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544B1 -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544B1
KR102273544B1 KR1020197029628A KR20197029628A KR102273544B1 KR 102273544 B1 KR102273544 B1 KR 102273544B1 KR 1020197029628 A KR1020197029628 A KR 1020197029628A KR 20197029628 A KR20197029628 A KR 20197029628A KR 102273544 B1 KR102273544 B1 KR 10227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re
handle
thumb
care implement
length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663A (ko
Inventor
아르민 촐
베네딕트 하일
안데르손 아이칸 젠투르크
스테파니 펜즈케
마리스 휘브너
Original Assignee
더 질레트 컴퍼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질레트 컴퍼니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질레트 컴퍼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11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5Handle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1/003Thermoplastic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2Brushes
    • B29L2031/425Toothbru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rush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구강 케어 기구는 제1 재료로 만들어진 헤드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원위 단부 및 헤드에 가장 가까운 근위 단부를 갖는다. 손잡이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하다.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약 202 ㎟ 내지 약 360 ㎟의 면적을 포함하고,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25°의 각도(α) 만큼 기울어져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각도(α)는 제1 선 및 제2 선에 의해 규정된다. 제1 선은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2 선은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저점과 종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종점은 손잡이의 원위 단부에 가장 가깝다.

Description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개시내용은 제1 재료로 만들어진 헤드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는 제2 재료로 만들어진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하고, 제2 재료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하다.
수동 및 전동 칫솔과 같은 구강 케어 기구의 헤드 및 손잡이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닦기 위한 강모 다발들이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브러시 헤드의 강모 캐리어 또는 장착 표면에 부착된다. 헤드에 손잡이가 보통 부착되고,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해 칫솔질 동안 파지된다. 헤드는 손잡이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거나 반복적으로 부착가능하고 손잡이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치아를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해, 강모 다발들의 자유 단부와 치아 사이에 적절한 접촉 압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접촉 압력은 굽힘 강성 및 강모들의 변위에만 의존하지 않고, 또한 칫솔의 손잡이 및 헤드 속성들, 특히 손잡이 및 브러시 헤드의 형상, 치수 및 굽힘 강성에도 의존한다. 보통 칫솔의 손잡이는 사용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취급 및 조작될 선형 막대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과거에는 이러한 손잡이가 잡기에 편하지도 않고 사용자의 구강 케어 시 조종하기 쉽지 않았다.
보통, 긴 길이를 갖는 손잡이는 유사한 단면적을 갖는 더 짧은 손잡이에 비해 더 낮은 굽힘 강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상대적으로 긴 손잡이는 쉽게 휘는 경향이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굽힘 강성은 치아 표면에서 플라크 제거 효율성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는 칫솔질하는 동안 입 안에서 열악한 조작성을 제공한다. 더 긴 손잡이의 상기 낮은 굽힘 강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크기 및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두꺼운 손잡이는 또한 브러시를 손 안에서 굴리기 쉽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구강 내의 모든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체 브러시의 조작성이 충분하지 않다.
우수한 구강 건강을 달성하고 보존하기 위하여 그리고 치은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아 및 잇몸, 특히 닿기 어려운 부분, 예컨대, 뒷어금니 영역을 철저히 닦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위 치은구(gingival groove)로 불리는, 치아와 치주 조직(periodontium) 사이의 간극이 철저히 세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우수하고 잘-조율되는 칫솔질 기술이 요구된다. 치은구 내의 플라크의 양호한 제거의 결여가 치은염, 즉 잇몸 조직의 염증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사용자/소비자가 상이한 칫솔질 기술들을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따라서, 모든 유형의 칫솔질 기술들을 사용할 때 칫솔질하는 동안 좋은 감각적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칫솔의 최적의 인체공학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하는, 특히 전체 브러시 인체공학을 최적화함으로써 칫솔질하는 동안 더 큰 편안함 및 구강 내에서 구강 케어 기구의 개선된 조작성을 제공하는 구강 케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목적이다.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이다.
일 양태에 따른, 제1 재료로 만들어진 헤드 및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가 제공되며, 손잡이는 원위 단부 및 헤드에 가장 가까운 근위 단부를 갖고, 손잡이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한 제2 재료로 만들어진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하고,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면적은 약 202 ㎟ 내지 약 360 ㎟이고,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오목한 형상을 갖고,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25°의 각도(α)로 기울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각도(α)는 제1 선 및 제2 선에 의해 규정되고, 제1 선은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서 연장되며, 제2 선은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저점과 종점 사이에서 연장되고,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종점은 손잡이의 원위 단부에 가장 가깝다.
일 양태에 따른, 이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1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여 구강 케어 기구의 아래에 놓인 기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 제1 컴포넌트 위에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2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제1 컴포넌트 및 제2 컴포넌트 위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구강 케어 기구의 예시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손잡이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4는 전체 소비자 제품 경험에 대한 칫솔 인체공학의 영향을 강조하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경사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도 6은 "원위 경사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도 7은 "파워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도 8은 "정밀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도 9는 "젓가락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구강 케어 기구는 예컨대 강모들의 다발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치아 세정 요소 및/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중합체 요소들이 고정될 수 있는 헤드, 및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손잡이의 근위 단부는 헤드에 가장 가깝고, 원위 단부의 반대편에 있다.
구강 케어 기구의 손잡이는 제1 재료,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지고, 제2 재료로 만들어진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한다. 제2 재료는 제1 재료와 상이하다. 이러한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예컨대 쇼어(Shore) A 경도가 약 30 내지 약 60, 또는 약 40인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재료는 구강 케어 기구가 젖은 상태에서 사용될 때 너무 미끄러운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는 추가로 다른 재료, 예컨대 제1 재료에 비교하여 다른 색상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면적은 약 202 ㎟ 내지 약 360 ㎟, 또는 약 250 ㎟ 내지 약 353 ㎟, 또는 약 270 ㎟ 내지 약 350 ㎟, 또는 약 290 ㎟ 또는 약 340 ㎟이다.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며,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25°, 또는 약 24°의 각도(α)만큼 기울어진 부분을 포함한다. 각도(α)는 두 직선, 즉 제1 선과 제2 선에 의해 규정된다. 제1 선은 (측면에서 보면, 도 1 및 도 3 참조)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고점과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저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선은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최저점과 종점 사이에서 연장된다.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종점은 손잡이의 원위 단부에 가장 가까운, 즉 헤드에서 가장 먼 지점으로 규정된다. 이러한 인체공학은 칫솔질하는 동안 구강 케어 기구의 제어력 및 조작성 개선을 가져다 줄 수 있다(아래 표 1의 시험 결과 참조).
놀랍게도, 소비자 시험 결과는 수동 칫솔에 대한 특정 기술적 파라미터들이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전체 제품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공학은 전체 제품 경험에 약 27% 영향을 준다. 세정/리프레시는 약 38%의 영향을 갖고, 약 29%의 부드러움이 뒤를 잇는다. 칫솔의 시각적 외관은 전체 제품 경험에 약 6%만 영향을 준다. 이러한 시험 결과에 따라,수동 칫솔의 인체공학은 소비자/사용자 어필을 위한 주요 요인이며; 놀랍게도, 그것의 영향은 부드러움의 영향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서, 칫솔의 바람직한 제품 경험을 달성하기 위하여, 브러시의 인체공학은 부드러움(gentleness)만큼 중요하다. 올바른 인체공학을 갖지 않는다면, 칫솔은 충분한 세정 만족감을 갖도록 구강의 모든 영역들을 닦을 수 없다.
또한, 소비자 시험 결과는 다음의 파라미터들이 인체공학을 위한 핵심 요인이며, 따라서, 전체 제품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나타냈다: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 손잡이의 길이 연장부 대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의 비율, 엄지손가락 안착부 영역의 크기,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굴곡 방향(오목/볼록), 및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각도(α). 이 파라미터들의 이상적인 조합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 파라미터들을 바꿔가며 시험하였다.
원칙상, 치아 칫솔질 동안 칫솔을 쥐는 5개의 상이한 그립 스타일 또는 방식이 있다: "경사형", "원위 경사형", "파워형", "정밀형" 및 "젓가락형". 이 그립 스타일들은 다음의 특성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도 5 내지 도 9 참조).
"경사형": 매우 자주 사용되고; 손잡이 무게가 손바닥 안에 느슨하게 배치되고; 엄지손가락이 검지손가락에 대하여 연장되며; 칼을 이용한 절단과 유사한 우수한 그립 및 조종을 허용한다. 칫솔질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하루에도 여러 상황들에 적용되는, 예컨대 식사, 머리 빗질, 브러시 쓸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타일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 스타일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스크러빙 기술(즉 왕복 운동)을 적용하여 이를 닦는다.
"원위 경사형": 매우 자주 사용되고; 손잡이 무게가 손바닥 안에 느슨하게 배치되고; 엄지손가락과 넷째손가락이 서로 대향하고; 칼을 이용한 절단과 유사한 우수한 그립 및 조종을 허용한다. 또한 칫솔질에 자주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하루에도 여러 상황들에 적용되는, 예컨대 식사, 머리 빗질, 브러시 쓸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타일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이 스타일을 사용하는 소비자는 스크러빙 기술(즉 왕복 운동)을 적용하여 이를 닦는다.
"파워형": 드물게 사용되고; 손가락들이 손잡이 둘레는 단단히 감싸고; 엄지손가락이 대부분 연장되거나 또는 손잡이 둘레는 단단히 감싸고; "더 높은 압력이 더 잘 닦인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사용되거나, 또는 소비자들이 더 잘 제어하기를 원하는 영역, 예컨대 뒷어금니 또는 내측 치아 표면을 칫솔질하는 동안 여러번 바뀌는 스타일들 중 하나로서 사용된다. 일부 소비자들은 압력을 줄이기 위하여 더 낮은 단부에서 손잡이를 잡는다. 또한 대부분의 아이들이 스스로 칫솔질을 시작할 때 사용된다.
"정밀형": 드물게 사용되고; 손잡이의 무게가 주로 손가락 끝에 있고;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서로 대향하고; 이것은 압력이 없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닿기 힘든 곳이나 또는 민감한 영역, 예컨대 내측 치아 표면에 종종 사용된다. 종종 "원위 경사형" 또는 "경사형"으로의 전이 그립으로서 관찰되지만, 일부 소비자들은 그것을 그들의 "유일한 그립 스타일"로 사용한다.
"젓가락형": 젓가락을 사용하는 지역에서 자주 사용되고; 검지손가락과 엄지손가락이 서로 대향함으로써 손잡이을 단단히 잡는다. 소비자 습관에 기초하여, 즉 "젓가락형" 스타일은 아시아에서 매우 일반적이며; 다른 상황들에 종종 사용되기 때문에 매우 친숙하고; 닿기 힘든 곳 또는 민감한 영역을 닦는데 부드러운 방식으로서 "정밀형" 스타일과 유사하게 사용된다.
놀랍게도, 소비자 시험은 약 202 ㎟ 내지 약 360 ㎟, 또는 약 250 ㎟ 내지 약 353 ㎟, 또는 약 270 ㎟ 내지 약 350 ㎟, 또는 약 290 ㎟, 또는 약 340 ㎟의 면적을 갖는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포함하는 칫솔이,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약 20° 내지 약 25°, 또는 약 24°의 각도(α)로 기울어진 부분과 조합하여, 개선된 전체 제품 경험을 사용자/소비자에게 제공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전술된 그립 스타일들 중 임의의 것을 적용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칫솔의 조작성은 상당히 개선된다. 소비자 시험은 본 개시내용의 칫솔이 잘 조화되는 칫솔질 기술을 허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소비자 시험은 독일 소재의 US 아메리칸(US Americans)에 의해 수행되었다. 시험 참가 소비자들은 전술된 그립 스타일들의 조합을 적용하였고, 인체공학에 대한 그들의 평가를 제공하였다(아래 표 1 참조).
엄지손가락 안착부 또는 그립 영역은 근위 단부에 가까운, 즉 헤드에 가장 가까운 영역에서 손잡이의 전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엄지손가락 안착부는 구강 케어 기구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ri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들은 사용자/소비자가 훨씬 더 많은 제어력으로 구강 케어 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소비자는 칫솔질하는 동안 구강 케어 기구의 손잡이를 더 잘 잡고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는 칫솔질하는 동안, 특히 젖은 상태에서 개선된 제어력 및 더 큰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구강 케어 기구의 손잡이 및 헤드는 각각 구강 케어 기구의 종방향 연장부를 따라 연장되는 길이 연장부를 갖는다. 헤드의 길이 연장부 및 손잡이의 길이 연장부는 함께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를 규정할 수 있다.
손잡이의 길이 연장부는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 즉 헤드에 가장 가까운 손잡이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구강 케어 기구의 섹션/부분으로서 규정된다. 다시 말해서, 헤드와 손잡이는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서 병합된다. (측면에서 보면, 도 3 참조) 손잡이의 근위 단부에서, 손잡이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거리는 최대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구강 케어 기구는 헤드, 손잡이 및 목 부분을 갖는 것으로 규정되며, 목 부분은 헤드와 손잡이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기 및 본 개시내용에 따라, 보통 최소 단면적을 가지며 전체 구강 케어 기구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목 부분은 브러시 헤드의 일부로서 규정된다.
놀랍게도, 소비자 시험은 또한 그것의 종축을 따라 약 194 mm 내지 약 197 mm, 또는 약 195 mm 내지 약 196 mm, 또는 약 195 mm인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가 약 0.59 내지 약 0.65, 또는 약 0.60 내지 약 0.64, 또는 약 0.61 내지 약 0.63 또는 약 0.62의 손잡이의 길이 연장부 대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의 비율과 조합하여 개선된 전체 제품 경험을 사용자/소비자에게 제공함을 나타냈다. 전술된 그립 스타일들 중 임의의 것을 적용하면, 본 개시내용에 따른 칫솔의 조작성 및 제어력은 상당히 개선된다. 소비자 시험은 본 개시내용의 칫솔이 잘 조화되는 칫솔질 기술을 허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아래 표 1 참조).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는 약 195 mm일 수 있고, 손잡이의 길이 연장부 대 구강 케어 기구의 전체 길이 연장부의 비율은 약 0.62일 수 있고, 엄지손가락 안착부의 면적은 약 290 ㎟ 또는 약 340 ㎟일 수 있고, 각도(α)는 약 24°일 수 있다.
손잡이 연장부는 약 119 mm 내지 약 123 mm, 또는 약 121 mm일 수 있다. 헤드 연장부는 약 72 mm 내지 약 76 mm, 또는 약 74 mm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1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여 구강 케어 기구의 아래에 놓인 기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 제1 컴포넌트 위에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2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제1 컴포넌트 및/또는 제2 컴포넌트 위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는 구강 케어 기구의 전면 상에 엄지손가락 안착부를 형성하고, 전면에 반대편인 후면 상에 사용자의/소비자의 손가락 및 엄지에 의해 파지될 손바닥 그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구성은 사용 시 미끄러짐을 훨씬 더 견딜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는 아래에 놓인 기부 구조물 및/또는 제2 컴포넌트의 손잡이에 제공되는 어퍼처(aperture)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구강 케어 기구는 수동 칫솔 또는 전동 칫솔일 수 있다. 구강 케어 기구는 또한 치간 칫솔(inter-proximal pick), 플라크 스크래퍼(plaque scraper) 또는 조직/혀 세정기일 수 있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케어 기구 및 그의 부품들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비제한적인 논의이며, 여기에서 도면이 참조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구강 케어 기구(10), 즉 칫솔(10)의 두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칫솔(10)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2는 각각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칫솔(10)은 헤드(12) 및 손잡이(14)를 포함한다. 그것의 종축(22)을 따르는 칫솔(10)의 전체 길이 연장부(16)는 헤드(12)의 길이 연장부(18) 및 손잡이(14)의 길이 연장부(20)로 구성된다. 칫솔(10)의 전체 길이 연장부(16)는 약 195 mm인 반면, 헤드(12)의 길이 연장부(18)는 약 74 mm이고, 손잡이(14)의 길이 연장부(20)는 약 121 mm이다. 결과적으로, 손잡이(14)의 길이 연장부(20) 대 칫솔(10)의 전체 길이 연장부(16)의 비율은 약 0.62이다. 손잡이는 헤드(1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원위 단부(52)와 헤드(12)에서 가장 가까운 근위 단부(54)를 갖는다.
손잡이(14)의 길이 연장부(20)는 원위 단부(52)로부터 근위 단부(54)로, 즉 헤드(12)에 가장 가까운 손잡이(14)의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헤드(12)와 손잡이(14)는 손잡이(14)의 근위 단부(54)에서 병합된다. (측면에서 보면, 도 3 참조) 손잡이(14)의 근위 단부(54)에서, 손잡이(14)의 전면(34)과 후면(38) 사이의 거리(56)는 최대치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14)는 3개의 상이한 재료들로 형성된다: 사출 성형 단계에 의해 제공되는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1 컴포넌트(24)가 아래에 놓인 기부 구조물(26)을 형성한다. 다른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2 컴포넌트(28)가 제1 컴포넌트(24) 위에 사출 성형되고,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30)가 제1 및 제2 컴포넌트(24, 28) 위에 사출 성형된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30)는 손잡이(14)의 전면(34) 상에 엄지손가락 안착부(32)를 제공하고, 손잡이(14)의 후면(38) 상에 손바닥 그립(36)을 제공하는데, 후면(38)은 전면(34)에 반대편에 있다.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1 컴포넌트 및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2 컴포넌트는 색상 면에서만 상이할 수 있다. 두 폴리프로필렌 재료들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질일 수 있다.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의 쇼어 A 경도는 약 30 내지 약 60, 또는 약 40일 수 있다.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면적(40)은 약 290 ㎟ 또는 약 340 ㎟이다.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형상은 오목한, 즉 엄지손가락 안착부가 손잡이에 대하여 안쪽으로 휘어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일부분은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각도(α)만큼 기울어져 있다. 각도(α)는 약 24°일 수 있고, 제1 선(42)과 제2 선(44) 사이에서 규정된다. 제1 선(42)은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최고점 또는 최상점(46)과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최저점(48) 사이에서 연장된다(도 3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제2 선(44)은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최저점(48)과 종점(50), 즉 손잡이(14)의 원위 단부(52)에 가장 가까운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최원점(most remote point)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4는 전체 소비자 제품 경험에 대한 칫솔 인체공학(60)의 영향을 강조하는 그래프(70)를 도시한다. 소비자 시험 결과는 인체공학(60)이 전체 제품 경험에 약 27%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냈다. 세정/리프레시(62)는 약 38%의 영향을 갖고, 약 29%의 부드러움(64)이 뒤를 잇는다. 칫솔의 시각적 외관(66)은 전체 제품 경험에 약 6%만 영향을 준다.
치아 칫솔질 동안 칫솔을 쥐는 5개의 상이한 그립 스타일들 또는 방식들이 존재한다. 도 5는 "경사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하고, 도 6은 "원위 경사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하고, 도 7은 "파워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하고, 도 8은 "정밀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하고, 도 9는 "젓가락형" 그립 스타일을 도시한다. 각각의 그립 스타일들을 이용할 때의 특성들이 위에 전술되어 있다.
비교 실험
20명의 훈련되고 경험많은 참가자들로 소비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참가자들에게 인체공학, 조작성 및 제어력의 관점에서 "0"과 "10" 사이의 척도로 칫솔에 점수를 주도록 요구하였고, "10"은 최상 점수를 나타낸다. 참가자들은 거울 앞에서 자신들의 치아에 칫솔질을 함으로써, 실제 사용 상황을 반영하였다.
아래 칫솔들을 시험하였다: 도 1 내지 3에 따른 예시 실시예 10 및 표 1의 칫솔 사양에 따른 비교예들 100, 200, 300 및 400.
[표 1]
Figure 112019102779910-pct00001
시험 결과는 비교예들 100, 200, 300 및 400에 따른 칫솔들에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칫솔(예시 실시예 10)의 인체공학, 조작성 및 제어력의 관점에서 성능상 이점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예시 실시예 10의 칫솔이 "0"과 "10" 사이의 척도에서 "7.56"의 점수를 받은 반면, 비교예들 100, 200, 300 및 400은 "3.2"과 "6.0" 사이의 점수만을 받았다.
표 1에 기재된 데이터는 명확하게 칫솔 실시예 10의 특정 구성/인체공학의 상승 효과를 보여준다. 특히, 데이터는, 주장된 범위를 벗어난 엄지손가락 안착부 면적 및 각도를 갖는 칫솔들에 비교하여, 약 202 ㎟ 내지 약 360 ㎟의 엄지손가락 안착부 면적과 약 20° 내지 약 25°의 각도(α)의 특정 조합이 개선된 조작성 및 제어력을 제공하는 것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비교 예시 실시예 200는 엄지손가락 안착부 면적이 약 225 ㎟이다. 그러나, 각도(α)가 상대적으로 낮은, 즉 17.5°이기 때문에, 상기 칫솔의 성능이 떨어져서, 단지 "3.2"의 점수만을 받게 되었다. 또한, 비교 예시 실시예 100에서 각도(α)가 약 23.6°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칫솔의 점수 역시 부실한데("4.85"), 그 이유는 엄지손가락 안착부 면적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약 363 ㎟).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실질적으로"는, 이론상으로는 정확한 대응 또는 거동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될 것이지만, 실제로는 정확한 것보다 약간 덜한 어떤 것을 구현할 수 있는 요소 또는 특징부의 배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이 용어는 문제가 되고 있는 주제의 기본적 기능에 있어서의 변화를 야기함이 없이 양적 값, 측정치 또는 다른 관련 표현이 언급된 기준으로부터 달라질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언급된 정확한 수치 값으로 엄격하게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각각의 그러한 치수는 열거된 값과, 그 값 부근의 기능적으로 등가인 범위 둘 모두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 mm"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mm"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제1 재료(24)로 만들어진 헤드(12) 및 손잡이(14)를 포함하는 구강 케어 기구(10)로서,
    상기 손잡이는 원위 단부(52) 및 상기 헤드(12)에 가장 가까운 근위 단부(54)를 갖고, 상기 손잡이(14)는 상기 제1 재료(24)와는 상이한 제2 재료(30)로 만들어진 엄지손가락 안착부(32)를 포함하고,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는 202 ㎟ 내지 360 ㎟의 면적(40)을 포함하고,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는 오목한 형상을 갖고,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는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20° 내지 25°의 각도(α) 만큼 기울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α)는 제1 선(42) 및 제2 선(44)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선(42)은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최고점(46)과 최저점(48)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2 선(44)은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상기 최저점(48)과 종점(50)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상기 종점(50)은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원위 단부(52)에 가장 가까운, 구강 케어 기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상기 면적(40)은 250 ㎟ 내지 353 ㎟인, 구강 케어 기구(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24)는 폴리프로필렌 재료인, 구강 케어 기구(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료(30)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인, 구강 케어 기구(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는 30 내지 60인, 구강 케어 기구(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24°인, 구강 케어 기구(1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2)는 길이 연장부(18)를 갖고 상기 손잡이(14)는 길이 연장부(20)를 갖고, 상기 헤드(12) 및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길이 연장부(18, 20)는 함께 종축(22)을 따라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전체 길이 연장부(16)를 규정하고,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는 194 mm 내지 197 mm이고,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길이 연장부(20) 대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의 비율은 0.59 내지 0.65인, 구강 케어 기구(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길이 연장부(20) 대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의 비율은 0.60 내지 0.64인, 구강 케어 기구(10).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는 195 mm 내지 196 mm인, 구강 케어 기구(10).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길이 연장부(20)는 119 mm 내지 123 mm인, 구강 케어 기구(10).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2)의 상기 길이 연장부(18)는 72 mm 내지 76 mm인, 구강 케어 기구(10).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는 195 mm이고, 상기 손잡이(14)의 상기 길이 연장부(20) 대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상기 전체 길이 연장부(16)의 비율은 0.62이고, 상기 엄지손가락 안착부(32)의 상기 면적(40)은 290 ㎟이고, 상기 각도(α)는 24°인, 구강 케어 기구(1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는 적어도 3개의 다른 재료들로 형성되는, 구강 케어 기구(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 케어 기구(1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1 컴포넌트(24)를 사출 성형하여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아래에 놓인 기부 구조물(26)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컴포넌트(24) 위에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제2 컴포넌트(28)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 상기 제1 컴포넌트(24) 및 상기 제2 컴포넌트(28) 위에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재료의 제3 컴포넌트(3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컴포넌트(30)는 상기 구강 케어 기구(10)의 전면(34) 상의 엄지손가락 안착부(32), 및 상기 전면(34)에 반대편인 후면(38) 상의 손바닥 그립(36)을 형성하는, 방법.
KR1020197029628A 2017-04-10 2018-04-10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273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5719.0A EP3387947B1 (en) 2017-04-10 2017-04-10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EP17165719.0 2017-04-10
PCT/US2018/026786 WO2018191197A1 (en) 2017-04-10 2018-04-10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663A KR20190119663A (ko) 2019-10-22
KR102273544B1 true KR102273544B1 (ko) 2021-07-07

Family

ID=5853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628A KR102273544B1 (ko) 2017-04-10 2018-04-10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51605B2 (ko)
EP (1) EP3387947B1 (ko)
KR (1) KR102273544B1 (ko)
CN (1) CN110520010A (ko)
AU (1) AU2018251685B2 (ko)
CA (1) CA3058912C (ko)
MX (1) MX2019012087A (ko)
WO (1) WO20181911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2234B1 (en) * 2020-04-08 2023-11-15 The Gillette Company LLC Handle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personal care implement and personal care imp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063Y1 (ko) 1999-07-26 2000-03-15 박원 탄성부를구비한칫솔
JP2002028028A (ja) * 2000-07-14 2002-01-29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406A (en) * 1897-04-13 Isaac b
US2238099A (en) * 1939-03-02 1941-04-15 Emile P Brus Electric plug
US2267670A (en) * 1941-04-26 1941-12-23 Nettie Rosenwasser Toothbrush
US5339482A (en) * 1992-07-21 1994-08-23 Johnson & Johnson Consumer Products, Inc. Toothbrush having non-slip surface
KR950013133U (ko) * 1993-11-05 1995-06-15 맹광식 유아용 치솔
JP3162573B2 (ja) * 1994-06-10 2001-05-0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WO1996008182A1 (en) * 1994-09-14 1996-03-21 Robert Martin Mccusker Ergonomic toothbrush
EP1074200B2 (en) 1995-08-22 2015-09-09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es
KR200156947Y1 (ko) * 1997-02-26 1999-09-15 정덕호 치솔
SE517409C2 (sv) * 1997-10-31 2002-06-04 Butler John O Co Dentalinstrument med förbättrat grepp
DE29823590U1 (de) * 1997-11-12 1999-10-07 Gillette Canada Zahnbürste
US6308367B1 (en) * 1997-11-12 2001-10-30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WO2000072547A1 (fr) * 1999-05-25 2000-11-30 Sony Corporation Procede, dispositif et systeme de transmission
US6397425B1 (en) 1999-08-31 2002-06-04 Gillette Canada Company Polypropylene brush body
US7047591B2 (en) 2002-09-20 2006-05-23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JP2005185649A (ja) * 2003-12-26 2005-07-14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GB201104024D0 (en) 2011-03-09 2011-04-20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Novel device
JP5785820B2 (ja) * 2011-08-26 2015-09-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5806922B2 (ja) * 2011-12-07 2015-11-1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EP3387946B1 (en) 2017-04-10 2023-05-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oral care impl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063Y1 (ko) 1999-07-26 2000-03-15 박원 탄성부를구비한칫솔
JP2002028028A (ja) * 2000-07-14 2002-01-29 Lion Corp 歯ブラシハンド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1197A1 (en) 2018-10-18
US11051605B2 (en) 2021-07-06
US20180289141A1 (en) 2018-10-11
CA3058912C (en) 2021-12-14
AU2018251685A1 (en) 2019-10-24
MX2019012087A (es) 2019-11-21
CA3058912A1 (en) 2018-10-18
CN110520010A (zh) 2019-11-29
KR20190119663A (ko) 2019-10-22
AU2018251685B2 (en) 2021-06-24
EP3387947B1 (en) 2019-12-11
EP3387947A1 (en) 2018-10-17
BR112019021096A2 (pt)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902B2 (ja) オーラルケア器具用のヘッド
AU2007202591B2 (en) Toothbrush
JP3154935U (ja) 歯間ブラシ
NO319235B1 (no) Tannborste
AU2007202590A1 (en) Toothbrush head
CA2818285A1 (en) Toothbrush head and ergonomic toothbrush handle
KR102273544B1 (ko)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358655B1 (ko) 구강 케어 기구 및 그러한 구강 케어 기구의 제조 방법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BR112019021096B1 (pt)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tal implemento para tratamento bucal
JP3227810U (ja) シュロット歯ブラシ
KR102120282B1 (ko) 칫솔
KR102107528B1 (ko) 교정용 칫솔
KR200417716Y1 (ko) 틀니용 칫솔
CA2261355A1 (en) Improved toothbrush handle
KR20230015976A (ko) 개인 케어 기구를 위한 손잡이 및 개인 케어 기구
JP2022020474A (ja) 多機能歯ブラシ
JP2020185447A (ja) 歯ブラシ
JP2020075125A (ja) 液状歯磨き剤塗布ブラシ
JP2020198963A (ja) 歯ブラシ
GB2533417A (en) A mouth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