)은 편광부(70)가 제1편광위치와 제2편광위치 사이에서 왕복 선회하는 구간의 길이를 가지며, 손잡이(71)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b)은 손잡이(71)와 가이드 슬롯(65)을 구비함에 따라,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스토퍼부(75)의 구성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b)의 나머지 구성요소와 구조는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a)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확대경(1b)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경통(60) 자체를 하우징(10)에 대해 선회시키지 않고, 손잡이(71)를 가이드 슬롯(65)을 따라 선회시킴에 따라 하나의 편광부(70)로 편광방향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어, 구조를 단순화하며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1b: 피부 확대경
10: 하우징
15: 경통 착탈부
20: 광학 케이스
30: 광학유닛
39: 보조 편광부
40: 발광기판
41: LED 장착부
45: LED
50: 경사 형성부
51: 제1경사부
53: 재2경사부
60: 경통
65: 가이드 슬롯
70: 편광부
71: 손잡이
75: 스토퍼부
77: 돌기부
79: 가이드홈
81: 가압 플레이트

Claims (11)

  1. 파지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상기 광학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LED 장착부를 갖는 발광기판;
    복수의 상기 LED의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부;
    복수의 상기 LED의 광축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LED 장착부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하는 경사 형성부; 및
    상기 편광부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케이스는 관찰자 측에 배치되는 제1케이스와, 관찰대상 측에 배치되는 제2케이스의 결합에 의해 마련되고,
    상기 경사 형성부는,
    제1케이스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1케이스의 외측으로 상기 LED 장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케이스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며, 상기 제2케이스의 외측으로 상기 LED 장착부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연장 형성된 제2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장착부는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이루는, 피부 확대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장착부에는 복수의 상기 LED 사이에 복수의 절취홈이 절취 형성된, 피부 확대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광학유닛과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과,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광학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경통을 더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상기 경통의 복수의 상기 LED의 광 경로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1편광위치와,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2편광위치 사이를 왕복 선회하는, 피부 확대경.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경통 또는 상기 하우징의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된 돌기부; 및
    상기 편광부의 선회 궤적에 대응하며 상기 경통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나머지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을 편평하게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유닛은,
    관찰자 측에 위치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단면형 볼록렌즈 형태의 제1광학렌즈;
    상기 제1광학렌즈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하는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 및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편광부의 제1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보조 편광부를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10. 파지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상기 광학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LED 장착부를 갖는 발광기판;
    복수의 상기 LED의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부; 및
    복수의 상기 LED의 광축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LED 장착부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하는 경사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유닛은,
    관찰자 측에 위치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단면형 볼록렌즈 형태의 제1광학렌즈;
    상기 제1광학렌즈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하는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 및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로 입사되는 광을 상기 편광부의 제1편광방향과 동일한 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보조 편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색수차 보정용 렌즈 어레이는,
    상기 제1광학렌즈의 관찰대상 측 선단에 위치하며,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양면형 볼록렌즈 형태의 제2광학렌즈; 및
    관찰자를 향하는 면이 상기 제2광학렌즈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의 볼록한 형상과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광학렌즈의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관찰대상을 향하는 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음형 메니스커스 렌즈(Negative Meniscus lens) 형태의 제3광학렌즈를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11. 파지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확대하여 확인할 수 있는 광학유닛을 수용하는 광학 케이스;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관찰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상기 광학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LED 장착부를 갖는 발광기판;
    복수의 상기 LED의 광을 특정방향으로 편광시키는 편광부;
    복수의 상기 LED의 광축이 상기 광학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상기 LED 장착부를 경사지게 가압 배치하는 경사 형성부; 및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관찰대상으로 조사되는 광과, 관찰대상에 반사되어 상기 광학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경통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부는 상기 경통의 복수의 상기 LED의 광 경로상에 마련되어,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1편광위치와, 복수의 상기 LED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편광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편광방향으로 편광시키는 제2편광위치 사이를 왕복 선회하고,
    상기 편광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경통에 돌출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편광부의 선회 궤적을 따라 상기 경통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편광부가 상기 제1편광위치와 상기 제2편광위치 사이에서 왕복 선회하도록 상기 손잡이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는, 피부 확대경.
KR1020190054263A 2019-05-09 2019-05-09 피부 확대경 KR102273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63A KR102273930B1 (ko) 2019-05-09 2019-05-09 피부 확대경
PCT/KR2019/008718 WO2020226228A1 (ko) 2019-05-09 2019-07-15 피부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263A KR102273930B1 (ko) 2019-05-09 2019-05-09 피부 확대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03A KR20200129603A (ko) 2020-11-18
KR102273930B1 true KR102273930B1 (ko) 2021-07-06

Family

ID=7305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263A KR102273930B1 (ko) 2019-05-09 2019-05-09 피부 확대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73930B1 (ko)
WO (1) WO20202262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657B1 (ko) * 2007-10-11 2009-10-28 주식회사 씨앤포이엔지 칩엘이디를 이용한 피부측정장치
JP5774930B2 (ja) * 2011-07-21 2015-09-09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肌観察装置
KR20160068168A (ko) * 2014-12-05 2016-06-1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피부 상태 검진 장치
KR20160147585A (ko) * 2015-06-15 2016-12-2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피부 상태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피부 상태 진단 장치
KR101785056B1 (ko) 2016-07-08 2017-11-06 주식회사 일루코 피부 확대경
KR102070014B1 (ko) * 2017-10-11 2020-01-29 주식회사 일루코 피부 확대경에 설치되는 발광유닛 및 이를 포함한 피부 확대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03A (ko) 2020-11-18
WO2020226228A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014B1 (ko) 피부 확대경에 설치되는 발광유닛 및 이를 포함한 피부 확대경
US10667694B2 (en) Apparatus for imaging skin
US68069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mpact resistant light guide and housing
JP4659848B2 (ja) 撮像モジュール
US20100278394A1 (en) Apparatus for Iris Capture
WO2018135337A1 (ja) 検査装置、検査装置の制御方法、システム、ライトガイドおよびスケール
CN109477957B (zh) 皮肤放大镜
US4279247A (en) Endoscope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systems each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mark element
KR102273930B1 (ko) 피부 확대경
ES2683297T3 (es) Aparato oftalmoscópico
CN212465960U (zh) 皮肤诊断装置以及用于所述皮肤诊断装置的耦合系统
US20190029520A1 (en) Tip for laser handpiece
KR102472694B1 (ko)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KR20190031776A (ko) 타겟에 조사되는 레이저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는 진단용 레이저 핸드피스용 팁
KR102263575B1 (ko) 왜곡이 보상된 피부 이미지를 획득하는 피부 진단 확대경
KR102263579B1 (ko) 피부 이미지 왜곡 보상과 외부 촬영장치와 결합이 가능한 피부 진단 확대경
JP5941905B2 (ja) 成分測定装置
WO2010056542A1 (en) Apparatus for iris capture
CN206729950U (zh) 一种穿刺引导装置
KR20190037189A (ko) 피부 진단 장치 및 이를 위한 커플링 시스템
US20230133106A1 (en) Calibration tip for imaging devices
JP4481726B2 (ja) 穿刺用プローブ及び穿刺アダプタ
US11653821B2 (en) Endoscope and handle operation unit
JP2019097657A (ja) 光音響プローブおよびアタッチメント
JP6783470B2 (ja) 画像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