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224B1 - 부력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부력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224B1
KR102273224B1 KR1020200036347A KR20200036347A KR102273224B1 KR 102273224 B1 KR102273224 B1 KR 102273224B1 KR 1020200036347 A KR1020200036347 A KR 1020200036347A KR 20200036347 A KR20200036347 A KR 20200036347A KR 102273224 B1 KR102273224 B1 KR 10227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fixing part
plate shape
exten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20003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력체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체 어셈블리{A Buoy Assembly}
본 발명은 부력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부력체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해상의 외력에도 수평으로 안정적이며, 조립과 구성이 간단한 부력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항만 내부나 하구 등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동력장치가 없는 거룻배인 바지선은 부력구조를 이용한 부력체 등을 이용하여 부상시킨다. 이러한 바지선은 항내·내해·호수·하천·운하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해상 작업용 공사장비를 탑재하고 해상작업을 하는 무동력 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를 해상으로 운반하거나 해상에서 작업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선체 상부에 원하는 공간을 확보한 형태로 제조된 배를 가리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부력체의 체결방식에 있어서 로프등을 사용하거나 접촉시켜 체결하여 중간에 위치하는 부력체가 파손되거나 하여 교체해야 하는 경우 전체를 해체하는 등의 제작이나 변경에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025374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부력체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해상의 외력에도 수평으로 안정적이며, 조립과 구성이 간단한 부력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력체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력체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5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6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8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5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4 고정부와 상기 제 6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5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고정부와 상기 제 6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1 발판이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력체와, 상기 제 3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3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연결브라켓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9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0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9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3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0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9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3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0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4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3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4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2 발판과,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력체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1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부력체 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2 고정부와, 상기 제 4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3 연결브라켓과, 상기 제 4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연결브라켓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1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5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2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6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5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6 연결판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5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6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3 발판이 더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부력체의 전방에는 제 1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부력체의 후방에는 제 2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5 부력체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3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4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5 고정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6 고정부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3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15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부력체의 일측에 제 3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상기 제 3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부력체의 전방에 제 4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9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부력체의 후방에 제 5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5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0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타측에 상기 제 6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6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4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전방에 제 7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7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후방에 제 8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8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부력체 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부력체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여 해상의 외력에도 수평으로 안정적이며, 조립과 구성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 확대도.
도 5는 도 1의 A와 B 확대도.
도 6은 도 1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배면도.
도 8은 제 1 부력체, 제 2 부력체, 제 5 부력체의 정면도.
도 9는 제 1 부력체, 제 2 부력체, 제 5 부력체의 배면도.
도 10은 제 3 부력체의 정면도.
도 11은 제 3 부력체의 배면도.
도 12는 제 4 부력체의 정면도.
도 13은 제 4 부력체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부력체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부력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력체(1)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1)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11)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1)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12)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1)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13)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1)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1 부력체(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1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고정부(1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3 연결부(71), 제3 연결판(7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고정부(1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4 연결부(72), 제 4 연결판(7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13)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고정부(1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1 연결부(61), 제 1 연결판(6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고정부(14)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62), 제 2 연결판(6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방에는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완충부(15)의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고정부(13)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후방에는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완충부(16)의 일단이 상기 제 2 고정부(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고정부(14)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2에서는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5 부력체(5)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부력체(5)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5 부력체(5)의 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3 고정부(5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3 고정부(5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고정부(12)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력체(1)와 상기 제 5 부력체(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4 고정부(5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4 고정부(5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의 제 13 고정부(51)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5 부력체(5)의 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5 고정부(53)가 마련된다. 상기 제 15 고정부(5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력체(1)와 상기 제 5 부력체(5)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6 고정부(5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6 고정부(54)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의 제 15 고정부(5)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방에 상기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방에 상기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1부력체(1) 후방에 상기 제 5 부력체(5)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4 고정부(52)와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의 제 13 고정부(51)가 연결되며, 상기 제 16 고정부(54)와 서로 다른 제 5 부력체(5)의 제 15 고정부(53)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3에서는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2 부력체(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부력체(2)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부력체(2)의 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5 고정부(21)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고정부(2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1 연결부(61), 제 1 연결판(6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부력체(2)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6 고정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제 6 고정부(2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62), 제 2 연결판(6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부력체(2)의 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고정부(23)가 마련된다. 상기 제 7 고정부(2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부력체(2)의 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8 고정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8 고정부(24)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5 고정부(21)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6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6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61)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5 고정부(21)에 연결되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1 발판(6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6 고정부(2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6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6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62)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6 고정부(22)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1 발판(6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5 고정부(2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판(63)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판(63)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5 고정부(21)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6 고정부(2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판(64)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판(64)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6 고정부(22)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61) 하부와 상기 제 2 연결부(62)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발판(65)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발판(65)의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1 연결부(61)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발판(65)의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후단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2 연결부(62)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방에 상기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후방에 상기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부력체(2)의 전방에 상기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부력체(2)의 후방에 상기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부력체(2)는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7 고정부(23)는 서로 다른 제 2 부력체(2)의 제 5 고정부(21)와 연결되고, 상기 제 8 고정부(24)는 서로 다른 제 2 부력체(2)의 제 6 고정부(22)와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4에서는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2 부력체(2), 제 5 고정부(21), 제 6 고정부(22), 제 7 고정부(23), 제 8 고정부(2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부력체(2), 제 5 고정부(21), 제 6 고정부(22), 제 7 고정부(23), 제 8 고정부(2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5 부력체(5), 제 13 고정부(51), 제 14 고정부(52), 제 15 고정부(53), 제 16 고정부(54)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부력체(5), 제 13 고정부(51), 제 14 고정부(52), 제 15 고정부(53), 제 16 고정부(5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1 연결부(61), 제 2 연결부(62), 제 1 연결판(63), 제 2 연결판(64), 제 1 발판(65), 제 3 연결부(71), 제 4 연결부(72), 제 3 연결판(73), 제 4 연결판(74), 제 2 발판(7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61), 제 2 연결부(62), 제 1 연결판(63), 제 2 연결판(64), 제 1 발판(65), 제 3 연결부(71), 제 4 연결부(72), 제 3 연결판(73), 제 4 연결판(74), 제 2 발판(75)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방에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부력체(2) 전방에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부력체(2)의 후방에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되나,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방에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되나,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1부력체(1) 후방에 상기 제 5 부력체(5)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상기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2 부력체(2) 후방에 상기 제 5 부력체(5)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상기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5에서는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3 부력체(3)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부력체(3)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3 부력체(3)의 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브라켓(3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에 하기에서 설명될 제 3 완충부(35)와 제 4 완충부(36)가 연결될 수 있고,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브라켓(32)과도 연결될 수 있어,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연결브라켓(32)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브라켓(32)에 하기에서 설명될 제 3 완충부(35)와 제 5 완충부(37)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과도 연결될 수 있어,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부력체(3)의 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9 고정부(33)가 마련된다. 상기 제 9 고정부(33)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제 3 연결부(71), 제 3 연결판(7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0 고정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0 고정부(34)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제 4 연결부(72), 제 4 연결판(7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9 고정부(33)와 상기 제 1 고정부(11)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3 연결부(71)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연결부(7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3 연결부(71)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9 고정부(33)와 상기 제 1 고정부(11)에 연결되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2 발판(7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0 고정부(34)와 상기 제 2 고정부(12)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4 연결부(72)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연결부(7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4 연결부(72)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10 고정부(34)와 상기 제 2 고정부(12)에 연결되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2 발판(7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9 고정부(33)와 상기 제 1 고정부(1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3 연결판(73)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연결판(73)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9 고정부(33)와 상기 제 1 고정부(11)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0 고정부(34)와 상기 제 2 고정부(12)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4 연결판(74)이 마련된다. 상기 제 4 연결판(74)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0 고정부(34)와 상기 제 2 고정부(12)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연결부(71) 하부와 상기 제 4 연결부(72) 하부에 연결되는 제 2 발판(75)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발판(75)의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3 연결부(71)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발판(75)의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후단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4 연결부(72)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일측에는 제 3 완충부(35)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완충부(35)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완충부(35)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32)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전방에는 제 4 완충부(36)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완충부(36)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완충부(36)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9 고정부(33)에 연결된다. 상기 제 4 완충부(36)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방에는 제 5 완충부(37)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완충부(37)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5 완충부(37)의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3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0 고정부(34)에 연결된다. 상기 제 5 완충부(37)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4 부력체(4)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부력체(4)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4 부력체(4)의 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1 고정부(4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고정부(4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제 5 연결부(81), 제 5 연결판(8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면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2 고정부(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고정부(4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될 제 6 연결부(82), 제 6 연결판(84)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 부력체(4)의 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3 연결브라켓(43)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연결브라켓(43)은 하기에서 설명될 제 6 완충부(45)와 상기 제 7 완충부(46)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과 연결될 수 있어,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면에는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연결브라켓(44)이 마련된다.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에 하기에서 설명될 제 6 완충부(45)와 제 8 완충부(47)가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연결브라켓(43)과 연결될 수 있어,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고정부(41)와 상기 제 3 고정부(13)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5 연결부(81)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연결부(81)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5 연결부(81)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11 고정부(41)와 상기 제 3 고정부(13)에 연결되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3 발판(8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2 고정부(42)와 상기 제 4 고정부(14)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 6 연결부(82)가 마련된다. 상기 제 6 연결부(8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6 연결부(82)의 상부를 통해 상기 제 12 고정부(42)와 상기 제 4 고정부(14)에 연결되며, 하부를 통해 하기에 설명될 제 3 발판(85)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고정부(41)와 상기 제 3 고정부(13)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5 연결판(83)이 마련된다. 상기 제 5 연결판(83)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1 고정부(41)와 상기 제 3 고정부(13)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2 고정부(42)와 상기 제 4 고정부(14)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6 연결판(84)이 마련된다. 상기 제 6 연결판(84)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 12 고정부(42)와 상기 제 4 고정부(14)를 연결하여,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를 연결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연결부(81) 하부와 상기 제 6 연결부(82) 하부에 연결되는 제 3 발판(85)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발판(85)의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5 연결부(81)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3 발판(85)의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후단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6 연결부(82)의 하부와 연결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타측에는 제 6 완충부(45)가 마련된다. 상기 제 6 완충부(45)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6 완충부(45)의 일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4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에 연결된다. 상기 제 6 완충부(45)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전방에는 제 7 완충부(46)가 마련된다. 상기 제 7 완충부(46)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7 완충부(46)의 일단이 제 11 고정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43)에 연결된다. 상기 제 7 완충부(46)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방에는 제 8 완충부(47)가 마련된다. 상기 제 8 완충부(47)는 폴리에틸렌 등 가벼운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8 완충부(47)의 일단이 상기 제 12 고정부(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에 연결된다. 상기 제 8 완충부(47)는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상면에 적재될 수 있는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 또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면에는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후면에는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방에 상기 제 3 부력체(3)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브라켓(32)와 서로 다른 제 3 부력체(3)의 제 1 연결브라켓(31)이 연결되며, 상기 제 10 고정부(34)와 서로 다른 제 3 부력체(3)의 제 9 고정부(3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방에 상기 제 4 부력체(4)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2 고정부(42)와 서로 다른 제 4 부력체(4)의 제 11 고정부(41)이 연결되며,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와 서로 다른 제 4 부력체(4)의 제 3 연결브라켓(4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3 부력체(3)와 상기 제 4 부력체(4) 사이에 상기 제 1 부력체(1)가 다수개 마련될 수 있으나, 상술한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 6에서는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부력체(1), 제 1 고정부(11), 제 2 고정부(12), 제 3 고정부(13), 제 4 고정부(1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3 부력체(3), 제 1 연결브라켓(31), 제 2 연결브라켓(32), 제 9 고정부(33), 제 10 고정부(34)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 제 2 연결브라켓(32), 제 9 고정부(33), 제 10 고정부(3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4 부력체(4), 제 11 고정부(41), 제 12 고정부(42), 제 3 연결브라켓(43), 제 4 연결브라켓(44)이 마련된다. 상기 제 4 부력체(4), 제 11 고정부(41), 제 12 고정부(42), 제 3 연결브라켓(43), 제 4 연결브라켓(44)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5 부력체(5), 제 13 고정부(51), 제 14 고정부(52), 제 15 고정부(53), 제 16 고정부(43)가 마련된다. 상기 제 13 고정부(51), 제 14 고정부(52), 제 15 고정부(53), 제 16 고정부(43)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3 연결부(71), 제 4 연결부(72), 제 3 연결판(73), 제 4 연결판(74), 제 2 발판(75)이 마련된다. 상기 제 3 연결부(71), 제 4 연결부(72), 제 3 연결판(73), 제 4 연결판(74), 제 2 발판(75)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에는 제 5 연결부(81), 제 6 연결부(82), 제 5 연결판(83), 제 6 연결판(84), 제 3 발판(85)이 마련된다. 상기 제 5 연결부(81), 제 6 연결부(82), 제 5 연결판(83), 제 6 연결판(84), 제 3 발판(85)은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면에는 상기 제 1 완충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완충부(1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일측에는 상기 제 3 완충부(35)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완충부(3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전면에는 상기 제 4 완충부(36)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완충부(3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면에는 상기 제 5 완충부(37)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완충부(37)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타측에는 상기 제 6 완충부(45)가 마련된다. 상기 제 3 완충부(45)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전면에는 상기 제 7 완충부(46)가 마련된다. 상기 제 4 완충부(4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면에는 상기 제 8 완충부(47)가 마련된다. 상기 제 5 완충부(47)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면에는 상기 제 2 완충부(1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완충부(16)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방에 상기 제 3 부력체(3)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방에 상기 제 4 부력체(4)가 다수개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3 부력체(3)와 상기 제 4 부력체(4) 사이에 상기 제 1 부력체(1)가 다수개 마련될 수 있으나, 상술한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전면과 후면은 경사진 형태로 깎일 수 있고, 상기 제 1 부력체, 상기 제 2 부력체, 상기 제 3 부력체, 상기 제 4 부력체 및 상기 제 5 부력체는 스틸을 이용할 수 있으며, 내부는 폴리우레탄 폼을 충전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연결과 체결은 볼트, 너트 또는 용접 어느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 중 실시예 6의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부력체(1), 상기 제 1 고정부(11), 상기 제 2 고정부(12), 상기 제 3 고정부(13), 상기 제 4 고정부(14), 상기 제 3 부력체(3). 상기 제 1 연결브라켓(31), 상기 제 2 연결브라켓(32), 상기 제 9 고정부(33), 상기 제 10 고정부(34), 상기 제 4 부력체(4), 상기 제 11 고정부(41), 상기 제 12 고정부(42), 상기 제 3 연결브라켓(43), 상기 제 4 연결브라켓(44), 상기 제 5 부력체(5), 상기 제 13 고정부(51), 상기 제 14 고정부(42), 상기 제 15 고정부(43), 상기 제 16 고정부(44)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고정부(11)와 상기 제 9 고정부(33)의 상부에 제 3 연결부(71)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고정부(11)와 상기 제 9 고정부(33)의 하부에 제 3 연결판(73)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고정부(12)와 상기 제 10 고정부(34)의 하부에 제 4 연결부(72)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고정부(12)와 상기 제 10 고정부(34)의 하부에 제 4 연결판(74)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11 고정부(41)의 상부에 제 5 연결부(81)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고정부(13)와 상기 제 11 고정부(41)의 하부에 제 5 연결판(83)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12 고정부(42)의 상부에 제 6 연결부(82)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12 고정부(42)의 하부에 제 6 연결판(84)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고정부(12)와 상기 제 13 고정부(51)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고정부(14)와 상기 제 15 고정부(53)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연결부(71)와 상기 제 4 연결부(72)의 하부에 상기 제 2 발판(75)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연결부(81)와 상기 제 6 연결부(82)의 하부에 상기 제 3 발판(85)이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부력체(1)의 전방에 제 1 완충부(15)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일측에 제 3 완충부(25)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전방에 제 4 완충부(26)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부력체(3)의 후방에 제 5 완충부(27)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타측에 제 6 완충부(45)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전방에 제 7 완충부(46)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부력체(4)의 후방에 제 8 완충부(47)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부력체(5)의 후방에 제 2 완충부(16)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인 부력체 어셈블리의 상면
에 물건을 적재하고 바다에 드리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제 1 부력체 11 : 제 1 고정부
12 : 제 2 고정부 13 : 제 3 고정부
14 : 제 4 고정부 15 : 제 1 완충부
16 : 제 2 완충부 2 : 제 2 부력체
21 : 제 5 고정부 22 : 제 6 고정부
23 : 제 7 고정부 24 : 제 8 고정부
3 : 제 3 부력체 31 : 제 1 연결브라켓
32 : 제 2 연결브라켓 33 : 제 9 고정부
34 : 제 10 고정부 35 : 제 3 완충부
36 : 제 4 완충부 37 : 제 5 완충부
4 : 제 4 부력체 41 : 제 11 고정부
42 : 제 12 고정부 43 : 제 3 연결브라켓
44 : 제 4 연결브라켓 45 : 제 6 완충부
46 : 제 7 완충부 47 : 제 8 완충부
5 : 제 5 부력체 51 : 제 13 고정부
52 : 제 14 고정부 53 : 제 14 고정부
54 : 제 15 고정부 61 : 제 1 연결부
62 : 제 2 연결부 63 : 제 1 연결판
64 : 제 2 연결판 65 : 제 1 발판
71 : 제 3 연결부 72 : 제 4 연결부
73 : 제 3 연결판 74 : 제 4 연결판
75 : 제 2 발판 81 : 제 5 연결부
82 : 제 6 연결부 83 : 제 5 연결판
84 : 제 6 연결판 85 : 제 3 발판

Claims (6)

  1.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부력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3 고정부;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4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 부력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5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6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7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8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5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4 고정부와 상기 제 6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고정부와 상기 제 5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판;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고정부와 상기 제 6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판;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1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1 발판;이 더 마련될 수 있고,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3 부력체;
    상기 제 3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1 연결브라켓;
    상기 제 3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일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2 연결브라켓;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9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0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9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3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0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9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3 연결판;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0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4 연결판;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은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3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은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4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2 발판;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4 부력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1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4 부력체 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2 고정부;
    상기 제 4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3 연결브라켓;
    상기 제 4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고, 타측으로 연장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연결브라켓;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1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후방으로 절곡되는 제 5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제 12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전방으로 절곡되는 제 6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고정부와 상기 제 3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5 연결판;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2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6 연결판;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5 연결부 하부와 연결되고, 후단은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일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6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제 3 발판;이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력체의 전방에는 제 1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부력체의 후방에는 제 2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고정부에 연결되며,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5 부력체;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3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후면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4 고정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5 고정부; 및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5 부력체 후면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16 고정부;가 더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3 고정부와 상기 제 2 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15 고정부와, 상기 제 4 고정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부력체의 일측에 제 3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3 부력체의 전방에 제 4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9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 3 부력체의 후방에 제 5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5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2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0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타측에 제 6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6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4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전방에 제 7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7 완충부의 일단이 상기 제 11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3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제 4 부력체의 후방에 제 8 완충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8 완충부의 일단이 제 12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4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36347A 2020-03-25 2020-03-25 부력체 어셈블리 KR102273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47A KR102273224B1 (ko) 2020-03-25 2020-03-25 부력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47A KR102273224B1 (ko) 2020-03-25 2020-03-25 부력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224B1 true KR102273224B1 (ko) 2021-07-08

Family

ID=7689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47A KR102273224B1 (ko) 2020-03-25 2020-03-25 부력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2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58B1 (ko) * 2013-05-27 2013-12-09 홍형의 수상 태양광용 모듈 일체형 부력체
KR20190025374A (ko) 2017-09-01 2019-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바지선
KR101975167B1 (ko) *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102014812B1 (ko) * 2019-01-04 2019-10-21 동원철강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358B1 (ko) * 2013-05-27 2013-12-09 홍형의 수상 태양광용 모듈 일체형 부력체
KR20190025374A (ko) 2017-09-01 2019-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바지선
KR101975167B1 (ko) * 2018-06-21 2019-05-03 임영신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102014812B1 (ko) * 2019-01-04 2019-10-21 동원철강 주식회사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193B1 (ko) 롤링을 저감하며 복원성을 높인 해상부유구조물
CN113581395A (zh) 具有t形浮体的半潜式浮式风机
US20110002739A1 (en) Temporary floating breakwater and causeway with simulated beach and kelp
GB2427253A (en) Technique for stabilising a boat against a structure using a fender
KR101894631B1 (ko) 알루미늄 부표가 설치된 알루미늄 해상 구조물
JP2011525877A (ja) 水流からエネルギーを生成する浮遊型プラントを係留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S63279993A (ja) 単脚引張り脚式プラットホーム
JP2006525189A (ja) 船舶係泊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7097610A1 (en) Semi-submersible vessel, method for operating a semi-submersibl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submersible vessel
US20050268836A1 (en) Offshore floating dock
US9463848B2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CN207843232U (zh) 漂浮式浮岛的系泊系统
KR102273224B1 (ko) 부력체 어셈블리
KR101101102B1 (ko) 앞돛대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선박용 방파제
FR3035455A1 (fr) Support flottant avec section horizontale variable avec la profondeur
KR101556924B1 (ko) 선박 에어스포일러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CN207843246U (zh) 漂浮式浮岛的多点系泊系统
CN102046458B (zh) 配合
KR102551516B1 (ko) 조립형 부유체
EP1880938A1 (fr) Ras d'amarrage
KR101924779B1 (ko)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CN216819280U (zh) 一种艇船用电缆桥架
KR20170036268A (ko) 극한환경에서의 안벽 계류 능력이 우수한 해상 부유체
JP2023006508A (ja) 浮体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